KR101203811B1 -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811B1
KR101203811B1 KR1020100114430A KR20100114430A KR101203811B1 KR 101203811 B1 KR101203811 B1 KR 101203811B1 KR 1020100114430 A KR1020100114430 A KR 1020100114430A KR 20100114430 A KR20100114430 A KR 20100114430A KR 101203811 B1 KR101203811 B1 KR 101203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vertical rod
long hole
pop
leak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3256A (ko
Inventor
김종섭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터웍스 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터웍스 유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터웍스 유진
Priority to KR1020100114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811B1/ko
Publication of KR20120053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1Fixing a tap to the sanitary appliance or to an associated mounting surface, e.g. a counterto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1O-ring s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폽업장치가 설치되는 모든 세면대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세면대에 고인 물을 배수 또는 차단하기 위한 원터치 방식의 수직 봉을 타고 물이 흘러들어감으로써, 바닥이나 장식가구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1)는, 모든 세면대에 설치되며 후면이 경사진 형상의 수전금구 몸체(10); 및 상기 몸체(10)의 후면 바닥면 쪽에 설치되는 긴 구멍(11)이 형성되고, 상기 긴 구멍(11)을 통해 설치되어 세면대의 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해 설치되는 원터치 식 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10) 내측 하부에 누수방지장치(100)가 설치되어 수직봉(20)을 타고 물이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누수방지장치(100)는 선단에 수나사(111)가 형성되어 상기 긴 구멍(11)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12)와 체결되며, 상기 수나사(111)와 연장형성되는 위치에 절곡홈(112)이 형성되고, 이 절곡홈(112)에는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오링(120)이 설치되며, 상기 절곡홈(112)과 연장되는 부위에 원통형상의 어뎁터 몸체(110)가 형성되고, 이 어뎁터 몸체(110) 내에 제2 오링(121)이 설치되어 수직봉(20)의 승강작동시 외부의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Pope-up device is installed in one-touch faucet leak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폽업장치가 설치되는 모든 세면대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세면대에 고인 물을 배수 또는 차단하기 위한 원터치 방식의 수직 봉을 타고 물이 흘러들어감으로써, 바닥이나 장식가구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상가, 공공시설 등의 수전금구의 설치위치가 대부분 욕실 세면대, 마루 위 또는 하부 장식장 위 등에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사용 중 또는 부주의로 인해 물이 수전금구의 폽업 수직봉이 설치되는 홀을 타고 흘러 내려가 하부장 또는 바닥 또는 장안에 수납되어있는 물건 들을 손상시키는 일이 종종 있었다.
예를 들면, 한 개의 홀에 설치되는 세면대용 수도 꼭지는 일반적으로 도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3개의 구조로 만들어져 있다.
즉,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동 주물로 이루어진 주물몸체(10)의 후면에 폽업 수직봉(20)이 설치되기 위한 긴 구멍(11)이 형성되고, 이 긴 구멍(11)을 통해서 폽업 수직봉(20)이 위아래 이동하여 폽업 드레인을 작동시키는 A-타입구조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꼭지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직 타입의 몸체(10)에 수직봉(20)이 상하로 작동할 수 있도록 이동거리만큼 설치바닥에 대하여 수직으로 길게 긴 구멍(11)이 가공되어 있어, 이 긴 구멍(11) 내에서 상하로 작동되어 폽업 드레인을 작동시키는 B-타입구조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B타입구조와 유사하지만 내부 재료의 원가절감을 위해 폽업 대의 수직 봉(20)이 작동될 수 있도록 중벽(이하 주물벽이라 칭함)을 삭제한 C-타입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상기 A,B, C-타입의 구조는 자체적으로 폽업 드레인을 작동시키기 위한 수직봉(20)에는 특별한 실링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의 부 주위 또는 실수로 인하여 수직봉(20)과 긴 구멍(11) 사이를 통하여 물이 흘러들어가 세면대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장식 장 또는 마루카펫이 등이 젖거나 망가져 큰 하자 비용이 발생하였다.
