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243B1 - 횡편기의 급사장치 - Google Patents

횡편기의 급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243B1
KR101201243B1 KR1020077014475A KR20077014475A KR101201243B1 KR 101201243 B1 KR101201243 B1 KR 101201243B1 KR 1020077014475 A KR1020077014475 A KR 1020077014475A KR 20077014475 A KR20077014475 A KR 20077014475A KR 101201243 B1 KR101201243 B1 KR 101201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yarn
knitting yarn
buffer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4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9713A (ko
Inventor
가쓰지 미나카타
히로카즈 니시타니
요시유키 고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7008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9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편사의 공급경로에 설치되는 버퍼 기구에 의한 관성의 영향을 억제하여 편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횡편기31의 급사장치36, 66은,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평성동작을 하는 편침에, 급사부재33을 니들베드4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 시키면서, 니들베드40의 양단의 어느 한 방향으로부터 급사부재33을 통하여 편사34를 공급한다. 편사34의 공급경로에는 버퍼 로드37이 설치된다. 급사 컨트롤러43은, 급사부재33이 편침에 편사34의 공급을 시작하기 전에는, 이동의 방향이 공급경로를 연장하는 방향인가 단축하는 방향인가에 따라, 연장하는 방향에서는 버퍼 로드37에 편사34를 미리 이송하고, 단축하는 방향에서는 버퍼 기구37에 저장되어 있는 편사34를 되돌리는 제어를 하므로, 편사34의 공급경로에 설치하는 버퍼 로드37에서의 관성의 영향에 의한 오버슈트 및 언더슈트를 억제하여 편사34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횡편기의 급사장치{YARN FEEDER OF WEF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편성포(編成布) 편성용(編成用)의 편사(編絲)를 공급하는 길이를, 편성 데이터(編成 data)에 따라서 제어(制御) 가능한 횡편기(橫編機)의 급사장치(給絲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횡편기는,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급사부재(給絲部材)의 급사구(給絲口)로부터 편침(編針)에 편사를 공급하기 위하여, 니들베드(needle bed)의 길이방향의 일단 측의 사이드 커버(side cover) 등에 급사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급사장치에는 버퍼 로드(buffer rod)가 포함되고, 편사를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기능과 편사에 장력(張力)을 부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그러나 버퍼 로드의 경사(傾斜)의 범위에서 편사의 축적과 장력의 부여를 하는 종래의 급사장치에서는, 편성 도중에 있어서 편사의 장력의 변동이 커져버린다.
종래의 급사장치의 버퍼 로드에 상당하는 부재를 사용하여 편사에 장력을 주는 동시에 급격한 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예비축적을 하여 편사를 적극적으로 이송하면서 편사 장력의 변동을 억제하는 선행기술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보 제2541574호 공보 참조). 또 버퍼 로드에 상당하는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편사를 이송하는 스핀휠(spin wheel)의 회전을 급격한 편사 수요의 변화에 앞서 제어함으로써 편사 장력의 변동을 억제하는 선행기술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표평11-500500호 공보 참조).
본건 출원인은, 편사의 소비량을 편성포의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산출하면서, 편성에 필요한 편사를 공급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예를 들면, 국제공개 제2004/009894호 팸플릿). 국제공개 제2004/009894호 팸플릿에서는,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급사장치16을 사용한다. 급사장치16은, 주롤러(主roller)20, 종롤러(從roller)21 및 서보모터(servo motor)22를 포함한다. 주롤러20은 서보모터22의 회전축 상에 장착되고, 종롤러21에는 복수의 기어가 조합되어 구성되는 종동기구(從動機構)를 통하여 서보모터22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주롤러20과 종롤러21은 편사4를 협지(挾持)하도록 배치되고, 종롤러21은 주롤러20과 동일한 원주속도(圓周速度)로 회전구동 된다.
편사4는, 횡편기의 프레임의 상방으로부터 공급되어 주롤러20의 외주면에 접촉하면서 종롤러21이 주롤러20과 대향하고 있는 부분으로 유도된다. 주롤러20의 외주면과 종롤러21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틈)이 있고, 그 간격(틈)을 편사4가 지난다. 또한 중계 롤러25로 유도되어 방향이 변경되어 버퍼 로드7의 선단측9로 당겨진다. 버퍼 로드7의 기단측8에는 선단측9가 상승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버퍼 로드7의 경사각 도를, 선단측9와 중계 롤러25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위치에서 로드의 각도가 0이 되도록 정한다. 스프링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버퍼 로드7은, 편사4의 장력이 클 때에는 경사각이 작아지고, 편사4의 장력이 작을 때에는 경사각이 커지게 되도록 회전변위 한다. 버퍼 로드7의 경사각은 기단측8에 설치되는 경사각 센서27에 의하여 검출된다. 버퍼 로드7의 경사각도는, 예를 들면 0도~100도의 범위에서 변화 가능하다.
도9A 및 도9B는, 도8의 급사장치16에 의한 필요편사 이송모드(必要編絲移送mode)의 제어에 관하여 나타낸다. 도9A는, 편성포에 대한 급사부재의 급사위치를 이동시키는 시간의 경과에 대하여, 버퍼 로드7의 회전변위에 의한 경사각도의 기본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9B는, 급사위치의 이동에 대응하여, 급사장치의 서보모터22의 속도 및 편사4가 급사부재로 이송되는 편사속도의 기본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A 및 도9B의 변화는, 캐리지에 연동되는 얀피더 등의 급사부재가 급사장치16에 접근하고 있는 측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이동하면서 편성포의 1코스를 편성할 경우에 대응하고 있다. 시간ta에서 반전 시의 로드의 위치정합을 한 후에, 시간t0에서부터 캐리지에 의한 급사부재의 이동을 시작한다. 캐리지가 속도V로 이동하면, 급사부재는 시간t0에서 이동을 시작하여 시간t1에 편성포의 편성단(編成端)의 기준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캐리지 속도의 2배인 2V의 편사속도로 편사를 이송하도록 서보모터22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 2V구간에서 필요한 편사는, 버퍼 로드7의 선단측9로부터 급사부재까지의 분과 급사부재로부터 편성단의 편침까지의 분이다. 급사부재가 캐리지에 연동되어서 V의 속도로 버퍼 로드의 선단측9로부터 멀어지면, 2V 분의 편사속도로 편사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급사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횡편기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 중에 급사부재의 이동위치에 따라 편사의 수요량이 크게 변동하여 편사 장력도 편사 수요에 따라 변동해버린다. 편사 장력의 큰 변동은,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에서의 스티치 루프 길이의 변동이 되어 편성포의 품질을 저하시켜버린다.
