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000B1 - 합성목재 방음벽 - Google Patents

합성목재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000B1
KR101197000B1 KR1020120045879A KR20120045879A KR101197000B1 KR 101197000 B1 KR101197000 B1 KR 101197000B1 KR 1020120045879 A KR1020120045879 A KR 1020120045879A KR 20120045879 A KR20120045879 A KR 20120045879A KR 101197000 B1 KR101197000 B1 KR 101197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support
soundproof wall
plat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국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국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국산업
Priority to KR1020120045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1Plank-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15Anti-corrosion coatings or treating compositions, e.g. containing waterglass or based on another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2213/00Aspects of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 C23F2213/2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of the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apparatus
    • C23F2213/22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of the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ionic conductor, e.g. humectant, hydratant or backf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목재로 된 방음벽에 있어서, 그 표면에 나노기술을 응용하여 액상의 친환경적이며 고기능성인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과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로부터 제조된 코팅제가 도포된 코팅층을 형성하여 합성목재의 내식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의 부착을 방지함으로써 방오성(防汚性) 내지 발수성(撥水性)을 개선시키고, 나아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그 표면의 도장이 벗겨지거나 탈색 또는 변색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내구성의 증가에 따라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합성목재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합성목재 방음벽{An Artificial Timber Noise Barriers}
본 발명은 소음 절감을 위하여 도로, 철도, 아파트 단지, 학교 주변 등 각종 소음지역에 설치되는 방음벽(Noise Barriers)으로서 나노기술을 응용하여 친환경적이며, 합성목재의 표면에 고기능성인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및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로부터 제조되는 코팅제를 피복시킨 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써 그 표면의 부식을 방지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오염물질의 부착을 방지함으로써 방오성(防汚性) 내지 발수성을 개선시키며, 나아가 내구성 등의 증대에 따라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합성목재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격한 산업 발달과 소득 증대는 인류의 생활에 편의성을 가져다 준 반면 각종 환경오염 유발을 초래하였다. 특히 자동차 등 교통수단의 증가로 인한 소음공해는 우리 생활환경의 쾌적성을 파괴하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는데, 이러한 소음공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방음시설물이 필요하다.
방음시설물이란 소음의 전달과정에서 소음을 감쇠시켜 주변지역, 예를 들면 학교주변, 아파트단지, 철도, 고속도로, 국도, 쿨링타워 등 각종 소음지역의 전반적인 소음분포를 일정기준 이하로 낮추는 소음저감대책용 구조물을 말하며, 방음시설물의 종류로는 방음벽, 방음터널, 방음둑을 들 수 있다. 방음벽은 장벽 형태의 구조물을 말하고, 방음터널은 입?출구를 제외한 양 측면과 상부면을 완전히 차폐한 터널형 구조물을 말하며, 방음둑은 일정한 높이의 언덕을 말한다. 방음벽의 종류로는 방음 특성에 따라 흡음형 방음벽, 반사(차단)형 방음벽, 간섭형 방음벽, 가설형 방음벽, 기타 이들 특성이 복합된 방음벽 등으로 구분되며, 사용재료 및 특징에 따라 금속제 방음벽, 투명 방음벽, 채색 방음벽, 콘크리트 방음벽, 목재 방음벽 등으로 구분된다.
그 중 흡음형 방음벽은 주로 도심과 같이 도로 양쪽에 높은 건물이 존재하거나, 반사음에 의한 차음효과 감소가 우려되거나 난반사에 따른 소음이 문제되는 경우에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 전면은 상?하부가 요철로 되어 있는 알루미늄 슬릿판(Slit板)을 사용하고, 측면은 내식성이 강한 아연도금 강판으로 된 H형강 또는 I형강을 지주(支柱)로 대부분 사용하고 있으며, 후면은 내식성이 강한 아연도금 강판으로되어 있고, 그 내부는 Glass Wool, Rock Wool, 폴리에스터 등의 흡음재가 사용되며 밀도와 두께에서 차이를 두고 있어 최고 300kg/㎡의 풍압에도 견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반사형 방음벽은 방음벽면에서 음파가 대부분 반사하는 방음벽으로서, 반사음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역에 설치되며, 투명형 방음벽은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플라스틱제 투명판을 프레임에 고정시킨 형태로서 조망, 일조권, 채광이 요구되는 지역에 설치되는 것이고, 가설형 방음벽은 공사 현장 및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일시적으로 방지하고자 할 때 설치되는 것으로서 경량화, 간편화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야 하고, 해체 후 재사용 및 이동 설치가 가능하여야 한다.
