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754B1 - Tray transporter and side pusher employed in the same - Google Patents

Tray transporter and side pusher employed in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754B1
KR101198754B1 KR1020090117506A KR20090117506A KR101198754B1 KR 101198754 B1 KR101198754 B1 KR 101198754B1 KR 1020090117506 A KR1020090117506 A KR 1020090117506A KR 20090117506 A KR20090117506 A KR 20090117506A KR 101198754 B1 KR101198754 B1 KR 101198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transfer
reciprocating member
transfer tray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5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61003A (en
Inventor
임우영
피승택
김기만
정충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90117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754B1/en
Priority to PCT/KR2010/008550 priority patent/WO2011068352A2/en
Publication of KR20110061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0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7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 G01R31/2808Holding, conveying or contacting devices, e.g. test adapters, edge connectors, extender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Abstract

트레이 이송 장치는 이송 트레이, 제1 이송 레일,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이드 푸시부 및 제2 이송 레일을 포함한다. 이송 트레이는 상부에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어 고정된다. 제1 이송 레일은 이송 트레이를 지지하며 제1 작업 위치까지 이송한다.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은 이송 트레이의 제1 측 및 제1 측과 반대편인 제2 측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며, 이송 트레이의 제1 측 및 제2 측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가이드한다. 사이드 푸시부는 이송 트레이가 제1 작업 위치까지 이송된 후에, 이송 트레이가 제1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제1 측을 기준으로 정렬되도록 제2 측을 제1 측을 향하여 제1 방향으로 푸시하고, 정렬 후에는 제1 측으로부터 제2 측을 향하여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복귀하는 푸시 암을 포함한다. 제2 이송 레일은 푸시 암이 이송 트레이의 제2 측을 푸시한 후에, 이송 트레이를 지지하며 이송 트레이를 제2 작업 위치까지 이송한다. 이에 따라, 이송 트레이를 정밀하게 정렬할 수 있다.The tray conveying device includes a conveying tray, a first conveying rail, first and second guide rails, at least one side push portion and a second conveying rail. The transport tray is fixed with a work object seated thereon. The first conveying rail supports the conveying tray and conveys it to the first working position. The first and second guide rails ar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of the transfer tray, respectively, and guide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transfer tray at predetermined intervals, respectively. . After the transfer tray is transferred to the first working position, the side push unit pushes the second side in the first direction toward the first side such that the transfer tray is alig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by the first guide rail, and after alignment Includes a push arm returning from the first side toward the second side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transfer rail supports the transfer tray after the push arm pushes the second side of the transfer tray and transfers the transfer tray to the second working position. Thereby, the transfer tray can be precisely aligned.

Description

트레이 이송 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사이드 푸시 장치{TRAY TRANSPORTER AND SIDE PUSHER EMPLOYED IN THE SAME}TRAY TRANSPORTER AND SIDE PUSHER EMPLOYED IN THE SAME}

본 발명은 트레이 이송 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사이드 푸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 대상물을 이송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사이드 푸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transfer apparatus and a side push apparatus employed there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y transfer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work object and a side push apparatus employed therein.

일반적으로, 전자장치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이 구비되며, 이러한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다양한 형상의 소자들이 실장되어 있다. 이러한 소자들의 불량 등을 검사하기 위하여, 보통 3차원 형상 측정장치가 사용된다.In general,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PCB) is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and elements of various shapes ar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order to inspect defects of such devices, a three-dimensional shape measuring device is usually used.

상기 3차원 형상 측정장치는, 작업 대상물인 인쇄회로기판을 이송 트레이에 적재하여 트레이 이송 장치에 의해 소정의 장소로 이송하고, 상기 이송된 인쇄회로기판을 측정 또는 검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the three-dimensional shape measuring apparatus, a printed circuit board, which is a work object, is loaded on a transfer tray, transferred to a predetermined place by a tray transfer device, and the measured printed circuit board is measured or inspected.

종래의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는, 구동롤러에 감겨 직선운동하는 링 벨트를 이용하여 레일로 이송한 후, 상기 레일을 상승시켜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원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측정 또는 검사하는 방식을 채용하여 왔다. Conventional printed circuit board conveying apparatus, by using a ring belt that is wound around the drive rollers and transported to the rail, the rail is raised to positi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the desired position to measure or inspect the printed circuit board Has been adopted.

