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206B1 - 샤워수전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샤워수전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206B1
KR101799206B1 KR1020160116406A KR20160116406A KR101799206B1 KR 101799206 B1 KR101799206 B1 KR 101799206B1 KR 1020160116406 A KR1020160116406 A KR 1020160116406A KR 20160116406 A KR20160116406 A KR 20160116406A KR 101799206 B1 KR101799206 B1 KR 101799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er
connector
clamping unit
w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석
김창호
김성원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6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Abstract

본 발명은 샤워수전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샤워수전용 바디와, 상기 샤워수전용 바디의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물 유동용 세로라인과, 상기 한 쌍의 물 유동용 세로라인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물 유동용 가로라인과, 상기 한 쌍의 물 유동용 세로라인에 결합되는 수전 설치용 커넥터를 구비하는 샤워수전; 상기 샤워수전용 바디가 설치될 위치의 벽체 하부에 기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샤워수전용 바디가 클램핑되는 바디 클램핑 유닛; 및 상기 수전 설치용 커넥터가 설치된 위치의 상기 벽체 상부에 기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전 설치용 커넥터가 위치 조정되면서 클램핑되는 커넥터 클램핑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샤워수전 설치구조{Shower faucet Installing structure}
본 발명은, 샤워수전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에 구멍을 뚫지 않더라도 샤워수전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설치작업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마감처리가 깔끔해질 수 있는 샤워수전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샤워수전은 샤워실의 벽체에 매설되어 있는 급수배관인 냉, 온수관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수전이다. 레버 등을 조작함으로써 냉수와 온수를 선택할 수 있다.
종전의 샤워수전은 냉, 온수관에 연결되는 부분인 샤워수전용 바디에 플렉시블한 호스가 연결되고, 플렉시블한 호스의 단부에 샤워기가 연결되는 구조가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서는 인테리어 효과 창출을 위해 샤워수전 역시, 고급화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기능성이 강조된 것, 외관의 미가 강조된 것, 이들이 모두 갖춰진 것 등 다양한 샤워수전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어떠한 형태의 샤워수전일지라도 사용을 위해서는 샤워실의 벽체에 시공, 즉 설치해야 하는데, 현재까지는 벽체에 구멍을 뚫어 설치해야만 해서 설치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마감처리가 깔끔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신개념의 샤워수전 설치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1041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에 구멍을 뚫지 않더라도 샤워수전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설치작업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마감처리가 깔끔해질 수 있는 샤워수전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샤워수전용 바디와, 상기 샤워수전용 바디의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물 유동용 세로라인과, 상기 한 쌍의 물 유동용 세로라인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물 유동용 가로라인과, 상기 한 쌍의 물 유동용 세로라인에 결합되는 수전 설치용 커넥터를 구비하는 샤워수전; 상기 샤워수전용 바디가 설치될 위치의 벽체 하부에 기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샤워수전용 바디가 클램핑되는 바디 클램핑 유닛; 및 상기 수전 설치용 커넥터가 설치된 위치의 상기 벽체 상부에 기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전 설치용 커넥터가 위치 조정되면서 클램핑되는 커넥터 클램핑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수전 설치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바디 클램핑 유닛은, 상기 샤워수전용 바디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 결합부를 구비하는 유닛 플레이트; 상기 유닛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삽입 결합부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샤워수전용 바디의 일측에 걸리는 걸림부;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호스 연결부; 및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하단부에서 상기 유닛 플레이트에 교차되게 연장되는 연장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클램핑 유닛은, 상기 연장 플랜지의 하부에 배치되는 머리부와, 상기 연장 플랜지에 나사 결합되는 축부를 구비하며, 상기 샤워수전의 위치 고정을 위해 마련되는 샤워수전 위치 고정용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워수전 위치 고정용 볼트에 대응되는 상기 샤워수전용 바디에는 공구의 접근을 허용하는 공구 접근 허용홀이 형성되며, 상기 공구 접근 허용홀로 상기 공구를 삽입해서 상기 샤워수전 위치 고정용 볼트를 풀면서 상기 샤워수전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클램핑 유닛은, 유닛 바디; 상기 유닛 바디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벽체에 체결되는 다수의 앵커; 및 상기 유닛 바디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전 설치용 커넥터에 삽입 결합되는 커넥터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수전 설치용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클램핑 유닛의 커넥터 클램프를 기준으로 상하로 업/다운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에 구멍을 뚫지 않더라도 샤워수전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설치작업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마감처리가 깔끔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수전 설치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샤워수전용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샤워수전을 설치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수전 설치구조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샤워수전용 바디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샤워수전을 설치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샤워수전 설치구조에 의하면 벽체에 구멍을 뚫지 않더라도 샤워수전(10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설치작업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마감처리가 깔끔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샤워수전 설치구조는 도 1에 자세히 도시된 것처럼 샤워수전(100)과, 샤워수전(100)을 샤워실의 벽체에 설치하기 위한 부속물들, 즉 바디 클램핑 유닛(180) 및 커넥터 클램핑 유닛(190)을 포함한다.
