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529A -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0529A
KR20110060529A KR1020090117136A KR20090117136A KR20110060529A KR 20110060529 A KR20110060529 A KR 20110060529A KR 1020090117136 A KR1020090117136 A KR 1020090117136A KR 20090117136 A KR20090117136 A KR 20090117136A KR 20110060529 A KR20110060529 A KR 20110060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acid
dicarboxylic acid
cyclohexane dicarbox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6473B1 (ko
Inventor
강승현
최소웅
안희선
채병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117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473B1/ko
Publication of KR20110060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4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활성성분의 피부흡수증진제로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자극, 피부 손상 등의 문제가 없고, 각질층과의 친화도가 낮거나 피부 흡수가 어려운 피부 효능 성분의 피부흡수 증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에 적용 가능하다.
흡수증진,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Description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TO THE SKIN CONTAINING CYCLOHEXANE DICARBOXYLIC ACID DERIVATIVES}
본 발명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크게 각질층, 표피층, 진피층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질층이 피부 최외각에 존재하게 된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제 기관을 온도 및 습도 변화와 자외선,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이 있으며, 이러한 피부의 장벽기능은 주로 피부 최외각에 존재하는 각질층의 물리화학적인 성질에 의존한다. 각질층은 케라틴이라고 하는 단백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각질세포와 그 세포들 사이를 채우고 있는 지질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질의 피부흡수에 있어 각질세포를 통과하여 흡수되는 것은 사실상 매우 어려우며, 각질 세포 간의 지질층을 통과하는 경로가 일반적이다 (특허공개 10-2003-0062492).
특히, 각질층이 케라틴 단백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각질세포와 각질 세포간을 구성하는 지질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지용성 활성성분은 원활하게 피부에 흡수 되지만, 수용성 및 분자량이 큰 활성성분은 피부를 투과하기 어렵다. 따라서, 대부분이 수용성인 화장품 등의 피부 외용제에 함유되어 있는 활성성분은 피부에의 흡수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종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피부흡수촉진제로 비극성 용매, 계면활성제, 지방산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왔다[Chen LH, Chien YW, "Enhancement of skin penetration" In "Novel cosmetic delivery systems" 1999, 60; Rhein LD, Robbins CR, Fernee K, Cantore R. "Surfactant structure effects on swelling of isolated human stratum corneum, J. Soc Cosmet Chem 1986; 37: 125; Cooper ER, Merritt EW, Smith RL. "Effect of fatty acids and alcohols on the penetration of acyclovir across human skin in vitro J. Pharm Sci 1985; 74:688].
흡수 촉진제의 경우는 물질 투과에 대한 각질층의 장벽 기능을 약화 시키기 위해 사용되는데 각질 성분의 침투, 상호 작용에 의해 유효 성분의 각질층 내의 확산을 높이는 물질, 효능 물질의 기제 친화성 저하나 향상에 의해 효능 물질의 분배를 높이는 물질로 나누어질 수 있다. 흡수 촉진제들이 가져야 하는 물성으로는 약리학적으로 비활성이어야 하며 피부 내에서 리셉터로 작용하지 말아야 하며 독성, 자극, 알러지성 등이 낮아야 하며 침투 효과와 지속성 그리고 적절한 조절이 가능 해야 하며 효능 물질이 침투 한 이후 피부 장벽 기능이 완전히 회복될 것 그리고 네 내에서 수분, 전해질, 내인성 물질 등의 소실이 없어야 하는 등의 필요 조건들이 들어진다.
이러한 작용을 가지는 물질로 저급 알코올류, 올레인산 등의 지방산, 이소프 로필 미리스테이트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멘톨 등과 같은 모노테르펜 류, 요소, 살리실산, 알파 히드록시산, 피로치오데칸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경피 흡수를 촉진하지는 않지만 피부 장벽 내의 지질과 상호 작용하여 경피 흡수를 촉진하는 작용이 있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러한 경피 흡수 촉진제들은 유효성분의 피부 투과를 어느 정도 촉진하기는 하지만, 분자량이 작아서 유효성분과 함께 피부에 흡수되어 심한 자극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밖에 양친매성을 일부 가지는 탄소수 4~8 정도의 알칸 디올류의 경우도 경피 흡수를 촉진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탄소수가 짧은 경우는 친수성이 커짐으로써 수용성 효능 성분의 용해도는 증가하나 침투성이 떨어지며 탄소수가 길어지면 침투성은 개선되나 피부에 대한 자극의 문제가 있어 많은 양을 사용하기에 제한이 있게 된다.
