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777B1 - 회절격자를 이용한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 및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회절격자를 이용한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 및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777B1
KR101202777B1 KR1020110050267A KR20110050267A KR101202777B1 KR 101202777 B1 KR101202777 B1 KR 101202777B1 KR 1020110050267 A KR1020110050267 A KR 1020110050267A KR 20110050267 A KR20110050267 A KR 20110050267A KR 101202777 B1 KR101202777 B1 KR 101202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ffraction grating
axis
light
fluorescen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준
Original Assignee
신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준 filed Critical 신동준
Priority to KR1020110050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777B1/ko
Priority to PCT/KR2011/003914 priority patent/WO2012161365A1/ko
Priority to EP11866130.5A priority patent/EP2716220B1/en
Priority to US14/122,142 priority patent/US900038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20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 G01T1/2002Optical details, e.g. reflecting or diffusing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8Auxiliary means for directing the radiation beam to a particular spot, e.g. using light be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08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 A61B6/4233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using matrix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91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the detector being combined with a grid or gr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8Diagnostic techniques
    • A61B6/484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phase contrast X-ray im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회절격자를 이용한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 및 검출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는, 물체를 투과한 엑스레이를 입력받아 이를 광선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형광스크린과, 형광스크린으로부터 출력된 광선에 의한 이미지를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제1축에 대해 축소하는 제1반사면과, 제1반사면에 의해 축소된 이미지를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제2축에 대해 축소하는 제2반사면과, 제2반사면으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이미지를 입력받아 결상하고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촬영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절격자를 이용한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 및 검출방법{Digital Image Detector with Grating(s) and Dete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 및 그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회절격자를 이용한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 및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엑스레이 촬영장치는, 환자의 상태가 기록된 엑스레이 필름의 현상과 보관 등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점차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를 탑재한 디지털 엑스레이 촬영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는 엑스레이 발생장치로부터 방출된 엑스레이가 물체를 통과한 이후에 형광스크린으로 입력된다. 형광스크린으로 입력된 엑스레이는 가시광선으로 변환된 후 형광스크린으로부터 출력된다.
출력된 가시광선은 반사경에 반사되어 CCD 카메라로 입력된다. CCD 카메라는 가시광선을 입력 받아 그 상을 전기신호로 변화시키는 촬상소자인 CCD(전하결합소자, Charge-Coupled Device)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CCD 카메라로 입력된 가시광선은 결상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이러한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는 엑스레이가 입력되는 형광스크린으로부터 충분한 가시광선이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형광스크린에서 CCD 카메라까지의 길이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그러나 형광스크린과 CCD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할수록 광로가 짧아지게 되어 CCD 카메라에서 형광스크린을 바라보는 각도 즉 화각이 커지게 된다. 화각이 커지게 되면 화각에 비례하여 광학계의 수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우수한 화상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에서 광로를 길게 유지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평판형으로 만들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 및 그 검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해결은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에서 광로를 길게 유지해야 하는 문제점을 회절격자를 이용한 반사면으로 세로축과 가로축을 충분히 축소한 화상을 만들어 광학계가 요구하는 화각을 최소화하거나 직접 촬영장치에 1:1로 회절격자를 이용한 반사면으로 가로축과 세로축을 축소한 화상을 전달하여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는, 물체를 투과한 엑스레이를 입력받아 이를 광선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형광스크린과, 형광스크린으로부터 출력된 광선에 의한 이미지를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제1축에 대해 축소하는 제1반사면과, 제1반사면에 의해 축소된 이미지를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제2축에 대해 축소하는 제2반사면과, 제2반사면으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이미지를 입력받아 결상하고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촬영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반사면은 형광스크린에서 출력된 이미지를 세로 방향에 대해 축소하고, 제2반사면은 제1반사면에서 출력된 이미지를 가로 방향에 대해 축소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반사면은 형광스크린에서 출력된 이미지를 가로 방향에 대해 축소하고, 제2반사면은 제1반사면에서 출력된 이미지를 세로 방향에 대해 축소할 수 있다.