특히, C-타입구조는 B-타입구조와 다르게 내부 주물 벽이 없어서 더 많은 물이 침투하게 되며, 다른 타입과 마찬가지로 수직 봉이 상하로 작동시 긴 구멍과 수직 봉 사이의 갭으로 인하여 물이 누수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은 폽업장치가 설치되는 모든 세면대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세면대에 고인 물을 배수 또는 차단하기 위한 원터치 방식의 수직 봉을 타고 물이 흘러들어감으로써, 바닥이나 장식가구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가 경사지게 형성된 수전금구에 설치되는 수직 봉의 하부에 오링 또는 패킹을 가지는 어뎁터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위 등에 의해 수직봉을 타고 들어가는 물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간 벽이 없는 수전금구에 형성된 긴 구멍에 연질의 PVC 또는 고무로 이루어진 실 커버를 조립하여 수직 봉을 타고 흘러들어오는 물을 미연에 방지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는;
모든 세면대에 설치되며 후면이 경사진 형상의 수전금구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후면 바닥면 쪽에 설치되는 긴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긴 구멍을 통해 설치되어 세면대의 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해 설치되는 원터치 식 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측 하부에 기밀 어뎁터가 설치되어 폽업장치를 구성하는 수직봉이 설치되어 상기 수직 봉을 타고 물이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수직봉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거리만큼 설치바닥에 대하여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는 긴 구멍과, 상기 긴 구멍 내측에 가로로 형성되는 주물벽과, 상기 주물벽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봉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세면용 수도꼭의 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물벽에 형성된 구멍에 어뎁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밀 어뎁터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선단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긴 구멍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와 체결되며, 상기 수나사와 연장형성되는 위치에 절곡홈이 형성되며, 이 절곡홈에는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오링이 설치되며, 상기 절곡홈과 연장되는 부위에 원통형상의 어뎁터 몸체가 형성되고, 이 어뎁터 몸체 내에 제2 오링이 설치되어 수직봉의 승강작동시 외부의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수직봉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거리만큼 설치바닥에 대하여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는 긴 구멍을 가지며 이 긴 구멍에 상기 수직 봉이 설치되는 세면용 수도꼭의 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에 패킹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패킹부재를 통해 수직 봉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패킹부재는 전면이 개구되며, 상기 개구부 양쪽 근방에 상기 긴 구멍과 결합시 탄력적으로 설치되기 위한 텐션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수직 봉이 통과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와 발전기가 일체로 형성된 발전장치는 일체형인 발전기와 모터의 회전축에 발전기를 연결하여 계속적인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발전기로서 본 발명의 원리를 이용하여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완전 무공해로 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원터치 식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전금구의 단면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은 A-타입 수전금구를 나타내 낸 도면이고, 도 2a 및 2b는 B-타입 수전금구를 타낸 도면으로, 도 2a는 측면을 일부 절취하여 내부를 보여준 도면이고, 도 2b는 우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C-타입 수전금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의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7b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6a는 본 발명 패킹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의 A-A 선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 패킹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앞서 종래와 동일한 명칭 및 형상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이 경사진 형상의 수전금구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후면 바닥면 쪽에 설치되는 긴 구멍(11)이 형성되고, 상기 긴 구멍(11)을 통해 설치되어 세면대(도시하지 않음)의 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해 설치되는 폽업장치(1)를 기본 구성으로 하였다.
상기 폽업장치(1)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상기 폽업장치(1)를 구성하는 수직 봉(20)을 누르거나 위로 당기면 상기 수직 봉(20)에 연결되어 있던 연결부재(2)와 수평 바(3)가 당겨지거나 누르는 동작에 의해 세면대의 개수구멍을 막고 있던 마개가 상승 또는 하여 배수구를 밀폐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수전금구 몸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A-타입으로 종래와 같이, 후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세면대 설치위치에 긴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긴 구멍(11)이 형성된 부분에 상기 수직 봉(20)을 타고 물이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누수방지장치(100)가 설치되는 점이 상이한 것이다.
상기 누수방지장치(100)는 어뎁터로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선단에 수나사(111)가 형성되어 상기 긴 구멍(11)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12)와 체결되며, 상기 수나사(111)와 연장형성되는 위치에 절곡홈(112)이 형성되고, 이 절곡홈(112)에는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오링(120)이 설치되며, 상기 절곡홈(112)과 연장되는 부위에 원통형상의 어뎁터 몸체(110)가 형성된다.
상기 어뎁터 몸체(110) 내에는 제2 오링(121)이 설치되어 수직봉(20)의 승강작동 시 외부의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부 주위에 의해 물이 수직 봉(20) 쪽으로 물이 튀어도 물은 상기 누수방지장치(100)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아 바닥이나 장식가구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타입은 종래 B-타입으로 수직 봉(2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거리만큼 설치바닥에 대하여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는 긴 구멍(11)과, 상기 긴 구멍(11) 내측에 가로로 형성되는 주물벽(13)과, 상기 주물벽(13)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 봉(20)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주물 벽(13)에 구멍(13a)이 형성되며, 이 구멍(13a)에 누수방지장치(100)가 설치된다.
상기 누수방지장치(100)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ed 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수직 봉(2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거리만큼 설치바닥에 대하여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는 긴 구멍(11)이 형성된 것으로 종래 도 1c에 도시된 C-타입의 구조와 동일하다.
