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024B1 - 도계장치의 탈모기 - Google Patents

도계장치의 탈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024B1
KR101201024B1 KR1020100021903A KR20100021903A KR101201024B1 KR 101201024 B1 KR101201024 B1 KR 101201024B1 KR 1020100021903 A KR1020100021903 A KR 1020100021903A KR 20100021903 A KR20100021903 A KR 20100021903A KR 101201024 B1 KR101201024 B1 KR 101201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housing
pin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2739A (ko
Inventor
김선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진
Priority to KR1020100021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024B1/ko
Publication of KR20110102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2Plucking mechanism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46Support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계장치의 탈모기에 관한 것으로서,
폭조정장치에 의해서 좌측 프레임(10, 11)과 우측 프레임(8, 9)간의 폭을 일괄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기어박스(30, 31, 32, 33, 34, 35, 36, 37)에 의해서 각각의 프레임(8,9,10,11)의 좌우 폭과, 상하 위치 및 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도계장치의 탈모기{PLUCKING DEVICE FOR CHICKEN}
본 발명은 닭을 식품으로 가공 처리하는 도계장의 도계(屠鷄)장치에 있어서 닭의 털을 자동으로 탈모시키는 탈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무핑거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상하, 좌우, 기울기, 폭 조정이 가능한 도계장치의 탈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계는 가공라인을 따라 설치된 트롤리 콘베이어의 셔클에 매달린 상태로 이송되면서 전기충격기와 탕적기를 통과한 다음 탈모기를 거치게 되는 바, 이 탈모기는 수개의 고무핑거를 가진 수십개의 회전디스크가 회전되므로서 도계의 털이 탈모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디스크는 수개의 세트가 프레임에 내장되고, 프레임은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된다. 종래에는 좌우 프레임의 상하 조정 및 폭조정만 가능할 뿐 상하, 좌우, 기울기 조정이 불가능하여 고무핑거가 도계 탈모에 맞도록 위치하지 않아도 조정할 수가 없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디스크가 내장되는 프레임을 좌우 각각에 상하로 설치하고, 좌우 프레임의 폭을 조정할 수 있고, 각 프레임의 상하, 좌우, 기울기 조정이 가능한 도계장치의 탈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계장치의 탈모기의 일예로서,
도계의 털을 자동으로 탈모시키는 탈모기에 있어서,
포스트(14)에 일단이 고정되는 브라켓(51)에 표시판(56)이 고정되고, 힌지축(54)을 중심으로 사용자가 작동하는 사용자 레버(52)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사용자 레버(52)의 일부에는 연결 로드(60)의 일단(61)이 연결되고, 연결 로드(60)의 타단(64)은 연결부(20 또는 2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축(6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연결 브라켓(63)에 연결되고, 연결 브라켓(63)의 상단은 제1 가교대(66)의 일단과 연결되고, 가교대(66)의 타단은 회전가능한 고정축(71)이 연결부(20 또는 22)의 내측에 고정된 제2가교대(67)의 상단(68)과 연결되고, 제2 가교대(67)에 제1 구동 바아(75)의 일단(69)이 연결되고, 제1 구동 바아(75)의 타단(76)은 좌측 슬라이딩체(204 또는 224)에 연결되고, 제2 가교대(67)에 제2 구동 바아(90)의 일단(91)이 연결되고, 제2 구동 바아(90)의 타단(92)은 우측 슬라이딩체(206 또는 226)에 연결되어,
좌측 슬라이딩체(204 또는 224)와 우측 슬라이딩체(206 또는 226)이 각각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좌측 지지대(24 또는 27)와 우측 지지대(25 또는 28)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고, 좌측 기어박스(34, 35 또는 36, 37)와 우측 기어박스(32, 33 또는 30, 31)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좌측 프레임(10, 11)과 우측 프레임(8, 9)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며,