회절격자의 전면에는 일정한 브레이즈드각을 갖고 돌출된 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절격자에는 일정한 브레이즈드각을 갖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반사면으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이미지는 전반사 프리즘을 통과한 후 촬영장치에 입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방법은, 물체를 투과한 엑스레이를 입력 받아서 광선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광선에 의한 이미지를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제1축에 대해 축소하는 단계와, 제1축에 대해 축소된 이미지를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제2축에 대해 축소하는 단계와, 제2축에 대해 축소된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축에 대해 축소되는 단계는 이미지를 가로 방향으로 축소하고, 제2축에 대해 축소되는 단계는 이미지를 세로 방향으로 축소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축에 대해 축소되는 단계는 이미지를 세로 방향으로 축소하고, 제2축에 대해 축소되는 단계는 이미지를 가로 방향으로 축소할 수 있다.
물체를 투과한 엑스레이는 가시광선, 적외선 또는 자외선 중 어느 하나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 및 검출방법은, 형광스크린으로부터 출력된 광선은 회절격자를 이용한 제1반사면을 거치면서 제1축으로 축소되고, 회절격자를 이용한 제2반사면을 거치면서 제2축으로 축소되어 형광스크린에서 촬영장치까지의 길이와 관계없이 화각을 최소화화여 광학계의 수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는 광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내부공간이 상당히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 및 검출방법은 회절격자를 이용한 반사면으로 이러한 광로를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내부공간을 최소화하여 평판형으로 구성하여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제1반사면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제2반사면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에서, 형광스크린에서 나온 이미지가 제1축 및 제2축에 대해 축소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에서, 형광스크린에서 나온 이미지가 제1축 및 제2축에 대해 축소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제1반사면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검출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1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제1반사면(140)에 대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제2반사면(160)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서 원의 내부는 회절격자를 확대한 도면에 해당한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100)에서, 형광스크린(120)에서 나온 이미지가 상호 수직인 제1축(세로 방향) 및 제2축(가로 방향)에 대해 축소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100)는, 엑스선 발생장치(110)에서 방사되는 엑스선 중에서 물체(도시하지 않음)를 투과한 엑스선에 의한 이미지(130)를 입력 받아 이를 광선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형광스크린(120)과, 형광스크린(120)에서 출력된 광선에 의한 이미지를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세로축으로 축소하는 제1반사면(140)과, 제1반사면(140)에 의해 축소된 이미지를 가로축으로 다시 축소하는 제2반사면(160)과, 제2반사면(160)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이미지를 촬상소자에 입력 받아 결상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촬영장치(1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100)에 있어서, 형광스크린(120)에서 출력된 물체의 이미지(130)는 회절격자를 이용한 제1반사면(140)을 거치면서 제1축에 해당하는 세로축으로 축소된다. 그리고 세로축으로 축소된 이미지는 회절격자를 이용한 제2반사면(160)을 거치면서 제2축에 해당하는 가로축으로 축소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100)는 형광스크린(120)에서 촬영장치(180)까지의 길이와 상관없이 화각을 최소화 하여 광학계의 수차를 줄일 수 있고, 회절격자를 이용한 반사면으로 광로 확보를 위한 내부 공간을 최소화 하여 평판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형광스크린(120)은 물체(도시하지 않음)를 투과한 엑스선의 이미지(130)를 입력 받아서 이에 대응하는 가시광선을 출력한다. 형광스크린(120)의 내부에는 형광입자(도시하지 않음)가 미세하게 분산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형광입자는 엑스선에 의해 여기되어 가시광선을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형광스크린(120)은 가시광선 뿐만 아니라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때 촬영장치(180)는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제1반사면(140)은, 수직으로 위치하는 형광스크린(120)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 m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반사면(140)과 형광스크린(120)은 모두 직사각 형상을 갖는데, 제1반사면(140)의 윗변과 형광스크린(120)의 윗변은 상호 접하고 있다. 제1반사면(140)에는 물체를 투과한 이미지(130)가 그대로 입사된다.
