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448B1 -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448B1
KR101447448B1 KR1020130148883A KR20130148883A KR101447448B1 KR 101447448 B1 KR101447448 B1 KR 101447448B1 KR 1020130148883 A KR1020130148883 A KR 1020130148883A KR 20130148883 A KR20130148883 A KR 20130148883A KR 101447448 B1 KR101447448 B1 KR 101447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oundproof
battery
powd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철환
Original Assignee
(주)애니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우드 filed Critical (주)애니우드
Priority to KR1020130148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집광패널이 결합된 방음패널이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는 방음벽에 있어서, 소음 발생 구간의 경계 측변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부재와, 막대부재 4개가 서로 결합되어 창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플레이트 상부면에 다수의 솔라셀이 배열된 것으로 배면이 몸체의 하면에 설치되어 몸체의 공간을 막는 집광패널과, 몸체의 상면으로 삽입되어 집광패널의 배면에 안착되는 흡음판과, 몸체의 내부공간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판 부재로 몸체의 상면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설치되어 흡음판를 눌러주는 역할을 하는 덮개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지주부재 사이에 몸체 지주부재 사이에 몸체 부분이 삽입되는 방법으로 삽입되는 방법으로 설치되는 조립식 방음패널 및, 집광패널에서 집전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배터리와,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와, 배터리와 인버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의 직류전원을 직접 주위의 전자장치에 공급할 뿐만 아니라 인버터에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전력회사로 공급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되되, 몸체를 이루는 상부와 하부의 막대부재에 슬라이드홈이 있어 집광패널이 슬라이드홈에 끼움 결합되어 몸체의 내부 공간을 막고, 집광패널은 플레이트가 판 형상의 부재로 일측면에 결합홈이 파져 있는 제1집광패널; 및, 플레이트가 판 형상의 부재로 일측면에 제1집광패널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제2집광패널으로 구성되고, 덮개판은 상면 일측에 다수의 관통공이 뚫려 있어 일정한 모양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집광패널이 결합된 방음패널이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는 방음벽에 있어서, 소음 발생 구간의 경계 측변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부재와, 막대부재 4개가 서로 결합되어 창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마주보는 막대부재 일면에 지지부재가 돌출되어 있는 몸체와, 플레이트 일면 또는 양면에 다수의 솔라셀이 배열된 것으로 테두리의 일부분이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집광패널과, 몸체와 같은 창틀 형상으로 몸체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부재로서 집광패널을 눌러주는 역할을 하는 덮개판으로 구성되는 조립식 방음패널 및, 집광패널에서 집전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축전하는 배터리와,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와, 배터리와 인버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의 직류전원을 직접 주위의 전자장치에 공급할 뿐만 아니라 인버터에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전력회사로 공급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는 방음벽에 태양광 발전모듈을 설치하고 이를 이용한 태양발전을 하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모듈을 설치할 별도의 부지비용 및 토목공사 등이 필요 없어 태양광 발전장치의 실용화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방음패널이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있어 방음패널에 부분적으로 파손이 일어나거나 흡음판이 더러워진 경우 손쉽게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다. 따라서, 공사로 인한 이용의 불편함이 최소화되고 유지보수비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 A soundproofing wall including solar power generator }
본원발명은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광을 태양전지판인 솔라 셀(solar cell)에 집광시켜 광기전력 효과에 의해 발전하는 장치이다.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장치는 종래의 화석연료에 의한 발전장치에 비해 환경오염이 없고 무한한 태양광을 이용하기 때문에 근래에 들어 각광을 받고 있고 다양한 태양광 발전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태양광 발전장치의 종래기술로는 많은 발명이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조사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기 때문에 조사되는 광량이 많을수록 발전량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장치를 건설하는 데에는, 발전효율을 높이기 위해 태양광의 조사량이 좋은 부지를 선정해야 하고, 선정된 부지에 태양전지를 설치하기 위한 정지작업등의 토목공사를 실시해야 한다. 이에, 태양광 발전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부지비용과, 토목공사의 비용으로 인해 태양전지의 여러가지 이점에도 불구하고 그 실용화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차량의 주행 시 발생되는 소음이나, 혹은 다른 각종 소음발생으로 인한 소음피해지역 또는 소음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한다. 이러한 방음벽은 기초 콘크리트 상에 H형상의 복수개의 지주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한 후, 상기 지주를 앵커볼트로 고정하고, 인접한 두 지주의 대향하는 채널을 따라 소음을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복수개의 방음패널을 각각 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뒤, 그 상단을 연결 플레이트로 고정함으로써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방음패널을 이루는 재질은 금속재와 콘크리트재가 있는데, 금속재나 콘크리트재로 할 경우에는 전체적인 중량이 너무 무겁고 그 시공작업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지지구조 역시 튼튼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비용이 높아지며, 도로상에 채광을 막아 도로의 결빙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음패널은 다수개가 서로 결합되어 있어 파손이 부분적으로 발생한 경우에 방음벽 전체를 해체하여 파손된 방음판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등 많은 불편과 수리비가 든다. 