전방 폭조정장치에 의해 좌측 프레임(10, 11)과 우측 프레임(8, 9)의 전방측 간격이 조정되고, 후방 폭조정장치에 의해 좌측 프레임(10, 11)과 우측 프레임(8, 9)의 후방측 간격이 별도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계장치의 탈모기의 다른 일예로서,
도계의 털을 자동으로 탈모시키는 탈모기에 있어서,
지지대(28)가 수용되어 기어박스(30)가 지지대(28)에 고정되는 역할을 하며, 지지대(28)에는 랙기어(288)가 구비되어 있는 제1하우징(302)과,
프레임(8)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조정장치가 구비된 제2하우징(304)과, 프레임(8)의 좌우 폭 조정장치가 구비된 제3하우징(306), 및
제3하우징(306)의 하부에 구비된 프레임(8)의 각도 조정장치
로 구성된 기어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304)은 외부에 상하 조정 레버(330)가 구비되고, 상하 조정 레버(330)에는 워엄(332)이 형성되고, 상기 워엄(332)은 워엄기어(334)와 맞물리고, 워엄기어(334)는 지지대(28)의 랙기어(288)와 맞물리게 되고,
상기 제3하우징(306)은 외부에 좌우 조정 레버(310)가 구비되고, 좌우 조정 레버(310)에는 나선부가 형성된 로드(312)가 푸셔(313)의 선단에 고정되는 너트부(314)에 연결되고, 푸셔(313)의 타단 측에는 연결대(319)의 일단이 장착되고 연결대(319)의 타단은 프레임(8)의 측면에 고정되며,
제3하우징(306)의 정면에 고정된 앞판(351)에 각도 조정 레버(350)가 장착되고, 앞판(351)에는 조정 브라켓(352)의 일단이 고정되고, 조정 브라켓(352)에는 수평 방향으로 홈진 제1캠 슬릿(354)와, 제1캠 슬릿(354)와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된 제2캠 슬릿(356)이 형성되고, 각도 조정 레버(350)에는 나선부 로드(361)가 길게 연장되며, 나선부 로드(361)에는 사각 너트(363)가 장착되며, 사각너트(363)의 일부에는 제1핀(365)이 연장되어 제1캠 슬릿(354)에 삽입되어 제1캠 슬릿(354) 내에서 수평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1핀(365)에는 제1링크(367)의 일단이 장착되고, 제1링크(367)의 타단은 제2핀(369)에 장착되며, 제2핀(369)은 제2캠 슬릿(356)에서 수평 이동가능하며, 제2핀(369)에는 제2링크(371)의 일단이 장착되고, 제2링크(371)의 타단은 프레임(8)의 측면에 제3핀(373)에 의해서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계장치의 탈모기는 폭조정장치에 의해서 좌측 프레임과우측 프레임 간의 폭을 일괄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기어박스에 의해서 각각의 프레임의 좌우 폭과, 상하 위치 및 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도계장치의 탈모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계장치의 탈모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계장치의 탈모기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계장치의 탈모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계장치의 탈모기의 일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계장치의 탈모기의 기어박스 장착 구조의 일부 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계장치의 탈모기의 기어박스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계장치의 탈모기의 기어박스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반대 방향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계장치의 탈모기의 기어박스의 장착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도계장치의 탈모기의 전체 구조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구조를 지지하는 4개의 포스트가 구비된다. 각각의 포스트는 좌전 포스트(12), 우전 포스트(14), 좌후 포스트(16) 및 우후 포스트(18)이다.
좌전 포스트(12)와 우전 포스트(14)의 상부는 전상 연결부(20)에 의해서 연결되고, 좌후 포스트(16) 및 우후 포스트(18)는 후상 연결부(22)에 의해서 연결된다. 전상 연결부(20) 및 후상 연결부(22)는 각각의 내측에는 수용부(202, 222; 도 4참조)가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용부(202)에는 좌전 슬라이딩체(204, 224)와 우전 슬라이딩체(206, 226)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좌전 슬라이딩체(204, 224)에는 좌전 지지대(24, 27)의 상단이 결합되고, 우전 슬라이딩체(206, 226)에는 우전 지지대(25, 28)의 상단이 결합된다.