또한, 효능 성분을 피부 안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하거나 효능을 제대로 발휘시키기 위해서 적용하는 특수 기술로는 피부에 직접 붙이는 패치형이나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하는 경우, 에멀전과 리포좀 혹은 미세 캡슐 기술을 이용하여 도포 하는 외용제형, 피부에 직접 주사하는 주사형 등이 있는데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사용 되는 패치형의 경우는 다른 매체를 이용해야 하고 장시간 차폐하고 있어야 하는 단점이 있고 리포좀이나 나노 캡슐을 이용하여 효능 성분을 안정화시키고 흡수 증진을 꾀하는 경우는 제형을 만들기 위한 별도의 고압 유화기나 한정 된 유화제의 적용 그리고 별도의 캡슐화와 캡슐에 따른 사용감 조절의 어려움 등과 같은 단점이 있다.
이 밖에도 수용성 물질의 피부 흡수를 위해 초음파 (sonophoresis) 혹은 미세한 전기자극(iontophoresis)을 피부에 부여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나[Sloan JB, Slotani K. "Iontophoresis in dermatology: a review" J.Am.Acad.Dermatol. 1986, 4:671; Langer R. "Ultrasound-mediated transdermal protein delivery" Science 1995; 269:850], 이러한 방법은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다는 이유 등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화장료와 같은 피부 외용제제에 적용하기 어렵다. 한편, 상기한 방법 이외에, 효소를 이용하여 피부 장벽기능을 변화시키거나 약화시킴으로써 활성성분의 피부흡수를 증진시키는 방법에 대한 특허들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5,534,260호 및 제 5,296,222호에 단백질 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약물의 피부흡수를 증진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단순히 단백질 분해 효소를 첨가하는 방법에 불과하여 제형에 포함된 성분 물질들의 영향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하면서 단백질 분해 효소가 변성되거나 활성을 잃어버리게 된다. 그 결과, 효소에 의한 경피 흡수 증진효과를 보이지 않으므로 활성성분 이외에 여러 가지 성분이 함유되는 피부 외용제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특허공개 2001-0104881).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자들은 화장품, 약품 등과 같은 피부 외용제에 함유된 활성성분의 피부흡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 중에서, 높은 경피 흡수율, 피부 자극 감소 및 사용감의 개선 및 다양한 활성성분의 응용 가능성 등과 같은 특성을 갖는 경피 흡수제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그 결과 친수, 친유성의 성질을 모두 가지며 안전성과 제형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피부 흡수 촉진제로 사용한 경우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 정도가 증진된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의 목적은 조성물 내에 함유된 활성성분의 피부흡수를 증진시킬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활성성분의 피부흡수증진제로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자극, 피부 손상 등의 문제가 없으며, 각질층과의 친화도가 낮거나 분자량이 많아서 피부흡수가 어려운 피부 효능성분의 피부흡수 증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과 약학 조성물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은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활성성분의 피부흡수증진제로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수용성, 유용성, 양친매성 그 어느 쪽도 적용할 수 있지만 수용성인 것이 특별히 바람직하다.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낸다.
Figure 112009073858026-PAT00001
상기 화학식은 비스-에톡시디글리콜 시클로헥산 1, 4-디카르복실레이트(Bis-Ethoxydiglycol Cyclohexane 1, 4-Dicarboxylate) 이다.