방음패널에 설치된 흡음재 역시 더럽혀지거나 오염되어 제 역할을 못할 때에도 흡음재를 교체하기 위하여 방음벽 전체를 해체하여야 하는 등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즉, 방음벽을 유지하기 위한 보수비가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0371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8969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9884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753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방음벽과 태양광 발전을 접목한 발명으로서 부지선정에 따른 막대한 부지비용과, 토목공사의 비용 없이 도로에 설치되는 방음벽을 이용하여 필요한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방음벽에 설치되는 방음패널이 조립식으로 되어 있어, 방음벽에 부분적으로 파손이 일어나거나 흡음판 또는 집광패널의 성능이 떨어진 경우 방음벽을 해체하지 않고 집광패널과 방음패널만 손쉽게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한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집광패널이 결합된 방음패널이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는 방음벽에 있어서, 소음 발생 구간의 경계 측변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부재와, 막대부재 4개가 서로 결합되어 창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플레이트 상부면에 다수의 솔라셀이 배열된 것으로 배면이 몸체의 하면에 설치되어 몸체의 공간을 막는 집광패널과, 몸체의 상면으로 삽입되어 집광패널의 배면에 안착되는 흡음판과, 몸체의 내부공간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판 부재로 몸체의 상면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설치되어 흡음판를 눌러주는 역할을 하는 덮개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지주부재 사이에 몸체 지주부재 사이에 몸체 부분이 삽입되는 방법으로 삽입되는 방법으로 설치되는 조립식 방음패널 및, 집광패널에서 집전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배터리와,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와, 배터리와 인버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의 직류전원을 직접 주위의 전자장치에 공급할 뿐만 아니라 인버터에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전력회사로 공급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되되, 몸체를 이루는 상부와 하부의 막대부재에 슬라이드홈이 있어 집광패널이 슬라이드홈에 끼움 결합되어 몸체의 내부 공간을 막고, 집광패널은 플레이트가 판 형상의 부재로 일측면에 결합홈이 파져 있는 제1집광패널; 및, 플레이트가 판 형상의 부재로 일측면에 제1집광패널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제2집광패널으로 구성되고, 덮개판은 상면 일측에 다수의 관통공이 뚫려 있어 일정한 모양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는 방음벽에 태양광 발전모듈을 설치하고 이를 이용한 태양발전을 하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모듈을 설치할 별도의 부지비용 및 토목공사 등이 필요 없어 방음과 동시에 태양광 발전장치의 실용화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방음패널이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있어 방음벽에 부분적으로 파손이 일어나거나 집광성능과 흡음성능이 떨어진 경우 방음벽을 해체하지 않고 방음패널 및 집광패널만 손쉽게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다. 따라서, 공사로 인한 이용의 불편함이 최소화되고 유지보수비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의 방음패널은 합성목재로 되어 있어서 방음패널의 운반 및 시공이 편리하여 공사비가 적게 드는 장점과 재활용이 가능하여 자원재활용의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집광패널이 결합된 방음패널이 설치된 방음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방음패널에 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방음패널에 있어서 몸체의 상,하부 부재에 슬라이드홈이 생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집광패널이 결합된 또 다른 형태의 방음패널이 설치된 방음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도5의 방음패널에 관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방음패널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집광패널이 결합된 방음패널이 설치된 방음벽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2는 도1의 방음패널에 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방음패널에 있어서 몸체의 상,하부 부재에 슬라이드홈이 생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원발명은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집광패널이 결합된 방음패널이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는 방음벽에 있어서, 소음 발생 구간의 경계 측변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부재(100)와, 막대부재 4개가 서로 결합되어 창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210)와, 플레이트 상부면에 다수의 솔라셀이 배열된 것으로 배면이 몸체(210)의 하면에 설치되어 몸체(210)의 공간을 막는 집광패널(220)과, 몸체(210)의 상면으로 삽입되어 집광패널(220)의 배면에 안착되는 흡음판(230)과, 몸체(210)의 내부공간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판 부재로 몸체(210)의 상면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설치되어 흡음판(230)를 눌러주는 역할을 하는 덮개판(24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지주부재(100) 사이에 몸체(210) 부분이 삽입되는 방법으로 설치되는 조립식 방음패널(200) 및, 집광패널(220)에서 집전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배터리(310)와, 배터리(31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320)와, 배터리(310)와 인버터(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310)의 직류전원을 직접 주위의 전자장치에 공급할 뿐만 아니라 인버터(320)에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전력회사로 공급하는 제어장치(330)로 구성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지주부재(100), 조립식 방음패널(200), 제어부(300)로 구성된 것으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생산이 가능하고, 방음패널이 조립식 형태되어 있어 일부 구성이 파손되거나 오염되는 경우 손쉽게 부분교체를 통해 수리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1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광을 태양전지판인 솔라 셀(solar cell)에 집광시켜 광기전력 효과에 의해 발전하는 장치이다.