제1반사면(140)은 회절격자(grating)에 의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회절격자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판 위에 다이아몬드 비트로 1mm당 수십~수백 개 정도의 등 간격 홈을 형성한 광학소자이다. 이와 같은 회절격자는 주로 빛의 회절과 간섭에 따라 빛의 파장을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회절격자 중에서 에슐레트 회절격자(Echelette grating)는 도 2에서와 같이 톱니 모양의 반사부(142)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브레이즈드각(brazed angle)(a)을 이용하여 입사광과 회절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1반사면(140)의 브레이즈드각(a)은 입사광과 회절광이 90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100)는 엑스레이 발생장치(110)로부터 방출된 엑스선이 물체를 통과한 이후에 형광스크린(120)에 입력된다. 형광스크린(120)에 입력된 엑스선은 가시광선으로 변환된 후 형광스크린(120)으로부터 출력된다.
형광스크린(120)으로부터 출력되는 가시광선은 주로 단색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회절격자를 이용하면 빛의 스펙트럼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아니라, 브레이즈드각(a)을 이용하여 반사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브레이즈드각(a)의 크기에 따라서 세로축 또는 가로축과 같이,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이미지를 축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반사면(140)에 입사한 입사광은 회절격자의 반사부(142)에 의해서 수직(형광스크린(120)과 평행하게) 하방으로 반사되어 제2반사면(160)으로 입사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물체의 이미지(130)는 가로 방향에 대해서는 변하지 않지만 세로 방향에 대해서는 그 높이가 h에서 h'로 축소된다.
제2반사면(160)도 에슐레트 회절격자에 의해 형성된다. 제2반사면(160)에 형성되어 있는 반사부(162)도 일정한 브레이즈드각(b)을 갖는다.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2반사면(160)은 제1반사면(140)에 대해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으며, 일정한 경사각 n을 갖는다.
제1반사면(140)에서 나온 회절광은 제2반사면(160)에 입사하여 반사부(162)에서 반사되어 입사광에 대해 90도를 이루는 회절광으로 되어 촬영장치(180)로 입사하게 된다. 형광스크린(120)에 입사하는 빛과 촬영장치(180)에 입사하는 빛은 상호 직교한다. 그리고 제2반사면(160)에 의해 물체의 이미지(130)는 세로 높이(h )는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가로 폭이 a에서 a'로 축소된다.
따라서 도 4를 참고하면, 물체의 이미지(130)는 제1반사면(140)에 의해 반사되면서 제1축에 해당하는 세로 방향으로 축소되고(h에서 h'), 제2반사면(160)에 의해 반사되면서 제2축에 해당하는 가로 방향으로 축소된다(a에서 a').