그러나,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이송 트레이가 수평방향으로 정렬되지 않아서 작업 대상물에 대한 정밀한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송 트레이를 정밀하게 정렬할 수 있는 트레이 이송 장치가 요청된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a problem arises that the transfer tray is not alig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precise measurement of the workpiece is difficult.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ray conveying apparatus capable of precisely aligning a conveying tray.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송 트레이를 정밀하게 정렬할 수 있는 트레이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y transfer apparatus that can accurately align the transfer tra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한 트레이 이송 장치에 채용되는 사이드 푸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de push device that is employed in the tray transfer devic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tray) 이송 장치는 이송 트레이, 제1 이송 레일(rail),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이드 푸시부 및 제2 이송 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 트레이는 상부에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 이송 레일은 상기 이송 트레이를 지지하며 제1 작업 위치까지 이송한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은 상기 이송 트레이의 제1 측 및 상기 제1 측과 반대편인 제2 측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이송 트레이의 제1 측 및 제2 측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가이드한다. 상기 사이드 푸시부는 상기 이송 트레이가 상기 제1 작업 위치까지 이송된 후에, 상기 이송 트레이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상기 제1 측을 기준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제2 측을 상기 제1 측을 향하여 제1 방향으로 푸시(push)하고, 상기 정렬 후에는 상기 제1 측으로부터 상기 제2 측을 향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복귀하는 푸시 암(push arm)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이송 레일은 상기 푸시 암이 상기 이송 트레이의 제2 측을 푸시한 후에, 상기 이송 트레이를 지지하며 상기 이송 트레이를 제2 작업 위치까지 이송한다.A tray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ing tray, a first conveying rail, first and second guide rails, at least one side push portion and a second conveying rail. do. The transfer tray is fixed to the work object is seated on the top. The first conveying rail supports the conveying tray and conveys it to a first working position. The first and second guide rails ar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of the transfer tray and a seco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respectively, and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transfer tray. Guide them separately. After the transfer tray is transferred to the first working position, the side push par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tray faces the first side such that the transfer tray is alig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by the first guide rail. And a push arm that pushes in one direction and, after the alignment, returns from the first side to the second side an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transfer rail supports the transfer tray after the push arm pushes the second side of the transfer tray and transfers the transfer tray to a second working position.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는 제3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왕복운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푸시부는 상기 푸시 암과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왕복운동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이동블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The tray convey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eciprocating member that reciprocates in a third direction and a fourth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wherein the side push par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ush arm to perform the reciprocating motion. The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block reciprocat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s the member moves in the third direction. In this case, the third direction and the fourth direction may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왕복운동 부재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동블럭은 상기 제2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 및 평면 형상을 갖는 평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왕복운동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운동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함몰부 및 상기 평면부와 순차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왕복운동 부재가 상기 제4 방향으로 운동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평면부 및 상기 함몰부와 순차적으로 접촉한다.The reciprocating member may include a protrusion projecting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movable block may include a recessed portion recess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flat portion having a planar shape, and the reciprocating member may be When the protrusion moves in the third direction, the protrusion sequentially contacts the depression and the plane portion, and when the reciprocating member moves in the fourth direction, the protrusion sequentially moves with the plane portion and the depression. Contact with.

상기 사이드 푸시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왕복운동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함몰부의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함몰부의 최저점까지 이동할 때,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함몰부와 상기 돌출부가 접촉하도록 저장된 상기 탄성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푸시 암 및 상기 이동블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왕복운동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함몰부의 최저점으로부터 상기 함몰부의 끝점까지 이동할 때, 상기 왕복운동 부재는 상기 함몰부와 상기 돌출부가 접촉하도록 상기 푸시 암 및 상기 이동블럭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한다.The side push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storing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in the second direction, and when the reciprocating member moves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depression to the lowest point of the depression in the third direction, the elastic member Is used to move the push arm and the moving block in the first direction by using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stored in contact with the depression and the protrusion, and the reciprocating member moves from the lowest point of the depression in the third direction. When moving to the end of the depression, the reciprocating member stores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while moving the push arm and the moving block in the second direction such that the depression and the protrusion contact each other.

예를 들어, 상기 제2 이송 레일에 의하여 상기 이송 트레이가 상기 제2 작업 위치까지 이송되는 방향은 상기 제3 방향이고, 상기 제2 이송 레일은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을 왕복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왕복운동 부재 및 상기 제2 이송 레일은 서로 일체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는 상기 왕복운동 부재 및 상기 제2 이송 레일을 동시에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nsfer tray is conveyed to the second working position by the second transfer rail is the third direction, and the second transfer rail reciprocates in the third direction and the fourth direction. Can be. In this case, the reciproca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veyance rail may be integrally fixed to each other, and the tray conveying apparatus reciprocates the reciproca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veying rail simultaneously in the third and fourth directions. A reciprocating transfer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2 이송 레일은, 상기 왕복운동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적어도 상기 함몰부의 최저점을 통과한 이후에 상기 이송 트레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는,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 트레이 또는 상기 작업 대상물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이송 한계를 정의하는 높이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transfer rail may support the transfer tray after the reciprocating member passes at least the lowest point of the depression in the third direction. The tray transpor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guide disposed on the first guide rail and defining a transport limit of the transport tray or the work object in the third direction.

일 예로,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푸시 암이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직선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푸시 암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홀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second guide rail, the push arm penetrates the second guide rail so as to linearly reciprocat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ush arm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 hole extending in the direction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이송 장치용 사이드 푸시 장치 는 몸체, 푸시 암 및 이동블럭을 포함한다. 상기 푸시 암은 상기 몸체에 부착되고,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상기 이동블럭은 상기 푸시 암과 일체로 형성되어서, 외부로부터 제공된 왕복운동 부재가 제3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상기 푸시 암은, 상부에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이송 트레이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1 작업 위치까지 이송된 후에, 상기 이송 트레이가 제1 측을 기준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제1 측의 반대편인 제2 측을 상기 제1 측을 향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푸시하고, 상기 정렬 후에는 상기 제1 측으로부터 상기 제2 측을 향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복귀한다.The side push device for a tray convey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a push arm and a moving block. The push arm is attached to the body and reciprocates in a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an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movable block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ush arm, and the reciprocating member provided from the outside reciproc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s the reciprocating member provided in the third direction moves. The push arm may be opposite to the first side such that the transfer tray is alig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after the transfer tray on which the workpiece is mounted and fixed is transferred to the first working posi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Pushing a second side in the first direction towards the first side, and after the alignment, returns to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first side towards the second side.

