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580B1 - 국소 투여용 나노에멀젼 - Google Patents

국소 투여용 나노에멀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580B1
KR101199580B1 KR1020080076738A KR20080076738A KR101199580B1 KR 101199580 B1 KR101199580 B1 KR 101199580B1 KR 1020080076738 A KR1020080076738 A KR 1020080076738A KR 20080076738 A KR20080076738 A KR 20080076738A KR 101199580 B1 KR101199580 B1 KR 101199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emulsion
weight
skin
oil
skin perme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8118A (ko
Inventor
최명준
조주현
Original Assignee
(주)에델프라우
최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델프라우, 최명준 filed Critical (주)에델프라우
Priority to KR1020080076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580B1/ko
Priority to PCT/KR2009/004271 priority patent/WO2010016686A2/ko
Publication of KR20100018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93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1Emulsions characterized by droplet sizes below 1 mic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오일 1-10 중량부, PEG-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5-40 중량부, 레시틴 0.5-10 중량부, 피부 투과 촉진제 0.5-10 중량부, 및 물 20-90 중량부를 포함하는 활성성분 함유 국소 투여용 나노에멀젼,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의약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국소 투여용 나노에멀젼{Nanoemulsion for topical administration}
본 발명은 국소 투여용 나노에멀젼, 그 제조방법, 그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의약품, 및 그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에 국소 투여 시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물에 희석시 나노에멀젼 상태가 유지되고, 방부제에 비해 활성성분만 선택적 피부투과가 가능하고, 수용성 및 지용성 약물과 단백질 약물 모두에 적용할 수 있고, 활성성분 이외에 나노에멀젼 자체가 미백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에멀젼, 그 제조방법, 그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의약품, 및 그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알부틴은 티로신의 산화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제 억제제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기능성 미백 물질로 인정되어 미백화장품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물질이다. 그러나, 이 물질은 피부 투과가 어려워 실제적인 효과를 보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S. Bian, M-K Choi, H. Lin, J, Zheng, S-J Chung, C-K Shim, D-D Kim, Deformable liposomes for topical skin delivery of arbutin. J Kor Pharm Sci. 36: 293-304, 2006). 또한, 알부틴 이외에도 비타민 C, 아데노신, 보톡스 유 사 펩타이드, 피크노제놀, 글루코실헤스페리딘, 세라마이드와 같은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 원료의 경우도 피부 투과가 어려워 실질적인 효과를 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메토트렉세이트(MTX)는 심한 건선, 아토피 및 관절염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엽산 길항제 (folic acid antagonist)로서 항암 및 면역조절능이 알려진 약물이다. 현재 건선의 전신 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약물이기는 하지만 부작용이 심해 이를 감소시킬 목적으로 피부를 통한 국소 건선 치료제로 개발하려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MTX는 피부투과가 어려워 국소 건선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경피 흡수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M. Trotta, E. Peira, M.E. Carlotti, M. Gallarate, Deformable liposomes for dermal administration of methotrexate. Int J Pharma. 270: 119-125, 2004). MTX 이외에도 피부 질환 치료용 의약의 경피 흡수 촉진을 위한 제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능성 화장품 원료 및 피부 질환 치료용 의약품의 경피 흡수 촉진을 위한 방법으로서 물질 자체의의 지용성을 높이는 방법, 리포좀 또는 마이크로에멀젼으로 제제화 하는 방법, 이온토포레시스를 적용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M. Trotta, E. Peira, M.E. Carlotti, M. Gallarate, Deformable liposomes for dermal administration of methotrexate. Int J Pharma. 270: 119-125, 2004; M.J. Alvarez-Figueroa, M.B. Delgado-Charro, J. Blanco-Mendez, Passive and iontophoretic transdermalpenetration of methotrexate. Int J Pharma. 212: 101-107, 2001; M.J. Alvarez-Figueroa, J. Blanco-Mendez, Transdermal delivery of methotrexate: iontophoretic delivery from hydrogels and passive delivery from microemulsion. Int J Pharm. 215: 57-65, 2001; D.D. Verma, A. Fahr, Synergistic penetration enhancement effect of ethanol and phospholipids on the topical delivery of cyclosporin A. J Control Release, 97: 55-66, 2004; J. Guo, Q. Ping, G. Sun, C. Jiao, Lecithin vesicular carriers for transdermal delivery of cyclosporin A, Int J Pharm. 194: 201-207, 2000). 그러나, 물질 자체의 지용성을 높이는 방법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 한계가 있으며, 리포좀 및 마이크로에멀젼과 같은 지질 미립구로 제조하는 방법은 활성성분의 피부투과를 촉진시키기는 하지만 충분한 효과를 얻기 용이하지 않다. 또한,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효과적이기는 하나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하여 편리하게 적용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리포좀과 마이크로에멀젼을 이용한 MTX 피부투과 관련 논문에 따르면, 이들 제제를 이용한 MTX의 피부투과 개선 효과가 개시되어 있다(M. Trotta, E. Peira, M.E. Carlotti, M. Gallarate, Deformable liposomes for dermal administration of methotrexate. Int J Pharma. 270: 119-125, 2004; M.J. Alvarez-Figueroa, J. Blanco-Mendez, Transdermal delivery of methotrexate: iontophoretic delivery from hydrogels and passive delivery from microemulsion. Int J Pharm. 215: 57-65, 2001). 이러한 제제는 경피 흡수가 촉진되기는 하지만 만족할 만한 정도의 효과를 유발할 정도로 충분한 정도에 이르지는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기능성 화장품 원료 또는 피부 질환 치료용 약물의 경피 흡수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는 제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능성 화장품 원료 및 피부 질환 치료용 약물의 경피 흡수를 충분히 증가시킬 있는 제제의 개발을 위해 노력한 결과, 공계면활성제로서 레시틴와 계면활성제로서 PEG-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고 피부 투과 촉진제를 추가로 포함시켜 나노에멀젼이 수용성 물질, 지용성 물질, 펩타이드 및 단백질 약물 모두를 효과적으로 피부를 통해 투과시킬 수 있고, 약물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제 자체의 안정성 또한 높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성 물질, 지용성 물질, 펩타이드 및 단백질을 포함한 다양한 약물의 경피 흡수를 증진시킬 수 있고, 우수한 제제학적 특성을 가진 나노에멀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우수한 제제학적 특성을 가진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우수한 제제학적 특성을 가진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의약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일 1-10 중량부, PEG-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5-40 중량부, 레시틴 0.5-10 중량부, 피부 투과 촉진제 0.5-10 중량부, 및 물 20-90 중량부를 포함하는 활성성분 함유 국소 투여용 나노에멀젼 을 제공한다.