소음은 절단성형구(Slit)나 타공구(punching)를 둔 전면판(前面板)을 통해 들어온 후 내부의 다공질 흡음재에 흡수되어 음의 반사를 막게 되는데, 흡음형 방음벽의 설계는 투과손실 이외에 음의 반사를 막도록 흡음율에 대한 기준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국내에서는 절단성형구(Slit)를 가진 알루미늄 표면의 방음판 또는 펀칭 타공된 분체도장 방음판으로 이루어진 강재 방음벽이 주로 시공되어 있는 실정인데, 판넬의 상?하부가 요철로 되어 있어 소음원이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며 경량으로 매우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어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에도 뛰어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위와 같은 내부 흡음재의 내구성이 약하고 물기가 생겼을 때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PVF 필름 등을 사용하여 흡음재를 보호하고 있다.
한편, 방음벽은 옥외의 악천후 속에 장기간 노출됨에 따라 태양광, 차량의 배기가스 등과 같은 오염물질, 먼지, 바람에 날려 온 토사, 우박 등에 의하여 쉽게 변색 또는 탈색되거나 그 표면이 부식이 된 경우에는 수명이 짧아져 방음벽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또한 미관을 위하여 대부분 그 표면에 다양한 색으로 도장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시간이 경과하면서 금속이 부식되거나 도장이 벗겨져 외관이 흉하게 변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렇게 하여 위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방음벽의 소재를 금속이 아닌 소재로 대체하여 사용하였는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106671호에는 사각의 틀로 이루어지고 일단에 합성목재로 된 방음판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 프레임, 프레임의 홈에 삽입되고 양단에 연결부재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 합성목재 방음판, 및 방음판의 홈에 삽입되어 인접하는 방음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방음벽이 개시되었으나, 합성목재 자체의 특성상, 제작된 방음벽은 인장강도 등 기계적 특성, 내후성 등이 우수하지 못한 단점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441031호에는 그물형 철망의 표면에 유리섬유와 콜타르 및 규사 등을 접착제와 혼합하여 제조된 방음 및 방수용 혼합물을 분사하여 소정의 두께로 도포시킨 방음벽이 개시되었으나, 이 또한 콜타르를 사용함으로써 품질이 조악하고, 내부식성, 내후성 등이 우수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055461호에는 전기아연도금강판(E.G.I.)으로 이루어진 지주(10)와 차단판(30)의 표면에 세라믹피복제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세라믹피복층(50)이 형성되는 친환경 방음벽이 개시되었으나, 차단판이 전기아연도금강판(E.G.I.)으로 이루어져 중량이 무거울 뿐만 아니라 부식이 발생되고, 세라믹 피복제는 폴리(디메틸실록산)-그라프트-폴리아크릴레이트에 콜로이드실리카 등의 나노 무기입자를 적하시킨 후에 에틸렌 3불화공중합수지를 첨가시켜 제조하는 것으로서 세라믹 피복제의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나아가 내오염성, 내식성에 있어서도 다소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방음벽의 중량을 경량으로 하여 설치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내오염성, 내식성이 뛰어난 방음벽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방음벽 중의 제일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흡음판의 재질을 전기아연도금강판(E.G.I.)으로부터 합성목재로 대체하고, 그 표면에 친환경적이며, 고기능성인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및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로부터 제조되는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방음벽의 경량화 및 내식성, 내오염성 등 향상을 통한 방음벽의 내구성 증가에 따라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합성목재 방음벽의 제공을 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시공위치에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주(10)와; 상기 지주(10) 사이에 전, 후면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어 소음을 흡입하기 위한 다수의 흡음공(21)이 형성된 전면판(20) 및 후면판(22)으로 이루어지는 흡음판(23)과; 상기 흡음판 내에 흡입되는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흡음체(24)를 구비하여서 된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지주(10)는 전기아연도금강판(E.G.I.)