조 2를 참조하면, 좌전 지지대(24)에는 좌전상 기어박스(34)와 좌전하 기어박스(35)가 상하로 장착되고, 좌후 지지대(27)에는 좌후상 기어박스(36)와 좌후하 기어박스(37)가 상하로 장착되고, 우전 지지대(25)에는 우전상 기어박스(32)와 우전하 기어박스(33)가 상하로 장착되고, 우후 지지대(28)에는 우후상 기어박스(30)와 우후하 기어박스(31)가 상하로 장착된다.
우전상 기어박스(32)와 우후상 기어박스(30) 사이에는 우상 프레임(8)이 연결되고, 우전하 기어박스(33)와 우후하 기어박스(31) 사이에는 우하 프레임(9)이 연결되고, 좌전상 기어박스(34)와 좌후상 기어박스(36) 사이에는 좌상 프레임(10)이 연결되고, 좌전하 기어박스(35)와 좌후하 기어박스(37) 사이에는 좌하 프레임(11)이 연결된다. 각각의 프레임에는 고무 핑거(2)가 일렬로 다수개 장착된다. 상기 고무 핑거(2)는 각각의 프레임 내의 회전 디스크에 의해서 회전되고, 각각의 회전디스크는 각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박스(881, 882, 991, 992, 1011, 1012, 1101, 1102)에 의해서 회전된다.
이하, 좌전 지지대(24)와 우전 지지대(25) 사이 및 좌후 지지대(27)와 우후 지지대(28)사이의 폭을 조정하는 폭조정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후의 폭조정장치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포스트(14)에 일단이 고정되는 브라켓(51)에 표시판(56)이 고정되고, 힌지축(54)을 중심으로 사용자가 작동하는 사용자 레버(52)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사용자 레버(52)의 일부에는 연결 로드(60)의 일단(61)이 연결되고, 연결 로드(60)의 타단(64)은 연결부(20 또는 2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축(6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연결 브라켓(63)에 연결된다. 연결 브라켓(63)의 상단은 제1 가교대(66)의 일단과 연결되고, 가교대(66)의 타단은 회전가능한 고정축(71)이 연결부(20 또는 22)의 내측에 고정된 제2가교대(67)의 상단(68)과 연결되고, 제2 가교대(67)에 제1 구동 바아(75)의 일단(69)이 연결되고, 제1 구동 바아(75)의 타단(76)은 좌측 슬라이딩체(204 또는 224)에 연결되고, 제2 가교대(67)에 제2 구동 바아(90)의 일단(91)이 연결되고, 제2 구동 바아(90)의 타단(92)은 우측 슬라이딩체(206 또는 226)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폭조정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레버(52)를 힌지축(54)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연결 로드(60)가 하강하여, 연결 브라켓(63)이 회전축(65)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가교대(67)가 고정축(7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러면, 제1 구동 바아(75)와 제2 구동 바아(9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좌측 슬라이딩체(204 또는 224)와 우측 슬라이딩체(206 또는 226)가 서로 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좌측 슬라이딩체(204 또는 224)와 우측 슬라이딩체(206 또는 226)에는 각각 롤러(231, 235)가 구비되어 이동이 쉽게 된다.
좌측 슬라이딩체(204 또는 224)와 우측 슬라이딩체(206 또는 226)이 각각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좌측 지지대(24 또는 27)와 우측 지지대(25 또는 28)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고, 좌측 기어박스(34, 35 또는 36, 37)와 우측 기어박스(32, 33 또는 30, 31)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좌측 프레임(10, 11)과 우측 프레임(8, 9)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사용자 레버(52)를 시계 반대 방형으로 돌리면, 결론적으로 좌측 프레임(10, 11)과 우측 프레임(8, 9)이 서로 다가오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전방 폭조정장치에 의해 좌측 프레임(10, 11)과 우측 프레임(8, 9)의 전방측 간격이 조정되고, 후방 폭조정장치에 의해 좌측 프레임(10, 11)과 우측 프레임(8, 9)의 후방측 간격이 별도로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어박스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기어박스(30, 31, 32, 33, 34, 35, 36, 37)의 내측으로는 프레임(8,9,10,11)이 각각 장착되고, 기어박스(30, 31, 32, 33, 34, 35, 36, 37)의 외측은 지지대(24, 25, 27, 28)에 장착된다.
