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368B1 - 로터리스크린이 내장된 주물사 분리부와 자동 탈장착 후크부가 구비된 쇼트기 - Google Patents

로터리스크린이 내장된 주물사 분리부와 자동 탈장착 후크부가 구비된 쇼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368B1
KR101198368B1 KR1020100031090A KR20100031090A KR101198368B1 KR 101198368 B1 KR101198368 B1 KR 101198368B1 KR 1020100031090 A KR1020100031090 A KR 1020100031090A KR 20100031090 A KR20100031090 A KR 20100031090A KR 101198368 B1 KR101198368 B1 KR 101198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olding sand
rotary screen
screen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1817A (ko
Inventor
장호인
정명만
Original Assignee
정명만
장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만, 장호인 filed Critical 정명만
Priority to KR1020100031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368B1/ko
Publication of KR20110111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3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designed for abrasive blasting of particular work, e.g. the internal surfaces of cylinder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5/00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22C5/06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by sieving or magnetic sepa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05Vibratory devices, e.g.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by ultrasonic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리스크린이 내장된 주물사 분리부와 자동 탈장착 후크부가 구비된 쇼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물사 분리부에 로터리스크린을 채용함으로써 쇼트볼과 주물사외 각종 이물질을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쇼트대상물이 매달리는 후크부를 전용 호이스트에 결합되는 결합구성이 아닌 개별구성으로 형성하고, 상기 쇼트기의 상부면에는 상기 후크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형성하되, 회전기어를 통해 자동으로 탈장착이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쇼트대상물을 공용 크레인으로써 쇼트기 내하부까지 자유자재로 인양,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 쇼트작업 중에는 안착부에 안착시키고 공용 크레인은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전용 호이스트의 생략이 가능하여 쇼트기의 크기 증대와 함께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로터리스크린이 내장된 주물사 분리부와 자동 탈장착 후크부가 구비된 쇼트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터리스크린이 내장된 주물사 분리부와 자동 탈장착 후크부가 구비된 쇼트기{A shoot device with separator of molding sand with a built-in rotary screen and hooker with auto mounting and detaching}
본 발명은 로터리스크린이 내장된 주물사 분리부와 자동 탈장착 후크부가 구비된 쇼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물사 분리부에 로터리스크린을 채용함으로써 쇼트볼과 주물사외 각종 이물질을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쇼트대상물이 매달리는 후크부를 전용 호이스트에 결합되는 결합구성이 아닌 개별구성으로 형성하고, 상기 쇼트기의 상부면에는 상기 후크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형성하되, 회전기어를 통해 자동으로 탈장착이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쇼트대상물을 공용 크레인으로써 쇼트기 내하부까지 자유자재로 인양,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 쇼트작업 중에는 안착부에 안착시키고 공용 크레인은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전용 호이스트의 생략이 가능하여 쇼트기의 크기 증대와 함께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로터리스크린이 내장된 주물사 분리부와 자동 탈장착 후크부가 구비된 쇼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조품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점결제 등이 배합된 주물사로 주형틀을 형성하고, 상기 주형틀에 내부에 용융된 주물을 넣어 냉각시킴으로써 주조품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주조품의 외표면에는 주물사는 물론 각종 이물질과 분진 등이 잔존하고 있기 때문에 쇼트 블라스터를 이용하여 상기 주조품의 외면에 다수개의 쇼트볼들을 분사하여 줌으로써 주조품의 외표면에 잔존하는 주물사 및 분진, 각종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주게 된다.