일본국 특허공보 제254157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선행기술에서도, 편성포의 끝 등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편사 수요량의 변동에 대응하는 것은 곤란하다. 특표평11-50050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선행기술에서는, 편사의 수요량의 급격한 변동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 기대된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에서는, 버퍼 로드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편성 중의 편사의 장력을 안정화시키는 것은 어렵다. 또한 급사부재가 급사장치 측으로 이동할 때에 발생하는 편사의 느슨해짐을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편사를 스핀휠에 감을 필요가 있어서 스핀휠이 커져버린다. 횡편기에서는, 복수 개의 실을 나누어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는 것도 많으므로 급사기구도 각 편사마다 구비할 필요가 있다. 큰 스핀휠을 사용하는 급사장치를 복수 개 구비하면, 횡편기의 대형화를 초래하여버린다.
국제공개 제2004/009894호 팸플릿의 버퍼 로드7과 같은 버퍼 기구는, 기 계적인 동작으로 편사4의 급격한 수급(需給)의 변화를 완화시키는 것이 기대된다. 그러나 편사속도가 빨라지면, 버퍼 로드7의 급격한 움직임, 관성(慣性)에 의하여 오버슈트(overshoot) 및 언더슈트(undershoot)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편침의 편성동작이 시작되어 편침에 스티치캠(stitch cam)이 작용하여 급격한 당기기가 시작되면, 편사4가 급격하게 끌려서 버퍼 로드7은 로드 각도가 감소하는 쪽으로 급격하게 회전변위 한다. 버퍼 로드7은, 회전변위를 급격하게 시작하면, 관성에 의하여 실제로 편사4가 끌리는 이상으로 편사4를 이송하도록 회전변위 하여 오버슈트가 발생하고, 그 때의 편사4의 장력은 작아진다. 편사4의 장력이 작아지므로, 편침에 의한 편사4의 당김량이 많아져 스티치가 거칠어져 버린다. 또한 편사4가 느슨해지면, 버퍼 로드7은 로드 각도가 증대하는 쪽으로 회전변위 한다. 급사부재가 급사장치 측으로 이동을 시작할 때 등에 급격하게 편사가 느슨해지면, 버퍼 로드7은 급격한 편사의 느슨해짐을 따라가지 못하여 언더슈트가 일어나고, 그 때의 편사4의 장력은 작아진다. 언더슈트가 계속되고 있는 사이에 편침의 편성동작이 시작되면, 편침에 의한 편사4의 담김량이 많아져 스티치가 거칠어져 버린다. 그 후에 버퍼 로드7은, 관성에 의하여 로드 각도가 증대하는 쪽으로 회전변위를 계속하고, 편성동작의 시작에서 편사4를 급사부재 측에 공급하기 위하여 로드 각도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회전변위 하여야 할 곳을, 로드 각도가 크게 되는 방향으로 오버슈트 하고, 그 때의 편사4의 장력은 커지게 된다. 편사4의 장력이 커지게 되면, 스티치가 작 아지는 코막힘이 발생해버린다. 장력이 과대해지면 편사4가 끊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기구부분의 관성의 영향에 의한 장력의 변동은, 특표평11-500500호 공보의 스핀휠 등에서도, 실의 공급을 고속으로 하려고 하면 발생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사의 공급경로에 설치하는 버퍼 기구에서의 급격한 동작변화를 피하고, 관성의 영향을 억제하고, 편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횡편기의 급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편성동작을 하는 편침에, 급사부재를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 시키면서, 니들베드의 양단의 어느 일방으로부터 급사부재를 통하여 편사를 공급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에 있어서,
편사의 공급경로에 설치되고 미리 정해진 길이의 범위에서 편사를 저장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편침의 편성동작에 따른 편사의 급격한 수요의 변화를 완화시키는 버퍼 기구와,
편사의 공급경로에서 버퍼 기구의 급사방향 상류 측에 설치되어 편사를 버퍼 기구로 이송하는 편사 이송기구와,
편사 이송기구에 의한 편사의 이송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
버퍼 기구에서의 급격한 동작변화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편사가 풀어지는 방향(급사부재가 급사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서 이하 동일)의 편성의 편성시작 구간에서는 편성단으로부터의 편성에서 편사가 소비될 때까지 급사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인출되는 길이의 편사를, 버퍼 기구에 저장된 편사가 인출되기 직전부터 급사부재의 이동속도에 따라 버퍼 기구로 이송하고, 계속되는 편성에서 편사가 소비되기 직전부터 편성시작 구간에서 소비되는 편사의 양을 편성속도에 따라 가감속 제어하고, 편사 이송기구에 의한 편사의 이송을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편성동작을 하는 편침에, 급사부재를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 시키면서 니들베드의 양단의 어느 일방으로부터 급사부재를 통하여 편사를 공급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에 있어서,
편사의 공급경로에 설치되고 미리 정해진 길이의 범위에서 편사를 저장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편침의 편성동작에 따른 편사의 급격한 수요의 변화를 완화시키는 버퍼 기구와,
편사의 공급경로에서 버퍼 기구의 급사방향 상류 측에 설치되고, 버퍼 기구에 대한 편사의 이송 및 버퍼 기구로부터의 편사의 되돌림이 가능한 편사 이송기구와,
편사 이송기구에 의한 편사의 이송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
버퍼 기구에서의 급격한 동작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편사가 되돌아가는 방향(급사부재가 급사장치로 접근하는 방향으로서, 이하 동일)의 편성의 편성시작 구간에서는 급사부재가 이동을 시작하여 편성단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하는 길이의 편사를, 급사부재가 이동을 시작하기 직전부터 급사부재의 이동속도에 따라 버퍼 기구에 저장되어 있는 편사를 되돌린 후에, 편성에서 편사가 소비되기 직전부터 편성시작 구간에서 소비되는 편사의 양을 편성속도에 따라 가감속 제어하여 편사 이송기구에 의한 편사의 이송을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버퍼 기구에서의 급격한 동작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편성종료 구간에서는 상기 편성종료 구간에서 소비되는 편사의 양을 편성속도에 따라 가감속 제어하면서, 상기 편사 이송기구에 의한 편사의 이송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퍼 기구는,
선단측이 상기 편사의 공급경로에 접하여 편사를 결합하고, 기단측을 중심으로 회전변위 가능하고, 선단측이 일방으로 회전변위 할 때에 편사를 공급경로로부터 부분적으로 당기고, 선단측이 타방으로 회전변위 할 때에 편사를 공급경로로 되돌리는 버퍼 로드와,
버퍼 로드의 선단측을 가압하여, 미리 정해진 편사 장력 하에서는 미리 정해진 길이 만큼만 편사를 공급경로로부터 인출하게 하는 스프링과,