이와 같이, 회절격자를 이용한 제1반사면(140) 및 제2반사면(160)을 이중으로 구성하면, 제1축에 해당하는 세로축과 제2축에 해당하는 가로축에 대해 모두 축소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제1반사면(140)의 입사광과 제1반사면(140)의 회절광이 90도를 이루며, 제1반사면(140)의 회절광이 제2반사면(160)의 입사광으로, 제2 반사면(160)의 입사광과 제2반사면(160)의 회절광이 90도를 이루고, 제2반사면(160)의 회절광이 촬영장치(180)의 입사광이 되도록, 제1반사면(140) 및 제2반사면(160)의 브레이즈드각(a, b)을 조정하면, 촬영장치(180)에는 간섭이 최대한 억제된 빛이 입사하게 되어 우수한 화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20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물체의 이미지(130)가 제1반사면(240) 및 제2반사면(260)에 의해 축소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200)는, 엑스선 발생장치(110)에서 방사되는 엑스선 중에서 물체(도시하지 않음)를 투과한 엑스선에 의한 이미지(130)를 입력 받아 이를 광선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형광스크린(120)과, 형광스크린(120)에서 출력된 광선에 의한 이미지를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가로축으로 축소하는 제1반사면(240)과, 제1반사면(240)에 의해 축소된 이미지를 세로축으로 다시 축소하는 제2반사면(260)과, 제2반사면(160)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이미지를 촬상소자에 입력 받아 결상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촬영장치(1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200)는, 제1반사면(240)이 물체의 이미지(130)를 제1축에 해당하는 가로축에 대해 축소하고, 제2반사면(260)이 가로로 축소된 물체의 이미지를 세로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반사면(240)은 사각 형상의 형광스크린(120)의 일 측변에서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제1반사면(240)은 위에서 설명한 제1반사면(140)과 마찬가지로 회절격자를 이용하는데, 회절격자의 브레이즈드각을 조절하여 제1반사면(240)에 대한 입사광과 회절각이 90도를 이루도록 한다.
물체의 이미지(130)는 제1반사면(240)에 입사하여 반사되는 과정에서 제1축에 해당하는 가로 방향으로 그 폭이 a에서 a'로 축소된다.
제2반사면(260)은 사각 형상의 형광스크린(120)의 일 측에 대해 경사각을 가지고 형광스크린(120)과 수직인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2반사면(260)도 제1반사면(240)과 동일하게 회절격자를 이용하는데, 회절격자의 브레이즈드각을 조절하여 제2반사면(260)에 대한 입사광과 회절각이 90도를 이루도록 한다.
제1반사면(240)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축소된 물체의 이미지(130)는 제2반사면(260)에 입사하여 반사되는 과정에서 제2축에 해당하는 세로 방향으로 그 높이가 h에서 h'로 축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3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예시된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300)의 측면에 대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에 예시된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300)의 제1반사면(340) 및 제2반사면(360)은 모두 슬릿 회절격자(slit gratin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100, 200)의 제1반사면(140, 240) 및 제2반사면(160, 260)은 모두 톱니 형상의 반사부가 형성된 에슐레트 회절격자로서 그 전면에서 반사가 이루어지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반사면(340) 및 제2반사면(360)은 모두 슬릿(342)의 내부면에서 반사가 이루어진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100, 200, 300)를 이용하여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축소한 물체의 이미지에 대한 회절광은 촬영장치(180)에 입력되고, 촬영장치(180)는 이를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촬영장치(180)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카메라일 수 있으며,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촬영장치(180)에서 출력된 디지털 이미지는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저장장치(190)로 전송된다.
그리고 제1반사면(140, 240, 340) 및 제2반사면(160, 260 ,360)에 의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축소된 물체의 이미지는 전반사 프리즘(도시하지 않음)을 통과한 후 촬영장치(180)에 입력될 수 있다. 에슐레트 회절격자를 이용하는 제1반사면(140, 240) 및 제2반사면(160, 260)의 경우에는 톱니 모양의 끝부분에서 빛의 산란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산란광은 입사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반사되지 않기 때문에 축소된 이미지의 품질을 저하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수직으로 입사된 빛만을 반사하는 전반사 프리즘을 이용하여 이와 같은 산란광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절격자를 이용한 이미지 검출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절격자를 이용한 이미지 검출방법은, 물체를 투과한 엑스레이를 입력 받아서 광선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광선에 의한 이미지를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제1축에 대해 축소하는 단계와, 제1축에 대해 축소된 이미지를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제2축에 대해 축소하는 단계와, 제2축에 대해 축소된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물체를 투과한 엑스레이를 입력 받아서 가시광선 등의 광선으로 변환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형광스크린(120)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물체를 투과한 엑스레이는 가시광선 뿐만 아니라 적외선 또는 자외선으로 변환될 수 있다.