기어박스(30, 31, 32, 33, 34, 35, 36, 37)는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각 기어박스, 프레임, 지지대의 구성을 하나의 도면 부호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기어박스(이하 "30"으로만 표기한다)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3개의 하우징이 있는데, 제1하우징(302)은 지지대(28)가 수용되어 기어박스(30)가 지지대(28)에 고정되는 역할을 하며, 지지대(28)에는 랙기어(288)가 구비되어 있다. 제2하우징(304)은 프레임(8)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조정장치가 구비된다. 제3하우징(306)은 프레임(8)의 좌우 폭 조정장치가 구비된다. 제3하우징(306)의 하부에는 프레임(8)의 각도 조정장치가 구비된다.
제2하우징(304)은 외부에 상하 조정 레버(330)가 구비되고, 상하 조정 레버(330)에는 워엄(332)이 형성되고, 상기 워엄(332)은 워엄기어(334)와 맞물리고, 워엄기어(334)는 지지대(28)의 랙기어(288)와 맞물리게 된다.
제3하우징(306)은 외부에 좌우 조정 레버(310)가 구비되고, 좌우 조정 레버(310)에는 나선부가 형성된 로드(312)가 푸셔(313)의 선단에 고정되는 너트부(314)에 연결되고, 푸셔(313)의 타단 측에는 연결대(319)의 일단이 장착되고 연결대(319)의 타단은 프레임(8)의 측면에 고정된다.
제3하우징(306)의 정면에 고정된 앞판(351)에 각도 조정 레버(350)가 장착되고, 앞판(351)에는 조정 브라켓(352)의 일단이 고정되고, 조정 브라켓(352)에는 수평 방향으로 홈진 제1캠 슬릿(354)와, 제1캠 슬릿(354)와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된 제2캠 슬릿(356)이 형성되고, 각도 조정 레버(350)에는 나선부 로드(361)가 길게 연장되며, 나선부 로드(361)에는 사각 너트(363)가 장착되며, 사각너트(363)의 일부에는 제1핀(365)이 연장되어 제1캠 슬릿(354)에 삽입되어 제1캠 슬릿(354) 내에서 수평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1핀(365)에는 제1링크(367)의 일단이 장착되고, 제1링크(367)의 타단은 제2핀(369)에 장착되며, 제2핀(369)은 제2캠 슬릿(356)에서 수평 이동가능하며, 제2핀(369)에는 제2링크(371)의 일단이 장착되고, 제2링크(371)의 타단은 프레임(8)의 측면에 제3핀(373)에 의해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기어박스(30)의 작동을 설명한다. 기어박스(30)는 프레임(80)간에는 연결대(319)와 제3핀(373)에 의해서 연결된다.
좌우 조정 레버(310)를 돌리면 너트부(314)에 의해서 푸셔(313)는 직접 왕복 운동가능하게 되고, 이에따라 프레임(8)에 연결되는 연결대(319)에 의해서 프레임(80)이 좌우 이동하게 된다.
상하 조정 레버(330)를 돌리면 워엄(332)에 의해서 워엄기어(334)가 회전하고 고정된 지지대(28)의 랙기어(288)와 맞물리므로 기어박스(30)가 승하강하게 되므로 연결대(319)와 제3핀(373)에 의해서 프레임(8)도 승하강하게 된다.