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음판(23)은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10)와 상기 흡음판(23)은 그 표면에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및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로부터 제조되는 코팅제를 15㎛ 내지 25㎛로 피복시킨 코팅층(50)이 형성되며, 상기 흡음체(24)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발포성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방음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위치에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주(10); 상기 지주(10)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상부가 음원측으로 꺾어 기울어진 차단판(30);을 구비하여서 된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지주(10)는 전기아연도금강판(E.G.I.)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단판(30)은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10)와 상기 차단판(30)은 그 표면에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및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로부터 제조되는 코팅제를 15㎛ 내지 25㎛로 피복시킨 코팅층(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방음벽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시공위치에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주(10); 상기 지주(10)의 사이에 가로로 설치되는 지지체(41); 상기 지주(10)와 상기 지지체(41)에 결합되는 가설방음벽 패널(42)로 이루어지는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지주(10), 상기 지지체(41) 및 상기 가설방음벽 패널(42)은 전기아연도금강판(E.G.I.)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및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로부터 제조되는 코팅제를 15㎛ 내지 25㎛로 도포하여 경화시킨 코팅층(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방음벽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합성목재 방음벽은 지주, 흡음판, 차단판, 지지체, 가설방음벽 패널지주의 재질을 전기아연도금강판(E.G.I.)으로부터 합성목재로 대체하고, 그들의 표면에 친환경적이며, 고기능성인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및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로부터 제조되는 코팅제를 피복시킨 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첫째, 방음벽의 중량을 감소시켜 경량화를 이룰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고,
둘째, 금속의 부식 방지에 의한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오염물질과 구조체 표면 간의 접촉면을 감소시켜 표면장력을 오염물질보다 낮춤으로써 이들의 부착을 막을 수 있으며, 일단 부착되었다 하더라도 접촉면을 최소화하고, 세척 시에도 쉽게 세척이 가능하여 방오성(防汚性) 내지 발수성이 뛰어나며,
셋째, 방음벽의 표면이 벗겨지거나, 탈색 또는 변색의 방지에 의한 미관을 유지시키고 내구성 향상으로 인하여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음형 방음벽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형 방음벽을 도시한 내부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형 방음벽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형 방음벽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도 5a, b, 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흡음형, 차단형, 가설형 방음벽의 소재에 코팅층이 형성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합성목재 방음벽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목재 방음벽은,
시공위치에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주(10); 상기 지주(10) 사이에 전, 후면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어 소음을 흡입하기 위한 다수의 흡음공(21)이 형성된 전면판(20) 및 후면판(22)으로 이루어지는 흡음판(23); 상기 흡음판 내에 흡입되는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흡음체(24)를 구비하여서 된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지주(10)는 전기아연도금강판(Electrolytic Galvanized Iron, E.G.I.)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음판(23)은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10) 및 흡음판(23)은 그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코팅층(50)이 형성되며, 상기 흡음체(24)는 발포성 폴리에틸렌 또는 발포성 폴리우레탄인 것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지주(10)는 그 재질을 일반 용융아연도금강판보다 도금 부착량이 균일하며 평활하기 때문에 내구성과 안전성이 높은 전기아연도금강판(E.G.I.)으로 하고, 상기 흡음판(23)은 합성목재로 이루어져서 천연 질감을 나타내고 내수성과 내후성이 우수하다. 합성목재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합성수지와, 목분(일반적으로 50% 이상) 및 기타 첨가물로 이루어지므로 우수한 내구성, 내수성, 내후성을 특징으로 하고, 데크, 펜스, 사이딩, 루버 등의 조경 자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재이다.