우선, 샤워수전(100)의 구조에 대해 알아본다. 샤워수전(100)은 샤워수전용 바디(110), 한 쌍의 물 유동용 세로라인(151), 물 유동용 가로라인(152), 그리고 수전 설치용 커넥터(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샤워수전용 바디(110)의 설명에 앞서 한 쌍의 물 유동용 세로라인(151)에 대해 알아보면, 한 쌍의 물 유동용 세로라인(151)은 샤워수전용 바디(110)의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되 상하로 연장되는 파이프이다.
샤워실의 벽체에 매설되어 있는 급수배관인 냉, 온수관이 바디 클램핑 유닛(180)의 호스 연결부(184)를 통해서 샤워수전용 바디(110) 내의 배관(미도시)에 연결되는데, 이러한 배관이 한 쌍의 물 유동용 세로라인(151)과 연결될 수 있다.
물 유동용 가로라인(152)은 한 쌍의 물 유동용 세로라인(151)의 상단부에서 엘보(154)에 의해 한 쌍의 물 유동용 세로라인(151)에 연결되는 파이프이다. 이러한 물 유동용 가로라인(152)의 벽면에는 다수의 샤워 스프레이 홀(15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처럼 샤워수전용 바디(110)가 하부에 배치되는 한편 한 쌍의 물 유동용 세로라인(151)과 물 유동용 가로라인(152)이 마치 사각의 루프 형상을 가지며, 물 유동용 가로라인(152)의 샤워 스프레이 홀(153)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샤워수전(100)의 고급화를 추구할 수 있다.
수전 설치용 커넥터(170)는 한 쌍의 물 유동용 세로라인(151)에 결합되는 커넥터이다. 이러한 수전 설치용 커넥터(170)는 커넥터 클램핑 유닛(190)에 클램핑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설치가 편리해질 수 있다.
한편, 샤워수전용 바디(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샤워실의 벽체에 매설되어 있는 급수배관인 냉, 온수관에 연결되는 배관이 갖춰지는 일종의 케이스이다. 이러한 샤워수전용 바디(110)는 도 3 및 도 4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샤워수전용 바디(110)는 전면을 이루는 커버부(120)와, 양면이 개방된 박스(box) 형상을 가지되 전면에서 커버부(120)가 결합되는 바디부(130)를 포함한다. 커버부(120)와 바디부(130)는 모두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이때, 커버부(120)와 바디부(130)는 볼트(141,142)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샤워수전용 바디(110)가 제조될 경우, 큰 사이즈의 샤워수전용 바디(11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외관의 미가 향상될 수 있도록 커버부(120)는 판형부(121)와, 판형부(121)의 사이드에 형성되는 아크형 사이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아크형 사이드부(122)의 단부에는 플랜지(123)가 형성된다.
아크형 사이드부(122)는 물 유동용 세로라인(151)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외관의 미를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판형부(121)와 아크형 사이드부(122), 그리고 플랜지(123)는 일체형 구조물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부(120)는 종전과 달리 프레스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프레스 공정으로 커버부(120)의 외형을 만든 후, 연마하고, 이어서 아노다이징 처리함으로써 커버부(120)를 제조할 수 있다.
바디부(130)는 전면에서 커버부(120)가 결합되는 구조물로서, 양면이 개방된 박스(box) 형상을 갖는다. 바디부(130)의 상면 모서리 영역에는 물 유동용 세로라인(151)과의 연결을 위한 라인 통공(131)이 형성된다.
