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329Y1 -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 Google Patents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329Y1
KR200424329Y1 KR2020060012674U KR20060012674U KR200424329Y1 KR 200424329 Y1 KR200424329 Y1 KR 200424329Y1 KR 2020060012674 U KR2020060012674 U KR 2020060012674U KR 20060012674 U KR20060012674 U KR 20060012674U KR 200424329 Y1 KR200424329 Y1 KR 2004243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crew
wall
plat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화
Original Assignee
이재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화 filed Critical 이재화
Priority to KR2020060012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3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3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3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6Wall stools ; Stools hingedly mounted against the wall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 부착형 자동 절첩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주로 아파트나 주택 등 가정의 현관이나 병원 등 공공건물의 실내의 벽면에 간단히 설치하여 필요할 경우는 자동으로 펼쳐서 의자로 사용하고, 필요없을 경우는 소형의 부피로 절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의자를 제공코져 함에 목적이 있다.
벽 부착용 자동 절첩식 의자(10)를 구성함에 있어서, 벽체에 부착하는 한쌍의 수직포스트(12)와, 이의 상하에 부착되는 상부플레이트(13)와 하부플레이트(14)의 사이에는 수직으로 캡(24)과 베어링(25)에 의해 회전가능한 스크류(20)를 설치하되,
상기 스크류(20)에는 절첩판(22)이 고정된 승강구(21)를 결합하여 상기 절첩판(22)을 의자프레임(11)과 연결하여 절첩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의자프레임(11)의 저면측에는 홀더(23)를 취부하여 아암 형식으로 된 작동간(15)을 결합하여 각 수직포스트(12)의 양측 하단측에 축봉(16)으로서 고정하여 축봉(16)을 기점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구성하며,
상기 스크류(20)의 하단에는 회전기어(19)를 설치하고, 이에 접동되는 모터기어(18)는 모터(17)에 의해 구동되게 하부플레이트(14)의 하단에 설치하여 상기 모터(17)의 구동력이 모터기어(18)에 접동된 회전기어(19)를 구동하게 되고, 회전기어(19)와 동축상에 축설된 스크류(20)가 회전하여 승강구(21)가 스크류(20)를 따라 승강하므로서 의자프레임(11)이 절첩판(22)을 기점으로 수직으로 절첩되거나 수 평으로 펼쳐질 수 있게 하며,
상기 승강구(21)의 승강거리를 제어하는 수단은 벽체 또는 상부플레이트(13)나 하부플레이트(14) 등 적정 위치에 리미트스위치(26)를 취부하므로서 승강구(21)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벽, 의자, 아파트, 주택, 프레임, 쿠션, 현관,

Description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a folding chair}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의자를 펼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의자를 펼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의자를 절첩한 상태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의자 11 : 의자프레임
12 : 수직포스트 13 : 상부플레이트
14 : 하부플레이트 15 : 작동간
16 : 축봉 17 : 모터
18 : 모터기어 19 : 회전기어
20 : 스크류 21 : 승강구
22 : 절첩판 23 : 홀더
24 : 캡 25 : 베어링
26 : 리미트스위치
본 고안은 벽 부착형 자동 절첩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주로 아파트나 주택 등 가정의 현관이나 병원 등 공공건물의 실내의 벽면에 간단히 설치하여 필요할 경우는 자동으로 펼쳐서 의자로 사용하고, 필요없을 경우는 소형의 부피로 절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의자를 제공코져 함에 목적이 있다.
통상 아파트나 주택 등 가정의 현관이나 병원 등 공공건물의 입구 또는 복도에는 신발을 벗어놓는 공간이 있고, 이러한 경우 정상인은 별 상관이 없으나, 노약자나 장애인 또는 어린이들의 경우는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기가 어려워 바닥에 앉은 상태에서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게 된다.
즉, 노약자나 장애인 또는 어린이들의 경우는 신발을 신거나 벗기가 어려워 현관의 바닥에 앉은 상태에서 신발을 벗거나 신게 되므로 그나마 일반 가정에서는 별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나, 병원이나 관공서 등 공공건물 등에서는 여간 번거로운게 아니다.
특히 병원이나 관공서 등에는 휴식을 취하고 대기하는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간이의자 등을 설치해 기다리거나 휴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의자가 설치되어야 할 공간의 차지가 과도히 소요될 뿐만 아니라 앉는 사람이 없을 경우도 의자가 그대로 방치되어 있으므로 유휴공간의 차지가 과도한 문제점이 따랐다.