상기 국소 투여용 나노에멀젼은
레시틴을 에탄올 또는 부틸렌글리콜에 용해하여 레시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레시틴 용액에 PEG-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및 오일을 부가하고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교반하면서 물을 부가하여 나노에멀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에멀젼에 피부 투과 촉진제를 부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활성성분의 수용성에 따라 상기 오일 또는 물에 상기 활성성분을 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국소 투여용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국소 투여용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의약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전체가 참고로 통합된다.
본 발명자들은 알부틴 등과 같은 기능성 화장품 원료 및 메토트렉세이트와 같은 피부 질환 치료용 의약의 경피 흡수를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는 제제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계면활성제로서 PEG-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공계면활성제로서 레시틴을 이용하고, 피부 투과 촉진제를 추가적으로 포함시켜 제조된 나노에멀젼이 활성성분의 경피 흡수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제를 개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오일 1-10 중량부, PEG-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5-40 중량부, 레시틴 0.5-10 중량부, 피부 투과 촉진제 0.5-10 중량부, 및 물 20-90 중량부를 포함하는 활성성분 함유 국소 투여용 나노에멀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에멀젼은 오일 3-6 중량부, PEG-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15-25 중량부, 레시틴 2-4 중량부, 피부 투과 촉진제 2-4 중량부, 및 물 30-7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국소 투여용 나노에멀젼은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알콜, 글리세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알콜을 더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콜은 공계면활성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활성성분의 피부투과를 촉진시키고 피부에 보습효과를 부여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콜은 상기 나노에멀젼에 5-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나노에멀젼에 포함되는 오일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헥실데칸올, 세틸 카프릴레이트, 대두유, 동백유, 달맞이종자유, 엠유 (emu) 오일, 호박씨오일 (Pumpkin seed oil), 보라지 오일 (Borage oil) 또는 이들 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나노에멀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임의의 오일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나노에멀젼에 포함되는 레시틴은 인지질의 일종으로서, 대두 또는 달걀에서 추출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이를 보다 정제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이 30 내지 95 중량%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이 70 중량% 이상인 레시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나노에멀젼에 포함되는 피부 투과 촉진제는 폴록사머, 폴리소르베이트 20, 네롤리돌, 2-n-노닐-1,3-디옥솔란, 유레아, 리모넨, 또는 이들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부 투과 촉진제로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피부 투과 촉진제가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피부 투과 촉진제로서 바람직하게는 폴록사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록사머에 다른 임의의 피부 투과촉진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조합으로는 폴록사머 및 폴리소르베이트 20의 조합 또는 폴록사머 및 리모넨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피부 투과 촉진제는 일반적으로 화장품 분야나 경피 투여 의약품에서 활성성분의 경피 흡수 촉진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 조성을 가짐으로써 활성성분의 경피 흡수 촉진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은 나노 크기 범위의 지질 입자를 가진 수중유(o/w) 에멀젼이며, 종래의 나노에멀젼의 통상적인 지질 미립구의 크기가 100 ~ 200 nm인데 반해, 약 10 ~ 30 nm의 미세한 크기의 지질 미립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은 수용성 물질, 지용성 물질, 및 단백질 약 물 모두에 대해 피부투과를 촉진시킬 수 있어 활성성분의 물성에 관계없이 국소 투여에 이용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물에 희석 시 나노에멀젼의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으며, 희석된 상태에서도 나노에멀젼 입자의 크기가 변화하지 않고 활성성분의 피부 투과를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장품 토너 용액, 에센스, 크림 등에 나노에멀젼을 희석하여도 나노에멀젼이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고 기능성 화장품 성분의 피부 투과 효과도 우수하여 화장품의 제조에 특히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은 방부제를 첨가하여 제조시 방부제에 대해 활성성분의 선택적 피부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의약품 또는 화장품의 제조에 필수 불가결하게 사용되는 방부제에 의한 피부의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은 그 구성성분으로 이용하는 레시틴 중의 포스파티딜콜린 성분이 피부에 대한 미백효과가 있어 주된 활성성분의 효과 이외에도 추가로 미백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미백용 화장품의 제조에 있어 보다 유리한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은 고압유화와 같은 격렬한 반응 조건을 부가하지 않고 단순한 혼합 처리에 의해 제조될 수 있어, 매우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레시틴을 에탄올 또는 부틸렌글리콜에 용해하여 레시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레시틴 용액에 PEG-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및 오일을 부가하고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교반하면서 물을 부가하여 나노에멀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에멀젼에 피부 투과 촉진제를 부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활성성분의 용해도에 따라 상기 오일 또는 물에 상기 활성성분을 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 조성물은 상기 구성성분을 부가 순서에 상관없이 단순히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조방법과 같은 순서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나노에멀젼을 형성시키는데 있어 보다 효율적이다.
상기 제조방법은 실온 중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혼합은 교반, 보르텍싱 처리, 또는 초음파 처리 등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활성성분이 지용성일 경우 오일에 활성성분을 용해한 다음 상기 제조방법을 수행하며, 활성성분이 수용성일 경우 물에 활성성분을 용해한 다음 상기 제조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국소 치료용 나노에멀젼은 화장품 또는 국소 투여용 의약품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화장품의 제조에 이용될 경우, 상기 나노에멀젼 중의 활성성분은 임의의 기능성 화장품 활성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부틴, 비타민 C, 아데노신, 유용성 감초, 세라마이드, 보톡스 유사 펩타이드, 피크노제놀, 글루코실 헤스페리딘, 또는 이들이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품은 상기 나노에멀젼 이외에 화장품 분야에서 허용 가능한 담체, 첨가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담체로서 통상적인 토너, 에센스, 또는 크림을 이용하여, 토너, 에센스 또는 크림 중에 상기 나노에멀젼을 희석하여서 화장품을 제조할 수도 있으며, 상기 나노에멀젼 그 자체로 화장품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은 희석 시에도 제제 안정성이 높아 희석하여 사용되는 화장품이 제조에 있어서 특히 유리하다. 상기 첨가제로는 화장품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허용 가능한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감잎 추출물, 버드나무피 추출물, 쌍백피 추출물, 유근피 추출물, 루이보스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한방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로는 화장품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허용 가능한 방부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페녹시에탄올(PE), 프로필 파라벤(PP), 메틸 파라벤(MP), 또는 이들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방부제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의 제조 시에 첨가할 수 도 있고, 나노에멀젼의 제조 후에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의약품을 제공한다.