바디부(130)의 측면에는 관통공(132)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공(132)에 노브(133)가 연결된다. 그리고 바디부(130)의 하부 일측에는 공구 접근 허용홀(130a)이 형성된다. 샤워수전(100)의 설치 시 공구 접근 허용홀(130a)을 통해 공구를 삽입해서 위치 고정용 볼트(187)를 풀어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디부(130)는 커버부(120)와 달리 박스형 구조물로 적용되기 때문에 압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압출 공정으로 바디부(130)의 외형을 만든 후, 연마하고, 이어서 아노다이징 처리함으로써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디부(130)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120)와 바디부(130)는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볼트(141,142)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볼트(141)는 긴 볼트로서, 바디부(130)의 볼트 가이드(141a)를 경유하여 커버부(1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141b)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볼트(142)는 다소 짧은 볼트로서, 커버부(120)의 플랜지(123)에 형성되는 통공(142a)을 지나 바디부(130)의 제2 체결부(142b)에 체결될 수 있다.
커버부(120)와 바디부(130) 사이에는 다수의 이격용 보스(145)가 마련되어 커버부(120)와 바디부(130) 내의 다른 부품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의 샤워수전(100)을 샤워실의 벽체에 설치하기 위한 부속물들로서 바디 클램핑 유닛(180) 및 커넥터 클램핑 유닛(190)이 마련된다.
바디 클램핑 유닛(180)은 샤워수전용 바디(110)가 설치될 위치의 벽체 하부에 기설치되어 있으며, 샤워수전용 바디(110)가 클램핑되는 부속물이다.
이러한 바디 클램핑 유닛(180)은 샤워수전용 바디(110)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 결합부(182)를 구비하는 유닛 플레이트(181)와, 유닛 플레이트(181) 상에서 삽입 결합부(182)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샤워수전용 바디(110)의 일측에 걸리는 걸림부(183)와, 유닛 플레이트(181)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호스 연결부(184)와, 유닛 플레이트(181)의 하단부에서 유닛 플레이트(181)에 교차되게 연장되는 연장 플랜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유닛 플레이트(181) 상에 형성되는 삽입 결합부(182)와 걸림부(183)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샤워수전용 바디(110)의 바디부(130) 내의 구조물에 걸린다. 즉 후크 방식으로 걸리기 때문에 볼트가 필요치 않을 수 있다.
바디 클램핑 유닛(180)에는 샤워수전 위치 고정용 볼트(187)가 더 마련된다. 샤워수전 위치 고정용 볼트(187)는 샤워수전(100)의 위치 고정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샤워수전 위치 고정용 볼트(187)는 연장 플랜지(185)의 하부에 배치되는 머리부(187a)와, 연장 플랜지(185)에 나사 결합되는 축부(187b)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부(187a)가 연장 플랜지(185)의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샤워수전용 바디(110)의 바디부(130)에 형성되는 공구 접근 허용홀(130a)로 공구, 예컨대 십자드라이버를 삽입해서 샤워수전 위치 고정용 볼트(187)의 머리부(187a)를 조작하기가 유리하다.
이때, 고정용 볼트(187)를 풀어주면 도 7에서와 같이 머리부(187a)가 바디부(130)의 하부를 내측에서 지지하게되므로,
먼저 커넥터 클램핑 유닛(190)에 의해 샤워수전의 상부를 전,후방향에 대해 고정하고, 상기 바디 클램핑 유닛(180)의 삽입 걸림부(182)와 걸림부(183)에 의해 샤워수전의 하부를 전,후방향 및 하강방향에 대해 고정한 상태에서,최종적으로 상승방향에 대해서도 고정하게될 것이다.
커넥터 클램핑 유닛(190)은 수전 설치용 커넥터(170)가 설치된 위치의 벽체 상부에 기설치되어 있으며, 수전 설치용 커넥터(170)가 위치 조정되면서 클램핑되는 부속물이다.
이러한 커넥터 클램핑 유닛(190)은 유닛 바디(191)와, 유닛 바디(191)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벽체에 체결되는 다수의 앵커(192)와, 유닛 바디(191)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수전 설치용 커넥터(170)에 삽입 결합되는 커넥터 클램프(19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전 설치용 커넥터(170)는 커넥터 클램핑 유닛(190)의 커넥터 클램프(193)를 기준으로 상하로 업/다운 이동 가능하다. 즉 초기에는 도 5처럼 수전 설치용 커넥터(170)의 하부로 커넥터 클램프(193)가 삽입되는 형태이나 도 6 및 도 7처럼 수전 설치용 커넥터(170)가 상승되면서 제자리를 찾아 커넥터 클램핑 유닛(190)에 클램핑될 수 있다.