상기 쇼트볼의 상태는 주조품의 외표면에서 털어낸 주물사, 다량의 각종 분진 등과 섞여 있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로 주조품의 외면에 잔존하는 주물사, 분진,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에 사용하면, 주조품의 외면에 얼룩이 생기게 되고, 이는 주조품의 불량으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투사기나 라이너등의 조기마모로 유지비 상승을 초래하므로, 쇼트볼을 사용할 시에는 반드시 같이 섞여있는 주물사와 각종 분진, 이물질 등을 제거한 후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쇼트볼을 쇼트 블라스터에서 재사용하기 전에 쇼트볼과 섞인 주물사, 각종 분진 등을 쇼트볼과 분리하는 작업과정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쇼트볼의 외면에 묻은 주물사 외 각종 이물질, 분진의 분리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스크류스크린이 내장된 쇼트볼 주물사 분리부를 사용하였는 바, 그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스크류 스크린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 스크린의 일측단에는 주물사가 묻은 쇼트볼과 각종 이물질, 분진을 이송시키는 스크류 이송부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스크류 스크린의 중앙에 수평으로 형성된 중앙회전축의 일측단은 스크류 이송부와 연동되게 일체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회전축의 타측단은 모터의 회전축과 연동수단으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스크류 스크린의 측방으로 이물질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 스크린의 하측에는 강력한 집진력을 가진 집진부가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 스크린의 망눈을 빠져나가 아래로 낙하하는 주물사 및 분진은 낙하 도중에 집진부의 강력한 집진력에 의해 집진됨으로써 쇼트볼과 분리되고, 주물사와 분진이 분리된 쇼트볼은 하측의 쇼트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쇼트볼 주물사 분리부는 쇼트볼의 외면에 묻은 주물사와 분진을 분리하기 위해 강력한 집진력을 가진 집진부를 구비할 필요가 있었고, 상기와 같은 강력한 집진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하여 에너지효율 측면에서는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쇼트볼 주물사 분리부는 진공청소기와 같은 원리의 강력한 집진력에 의해서만 쇼트볼과 그 외면에 묻은 주물사, 분진을 분리하는 형태이므로, 쇼트볼의 주물사 분리제거효율이 크게 낮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주조품의 품질이 크게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 쇼트기의 상방에는 쇼트기 전용 호이스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호이스트의 일측에는 쇼트대상물인 주조물을 매달리도록 하여 쇼트대상물을 인양, 운반하는 후크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 종래의 후크부는 쇼트기 전용 호이스트에 고정결합되어 쇼트작업을 하는 도중에는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쇼트기를 제작하는 공장에서는 공용 크레인이 필수적으로 설치되므로 쇼트기의 전용 호이스트는 그 하측에 설치될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쇼트기의 상방 높이는 공용 크레인으로 인하여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전용 호이스트는 전후방으로만 이동이 가능하여 쇼트대상물의 쇼트작업에 있어서, 제한요소가 상당하였고, 이로 인해 작업효율이 크게 저하될 뿐 아니라 상기 전용 호이스트로로 인해 제조비용이 상당부분 증가할 뿐 아니라 제조시간 또한 상당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진동스크린이 내장된 1차 분리수단; 내부에는 로터리 스크린이, 상부에는 집진부가, 하부에는 주물사 배출구와 쇼트볼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2차 분리수단; 상기 1차 분리수단의 처리물을 2차 분리수단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 으로 구성하여 종래에 비해 쇼트볼에 묻은 주물사 및 분진, 이물질을 완전하게 분리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본 발명의 제 1 목적이 있다.
또한, 쇼트대상물을 매달아 인양 및 운반하는 후크부를 전용 호이스트에 결합되는 결합구성이 아닌 개별구성으로 형성하되, 쇼트기의 상부면에는 상기 후크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전용 호이스트를 설치하지 아니하고도 공용 크레인으로써 쇼트 대상물을 용이하게 인용,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본 발명의 제 2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쇼트기에 있어서,
진동스크린(1)이 내장되고, 상기 진동스크린(1)의 높이에 대응되는 일측에 이물질 배출구(2)가 형성된 1차 분리수단(100)과, 로터리스크린(4)이 내장되고 상부에는 집진부(7)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쇼트볼 배출구(9)가 형성되며 다른 하부에는 주물사 배출구(8)가 형성된 2차 분리수단(200)과, 상기 1차 분리수단(100)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2차 분리수단(200)에 타측단이 연결된 이송수단(300);으로 이루어진 쇼트볼 주물사 분리부(400);
외둘레면의 상부에 회전기어B(14)가 형성된 회전체(11)와, 그 상하측에 수직으로 일체형성된 후크(12)와, 외둘레면의 하부에 형성된 베어링(15)으로 이루어진 후크부(500);
상방으로 여닫는 여닫이 도어식으로 형성된 상부 덮개(18);