상기 지주(10) 및 흡음판(23) 등의 표면을 피복시키기 위한 코팅제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코팅제의 제조>
냉각기 및 교반기가 부착된 5ℓ반응기에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200g,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20g을 혼합한 다음 이소프로필알코올 50g을 넣고 50℃에서 3시간 동안 가열 교반시키면서 평균 입자 크기가 20nm인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 200g을 서서히 적하시켰다. 모두 적하시킨 후에 초산을 적당량 투입하여 pH를 5로 조정하고 10시간 동안 계속 반응시키면서, 색상 발현을 위하여 카본블랙의 검은색 안료를 적당량 첨가시켜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합성목재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제조한 코팅제를 상기 지주(10) 및 흡음판(23)의 표면에 피복하는 두께는 15~25㎛로 함이 바람직하다. 피복 두께를 15㎛ 미만으로 할 때는 방음벽의 표면과의 접착력이 떨어지고 은폐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25㎛를 초과하면 두께가 두껍게 되어 건조가 용이하지 못하며 도장 시 주름이 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며, 완전건조 시에는 균열이 발생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와 지주(10)의 사이에 흡음판(23)이 지주(10)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연결되고, 여러 개의 흡음판(23)을 수직으로 적층시킴으로써 원하는 높이의 방음벽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면판(20)에는 흡음공(21)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어 소음이 전면판(2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전면판(20)의 뒤편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후면판(22)이 설치됨으로써 전면판(20)과 후면판(22)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공간으로 인해 차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데, 그 공간에는 발포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다공성 흡음체(24)를 충전시킴으로써 차음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흡음형 합성목재 방음벽에 대해서 주로 설명을 하였으나, 차단형 합성목재 방음벽 및 가설형 합성목재 방음벽은 흡음형 합성목재 방음벽과 비교하여 이하, 흡음판(23), 흡음체(24) 대신에 차단판(30) 또는 지지체(41), 가설방음벽 패널(42)이 형성되어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차이가 없으므로, 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그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폭 200mm, 길이 3m, 두께 20mm인 합성목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먼지 등을 제거한 다음 스프레이방법으로 상기에서 제조된 코팅제를 12㎛ 두께로 2회 도포하고 경화시켜 코팅층이 형성된 흡음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에서 코팅제를 12㎛ 두께로 2회 도포하고 경화하는 대신에 7㎛ 두께로 2회 도포하고 경화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흠음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에서 코팅제를 12㎛ 두께로 2회 도포하고 경화하는 대신에 30㎛ 두께로 1회 도포하고 경화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흡음판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실시예 1에서 코팅제를 사용하는 대신에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20중량%, 폴리스티렌 8중량%, 실리콘에멀젼 2.5중량%, 탄산칼슘 30중량%, 촉매 1.5중량%, 안료 2중량%, 유리섬유 36중량%로 이루어진 피복재를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흡음판을 제작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합성목재 흡음판을 하기와 같은 시험항목별로 시험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내식성
두께 20mm(10㎝×10㎝)의 흡음판 위에 상기 코팅제를 피복한 실시예 1 내지 3의 시편 및 비교예의 시편을 5% 황산 용액에 24시간 동안 침적시켜 KS D 6711 방법으로 코팅층이 부풀음, 변색, 벗겨짐 및 용출 유무를 측정하였다.
2. 부착성
상기 시편을 예리한 칼을 30°로 하여 소지에 도달하게 등간격 평행선을 1mm 간격으로 11개, 여기에 교차하게 등간격 평행선 11개를 그려 정방형 100개(10mm×10mm)를 만든 후에 KS D 6711에 의거 Box Tape로 이 부분에 대한 박리시험을 행하여 정방형내 도막이 50% 이상 박리된 수를 조사하였다. 이때 ○: 박리가 없음, △ : 박리가 30 이하, ×: 박리가 30 이상을 나타낸다.