이하, 샤워수전(100)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바디 클램핑 유닛(180) 및 커넥터 클램핑 유닛(190)이 이미 갖춰진 상태에서 우선, 도 5 및 도 6처럼 샤워수전(100)의 아랫부분, 즉 샤워수전용 바디(110)의 바디부(130)가 바디 클램핑 유닛(180)에 걸려 클램핑되게 한다. 이때는 바디 클램핑 유닛(180)의 삽입 결합부(182)와 걸림부(183)가 샤워수전용 바디(110)의 바디부(130) 내의 구조물에 걸리면서 클램핑 작용이 이루어진다.
다음, 샤워수전(100)의 윗부분을 원터치 방식으로 밀어 넣어 고정시킨다. 즉 샤워수전(100)의 윗부분인 수전 설치용 커넥터(170)를 커넥터 클램핑 유닛(190)에 밀어 넣어 이들이 클램핑되도록 한다. 클램핑 후에는 도 5에서 도 6처럼 샤워수전(100)을 상측으로 가압해서 수전 설치용 커넥터(170)가 커넥터 클램핑 유닛(190)에 완전히 클램핑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샤워수전용 바디(110)의 바디부(130)에 형성되는 공구 접근 허용홀(130a)로 공구, 예컨대 십자드라이버를 삽입해서 샤워수전 위치 고정용 볼트(187)의 머리부(187a)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도 7처럼 샤워수전 위치 고정용 볼트(187)가 풀리면서 아래로 내려오고 이로 인해 머리부(187a)가 바디부(130)의 바닥에 지지됨으로써 샤워수전(100)이 아래로 밀리지 않고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샤워수전 위치 고정용 볼트(187)를 푸는 작업을 미리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에 구멍을 뚫지 않더라도 샤워수전(10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설치작업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마감처리가 깔끔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샤워수전 110 : 샤워수전용 바디
120 : 커버부 130 : 바디부
130a : 공구 접근 허용홀 140 : 볼트
151 : 물 유동용 세로라인 152 : 물 유동용 가로라인
153 : 샤워 스프레이 홀 154 : 엘보
170 : 수전 설치용 커넥터 180 : 바디 클램핑 유닛
181 : 유닛 플레이트 182 : 삽입 결합부
183 : 걸림부 184 : 호스 연결부
185 : 연장 플랜지 187 : 위치 고정용 볼트
187a : 머리부 187b : 축부
190 : 커넥터 클램핑 유닛 191 : 유닛 바디
192 : 앵커 193 : 커넥터 클램프

Claims (5)

  1. 샤워수전용 바디와, 상기 샤워수전용 바디의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물 유동용 세로라인과, 상기 한 쌍의 물 유동용 세로라인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물 유동용 가로라인과, 상기 한 쌍의 물 유동용 세로라인에 결합되는 수전 설치용 커넥터를 구비하는 샤워수전;
    상기 샤워수전용 바디가 설치될 위치의 벽체 하부에 기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샤워수전용 바디가 클램핑되는 바디 클램핑 유닛; 및
    상기 수전 설치용 커넥터가 설치된 위치의 상기 벽체 상부에 기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전 설치용 커넥터가 위치 조정되면서 클램핑되는 커넥터 클램핑 유닛을 포함하는 샤워수전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클램핑 유닛은 샤워수전의 상부를 전,후방향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유닛 바디와, 유닛 바디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벽체에 체결되는 다수의 앵커와, 유닛 바디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커넥터 클램프로 구성되는데, 상기 수전 설치용 커넥터는 세로라인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 클램핑 유닛의 커넥터 클램프가 걸린 상태에서 상하 업/다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디 클램핑 유닛은 샤워수전의 하부를 먼저 전,후방향 및 하강방향에 대해 고정한 다음 최종적으로 상승방향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샤워수전용 바디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 결합부를 구비하는 유닛 플레이트와, 유닛 플레이트 상에서 삽입 결합부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샤워수전용 바디의 일측에 걸리는 걸림부와, 유닛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호스 연결부와, 유닛 플레이트의 하단부에서 유닛 플레이트에 교차되게 연장되는 연장 플랜지를 포함하는데,
    유닛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삽입 결합부와 걸림부는 샤워수전용 바디의 바디부 내의 구조물에 걸리므로 샤워수전의 하부가 전,후방향 및 하강방향에 대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바디 클램핑 유닛에는 샤워수전 위치 고정용 볼트가 더 마련되는데, 상기 샤워수전 위치 고정용 볼트는 연장 플랜지의 하부에 배치되는 머리부와, 연장 플랜지에 나사 결합되는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부는 연장 플랜지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공구를 공구 접근 허용홀을 경유하여 고정용 볼트를 풀어주면 머리부가 바디부의 하부를 내측에서 지지하게되므로,
    먼저 커넥팅 클램핑 유닛에 의해 샤워수전의 상부를 전,후방향에 대해 고정하고, 상기 바디 클램핑 유닛의 삽입 걸림부와 걸림부에 의해 샤워수전의 하부를 전,후방향 및 하강방향에 대해 고정한 상태에서,최종적으로 상승방향에 대해서도 고정하게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수전 설치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수전 위치 고정용 볼트에 대응되는 상기 샤워수전용 바디에는 공구의 접근을 허용하는 공구 접근 허용홀이 형성되며,
    상기 공구 접근 허용홀로 상기 공구를 삽입해서 상기 샤워수전 위치 고정용 볼트를 풀면서 상기 샤워수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수전 설치구조.
