그리고 장기간 의자를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할 경우는 쿠션부에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게 되어 항상 청소를 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의자가 정형화되어 부피를 과도히 차지할 뿐만 아니라 대량으로 운송하거나 이동할 경우 절첩이 불가능하여 운송비가 과도히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를 다수 개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출원인이 선등록한 벽 부착형 의자는 절첩의 기능은 있으나, 절첩시 수동으로 절첩하거나 펼쳐야 하므로 작동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오작동이 발생하는 등의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벽 부착형 자동 절첩식 의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의자를 수직포스트와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에 의해 벽체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중앙 사이에 베어링과 캡에 의해 수직으로 회전하는 스크류를 설치하고, 상기 스크류에는 승강구를 승강가능하게 설치하여 이에는 절첩판에 의해 각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의자프레임을 설치하며, 상기 의자프레임의 저면에는 홀더에 의해 각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작동간을 수직포스트의 양측 하단에 각각 축봉에 의해 설치하여 모터의 모터기어와 스크류의 회전기어를 구 동하는 동력에 의해 승강구가 승강하므로서 의자프레임이 벽체에 수직으로 절첩되거나 수평으로 펼쳐지게 되어 벽 부착형 의자로 사용가능하게 구성하고자 한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과 작동 등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벽 부착용 자동 절첩식 의자(10)를 구성함에 있어서, 벽체에 마주보게 부착할 수 있는 한쌍의 수직포스트(12)와, 이의 상하에 각각 부착되는 앵글형의 상부플레이트(13)와 하부플레이트(14)의 사이 중앙에는 수직으로 캡(24)과 베어링(25)에 의해 회전이 자유로운 스크류(20)를 설치한다.
상기 스크류(20)에는 승강가능하게 승강구(21)를 결합하여 이의 상부에 절첩판(22)을 고정하여 의자프레임(11)을 각운동하면서 절첩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의자프레임(11)의 저면측에는 홀더(23)를 취부하여 아암 형식으로 된 작동간(15)을 결합하여 각 수직포스트(12)의 양측 하단측에 축봉(16)으로서 고정하여 축봉(16)을 기점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스크류(20)의 하단에는 회전기어(19)를 설치하고, 이에 접동되는 모터기어(18)는 모터(17)에 의해 구동되게 하부플레이트(14)의 하단에 설치하여 상기 모터(17)의 구동력이 모터기어(18)에 접동된 회전기어(19)를 구동하게 되고, 회전기어(19)와 동축상에 축설된 스크류(20)가 회전하여 결국 승강구(21)가 스크류(20) 를 따라 승강하므로서 의자프레임(11)이 절첩판(22)을 기점으로 수직으로 절첩되거나 수평으로 펼쳐질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승강구(21)의 승강거리를 제어하는 수단은 벽체 또는 상부플레이트(13)나 하부플레이트(14) 등 적정 위치에 리미트스위치(26)를 취부하므로서 승강구(21)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여 원할하게 절첩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모터(17)는 승강구(21)의 승강작동을 함에 있어서, 정역회전이 가능한 서보모터 등의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17)를 적용함은 당연하다.
물론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도면상 도시한 작동간(15)의 형상 등은 본 고안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달성할 수 있으면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고, 의자프레임(11) 역시 사람이 앉을 경우 쿠션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하며, 의자(10)를 자동으로 절첩하거나 펼칠시에 별도의 스위치(도시생략)를 구비해야 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고안은 주로 아파트나 주택 등 가정의 현관이나 병원 등 공공건물의 실내의 벽면에 간단히 설치하여 필요할 경우는 스위치를 작동하여 자동으로 의자프레임(11)을 펼쳐서 의자(10)로 사용하고, 필요없을 경우는 별도의 스위치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소형의 부피로 절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좁은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하며, 특히 가정의 현관 등에 설치할 경우는 장애인이나 어린이 등 보행에 익숙치 못한 경우 스위치만 작동하여 간단히 올려서 설치한 다음 앉은 상태에서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기가 용이하 도록 하여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사용방법과 작동 및 기능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벽체의 적정위치에 한쌍의 수직포스트(12)를 대향으로 고정하고 상하에는 상부플레이트(13)와 하부플레이트(14)를 각각 고정하여 이에는 스크류(20)와 승강구(21), 의자프레임(11) 등의 여러가지 부품들을 설치하면 된다.
본 고안은 평상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프레임(11)을 수직으로 절첩하여 소형의 부피로 두고, 벽 부착형 의자(10)로서 사용할 경우는 도 2 내지도 3에서 도시한 바와 별도 구비된 스위치(도시생략함)를 작동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모터(17)가 작동하게 되어 상기 모터(17)에 구비된 모터기어(18)를 구동하게 된다.