버퍼 로드의 회전변위 상태를, 편사가 상기 미리 정해진 길이 만큼만 공급경로로부터 인출될 때의 선단측의 위치인 원점을 기준으로 하여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버퍼 로드의 회전변위의 범위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가 되도록, 상기 편사 이송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편성포의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급사부재의 이동에 따라 편침별로 편성되는 스티치 루프 길이의 이론치를 산출하고, 상기 이론치에 의거하여 상기 편사의 공급속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하나의 예인 횡편기31의 급사장치36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는, 도1의 캐리지41이 편사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편성포32의 편성을 시작하는 편성시작에서, 버퍼 로드37의 급격한 동작을 억제하는 제어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도1의 캐리지41이 급사장치3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측의 끝으로부터 접근하는, 즉 편사가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편성포32의 편성을 시작하는 편성시작에서, 버퍼 로드37의 흡수동작을 억제하는 제어의 개념을 나 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도1의 편성포32를 편성할 때에, 편성시작과 편성종료에서 급사 컨트롤러43에 설정되는 편사 이송의 가감속 제어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전후에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에서 전후의 편성포32f, 32b를 폭방향의 양단에서 연결하여 통모양의 편성포32w를 편성할 때의 제어에 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도1의 급사장치36에 관한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의 다른 형태로서의 급사장치66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은, 선행기술의 급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A 및 도9B는, 도8의 급사장치로 필요편사 이송모드를 실현시키는 제어의 기본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하나의 예로서 횡편기의 급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횡편기31은, 편성포32를 편성하기 위하여 급사부재33의 급사구33A로부터 편사34를 편침에 공급한다. 횡편기31의 사이드 커버(side cover)35 등에는 급사구33A에 편사34를 공급하는 급사장치36이 설치된다. 급사장치36은, 편사34의 장력의 변동을 억제하고 또한 수요량에 따른 적절한 길이로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급사장치36에는 버퍼 로드37이 구비된다. 버퍼 로드37은 기단측38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변위 가능하고, 선단측39가 사이드 커버35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프링 가압되어 편사34의 장력에 의거하는 인장력에 맞는 각도까지 경사진다. 편사34의 장력이 커지게 되면, 스프링 가압에 저항하여 버퍼 로드37을 사이드 커버35의 표면으로 접근시킴으로써 이 회전범위에 대응하는 길이의 편사34를 급사구33A 측에 공급할 수 있다.
횡편기31에서는, 편성포32를 편성하기 위한 니들베드40이 직선 모양으로 설치되어, 니들베드40을 따라 캐리지41이 왕복이동 한다. 니들베드40에는 다수의 편침이 캐리지41의 이동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된다. 캐리지41에는 편성캠(編成cam)이 탑재되어, 편침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편성동작을 하게 할 수 있다. 캐리지41은, 니들베드40의 편침의 편성동작과 급사부재33의 이동을 실행하여 편성포32를 편성한다. 자동화되어 있는 횡편기31에서는 편성 컨트롤러42가 설치되어, 미리 주어진 편성 데이터에 따라 편성포32의 편성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급사장치36에서는, 편성 데이터에 따라 편침별로 편사34의 수요량이 산출되어, 수요량에 따라 편사34가 이송되도록 급사 컨트롤러 43을 설치한다. 급사 컨트롤러43에 의한 제어는, 필요편사 이송모드(necessary yarn feeding mode)와, 로드 각도 일정 이송모드(constant rod angle feeding mode)와, 인레이 이송모드(inlay feeding mode)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를, 캐리지41과 편성포32의 상대적인 위치관계 등에 의거하여 변환한다. 필요편사 이송모드에서는,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편침의 편성동작을 따라서 편성포32를 편성하는 데에 필요한 편사34의 길이를 미리 산출하면서, 산출되는 길이 만큼의 편사34를 급사부재33으로 이송한다. 로드 각도 일정 이송모드에서는, 버퍼 로드37의 선단측39가 미리 설정된 경사각도, 예를 들면 50도가 되는 원점위치(原點位置)를 유지하도록 편사34를 이송한다. 인레이 이송모드에서는, 편침1 별로 필요한 편사의 양을 급사부재33의 이동에 동기(同期)하여 공급한다. 또, 필요편사 이송모드에서의 편사34의 수요량은, 편성에 앞서 미리 산출해 둘 수도 있다. 또한 도9A 및 도9B의 시간t0에서부터 t1까지의 2V구간에서의 편사 이송도 기본적으로는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버퍼 로드37의 로드 각도가 100도일 때에는 편사34의 저장량이 최대가 된다. 회전변위의 각도가 0도일 때에는 편사의 저장량이 최소가 된다. 횡편기31에서 생산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캐리지41의 이동속도를 높이면, 편사34의 공급도 고속으로 할 필요가 있다. 버퍼 로드37의 선단부39로부터 편사34가 고속으로 인출되면, 편사34와 스프링 가압의 힘의 균형에 대하여, 선단부39에서의 마찰력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게 된다. 이 결과, 버퍼 로 드37의 로드 각도가 동일하여도 편사속도가 빠르게 되면 장력도 크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편사34를 급사부재33 측으로 당기는 편사속도의 증대가 급격하게 이루어질 때에는, 버퍼 로드37이 급격하게 로드 각도가 감소하는 쪽으로 회전변위 하고, 관성에 의하여 오버슈트가 발생한다. 오버슈트가 발생하면 편사34의 소비의 증대 이상으로 편사가 공급되어버려 장력이 저하되어 버린다. 편사34에 부하를 걸지 않고 편성을 할 수 있도록 버퍼 로드37에 대한 스프링의 가압력(탄성력)을 작게 설정하고 있는 경우에, 편사속도의 급격한 변화에 의하여 버퍼 로드37이 급격한 회전변위를 발생하기 쉬워져버린다.
도2는, 도1의 캐리지41이 편사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편성포32의 편성을 시작하는 편성시작에서, 버퍼 로드37의 급격한 동작을 억제하는 제어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편성 컨트롤러42는 캐리지41을 제어하여,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간txa에서부터 급사부재33a를 연동하여 급사장치36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이동을 시작시킨다. 시간txa에서의 급사부재33a는, 편성포32의 끝보다 급사장치36에 접근하여 위치하고 있다. 급사장치36으로부터 편성포32의 끝에 걸쳐지는 편사34는, 급사장치36과 급사부재33a의 사이 부분과, 급사부재33a로부터 편성포32의 끝까지의 사이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급사부재33a로부터 편성포32의 끝까지의 사이의 부분을 편사34a라고 한다.
