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995B1 - 엘리베이터용 의자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995B1
KR101200995B1 KR1020110059787A KR20110059787A KR101200995B1 KR 101200995 B1 KR101200995 B1 KR 101200995B1 KR 1020110059787 A KR1020110059787 A KR 1020110059787A KR 20110059787 A KR20110059787 A KR 20110059787A KR 101200995 B1 KR101200995 B1 KR 101200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elevator
sheet
side wall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일
Original Assignee
(주)대명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명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대명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110059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6Wall stools ; Stools hingedly mounted against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내부 코너에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을 구비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킨 엘리베이터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의자는 엘리베이터의 내부공간 중 코너에 위치할 수 있는 시트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일 측벽에 마련된 출입홀을 통해 상기 코너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부공간을 벗어난 영역을 상기 시트가 왕래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의자{Chair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내부 코너에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을 구비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킨 엘리베이터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빌딩이나 아파트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는 탑승자들이 탑승한 상태에는 서 있는 자세로 승,하강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10층 이상의 고층을 이동할 때에도 탑승자들은 서있는 상태에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몸이 불편한 임산부나 노약자들이 서있는 상태에서 이동하게 됨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데 있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내부에 의자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가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6415호에는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의자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의자구조는 의자를 위쪽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잘 보이지않는 사이드받침판을 펼쳐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의자 사용 후에 사이드받침판을 다시 접는 경우 위쪽에 있던 의자가 급속한 하강에 의해 탑승자가 다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294510호에는 엘리베이터의 슬림형 접이식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접이식 의자는 엘리베이터의 벽면 중앙에 접거나 펼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 접이식 의자는 탑승자가 앉기 위해 펼친 경우 엘리베이터의 내부공간을 많이 점유하게 되어 엘리베이터의 내부공간을 좁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코너에 의자를 설치하여 엘리베이터의 내부공간의 활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의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의자는 엘리베이터의 내부공간 중 코너에 위치할 수 있는 시트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일 측벽에 마련된 출입홀을 통해 상기 코너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부공간을 벗어난 영역을 상기 시트가 왕래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시트가 결합되어 상기 시트의 회전중심을 이루며 상기 측벽의 바깥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기 시트를 상기 출입홀로 통과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웜휠과, 상기 웜휠과 치합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가 구동축에 결합된 전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너에 상기 시트의 위치 시 상기 시트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출입홀이 마련된 측벽과 접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타 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시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의자는 엘리베이터의 내부공간 중 코너에 위치할 수 있는 시트와; 상기 시트를 상기 엘리베이터의 일 측벽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시트를 상기 측벽에 힌지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시트를 상기 측벽에 밀착시키는 자력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코너에 시트를 설치함으로써 탑승자들의 방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는 코너에 고정되는 구조가 아니라 탑승자가 착석 시에만 코너에 위치하고 그 외에는 엘리베이터의 내부공간을 벗어난 영역에 위치시켜 엘리베이터의 내부공간의 활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의자의 작동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구동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적용된 구동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의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적용된 구동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의자의 작동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의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의자가 설치되는 엘리베이터(1)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엘리베이터(1)는 통상적으로 다수의 스테인레스 판재로 형성된 탑승부(10)와, 탑승부(10)를 둘러싸는 하우징(20)으로 이루어진다. 탑승부(10)와 하우징(20)은 일정거리 이격된다. 탑승부(11)와 하우징(20) 사이의 거리는 후술할 시트(20)의 최대 폭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탑승부(11)는 4개의 측벽들에 의해 사각 구조를 이룬다. 즉, 제 1측벽(11), 제 2측벽(13), 제 3측벽(미도시), 제 4측벽(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자는 크게 시트(20)와,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시트(20)는 엘리베이터(1)에 탑승한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1)의 내부공간 중 코너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시트(20)가 엘리베이터(1)의 코너에 위치하므로 엘리베이터(1)의 내부공간의 활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시트(20)는 코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인 삼각형, 부채꼴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부채꼴 형상으로 시트(20)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시트(20)는 코너에 고정되는 구조가 아니라 탑승자가 착석 시에만 코너에 위치하고 그 외에는 엘리베이터(1)의 내부공간을 벗어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시트(20)의 이동 구조는 이동수단에 의해 구현된다. 즉, 이동수단에 의해 시트(20)는 코너와 엘리베이터(1)의 내부공간을 벗어난 영역을 왕래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엘리베이터(1)의 내부공간을 벗어난 영역은 탑승부(10)와 하우징(19) 사이의 공간을 의미한다.