예를 들면,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rd direction may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일 실시예로, 상기 이동블럭은 상기 제2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 및 평면 형상을 갖는 평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왕복운동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운동할 때, 상기 왕복운동 부재에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는 상기 함몰부 및 상기 평면부와 순차적으로 접촉한다.In one embodiment, the movable block may include a recessed portion recess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flat portion having a planar shape, and when the reciprocating member moves in the third direction, The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second direction sequentially contacts the depression and the planar portion.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용 사이드 푸시 장치는 상기 제2 방향으로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왕복운동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함몰부의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함몰부의 최저점까지 이동할 때,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함몰부와 상기 돌출부가 접촉하도록 저장된 상기 탄성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푸시 암 및 상기 이동블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왕복운동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함몰부의 최저점으로부터 상기 함몰부의 끝점까지 이동할 때, 상기 왕복운동 부재는 상기 함몰부와 상기 돌출부가 접촉하도록 상기 푸시 암 및 상기 이동블럭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한다.The side push device for the tray transfe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storing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reciprocating member moves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recess in the third direction to the lowest point of the recess. When the elastic member moves the push arm and the moving block in the first direction by using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stored in contact with the recess and the protrusion, the reciprocating member moves in the third direction. When moving from the lowest point of the depression to the end of the depression, the reciprocating member stores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while moving the push arm and the moving block in the second direction such that the depression and the protrusion contact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 트레이 또는 그 위에 장착된 작업 대상물을 원하는 위치로 상승시키는 과정 중 혹은 그 이전에 사이드 푸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이송 트레이를 일측을 기준으로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송 트레이를 정밀하게 정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tray is precisely aligned by aligning the transfer tray with respect to one side using a side push device before or during the process of raising the transfer tray or a work object mounted thereon to a desired position. You can sort.

또한, 상기 이송 트레이의 상승과 상기 사이드 푸시 장치의 동작을 동일한 동력원을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상승과 정렬을 오차 없이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erforming the raising of the transfer tray and the operation of the side push device using the same power source, the raising and alignment can be performed accurately without error.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 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레이 이송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레이 이송 장치의 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y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y convey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tray) 이송 장치(100)은 이송 트레이(110), 제1 이송 레일(rail)(120), 제1 및 제2 가이드(guide) 레일들(130,14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이드 푸시부(150), 제2 이송 레일(160), 왕복운동 부재(170) 및 왕복이송부(180)를 포함한다.1 and 2, a tray transfe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fer tray 110, a first transfer rail 120, and a first and second guide. (guide) rails 130 and 140, at least one side push unit 150, a second transfer rail 160, a reciprocating member 170, and a reciprocating transfer unit 180.

상기 이송 트레이(110)는 상부에 작업 대상물(10)이 안착되어 고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작업 대상물(10)은 형상 측정 및 검사를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tray 110 is fixed to the work object 10 is seated on the top. For example, the work object 10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for shape measurement and inspection.

상기 제1 이송 레일(120)은 상기 이송 트레이(110)를 지지하며 제1 작업 위치(WP1)까지 이송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이송 레일(120)로 타이밍 벨트를 채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송 레일(12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이송 트레이(110)의 양측 하단에서 상기 이송 트레이(110)를 지지하며 이송할 수 있다.The first transfer rail 120 supports the transfer tray 110 and transfers it to the first work position WP1. For example, a timing belt may be employed as the first transfer rail 120, and the first transfer rail 120 is formed in a pair so that the transfer tray 110 is disposed at both lower ends of the transfer tray 110. It can support and transport.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130,140)들은 상기 이송 트레이(110)의 제1 측(112) 및 상기 제1 측(112)과 반대편인 제2 측(114)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이송 트레이(110)의 제1 측(112) 및 제2 측(114)을 소정의 간격(TL1,TL2)을 두고 각각 가이드한다. 상기 소정의 간격(TL1,TL2)은 상기 이송 트레이(110)의 사이즈에 대한 소정의 마진(margin) 값을 두기 위한 간격으로, 예를 들면, 상기 간격들(TL1,TL2)의 합은 대략 2mm 정도일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guide rails 130 and 140 ar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112 of the transfer tray 110 and the second side 114 opposite to the first side 112, respectively. The first side 112 and the second side 114 of the transfer tray 110 are gu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L1 and TL2, respectively. The predetermined intervals TL1 and TL2 are intervals for setting a predetermined margin value for the size of the transfer tray 110. For example, the sum of the intervals TL1 and TL2 is approximately 2 mm. May be enough.