3. 경도시험
상기 시편 각각 1개씩을 KSD 6711 기준에 의거 건조기에서 180℃, 30분간 건조시켜 1kgf힘으로 10mm 그어 5회 반복하여 연필경도를 측정하였다.
4. 발수성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의 상기 시편을 건조기에서 150℃, 20분간 건조시킨 후 JIS-S-1092 스프레이법으로 발수도를 측정하였으며, 발수도는 100 : 표면에 부착된 습기가 없음, 90 : 표면에 부착된 습기가 약간 있음, 80 : 표면에 부착된 상당한 부분이 젖음을 나타낸다.
5. 내후성 시험
상기 시편 각각 1개씩을 기후 측정기(weather-o-meter, 아틀라스사)를 사용하여 UV 조사량에 따른 변색 정도를 수치화(ΔE) 함으로써 측정하였다. 내후성 시험시 UV 조사량은 2500kj/m3 이었다. 내후성은 비, 바람, 서리, 눈, 자외선과 같은 기후의 변화에 제품이 견디는 성질로서, 내후성이 우수할수록 ΔE값이 낮으며, 이는 기후 변화에 따라 표면색의 변화나 표면 상태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6. 내풍압성
내풍압성은 탄성변위시험과 영구변위시험을 포함한 하중변위시험으로 그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시험조건은 KSF-4770-3(2003)의 8.5의 규격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험측정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내식성 이상 없음 약간 갈라짐 약간 갈라짐 약간 변색, 부풀음
부착성 ×
경도 9H 8H 8H 4H
발수성 100 90 90 80
내후성
(2500kj/m3, ΔE)
1.8 2.1 2.2 3.0
내풍압성
(하중변위mm )
3 4 4 5
본 발명에 의한 합성목재 방음벽은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기입자로서 평균입자가 나노 크기인 20nm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를 함유하므로 친환경적이며, 고기능성인 코팅제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갖는 방음벽을 만드는 실시예 중 본 발명의 수치한정 범위내에서 실시한 실시예 1은 수치한정 범위를 벗어나는 실시예 2, 3과 비교하여 내식성, 부착성, 경도, 발수성, 내후성 및 내풍압성 면에서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같은 열경화성수지 조성물로 된 방음벽인 비교예와 비교하여 내식성 등 모든 면에서 매우 우수하여 방음벽의 표면이 쉽게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내구성 향상에 따라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지주 20 : 전면판
21 : 흡음공 22 : 후면판
23 : 흡음판 24 : 흡음체
30 : 차단판 41 : 지지체
42 : 가설방음벽 패널 50 : 코팅층

Claims (7)

  1. 시공위치에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주(10)와; 상기 지주(10) 사이에 전, 후면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어 소음을 흡입하기 위한 다수의 흡음공(21)이 형성된 전면판(20) 및 후면판(22)으로 이루어지는 흡음판(23)과; 상기 흡음판 내에 흡입되는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흡음체(24)를 구비하여서 된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지주(10)는 전기아연도금강판(E.G.I.)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음판(23)은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10)와 상기 흡음판(23)은 그 표면에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및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로부터 제조되는 코팅제를 15㎛ 내지 25㎛로 피복시킨 코팅층(50)이 형성되며, 상기 흡음체(24)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발포성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방음벽.
  2. 시공위치에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주(10); 상기 지주(10)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상부가 음원측으로 꺾어 기울어진 차단판(30);을 구비하여서 된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지주(10)는 전기아연도금강판(E.G.I.)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단판(30)은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10)와 상기 차단판(30)은 그 표면에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및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로부터 제조되는 코팅제를 15㎛ 내지 25㎛로 피복시킨 코팅층(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방음벽.