상기 후크부(500)가 안착되는 공간으로 상부 덮개(18)에 형성되어 내측면 상부에는 상기 회전기어B(14)에 교합되는 회전기어A(17)가 형성된 안착부(16);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터리스크린(4)은 양면이 개방된 누운 원통형으로, 측면(4a)은 망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4a)의 내벽면에는 쇼트볼 가이드편(10)이 나선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터리스크린(4)의 망눈은 주물사는 통과하되, 쇼트볼은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스크린(1)은 진동모터(1a)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스크린(1)의 망눈은 쇼트볼, 주물사, 분진은 통과하되, 이물질은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체(11)는 역삼각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11)가 안착되는 안착부(16) 또한 상기 회전체(11)가 안착가능한 역삼각뿔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쇼트볼의 외면에 묻은 주물사 및 이물질, 분진을 완전하게 분리제거하여 줌으로써 쇼트볼을 재사용할 때에 주조품에 얼룩을 남기는 등의 불량사유를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주조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둘째, 많은 에너지 소비를 필요로 하는 강력한 집진력을 가진 집진장치를 이용하지 아니하고도 1차 분리수단의 진동스크린과 2차 분리수단의 로터리스크린을 통해 이물질은 물론 쇼트볼에 묻은 주물사와 분진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줌으로써 에너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셋째, 2차 분리수단의 집진부를 통해 주물사와 분진을 분리하여 별도로 분리 및 포집하여 주물사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을 절약하고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자동으로 탈장착되는 후크부와 함께 상기 후크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쇼트기의 상부면에 형성하여 공용 크레인을 이용하여 주조물을 쇼트기의 내외부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쇼트작업 중에는 공용 크레인은 후크부로 분리가능하여 다른 작업도 가능하게 됨에 따라 별도의 전용 호이스트가 필요없게 되고, 상기 안착부가 형성되는 상부면을 여닫이 도어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공용 크레인으로 여닫을 수 있게 되어 가로로 형성된 주조물 또한 쇼트기 내부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품질과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제작기간 또한 크게 단축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의 쇼트볼 주물사 분리부 정면 사시도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의 쇼트볼 주물사 분리부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쇼트볼 주물사 분리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쇼트볼 주물사 분리부 사용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후크부 설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후크부 상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기어A, B의 교합도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기어A의 상세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쇼트기 내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쇼트기 상부면 단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 구성,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바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쇼트볼 주물사 분리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쇼트볼 주물사 분리부 사용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주물사 분리부를 도 2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주물사 분리부는 대략적으로 진동스크린(1)이 내장된 1차 분리수단(100); 로터리스크린(4)이 내장된 2차 분리수단(200); 상기 1차 분리수단(100)의 처리물을 2차 분리수단(200)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300); 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1차 분리수단(100)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진동스크린(1)이 수평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진동스크린(1)은 바이브레이트 기능을 가진 진동모터(1a)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스크린(1)의 망눈은 주물사가 묻은 쇼트볼과 분진은 용이하게 통과하면서 이물질은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개방된 상부를 통해 주물사가 묻은 쇼트볼과 이물질, 분진이 함께 주입되면, 진동모터(1a)를 통해 진동하는 진동스크린(1)에 의해 주물사가 묻은 쇼트볼과 분진은 진동스크린(1)의 망눈을 통과하여 아래로 낙하하게 되고, 진동스크린(1)의 망눈을 통과하지 못하는 이물질은 진동스크린(1)의 진동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하여 이물질 배출구(2)로 배출되는데, 상기 이물질 배출구(2)는 원통형상으로서 그 일측단부는 상기 1차 분리수단(100)의 측부에 일체형성되어 내부와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되, 타측단부는 45도 각도로 하향된 구조로 형성되어 진동스크린(1)을 통해 걸려지는 이물질이 상기 1차 분리수단(100)에서 용이하게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1차 분리수단(100)은 역삼각뿔 형상으로서, 개방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1차 분리수단(100)의 하부에는 주물사가 묻은 쇼트볼과 분진의 혼합물을 2차 분리수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300)이 1차 분리수단(100)과 2차 분리수단(200)을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때, 이송수단(300)의 일측은 1차 분리수단(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2차 분리수단(200)의 로터리스크린(4)의 일측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1차 분리수단(100)과 이송수단(300)으로써 연결되는 2차 분리수단(200)으로써 