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장치는 종래의 화석연료에 의한 발전장치에 비해 환경오염이 없고 무한한 태양광을 이용하기 때문에 근래에 들에 각광을 받고 있고 다양한 태양광 발전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태양광 발전장치의 종래기술로는 많은 발명이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조사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기 때문에 조사되는 광량이 많을수록 발전량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장치를 건설하는 데에는, 발전효율을 높이기 위해 태양광의 조사량이 좋은 부지를 선정해야 하고, 선정된 부지에 태양전지를 설치하기 위한 정지작업등의 토목공사를 실시해야 한다. 이에, 태양광 발전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부지비용과, 토목공사의 비용으로 인해 태양전지의 여러가지 이점에도 불구하고 그 실용화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차량의 주행 시 발생되는 소음이나, 혹은 다른 각종 소음발생으로 인한 소음피해지역 또는 소음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한다. 이러한 방음벽은 기초 콘크리트 상에 H형상의 복수개의 지주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한 후, 상기 지주를 앵커볼트로 고정하고, 인접한 두 지주의 대향하는 채널을 따라 소음을 흡수하는 복수개의 방음패널을 각각 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뒤, 그 상단을 연결 플레이트로 고정함으로써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방음패널을 이루는 재질은 금속재와 콘크리트재가 있는데, 금속재나 콘크리트재로로 할 경우에는 전체적인 중량이 너무 무겁기 때문에 그 시공작업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지지구조 역시 튼튼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비용이 높아지며, 도로상에 채광을 막아 도로의 결빙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음패널은 다수개가 서로 결합되어 있어 파손이 부분적으로 발생한 경우에 방음벽 전체를 해체하여 파손된 방음판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등 많은 불편과 수리비가 든다. 방음패널에 설치된 흡음재 역시 더럽혀지거나 오염되어 제 역할을 못할 때에도 흡음재를 교체하기 위하여 방음벽 전체를 해체하여야 하는 등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즉, 방음벽을 유지하기 위한 보수비가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방음벽과 태양광 발전을 접목한 발명으로서 부지선정에 따른 막대한 부지비용과, 토목공사의 비용 없이 도로에 설치되는 방음벽을 이용하여 필요한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방음벽에 설치되는 방음패널이 조립식으로 되어 있어, 방음벽에 부분적으로 파손이 일어나거나 흡음판 또는 집광패널의 성능이 떨어진 경우 방음벽을 해체하지 않고 방음패널만 손쉽게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한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는 방음벽에 태양광 발전모듈을 설치하고 이를 이용한 태양발전을 하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모듈을 설치할 별도의 부지비용 및 토목공사 등이 필요 없어 태양광 발전장치의 실용화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음패널이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있어 방음벽에 부분적으로 파손이 일어나거나 집광패널과 흡음판이 더러워진 경우 방음벽을 해체하지 않고 방음패널과 집광패널만 손쉽게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다. 따라서, 공사로 인한 이용의 불편함이 최소화되고 유지보수비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음패널은 합성목재로 되어 있어서 방음패널의 운반 및 시공이 편리하여 방음벽을 시공하는 공사비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지주부재(100)는 소음 발생 구간의 경계 측변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부재이다. 지주부재(100)는 방음벽의 뼈대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환경에 맞게 다수의 개가 시공되어 진다. 즉, 지주부재(100)는 시방서 또는 특별시방서(공사에 맞게 제작된 시방서)에 맞게 구조 계산되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개가 설치된다. 지주부재(100)는 지면에 직접 또는 콘크리트로 타설된 기초부재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지주부재(100)는 뒤에서 설명하는 몸체(210)가 지주부재(100)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으면 다양한 종류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주부재(100)는 H, I 형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조립식 방음패널(200)은 몸체(210), 집광패널(220), 흡음판(230), 덮개판(24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방음벽(10)이 시공될 때 지주부재(100) 사이에 상기 몸체(210) 부분만이 물리도록 설치된다. 조립식 방음패널(200)은 주변 환경 또는 구조계산에 의해 지주부재(100) 사이에 1개 또는 1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몸체(210)는 막대부재 4개가 서로 결합되어 창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재이다. 몸체(210)는 조립식 방음패널(200)의 뼈대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내부에 외형과 같은 형상의 공간이 있다. 몸체(210)는 상부와 하부의 막대부재에 슬라이드홈(211)이 있어 뒤에서 설명하는 집광패널(220)이 상기 슬라이드홈(211)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몸체(210)의 공간을 막을 수 있다. 슬라이드홈(211)은 상부와 하부의 막대부재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와 하부 막대부재의 일정면(평면)이 양측에 있는 막대부재의 일정면(평면)보다 돌출되어 있어 몸체(210)의 내부공간과 맞닿는 면에 생성되어 있을 수 있다. 몸체(210)의 상부, 하부는 몸체(210)가 세워진 경우 윗방향(하늘)이 상부이고 아래방향(땅)이 하부이다. 또한, 몸체(210)의 상면은 조립식 방음패널(200)이 설치될 경우 통행자가 지나가는 방향에 있는 면이다. 몸체(210)는 막대부재 4개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일정한 틀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몸체(21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막대부재가 볼트, 접착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결합된다.
