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951B1 -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 - Google Patents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951B1
KR101198951B1 KR20100108614A KR20100108614A KR101198951B1 KR 101198951 B1 KR101198951 B1 KR 101198951B1 KR 20100108614 A KR20100108614 A KR 20100108614A KR 20100108614 A KR20100108614 A KR 20100108614A KR 101198951 B1 KR101198951 B1 KR 101198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irbag
panels
vent hole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08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7001A (ko
Inventor
김주경
권태익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20100108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951B1/ko
Priority to JP2011234910A priority patent/JP5852407B2/ja
Publication of KR20120047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95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ir Bag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벤트홀이 형성된 재봉 부위의 강도를 증대시켜 쿠션의 팽창시 벤트홀 주변의 재봉이 뜯어짐을 방지하도록 한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호 맞대어지며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위에 제1홈(11) 및 제2홈(21)이 형성되고, 인플레이터(F)가 장착되는 결합부(4)가 일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패널(1,2); 상기 제1홈(11) 및 제2홈(21)에 대응되는 통공(30)이 형성되며 제1 및 제2패널(1,2)의 안쪽면에 박음질(L)로 부착되는 보강 패널(3)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패널(1,2)을 중첩시킨 후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재봉부(5)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AIRBAG HAVING VENT HOLE}
본 발명은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벤트홀이 형성된 재봉 부위의 강도를 증대시켜 쿠션의 팽창시 벤트홀 주변의 재봉이 뜯어짐을 방지하도록 한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충돌사고시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대표적인 것이 에어백 시스템이다.
이러한 에어백은 운전자 및 조수석 탑승자의 전방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스티어링휠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각기 장착되는 운전석 에어백(Driver Air-Bag, DAB), 조수석 에어백(Passenger Air-Bag, PAB) 그리고 측면 충돌사고시에도 탑승자의 안전을 제고할 수 있도록 측부에 장착되는 커튼 에어백(Curtain Air-Bag, CAB)등으로 구분된다.
최근의 추세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콘솔에도 에어백을 장착시켜 전방 탑승객끼리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하는 중앙에어백이 추가로 장착되고 있다.
한편 상기 에어백에는 에어백 쿠션의 일 부위에 차량 충돌시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되는 가스에 의한 에어백이 팽창된 후 탑승자와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충돌에너지를 상쇄시켜주기 위해 가스 배출용 벤트홀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을 전개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Af)은 중앙에 접혀지는 접이선(47f)이 형성되고, 이 접이선(47f)의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된 복수의 패널(46f,46-1f)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패널(46f,46-1f)을 접어서 외주 가장자리를 재봉시켜 완성된다.
이때 상기 접이선(47f)에는 복수의 벤트홀(48f)이 형성되며, 이들 복수의 벤트홀(48f)은 각기 그 외주에 보강을 위해 재봉부가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벤트홀(48f)이 항상 직선(접이선)상에 형성되어야 하므로 벤트홀(48f)의 위치 선정에 제한이 있었다.
또한 접이선(47f)이 필히 존재하여야 하므로 대개 직선을 갖는 형상으로만 제한될 수 밖에 없어 좀더 다양한 형상의 에어백을 제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제약에 의해 쿠션은 육면체로 한정되고, 벤트홀의 위치도 항상 접는 부위에만 선정되어야 하므로 제품의 다양성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2장의 패널의 가장자리에 홈을 형성하여 2개 패널이 맞대어져 봉합되었을때 상기 홈에 의해 벤트홀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벤트홀이 형성된 부위에 보강 패널을 덧댐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 맞대어지며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위에 제1 및 제2홈이 각기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홈에 대향되는 가장자리에 인플레이터가 장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제1 및 제2패널; 상기 제1 및 제2패널을 중첩시켜 가장자리에 박음질되되 상기 제1 및 제2홈을 제외하여 박음질로 형성된 재봉부; 상기 제1 및 제2홈에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박음질로 연결된 제1 및 제2패널의 안쪽면에 부착되는 보강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 맞대어지며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위에 돌출 형성되며 홀이 형성된 연장 패널과, 상기 연장패널에 대향되는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인플레이터가 장착되는 결합부를 갖는 제1패널; 상기 제1패널과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홀에 대응되는 