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502B1 -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502B1
KR101195502B1 KR1020060076211A KR20060076211A KR101195502B1 KR 101195502 B1 KR101195502 B1 KR 101195502B1 KR 1020060076211 A KR1020060076211 A KR 1020060076211A KR 20060076211 A KR20060076211 A KR 20060076211A KR 101195502 B1 KR101195502 B1 KR 101195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omagnetic
imaging device
centering
imag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4454A (ko
Inventor
장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6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502B1/ko
Publication of KR20080014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비전력을 줄이고,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강한 센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손떨림 보정 렌즈 부재를 포함하는 렌즈군 부재와, 상기 렌즈군 부재로 투사된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부재와, 상기 손떨림 보정 렌즈 부재에 장착되며 적어도 두개의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는 조정 부재와, 상기 조정 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와 각각 대응되는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는 고정 부재와, 상기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에 접촉하여 배치되며 구 형상 및 반구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자석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Centering module for photograph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구 형상 또는 반구 형상의 자석에서 나오는 자기력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관한 구 형상 또는 반구 형상의 자석을 원형 자성체 플레이트 상에 놓았을 경우, 자석이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손떨림 보정 렌즈 부재의 센터링을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센터링 모듈이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촬상 부재의 센터링을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센터링 모듈이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110, 210: 렌즈군 부재
111: 손떨림 보정 렌즈 부재 120, 220: 촬상 부재
121, 221: 촬상 소자 122, 222: 촬상 소자 지지부
130, 230: 조정 부재
131a, 131b, 131c, 131d, 231a, 231b, 231c, 231d: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
140, 240: 고정 부재
141a, 141b, 141c, 141d, 241a, 241b, 241c, 241d: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
150a, 150b, 150c, 150d, 250a, 250b, 250c, 250d: 자석
본 발명은 촬상(撮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비전력을 줄이고,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강한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가 많이 보급되면서, 점점 고품질의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손떨림으로 인한 사진의 해상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촬상 장치에 손떨림 보정 모듈을 채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종래의 손떨림 보정 모듈은, 손떨림 보정 렌즈를 움직이거나, 촬상 소자를 움직여서,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그와 같은 종래의 손떨림 보정 모듈은, 손떨림을 방지하기 위해 손떨림 보정 액츄에이터(actuator)를 구비하였는데, 그 손떨림 보정 액츄에이터는 손떨림 보정 기능 뿐만 아니라, 렌즈나 촬상 소자의 센터링(centering)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종래의 손떨림 보정 모듈은, 하나의 액츄에이터(손떨림 보정 액츄에이터)만을 구비하고 있어 항상 손떨림 보정 기능과 센터링 기능이 함께 작용하므로, 센터링 기능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손떨림 보정 기능이 사용될 수 밖에 없고, 그 경우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만큼 소비전력이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손떨림 보정 모듈을 사용한 센터링의 경우에, 안정적으로 센터링만을 수행하는 기구(機構)가 없기 때문에,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을 받으면, 렌즈나 촬상소자의 센터링이 쉽게 어긋나 디센터링(decentering)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소비전력을 줄이고,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강한 센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손떨림 보정 렌즈 부재를 포함하는 렌즈군 부재와, 상기 렌즈군 부재로 투사된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부재와, 상기 손떨림 보정 렌즈 부재에 장착되며 적어도 두개의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는 조정 부재와, 상기 조정 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와 각각 대응되는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는 고정 부재와, 상기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에 접촉하여 배치되며 구 형상 및 반구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자석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촬상 부재는 전하 결합 소자(CC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촬상 부재로 영상광이 도달하도록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상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센터링 모듈이 장착되는 촬상 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렌즈군 부재와, 상기 렌즈군 부재로 투사된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부재와, 상기 촬상 부재에 장착되며 적어도 두개의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는 조정 부재와, 상기 조정 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와 각각 대응되는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는 고정 부재와, 상기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에 접촉하여 배치되며 구 형상 및 반구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자석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촬상 부재는 전하 결합 소자(CC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렌즈군 부재와 상기 조정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촬상 부재로 영상광이 도달하도록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부재가 광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조정 부재의 전방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렌즈군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센터링 모듈이 장착되는 촬상 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우선,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센터링 작용의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구 형상 또는 반구 형상의 자석에서 나오는 자기력선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관한 구 형상 또는 반구 형상의 자석을 원형의 강자성체 플레이트 상에 놓았을 경우, 자석이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 형상 또는 반구 형상의 자석(1)에서 나오는 자기력선은 고르게 방출되므로, 자석(1)의 주위로 고른 자속 밀도가 유지되게 된다.
그러한 자석(1)을 고정된 원형의 강자성체 플레이트(2)의 가장자리에 접촉시 켜 놔두게 되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은 자성체 플레이트(2)의 중앙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자석(1)의 이동 현상은, 전체 자계 시스템이 자속 밀도를 평형의 상태로 유지시키려고 하기 때문이다. 즉, 실선으로 표시된 자석(1)의 초기 위치는 강자성체 플레이트(2)의 중심(C)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으므로, 자속 밀도의 평형이 깨지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인 자속 밀도를 평형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자석(1)이 강자성체 플레이트(2)의 중심으로 이동하도록, 자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 설명된 원리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인데, 도 3 및 도 4의 센터링 모듈의 상태는 센터링이 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100)은, 렌즈군 부재(110), 촬상 부재(120), 조정 부재(130), 고정 부재(140) 및 자석(150a)(150b)(150c)(150d)들을 포함한다.