의약품의 제조에 이용될 경우, 상기 나노에멀젼 중의 활성성분은 국소 투여를 위한 약리활성성분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토트렉세이트, 파클리탁셀, 사이클로스포린 A, 비타민 D와 그의 유도체, 우루시올과 그의 유도체, 또는 이들이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의약품은 상기 나노에멀젼 이외에 약제학 분야에서 허용 가능한 첨가제 또는 방부제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의약품은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의 제제화 기술에 기초하여 당업자가 적절하게 제조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국소 투여용 나노에멀젼은 수용성 물질, 지용성 물질, 및 단백질 약물 모두에 대해 피부투과를 촉진시킬 수 있어 활성성분의 물성에 관계없이 국소 투여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물에 희석 시 나노에멀젼의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으며, 희석된 상태에서도 나노에멀젼 입자의 크기가 변화하지 않고 활성성분의 피부 투과를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장품 토너 용액, 에센스, 크림에 나노에멀젼을 희석하여도 나노에멀젼의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고 기능성 화장품 성분의 피부 투과 효과도 우수하여 화장품의 적용에 특히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은 방부제를 첨가하여 제조 시 방부제에 대해 활성성분의 선택적 피부투과가 이루어질 수 있어 방부제에 의한 피부의 부작용을 감소시키면서 활성성분의 효과는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은 그 구성성분으로 이용하는 레시틴 중의 포스파티딜콜린 성분이 피부에 대한 미백효과가 있어 주된 활성성분의 효과 이외에도 추가로 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은 고압유화와 같은 격렬한 반응 조건을 부가하지 않고 단순한 혼합 처리에 의해 제조될 수 있어, 매우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 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9
알부틴 함유 나노에멀젼의 제조-1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레시틴을 에탄올에 녹인 후 PEG-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LAS)와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IPM)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이 완전히 섞인 후에 교반하면서 증류수 중에 용해된 알부틴 수용액을 가하여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피부 투과 촉진제로서, 폴록사머(PX), 2-n-노닐-1,3-디옥솔란(SEPA), 네롤리돌(NOR), 폴록사머+NOR, 폴록사머+유레아, 또는 폴록사머+폴리소르베이트20(T20)을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을 각각 제조하였다. 그리하여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9의 나노에멀젼은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08056359853-pat00001
실시예 10-14
알부틴 함유 나노에멀젼의 제조-2
하기 표 2의 조성을 갖는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레시틴을 1,3-부틸렌글리콜(1,3-BG)에 녹인 후 PEG-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LAS)와 CC168(세틸 카프릴레이트)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이 완전히 섞인 후에 교반하면서 증류수 중에 용해된 알부틴 수용액 및 미백 효능이 알려진 몇 가지 식물추출물(감잎 추출물, 쌍백피 추출물, 보탄피, 버드나무피 추출물)을 첨가하고 30 분간 상온에서 교반하여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피부 투과 촉진제로서 폴록사머+폴리소르베이트 20(Tween 20)을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을 각각 제조하였다. 그리하여 제조된 실시예 10 내지 14의 나노에멀젼은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을 가진다.
[표 2]
Figure 112008056359853-pat00002
실시예 15-16
고농도 알부틴 함유 나노에멀젼의 제조-3
하기 표 3의 조성을 갖는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레시틴을 에탄올 또는 부틸렌글리콜에 녹인 후 PEG-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LAS)와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IPM)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이 완전히 섞인 후에 교반하면서 증류수 중에 용해된 알부틴 수용액을 가하여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피부 투과 촉진제로서, 폴록사머+폴리소르베이트 20(Tween 20)을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을 각각 제조하였다. 그리하여 제조된 실시예 15 내지 16 의 나노에멀젼은 하기 표 3과 같은 조성을 가진다.
[표 3]
Figure 112008056359853-pat00003
실시예 17-18
MTX 함유 나노에멀젼의 제조-1
하기 표 4의 조성을 갖는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레시틴을 에탄올에 녹인 후 PEG-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LAS)와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IPM)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이 완전히 섞인 후에 교반하면서 증류수 중에 용해된 MTX 수용액을 가하여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피부 투과 촉진제로서, 폴록사머+폴리소르베이트 20(Tween 20)을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을 각각 제조하였다. 그리하여 제조된 실시예 17 내지 18의 나노에멀젼은 하기 표 4과 같은 조성을 가진다.
[표 4]
Figure 112008056359853-pat00004
실시예 19-22
MTX 함유 나노에멀젼의 제조-2
하기 표 5의 조성을 갖는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레시틴을 에탄올에 녹인 후 PEG-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LAS)와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IPM)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이 완전히 섞인 후에 교반하면서 증류수 중에 용해된 MTX 수용액을 가하여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피부 투과 촉진제로서, 폴록사머+리모넨 (LM, 실시예 19), 폴록사머+SEPA (PS, 실시예 20), 폴록사머+네롤리돌 (PN, 실시예 21), 폴록사머+리나눌 (PL, 실시예 22), 또는 폴록사머+폴리소르베이트20(T20, 실시예 18)을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을 각각 제조하였다. 그리하여 제조된 실시예 19 내지 22의 나노에멀젼의 조성은 하기 표 5와 같다.
[표 5]
Figure 112008056359853-pat00005
실시예 23
MTX 함유 나노에멀젼의 제조-3
레시틴을 에탄올과 1,3-부틸렌글리콜에 녹인 후 PEG-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LAS)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이 완전히 섞인 후에 교반하면서 MTX를 녹인 증류수 및 식물추출물(루이보스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유근피 추출물, 버드나무피 추출물)을 첨가하고 30 분간 상온에서 교반하여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피부 투과 촉진제로서 폴록사머+리모넨을 부가하고, 방부제인 페노닙(phenonip)을 부가하고 교반하여 완성하였다. 상기 함유된 각 성분의 함량은 다음과 같다: MTX (1 중량%), 레시틴(2 중량%), IPM (3 중량%), LAS (15 중량%), 에탄올(5 중량%), 1,3-부틸렌디글리콜(5 중량%), 목단피추출물(2 중 량%), 루이보스 추출물(3 중량%), 유근피 추출물(3 중량%), 버드나무피 추출물 (willow bark, 5 중량%), 폴록사머(1 중량%), 리모넨(1 중량%), 방부제인 페노닙(0.1 중량%), 증류수(48.9 중량%).