집광패널(220)은 플레이트 상부면에 다수의 솔라셀이 배열된 것으로 배면이 몸체(210)의 하면에 설치되어 몸체(210)의 내부 공간을 막는 부재이다. 집광패널(220)의 솔라셀은 박막방식 또는 결정질방식으로 제조된 솔라셀을 적용할 수 있으며, 솔라셀의 표면은 오염물질에 대한 자정능력을 갖도록 ARC(ANTI REFLECTIVE COATING)기능이 부여된 것, 즉 자정능력을 갖는 코팅층이 마련된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집광패널(220)과 뒤에서 설명하는 배터리(310)를 연결하는 전선들은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몸체(210)에 별도의 전선 설치홈을 두어 이 전선 설치홈을 통해 배선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집광패널(220)의 플레이트는 최대한 많은 솔라셀을 배열할 수 있도록 한다.
집광패널(220)은 몸체(210)의 하면에 결합되어 몸체(210)의 공간을 막는 부재이다. 집광패널(220)은 몸체(210)의 하면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몸체(210) 내부의 공간을 막아 뒤에서 설명하는 흡음판(2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집광패널(220)은 몸체(210)의 하면에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볼트, 접착제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몸체(210)의 상,하부 막대부재에 슬라이드홈(211)이 있는 경우 상면과 하면이 각각 몸체(210)의 상,하부 부재에 있는 슬라이드홈(211)에 끼움 결합(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짐)될 수 있다. 또한, 집광패널(220)은 2개의 판으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집광패널(220)은 판 형상의 부재로 일측면에 결합홈(221a)이 파져 있는 제1집광패널(221)과 판 형상의 부재로 일측면에 제1집광패널(221)의 결합홈(221a)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22a)가 돌출되어 있는 제2집광패널(222)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집광패널(220)은 다수의 개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는데 각각의 결합은 상기 제1집광패널(221)과 제2집광패널(222)이 결합되는 방식으로 서로 결합된다. 즉 다수의 집광패널이 서로 결합될 때 결합면의 한쪽은 결합홈(221a)으로 되어 있고 다른쪽은 결합돌기(222a)가 돌출되어 있어 자연스럽게 다수의 집광패널(220)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홈(221a)과 결합돌기(222a)가 결합되는 방식은 소음이 방음패널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결합방식이다. 집광패널(220)은 몸체(210)에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부재이다. 따라서 집광패널(220)이 오염되거나 파손된 경우 방음벽을 해체하지 않고도 집광패널(220)을 손쉽게 분리하여 집광패널(220)을 교체할 수 있다.
흡음판(230)는 몸체(210)의 상면으로 삽입되어 집광패널(220)의 배면에 안착되는 부재이다. 흡음판(230)은 몸체(2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오는 소음을 흡수하여 소음이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판 부재로서 방음벽(10)에서 사용하는 통상적인 흡음부재가 사용된다.
덮개판(240)은 몸체(210)의 내부공간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판 부재로 몸체(210)의 상면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설치되어 흡음판(230)를 눌러주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덮개판(240)은 몸체(210)에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부재이다. 따라서 흡음판(230)이 오염되거나 파손된 경우 방음벽을 해체하지 않고도 덮개판(240)을 손쉽게 분리하여 흡음판(230)을 교체할 수 있다. 덮개판(240)은 몸체(210)에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볼트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덮개판(240)은 상면 일측에 다수의 관통공이 뚫려 있어 일정한 모양을 표현할 수 있다. 즉, 덮개판(240)은 방음벽(10) 시공시 외관을 미려하기 위하여 설계된 모양대로 다수의 관통공이 뚫려 있어 방음벽(10)이 설치된 공간을 미려하게 할 수 있고, 통행자들에게 일정한 정보제공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덮개판(240)의 관통공을 나무모양, 집 등의 모양으로 만들 수 있고, 지자체의 엠블럼, 교통표지판 등의 모양으로 만들어 통행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몸체(210), 덮개판(240)의 재질은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방음벽이 시공되어지는 환경 또는 예산에 맞게 금속, 콘크리트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재질 중에서도 운반 및 시공의 편리성과 미적 요인을 고려하여 몸체(210), 덮개판(240)의 재질이 합성목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합성목재는 케냐프, 갈대, 목분 또는 왕겨를 수세하고 건조하여 입자크기가 80 메쉬 이상 100 메쉬 이하인 케냐프, 갈대, 목분, 왕겨분말 50 ~ 70중량%와 입자크기가 30 ~ 80메쉬의 케냐프, 갈대, 목분, 왕겨분말 30 ~ 50중량%를 혼합하여 수지 및 겔링제로 코팅한 주재료 50~60중량%와, 카올린 분말 7 ~ 10 중량%와, 수지 30~40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수지는 폴리올레핀,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으로부터 얻어진 에틸렌 공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염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 부타디엔 스티렌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기타 첨가제로 가교제 0.05 ~ 0.5중량%, 분산제 1 ~ 2중량%, 개질제 1 ~ 5중량%, 발포제 0.01 ~ 1중량%가 더 첨가되며, 상기 주재료는 입자크기가 80 ~ 100메쉬의 케냐프, 갈대, 목분 또는 왕겨분말 50 ~ 70중량%와 입자크기가 30 ~ 80메쉬의 케냐프, 갈대, 목분 또는 왕겨분말 30 ~ 50중량%로 혼합하여 발포 성형되도록 하되, 상기 발포제는 액상의 저비점 탄화수소를 열가소성 고분자 껍질(shell)에 넣은 열팽창성 발포제 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경량화 합성목재용 조성물은 케냐프, 갈대, 목분 또는 왕겨를 수세하고 건조하여 입자크기 30 ~ 100 메쉬로 분쇄하여 수지 및 겔링제로 코팅된 주재료 50~60 중량%, 카올린 분말 7 ~ 10중량%, 수지 30 ~ 40 중량%를 포함하여 된다. 여기에, 기타 첨가제로 가교제, 분산제, 개질제, 발포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는 입자크기가 30 ~ 100 메쉬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입자크기가 80메쉬 이상 100 메쉬 이하인 케냐프, 갈대, 목분 또는 왕겨분말 중량 50 ~ 70 %와 입자크기가 30 ~ 80메쉬의 케냐프, 갈대, 목분 또는 왕겨분말 중량30 ~ 50%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우수한 질감과 물성을 얻을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이다.