도시된 이동수단의 일 예로 시트(20)가 결합되어 시트(20)의 회전중심을 이루며 회전축(30)과, 회전축(3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구동부(40)를 구비한다.
회전축(30)은 탑승부(10)와 하우징(19)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회전축(30)은 회전가능하도록 상단 및 하단이 엘리베이터(1)에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시트(20)의 일측에는 회전축(30)과 축결합하는 축결합부(25)가 형성된다. 시트(20)는 축결합부(25)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회전축(30)에 결합된 시트(20)는 회전축(30)의 회전에 의해 엘리베이터(1)의 내부공간과 탑승부(10)의 바깥 공간을 왕래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 1측벽(11)과 하우징(19)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시트(20)는 엘리베이터(1)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회전축(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엘리베이터(1)의 내부 공간에서 내측벽의 바깥으로 이동한다.
이때 시트(20)가 제 1측벽(11)의 내측 및 외측을 드나들 수 있도록 제 1측벽(11)에는 출입홀(15)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출입홀(15)은 좌우로 길게 형성된 장공 형태로 마련된다. 출입홀(15)의 높이와 너비는 시트(20)의 통과를 간섭하지 않을 정도에서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40)는 회전축(30)에 결합되며 축결합부(25)보다 아래에 위치한 웜휠(41)과, 웜휠(41)과 치합하는 웜기어(43)와, 웜기어(43)가 구동축에 결합된 전동모터(45)를 구비한다. 전동모터(45)는 고정프레임(49)에 의해 제 2측벽(10)에 고정된다.
상술한 구동부(40)에 의해 회전축(30)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시트(20)를 회전시킨다. 전동모터(45)는 엘리베이터(1) 내부에 설치된 조작버튼(미도시)의 조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시트(20)의 회전범위를 일정하게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센서가 설치될 있음은 물론이다.
엘리베이터(1)에 탑승한 탑승자가 시트(20)에 착석하기 위해서는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전동모터를 구동시키면 시트(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출입홀(15)을 통해 엘리베이터(1)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시트(20)가 회전축(30)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제 1측벽(11)이 시트(20)를 하부에서 지지하므로 시트(20)에 앉은 탑승자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으나, 더욱더 견고한 지지를 위해 지지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지지수단의 일 예로 제 2측벽(13)에 형성된 지지턱(17)으로 구비된다. 지지턱(17)은 출입홀(15)이 형성된 제 1측벽(11)과 접하는 제 2측벽(13)에 마련된다. 지지턱(17)은 제 1측벽(13)에 형성된 인입홈 구조에 의해 마련된다. 인입홈은 시트(20)의 최대 회전시 시트(2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곳이다. 따라서 출입홀(15)과 인입홈은 시트(20)의 회전궤적 상에 위치한다. 도시된 바와 달리 지지턱(17)은 제 2측벽(13)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의자를 도 5 및 도 6에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의자의 시트는 2개의 플레이트(61)(65)로 이루어진다. 2개의 플레이트(61)(65)는 이동수단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코너에 시트를 형성한다.
설명의 편의상 2개의 플레이트를 제 1플레이트(61), 제 2플레이트(65)로 구분한다. 제 1플레이트(61)는 제 1측벽(11)에 형성된 제 1출입홀(15)을 통해, 제 2플레이트(65)는 제 2측벽(13)에 형성된 제 2출입홀(16)을 통해 엘리베이터(1)의 내부공간과 탑승부의 바깥 공간을 왕래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플레이트(61)(65)의 이동은 이동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동수단은 제 1 및 제 2회전축(71)(75)과, 제 1 및 제 2회전축(71)(75)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치합하는 제 1 및 제 2기어(81)(85)와, 제 1회전축(71)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50)로 구비된다.