실시예 24
사이클로스포린 A 함유 나노에멀젼의 제조
레시틴과 사이클로스포린 A를 에탄올에 녹인 후 PEG-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LAS)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이 완전히 섞인 후에 교반하면서 증류수을 첨가하고 30 분간 상온에서 교반하여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피부 투과 촉진제로서 폴록사머+리모넨을 부가하고 교반하여 완성하였다. 상기 함유된 각 성분의 함량은 다음과 같이 하다: 사이클로스포린 A (1 중량%), 레시틴(2 중량%), IPM (3 중량%), LAS (20 중량%), 에탄올(10 중량%), 폴록사머(1 중량%), 리모넨(1 중량%), 증류수(62 중량%).
실시예 25
항산화제 피크노제놀 함유 나노에멀젼의 제조
레시틴을 1,3-부틸렌글리콜에 녹인 후 PEG-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LAS)와 CC168 (세틸 가프릴레이트)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이 완전히 섞인 후에 교반하면서 피크노제놀 분말을 부가하고 증류수을 첨가하고 30 분간 상온에서 교반하여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피부 투과 촉진제로서 폴록사머+Tween20을 부가하고 교반하여 완성하였다. 상기 함유된 각 성분의 함량은 다음과 같다: 피크노제놀 (2 중량%), 레시틴(4 중량%), IPM (6 중량%), LAS (25 중량%), 1,3-부틸렌 디글리콜(10 중량%), 폴록사머(2 중량%), Tween20 (2 중량%), 증류수 (49 중량%).
실시예 26-29
EAE(Ethyl ascorbic ether) 함유 나노에멀젼의 제조
레시틴을 에탄올 또는 1,3-부틸렌글리콜에 녹인 후 PEG-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LAS)를 가하고,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또는 CC168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이 완전히 섞인 후에 교반하면서 증류수 중에 용해된 EAE(ethyl ascorbic ether) 수용액을 가하고 30 분간 상온에서 교반하여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피부 투과 촉진제로서 폴록사머 및 폴리소르베이트 20(Tween 20)을 부가하고 혼합하여 완성하였다.
상기 나노에멀젼의 제조 시 함유된 각 성분의 함량은 하기 표 6과 같다.
[표 6]
Figure 112008056359853-pat00006
실시예 30-32
EGF 함유 나노에멀젼의 제조
레시틴을 1,3-부틸렌글리콜 또는 에탄올에 녹인 후 PEG-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LAS)를 가하고, CC168 또는 IPM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이 완전히 섞인 후에 교반하면서 증류수 중에 용해된 EGF(epidermal growth factor) 수용액을 가하고 30 분간 상온에서 교반하여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피부 투과 촉진제로서 폴록사머 및 폴리소르베이트 20(Tween 20)을 부가하고 교반하여 완성하였다. 실시예 32에서는 아데노신 분말을 EGF 용액을 첨가하기 전에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함유된 각 성분의 함량은 표 7과 같다.
[표 7]
Figure 112008056359853-pat00007
실험예 1: in vivo 피부투과실험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나노에멀젼 그 자체로 자원자의 팔 안쪽 부위에 도포하거나, 나노에멀젼을 화장품 (토너)에 희석하여 도포하는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도포한지 1 시간 후에 Transpore3M로 테이프 스트리핑(tape stripping)을 하였다. 각 테이프를 카운팅 바이얼(counting vial)에 담아 PBS 완충용액 3 mL로 밤새 교반한 후 강하게 보르텍싱하여 알부틴을 추출한 다음 HPLC로 분석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실시예와 동일한 농도의 알부틴 수용액(대조군 1), 피부 투과 촉진제를 첨가하지 않은 나노에멀젼(대조군 2)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Figure 112008056359853-pat00008
실험예 2: in vitro 피부투과실험
(1) 알부틴 함유 나노에멀젼의 in vitro 피부투과실험
피부 투과 촉진제로서 폴록사머 및 폴리소르베이트 20을 함유하는 실시예 8에 대해 in vitro 피부투과실험을 수행하였다. 무모 생쥐(hairless mouse)의 등 부위 및 배 부위에 있는 피부를 실험에 사용하였고, 구체적으로는 마우스의 꼬리 부분근처를 가위로 절제한 후 적당한 크기로 피부를 제조하였다. 피부에 존재하는 지방을 제거한 후에 그 피부를 프란쯔 확산 셀(Franz diffusion cell)에 올려놓고 나노에멀젼을 피부 위에 올려놓았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확산 셀에서 0.6 ml를 채취하고, 다시 0.6ml를 보충하는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12 또는 23 시간 이후에 피부를 분리한 후에 증류수와 PBS 완충용액으로 피부를 철저히 세척한 후 PBS 완충용액 3 ml을 첨가하여 3 분간 균질화(homogenization)하고, 원심 분리한 후 상등액을 취하여 알부틴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피부 내에 존재하는 알부틴 외에 피부를 통과한 알부틴의 정량은 HPLC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서 동일한 농도의 알부틴 수용액(대조군 1), 피부 투과 촉진제를 첨가하지 않은 나노에멀젼(대조군 2)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의 경우 피부투과 시간이 단축되고 경피흡수되는 알부틴의 양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피부 투과 촉진제가 존재하지 않는 나노에멀젼인 대조군 2의 경우는 알부틴 수용액(대조군 1) 보다는 피부 투과를 촉진하지만 실시예 8의 나노에멀젼에 비해 알부틴의 피부 투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피부에 잔존하는 알부틴의 함량을 측정 시에는 각질층에는 알부틴 수용액의 경우(대조군 1)가 알부틴이 가장 많이 존재하지만, 표피 및 진피에는 대조군 2 및 실시예 8의 나노에멀젼의 경우가 알부틴 함량이 증가한다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이 알부틴의 피부 투과를 약 20 배 정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14 중량% 알부틴 함유 나노에멀젼을 희석할 경우 in vitro 피부투과실험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의 피부투과 촉진 효과에 있어서, 희석하여 제조되는 화장품에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5에서 제조된 14 중량% 알부틴 함유 나노에멀젼을 희석하여 2.1 중량% 함유 알부틴으로 한 다음, 상기 in vitro 피부투과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투과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나노에멀젼 15 중량%와 화장품 (토너, 크림, 에센스) 85 중량%를 혼합하여 피부투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희석에 사용된 화장품으로서 토너는 1,3-BG (3 중량%), 글리세린 (2 중량%), 에탄올 (5 중량%), 메칠파라벤 (1.1 중량%), 페녹시에탄올 (0.15 중량%), PEG-40 수첨된 카스터 오일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0.4 중량%), 향 (0.1 중량%), 증류수 (89.25 중량%)함유하는 것을 사용하였고, 에센스는 1,3-BG (5 중량%), 글리세린 (4 중량%), 하이드록시 에칠 셀루로즈 (0.04 중량%), 카아보폴 (0.1 중량%), 메칠파라벤 (0.1 중량%), 페녹시에탄올 (0.16 중량%), 에탄올 (5 중량%), 디메치콘 (0.5 중량%), PEG-40 수첨된 카스터오일 (0.5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 중량%), 향 (0.15 중량%) 및 증류수 (84.36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였고, 크림은 BG (5 중량%), 글리세린 (4 중량%), 카이보폴 (0.3 중량%), 메칠파라벤 (0.15 중량%), 페목시에탄올 (0.1 중량%), 스테아릭산 (1.5 중량%), 글릴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0.8 중량%), 레시틴 (0.6 중량%), 조조바오일 (3 중량%), 미네랄 오일 (5 중량%), 디메치콘 (1 중량%), 세칠알코올 (0.8 중량%), 부칠레이트 하이드록시통루엔 (0.03 중량%), 부칠파라벤 (0.1 중량%), 프로필 파라벤 (0.1 중량%), 바세린 (0.8 중량%), 멀티왁스 (0.5 중량%), 비타민 E (0.5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5 중량%, 및 증류수 (75.47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피부 투과 촉진제 자체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상기 토너에 상기 실시예 15의 희석액과 동일한 조건의 피부 투과 촉진제 및 알부틴을 함유한 수용액(대조군 2) 및 알부틴만을 함유한 수용액(대조군 1)과 비교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은 희석 시에도 알부틴의 피부투과를 현저히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부 투과 촉진제만이 부가된 알부틴 수용액에 비해서 현저히 높은 피부 투과 효과를 나타내었다.