상기 사이드 푸시부(150)는 상기 이송 트레이(110)가 상기 제1 작업 위 치(WP1)까지 이송된 후에, 상기 이송 트레이(110)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30)에 의하여 상기 제1 측(112)을 기준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제2 측(114)을 상기 제1 측(112)을 향하여 제1 방향으로 푸시(push)하고, 상기 정렬 후에는 상기 제1 측(112)으로부터 상기 제2 측(114)을 향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복귀한다.After the transfer tray 110 is transferred to the first work position WP1, the side push unit 150 may move the transfer tray 110 to the first side by the first guide rail 130. Push the second side 114 toward the first side 112 in a first direction to align with respect to 112 and after the alignment the second side 114 from the first side 112 Towards side 114 it returns to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푸시부를 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ide pus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이드 푸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de push unit illustrated in FIG. 2.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상기 사이드 푸시부(150)는 몸체(152), 푸시 암(154), 이동블럭(156) 및 탄성부재(158)을 포함한다.2 and 3, the side push unit 150 includes a body 152, a push arm 154, a moving block 156, and an elastic member 158.

상기 푸시 암(154)은 상기 몸체(152)에 부착되고, 상기 몸체(152)를 기준으로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따라서, 상기 푸시 암(154)은 상부에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이송 트레이(110)가 소정의 간격(TL1,TL2)을 두고 제1 작업 위치(WP1)까지 이송된 후에, 상기 이송 트레이(110)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30)에 의하여 상기 제1 측(112)을 기준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제2 측(114)을 상기 제1 측(112)을 향하여 제1 방향으로 푸시하고, 상기 정렬 후에는 상기 제1 측(112)으로부터 상기 제2 측(114)을 향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 레일(140)에는, 상기 푸시 암(154)이 상기 제2 가이드 레일(140)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직선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푸시 암(154)에 대응 하여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push arm 154 is attached to the body 152 and reciprocates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152. Therefore, the push arm 154 is transferred to the first working position WP1 after the transfer tray 110 on which the work object is seated and fixed to the first work position WP1 at predetermined intervals TL1 and TL2. The second side 114 is pushed in the first direction toward the first side 112 such that 110 is alig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112 by the first guide rail 130, and After alignment, the first side 112 may return from the first side 112 toward the second side 114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n this case, the push arm 154 has the push arm 154 through the second guide rail 140 to linearly reciprocat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Correspondingly, hole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formed.

상기 이동블럭(156)은 상기 푸시 암(154)과 일체로 형성되어서, 후술되는 왕복운동 부재가 제3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이때, 일 예로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이동블럭(156)은 상기 제2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156a) 및 평면 형상을 갖는 평면부(156b)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able block 156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ush arm 154, and thus reciproc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s the reciprocating member described later moves in the third direction. In this case, as an example, the third direction may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n one embodiment, the moving block 156 may include a depression 156a recess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planar portion 156b having a planar shape.

상기 탄성부재(158)는 상기 제2 방향으로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재(15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탄성부재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58)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저장된 탄성 위치에너지를 상기 왕복운동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 운동에너지로 전환하여 상기 푸시 암(154) 및 상기 이동블럭(156)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elastic member 158 may store elastic potential energy in the second direction.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158 may be formed as a coil spring as shown in FIG. 3, but another type of elastic member may be possible. The elastic member 158 converts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stored in the second direction into elastic kinetic energy as the reciprocating member moves in the third direction to move the push arm 154 and the moving block 156. Move in the first direction.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이송 레일(160)은 상기 푸시 암(154)이 상기 이송 트레이(110)의 제2 측(114)을 푸시한 후에, 상기 이송 트레이(110)를 지지하며 상기 이송 트레이(110)를 제2 작업 위치(WP2)까지 이송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gain, the second transfer rail 160 may be formed after the push arm 154 pushes the second side 114 of the transfer tray 110. It supports and transfers the transfer tray 110 to the second working position (WP2).

상기 왕복운동 부재(170)는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한다. 상기 왕복운동 부재(170)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72)는 일 예로 캠 팔로워(cam follwer)이며, 상기 왕복운동 부재(170)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운동할 때, 상기 돌출부(172)는 상기 함몰부(156a) 및 상기 평면부(156b)와 순차적으로 접촉하고, 상 기 왕복운동 부재가 상기 제4 방향으로 운동할 때, 상기 돌출부(172)는 상기 평면부(156b) 및 상기 함몰부(156a)와 순차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The reciprocating member 170 reciprocates in the third direction and a fourth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The reciprocating member 170 may include a protrusion 172 protruding in the second direction. The protrusion 172 is, for example, a cam follower, and when the reciprocating member 170 moves in the third direction, the protrusion 172 is the recessed portion 156a and the flat portion ( When the reciprocating member moves in the fourth direction, the protrusion 172 may sequentially contact the flat portion 156b and the recessed portion 156a.

상기 왕복이송부(180)는 일 예로 피스톤(piston)/실린더(cylinder)일 수 있으며, 상기 왕복운동 부재(170)와 연결되어서 상기 왕복운동 부재(170)를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왕복이송부(180)는 상기 제2 이송 레일(160)과도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왕복운동 부재(170) 및 상기 제2 이송 레일(160)이 서로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왕복운동 부재(170) 및 상기 제2 이송 레일(160)을 동시에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다.The reciprocating transfer unit 180 may be, for example, a piston / cylinder, and is connected to the reciprocating member 170 to move the reciprocating member 170 in the third and fourth directions. To reciprocate. In addition, the reciprocating transfer unit 180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fer rail 160, the reciprocating member 170 and the second transfer rail 160 may be integrally fix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reciprocating member 170 and the second transfer rail 160 may simultaneously reciprocate in the third direction and the fourth direction.