상기 케냐프, 갈대, 목분 또는 왕겨분말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케냐프, 갈대, 목분 또는 왕겨를 함수율이 8% 미만이 되도록 열풍 건조시켜 분쇄한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카올린 분말은 점성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함유량이 중량10%를 초과할 경우 점성은 증가하나 충격흡수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중량7% 미만일 경우에는 충격흡수력과 내구성이 다소 증가하나 점성이 약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지는 폴리올레핀,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으로부터 얻어진 에틸렌 공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염소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 부타디엔 스티렌 수지(ABS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지는 분말형태의 것을 사용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혼합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상기 분말은 입자크기가 80 내지 150 메쉬인 것이 좋다.
상기 수지는 본 발명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수지(Polyethylene resin), 폴리프로필렌수지(Polyproplene resin), 폴리스틸렌 수지(Polystyrene resin), 폴리아미드 수지, 아크릴수지(acrylic resin), 염화비닐수지, 셀룰로이드 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냐프, 갈대, 목분 또는 왕겨를 수세하고 건조하여 입자크기 30 ~ 100 메쉬로 분쇄하여 수지 및 겔링제로 코팅된 주재료 50~60 중량%, 카올린 분말 7 ~ 10 중량%, 수지 30 ~ 40 중량%를 포함하는 경량화 합성목재용 조성물에 기타 첨가제로 가교제, 분산제, 개질제 및 발포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를 더 첨가하는 목적은 경량화 합성목재용 조성물을 가공시 열에 의해 가교(경화) 반응이 일어나 거대 응집물이 형성될 수 있는 소지가 있어, 이 경우 균일한 혼련을 달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가교제는 목재의 질감을 얻기 위하여 다량의 상기 주재료를 첨가하여도 물성 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작용도 한다. 이때 상기 가교제는 상기 경량화 합성목재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중량 0.05 ~ 3.5 % 정도가 바람직하고, 만일 그 함량이 이보다 적은 경우에는 첨가효과가 미미하고, 많을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상승을 기대할 수 없고, 단지 가격상승의 요인이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교제는 당 분야에서 그 사용이 알려진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분산제를 첨가하는 목적은 물의 용융 흐름성을 높여주어 합성목재로의 성형시 압출물에 천연목재와 같은 무늬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분산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 2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분산제의 양이 과다할 경우에는 혼련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상기 분산제는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분산제로는 카르복실계 분산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개질제는 경량화 합성목재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 5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조성물 중 개질제의 양이 상기 범위 보다 적게 함유되면 개질 효과가 미흡한 단점이 있고, 과다하게 되면 더 이상의 개질 효과가 향상되지 않고 가격부담만 크게 되는 단점이 있다.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개질제는 무수말레익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제는 경량화 합성목재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중량0.01 ~1%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조성물 중 발포제의 양이 상기 범위 보다 적게 함유되면 발포 효과가 미흡한 단점이 있고, 과다하게 되면 물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발포제는 액상의 저비점 탄화수소를 열가소성 고분자 껍질(shell)에 넣은 열팽창성 발포제 쉘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발포제 쉘은 가열함으로써, 고분자 껍질이 연화되고, 안에 있던 액상 탄화수소가 기체로 변하며 그 압력으로 팽창하여 체적의 50 ~ 100배의 중공분자로 변하게 된다. 