토너 외에 에센스와 크림의 경우에도 대조군에 비해 나노에멀젼 함유 에센스와 크림에서 알부틴의 피부투과가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알부틴 함유 나노에멀젼에 방부제를 부가할 경우의 in vitro 피부투과실험
상기 실시예 12의 나노에멀젼에 대해서도 상기 in vitro 피부투과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in vitro 피부투과실험을 수행하였다. 다만, 알부틴의 경피 흡수 외에 방부제를 첨가하여 경피 흡수를 함께 측정하였다.
방부제(메칠파라벤 (MP), 프로필파라벤 (PP), 페녹시에탄올 (PE))를 상기 실시예 12의 나노에멀젼의 제조 시(오일과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때) 첨가하는 경 우(Nano-BE)와 나노에멀젼의 제조 후에 첨가하는 경우(Nano-BF)를 대조군으로서 일반제형(상기 토너)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수용체"는 피부를 통과한 부위를 말하며, 피부 밑에 있는 완충용액 중에 존재하는 약물의 양을 말한다.
도 3의 결과에 따르면, 대조군의 경우 알부틴의 피부투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실시예 12의 나노에멀젼의 경우 알부틴이 피부투과를 잘 할 뿐 아니라 피부에 남아있는 양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방부제의 부가에 상관없이,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이 활성성분의 피부투과를 촉진시킨다는 것을 말해준다. 피부 투과된 알부틴의 양은 대조군에 비해 10 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피부에 남아있는 알부틴의 양은 대조군과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마우스 피부의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피부에 누적되는 양에 한계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별도로, 상기 실험에서 방부제로서 페녹시에탄올(PE), 프로필 파라벤(PP), 또는 메틸 파라벤(MP)를 각각 부가할 경우에 대해서 상기 in vitro 피부투과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투과실험을 수행하고, 피부내에 존재하는 방부제의 함량 (스킨 내 함량)과 피부를 통과한 방부제의 함량 (수용체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 및 5와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
Figure 112008056359853-pat00009
도 4, 5, 및 표 9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 제제에서 방부제의 피부투과를 다른 일반 제제와 비교 시, 알부틴과는 달리 일반 제제(대조군)의 경우가 피부에 투과된 방부제의 함량이 훨씬 높게 측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예측하지 못한 결과로써 여러 차례 반복 실험을 수행한 결과 같은 양상으로 나타났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 제제는 알부틴의 피부투과는 촉진하지만 방부제의 피부투과는 억제하는 선택적 피부투과 양상을 보인다.
실험예 3: 미백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8과 12(도 7)에서 제조한 2 중량% 알부틴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에 대해 미백시험을 수행하였다. 대조군으로서 동일한 농도의 알부틴 수용액(대조군 1, 도 6과 7)과 도 7에서 사용한 대조군 2는 2 중량% 알부틴을 함유한 일반적인 토너(대조군 2, 도 7)를 이용하여 비교시험을 수행하였다. 도 7의 대조군 2에 사용된 일반토너는 2 중량% 알부틴, 10중량% 1,3-부틸렌글리콜, 첨가제 5중량%(보탄피, 감잎, 쌍백피, 버드나무피 추출물)를 함유하도록 하였다.
미백 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두 가지 세포주를 이용하였다. 완전히 암세포로 분화되기 전의 세포주인 melan-a(Non-tumorigenic cells)와 완전히 암세포로 분화가 일어났으며, 전이를 야기할 수 있는 B16 melanoma 세포주를 이용하여 미백 효능을 측정하였다. Melan-a 세포주가 정상 사람의 멜라닌 세포와 좀 더 가까운 세포주라 할 수 있다.
세포를 96 웰에 배양한 후 실시예 8 또는 12, 대조군 1 또는 2를 2 배씩 희석하면서 세포에 첨가하고 37℃, 5중량% 이산화탄소 환경에서 4-5일간 계속 배양하면서 외부로 생산해내는 멜라닌의 양을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6 및 7에 나타내었다.
도 6의 Melan-a 세포에 대한 미백활성 결과에 따르면, 대조군 1인 알부틴 수용액은 매우 높은 농도에서 약한 미백 활성을 보이는 반면,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은 매우 낮은 농도에서 대조군보다 훨씬 높은 미백활성을 나타내었다.
도 7의 결과에 따르면, 대조군 1인 알부틴 수용액은 매우 높은 농도에서 약하게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반면,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은 낮은 알부틴 농도에서도 매우 높은 미백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첨가제를 함유하는 일반 토너(대조군 2)는 대조군 1에 비해서는 높은 미백활성을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에 비해서는 현저히 낮은 미백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4: 알부틴의 안정성 측정
실시예 15와 16의 14중량% 알부틴 함유 나노에멀젼을 그대로 상온과 43도에서 보관하거나 2중량% 알부틴이 되도록 상기 토너에 희석한 것을 대상으로 시간의 경과(2주, 4주 8주, 및 4개월)에 따라 침전과 색깔 변화 유무를 관찰함으로써 안정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대조군으로는 14중량%의 알부틴 수용액(A)을 사용하였다.