상기 1, 4-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에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그 중에서도 디에틸렌글리콜 에틸에티르 잔기를 가지는 에스테르 유제는 친수성, 친유성의 양쪽 기능이 있어 물을 매개로 하는 화장료 및 피부 외용제에 배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중이 1보다 무거워 유화계로 대표 되는 제형의 안정도를 개선해 주며 보습성 향상 및 피부와의 친화도가 뛰어나고 안 자극성 및 피부 자극성이 낮아 안전성이 양호한 액상 유제이다. 친수성 및 친유성을 동시에 구비한 양친매성 화합물의 경우 그 자체는 피부를 용이하게 투과할 수 있으며 동시에 수용성 혹은 유용성 효능 성분과 친화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러한 기작에 의해 효능 성분의 경피 흡수를 촉진하는 작용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탄소 수가 8 이상인 비환상 디카르복실산은 사용성이 무거워져 화장료 혹은 피부 외용제에 이용하는 경우 사용감이 악화 되고 탄소 수 8 미만의 비환상 디카르복실산의 경우는 가수 분해가 쉽게 되기 때문에 제형 안정성이 나빠지고 피부 자극성 등의 문제가 생긴다. 또한, 방향족 화합물의 디카르복실산을 이용 하는 경우 내분비 교란 작용과 같은 안전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어서 선택한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포화 환상 구조를 가지며 상업적으로 입수 용이한 1, 4-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을 사용하며 트랜스체, 시스체의 혼합물이 시판되어 있지만 그 어느 쪽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잔기의 알킬 에테르의 경우 탄소수가 C2~C11이 좋다. 탄소 수 13 이상의 탄화 수소기의 경우 유제의 친수성 저하와 무거워지는 감촉 등의 결점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옥틸, 에틸헥실기 등도 좋으나, 반응성, 성능, 경제성 등을 고려했을 때 메틸기와 에틸기가 바람직하며 에틸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로 함유된다. 0.01중량 % 미만으로 사용하였을 때는 적절한 흡수 증진 효능을 기대하기 어렵고, 10.0 중량 %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제품의 안전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활성 성분은 본 발명의 피부 흡수 증진제에 의해 피부 흡수도가 증가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효능 성분이다. 이 효능 성분은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수용성, 유용성, 양친매성 그 어느 쪽도 적용할 수 있지만 수용성인 것이 특별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빌 인산염, L-아스코빌글루코시드, 비타민 B군, 코직산, 코질카페익산, 코질아미노프로필인산염, 하이드로퀴논, 알부틴, 글리세린, 1, 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 3-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폴리올류, 솔비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만니톨, 맥아당, 트레할로스, 락토스, 베타인, 프롤린, 피롤리돈-5-카르복실산, 아르기닌, 리신, 세린, 글리신, 알라닌, 티로신, 글루타민산,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아스파라긴산, 시스테인, 시스틴, 레티놀, 초산 레티놀, 팔미틴산 레티놀, 레티노인산, 티아민, 니코틴산 아미드, 토코페롤 류, 판토텐산, 비오틴, 올레아놀릭산, 아데노신, 카페인, 콜레스테롤, 우르솔릭산 및 수용성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빌 인산염, L-아스코빌글루코시드 등과 같은 L-아스코르빈산의 수용성 유도체, 비타민 B군, 코직산, 코질카페익산, 코질아미노프로필인산염, 하이드로퀴논, 알부틴 등은 미백 효능 성분이며,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 3-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폴리올류, 솔비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만니톨, 등의 당 알코올 류, 맥아당, 트레할로스, 락토스 등의 당류, 베타인, 프롤린, 피롤리돈-5-카르복실산, 아르기닌, 리신, 세린, 글리신, 알라닌, 티로신, 글루타민산,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아스파라긴산, 시스테인, 시스틴, 등의 아미노산 류, 비타민 류와 그 유도체는 보습 성분이다. 또한, 레티놀, 초산 레티놀, 팔미틴산 레티놀, 레티노인산 등은 주름 예방 및 개선 성분이며, 티아민, 니코틴산 아미드, 토코페롤 류, 판토텐산, 비오틴, 올레아놀릭산, 아데노신, 카페인, 콜레스테롤, 우르솔릭산 등은 기타 효능 성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은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이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효능 성분들을 함유한 피부미백용 조성물일 수 있고, 주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일 수 있으며, 피부 보습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피부, 점막, 두피 또는 모발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크림, 팩, 젤, 패치, 수중유(O/W)형, 유중수(O/W)형 등의 기초 화장료, 립스틱, 메이크업베이스 또는 파운데이션 등의 색조 화장료, 샴푸, 린스, 바디클렌저, 치약 또는 구강 청정제 등의 세정료, 헤어토닉, 젤 또는 무스 등의 정발제, 양모제 또는 염모제 등의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 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 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점증제를 함 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점증제는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하이드록시 구아닌, 하이드록시 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폴리쿼터늄, 세테아릴 알콜, 스테아릭산, 카라기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폴리쿼터늄 중에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발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부제, 색소, 첨가제 등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는 구체적으로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또는 1, 2-헥산디올 (1, 2-Hexanediol) 등이 될 수 있고, 향료는 인공향료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은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비경구 투여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패취,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성분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일반적인 투여량은 0.001 mg/kg/일 내지 2000 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0.5 mg/kg/일 내지 1500 mg/kg/일이다.