이때, 발포제 쉘은 독립기포를 형성하게 되어 경량화가 가능하며, 함수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발포제 쉘은 발포 후, 독립기포를 형성하게 되어 경량화가 가능하며, 제품의 비중 및 함수율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합성목재용 조성물을 압출 성형기에서 성형하면 천연목재를 대신할 수 있는 조립식 방음패널(200)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목재를 경량화시키고 목재의 질감을 나타내기 위해 목분을 대신하여 목분보다 수분 함습량이 적고 마모성이 뛰어난 케냐프, 갈대, 목분 또는 왕겨를 사용하되, 그 케냐프, 갈대, 목분 또는 왕겨를 수지 및 겔링제로 코팅하고, 발포공정을 통해 제조된 가볍고 비중이 0.8~0.9인 합성목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히 액상의 저비점 탄화수소를 열가소성 고분자 껍질(shell)에 넣은 열팽창성 발포제 쉘을 이용해 발포 성형 제작되도록 함으로써, 팽창성이 뛰어나 경량화 제작이 가능하며, 발포제 쉘이 독립기포를 형성함으로써, 함수율을 8%미만으로 낮출 수 있게 되고, 발포초기 반응 온도를 60~250℃까지 조절할 수 있어 성형제품의 크기에 따라 발포재의 양과 배합비를 달리하여 최적의 성형조건으로 비중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운반 및 시공이 편리하여 방음벽(10)에 사용이 적합한 이점이 있고, 천연목재의 목분을 대신함으로써, 환경보호에 이바지할 수 있고, 경제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는 성형기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표면질감을 연출할 수 있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내열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판재나 각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련의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합성목재는, 기재수지가 녹아 미세 분말화된 케냐프, 갈대, 목분 또는 왕겨 주재료와 기재수지가 혼합될 때 고르게 혼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균일한 재질의 합성목재를 얻을 수 있고, 이와 같이 섬유질성분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그 질감이 일반적인 합성목재와는 달리 부드러워 나무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300)는 배터리(310), 인버터(320), 제어장치(330)로 구성되어 방음벽(10)의 일정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집광패널(220)에서 집전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고, 주변장치와 전력회사에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배터리(310)는 집광패널(220)에서 집전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축전하는 구성으로 집광패널(220)에서 집전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축전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인버터(320)는 배터리(31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장치(330)(제어회로가 내장된 회로기판 및 콘트롤기판을 포함한다)는 배터리(310)와 인버터(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310)의 직류전원을 직접 주위의 전자장치에 공급할 뿐만 아니라 인버터(320)에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전력회사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즉, 제어장치(330)는 직류전원(상기 배터리구성을 배제한 상태에서 인버터가 솔라셀에 직접 연결되어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인버터(320))를 통해 교류전원으로 전환한 후 전력회사로 송출할 수 있고, 배터리(310)에 축전된 직류전원을 방음벽(10) 근접지역에 설치된 가로등 또는 방음벽에 구비될 수 있는 LED(엘이디)모듈(전광판 또는 방향지시 등에 사용됨.) 등에 공급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집광패널이 결합된 또 다른 형태의 방음패널이 설치된 방음벽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6은 도5의 방음패널에 관한 분리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은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의 또 다른 예의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집광패널이 결합된 방음패널이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는 방음벽에 있어서, 소음 발생 구간의 경계 측변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부재(100)와, 막대부재 4개가 서로 결합되어 창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마주보는 막대부재 일면에 지지부재(212)가 돌출되어 있는 몸체(210')와, 플레이트 일면 또는 양면에 다수의 솔라셀이 배열된 것으로 테두리의 일부분이 지지부재(212)에 지지되어 몸체(2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집광패널(220')과, 몸체(210')와 같은 창틀 형상으로 몸체(21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부재로서 집광패널(220')를 눌러주는 역할을 하는 덮개판(240')으로 구성되는 조립식 방음패널(200') 및, 집광패널(220')에서 집전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배터리(310)와, 배터리(31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320)와, 배터리(310)와 인버터(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310)의 직류전원을 직접 주위의 전자장치에 공급할 뿐만 아니라 인버터(320)에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전력회사로 공급하는 제어장치(330)로 구성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지주부재(100), 조립식 방음패널(200), 제어부(300)로 구성된 것으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생산이 가능하고, 방음패널이 조립식 형태되어 있어 일부 구성이 파손되거나 오염되는 경우 손쉽게 부분교체를 통해 수리할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10)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되어 지지 않는 자세한 구성은 상기 위에서 설명된 것으로 한다.