캐리지에는 편침에 편성동작을 하게 하는 캠기구(cam機構)가 탑재되 어, 급사부재33에 의한 편침에 대한 편사34의 공급은, 캠기구에 포함되는 니들 레이징캠(needle raising cam)의 전반부에 의하여 편침이 니들베드갭으로 진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니들베드갭에 진출한 편침은, 니들 레이징캠의 후반부와 스티치캠에 의하여 니들베드 측으로 하강된다. 이 하강에서 편사34는 니들베드 측으로 당겨져 편사34가 편성포32를 구성하는 스티치로서 소비된다. 스티치캠과 급사부재는 일정한 위치관계에 있다. 즉 시간txa에서는 급사부재33a에 대하여 스티치캠44a로 나타내는 위치관계에 있다. 캐리지의 이동에 연동되어 도2에 급사부재33b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포32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시간txb 이후에 편침에 대한 편사의 공급이 시작된다. 다만 시간txb에서도, 도2에 스티치캠44b로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티치캠의 위치는 편성포32의 끝으로부터는 떨어져 있어 편침의 하강은 시작되지 않는다. 급사부재33b로부터 편성포32의 끝까지의 편사의 길이는 얼마 안되어서, 급사부재33a로서의 위치로부터 급사부재33b로서의 위치까지의 편사를 34b라고 하면, 편사34a와 편사34b는 대략 동일하다.
시간txb에서부터 도9A 및 도9B의 시간t0에서부터의 2V구간이 시작된다. 편사로서, 급사부재33b로서의 위치로부터 이동 후의 위치까지의 길이의 2배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시간txb에서부터의 편사 수요의 발생에 의하여 버퍼 로드37이 급격하게 회전변위 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오버슈트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사장치36에서의 편사34의 공급을, 시간txb 직전인 시간txx에서부터 시작시킨다. 시간txx에서부터 편사34를 선 행하여 공급하지만, 시간txb까지 이송되는 편사34의 길이는 수mm 정도이다. 이 편사34의 선행 공급에 의하여 편사34는 약간 느슨해지기 때문에 장력은 저하된다. 여기에서 수mm 정도의 극히 짧은 편사34를 시간txb 직전에 선행하여 공급하여도, 버퍼 로드37의 관성에 의하여 회전변위는 이루어지지 않아 로드 각도에는 변화를 생기게 하지 않는다. 이하, 사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2V구간에서의 편사공급이 이루어진다. 실제의 2V구간의 시작에서 편사34의 수요가 발생하여도, 선행하여 발생하고 있는 느슨해짐에 의하여 흡수되어 버퍼 로드37의 로드 각도에는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시간txc에서는, 급사부재33c로서 나타내는 위치에 대응하는 스티치캠44c의 위치에 의하여 편성포32의 끝을 편성하는 편침을 니들베드로 하강시킨다. 시간txb에서부터 시간txc까지의 사이에는, 급사부재33b로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급사부재33c로서 나타내는 위치까지의 편사34c1과, 급사부재33c로부터 편성포32의 끝까지의 편사34c2를 공급할 필요가 있고, 이 공급은, 사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2V구간에서 이루어진다. 또, 급사부재33c로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스티치캠44z로서 나타내는 위치에 대응하는 급사부재33z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편성포32의 편성폭에 대응하고 있다.
즉 제어수단인 급사 컨트롤러43은, 서보모터 등의 급사기구에 대하여 급사부재33의 이동방향이 편사34의 공급경로가 연장되는, 즉 편사가 풀어지는 방향의 편성에서의 제어를 한다. 급사부재33이 편성포32의 편성폭의 끝 으로부터 편사34의 공급을 시작하는 편성시작 구간에서는, 편성단에서부터의 편성에 의하여 편사34가 소비될 때까지 급사부재33의 이동에 의하여 인출되는 길이의 편사34를, 버퍼 로드37 등의 버퍼 기구에 저장된 편사34가 인출되기 직전부터 급사부재33의 이동속도에 따라 버퍼 로드37에 이송하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계속되는 편성에서는, 편사34가 소비되기 직전부터 편성시작 구간에서 소비되는 편사의 양을 편성속도에 따라 공급하도록 서보모터가 가감속 제어된다. 편사가 풀어지는 방향의 편성의 편성시작에서 버퍼 로드37 등의 버퍼 기구로부터 편사34가 급격하게 인출되기 전에 버퍼 로드37에 편사34를 미리 이송하여, 버퍼 로드37에서의 급격한 동작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다. 버퍼 로드37에서의 급격한 동작변화가 완화되므로, 버퍼 로드37의 동작에 의한 관성의 영향을 억제하여 편사34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계속되는 편성에서는, 편사34가 소비되기 직전부터 편성시작 구간에서 소비되는 편사의 양을 편성속도에 따라 가감속 제어하기 때문에, 버퍼 로드37의 로드 각도 등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3은, 도1의 캐리지41이 급사장치3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측의 끝으로부터 접근하는, 편사가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편성포32의 편성을 시작하는 편성시작에서, 버퍼 로드37의 흡수동작을 억제하는 제어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급사장치36의 위치를 도2와는 반대로 나타낸다. 편성 컨트롤러42는 캐리지41을 제어하여, 시간tya에서 급사부재33a로서의 위치로부터 급사장치36을 향하는 방향의 이동을 시작시킨다. 시간tyb에서 급 사부재33b로서 나타내는 편성포32의 끝에 도달할 때까지는 편사34의 소비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급사부재33a의 위치로부터 급사부재33b의 위치까지 급사장치36에 접근하는 이동에서, 급사장치36으로부터 공급이 끝난 편사34가 급사장치36 측으로 되돌아가는 이동이 발생한다. 즉 급사부재33a의 위치와 급사부재33b의 위치 사이의 편사34a1과, 급사부재33a와 편성포32의 끝과의 사이의 편사34a2의 합의 길이의 편사34가 남아 급사장치36으로 되돌리게 된다.