홈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홈에 대향되는 가장자리에 인플레이터가 장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제2패널;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을 중첩시켜 가장자리에 박음질되되 상기 연장 패널을 제외하여 박음질로 형성된 제1재봉부; 상기 연장 패널과 제1 및 제2패널에 박음질되어 형성된 제2재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 맞대어지며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위에 돌출 형성되며 홀이 형성된 제1연장 패널과, 상기 제1연장패널에 대향되는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인플레이터가 장착되는 결합부를 갖는 제1패널; 상호 맞대어지며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위에 돌출 형성되며 홀이 형성된 제2연장 패널과, 상기 제2연장패널에 대향되는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인플레이터가 장착되는 결합부를 갖는 제2패널;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을 중첩시켜 가장자리에 박음질되되 상기 제1 및 제2연장 패널을 제외하여 박음질로 형성된 제1재봉부; 상기 제1 및 제2연장 패널과 제1 및 제2패널에 박음질되어 형성된 제2재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 맞대어지며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위에 돌출 형성되며 2개의 홀이 대칭 형성되어 접어지는 연장 패널과, 상기 연장패널에 대향되는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인플레이터가 장착되는 결합부를 갖는 제1패널; 상기 제1패널과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홀에 대응되는 홈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홈에 대향되는 가장자리에 인플레이터가 장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제2패널;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을 중첩시켜 가장자리에 박음질되되 상기 연장 패널을 제외하여 박음질로 형성된 제1재봉부; 상기 연장 패널과 제1 및 제2패널에 박음질되어 형성된 제2재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을 구성하는 패널을 보다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벤트홀이 형성된 부위를 보강함으로써 디자인이 미려해질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을 전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A1)은, 상호 맞대어지며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위에 제1홈(11) 및 제2홈(21)이 형성되고, 인플레이터(F)가 장착되는 결합부(4)가 일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패널(1,2); 상기 제1홈(11) 및 제2홈(21)에 대응되는 통공(30)이 형성되며 제1 및 제2패널(1,2)의 안쪽면에 박음질(L)로 부착되는 보강 패널(3)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패널(1,2)을 중첩시킨 후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재봉부(5)가 형성된다.
상기 제1패널(1)과 제2패널(2)은 직물로 된 천소재로써 동일한 형상으로 재단된다.
통상 에어백이 구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제1 및 제2패널(1,2)도 타원형으로 재단된다. 물론 그 형상은 보다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제1 및 제2패널(1,2)의 일측에는 보강 패널(3)의 통공(30)과 대응되는 반원형의 제1홈(11) 및 제2홈(21)이 각기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패널(1,2)을 이용한 에어백(A1)의 제조공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패널(1,2)을 마련한다.
이후 제1 및 제2패널(1,2)의 각 제1홈(11) 및 제2홈(21)이 상호 대칭되게 접하도록 하여 각 가장자리를 맞댄 후, 보강 패널(3)을 제1 및 제2패널(1,2)의 맞댄 부위의 안쪽에 배치시킨 다음 박음질(L)시켜 제1홈(11) 및 제2홈(21)과 통공(30)이 일치되도록 하여 접합한다(도 2의 (b)참조).
이후 제2패널(2)을 도 1의 (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인 상방으로 접어 제1패널(1)에 중첩시킨 후 가장자리를 따라가면서 재봉시켜 재봉부(5)를 형성함으로써 에어백(A1)이 완성된다(도 2의 (c)참조).
이렇게 완성된 에어백(A1)의 결합부(4)에 인플레이터(F)를 결합시킨다.
제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A2)은,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위에 돌출 형성되며 홀(120)이 형성된 연장 패널(12)과, 인플레이터(F)가 장착되는 결합부(4)가 일측에 형성된 제1패널(1); 상기 제1패널(1)과 대략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홀(120)에 대응되는 홈(21)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인플레이터(F)가 장착되는 결합부(4)가 일측에 형성된 제2패널(2); 상기 연장 패널(12)과 제1 및 제2패널(1,2)에 박음질되어 제2재봉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제1패널(1)과 제2패널(2)을 중첩시켜 가장자리에 박음질시켜 제1재봉부(5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패널(1,2)은 타원형으로 재단된다. 물론 그 형상은 보다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제1패널(1)은 일측에 사각형의 연장 패널(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연장 패널(12)에는 홀(120)이 형성된다.
상기 제2패널(2)의 일측에 상기 연장 패널(12)의 홀(120)과 대응되도록 반원형의 홈(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패널(1,2)을 이용한 에어백(A2)의 제조공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패널(1)의 연장 패널(12)이 제2패널(2)의 홈(21)이 형성된 부위에 중첩되도록 배치한 후 홈(21)과 홀(120)을 일치시키고, 연장 패널(12)의 주변에 사각형으로 재봉질하여 제2재봉부(52)를 형성한다(도 3의 (b)참조).
이후 제1패널(1)을 도 3의 (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접어 제2패널(2)에 중첩시킨 후 가장자리를 재봉질하여 제1재봉부(51)를 형성함으로써 에어백(A2)이 완성된다.