주물사가 묻은 쇼트볼과 분진을 분리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2차 분리수단(20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함체 형상으로서 중앙에는 전후면이 개방되고 측면은 망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벽면에는 쇼트볼 가이드편(10)이 형성된 로터리스크린(4)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부(7)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로터리스크린(4)을 통해 쇼트볼에서 분리된 주물사가 배출되는 주물사 배출구(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터리스크린(4)의 측부에는 주물사와 분진이 분리된 쇼트볼이 배출되는 쇼트볼 배출구(9)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쇼트볼 가이드편(10)은 상기 로터리스크린(4)의 내벽면에서 중앙방향으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되, 내벽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로터리스크린(4)의 내부 중앙에는 로터리스크린(4)을 회전시키는 수평회전축(3)이 로터리스크린(4)과 일체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회전축(3)의 일측단은 모터(5)의 회전축(5a)과 연동수단A(6)으로써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도 4는 쇼트대상물이 매달리는 자동 탈장착 후크부(500)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것으로, 도 4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 탈장착 후크부(5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후크부(500)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회전체(11), 상기 회전체(11)의 상하측에 각각 형성된 후크(12)로 이루어지며, 쇼트기(1000)의 상부면에는 상기 회전체(11)를 안착하는 안착부(16)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체(11)는 역삼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와 같은 회전체(11)의 상부 일측의 둘레에는 회전기어B(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11)의 하부 일측 둘레에는 베어링(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11)의 상측 및 하측에는 후크(12)가 수직으로 일체형성되어 있되, 상기 회전체(11)의 상측에 형성된 후크(12a)는 상방으로 수직형성되어 있고, 하측에 형성된 후크(12b)는 하방으로 수직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측 후크(12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되, 각 상측 후크(12a)의 개방된 부분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한쌍의 상측 후크(12a)들의 사이 간격에 공용 크레인(600)의 역‘T’자형으로 형성된 인양고리(600a)를 끼운 후, 한쌍의 상측 후크(12a)의 개방된 방향으로 회전을 시키게 되면, 상기 공용 크레인(600)의 인양고리(600a)의 양측부는 상측 후크(12a)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측 후크(12a)에 끼워지게 되어, 하측 후크(12b)에 걸리는 쇼트대상물을 인양 및 운반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공용 크레인(600)의 인양고리(600a)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시키게 되면 상측 후크(12a)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빠져나오게 되어 공용 크레인(600)은 후크(12)와 분리되는 것이다.
한편, 쇼트기(1000)의 상부면에는 상기 역삼각뿔 형상의 회전체(11)가 안착되어 끼워지는 안착부(16)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안착부(16)는 상하로 관통형성되어 있되, 역삼각뿔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체(11)가 긴밀하게 삽입되도록 역삼각뿔 형상의 안착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16)의 내측 둘레면의 일측에는 회전체(11)의 상부 외둘레면에 형성된 회전기어B(14)에 교합되는 또 다른 회전기어A(17)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전체(11), 후크(12)로 이루어지는 후크부(500)가 안착부(16)에 상방에서 하방으로 수직삽입되면, 회전체(11)의 상부 외둘레면에 형성된 회전기어B(14)와 안착부(16)의 내측 둘레면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기어A(17)는 교합하게 되면서 회전기어A(17)의 회전에 따라 회전기어B(14)와 일체형성된 회전체(11)는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회전기어A(17)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스테핑모터(19)에 연동수단B(20)로써 연동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기어A(17)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은 센서를 통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회전체(11)는 회전을 통해 안착부(16)에 견고하게 끼움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이는 일반적인 요부와 철부의 끼움고정구조와 같이 끼움고정되는 것이면 족하며, 끼움고정방향은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안착부(16)에 끼움고정된 회전체(11)를 안착부에서 이탈시키고자 할 때에는 회전기어A(17)를 반대로 회전을 시켜 회전체(11)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요부에서 철부가 빠져나오게 되면서 회전체(11)는 안착부(16)에서 이탈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체(11)의 하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15)이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체(11)는 안착부(16)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회전가능하게 된다.