이러한 편사34의 되돌리기는, 급사 컨트롤러43이 급사장치36의 서보모터를 역방향으로 제어하여 사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사의 되돌림을 하여 흡수한다. 다만 되돌리기가 시간tya에서 시작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버퍼 로드37은 언더슈트와 오버슈트를 발생시켜 편사34의 공급제어가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시간tya에 앞서서 시간tyy에서부터 수mm 정도의 편사34를 버퍼 로드37로부터 급사방향 상류 측으로 되돌림으로써 편사34를 약간 당겨 편성시작에서의 버퍼 로드37의 급격한 동작을 피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mm 정도의 극히 짧은 편사34를 시간tya의 직전에 선행하여 되돌려도, 버퍼 로드37의 관성에 의하여 회전변위는 이루어지지 않아 로드 각도에는 변화를 생기게 하지 않는다. 급사부재33b의 위치로부터 급사부재33c의 위치까지는, 이 사이의 편사34b와, 급사부재33c와 편성포32의 끝과의 사이의 편사34c는 대략 같으므로 편사34의 공급의 필요는 없다. 급사부재33c의 위치에 대응하는 스티치캠44c가 편성포32의 끝의 편침에 작용하여 하강시키 게 되는 시간tyc 이후는, 편성포32의 편성에 따른 편사34의 소비가 시작되므로 소비량에  따라 편사34를 공급한다.
즉 급사 컨트롤러43에 의한 서보모터의 제어에 의하여 급사부재33의 이동방향이 편사34의 공급경로가 단축되는, 즉 편사가 되돌아가는 방향의 편성에서의 편사34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급사부재33이 편성포32의 편성폭의 끝으로부터 편사34의 공급을 시작하는 편성시작 구간에서는, 급사부재33이 이동을 시작하고 나서부터 편성단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한다. 급사부재33이 이동을 시작하기 직전부터, 급사부재33의 이동속도에 따라 버퍼 로드37에 저장되어 있는 편사34가 되돌려진다. 급사부재33이 편사가 되돌아가는 방향의 편성의 이동을 시작하여 편사34의 공급경로의 단축이 시작되어도 버퍼 로드37의 되돌림이 시작되고 있으므로, 버퍼 로드37로부터 급사부재33까지의 공급경로에서의 편사34의 느슨해짐를 억제하여 버퍼 로드37에서의 급격한 동작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다. 버퍼 로드37에서의 급격한 동작변화가 완화되므로, 버퍼 로드37의 동작에 의한 관성의 영향을 억제하여 편사34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계속되는 편성에서는, 편사34가 소비되기 직전부터 편성시작 구간에서 소비되는 편사의 양을 편성속도에 따라 가감속 제어하기 때문에 버퍼 로드37의 로드 각도 등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4는, 편성포32를 편성할 때에 편성시작과 편성종료에서 급사 컨트롤러43에 설정하는 편사 이송의 가감속 제어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편성시작과 편성종료에서는 편사34의 이송속도의 변화가 있고, 그 가감속에 의하여 버퍼 로드37의 급격한 동작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거기에서, 편성시작에서는 예를 들면 A(ms)에서부터 B(ms)의 범위에서, 편성종료에서는 예를 들면 C(ms)에서부터 D(ms)의 범위에서, 각각 가감속 제어를 하는 시간폭을 설정 가능하게 하여 둔다. 설정시간이 길어지면 편사속도의 경사가 급하지 않아 버퍼 로드37의 급격한 동작을 피할 수 있다. 다만 버퍼 로드37의 회전변위는 발생하여 편사34의 장력도 변동한다. 그러나 이 변동은, 버퍼 로드37이 급격하게 흔들려 오버슈트가 발생하는 것 같은 경우의 변동에 비하면 작은 범위로 억제할 수 있다.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편사가 풀어지는 방향의 편성에서도,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편사가 되돌아가는 방향의 편성에서도, 편성종료의 편성에서는 동일하게 가감속 제어를 한다. 즉 급사 컨트롤러43에 의하여 급사부재33이 편성포32의 편성폭의 끝으로부터 빠져 나가는 코스의 편성종료 구간에서는, 그 편성종료 구간에서 소비되는 편사의 양을 편성속도에 따라 가감속 제어하면서, 서보모터에 의하여 편사 이송기구에 의한 편사34의 이송이 이루어지므로, 버퍼 로드37에서의 급격한 동작변화를 피할 수 있다.
도5는, 전후에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에서, 전후의 편성포32f, 32b를 폭방향의 양단에서 연결하여 통모양의 편성포32w를 편성할 때의 제어에 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급사장치36이 도면의 좌측에 설치되고, 앞쪽 몸통 등의 편성포32f는 급사부재33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편성에 의하여 편성을 하고, 뒤쪽 몸통 등의 편성포32b는 급사부재33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편성에 의하여 편성을 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서 (1)로서 나타내는 뒤쪽의 편성포32b의 편성시작 시에는 편사가 풀어지는 방향의 편성시작으로서,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선행적인 이송과 도4에 나타내는 가감속 제어를 한다. 도면에서 (2)로서 나타내는 뒤쪽의 편성포32b의 편성종료 시에는, 도4에 나타내는 가감속 제어에 의하여 편성종료 측의 제어를 한다. 도면에서 (3)으로서 나타내는 앞측의 편성포32f의 편성시작 시에는 편사가 되돌아가는 방향의 편성시작으로서,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되돌림과 도4에 나타내는 가감속 제어를 한다. 도면에서 (4)로서 나타내는 앞측의 편성포32f의 편성종료 시에는, 도4에 나타내는 가감속 제어에 의하여 편성종료 측의 제어를 한다.
도6은, 급사장치36에 관한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버퍼 로드37에 편사34를 공급하기 위하여 주롤러50 및 종롤러51이 설치된다. 주롤러50은 서보모터52의 회전축 상에 장착된다. 종롤러51에는 복수의 기어가 조합되어 구성되는 종동기구53을 통하여 서보모터52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주롤러50과 종롤러51은, 편사3을 협지하도록 배치된다. 종동기구53에 의하여 종롤러51은 주롤러50과 동일한 원주속도로 회전구동 된다. 주롤러50, 종롤러51, 서보모터52 및 종동기구53은, 도1의 사이드 커버35에 프레임54에 의하여 부착된다. 주롤러50의 지름은 작고 또한 종롤러51은 주롤러5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급사장치36은 비교적 좁은 폭으로 구성 할 수 있으므로 사이드 커버35에 복수의 급사장치36을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편사34는, 프레임54의 상방으로부터 공급되어 주롤러50의 외주면에 접촉하면서, 종롤러51이 주롤러50과 대향하고 있는 부분으로 유도된다. 주롤러50의 외주면과 종롤러51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틈)이 있는데, 그 간격(틈)을 편사34가 지난다. 편사34는, 계속하여 중계 롤러55로 유도되어 방향이 변경되고 버퍼 로드37의 선단측39로 당겨진다. 버퍼 로드37의 기단측38에는 선단측39가 사이드 커버35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하는 스프링56이 내장되어 있다. 스프링56에 의하여 버퍼 로드37은, 편사34의 장력이 클 때에는 경사각이 작아지고, 편사34의 장력이 작을 때에는 경사각이 커지게 되도록 회전변위 한다. 버퍼 로드37의 경사각은, 기단측38에 설치되는 경사각 센서57에 의하여 검출된다. 버퍼 로드37의 경사각도는, 예를 들면 0도~100도의 범위에서 변화 가능하다.