이하, 실시예 등을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코직산의 피부흡수 측정
코직산의 피부 흡수는 기네아피그 피부를 대상으로 프란츠 투과 셀을 이용하 여 측정하였다. 실험직전 기네아피그의 복부 부분 피부를 채취하여 평방 1㎠의 면적으로 절단한 후, 이를 투과경의 직경이 0.9cm인 투과셀에 정치한 후 클램프로 고정하였다. 피부의 한쪽 면에 측정하고자 하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화장료를 0.5㎖ 도포하고, 반대쪽은 정제수와 글리세린이 1:1 중량비로 혼합된 용매와 접촉하도록 하였다. 실험시 온도는 실제 피부온도인 32℃를 유지하였다. 실험 시작 후 일정시간 간격으로 용매의 일부를 채취한 후, HPLC를 이용하여 피부에 흡수된 코직산의 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
구분 원료명 실시예 1 비교예 1
유상 성분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2.0 2.0
세테아릴알코올 0.2 0.2
세틸알코올 0.7 0.7
피이지-75 스테아레이트 0.5 0.5
세테스-20 0.3 0.3
스테아레스-20 0.2 0.2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3.0 3.0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0.5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C12-16알코올/팔미틱액시드 0.5 0.5
방부제 0.3 0.3
망고씨드오일 2.0 2.0
메도우폼시드오일 1.0 1.0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3.0 3.0
살리실릭애씨드 0.3 0.3
디메치콘 3.0 3.0
수상
성분
정제수 To 100 To 100
부틸렌글리콜 5.0 5.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비스에톡시디글리콜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레이트 2.0 -
티이에이 0.15 0.15
방부제 0.2 0.2
잔탄검 0.2 0.2
이누텍라우릴카바메이트 0.5 0.5
카페익애씨드 0.15 0.15
폴리아크릴레이트-13*폴리이소부텐*폴리소르베이트 20 0.2 0.2
코직산 0.5 0.5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제조방법]
1)수상 성분 (코직산 제외)을 가열(70~75℃)하여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2)유상성분들을 가열(70~75℃)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3)교반하에 온도를 70~75℃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1)에 상기 2)를 투입하여 에멀젼을 만들고 28~30℃까지 냉각하였다.