각도 조정 레버(350)를 돌리면, 나선부 로드(361)가 같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사각 너트(363)이 수평 이동하되 제1핀(365)이 제1캠 슬릿(354) 내에서 한정되고, 제1링크(367)의 제2핀(369)이 제2캠 슬릿(356)에서 수평 이동만 가능하므로, 결국 제1링크(367)가 회전없이 수평 이동만 가능하게 되고, 이에따라 제2링크(371)은 제2핀(369)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므로, 결국 제3핀(373)에 의해서 프레임(8)이 제2핀(369)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같이, 폭조정장치에 의해서 좌측 프레임(10, 11)과 우측 프레임(8, 9)간의 폭을 일괄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기어박스(30, 31, 32, 33, 34, 35, 36, 37)에 의해서 각각의 프레임(8,9,10,11)의 좌우 폭과, 상하 위치 및 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2 : 고무 핑거 8, 9, 10, 11 : 프레임
12, 14, 16, 18 : 포스트 20, 22 : 연결부
24, 25, 27, 28 : 지지대
30, 31, 32, 33, 34, 35, 36, 37 : 기어박스
51 : 브라켓 52 : 사용자 레버
54 : 힌지축 56 : 표시판
60 : 연결 로드 63 : 연결 브라켓
65 : 회전축 66 : 제1 가교대
67 : 제2가교대 71 : 고정축
75 : 제1 구동 바아 90 : 제2 구동 바아
202, 222 : 수용부 204, 206, 224, 226 : 슬라이딩체
288 : 랙기어 302 : 제1하우징
304 : 제2하우징 306 : 제3하우징
310 :좌우 조정 레버 312 : 로드
313 : 푸셔 314 : 너트부
319 : 연결대 330 : 상하 조정 레버
332 : 워엄 334 : 워엄기어
350 : 각도 조정 레버 351 : 앞판
352 : 조정 브라켓 354 : 제1캠 슬릿
356 : 제2캠 슬릿 361 : 나선부 로드
363 : 사각 너트 365 : 제1핀
367 : 제1링크 369 : 제2핀
371 : 제2링크 373 : 제3핀
881, 882, 991, 992, 1011, 1012, 1101, 1102 :구동박스

Claims (4)

  1. 삭제
  2. 포스트에 일단이 고정되는 브라켓에 고정된 표시판과,
    힌지축(5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작동되는 사용자 레버와,
    상기 사용자 레버의 일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연결 브라켓에 연결된 연결 로드와,
    상기 연결 브라켓의 상단에 일단이 연결된 제1 가교대와,
    상기 제1 가교대의 타단이 상단에 연결되고, 회전가능한 고정축이 연결부의 내측에 고정된 제2가교대와,
    상기 제2 가교대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구동 바아와,
    상기 제1 구동 바아의 타단이 연결되는 좌측 슬라이딩체와,
    상기 제2 가교대에 제2 구동 바아의 일단이 연결되고, 제2 구동 바아의 타단이 연결되는 우측 슬라이딩체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사용자 레버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좌측 슬라이딩체와 우측 슬라이딩체가 각각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좌측 지지대와 우측 지지대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고, 좌측 기어박스와 우측 기어박스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전방 폭조정장치 및 후방 폭조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폭조정장치에 의해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의 전방측 간격이 조정되고, 상기 후방 폭조정장치에 의해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의 후방측 간격이 별도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계장치의 탈모기.
  3. 도계의 털을 자동으로 탈모시키는 탈모기에 있어서,
    랙기어가 구비된 지지대가 수용되어 상하 이동가능한 제1하우징과,
    상기 랙기어와 맞물려서 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조정장치가 구비된 제2하우징과,
    프레임의 좌우 폭 조정장치가 구비된 제3하우징의 3개의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3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된 프레임의 각도 조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계장치의 탈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외부에 상하 조정 레버가 구비되고, 상하 조정 레버에는 워엄이 형성되고, 상기 워엄은 워엄기어와 맞물리고, 워엄기어는 지지대의 랙기어와 맞물리게 되고,
    상기 제3하우징은 외부에 좌우 조정 레버가 구비되고, 좌우 조정 레버에는 나선부가 형성된 로드가 푸셔의 선단에 고정되는 너트부에 연결되고, 푸셔의 타단 측에는 연결대의 일단이 장착되고 연결대의 타단은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며,
    제3하우징의 정면에 고정된 앞판에 각도 조정 레버가 장착되고, 앞판에는 조정 브라켓의 일단이 고정되고, 조정 브라켓에는 수평 방향으로 홈진 제1캠 슬릿과, 제1캠 슬릿과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된 제2캠 슬릿이 형성되고, 각도 조정 레버에는 나선부 로드가 길게 연장되며, 나선부 로드에는 사각 너트가 장착되며, 사각너트의 일부에는 제1핀이 연장되어 제1캠 슬릿에 삽입되어 제1캠 슬릿 내에서 수평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1핀에는 제1링크의 일단이 장착되고, 제1링크의 타단은 제2핀에 장착되며, 제2핀은 제2캠 슬릿에서 수평 이동가능하며, 제2핀에는 제2링크의 일단이 장착되고, 제2링크의 타단은 프레임의 측면에 제3핀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계장치의 탈모기.