조립식 방음패널(200')은 몸체(210'), 집광패널(220), 덮개판(24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방음벽(10)이 시공될 때 지주부재(100) 사이에 상기 몸체(210') 부분만이 물리도록 설치된다. 조립식 방음패널(200')은 주변 환경 또는 구조계산에 의해 지주부재(100) 사이에 1개 또는 1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몸체(210')는 막대부재 4개가 서로 결합되어 창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마주보는 막대부재 일면에 지지부재(212)가 돌출되어 있는 부재이다. 기본으로 상기 위에서 설명한 몸체(210')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른 점은 집광패널(220)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막대부재 일면에 지지부재(212)가 돌출되어 있다. 몸체(210')를 이루는 막대부재에 지지부재(212)가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있어 집광패널(220)이 몸체(210')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테두리를 이루는 2면 또는 4면이 지지부재에 걸려서 몸체(210')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집광패널(220')은 플레이트 일면 또는 양면에 다수의 솔라셀이 배열된 것으로 테두리의 일부분이 상기 지지부재(212)에 지지되어 상기 몸체(2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집광패널(220')은 상기 위에서 설명되어진 집광패널(220)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덮개판(2400')은 몸체(210')와 같은 창틀 형상으로 몸체(21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부재로서 집광패널(220')를 눌러주는 역할을 하며 곡면 및 직선 등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하여 조립식 방음패널(20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부재이다. 덮개판(240')은 몸체(210')에 조립식(몸체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부재이다. 따라서 집광패널(220')이 오염되거나 파손된 경우 방음벽을 해체하지 않고도 덮개판(240')을 손쉽게 분리하여 집광패널(220')을 교체할 수 있다. 덮개판(240')은 몸체(210')에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볼트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몸체(210'), 덮개판(240')의 재질은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방음벽이 시공되어지는 환경 또는 예산에 맞게 금속, 천연목재, 콘크리트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재질 중에서도 운반 및 시공의 편리성과 미적 요인을 고려하여 몸체(210'), 덮개판(240')의 재질이 합성목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합성목재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상기 위에서 설명된 것으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방음패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방음벽
100 : 지주부재
200, 200' : 조립식 방음패널
210, 210' : 몸체
211 : 슬라이드홈 212 : 지지부재
220 : 집광패널
221 : 제1집광패널 221a : 결합홈
222 : 제2집광패널 222a : 결합돌기
230 : 흡음판
240, 240' : 덮개판
300 : 제어부
310 : 배터리 320 : 인버터
330 : 제어장치

Claims (9)

  1. 집광패널이 결합된 방음패널이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는 방음벽에 있어서,
    소음 발생 구간의 경계 측변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부재(100);
    막대부재 4개가 서로 결합되어 창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210)와, 플레이트 상부면에 다수의 솔라셀이 배열된 것으로 배면이 상기 몸체(210)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210)의 공간을 막는 집광패널(220)과, 상기 몸체(210)의 상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집광패널(220)의 배면에 안착되는 흡음판(230)과, 상기 몸체(210)의 내부공간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판 부재로 상기 몸체(210)의 상면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설치되어 상기 흡음판(230)를 눌러주는 역할을 하는 덮개판(24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주부재(100) 사이에 상기 몸체(210) 부분만이 물리도록 삽입되는 방법으로 설치되는 조립식 방음패널(200); 및
    상기 집광패널(220)에서 집전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배터리(310)와, 상기 배터리(31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320)와, 상기 배터리(310)와 상기 인버터(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310)의 직류전원을 직접 주위의 전자장치에 공급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인버터(320)에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전력회사로 공급하는 제어장치(330)로 구성되는 제어부(300)를 포함되되,
    상기 몸체(210)를 이루는 상부와 하부의 막대부재에 슬라이드홈(211)이 있어 상기 집광패널(220)이 상기 슬라이드홈(211)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몸체(210)의 내부 공간을 막고,
    상기 집광패널(220)은
    플레이트가 판 형상의 부재로 일측면에 결합홈(221a)이 파져 있는 제1집광패널(221); 및, 플레이트가 판 형상의 부재로 일측면에 상기 제1집광패널(221)의 결합홈(211a)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22a)가 돌출되어 있는 제2집광패널(222)으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판(240)은 상면 일측에 다수의 관통공이 뚫려 있어 일정한 모양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10), 상기 덮개판(240)의 재질은 합성목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목재는
    케냐프, 갈대, 목분 또는 왕겨를 수세하고 건조하여 입자크기가 80 메쉬 이상 100 메쉬 이하인 케냐프, 갈대, 목분 또는 왕겨분말 50 ~ 70중량%와 입자크기가 30 ~ 80메쉬의 케냐프, 갈대, 목분 또는 왕겨분말 30 ~ 50중량%를 혼합하여 수지 및 겔링제로 코팅한 주재료 50~60중량%와, 카올린 분말 7 ~ 10 중량%와, 수지 30~40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수지는 폴리올레핀,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으로부터 얻어진 에틸렌 공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염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 부타디엔 스티렌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기타 첨가제로 가교제 0.05 ~ 0.5중량%, 분산제 1 ~ 2중량%, 개질제 1 ~ 5중량%, 발포제 0.01 ~ 1중량%가 더 첨가되며, 상기 주재료는 입자크기가 80 ~ 100메쉬의 케냐프, 갈대, 목분 또는 왕겨분말 50 ~ 70중량%와 입자크기가 30 ~ 80메쉬의 케냐프, 갈대, 목분 또는 왕겨분말 30 ~ 50중량%로 혼합하여 발포 성형되도록 하되,