  3. 시공위치에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주(10); 상기 지주(10)의 사이에 가로로 설치되는 지지체(41); 상기 지주(10)와 상기 지지체(41)에 결합되는 가설방음벽 패널(42)로 이루어지는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지주(10), 상기 지지체(41) 및 상기 가설방음벽 패널(42)은 전기아연도금강판(E.G.I.)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및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로부터 제조되는 코팅제를 15㎛ 내지 25㎛로 도포하여 경화시킨 코팅층(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방음벽.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45879A 2012-05-01 2012-05-01 합성목재 방음벽 KR101197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879A KR101197000B1 (ko) 2012-05-01 2012-05-01 합성목재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879A KR101197000B1 (ko) 2012-05-01 2012-05-01 합성목재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7000B1 true KR101197000B1 (ko) 2012-11-05

Family

ID=47563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879A KR101197000B1 (ko) 2012-05-01 2012-05-01 합성목재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0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447B1 (ko) * 2013-11-20 2014-10-06 (주)애니우드 조립식 방음패널
KR101447448B1 (ko) * 2013-12-03 2014-10-07 (주)애니우드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
KR102136285B1 (ko) 2020-03-06 2020-07-21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리사이클링이 가능한 친환경 합성목재 방음패널.
KR102187019B1 (ko) * 2020-03-06 2020-12-04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기존 교량 방호벽의 보강이 가능한 방음벽 기초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461B1 (ko) * 2010-11-01 2011-08-08 주식회사 보국산업 친환경 방음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461B1 (ko) * 2010-11-01 2011-08-08 주식회사 보국산업 친환경 방음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447B1 (ko) * 2013-11-20 2014-10-06 (주)애니우드 조립식 방음패널
KR101447448B1 (ko) * 2013-12-03 2014-10-07 (주)애니우드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
KR102136285B1 (ko) 2020-03-06 2020-07-21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리사이클링이 가능한 친환경 합성목재 방음패널.
KR102187019B1 (ko) * 2020-03-06 2020-12-04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기존 교량 방호벽의 보강이 가능한 방음벽 기초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000B1 (ko) 합성목재 방음벽
KR101169183B1 (ko) 차열 상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차열 상도 조성물을 이용한 차열방수시공방법
KR102015465B1 (ko) 박공지붕과 경사파라펫을 포함하는 복합시트형 방수단열공법
KR100942521B1 (ko)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복합 단열 도막방수 공법
KR102200896B1 (ko) 수용성 아크릴 우레탄 방수제를 이용한 중성화방지 복합시트 시공방법
KR101219531B1 (ko) 건축물 외벽 파손복구 및 차열방수공법
WO2017108124A1 (en) Floor panel having drainage protrusions
KR101201850B1 (ko) 금속 및 아스팔트 슁글 건축물 지붕의 차열방수공법
Chew Building facades: a guide to common defects in tropical climates
KR101055461B1 (ko) 친환경 방음벽
CN208668785U (zh) 一种合成树脂隔音防水瓦
KR101988804B1 (ko) 노후되어 교체가 필요한 방음판의 성능향상 및 부식방지를 제공하는 방음벽의 리모델링 공법
KR100367515B1 (ko) 건축용 내외장용 마감재 패널
JP5124732B2 (ja) 断熱方法及び断熱構造
CN202202440U (zh) 玻纤增强薄抹灰矿物棉保温板
CN201952988U (zh) Grc屋面装饰板防水系统
KR102095289B1 (ko) 옥상 스틸 단열방수공법 및 그 공법에 의한 단열방수구조
PL166494B1 (pl) Material do izolacji cieplnej i dzwiekowej, sposób wytwarzania materialu cieplnie oraz dzwieko-izolacyjnego, zwlaszcza budowy przewietrzanych fasad PL PL
KR102165326B1 (ko) 방수 코팅제
CN206418678U (zh) 一种防水隔热上人屋面系统
KR101172246B1 (ko) 합성목재 도로경계석
KR20220079233A (ko) 옥상용 무기질 탄성 침투 방수제 제조 방법
KR101219532B1 (ko) 콘크리트 또는 슬레이트 건축물 지붕의 차열방수공법
KR102382175B1 (ko) 옥상 또는 지붕의 차열 보수 공법
JP2005133387A (ja) 鋼板・発泡材一体形成による外装用サイディング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