상기 제2 이송 레일(160)은, 상기 왕복운동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적어도 상기 함몰부의 최저점을 통과한 이후에 상기 이송 트레이(110)를 지지할 수 있다. The second transfer rail 160 may support the transfer tray 110 after the reciprocating member passes at least the lowest point of the depression in the third direction.

한편, 상기 트레이 이송 장치(100)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3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 트레이(110) 또는 상기 작업 대상물(10)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이송 한계를 정의하는 높이 가이드(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 가이드(190)는 일 예로 3차원 형상 측정장치의 측정 스테이지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y transfer device 100 is disposed on the first guide rail 130, the height guide for defining the transfer limit of the transfer tray 110 or the workpiece 10 in the third direction. 190 may further include. The height guide 190 may be, for example, a measuring stage of the 3D shape measuring apparatus.

이하, 상술한 트레이 이송 장치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tray transfer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트레이 이송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들이다.4 to 6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ray convey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상기 이송 트레이(110)가 상기 제1 작업위치(WP1)를 거쳐 상기 제2 작업위치(WP2)까지 이송되는 과정을 설명한다.1 to 6, a process in which the transfer tray 110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work position WP2 via the first work position WP1 will be describ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이송 트레이(110)가 상기 제1 이송 레일(120)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제1 작업위치(WP1)까지 이송된다.1 and 2, first, the transfer tray 110 is supported by the first transfer rail 120 to be transferred to the first work position WP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어서 상기 왕복이송부(180)는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2 이송 레일(160)과 상기 왕복운동 부재(170)를 상기 제3 방향으로 제1 높이(H1)만큼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왕복운동 부재(170)의 돌출부(172)는 상기 사이드 푸시부(150)의 함몰부(156a)에 대응하여 접촉하며, 상기 이동블럭(156)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reciprocating conveying unit 180 then moves in the third direction and moves the second conveying rail 160 and the reciprocating member 170 in the third direction in a first height. Raise by (H1). In this case, the protrusion 172 of the reciprocating member 170 is in contact with the depression 156a of the side push unit 150, the movement block 156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왕복운동 부재(170)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함몰부(156a)의 시작점(SP)으로부터 상기 함몰부(156a)의 최저점(LP)까지 이동할 때, 상기 탄성부재(158)는 상기 함몰부(156a)와 상기 돌출부(172)가 접촉하도록, 저장된 상기 탄성 위치에너지를 탄성 운동에너지로 전환하여 상기 푸시 암(154) 및 상기 푸시 암(154)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이동블럭(156)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pecifically, when the reciprocating member 170 moves from the starting point SP of the recess 156a to the lowest point LP of the recess 156a in the third direction, the elastic member 158 The movable block 156 integrally formed with the push arm 154 and the push arm 154 by converting the stored elastic potential energy into elastic kinetic energy so that the depression 156a and the protrusion 172 contact each other. )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푸시 암(154)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송 트레이(110)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푸시하고, 상기 이송 트레이(110)는 상기 제1 측(112)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30)에 접촉하여 상기 제1 측(112)을 기준으로 정렬된다.The push arm 154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o push the transfer tray 110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transfer tray 110 has the first side 112 having the first guide rail ( 130 is alig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112.

도 5를 참조하면, 이어서 상기 왕복이송부(180)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2 이송 레일(160)과 상기 왕복운동 부재(170)를 상기 제3 방향으로 제2 높이(H2)만큼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왕복운동 부재(170)의 돌출부(172)는 상기 사이드 푸시부(150)의 함몰부(156a)에 대응하여 접촉하며, 상기 이동블럭(156)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Referring to FIG. 5, the reciprocating conveying unit 180 then moves in the third direction and moves the second conveying rail 160 and the reciprocating member 170 in the third direction at a second height H2. Increase by. In this case, the protrusion 172 of the reciprocating member 170 is in contact with the depression 156a of the side push unit 150, the movement block 156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왕복운동 부재(170)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함몰부(156a)의 최저점(SP)으로부터 상기 함몰부(156a)의 끝점(EP)까지 이동할 때, 상기 왕복운동 부재(170)의 돌출부(172)는 상기 함몰부(156a)와 상기 돌출부(172)가 접촉하도록 상기 이동블럭(156)을 상기 제2 방향으로 가압하며 이동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푸시 암(154)도 상기 제2 방향으로 복귀한다. 한편, 상기 이동블럭(156)의 가압으로 상기 탄성부재(158)의 탄성 위치에너지는 다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푸시 암(154)이 상기 이송 트레이(110)를 푸시하고 복귀하는 속도는 상기 제2 이송 레일(160)의 상승 속도에 비하여 빠를 수 있으며, 상기 푸시 및 복귀 속도는 상기 탄성부재(158)의 탄성계수 및/또는 상기 함몰부(156a)의 형상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다.Specifically, when the reciprocating member 170 moves from the lowest point SP of the recessed portion 156a to the end point EP of the recessed portion 156a in the third direction, the reciprocating member 170 Protruding portion 172 of the to press and move the movable block 156 in the second direction such that the recessed portion 156a and the protrusion 172 is in contact, thereby the push arm 154 also the second Return to the direction. Meanwhile,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of the elastic member 158 may be stored again by the pressurization of the movable block 156. The speed at which the push arm 154 pushes and returns the transfer tray 110 may be faster than the rising speed of the second transfer rail 160, and the push and return speeds may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elastic member 158. It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elastic modulus and / or the shape of the recessed portion (156a).