  5. 삭제
KR1020160116406A 2016-09-09 2016-09-09 샤워수전 설치구조 KR101799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406A KR101799206B1 (ko) 2016-09-09 2016-09-09 샤워수전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406A KR101799206B1 (ko) 2016-09-09 2016-09-09 샤워수전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206B1 true KR101799206B1 (ko) 2017-12-12

Family

ID=60943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406A KR101799206B1 (ko) 2016-09-09 2016-09-09 샤워수전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2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5221A (ja) * 2003-02-06 2006-05-25 ハンスグローエ アーゲー シャワー設備
KR101415795B1 (ko) * 2013-01-30 2014-07-08 (주) 대화이에스 바디형 샤워기의 벽면 결합구조
KR101568957B1 (ko) * 2015-02-13 2015-11-12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도기선반을 갖는 샤워 수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5221A (ja) * 2003-02-06 2006-05-25 ハンスグローエ アーゲー シャワー設備
KR101415795B1 (ko) * 2013-01-30 2014-07-08 (주) 대화이에스 바디형 샤워기의 벽면 결합구조
KR101568957B1 (ko) * 2015-02-13 2015-11-12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도기선반을 갖는 샤워 수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5557B2 (en) Modular support system for plumbing connections
GB2498603A (en) Fixing structure of a pull out faucet
DK3052710T3 (en) Mounting plate for a toilet body
KR200467099Y1 (ko) 샤워바 설치용 홀더 구조체
KR101799206B1 (ko) 샤워수전 설치구조
JP2008138397A (ja) カバー水栓のメンテナンスカバーの取付構造
WO2022037644A1 (zh) 水龙头组件及其安装方法
JP5305188B1 (ja) 水槽付き家具及び水槽付き家具への水栓装置の取り付け方法
JP4640229B2 (ja) ユニットバスルーム
KR200475926Y1 (ko) 샤워바
KR200487220Y1 (ko) 욕실용 선반
KR101799207B1 (ko) 샤워수전용 바디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샤워수전용 바디를 구비하는 샤워수전
JP4208166B2 (ja) 給水栓の取付構造
KR102229142B1 (ko) 모듈형 욕실 층상 배관 시스템
JP2003193527A (ja) 浴室ユニットの防水パン構造
CN218408050U (zh) 一种快速连接结构
JP7387402B2 (ja) 洗面化粧台の施工方法
KR100974828B1 (ko) 급배수관용 배관의 고정구
CN211646590U (zh) 一种排水塞连动装置
US20210404106A1 (en) Frame assembly and system for inserting a free-standing household appliance into a wall recess
KR101203811B1 (ko) 원터치 폽업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의 누수방지장치
JP2019002206A (ja) 継手収容ボックス、継手収容ボックスと配管保護カバーとの組付装置との組付装置、及び混合水栓の設置構造
KR20170003997U (ko) 결합이 편리하도록 한 세면대용 롱너트 및 그 잠금기구
JP2007159844A (ja) 壁体
KR200182661Y1 (ko) 샤워부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