제3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A3)은, 홀(130)이 형성된 제1연장 패널(13)가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위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인플레이터(F)가 장착되는 결합부(4)가 일측에 형성된 제1패널(1); 홀(230)이 형성된 제2연장 패널(23)이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위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인플레이터(F)가 장착되는 결합부(4)가 일측에 형성된 제2패널(2)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연장 패널(13,23)과 제1 및 제2패널(1,2)를 박음질시켜 형성된 제2재봉부(52)와, 상기 제1패널(1)과 제2패널(2)을 중첩시켜 가장자리에 박음질시켜 형성된 제1재봉부(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패널(1,2)은 타원형으로 재단된다. 물론 그 형상은 보다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제1패널(1)은 일측에 사각형의 제1연장 패널(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 패널(13)에는 홀(130)이 형성된다.
상기 제2패널(2)은 일측에 상기 제1연장 패널(13)과 동일한 형상의 제2연장 패널(23)이 형성되고, 제2연장 패널(23)에 홀(23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패널(1,2)을 이용한 에어백(A3)의 제조공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패널(1)의 제1연장 패널(13)과 제2패널(2)의 제2연장 패널(23)이 중첩되도록 하여 각각의 홀(130,230)이 일치되도록 한 후 이들 중첩된 제1 및 제2연장 패널(13,23)의 주변에 사각형으로 재봉질하여 제2재봉부(52)를 형성한다(도 4의 (b)참조).
이후 제2패널(2)을 도 4의 (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인 하방으로 접어 제1패널(1)과 중첩시킨 후 가장자리를 재봉질하여 제1재봉부(51)를 형성함으로써 에어백(A3)이 완성된다.
제4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A4)은,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위에 돌출 형성되며 2개의 홀(180,181)이 대칭 형성되어 접어지는 연장 패널(18)과, 인플레이터가 장착되는 결합부(4)가 일측에 형성된 제1패널(1); 상기 제1패널(1)과 대략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홀(180,181)에 대응되는 홈(21)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인플레이터(F)가 장착되는 결합부(4)가 일측에 형성된 제2패널(2)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 패널(18)과 제1 및 제2패널(1,2)을 박음질시켜 형성된 제2재봉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제1패널(1)과 제2패널(2)을 중첩시켜 가장자리에 박음질시켜 형성된 제1재봉부(5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패널(1,2)은 타원형으로 재단된다. 물론 그 형상은 보다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제1패널(1)은 일측에 직사각형의 연장 패널(18)이 형성되는데, 상기 연장 패널(18)은 2개의 홀(180,181)이 형성되며, 연장 패널(18)을 접었을때 상기 2개의 홀(180,181)이 일치된다.
그리고 접혀진 연장 패널(18)의 일단부가 제1패널(1)의 일부위까지 덮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패널(2)은 상기 홀(180,181)에 대응되도록 일측 가장자리에 홈(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패널(1,2)을 이용한 에어백(A4)의 제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패널(1)의 연장 패널(18)을 접어서 2개의 홀(180,181)이 일치되도록 한다.
이후 연장 패널(18)을 제2패널(2)의 일측 가장자리에 중첩시켜 홀(180,181)과 홈(21)이 일치되도록 한 후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시켜 제2재봉부(52)를 형성한다(도 5의 (b)참조).