상기 제2 이송 레일(160)이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제2 높이(H2)만큼 상승된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이송 레일(160)은 상기 이송 트레이(110)와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2 이송 레일(160)은 상기 이송 트레이(110)와 이미 접촉하여 지지하고 있거나, 접촉하여 지지하기 직전일 수도 있다.When the second conveyance rail 160 is raised by the second height H2 in the third direction,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conveyance rail 160 contacts the conveyance tray 110. Can be supported. Alternatively, the second transfer rail 160 may already be in contact with and support the transfer tray 110, or may be just before supporting it.

도 6을 참조하면, 이어서 상기 왕복이송부(180)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2 이송 레일(160)과 상기 왕복운동 부재(170)를 상기 제3 방향으로 제3 높이(H3)만큼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왕복운동 부재(170)의 돌출부(172)는 상기 사이드 푸시부(150)의 평면부(156b)에 대응하여 접촉하며, 상기 이동블럭(156)은 탄성 위치에너지를 보유한 채 고정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reciprocating conveying unit 180 then moves in the third direction and moves the second conveying rail 160 and the reciprocating member 170 in the third direction at a third height H3. Increase by. At this time, the protrusion 172 of the reciprocating member 170 is in contact with the planar portion 156b of the side push portion 150, the movable block 156 is fixed while holding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

상기 제2 이송 레일(160)은 상기 이송 트레이(110)를 지지하며 상승시키므로, 상기 이송 트레이(110)는 상기 제2 작업위치(WP2)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높이 가이드(190)는 상기 이송 트레이(110) 또는 상기 작업 대상물(10)의 상면이 원하는 위치에 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므로, 상기 이송 트레이(110) 또는 상기 작업 대상물(10)은 상기 제2 작업위치(WP2)에 정확히 위치될 수 있다.Since the second transfer rail 160 supports and lifts the transfer tray 110, the transfer tray 110 may be raised to the second working position WP2. Since the height guide 190 guides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tray 110 or the work object 10 to a desired position, the transfer tray 110 or the work object 10 is the second It can be located exactly at the work position WP2.

이어서, 상기 제2 작업위치(WP2)까지 상승된 이송 트레이(110)에 장착된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작업 대상물에 대하여 형상 측정 및 검사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 트레이(110)는 다시 제1 작업위치(WP1)로 복귀한 후,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Subsequently, a shape measurement and inspection may be performed on a work object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on the transfer tray 110 that is raised to the second work position WP2. Next, the transfer tray 110 may be returned to the first work position WP1 and then withdrawn to the outside.

한편, 도 4 내지 도 6에서의 과정들은 별도의 도면으로 나누어 설명하였지만,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es in Figures 4 to 6 have been described in a separate drawing, it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 트레이 또는 그 위에 장착된 작업 대상물을 원하는 위치로 상승시키는 과정 중 혹은 그 이전에 사이드 푸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이송 트레이를 일측을 기준으로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송 트레이를 정밀하게 정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side push device before or during the process of elevating the transfer tray or the work object mounted thereon to the desired position, the transfer tray to be aligned with respect to one side, the transfer tray Can be precisely aligned.

또한, 상기 이송 트레이의 상승과 상기 사이드 푸시 장치의 동작을 동일한 동력원을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상승과 정렬을 오차 없이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 다.In addition, by performing the raising of the transfer tray and the operation of the side push device using the same power source, the raising and alignment can be performed accurately without error.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아래의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an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below should be construed as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not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트레이 이송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y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레이 이송 장치의 측단면도이다.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y conveying apparatus shown in FIG. 1.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이드 푸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de push unit illustrated in FIG. 2.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트레이 이송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들이다.4 to 6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ray conveying apparatus shown in FIG.

<주요 도면번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Short Description of Main Drawing Numbers>

100 : 트레이 이송 장치 110 : 이송 트레이100: tray feeder 110: transfer tray

120 : 제1 이송 레일 130 : 제1 가이드 레일120: first transfer rail 130: first guide rail

140 : 제2 가이드 레일 150 : 사이드 푸시부 140: second guide rail 150: side push portion

154 : 푸시 암 156 : 이동블록154: push arm 156: moving block

160 : 제2 이송 레일 170 : 왕복운동 부재160: second transfer rail 170: reciprocating member

180 : 왕복이송부 180: round trip transfer

H1 : 제1 높이 H2 : 제2 높이H1: first height H2: second height

H3 : 제3 높이 SP : 함몰부 시작점H3: third height SP: starting point of depression

LP : 함몰부 최저점 EP : 함몰부 끝점LP: depression bottom EP: depression end

WP1 : 제1 작업위치 WP2 : 제2 작업위치WP1: 1st working position WP2: 2nd working position

Claims (15)