4)교반하에 코직산을 정제수와 부틸렌글리콜에 용해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도포 농도당 코직산의 피부흡수(㎍/㎠/중량%)
시간 실시예 1 비교예 1
0 0 0
4 5.58 1.45
8 12.93 3.58
24 35.11 9.18
일반적으로 화장의 지속시간이 4시간에서 8시간 사이임을 감안할 때, 표 2로부터 코직산의 피부흡수는,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가 조성물에 첨가되는 경우가 첨가되지 않는 경우보다 최소 3~4배 이상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아스코빌글루코시드의 피부흡수 측정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를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에 흡수 된 아스코빌글루코시드의 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조성
구분 원료명 실시예 2 비교예 2
유상 성분 피이지-7 디메치콘 3.0 3.0
데카메칠사이클로펜타실록산 0.2 0.2
디메치콘 0.7 0.7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0.5 0.5
2-옥틸도데칸올 0.3 0.3
스테아레스-20 0.2 0.2
수상
성분
정제수 To 100 To 100
부틸렌글리콜 5.0 5.0
비스에톡시디글리콜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레이트 2.0 -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염화나트륨 0.15 0.15
방부제 0.2 0.2
아스코빌글루코시드 2.0 2.0
구연산 0.5 0.5
소듐시트레이트 0.15 0.15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제조방법]
1)수상 성분 (아스코빌글루코시드 제외)을 상온에서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2)유상성분들을 상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3)교반하에 상온에서 상기 2)에 상기 1)를 천천히 투입하여 에멀젼을 만든다.
4)교반하에 아스코빌글루코시드를 정제수에 용해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도포 농도당 아스코빌글루코시드의 피부흡수(㎍/㎠/중량%)
시간 실시예 2 비교예 2
0 0 0
4 3.75 1.01
8 7.01 1.30
24 19.58 4.69
일반적으로 화장의 지속시간이 4시간에서 8시간 사이임을 감안할 때, 표 4로부터 아스코빌글루코시드의 피부흡수는,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가 조성물에 첨가되는 경우가 첨가되지 않는 경우보다 최소 5~6배 이상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알부틴의 피부흡수 측정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에 흡수 된 알부틴의 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및 비교예 3의 조성
구분 원료명 실시예 3 비교예 3
유상 성분 스테아릭애씨드 0.7 0.7
세테아릴알코올 0.7 0.7
하이드로제네이티드오일 0.5 0.5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0.5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3 0.3
폴리소르베이트 60 1.2 1.2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3.0 3.0
세틸옥타노에이트 2.0 2.0
데카메칠사이클로펜타실록산 4.0 4.0
디메치콘 1.0 1.0
수상
성분
정제수 To 100 To 100
부틸렌글리콜 5.0 5.0
글리세린 1.0 1.0
비스에톡시디글리콜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레이트 2.0 -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티이에이 0.15 0.15
방부제 0.2 0.2
잔탄검 0.2 0.2
카보머 0.15 0.15
알부틴 2.0 2.0
[실시예 3 및 비교예 3의 제조방법]
1)수상 성분 (알부틴 제외)을 가열(70~75℃)하여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2)유상성분들을 가열(70~75℃)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3)교반하에 온도를 70~75℃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1)에 상기 2)를 투입하여 에멀젼을 만들고 28~30℃까지 냉각하였다.
4)교반하에 알부틴을 정제수와 부틸렌글리콜에 용해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도포 농도당 알부틴의 피부흡수(㎍/㎠/중량%)
시간 실시예 3 비교예 3
0 0 0
4 18.32 3.21
8 37.02 6.32
24 109.47 18.33
일반적으로 화장의 지속시간이 4시간에서 8시간 사이임을 감안할 때, 표 6으로부터 알부틴의 피부흡수는,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가 조성물에 첨가되는 경우가 첨가되지 않는 경우보다 최소 5~6배 이상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비타민 A (레티노인산)의 피부흡수 측정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에 흡수된 비타민 A의 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4
구분 원료명 실시예 4 비교예 4
유상 성분 스테아릭애씨드 0.7 0.7
세테아릴알코올 0.7 0.7
하이드로제네이티드오일 0.5 0.5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0.5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3 0.3
폴리소르베이트 60 1.2 1.2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3.0 3.0
세틸옥타노에이트 2.0 2.0
데카메칠사이클로펜타실록산 4.0 4.0
디메치콘 1.0 1.0
수상
성분
정제수 To 100 To 100
부틸렌글리콜 5.0 5.0
비스에톡시디글리콜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레이트 2.0 -
글리세린 1.0 1.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티이에이 0.15 0.15
방부제 0.2 0.2
잔탄검 0.2 0.2
카보머 0.15 0.15
레티노인산 5.0 5.0
[실시예 4 및 비교예 4의 제조방법]
1)수상 성분 (레티노인산 제외)을 가열(70~75℃)하여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2)유상성분들을 가열(70~75℃)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3)교반하에 온도를 70~75℃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1)에 상기 2)를 투입하여 에멀젼을 만들고 28~30℃까지 냉각하였다.