도 8에 43℃에서 2 주, 4 주 8 주, 및 4 개월 경과 후의 각각의 시료의 사진을 나타내었다. 도 8의 결과에 따르면 43℃에서 색깔 변화를 관찰한 결과 알부틴 수용액(대조군, A)의 경우 심한 침전과 갈색으로 변하는 현상이 현저히 나타나는 반면 실시예 15 (B)와 실시예 16 (C)의 나노에멀젼(B, C)에서는 침전 및 색깔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이 알부틴 자체의 안정성을 현저히 높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4 중량%의 알부틴 나노에멀젼을 토너에 희석하여 2 중량% 알부틴이 되도록한 다음, 4, 상온, 43℃에 보관하면서 나노에멀젼의 입자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안정성을 관찰하였다.
도 9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을 화장품 토너에 희석할 경우 17 주간 입자 크기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은 제제 안정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MTX 함유 나노에멀젼의 피부투과 비교
상기 실시예 17의 메토트렉세이트(MTX) 함유 나노에멀젼과 대조군으로 MTX 수용액에 대해 in vitro 피부투과실험을 수행하였다. In vitro 피부투과실험을 진행하기 전에 먼저 나노 입자의 입자 크기를 분석하였다. 입자 크기 측정은 레이저광 산란법(laser light scattering method)으로 측정하였으며, 나노에멀젼을 증류수로 (10배 이상) 희석하여 측정하였으며, Nicomp 370, Particle Sizing System으 로 측정하였다. 입자들의 크기는 부피분포(volume distribution)로 구하였다. 측정 결과 나노에멀젼은 평균 입자 크기가 15-30 nm 정도였다. 이 정도의 입자 크기는 나노에멀젼이 투명하게 보일 정도의 입자 크기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7의 메토트렉세이트(MTX) 함유 나노에멀젼 및 대조군인 MTX 수용액에 대해 상기 실험예 2의 in vitro 피부투과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24시간 이후의 MTX 피부 투과량을 비교한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 따르면 대조군의 경우는 MTX가 거의 통과하지 않았으며, MTX 함유 나노에멀젼은 대조군에 비해 피부투과를 20 배 정도 더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에 남아있는 MTX의 양도 나노에멀젼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에 남아있는 정도가 피부를 통과한 정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실험예 6: MTX 농도에 따른 나노에멀젼의 피부투과 비교
MTX의 농도에 따른 피부투과 정도가 차이가 난다는 보고(MTX 농도가 0.3중량% 이상에서 피부투과 증가한다는 보고, (M.J. Alvarez-Figueroa, M.B. Delgado-Charro, J. Blanco-Mendez, Passive and iontophorwtic transdermal penetration of methotrexate. Int. J. Pharm. 212: 101-107, 2001)에 따라 MTX 농도에 따른 in vitro 피부투과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7 (MTX 농도 0.2 중량%) 및 18 (MTX 농도 0.5 중량%)의 MTX 함유 나노에멀젼에 대해 상기 실험예 2의 in vitro 피부투과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투과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조군으로서 각각의 농도에 해당하는 MTX 수용액을 제조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의 결과에 따르면, 대조군에 비해 나노에멀젼이 피부투과를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피부투과도 촉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농도가 증가하면 대조군과 나노에멀젼 모두 피부투과가 촉진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0.2%에 비해 2.5배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은 증가를 보이고 있다. 0.5중량% MTX 함유 나노에멀젼의 경우 24시간 이후에 약 6중량%(약 300mg) 정도가 통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7: 피부 투과 촉진제의 종류에 따른 MTX 나노에멀젼의 피부투과 비교
피부 투과 촉진제의 다양한 조합을 이용하여 제조된 상기 실시예 18(폴록사머+폴리소르베이트20,PT), 19(폴록사머+리모넨,LM), 20(폴록사머+SEPA, PS), 21(폴록사머+네롤리돌,PN), 22(폴록사머+리나눌,PL)에서 제조된 MTX 함유 나노에멀젼에 대해 상기 실험예 2의 in vitro 피부투과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투과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조군으로서 MTX 0.5중량% 농도의 수용액을 제조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에 따르면, 폴록사머와 함께 리모넨이 함유되어 있는 나노에멀젼(LM)에서 가장 높은 피부투과 촉진 효과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폴록사머와 함께 폴리소르베이트20이 함유된 에멀젼(PT)이 다음으로 나타났으며, 피부 투과 촉진 효과가 우수한 순서대로 나타내면, LM>PT>PS>PL>PN>대조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에 남아있는 양(deposition order)도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LM 보다 PT가 피부에 남아 있는 MTX의 양은 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피부에 남아있는 양이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PT>LM>PS>PN>PL>대조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8: MTX 나노에멀젼의 치료효과 검증
상기 실시예 23의 MTX 함유 나노에멀젼을 건선 환자의 피부에 도포하여 치료효과를 확인하였다. 건선 환자의 한쪽 팔의 건선 부위에만 도포하고, 다른 쪽 팔에는 적용하지 않아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하루에 한번씩 나노에멀젼을 한달간 도포한 다음, 각각의 환부를 관찰하였다. 치료한지 한 달 뒤에 환부를 촬영한 사진도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3의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 23의 MTX 함유 나노에멀젼을 도포한 환부에서 도포되지 않은 환부에 비해 건선 부위의 현저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실험예 9: EAE 나노에멀젼의 피부투과실험
상기 실시예 26 및 27의 EAE 함유 나노에멀젼에 대한 in vitro 피부투과실험을 실험예 2의 in vitro 피부투과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대조군으로는 5 중량%의 EAE 수용액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6 및 27 모두 대조군에 비해 매우 현저한 피부투과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실시예 27가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10: 사이클로스포린 A 나노에멀젼의 피부투과 실험