    상기 발포제는 액상의 저비점 탄화수소를 열가소성 고분자 껍질(shell)에 넣은 열팽창성 발포제 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30148883A 2013-12-03 2013-12-03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 KR101447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883A KR101447448B1 (ko) 2013-12-03 2013-12-03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883A KR101447448B1 (ko) 2013-12-03 2013-12-03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448B1 true KR101447448B1 (ko) 2014-10-07

Family

ID=51996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883A KR101447448B1 (ko) 2013-12-03 2013-12-03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44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56568A (zh) * 2015-10-31 2016-02-24 王芳 一种可产生电能的高速公路隔音板及其应用方法
KR20170009579A (ko) 2015-07-17 2017-01-25 문여진 태양광 발전 방음벽
KR102033482B1 (ko) 2018-11-19 2019-10-17 주식회사 태평양 소음저감패널이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KR20190134131A (ko) 2018-05-25 2019-12-04 신영기술개발(주) 태양광 효율을 높이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겸용 방음판
KR102066917B1 (ko) * 2018-12-24 2020-01-16 주식회사 고그린테크 캐리어 타입의 휴대용 전원공급 장치
KR20210045094A (ko) * 2019-10-16 2021-04-2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열(pvt)을 이용하여 전기 및 열을 복합 생산하는 다기능성 방음모듈 및 이를 적용한 방음벽체 시공방법
KR102516610B1 (ko) 2022-01-03 2023-04-03 주식회사 그린 태양광 발전 및 각도조절 기능을 구비한 차음형방음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1484A (ko) * 2009-11-10 2011-05-18 김춘길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
KR101197000B1 (ko) * 2012-05-01 2012-11-05 주식회사 보국산업 합성목재 방음벽
KR20130027244A (ko) * 2011-09-07 2013-03-15 에스에이 주식회사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방음벽
KR101283502B1 (ko) * 2013-01-14 2013-08-19 (주)애니우드 합성목재의 함수율을 최소화한 경량화 인조목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1484A (ko) * 2009-11-10 2011-05-18 김춘길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
KR20130027244A (ko) * 2011-09-07 2013-03-15 에스에이 주식회사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방음벽
KR101197000B1 (ko) * 2012-05-01 2012-11-05 주식회사 보국산업 합성목재 방음벽
KR101283502B1 (ko) * 2013-01-14 2013-08-19 (주)애니우드 합성목재의 함수율을 최소화한 경량화 인조목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579A (ko) 2015-07-17 2017-01-25 문여진 태양광 발전 방음벽
CN105356568A (zh) * 2015-10-31 2016-02-24 王芳 一种可产生电能的高速公路隔音板及其应用方法
KR20190134131A (ko) 2018-05-25 2019-12-04 신영기술개발(주) 태양광 효율을 높이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겸용 방음판
KR102033482B1 (ko) 2018-11-19 2019-10-17 주식회사 태평양 소음저감패널이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KR102066917B1 (ko) * 2018-12-24 2020-01-16 주식회사 고그린테크 캐리어 타입의 휴대용 전원공급 장치
KR20210045094A (ko) * 2019-10-16 2021-04-2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열(pvt)을 이용하여 전기 및 열을 복합 생산하는 다기능성 방음모듈 및 이를 적용한 방음벽체 시공방법
KR102292054B1 (ko) 2019-10-16 2021-08-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열(pvt)을 이용하여 전기 및 열을 복합 생산하는 다기능성 방음모듈 및 이를 적용한 방음벽체 시공방법
KR102516610B1 (ko) 2022-01-03 2023-04-03 주식회사 그린 태양광 발전 및 각도조절 기능을 구비한 차음형방음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448B1 (ko)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
KR101498268B1 (ko) 친환경 합성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울타리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시스템
CN107327091A (zh) 一种太阳能光伏屋顶结构
Chaichan et al. Optimization of hybrid solar PV/diesel system for powering telecommunication tower
RU203021U1 (ru) Использующий энергию солнца навес для автомобилей
Williams For and against
Northfield Greening the smart city
CN203213641U (zh) 太阳能环保智能屋
KR100930064B1 (ko) 쏠라 에너지 방음벽
CN204225576U (zh) 折叠围挡
JP2017165111A (ja) ソーラパネル用フロート及びその連結体
CN207809703U (zh) 一种用于水上漂浮式光伏系统的支架式浮筒
Kiwan et al. Development of a simple sustainable camping shelter for addressing the needs of refugees in Jordan
KR101334363B1 (ko) 태양광 발전 기능을 갖는 방음벽
CN213869292U (zh) 一种节能环保施工围挡
CN103122698B (zh) 太阳能环保智能屋
KR101741362B1 (ko) 경량 박스형 태양광발전모듈 지지장치
CN201467015U (zh) 10kw太阳能移动发电站
CN207048200U (zh) 一种太阳能光伏屋顶结构
CN105827191A (zh) 一种半潜浮动式光伏发电系统
KR102018560B1 (ko) 스마트쏠라방음판
CN206667934U (zh) 一种节能环保型施工隔离墙
CN206490349U (zh) 一种新型户外箱式变电站
CN202100393U (zh) 屋顶式垂直轴风光互补型供电装置
KR101447447B1 (ko) 조립식 방음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