4)교반하에 레티노인산을 정제수와 부틸렌글리콜에 용해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도포 농도당 비타민 A (레티노인산)의 피부흡수(㎍/㎠/중량%)
시간 실시예 4 비교예 4
0 0 0
4 10.35 5.31
8 20.57 10.23
24 41.32 15.57
일반적으로 화장의 지속시간이 4시간에서 8시간 사이임을 감안할 때, 표 8로부터 레티노인산의 피부흡수는,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가 조성물에 첨가되는 경우가 첨가되지 않는 경우보다 최소 2~3배 이상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카페인의 피부흡수 측정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에 흡수 된 카페인의 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및 비교예 5의 조성
구분 원료명 실시예 5 비교예 5
수상
성분
정제수 To 100 To 100
프로필렌글리콜 5.0 5.0
비스에톡시디글리콜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레이트 2.0 -
글리세린 1.0 1.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소듐살리실레이트 0.2 0.2
소듐시트레이트 0.15 0.15
티이에이 0.3 0.3
방부제 0.2 0.2
잔탄검 0.2 0.2
카보머 0.3 0.3
카페인 2.0 2.0
[실시예 5 및 비교예 5의 제조방법]
1)정제수에 카보머를 제외한 성분을 상온에서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2)교반하에 상온에서 점증제를 투입, 투명한 점성의 에센스를 만든다.
도포 농도당 카페인의 피부흡수(㎍/㎠/중량%)
시간 실시예 5 비교예 6
0 0 0
4 50.35 15.95
8 125.57 30.23
24 210.32 57.84
일반적으로 화장의 지속시간이 4시간에서 8시간 사이임을 감안할 때, 표 10으로부터 카페인의 피부흡수는,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가 조성물에 첨가되는 경우가 첨가되지 않는 경우보다 최소 2~3배 이상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하기 예시 이외에도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1] 유연 화장수(스킨 로션)
하기 표 1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비스에톡시디글리콜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레이트 2.0
글리세린 3.5
올레일알코올 1.5
에탄올 5.5
폴리솔베이트 80 3.2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부틸렌 글리콜 2.0
프로필렌 글리콜 2.0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2] 영양 화장수(밀크 로션)
하기 표 1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비스에톡시디글리콜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레이트 2.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3] 영양 크림
하기 표 1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비스에톡시디글리콜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레이트 2.0
글리세린 3.5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4] 맛사지 크림
하기 표 1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비스에톡시디글리콜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레이트 2.0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4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파라핀 1.5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5] 팩
하기 표 1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비스에톡시디글리콜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레이트 2.0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노닐 페닐에테르 0.4
폴리솔베이트 60 1.2
에탄올 방부제 적량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6] 피부외용제 중 연고
하기 표 16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비스에톡시디글리콜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레이트 2.0
베타-1,3-글루칸 10.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5.0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바셀린 5.0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쉐어버터 3.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10.0
프로필렌글리콜 10.2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7] 국소 투여용 약제(패취제)의 제조
하기 표 17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국소 투여용 약제(패취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비스에톡시디글리콜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레이트 2.0
베타-1,3-글루칸 3.0
디에틸아민 0.7
아황산나트륨 0.1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E.O=9) 1.0
폴리히드록시에틸렌세틸스테아릴에테르 (Cetomacrogol 1000) 1.0
점성의 파라핀 오일 2.5
카프릴산에스테르/카프르산에스테르 (Cetiol LC) 2.5
폴리에틸렌글리콜400 3.0
폴리아크릴산(Carbopol 934P) 1.0
정제수 잔량