즉 버퍼 로드37은, 버퍼 로드37의 경사각도인 로드 각도가 0도로부터 100도까지의 범위에서 회전변위 가능하다. 중간의 로드 각도일 때에, 예를 들면 50도의 위치를 로드 원점위치로 한다. 로드 원점위치에 대하여 로드 각도가 작아지면, 버퍼 로드37에는 저장된 어느 정도의 길이의 편사34를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로드 원점위치에 대하여 로드 각도가 커지게 되면, 버퍼 로드37은 어떤 정도의 길이까지의 편사34를 끌어당길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편사34의 수요가 적어지면 편사34의 장력이 감소하 여 스프링 가압력(탄성력)에 의하여 버퍼 로드37을 사이드 커버35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함으로써 로드 각도가 커지므로 여분의 편사34를 흡수하여 즉 끌어당겨 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버퍼 로드37의 회전변위 만으로는 횡편기31에서 편성포32를 고속으로 편성할 때에 발생하는 편사34의 수요량의 급격한 변동에 대처할 수는 없다. 본 실시예의 급사장치36에서는 필요편사 이송모드를 사용하여, 편사34의 수요량의 변동을 미리 예측하여 버퍼 로드37의 경사각의 변동을 억제함으로써 편사34의 편사 장력의 변동을 억제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편성시작과 편성종료에서의 급격한 버퍼 로드37의 변동을 억제하여 편사34의 급격한 장력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의 다른 형태로서의 급사장치66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구성에서, 도6의 급사장치36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급사장치66에서는, 주롤러50의 급사방향 상류 측에 되돌리기 암67을 설치하고, 그 기단측에 스텝핑 모터68을 설치한다. 도1의 급사 컨트롤러43에 의하여 스텝핑 모터68을 구동하는 제어를 함으로써, 편사가 되돌아가는 방향의 편성시작에서 서보모터52를 역회전 시켜서, 편사34를 되돌려도 편사34를 흡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횡편기31의 급사장치36, 66은,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편성동작을 하는 편침에, 급사부재33을 니들베드4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 시키면서, 니들베드40의 양단의 어느 일방으로부터 급사부재33을 통하여 편사34를 공급한다. 편사34의 공급경로에는 미리 정해진 길이의 범위에서 편사34를 저장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편침의 편성동작에 따른 편사34의 급격한 수요의 변화를 완화시키는 버퍼 기구로서의 버퍼 로드37이 설치된다. 편사34의 공급경로에서 버퍼 기구의 급사방향 상류 측에는 편사34를 버퍼 기구로 이송하는 편사 이송기구로서의 주롤러50 및 종롤러51 등이 설치된다. 편사 이송기구에 의한 편사34의 이송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인 급사 컨트롤러43은, 급사부재33이 편침에 편사34의 공급을 시작하기 이전에는, 이동의 방향이 공급경로를 연장하는 방향인가 단축하는 방향인가에 따라, 연장하는 방향에서는 편사34의 버퍼 기구에 편사34를 미리 이송하고, 단축하는 방향에서는 버퍼 기구에 저장되어 있는 편사34를 되돌리는 제어를 하므로, 편사34의 공급경로에 설치하는 버퍼 기구에 의한 관성의 영향을 억제하여 편사34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급사부재33이 편침에 편사를 공급하면서 이동하고 있는 사이에는, 편사34의 공급속도에 따라 편사 이송기구에 의한 편사34의 이송을 가감속 제어하기 때문에 버퍼 기구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버퍼 기구는, 버퍼 로드37과, 스프링56과, 경사각 센서57을 포함한다. 버퍼 로드37은, 선단측39가 편사34의 공급경로에 접하여 편사34를 결합하고, 기단측38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변위 가능하다. 선단측39가 일방으로 회전변위 할 때에 편사34를 공급경로로부터 부분적으로 인출하여 편사34를 저장할 수 있다. 선단측39가 타방으로 회전변위 할 때에 편사34를 공급경로로 되돌리므로, 저장된 편사34를 공급경로에 인출할 수 있다. 스프링56은, 버퍼 로드37의 선단측39를 가압하여 미리 정해진 편사 장력 하에서는 미리 정해진 길이 만큼 편사34를 공급경로로부터 인출하게 하므로, 편사34에 장력을 걸어 느슨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경사각 센서57은, 버퍼 로드37의 회전변위 상태를, 편사34가 미리 정해진 길이 만큼 공급경로로부터 인출될 때의 선단측39의 위치인 원점을 기준으로 하여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버퍼 로드37의 회전변위의 상태를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감지할 수 있다. 제어수단인 급사 컨트롤러43은, 경사각 센서5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버퍼 로드37의 회전변위의 범위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가 되도록, 편사 이송기구를 제어하기 때문에 편사34의 장력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어수단으로서의 급사 컨트롤러34는, 편성포32의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패턴을 분석하고, 급사부재33의 이동에 따라 편침 별로 편성되는 스티치 루프 길이의 이론치를 산출하고, 이론치에 의거하여 편사34의 공급속도를 산출하기 때문에 버퍼 기구의 동작을 적절하게 예측하여 변동을 억제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개념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 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조금도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급사부재의 이동방향이 편사의 공급경로가 연장되는, 즉 편사가 풀어지는 방향의 편성에서 급사부재가 편성포의 편성폭의 끝으로부터 편사의 공급을 시작하는 편성시작 구간에서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제어수단은, 급사기구를 제어하여 편성단으로부터의 편성에서 편사가 소비될 때까지, 급사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인출되는 길이의 편사를, 버퍼 기구에 저장된 편사가 인출되기 직전부터 급사부재의 이동속도에 따라 버퍼 기구로 이송시킨다. 제어수단은, 계속되는 편성에서, 편사가 소비되기 직전부터 편성시작 구간에서 소비되는 편사의 양을 공급하도록, 급사기구를 편성속도에 따라 가감속 제어한다. 편사가 풀어지는 방향의 편성의 편성시작에서, 버퍼 기구로부터 편사가 급격하게 인출되기 전에 버퍼 기구에 편사를 미리 이송하여 버퍼 기구에서의 급격한 동작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다. 버퍼 기구에서의 급격한 동작변화가 완화되므로, 버퍼 기구의 구성에서 편사를 저장하는 부분의 동작에 의한 관성의 영향을 억제하여 편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계속되는 편성에서는, 편사가 소비되기 직전부터 편성시작 구간에서 소비되는 편사의 양을 편성속도에 따라 가감속 제어하기 때문에 버퍼 기구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급사부재의 이동방향이 편사의 공급경로가 단축되는, 즉 편사가 되돌아가는 방향의 편성에서, 급사부재가 편성포의 편성폭의 끝으로부터 편사의 공급을 시작하는 편성시작 구간에서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제어수단은, 급사기구를 제어하여 급사부재가 이동을 시작하고 나서부터 편성단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하는 길이의 편사를, 급사부재가 이동을 시작하기 직전부터 급사부재의 이동속도에 따라 버퍼 기구에 저장되어 있는 편사를 되돌린다. 