변환된 광선에 의한 이미지는 회절격자를 이용한 제1반사면(140, 240, 340)에 의해 제1축에 대해 축소되고, 제2반사면(160, 260, 360)에 의해 제2축에 대해 축소된다. 제1축은 형광스크린(120)의 정면에 대해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이고, 제2축은 형광스크린(120)의 정면에 대해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반사면(140, 240, 340)과 제2반사면(160, 260, 360)의 배치 방향에 따라서 물체의 이미지(130)가 가로 방향으로 축소된 후 세로 방향으로 축소되거나 또는 그 반대의 순서로 축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호 수직하는 제1축(가로 또는 세로 방향) 및 제2축(세로 또는 가로 방향)에 대해 축소된 물체의 이미지는 CCD 카메라 또는 CMOS 카메라에 의해 구현되는 촬영장치(180)에 의해 촬상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
110: 엑스선 발생장치 120: 형광스크린
130: 물체 이미지 140, 240, 340: 제1반사면
160, 260, 360: 제2반사면 180: 촬영장치
190: 저장장치

Claims (10)

  1. 물체를 투과한 엑스레이를 입력받아 이를 광선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형광스크린;
    상기 형광스크린으로부터 출력된 광선에 의한 이미지를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제1축에 대해 축소하는 제1반사면;
    상기 제1반사면에 의해 축소된 이미지를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제2축에 대해 축소하는 제2반사면; 및
    상기 제2반사면으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이미지를 입력받아 결상하고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촬영장치를 포함하는 회절격자를 이용한 이미지 검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면은 상기 형광스크린에서 출력된 이미지를 세로 방향에 대해 축소하고, 상기 제2반사면은 상기 제1반사면에서 출력된 이미지를 가로 방향에 대해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절격자를 이용한 이미지 검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면은 상기 형광스크린에서 출력된 이미지를 가로 방향에 대해 축소하고, 상기 제2반사면은 상기 제1반사면에서 출력된 이미지를 세로 방향에 대해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절격자를 이용한 이미지 검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격자의 전면에는, 일정한 브레이즈드각을 갖는 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절격자를 이용한 이미지 검출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격자에는, 일정한 브레이즈드각을 갖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절격자를 이용한 이미지 검출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사면으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이미지는 전반사 프리즘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절격자를 이용한 이미지 검출기.
  7. 물체를 투과한 엑스레이를 입력 받아서 광선으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광선에 의한 이미지를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제1축에 대해 축소하는 단계;
    제1축에 대해 축소된 이미지를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제2축에 대해 축소하는 단계;
    제2축에 대해 축소된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절격자를 이용한 이미지 검출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에 대해 축소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를 가로 방향으로 축소하고,
    상기 제2축에 대해 축소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를 세로 방향으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절격자를 이용한 이미지 검출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에 대해 축소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를 세로 방향으로 축소하고,
    상기 제2축에 대해 축소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를 가로 방향으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절격자를 이용한 이미지 검출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물체를 투과한 엑스레이는 가시광선, 적외선 또는 자외선 중 어느 하나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절격자를 이용한 이미지 검출방법.