상기 실시예 24의 사이클로스포린 A 함유 나노에멀젼에 대한 in vitro 피부투과실험을 실험예 2의 in vitro 피부투과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실시예 24의 나노에멀젼을 증류수와 1:1로 희석하여 0.5 중량%로 사이클로스포린 A가 되도록 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0.5 중량%의 사이클로스포린 A를 함유하는 50% 에탄올 용액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50% 에탄올 용액에서는 7.7 ㎍의 사이클로스포린 A가 피부투과하였으며, 나노에멀젼의 경우 30 ㎍이 피부투과 하였다. 나노에멀젼은 50% 에탄올 용액에 비해 약 4배 이상의 피부투과 촉진 효과를 보였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나노에멀젼은 수용성 및 지용성 약물의 피부투과를 촉진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1: EGF 나노에멀젼의 피부투과실험
상기 실시예 30 내지 32의 EGF 함유 나노에멀젼에 대한 in vitro 피부투과실험을 실험예 2의 in vitro 피부투과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EGF (0.01 중량%)를 함유하는 나노에멀젼과 대조군으로는 PBS 용액(대조군 1), 0.01 중량%의 EGF 수용액(대조군 2)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15에 따르면, 대조군의 경우 수용체(피부를 통과한 부위)에서 EGF가 관찰되지 않지만 실시예 31의 EGF 나노에멀젼의 경우 피부투과가 일어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대조군 2인 EGF 수용액의 경우는 대조군 1과 같이 EGF 측정 스트립(strip)에서 전혀 관찰되지는 않지만 실시예 31의 EGF 나노에멀젼의 EGF 밴드가 진하게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나노에멀젼 중의 EGF가 무모생쥐의 피부를 통과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사람에게 적용했을 때, 표피와 진피에 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대조군 2와 나노에멀젼 (실시예 31)의 피부투과 실험 종료 후에 수용체 부분의 용액을 섬유아세포에 첨가하여 EGF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조군 2와 나노에멀젼의 수용체 용액을 섬유아세포 배양에 첨가하였다. 섬유아세포 (human fibroblast)를 배양하여 2x104/ml의 농도로 배지로 희석하여, 96 웰 플레이트에 135 ㎕/well로 분주하여 대조군 2와 나노에멀젼의 수용체 용액 10 ul를 96 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여 37℃, 5 중량% 이산화탄소에서 3일간 배양한 다음, 광학 현미경(100X)으로 관찰한 결과를 도 15에 함께 나타내었다. 도 15에 따르면 실시예 31의 나노에멀젼 그룹에서만 세포증식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이 단백질의 피부 투과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투과 시 단백질이 분해되지 않고 단백질의 활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단백질의 제제화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중요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은 알부틴, MTX, 및 EAE와 같은 분자량이 적은 물질 이외에도 단백질과 같은 분자량이 큰 물질까지 통과시킬 수 있는 피부투과 촉진 시스템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 중량% 알부틴 함유 나노에멀젼의 무모생쥐의 절제 피부를 통한 in vitro 피부투과실험 결과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14 중량% 알부틴 함유 나노에멀젼을 2 중량%로 희석한 것에 대해 무모생쥐의 절제 피부를 통한 in vitro 피부투과실험 결과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2 중량% 알부틴 함유 나노에멀젼에 방부제를 나노에멀젼 제조 시에 첨가하는 경우(Nano-BE)와 나노에멀젼의 제조 후에 첨가하는 경우(Nano-BF)에 대해, 무모생쥐의 절제 피부를 통한 in vitro 피부투과실험 결과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2 중량% 알부틴 함유 나노에멀젼에 방부제로서 페녹시에탄올(PE), 프로필 파라벤(PP), 메틸 파라벤(MP)를 각각 부가할 경우에 대해, 무모생쥐의 절제 피부를 통한 in vitro 피부투과실험을 수행하여 피부와 수용체 각각에 존재하는 방부제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양한 농도의 알부틴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에 대해, melan-a 세포주를 이용하여 멜라닌 형성 억제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양한 농도의 알부틴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에 대해, B16 melanoma 세포주를 이용하여 멜라닌 형성 억제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14 중량% 알부틴 수용액 (A), 14 중량% 알부틴 함유 나노에멀젼(B, C)을 대상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외관의 변화를 촬영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일 구현예에 따른 14중량% 알부틴 함유 나노에멀젼을 2 중량% 알부틴을 함유하도록 토너로 희석한 것을 실온 및 43℃에서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나노에멀젼 입자의 크기 변화를 측정하고 대조군(토너)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MTX 함유 나노에멀젼에 대한 무모 생쥐의 절제 피부를 통한 in vitro 피부투과실험 결과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0.2 중량% MTX 함유 나노에멀젼 및 0.5 중량% MTX 함유 나노에멀젼에 대한 무모 생쥐의 절제 피부를 통한 in vitro 피부투과실험 결과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0.5 중량% MTX 함유하고 다양한 피부 투과 촉진제의 조합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에 대한 무모 생쥐의 절제 피부를 통한 in vitro 피부투과실험 결과를 MTX 0.5중량% 농도의 수용액의 대조군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MTX 함유 나노에멀젼을 건선 환자의 한쪽 팔의 건선 부위에만 하루에 한번씩 도포하고, 다른 쪽 팔의 건선 부위에는 적용하지 않는 치료를 수행한 다음 한달 뒤에 환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EAE 함유 나노에멀젼에 대한 무모생쥐의 절제 피부를 통한 in vitro 피부투과실험 결과를 EAE 5중량% 농도의 수용액의 대조군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EGF를 함유하지 않는 인산완충용액인 대조군(1), EGF 용액인 대조군(2)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나노에멀젼을 무모생쥐의 절제피부를 통한 EGF의 피부투과 촉진효과를 비교한 것이고(좌), 대조군(2)의 EGF 용액과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나노에멀젼을 섬유아세포 배양에 첨가하여 EGF의 활성을 비교한 것이다(우).
<도면의 기호 설명>
- 각질층: 각질층에 존재하는 약물 함량
- 피부: 피부 중에 존재하는 약물 함량
- 수용체: 수용체 중에 존재하는 약물 함량
- Nano-BE : 방부제로 전처리된 나노에멀젼
- Nano-AF: 방부제로 후처리된 나노에멀젼
- PE: 페녹시에탄올
- MP: 메틸 파라벤
- PP: 프로필 파라벤

Claims (13)

  1. 오일 1-10 중량부; PEG-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5-40 중량부; 레시틴 0.5-10 중량부; 폴록사머, 폴리소르베이트 20, 네롤리돌, 2-n-노닐-1,3-디옥솔란, 유레아, 리모넨,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피부 투과 촉진제 0.5-10 중량부; 및 물 20-90 중량부를 포함하는, 알부틴, 메토트렉세이트, 사이클로스포린 A, 피크노제놀, EAE(Ethyl ascorbic ether), EGF(Epidermal growth factor)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활성성분 함유 국소 투여용 나노에멀젼.