급사부재가 편사가 되돌아가는 방향의 편성의 이동을 시작하여 편사의 공급경로의 단축이 시작되어도, 버퍼 기구의 되돌림이 시작되고 있으므로, 버퍼 기구로부터 급사부재까지의 공급경로에서의 편사의 느슨해짐을 억제하여 버퍼 기구에서의 급격한 동작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다. 버퍼 기구에서의 급격한 동작변화가 완화되므로, 버퍼 기구의 구성에서 편사를 저장하는 부분의 동작에 의한 관성의 영향을 억제하여 편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계속되는 편성에서는, 편사가 소비되기 직전부터 편성시작 구간에서 소비되는 편사의 양을 편성속도에 따라 가감속 제어하기 때문에 버퍼 기구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수단에 의하여 급사부재가 편성포의 편성폭의 끝으로부터 빠져 나가는 코스의 편성종료 구간에서는, 그 편성종료 구간에서 소비되는 편사의 양을 편성속도에 따라 가감속 제어하면서 편사 이송기구에 의한 편사의 이송이 이루어지므로, 버퍼 기구에서의 급격한 동작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버퍼 로드의 선단측이 편사의 공급경로에 접하여 편사를 결합하고, 선단측이 일방으로 회전변위 할 때에 편사를 공급경로로부터 부분적으로 인출하여 편사를 저장할 수 있다. 버퍼 로드의 선단측이 타방으로 회전변위 할 때에 편사를 공급경로에 되돌리므로, 저장한 편사를 공급경로로 인출할 수 있다. 스프링은 편사에 장력을 걸어서 느슨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버퍼 로드의 회전변위 상태는 센서에 의하여 감지하고, 제어수단은, 버퍼 로드의 회전변위의 범위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가 되도록, 편사 이송기구를 제어하여 편사의 장력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수단은, 편성포의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패턴을 분석하고, 급사부재의 이동에 따라 편침 별로 편성되는 스티치 루프 길이의 이론치를 산출하고, 이론치에 의거하여 편사의 공급속도를 산출하기 때문에 버퍼 기구의 동작을 적절하게 예측하여 변동을 억제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Claims (5)

  1. 편성 데이터에(編成data) 의거하여 편성동작(編成動作)을 하는 편침(編針)에, 급사부재(給絲部材)를 니들베드(needle bed)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往復移動) 시키면서 니들베드의 양단(兩端)의 어느 일방으로부터 급사부재를 통하여 편사(編絲)를 공급하는 횡편기(橫編機)의 급사장치(給絲裝置)에 있어서,
    편사의 공급경로(供給經路)에 설치되고, 미리 정해진 길이의 범위에서 편사를 저장(貯藏) 또는 인출(引出) 가능하게, 편침의 편성동작(編成動作)에 따른 편사의 급격(急激)한 수요(需要)의 변화(變化)를 완화(緩和)시키는 버퍼 기구(buffer 機構)와,
    편사의 공급경로에서 버퍼 기구의 급사방향(給絲方向) 상류(上流) 측에 설치되고, 편사를 버퍼 기구로 이송(移送)하는 편사 이송기구(編絲移送機構)와,
    편사 이송기구에 의한 편사의 이송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
    버퍼 기구에서의 급격한 동작변화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편사가 풀어지는 방향의 편성의 편성시작 구간에서는, 편성단으로부터의 편성에서 편사가 소비될 때까지, 급사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인출되는 길이의 편사를, 버퍼 기구에 저장된 편사가 인출되기 직전부터 급사부재의 이동속도에 따라 버퍼 기구로 이송하고, 계속되는 편성에서 편사가 소비되기 직전부터 편성 시작 구간에서 소비되는 편사의 양을 편성속도에 따라 가감속(加減速) 제어하여 편사 이송기구에 의한 편사의 이송을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
  2.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편성동작을 하는 편침에, 급사부재를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 시키면서, 니들베드의 양단의 어느 일방으로부터 급사부재를 통하여 편사를 공급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에 있어서,
    편사의 공급경로에 설치되고, 미리 정해진 길이의 범위에서 편사를 저장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편침의 편성동작에 따른 편사의 급격한 수요의 변화를 완화시키는 버퍼 기구와,
    편사의 공급경로에서 버퍼 기구의 급사방향 상류 측에 설치되고, 버퍼 기구에 대한 편사의 이송 및 버퍼 기구로부터의 편사의 되돌림이 가능한 편사 이송기구와,
    편사 이송기구에 의한 편사의 이송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
    버퍼 기구에서의 급격한 동작변화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편사가 되돌아가는 방향의 편성의 편성시작 구간에서는, 급사부재가 이동을 시작하고 나서부터 편성단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하는 길이의 편사를, 급사부재가 이동을 시작하기 직전부터 급사부재의 이동속도에 따라 버퍼 기구에 저장되어 있는 편사를 되돌린 후에, 편성에서 편사가 소비되기 직전부터 편성시작 구간에서 소비되는 편사의 양을 편성속도에 따라 가감속 제어하여, 편사 이송기구에 의한 편사의 이송을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버퍼 기구에서의 급격한 동작변화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편성종료 구간에서는 상기 편성종료 구간에서 소비되는 편사의 양을 편성속도에 따라 가감속 제어하면서, 상기 편사 이송기구에 의한 편사의 이송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기구는, 선단측이 상기 편사의 공급경로에 접하여 편사를 결합하고, 기단측을 중심으로 회전변위 가능하고, 선단측이 일방으로 회전변위 할 때에 편사를 공급경로로부터 부분적으로 인출하고, 선단측이 타방으로 회전변위 할 때에 편사를 공급경로로 되돌리는 버퍼 로드와,
    버퍼 로드의 선단측을 가압하여 미리 정해진 편사 장력 하에서는 미리 정해진 길이 만큼만 편사를 공급경로로부터 인출하게 하는 스프링과,
    버퍼 로드의 회전변위 상태를, 편사가 상기 미리 정해진 길이 만큼 공급경로로부터 인출될 때의 선단측의 위치인 원점(原點)을 기준으로 하여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버퍼 로드의 회전변위의 범위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가 되도록, 상기 편사 이송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편성포의 편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급사부재의 이동에 따라 편침 별로 편성되는 스티치 루프 길이의 이론치를 산출하고, 상기 이론치에 의거하여 상기 편사의 공급속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
KR1020077014475A 2004-12-16 2005-12-12 횡편기의 급사장치 KR101201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65001A JP4336303B2 (ja) 2004-12-16 2004-12-16 横編機の給糸装置
JPJP-P-2004-00365001 2004-12-16
PCT/JP2005/022781 WO2006064767A1 (ja) 2004-12-16 2005-12-12 横編機の給糸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713A KR20070089713A (ko) 2007-08-31
KR101201243B1 true KR101201243B1 (ko) 2012-11-14

Family

ID=36587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475A KR101201243B1 (ko) 2004-12-16 2005-12-12 횡편기의 급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93188B2 (ko)
EP (1) EP1837427B1 (ko)
JP (1) JP4336303B2 (ko)