이송 트레이(tray);A transfer tray; 상기 이송 트레이를 지지하며 제1 작업 위치까지 이송하는 제1 이송 레일(rail);A first transfer rail supporting the transfer tray and transferring the feed tray to a first working position; 상기 이송 트레이의 제1 측 및 상기 제1 측과 반대편인 제2 측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이송 트레이의 제1 측 및 제2 측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가이드(guide)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A first side disposed to correspond to a first side of the transfer tray and a seco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and respectively guiding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transfer tray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second guide rails; 상기 이송 트레이가 상기 제1 작업 위치까지 이송된 후에, 상기 이송 트레이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상기 제1 측을 기준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제2 측을 상기 제1 측을 향하여 제1 방향으로 푸시(push)하고, 상기 정렬 후에는 상기 제1 측으로부터 상기 제2 측을 향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복귀하는 푸시 암(push arm)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이드 푸시부; 및After the transfer tray is transferred to the first working position, the second side is pushed in the first direction toward the first side such that the transfer tray is alig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by the first guide rail. at least one side push part including a push arm that is pushed and returns to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first side toward the second side after the alignment; And 상기 푸시 암이 상기 이송 트레이의 제2 측을 푸시한 후에, 상기 이송 트레이를 지지하며 상기 이송 트레이를 제2 작업 위치까지 이송하는 제2 이송 레일을 포함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And a second transfer rail for supporting the transfer tray and transferring the transfer tray to a second working position after the push arm pushes the second side of the transfer tra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제3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왕복운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And a reciprocating member reciprocating in a third direction and a fourth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상기 사이드 푸시부는, 상기 푸시 암과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왕복운동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이동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The side push unit, the tray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ush arm further comprises a moving block for reciprocat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s the reciprocating member moves in the third direction. Convey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And said third direction and said fourth direction are perpendicular to said first direction and said second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왕복운동 부재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The reciprocating member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이동블럭은 상기 제2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 및 평면 형상을 갖는 평면부를 포함하며,The movable block includes a recessed portion recess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flat portion having a planar shape. 상기 왕복운동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운동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함몰부 및 상기 평면부와 순차적으로 접촉하고,When the reciprocating member moves in the third direction, the protrusions sequentially contact the depressions and the planar portion, 상기 왕복운동 부재가 상기 제4 방향으로 운동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평면부 및 상기 함몰부와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And when the reciprocating member moves in the fourth direction, the protruding portion sequentially contacts the flat portion and the recessed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푸시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ide push portion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for storing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왕복운동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함몰부의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함몰부의 최저점까지 이동할 때,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함몰부와 상기 돌출부가 접촉하도록 저장된 상기 탄성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푸시 암 및 상기 이동블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When the reciprocating member moves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depression to the lowest point of the depression in the third direction, the elastic member uses the push arm and the movement using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stored to contact the depression and the protrusion. Move the block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왕복운동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함몰부의 최저점으로부터 상기 함몰부의 끝점까지 이동할 때, 상기 왕복운동 부재는 상기 함몰부와 상기 돌출부가 접촉하도록 상기 푸시 암 및 상기 이동블럭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When the reciprocating member moves from the lowest point of the recessed portion to the end point of the recessed portion in the third direction, the reciprocating member moves the push arm and the movable block in the second direction such that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protrusion contact each other. Tray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while moving.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제2 이송 레일에 의하여 상기 이송 트레이가 상기 제2 작업 위치까지 이송되는 방향은 상기 제3 방향이고,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nsfer tray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working position by the second transfer rail is the third direction, 상기 제2 이송 레일은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을 왕복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And the second conveyance rail reciprocates in the third and fourth directions.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왕복운동 부재 및 상기 제2 이송 레일은 서로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왕복운동 부재 및 상기 제2 이송 레일을 동시에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The reciproca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veyance rail is fixed to each other integrally, further comprising a reciprocating portion for reciprocating the reciproca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veyance rail simultaneously in the third direction and the fourth direction. A tray feed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2 이송 레일은, 상기 왕복운동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적어도 상기 함몰부의 최저점을 통과한 이후에 상기 이송 트레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And the second transfer rail supports the transfer tray after the reciprocating member passes at least the lowest point of the depression in the third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 트레이 또는 상기 이송 트레이의 상부에 안착되는 작업 대상물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이송 한계를 정의하는 높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And a height guide disposed on the first guide rail, the height guide defining a transfer limit in the third direction of the workpiece being seated on the transfer tray or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tr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guide rail, 상기 푸시 암이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직선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푸시 암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A hol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ush arm so that the push arm moves linearly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through the second guide rail; Tray feed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이송 레일은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이 상기 제1 이송 레일에 의해 에워싸이도록 배치되며, 상기 일면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과 마주보도록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The second conveyance rail is a tray conve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aining surfaces other than one surface is surrounded by the first conveying rail, the one surface is opened to face the first guide rail. 몸체;Body; 상기 몸체에 부착되고,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푸시 암; 및A push arm attached to the body and reciprocat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And 상기 푸시 암과 일체로 형성되어서, 외부로부터 제공된 왕복운동 부재가 제3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이동블럭을 포함하고,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ush arm, and includes a moving block for reciprocat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s the reciprocating member provided from the outside moves in the third direction, 상기 푸시 암은, 상부에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이송 트레이가 제1 작업 위치까지 이송된 후에, 상기 이송 트레이가 제1 측을 기준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제1 측의 반대편인 제2 측을 상기 제1 측을 향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푸시하고, 상기 정렬 후에는 상기 제1 측으로부터 상기 제2 측을 향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용 사이드 푸시 장치.The push arm has a seco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such that the transfer tray is alig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after the transfer tray on which the workpiece is seated and fixed is transferred to the first working position. And push in the first direction toward the first side, and return to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first side toward the second side after the alignment.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용 사이드 푸시 장치.And said third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said first direction and said second direction.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이동블럭은 상기 제2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 및 평면 형상을 갖는 평면부를 포함하며,The movable block includes a recessed portion recess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flat portion having a planar shape. 상기 왕복운동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운동할 때, 상기 왕복운동 부재에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는 상기 함몰부 및 상기 평면부와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용 사이드 푸시 장치.When the reciprocating member moves in the third direction, the protrusion projecting in the second direction to the reciprocating member sequentially contacts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planar portion.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for storing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왕복운동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함몰부의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함몰부의 최저점까지 이동할 때,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함몰부와 상기 돌출부가 접촉하도록 저장된 상기 탄성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푸시 암 및 상기 이동블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When the reciprocating member moves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depression to the lowest point of the depression in the third direction, the elastic member uses the push arm and the movement using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stored to contact the depression and the protrusion. Move the block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왕복운동 부재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함몰부의 최저점으로부터 상기 함몰부의 끝점까지 이동할 때, 상기 왕복운동 부재는 상기 함몰부와 상기 돌출부가 접촉하도록 상기 푸시 암 및 상기 이동블럭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탄성 위치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용 사이드 푸시 장치.When the reciprocating member moves from the lowest point of the recessed portion to the end point of the recessed portion in the third direction, the reciprocating member moves the push arm and the movable block in the second direction such that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protrusion contact each other. The side push device for a tray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while moving.
KR1020090117506A 2009-12-01 2009-12-01 Tray transporter and side pusher employed in the same KR1011987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506A KR101198754B1 (en) 2009-12-01 2009-12-01 Tray transporter and side pusher employed in the same
PCT/KR2010/008550 WO2011068352A2 (en) 2009-12-01 2010-12-01 Tray transfer apparatus and side push apparatus employed in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506A KR101198754B1 (en) 2009-12-01 2009-12-01 Tray transporter and side pusher employed in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702A Division KR101329027B1 (en) 2012-05-15 2012-05-15 Tray transporter and side pusher employed in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003A KR20110061003A (en) 2011-06-09
KR101198754B1 true KR101198754B1 (en) 2012-11-12