위와 같은 후크부(500)와 안착부(16)를 형성함으로서 공용 크레인(600)을 이용하여 쇼트 대상물을 쇼트기(1000)의 내외부로 운반가능하게 됨은 물론 쇼트작업을 하는 동안에는 공용 크레인(600)은 다른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종래에 비해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위와 같은 후크부(500)와 안착부(16)의 형성으로써 전용 호이스트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됨에 따라 쇼트기(1000)의 크기를 상방으로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쇼트기(1000)의 상부면에는 상부 덮개(18)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경첩으로 고정체결되어 여닫이문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되, 상방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덮개(18)의 개폐는 유압으로써 길이가 조절되는 유압 실린더(21)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덮개(18)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수평으로 형성된 주조물을 공용 크레인(600)에 걸어 쇼트기(1000)의 내부로 운반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유압 실린더(21)를 통해 상부 덮개(18)를 열어서 쇼트기(1000)의 내부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쇼트기(1000)의 측면에는 쇼트 대상물이 쇼트기(1000) 내외부로 드나드는 측면 도어(2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부 덮개(18)는 쇼트기(1000) 상부면 모두에 형성되지 아니하고 측면 도어(22)가 형성된 측면의 상단과 상부 덮개(18)의 전(前)측면이 접하도록 형성하되, 상부 덮개의 후측면의 일측은 상하로 관통형성된 안착부(16)와는 그 측부에 트여진 후크부 진입구(23)로 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1차 분리수단 200 : 2차 분리수단
300 : 이송수단 400 : 쇼트볼 주물사 분리부
500 : 후크부 600 : 공용 크레인
600a : 인용고리 1000 : 쇼트기
1 : 진동스크린 1a : 진동모터
2 : 이물질 배출구 3 : 수평회전축
4 : 로터리스크린 4a : 측면
5 : 모터 5a : 회전축
6 : 연동수단A 7 : 집진부
8 : 주물사 배출구 9 : 쇼트볼 배출구
10 : 쇼트볼 가이드편 11 : 회전체
12 : 후크 12a : 상측 후크
12b : 하측 후크
14 : 회전기어B 15 : 베어링
16 : 안착부 17 : 회전기어A
18 : 상부 덮개 19 : 스테핑모터
20 : 연동수단B 21 : 유압 실린더
22 : 측면 도어 23 : 후크부 진입구

Claims (8)

  1. 쇼트기에 있어서,
    진동스크린(1)이 내장되고, 상기 진동스크린(1)의 높이에 대응되는 일측에 이물질 배출구(2)가 형성된 1차 분리수단(100)과, 로터리스크린(4)이 내장되고 상부에는 집진부(7)가 형성되고 측부에는 쇼트볼 배출구(9)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주물사 배출구(8)가 형성된 2차 분리수단(200)과, 상기 1차 분리수단(100)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2차 분리수단(200)에 타측단이 연결된 이송수단(300);으로 이루어진 쇼트볼 주물사 분리부(400);
    외둘레면의 상부에 회전기어B(14)가 형성된 회전체(11)와, 그 상하측에 수직으로 일체형성된 후크(12)와, 외둘레면의 하부에 형성된 베어링(15)으로 이루어진 후크부(500);
    상방으로 여닫는 여닫이 도어식으로 형성된 상부 덮개(18);
    상기 후크부(500)가 안착되는 공간으로, 상부 덮개(18)에 형성하되, 내측면 상부에는 상기 회전기어B(14)에 교합되는 회전기어A(17)가 형성된 안착부(16);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스크린이 내장된 주물사 분리부와 자동 탈장착 후크부가 구비된 쇼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스크린(4)은 양면이 개방된 누운 원통형으로, 측면(4a)은 망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4a)의 내벽면에는 쇼트볼 가이드편(10)이 나선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스크린이 내장된 주물사 분리부와 자동 탈장착 후크부가 구비된 쇼트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스크린(4)의 망눈은 주물사는 통과하되, 쇼트볼은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스크린이 내장된 주물사 분리부와 자동 탈장착 후크부가 구비된 쇼트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스크린(1)은 진동모터(1a)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스크린이 내장된 주물사 분리부와 자동 탈장착 후크부가 구비된 쇼트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스크린(1)의 망눈은 쇼트볼, 주물사, 분진은 통과하되, 이물질은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스크린이 내장된 주물사 분리부와 자동 탈장착 후크부가 구비된 쇼트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500)의 회전체(11)는 역삼각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500)의 회전체(11)가 안착되는 안착부(16) 또한 상기 회전체(11)가 안착가능한 역삼각뿔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스크린이 내장된 주물사 분리부와 자동 탈장착 후크부가 구비된 쇼트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18)는 유압 실린더(21)로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스크린이 내장된 주물사 분리부와 자동 탈장착 후크부가 구비된 쇼트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A(17)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스테핑모터(19)와 연동수단B(20)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스크린이 내장된 주물사 분리부와 자동 탈부착 후크부가 구비된 쇼트기.