KR (1) KR101201243B1 (ko)
CN (1) CN101233270B (ko)
WO (1) WO20060647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27661C (zh) * 2006-09-22 2008-10-22 江苏雪亮电器机械有限公司 送纱器
JP4943803B2 (ja) 2006-10-12 2012-05-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機での張力設定方法および編機
JP4943932B2 (ja) * 2007-04-27 2012-05-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弾性糸の給糸機能を備える編機
JP5330371B2 (ja) * 2008-03-07 2013-10-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弾性糸使用の編地編成装置および方法
JP5963393B2 (ja) * 2008-08-22 2016-08-0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EP2204481B1 (en) * 2008-12-30 2013-07-10 L.G.L. Electronics S.p.A. Positive yarn feeder with tension limiter
EP2441868B1 (en) 2009-06-09 2015-10-21 Shima Seiki Mfg. Ltd. Yarn feeding device and yarn feeding method for knitting machine
WO2010143499A1 (ja) * 2009-06-09 2010-12-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機
EP2415916B1 (en) * 2010-08-04 2015-03-04 L.G.L. Electronics S.p.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ccidental stops of the yarn on a knitting line
EP2557212A1 (en) * 2011-08-08 2013-02-13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Directly driven auxiliary yarn guide apparatus for flat knitting machines
CN102926124A (zh) * 2011-08-10 2013-02-13 佰龙机械厂股份有限公司 横编机直驱式辅助导纱机构
ITUA20163183A1 (it) * 2016-05-05 2017-11-05 Btsr Int Spa Metodo per il monitoraggio e controllo dell’alimentazione di un filo ad un macchina tessile e relativo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CN111780701B (zh) * 2020-07-27 2021-11-26 赣州德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位移传感器钢丝绳垂直出线装置
CN112340529B (zh) * 2020-10-16 2022-11-08 江阴宝能精密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位移传感器钢丝绳垂直出线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2044A (en) 1986-08-16 1988-06-21 Gustav Memminger Yarn supply apparatus with electronic yarn tension control, particularly for knitting machines having rapidly varying yarn supply requirements
US6010052A (en) 1995-10-06 2000-01-04 Memminger-Iro Gmbh Yarn supply apparatus with electronic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32402A1 (de) 1990-10-12 1992-04-16 Menninger Iro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fadensteuerung bei maschenbildenden textilmaschinen
DE19801643A1 (de) * 1998-01-17 1999-07-22 Stoll & Co 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stricks auf einer Flachstrickmaschine
DE10032705B4 (de) * 2000-07-05 2006-11-16 Memminger-Iro Gmbh Fadenliefereinrichtung für Textilmaschinen
JP3603031B2 (ja) * 2001-01-31 2004-12-1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給糸装置
WO2004009894A1 (ja) 2002-07-24 2004-01-29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横編機の給糸装置
WO2004094712A1 (ja) * 2003-04-18 2004-11-04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弾性糸使用の編成方法および装置
JP4015984B2 (ja) 2003-10-17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糸供給装置
JP4366288B2 (ja) * 2004-10-19 2009-11-1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機と編機での糸加工方法、並びに編機での糸加工制御装置とそのプログラム
ITTO20050469A1 (it) * 2005-07-07 2007-01-08 L G L Elecrtronics S P A Dispositivo di recupero del filato per macchine tessili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2044A (en) 1986-08-16 1988-06-21 Gustav Memminger Yarn supply apparatus with electronic yarn tension control, particularly for knitting machines having rapidly varying yarn supply requirements
US6010052A (en) 1995-10-06 2000-01-04 Memminger-Iro Gmbh Yarn supply apparatus with electronic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69675A (ja) 2006-06-29
WO2006064767A1 (ja) 2006-06-22
EP1837427B1 (en) 2014-04-16
KR20070089713A (ko) 2007-08-31
CN101233270A (zh) 2008-07-30
CN101233270B (zh) 2012-07-18
JP4336303B2 (ja) 2009-09-30
EP1837427A4 (en) 2009-11-25
US7493188B2 (en) 2009-02-17
EP1837427A1 (en) 2007-09-26
US20080148782A1 (en)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243B1 (ko) 횡편기의 급사장치
JP3603031B2 (ja) 給糸装置
KR100955809B1 (ko) 횡편기의 급사장치
KR101025746B1 (ko) 횡편기의 편사공급 장치
EP2336411B1 (en) Flat knitting machine
JP6953452B2 (ja) 織り糸供給装置、織り糸供給装置のコントロール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プロダクト
CN104032472A (zh) 横机和横机中的编织方法
CN109518352B (zh) 用于对经编机进行准备的方法和经编机
KR20080033121A (ko) 편성기에서의 장력설정방법 및 편성기
EP2441868B1 (en) Yarn feeding device and yarn feeding method for knitting machine
CN110029413A (zh) 控制用于补偿纱线的速度差异的补偿器的方法和装置
CN111719232B (zh) 经编机和用于经编机的织物牵拉装置
JPH06272141A (ja) 編み地制御装置
CN212533325U (zh) 一种经编机送经装置以及经编机
CN111793894A (zh) 一种经编机送经装置以及经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