KR1020100021903A 2010-03-11 2010-03-11 도계장치의 탈모기 KR101201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903A KR101201024B1 (ko) 2010-03-11 2010-03-11 도계장치의 탈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903A KR101201024B1 (ko) 2010-03-11 2010-03-11 도계장치의 탈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739A KR20110102739A (ko) 2011-09-19
KR101201024B1 true KR101201024B1 (ko) 2012-11-15

Family

ID=44954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903A KR101201024B1 (ko) 2010-03-11 2010-03-11 도계장치의 탈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4573A (zh) * 2016-07-18 2016-10-12 诸城市朝阳机械有限公司 家禽脱毛流水线用脱毛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058B1 (ko) * 2011-04-11 2013-04-16 주식회사 태진 도계장치의 탈모기의 자동 슬라이딩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7980A (en) 1976-03-09 1977-09-10 Seiji Komatsu Device for feather plucking
US4217678A (en) 1978-11-06 1980-08-19 Simon-Johnson Inc. Poultry picking machine
US20080293346A1 (en) 2005-12-21 2008-11-27 Linco Food Systems A/S Poultry Defeather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7980A (en) 1976-03-09 1977-09-10 Seiji Komatsu Device for feather plucking
US4217678A (en) 1978-11-06 1980-08-19 Simon-Johnson Inc. Poultry picking machine
US20080293346A1 (en) 2005-12-21 2008-11-27 Linco Food Systems A/S Poultry Defeather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4573A (zh) * 2016-07-18 2016-10-12 诸城市朝阳机械有限公司 家禽脱毛流水线用脱毛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739A (ko) 2011-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931637U (zh) 一种双杆人体3d扫描摄像头驱动机构
CN102986816B (zh) 自动刮鱼鳞机
CN105730123B (zh) 绷画机
KR101201024B1 (ko) 도계장치의 탈모기
CN106949349A (zh) 一种预防颈椎病的自移动屏幕架
CN108146813A (zh) 一种化妆品包装盒
CN110250230B (zh) 蛋卷成型设备
CN104162612A (zh) 一种用来弯折、切断电器元件连接脚的装置
KR101255055B1 (ko) 도계장치의 탈모기
CN105380450A (zh) 一种调节式床架
CN109123859B (zh) 一种用于替代手工测量的3d人体数据采集扫描装置
KR101255058B1 (ko) 도계장치의 탈모기의 자동 슬라이딩 장치
CN204305955U (zh) 刀削面机器人
CN204518511U (zh) 一种采茶装置
CN213280302U (zh) 一种基于大数据处理的数据采集平台
CN206754717U (zh) 一种预防颈椎病的自移动屏幕架
CN214070709U (zh) 一种移动式可调角度采茶机
CN109060323A (zh) 一种林果采摘振动实验台
CN109191684A (zh) 一种自动售卖机取物装置
CN203492378U (zh) 割草机
CN208463718U (zh) 单曲柄滑块机构
CN204618274U (zh) 活动式立位胸片放射线防护架
CN219448182U (zh) 一种门扇自适应输送机构
CN205060928U (zh) 一种自动上片机
CN209536599U (zh) 一种辊筒输送机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