Family

ID=4411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506A KR101198754B1 (en) 2009-12-01 2009-12-01 Tray transporter and side pusher employed in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98754B1 (en)
WO (1) WO2011068352A2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810A (en) 2022-10-18 2024-04-25 주식회사 한화 Align apparatus for transport and transport method using driving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71536B (en) * 2018-08-31 2019-09-11 鴻勁精密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component correction unit and its application job sorter
CN110040498A (en) * 2019-05-20 2019-07-23 广东顺力智能物流装备股份有限公司 A kind of cargo automatic centering mechanism
TWI809476B (en) * 2021-08-17 2023-07-21 致茂電子股份有限公司 Transportation equipment of dragging tra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4500U (en) * 1987-02-20 1988-11-11
JP2815728B2 (en) * 1991-08-07 1998-10-27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Positioning device for semiconductor devices
JPH06143083A (en) * 1992-11-06 1994-05-24 Bando Chem Ind Ltd Transshipping device for roller shaped work
JPH10180677A (en) * 1996-12-20 1998-07-07 Amada Eng Center:Kk Origin-positioning device
WO2007088927A1 (en) * 2006-02-01 2007-08-09 Olympus Corporation Substrate exchanging apparatus,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inspection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810A (en) 2022-10-18 2024-04-25 주식회사 한화 Align apparatus for transport and transport method using driving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003A (en) 2011-06-09
WO2011068352A2 (en) 2011-06-09
WO2011068352A3 (en)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754B1 (en) Tray transporter and side pusher employed in the same
WO2019080342A1 (en) Electronic device detection apparatus
KR101216000B1 (en) Component transfer device and method
JP2006337044A (en) Ic handler
KR101341988B1 (en) Film Feeder for Electrode Notching System for Secondary Battery
KR101574486B1 (en) Test socket
TWI476130B (en) Marking device
CN210401582U (en) Printed circuit board on-line measuring equipment
KR101839214B1 (en) Probe card transferring apparatus, probe card transferring method and probe apparatus
JP6103745B2 (en) Thrust height measurement system
JP4554578B2 (en) Substrate transport device and printed solder inspection device having the same
KR101565793B1 (en) Structure of the carrier mobility F PCB inspection equipment
KR101329027B1 (en) Tray transporter and side pusher employed in the same
US20200379011A1 (en) Test fixture and testing machine having the same
JP5104119B2 (en) Parts alignment device
JP4450081B2 (en) Parts testing equipment
JP2011143443A (en) Workpiece separation apparatus
CN211870695U (en) Clamp and conveying device
JP2010156575A (en) Ic handler
JP4938599B2 (en) Surface mount machine
JP5058021B2 (en) Pallet transport device
CN216608048U (en) Clamping device
TWM461282U (en) Printed circuit board shaping apparatus
CN112872792B (en) Base module assembly quality
JP5155694B2 (en) Pallet transpo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