  2. 제 1 항에 있어서,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알콜, 글리세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알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에멀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헥실데칸올, 세틸 카프릴레이트, 조조바 오일, 미네랄 오일, 대두유, 달맞이유, 동백유, 엠유(Emu) 오일, 보라지 오일, 호박씨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에멀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은 포스파티딜콜린 함량이 50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에멀젼.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투과 촉진제는 폴록사머 및 다른 피부 투과 촉진제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에멀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투과 촉진제는 폴록사머 및 폴리소르베이트 20의 조합 또는 폴록사머 및 리모넨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에멀젼.
  8. 제 1 항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또는 화장품 분야에서 허용 가능한 매질 중에 희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에멀젼.
  9. 레시틴을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알코올, 또는 글리세롤에 용해하여 레시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레시틴 용액에 PEG-8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및 오일을 부가하고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을 교반하면서 물을 부가하여 나노에멀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에멀젼에 피부 투과 촉진제를 부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알부틴, 메토트렉세이트, 사이클로스포린 A, 피크노제놀, EAE, EGF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활성성분의 수용성에 따라 상기 오일 또는 물에 상기 활성성분을 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화장품.
  11. 삭제
  12.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의약품.
  13. 삭제
KR1020080076738A 2008-08-06 2008-08-06 국소 투여용 나노에멀젼 KR101199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738A KR101199580B1 (ko) 2008-08-06 2008-08-06 국소 투여용 나노에멀젼
PCT/KR2009/004271 WO2010016686A2 (ko) 2008-08-06 2009-07-31 국소 투여용 나노에멀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738A KR101199580B1 (ko) 2008-08-06 2008-08-06 국소 투여용 나노에멀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118A KR20100018118A (ko) 2010-02-17
KR101199580B1 true KR101199580B1 (ko) 2013-11-27

Family

ID=41664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738A KR101199580B1 (ko) 2008-08-06 2008-08-06 국소 투여용 나노에멀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99580B1 (ko)
WO (1) WO201001668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9539B2 (en) 2018-04-17 2023-10-10 Astin Co., Ltd. Non-surfactant type oil-water dispersion composition, non-surfactant type water-oil dispersion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both composi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49001A3 (en) 2009-08-21 2023-11-29 Novan, Inc. Topical gels
US9629785B2 (en) 2010-10-21 2017-04-25 Cadila Healthcare Limi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nano size droplets of skin whitening agents
EP2637635A1 (de) * 2010-11-12 2013-09-18 La Prairie Group AG Kosmetische und/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schneealgenextrakt
CA2865526C (en) * 2012-03-14 2020-06-23 Novan, Inc. Nitric oxide releas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10206947B2 (en) 2013-08-08 2019-02-19 Novan,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5979969B (zh) 2013-08-08 2020-09-11 诺万公司 局部用组合物和使用所述组合物的方法
CN103520102A (zh) * 2013-10-14 2014-01-22 陕西科技大学 一种维生素d纳米乳及其制备方法
WO2016194942A1 (ja) * 2015-06-05 2016-12-08 マルホ株式会社 経皮投与用外用剤
US10912743B2 (en) 2016-03-02 2021-02-09 Novan, Inc. Compositions for treating inflammation and methods of treating the same
KR102087123B1 (ko) * 2017-04-21 2020-03-10 유씨엘 주식회사 펩타이드와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JP2021515807A (ja) 2018-03-01 2021-06-24 ノーバン,インク. 一酸化窒素放出性坐剤及びその使用の方法
CN110604710B (zh) * 2019-09-23 2024-01-30 江苏优度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炎修复纳米乳、制备方法及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4732A2 (en) * 2006-03-13 2007-09-20 Advanced In Vitro Cell Technologies, S.L. Stable nanocapsule systems for the administration of active molecules
KR100849537B1 (ko) * 2007-07-04 2008-07-31 유효경 코엔자임 큐텐의 나노에멀젼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4732A2 (en) * 2006-03-13 2007-09-20 Advanced In Vitro Cell Technologies, S.L. Stable nanocapsule systems for the administration of active molecules
KR100849537B1 (ko) * 2007-07-04 2008-07-31 유효경 코엔자임 큐텐의 나노에멀젼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9539B2 (en) 2018-04-17 2023-10-10 Astin Co., Ltd. Non-surfactant type oil-water dispersion composition, non-surfactant type water-oil dispersion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both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16686A2 (ko) 2010-02-11
KR20100018118A (ko) 2010-02-17
WO2010016686A3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580B1 (ko) 국소 투여용 나노에멀젼
US20200338151A1 (en) Encapsulated cannabinoid formulations for transdermal delivery
US10226495B2 (en) Hair los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N112891241B (zh) 一种靶向线粒体皮肤抗衰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1513492B1 (de) Mikro-emulsionen mit binärer phasen- und wirkstoffdifferenzierbarkeit,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insbesondere zur topischen sauerstoffversorgung
EP2552413B1 (de) Neuartiges trägersystem für den transport von wirkstoffen in die haut
CN112516006A (zh) 一种具有防脱生发、固发、黑发功能的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40027829A (ko) 천연물 함유 나노 리포좀 조성물
EP1192938A2 (en) Composition to enhance permeation of topical skin agents
KR20110037863A (ko) 옥사졸리딘-2-온 화합물을 캡슐화한 리포좀
KR101732844B1 (ko) 국소 피부 전달용 항염증 지질 나노 전달체를 포함하는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EP3065702B1 (en)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acitretin
WO2016166091A1 (de) Naturstoffkombination enthaltend mindestens eine glycyrrhetinsäure und mindestens ein guggulsteron sowie verwendung derselben für kosmetische anwendungen
CN115531226A (zh) 一种甘草酸-甘草查尔酮a胶束乳液制备方法及美白应用
US8664205B2 (en) Oil-in-water emulsion lotion containing 22-oxa-1α, 25-dihydroxyvitamin D3 and method of treatment of skin disorder using the same
JPH11116458A (ja) 皮膚外用剤組成物
CN112190576A (zh) 皮肤外用制剂的组合物、皮肤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KR20080086736A (ko) 이트라코나졸을 함유한 마이크로이멀젼계 하이드로겔 및이의 제조방법
KR20110060529A (ko)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2745835B1 (de) Neuartige Vesikel für die topische Anwendung in der Pharmazie und Kosmetik
JP2004018508A (ja) ケラチナーゼ活性阻害剤、及び皮膚外用剤、皮膚洗浄剤又は足浴剤
CN114159326A (zh) 一种dha保湿修复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5179570A1 (en) Waterborne topical compositions for the delivery of azelaic acid for treatment of skin conditions such as acne vulgaris, rosacea seborrheic dermatitis
DE102015004672A1 (de) In Vesikeln formulierte Naturstoffkomb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10100438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630

Effective date: 20120706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630

Effective date: 2012070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