KR1020100031090A 2010-04-05 2010-04-05 로터리스크린이 내장된 주물사 분리부와 자동 탈장착 후크부가 구비된 쇼트기 KR101198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090A KR101198368B1 (ko) 2010-04-05 2010-04-05 로터리스크린이 내장된 주물사 분리부와 자동 탈장착 후크부가 구비된 쇼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090A KR101198368B1 (ko) 2010-04-05 2010-04-05 로터리스크린이 내장된 주물사 분리부와 자동 탈장착 후크부가 구비된 쇼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817A KR20110111817A (ko) 2011-10-12
KR101198368B1 true KR101198368B1 (ko) 2012-11-07

Family

ID=4502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090A KR101198368B1 (ko) 2010-04-05 2010-04-05 로터리스크린이 내장된 주물사 분리부와 자동 탈장착 후크부가 구비된 쇼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3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7282A (zh) * 2011-11-24 2012-04-11 通辽市大林型砂有限公司 型砂除杂机
KR101246745B1 (ko) * 2011-12-23 2013-03-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압탕 스크랩의 재활용을 지원하는 주물사 분리 장치
CN104339277A (zh) * 2014-09-26 2015-02-11 马瑞利汽车零部件(芜湖)有限公司 一种汽车车灯镀铝支架喷砂辅助装置
CN114833302A (zh) * 2022-03-28 2022-08-02 朱常妮 一种金属铸造用铸造砂旋转式金属碎渣分离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4667A (ja) 1981-11-17 1983-05-20 Futaba Corp 鋳物砂と製品の分離・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4667A (ja) 1981-11-17 1983-05-20 Futaba Corp 鋳物砂と製品の分離・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817A (ko)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368B1 (ko) 로터리스크린이 내장된 주물사 분리부와 자동 탈장착 후크부가 구비된 쇼트기
WO2021012774A1 (zh) 一种钕铁硼废料筛选装置及使用方法
CN212145737U (zh) 一种金属铸件生产加工用清洗装置
CN201168766Y (zh) 旧粘土砂再生成套设备
CN212443202U (zh) 一种铸件清砂装置
CN208800357U (zh) 自动筛分设备
CN216098383U (zh) 一种除锈用的抛丸机
CN212351662U (zh) 一种自动化修飞边装置
CN209831354U (zh) 一种用于汽车铸件的清洁装置
CN209095805U (zh) 一种方便清理的磁选机
CN211097778U (zh) 一种吹塑机的防堵塞上料过滤装置
CN107457354B (zh) 型砂回收装置
CN209577063U (zh) 全自动立式刮刀离心机
CN202667143U (zh) 风选式筛选机
CN206028110U (zh) 一种用于翻砂铸造生产的分选筛
CN109821304A (zh) 一种组合布袋除尘设备
CN220218039U (zh) 一种具有清理结构的履带式抛丸机
CN205739244U (zh) 一种送料系统
CN220763163U (zh) 一种塑料制品加工用混合装置
CN111975646B (zh) 一种冒口抛丸机
CN220408386U (zh) 吊钩式抛丸清理机
CN214920234U (zh) 一种用于铸造消失模具的加砂装置
CN213033652U (zh) 一种高强铸件双重小孔过滤挡渣装置
CN207906459U (zh) 一种自动卸灰阀
CN206966564U (zh) 一种设砂粉分离型进料机构的汽车车桥砂模制作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