이후 제2패널(2)을 도 5의 (b)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인 하방으로 접어 제1패널(1,2)에 중첩시킨 후 가장자리를 재봉질하여 제1재봉부(51)를 형성함으로써 에어백(A4)이 완성된다(도 5의 (c)참조).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제1패널 2 : 제2패널
3 : 보강 패널 4 : 결합부
5 : 재봉부 11 : 제1홈
21 : 제2홈 30 : 통공
51 : 제1재봉부 52 : 제2재봉부

Claims (4)

  1. 상호 맞대어지며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위에 제1홈(11) 및 제2홈(21)이 형성되고, 인플레이터(F)가 장착되는 결합부(4)가 일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패널(1,2);
    상기 제1홈(11) 및 제2홈(21)에 대응되는 통공(30)이 형성되며 제1 및 제2패널(1,2)의 안쪽면에 박음질(L)로 부착되는 보강 패널(3)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패널(1,2)을 중첩시킨 후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재봉부(5)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
  2.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위에 돌출 형성되며 홀(120)이 형성된 연장 패널(12)과, 인플레이터(F)가 장착되는 결합부(4)가 일측에 형성된 제1패널(1);
    상기 제1패널(1)과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홀(120)에 대응되는 홈(21)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인플레이터(F)가 장착되는 결합부(4)가 일측에 형성된 제2패널(2)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 패널(12)과 제1 및 제2패널(1,2)에 박음질되어 제2재봉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제1패널(1)과 제2패널(2)을 중첩시켜 가장자리에 박음질시켜 제1재봉부(5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
  3. 홀(130)이 형성된 제1연장 패널(13)가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위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인플레이터(F)가 장착되는 결합부(4)가 일측에 형성된 제1패널(1);
    홀(230)이 형성된 제2연장 패널(23)이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위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인플레이터(F)가 장착되는 결합부(4)가 일측에 형성된 제2패널(2)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연장 패널(13,23)과 제1 및 제2패널(1,2)를 박음질시켜 제2재봉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제1패널(1)과 제2패널(2)을 중첩시켜 가장자리에 박음질시켜 제1재봉부(5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
  4.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위에 돌출 형성되며 2개의 홀(180,181)이 대칭 형성되어 접어지는 연장 패널(18)과, 인플레이터가 장착되는 결합부(4)가 일측에 형성된 제1패널(1);
    상기 제1패널(1)과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홀(180,181)에 대응되는 홈(21)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인플레이터(F)가 장착되는 결합부(4)가 일측에 형성된 제2패널(2)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 패널(18)과 제1 및 제2패널(1,2)을 박음질시켜 형성된 제2재봉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제1패널(1)과 제2패널(2)을 중첩시켜 가장자리에 박음질시켜 제1재봉부(5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
KR20100108614A 2010-11-03 2010-11-03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 KR101198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8614A KR101198951B1 (ko) 2010-11-03 2010-11-03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
JP2011234910A JP5852407B2 (ja) 2010-11-03 2011-10-26 ベントホールが形成されたエアバッ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8614A KR101198951B1 (ko) 2010-11-03 2010-11-03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001A KR20120047001A (ko) 2012-05-11
KR101198951B1 true KR101198951B1 (ko) 2012-11-07

Family

ID=46265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08614A KR101198951B1 (ko) 2010-11-03 2010-11-03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852407B2 (ko)
KR (1) KR101198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499B1 (ko) * 2013-02-14 2014-09-22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에어백 내압 제어를 위한 개방 가능형 심을 포함하는 쿠션
JP6236092B2 (ja) * 2013-12-18 2017-11-2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DE102016117126A1 (de) * 2015-09-16 2017-03-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itenairbag einschließlich nach vorne weisender Entlüftung
US9834168B2 (en) 2015-09-16 2017-1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including forward facing vent
DE102016117127A1 (de) * 2015-09-16 2017-03-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itenairbag einschließlich nach vorne weisender Entlüftung
JP7014118B2 (ja) * 2018-09-27 2022-02-01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8712A (ja) 2008-09-04 2010-03-18 Autoliv Development Ab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4438B2 (ja) * 1989-11-16 1994-12-21 池田物産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H04365651A (ja) * 1991-06-11 1992-12-17 Achilles Corp 車輌用エアバック
US5536038A (en) * 1995-02-01 1996-07-1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ide impact inflatable restraint with vent openings
US5906391A (en) * 1997-08-05 1999-05-25 Takata, Inc. Dual chamber airbag with improved assembly features
JP2008284930A (ja) * 2007-05-15 2008-11-27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8712A (ja) 2008-09-04 2010-03-18 Autoliv Development Ab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52407B2 (ja) 2016-02-03
KR20120047001A (ko) 2012-05-11
JP2012096781A (ja)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5293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198951B1 (ko) 벤트홀이 형성된 에어백
JP4760158B2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7188153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
US9707923B2 (en) Airbag device for a front passenger seat
JP2007296980A (ja) エアバッグ
WO2010008060A1 (ja) 車両用エアバッグとその製造方法
EP2756999B1 (en) Passenger-side airbag, passenger-side airbag device, and vehicle
JP5527890B2 (ja) エアバッグ
JP2008230291A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8414019B2 (en) Airbag apparatus
JP6236092B2 (ja) エアバッグ装置
CN101258061A (zh) 特别用于保护车辆乘员膝部区域的气囊
JP2008001362A (ja) エアバッグとエアバッグを製作するための方法
US20060012160A1 (en) Air-bag
WO2016035457A1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及びそれを備えるエアバッグ装置
JP2018111419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及び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WO2019230544A1 (ja) エアバッグ
JP2001138848A (ja) エアバッグ
JP2006232178A (ja) エアバッグ
JP4979298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052611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本体
JP6091104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2733023B1 (en) Side airbag for vehicle
JP7196654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