제 1플레이트(61)와 제 2플레이트(65)의 일측에는 제 1 축결합부(63)와 제 2축결합부(67)가 각각 형성되고, 제 1 및 제 2축결합부(63)(67)는 제 1회전축(71) 및 제 2회전축(75)에 각각 축결합된다. 제 1 및 제 2축결합부(63)(67)는 제 1 및 제 2회전축(71)(75)의 회전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제 1회전축(71)과 제 2회전축(75)은 엘리베이터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제 2회전축(75)의 하단은 지지브라켓트(85)에 지지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지브라켓트는 하우징(19)에 고정된다. 제 1회전축(71)과 제 2회전축(75)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 1회전축(71)에는 제 1기어(81)가 설치된다. 제 1기어(81)는 제 1축결합부(63)의 하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 2회전축(75)에 설치된 제 2기어(85)는 제 1기어(81)와 치합된다.
제 1회전축(7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50)는 제 1회전축(71)에 결합되며 제 1축결합부(63) 보다 아래에 위치한 웜휠(51)과, 웜휠(51)과 치합하는 웜기어(53)와, 웜기어(53)가 구동축에 결합된 전동모터(55)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동부(50)에 의해 제 1회전축(71)은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함께 제 1기어(81)와 치합된 제 2기어(85)가 설치된 제 2회전축(75)은 제 1회전축(71)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다. 따라서 전동모터(55)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 1플레이트(61) 및 제 2플레이트(65)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 제 1 및 제 2플레이트(61)(65)는 코너에서 만나 하나의 시트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의자를 도 7 및 도 8에 도시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의자는 시트(90)와,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시트(90)는 엘리베이터의 내부공간 중 코너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시트(90)는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수단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도시된 예에서 시트(90)는 직삼각형으로 형성된다. 시트(90)는 접거나 펼칠 때 파지가 용이하도록 시트(90)의 상부측에 손잡이홈(91)이 마련된다.
결합수단은 시트(90)를 제 2측벽(13)에 힌지결합시키는 구조라면 제한이 없다. 일 예로 시트(90)의 하부 좌우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제 2측벽(13)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고정핀(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측벽(13)에는 시트(90)가 수용되는 수용부(100)가 마련된다. 수용부(100)는 제 2측벽(13)에서 바깥으로 인입되어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진다. 수용부(100)는 시트(90)의 형상과 대응되는 직삼각형으로 이루어진다.
평상시에는 도 7과 같이 시트(90)는 제 2측벽(13)에 마련된 수용부(100)에 수용된 상태로 있는다. 그리고 탑승자가 착석을 하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홈(100)을 잡은 상태에서 시트(90)를 잡아당기면 시트(90)는 고정핀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도 8과 같이 코너에 수평하게 펼쳐진다. 이때 수용부(100)에 수용된 시트(90)의 하단부는 수용부(100) 하부에 마련된 고정턱(미도시)에 걸리도록 하여 시트(90)가 90도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시트(90)의 사용 후 상방으로 회전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때 시트(90)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트(90)를 수용부(100)에 밀착시키는 자력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자력고정부의 일 예로 시트(90)에 매설된 제 1영구자석(95)과, 수용부(100)가 마련된 제 2측벽(13)에 매설된 제 2영구자석(97)으로 이루어진다. 제 2영구자석(17)은 제 1영구자석(95)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시트(90)를 수용부(100)에 수용시키면 제 1 및 제 2영구자석(95)(97)의 자력에 의해 시트(90)는 수용부(100)에 견고히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예에서 시트(90)는 제 2측벽(13)에 힌지결합된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시트(90)는 제 1측벽(11)에 힌지결합되어 제 2측벽(13)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5: 출입홀 20: 시트
30:회전축 40: 구동부
41: 웜휠 43: 웜기어
45: 구동모터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엘리베이터의 내부공간 중 코너에 위치할 수 있도록 부채꼴로 형성된 시트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일 측벽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장공형태의 출입홀을 통해 상기 코너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부공간을 벗어난 영역을 상기 시트가 왕래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코너에 상기 시트의 위치 시 상기 시트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시트의 일측에 형성된 축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시트의 회전중심을 이루며 상기 측벽의 바깥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기 시트를 상기 출입홀로 통과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웜휠과, 상기 웜휠과 치합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가 구동축에 결합된 전동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출입홀이 마련된 측벽과 접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타 측벽에 가로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시트의 최대 회전시 상기 시트의 가장자리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의자.