상기 모터기어(18)의 동력은 이에 접동된 회전기어(19)를 구동하게 되고, 상기 회전기어(19)는 스크류(20)의 하단에 결합된 상태로 상부플레이트(13)와 하부플레이트(14)의 중앙에 베어링(25)과 캡(24)에 의해 설치되어 있으므로 결국 스크류(20)는 상부플레이트(13)와 하부플레이트(14)에서 지지되는 베어링(25)과 캡(24)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크류(20)가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스크류(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구(21)는 스크류(20)의 회전에 따라 도 4와 같은 상태로 하부에 있다가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구(21)가 스크류(20)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승강 구(21)의 상부에 부착된 절첩판(22)도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절첩판(22)에 각운동 가능하게 취부된 의자프레임(11)의 내측부, 즉 절첩판(22)과 부착된 안쪽부위는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의자프레임(11)을 지지하고 있는 절첩판(22)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의자프레임(11)의 하부에는 홀더(23)가 고정되어 아암 형식의 작동간(15)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의자프레임(11)의 안쪽 절첩판(22)이 고정된 위치가 상승함에 따라 의자프레임(11)의 외측부는 작동간(15)이 의자프레임(11)의 하부측 홀더(23)에 의해결합되어 있으므로 축봉(16)을 기점으로 각운동하면서 홀더(23)에 지지된 작동간(15)을 외측으로 밀어내어 의자프레임(11)은 점차 수평을 유지하는 형식으로 펼쳐지게 된다.
즉, 모터(17)의 동력이 모터기어(18)와 회전기어(19)를 구동하여 스크류(20)를 회전시키므로서 상기 스크류(20)에 결합된 승강구(21)가 상승하게 되어 의자프레임(11)의 안쪽을 상승시키게 되면 상기 의자프레임(11)의 하단에는 홀더(23)가 고정되어 아암 형식의 작동간(15)이 바깥쪽으로 밀려나게 되어 상기 작동간(15)은 축봉(16)을 기점으로 이동하여 결국 의자프레임(11)은 절첩판(22)을 기점으로 각운동하면서 펼쳐지게 되어 의자(10)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펼치는 작동을 함에 있어서, 모터(17)의 과도한 작동을 제어하여 승강구(21)가 정지하는 임의의 지점에 리미트스위치(26) 등 제어수단을 구비하므로서 작동중에 과도한 작동과 정지되는 정확한 지점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치를 작동하여 모터(17)의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벽 부착형 의자(10)를 자동을 절첩하거나 펼쳐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앞서 설명한 바와 반대의 작동으로 소형의 부피로 절첩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펼치는 작동에 대비되는 절첩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을 펼쳐서 의자(10)로 사용하고, 절첩할 경우는 스위치를 작동하여 모터(17)를 역방향으로 구동하게 되면, 모터기어(18)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모터기어(18)와 접동된 회전기어(19) 역시 역회전하게 되므로 스크류(20)도 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20)의 역회전에 따라 상부로 이동한 승강구(21)는 반대로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승강구(21)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절첩판(22)에 고정된 의자프레임(11)의 안쪽은 승강구(21)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 바, 의자프레임(11)의 하부측 바깥에는 홀더(23)에 의해 작동간(15)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승강구(21)의 안쪽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작동간(15)의 상부측 홀더(23)는 안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상기 작동간(15)을 지지하는 홀더(23)가 안쪽으로 당겨지면서 의자프레임(11)이 경사지게 안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작동간(15)은 하부의 축봉(16)을 기점으로 점차적으로 수직상태로 각운동하게 되어 최종 도 4와 같은 상태로 의자프레임(11)은 절첩판(22)을 기점으로 수직이동하고, 홀더(23)는 원호형으로 이동하여 의자프레임(11)이 완전히 수직으로 서게 되면 소형으로 절첩이 완료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승강구(21)가 스크류(20)의 회전으로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적정위치까지 내려오면 별도로 리미트스위치(26)가 취부되어 상기 승강구(21)가 리미트스위치(26)를 작동하게 되어 일정거리만큼만 하강이 가능하게 되어 과부하로 인한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벽 부착형 의자(10)를 구성하되, 기존 선출원 고안과 같이 사용자가 일일이 의자프레임(11)을 펼쳐서 지지하거나 지지수단을 제거하여 절첩하는 동작을 수동으로 하지 않고 스위치를 작동하여 자동으로 의자프레임(11)을 펼치거나 절첩하여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가치가 우수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로 아파트나 주택 등 가정의 현관이나 병원 등 공공건물의 실내의 벽면에 간단히 설치하여 필요할 경우는 자동으로 의자프레임(11)을 펼쳐서 일반적인 의자(10)로 사용하고, 필요없을 경우는 간단하게 스위치를 작동하여 자동으로 소형의 부피로 절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좁은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하며, 특히 가정의 현관이나 공공건물 등에 설치할 경우는 장애인이나 어린이 등 보행에 익숙치 못한 경우 스위치의 작동으로 의자프레임(11)을 펼쳐서 설치한 다음 앉은 상태에서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기가 용이하도록 하여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고 안이다.