여기에서는 외부의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6a에 도시된 보아 같이, 상기 긴 구멍(11)에 패킹부재(200)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패킹부재(200)는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의 PVC 또는 내화학성이 높은 고무 계열 수지로 성형되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구되며, 상기 개구부(201) 양쪽 근방에 상기 긴 구멍(11)과 결합시 탄력적으로 설치되기 위한 텐션부(211)가 도 6b에 도시된 봐와 같이, 일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수직 봉(20)이 통과하기 위한 구멍(2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멍(212)은 주물 벽(13)에 기밀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2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텐션부(211)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됨과 동시에 앞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긴 구멍(11)에 삽입될 때, 탄성력이 생겨 더욱 기밀하게 밀폐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사용자의 부 주위에 의해 물이 수직 봉(20) 쪽으로 물이 튀어도 물은 상기 패킹부재(200)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아 바닥이나 장식가구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폽업장치 10 : 몸체
11 : 긴 구멍 12 : 암나가
13 : 주물벽 100 : 누수방지장치
111 : 수나사 112 : 절곡홈
120,121 : 오링 200 : 패킹부재

Claims (6)

  1. 삭제
  2. 수직봉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거리만큼 설치바닥에 대하여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는 긴 구멍과, 상기 긴 구멍 내측에 가로로 형성되는 주물벽과, 상기 주물벽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봉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세면용 수도꼭의 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물벽에 형성된 구멍에 누수방지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장치는 기밀 어뎁터로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 어뎁터는 선단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긴 구멍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와 체결되며, 상기 수나사와 연장형성되는 위치에 절곡홈이 형성되고, 이 절곡홈에는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오링이 설치되며, 상기 절곡홈과 연장되는 부위에 원통형상의 어뎁터 몸체가 형성되고, 이 어뎁터 몸체 내에 제2 오링이 설치되어 수직봉의 승강작동시 외부의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
  5. 수직봉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거리만큼 설치바닥에 대하여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는 긴 구멍을 가지며 이 긴 구멍에 상기 수직 봉이 설치되는 세면용 수도꼭의 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에 패킹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패킹부재를 통해 수직 봉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전면이 개구되며, 상기 개구부 양쪽 근방에 상기 긴 구멍과 결합시 탄력적으로 설치되기 위한 텐션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수직 봉이 통과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
KR1020100114430A 2010-11-17 2010-11-17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 KR101203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430A KR101203811B1 (ko) 2010-11-17 2010-11-17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430A KR101203811B1 (ko) 2010-11-17 2010-11-17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256A KR20120053256A (ko) 2012-05-25
KR101203811B1 true KR101203811B1 (ko) 2012-11-22

Family

ID=46269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430A KR101203811B1 (ko) 2010-11-17 2010-11-17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8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690B1 (ko) * 2013-01-09 2014-12-05 김현 세면대의 배수밸브 개폐유닛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7961A (ja) 1996-11-18 1998-06-02 Kvk Corp 水栓取付用台座
JP2007231537A (ja) * 2006-02-28 2007-09-13 Kvk Corp 水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7961A (ja) 1996-11-18 1998-06-02 Kvk Corp 水栓取付用台座
JP2007231537A (ja) * 2006-02-28 2007-09-13 Kvk Corp 水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256A (ko) 201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36226A1 (en) Joint device for drain pipes
KR101203811B1 (ko)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
JP6579373B2 (ja) 便器装置
CN203834638U (zh) 深水封地漏组件
JP2014173390A (ja) 便器設置構造
KR20100127461A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101250832B1 (ko) 배수트랩을 일체로 성형한 욕실 방수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9353B1 (ko) 세면기의 트랩배관 설치장치
KR101845921B1 (ko) 비데 내부로의 공기순환 및 누수배출 안내장치
KR101422804B1 (ko) 배수 트랩
JP2010121312A (ja) 浴槽の排水構造
KR200381393Y1 (ko) 유리도어 하부프로파일 유니트
JP2010098898A (ja) 電源収納ボックス
KR101713125B1 (ko) 세면기용 폽업장치
KR20120056955A (ko) 싱크대 배수구 연결부재
JP4916674B2 (ja) 配管固定具
JP2019148135A (ja) 水洗大便器装置
JP2017160687A (ja) 操作装置
KR101799206B1 (ko) 샤워수전 설치구조
JP6259980B2 (ja) 排水装置
CN205296334U (zh) 一种连体马桶及其导气管的安装结构
KR200311265Y1 (ko) 세면대 배수트랩 설치구조
JP2019210642A (ja) 洗濯機用防水パン
JP2007023728A (ja) 浴室建具
KR100843678B1 (ko) 샤워부스용 시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