  6. 삭제
  7. 삭제
KR1020110059787A 2011-06-20 2011-06-20 엘리베이터용 의자 KR101200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787A KR101200995B1 (ko) 2011-06-20 2011-06-20 엘리베이터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787A KR101200995B1 (ko) 2011-06-20 2011-06-20 엘리베이터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995B1 true KR101200995B1 (ko) 2012-11-13

Family

ID=4756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787A KR101200995B1 (ko) 2011-06-20 2011-06-20 엘리베이터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99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606B1 (ko) 2015-11-30 2017-02-08 박주혁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
KR101951714B1 (ko) 2017-08-16 2019-02-25 박정호 엘리베이터용 밸런스 시트
KR20190120873A (ko) 2018-04-17 2019-10-25 (주)모든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용 간이의자
WO2020180094A1 (ko) * 2019-03-05 2020-09-10 주식회사 다지트 엘리베이터용 동물우리 형성 장치
KR20210030613A (ko) 2019-09-10 2021-03-18 최광일 엘리베이터 의자
CN113353765A (zh) * 2021-07-21 2021-09-07 贾玉哲 一种电梯轿厢扶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1067U (ko) * 1975-10-29 1977-05-04
JP2009227405A (ja) 2008-03-24 2009-10-0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運行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1067U (ko) * 1975-10-29 1977-05-04
JP2009227405A (ja) 2008-03-24 2009-10-0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運行システ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606B1 (ko) 2015-11-30 2017-02-08 박주혁 탑승자 이송장치용 의자
KR101951714B1 (ko) 2017-08-16 2019-02-25 박정호 엘리베이터용 밸런스 시트
KR20190120873A (ko) 2018-04-17 2019-10-25 (주)모든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용 간이의자
WO2020180094A1 (ko) * 2019-03-05 2020-09-10 주식회사 다지트 엘리베이터용 동물우리 형성 장치
KR20210030613A (ko) 2019-09-10 2021-03-18 최광일 엘리베이터 의자
CN113353765A (zh) * 2021-07-21 2021-09-07 贾玉哲 一种电梯轿厢扶手
CN113353765B (zh) * 2021-07-21 2022-07-22 贾玉哲 一种电梯轿厢扶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995B1 (ko) 엘리베이터용 의자
US7036883B1 (en) Power operable vehicle seat assembly
KR101372262B1 (ko) 휠체어용 승강장치
JP2011126628A (ja) エレベータ点検台
CN108909544A (zh) 一种行动不便者使用的汽车全自动后座装置
KR102085745B1 (ko) 엘리베이터용 간이의자
JP2000350750A (ja) 介護用の天井走行リフト装置
JP5533040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囲い装置
KR20120133228A (ko) 엘리베이터의 접이식 디딤판
KR200424329Y1 (ko)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JP2008239088A (ja) 車両用回転シート
KR20160035735A (ko) 절첩식 좌판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
JP2003070870A (ja) 入浴補助リフトおよび入浴補助リフト付きユニットバス
US6336230B1 (en) Device for lifting persons into and out of a bathtub
JP3584683B2 (ja) 玄関用昇降ベンチ
JP7170572B2 (ja) 補助装置及びトイレ
JP6470575B2 (ja) 浴室設備
JP2013081495A (ja) 入浴用昇降装置
JP2014503439A (ja) 垂直階段
CN110682836B (zh) 一种轿车副驾驶福祉座椅
TWI623293B (zh) 移動式馬桶
JP2007068834A (ja) 車椅子のステップ装置
KR20210030613A (ko) 엘리베이터 의자
JP2001112823A (ja) 介護用走行リフト及び外部レール
JP3466528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