Claims (1)

  1. 벽 부착용 자동 절첩식 의자(10)를 구성함에 있어서, 벽체에 부착하는 한쌍의 수직포스트(12)와, 이의 상하에 부착되는 상부플레이트(13)와 하부플레이트(14)의 사이에는 수직으로 캡(24)과 베어링(25)에 의해 회전가능한 스크류(20)를 설치하되,
    상기 스크류(20)에는 절첩판(22)이 고정된 승강구(21)를 결합하여 상기 절첩판(22)을 의자프레임(11)과 연결하여 절첩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의자프레임(11)의 저면측에는 홀더(23)를 취부하여 아암 형식으로 된 작동간(15)을 결합하여 각 수직포스트(12)의 양측 하단측에 축봉(16)으로서 고정하여 축봉(16)을 기점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구성하며,
    상기 스크류(20)의 하단에는 회전기어(19)를 설치하고, 이에 접동되는 모터기어(18)는 모터(17)에 의해 구동되게 하부플레이트(14)의 하단에 설치하여 상기 모터(17)의 구동력이 모터기어(18)에 접동된 회전기어(19)를 구동하게 되고, 회전기어(19)와 동축상에 축설된 스크류(20)가 회전하여 승강구(21)가 스크류(20)를 따라 승강하므로서 의자프레임(11)이 절첩판(22)을 기점으로 수직으로 절첩되거나 수평으로 펼쳐질 수 있게 하며,
    상기 승강구(21)의 승강거리를 제어하는 수단은 적정 위치에 리미트스위치(26)를 취부하므로서 승강구(21)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KR2020060012674U 2006-05-12 2006-05-12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KR2004243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674U KR200424329Y1 (ko) 2006-05-12 2006-05-12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674U KR200424329Y1 (ko) 2006-05-12 2006-05-12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329Y1 true KR200424329Y1 (ko) 2006-08-18

Family

ID=4177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674U KR200424329Y1 (ko) 2006-05-12 2006-05-12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32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873A (ko) * 2014-11-27 2015-01-15 주식회사 한영엔지니어링 3d 패러글라이딩 체험 장치
KR101746365B1 (ko) 2017-02-27 2017-06-12 이유숙 관공서용 접이식 유아의자
KR20220149109A (ko) * 2021-04-30 2022-11-08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벽면 장착형 노약자용 의자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873A (ko) * 2014-11-27 2015-01-15 주식회사 한영엔지니어링 3d 패러글라이딩 체험 장치
KR101628544B1 (ko) * 2014-11-27 2016-06-08 주식회사 한영엔지니어링 3d 패러글라이딩 체험 장치
KR101746365B1 (ko) 2017-02-27 2017-06-12 이유숙 관공서용 접이식 유아의자
KR20220149109A (ko) * 2021-04-30 2022-11-08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벽면 장착형 노약자용 의자기구
KR102526020B1 (ko) * 2021-04-30 2023-04-26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벽면 장착형 노약자용 의자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4329Y1 (ko)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KR20130095472A (ko) 발코니 가변형 구조를 갖는 창호
KR100942306B1 (ko) 서랍식 발코니
KR20090025457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소변기
JP7299627B2 (ja) プレハブ式衛生設備モジュールキット
CN205251031U (zh) 一种升降式儿童安全床
KR200382349Y1 (ko)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KR200414828Y1 (ko)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US20080010740A1 (en) Motorized bathtub seat apparatus
KR20110065240A (ko) 벽걸이 침대
KR100968703B1 (ko) 이동수단을 구비한 상향식 전동스크린
KR200333979Y1 (ko)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KR20120133228A (ko) 엘리베이터의 접이식 디딤판
KR20190120873A (ko) 엘리베이터용 간이의자
CN1074495C (zh) 微型住宅
KR20190004884A (ko) 이동식 회전 가변주택
KR200449540Y1 (ko) 슬라이드레일형 프로젝터 리프터
KR101040080B1 (ko) 벽면부착용 기능성 의자
KR200410638Y1 (ko)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KR101734521B1 (ko) 접이식 간이 의자
KR200382348Y1 (ko)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CN216148386U (zh) 一种具有收折式遮阳帘机构的轮椅
CN217658676U (zh) 一种脚箱可升降的取暖桌
KR200371580Y1 (ko)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CN218406103U (zh) 一种采光屋顶建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3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