KR1020110050267A 2011-05-26 2011-05-26 회절격자를 이용한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 및 검출방법 KR101202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267A KR101202777B1 (ko) 2011-05-26 2011-05-26 회절격자를 이용한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 및 검출방법
PCT/KR2011/003914 WO2012161365A1 (ko) 2011-05-26 2011-05-27 회절격자를 이용한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 및 검출방법
EP11866130.5A EP2716220B1 (en) 2011-05-26 2011-05-27 Digital image detector using a diffraction grating and detection method
US14/122,142 US9000383B2 (en) 2011-05-26 2011-05-27 Digital image detector and digital image detecting method using grat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267A KR101202777B1 (ko) 2011-05-26 2011-05-26 회절격자를 이용한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 및 검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777B1 true KR101202777B1 (ko) 2012-11-19

Family

ID=47217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267A KR101202777B1 (ko) 2011-05-26 2011-05-26 회절격자를 이용한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 및 검출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00383B2 (ko)
EP (1) EP2716220B1 (ko)
KR (1) KR101202777B1 (ko)
WO (1) WO20121613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19037A1 (fr) * 2014-03-13 2015-09-16 Université de Technologie de Troyes Procédé d'optimisation de la collection de photons dans des cristaux scintillateurs, cristal et utilisations associé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5102A (ja) 2005-11-01 2007-05-24 Toshiba Corp 医用画像表示装置及び医用画像診断装置
JP2008224661A (ja) 2007-02-14 2008-09-25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X線撮像素子、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688Y2 (ja) * 1977-09-14 1984-04-03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検出器
US4413353A (en) * 1981-09-03 1983-11-01 Albert Macovski X-Ray encoding system using an optical grating
US5289012A (en) * 1992-04-30 1994-02-22 Alvarez Robert E X-ray image encoding by spatial modulation of a storage phosphor screen
JPH0727722A (ja) * 1993-07-13 1995-01-31 Fujitsu Ltd X線断層撮影装置及び方法
US7010092B2 (en) * 2003-08-08 2006-03-07 Imaging Dynamics Company Ltd. Dual energy imaging using optically coupled digital radiography system
WO2006103612A2 (en) * 2005-03-30 2006-10-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 V. Optical system with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for mapping signal light onto a detector
US7732788B2 (en) * 2007-10-23 2010-06-08 Hamamatsu Photonics K.K. Radiation image converting panel, scintillator panel and radiation image sensor
US7910891B2 (en) * 2008-09-24 2011-03-22 James Edward Canno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small” x-ray scintillation images at the same(“full”) camera resolution normally available for “large” scintillation images
JP5645445B2 (ja) * 2009-05-22 2014-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5102A (ja) 2005-11-01 2007-05-24 Toshiba Corp 医用画像表示装置及び医用画像診断装置
JP2008224661A (ja) 2007-02-14 2008-09-25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X線撮像素子、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6220B1 (en) 2017-08-23
EP2716220A4 (en) 2014-12-03
US9000383B2 (en) 2015-04-07
EP2716220A1 (en) 2014-04-09
US20140151568A1 (en) 2014-06-05
WO2012161365A1 (ko) 201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2146B2 (ja) 固体撮像装置、撮像装置、及び分光素子
US8094183B2 (en) Panoramic imaging device
CN203616268U (zh) 放射线图像取得装置
CN203396722U (zh) 放射线图像取得装置
US20080291445A1 (en) Spectroscopic instrument, image producing device, spectroscopic method, and image producing method
EP2966503A1 (en) Wide-angle imaging device
US20130258324A1 (en) Surface defect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110811B2 (en) Imaging module and imaging device
JP5947217B2 (ja) 色分離フィルタアレイ、固体撮像素子、撮像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1855599B1 (ko) 광섬유 이용 광 컬렉터와 보조미러를 이용하는 cr 리더
JP2018200468A (ja) 集光光学系
KR20130104756A (ko)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
CA31455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igh-magnification high-resolution photography using a small imaging system
JP2022033250A (ja) 光学スペクトル測定システムおよび光学スペクトル測定方法
KR101202777B1 (ko) 회절격자를 이용한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 및 검출방법
JPWO2016080114A1 (ja) 投影装置
US9632023B2 (en) V-block refractometer
KR101528778B1 (ko) 디지털 이미지 검출기에 사용되는 반사판
JP2006343381A (ja) 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画像読取装置
KR101829554B1 (ko) 광섬유 다발을 이용하는 광 컬렉터를 포함한 cr 리더
US9293492B2 (en) Imaging apparatus
RU2540218C1 (ru) Многоканальный оптический спектрометр
JP2011069847A (ja) 焦点検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03315791A (ja) 投影型映像表示装置
US20190369018A1 (en) Measure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