100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활성성분의 피부흡수증진제로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9073858026-PAT00002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은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빌 인산염, L-아스코빌글루코시드, 비타민 B군, 코직산, 코질카페익산, 코질아미노프로필인산염, 하이드로퀴논, 알부틴,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폴리올류, 솔비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만니톨, 맥아당, 트레할로스, 락토스, 베타인, 프롤린, 피롤리돈-5-카르복실산, 아르기닌, 리신, 세린, 글리신, 알라닌, 티로신, 글루타민산,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아스파라긴산, 시스테인, 시스틴, 레티놀, 초산 레티놀, 팔미틴산 레티놀, 레티노인산, 티아민, 니코틴산 아미드, 토코페롤 류, 판토텐산, 비오틴, 올레아놀릭산, 아데노신, 카페인, 콜레스테롤, 우르솔릭산 및 수용성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미백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090117136A 2009-11-30 2009-11-30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26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136A KR101626473B1 (ko) 2009-11-30 2009-11-30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136A KR101626473B1 (ko) 2009-11-30 2009-11-30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529A true KR20110060529A (ko) 2011-06-08
KR101626473B1 KR101626473B1 (ko) 2016-06-02

Family

ID=4439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136A KR101626473B1 (ko) 2009-11-30 2009-11-30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4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541B1 (ko) * 2012-08-02 2013-01-09 삼성제약공업주식회사 간질환제 연질 캡슐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62895A (ko) * 2013-11-29 2015-06-08 (주)아모레퍼시픽 페닐링을 가지는 2종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7342A (ja) * 2006-11-22 2008-06-05 Nippon Fine Chem Co Ltd シクロヘキサンジカルボン酸ジエステル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7342A (ja) * 2006-11-22 2008-06-05 Nippon Fine Chem Co Ltd シクロヘキサンジカルボン酸ジエステル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541B1 (ko) * 2012-08-02 2013-01-09 삼성제약공업주식회사 간질환제 연질 캡슐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62895A (ko) * 2013-11-29 2015-06-08 (주)아모레퍼시픽 페닐링을 가지는 2종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473B1 (ko)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8678B2 (en) Cosmetic compositions
KR101564434B1 (ko) 피부투과가 개선된 외용제 조성물
US20110229538A1 (en)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US20100247693A1 (en) Cosmetic formulation to treat rosacea telangiectasia
CA2761732C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for stimulating hair growth
KR102265497B1 (ko) 클렌징 조성물
KR102429854B1 (ko) 지방산 및 중화제를 포함하는 다층 세라마이드 라멜라 구조체
JP2005047910A (ja) 皮脂分泌抑制用組成物
AU2009256524B2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rosacea comprising chitosan and a dicarboxylic acid
KR20160143793A (ko)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JP2004131401A (ja) 皮膚化粧料
KR101626473B1 (ko)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A2508093A1 (en)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on skin
US20140271512A1 (en) Combination dermatological composition and use
CN115024997A (zh) 具有抗皮肤衰老功效的化妆品组合物
KR102283326B1 (ko) 락토바실러스발효물, 락토코쿠스발효물, 효모폴리펩타이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포도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463278A1 (en) Use of thiophosphate derivatives as skin depigmenting agents
KR101734802B1 (ko) 피부 노화의 징후를 감소시키기 위한 추출물의 조합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KR101734801B1 (ko) 추출물들의 조합을 이용한 피부 노화 징후 감소 방법
US20060030621A1 (en)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on skin
CN112236200A (zh) 局部使用至少一种伞形科植物的种子油舒缓反应性皮肤
US20110077292A1 (en) Forskolin carbonates and uses thereof
FR2876909A1 (fr) Composition a base d'huile de chaulmoogra et de bases xanthiques pour le traitement des surchages adipeuses.
KR20230005806A (ko) 중대가리풀 유래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기능성 조성물
WO2024056566A1 (en) Use of thioethylamine composition for skin rejuvenation and improved synergistic effect when combined with an organic acid and/or azabenzene-4-carboxam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