렌즈군(群) 부재(110)는 줌 렌즈, 조리개, 손떨림 보정 렌즈, 초점 렌즈 등의 여러 렌즈와 지지부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설명의 편의상, 손떨림 보정 렌즈 부재(111)와 그 외의 렌즈 부재(112)로 나누어 설명한다.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은 렌즈군 부재(110)를 경유하여 촬상 부재(120)에 결 상되게 되는데, 렌즈군 부재(110) 중 손떨림 보정 렌즈 부재(111)는 촬상 장치의 손떨림의 보정 및 센터링 기능을 수행한다.
손떨림 보정 렌즈 부재(111)는 손떨림 보정 렌즈군(111a)과 렌즈를 지지해주는 렌즈 지지부(111b)를 구비한다.
촬상 부재(120)는 촬상 소자(121)와 촬상 소자 지지부(122)를 포함하는데, 촬상 소자(121)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s) 소자가 사용된다.
촬상 소자(121)는 줌 렌즈, 손떨림 보정 렌즈 등의 렌즈들을 경유하여 투사된 광을 아날로그의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소자이다. 이 후, 촬상 소자(121)로부터 나온 아날로그의 전기신호는 샘플링 회로, 앰프 등의 기능을 가지는 CDS 회로(미도시)와, A/D 변환기(미도시)등을 거쳐 화상 입력 콘트롤러(미도시)로 입력되게 된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소자(121)로는 CCD 소자가 사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소자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소자를 이용하여도 된다. 여기서, CMOS 소자는 CCD 소자보다도 고속으로 피사체의 영상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피사체를 촬영한 후 화상의 합성 처리를 행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촬상 소자 지지부(122)는 촬상 소자(121)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즉, 촬상 소자(121)는 촬상 소자 지지부(122)에 장착됨으로써, 촬상 장치 내에 세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조정 부재(130)는 손떨림 보정 렌즈 부재(111)를 고정하여 센터링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손떨림 보정 렌즈 부재(111)에 장착된다.
조정 부재(130)는 원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 배면에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131a)(131b)(131c)(131d)를 구비하고 있는데, 조정 부재(130)의 부분 중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131a)(131b)(131c)(131d)를 제외한 부분은 비자성체로 이루어진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정 부재(130)는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정 부재의 형상은, 손떨림 보정 렌즈에 장착되면서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면 되고, 그 외의 특별한 제한이 없다.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131a)(131b)(131c)(131d)는 철과 같은 강자성의 성질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되, 원형의 얇은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131a)(131b)(131c)(131d)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는, 자속 밀도의 평형의 중심이 가급적 그 형상의 중심에 위치하는 형상을 가지기만 하면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는 상호 대칭 형상의 타원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131a)(131b)(131c)(131d)는 4개로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의 개수는 2개 이상이기만 하면 되고, 그 외의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의 개수는 3개, 5개, 6개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 다.
한편, 고정 부재(140)는 조정 부재(13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고정 부재(140)는, 촬상 부재(120)로 영상광이 도달하도록 그 중앙에 원형의 개구부(140a)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전면에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141a)(141b)(141c)(141d)를 구비하고 있는데, 고정 부재(140)의 부분 중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141a)(141b)(141c)(141d)를 제외한 부분은 비자성체로 이루어진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140)는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의 형상은, 촬상 장치에 용이하게 고정되면서,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면 되고, 그 외의 특별한 제한이 없다.
고정 부재(140)는 센터링 모듈(100)이 장착되는 촬상 장치(미도시)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센터링을 위해서 조정 부재(130)가 고정 부재(14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141a)(141b)(141c)(141d)는 원형의 얇은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강자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131a)(131b)(131c)(131d)와 각각 동일한 소재,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141a)(141b)(141c)(141d)는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131a)(131b)(131c)(131d)와 각각 동일한 소재, 크기 및 형상 으로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는 반드시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와 동일한 소재,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는 강자성의 소재로 형성되고, 고른 자속 밀도를 가지도록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기만 하면 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는 가급적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와 동일한 소재,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고른 자속 밀도의 실현을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140)와 촬상 부재(120)는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 부재(120)는 고정 부재(140)에 직접 고정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4개의 자석(150a)(150b)(150c)(150d)은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131a)(131b)(131c)(131d)와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141a)(141b)(141c)(141d)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데, 자석(150a)(150b)(150c)(150d)의 형상은 구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제1 실시예의 자석(150a)(150b)(150c)(150d)은 구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의 형상은 구의 형상 뿐만 아니라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반구란, 완벽한 구의 반쪽뿐만 아니라, 구의 곡면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고른 자속 밀도를 나타낼 수 있는 형상의 입체 도형을 포괄하는 넓은 개념이다.
본 제1 실시예의 4개의 자석(150a)(150b)(150c)(150d)이 제1 강자성체 플레 이트(131a)(131b)(131c)(131d)와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141a)(141b)(141c)(141d) 사이에 각각 배치되기 위해서는, 초기 세팅 시,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131a)(131b)(131c)(131d)와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141a)(141b)(141c)(141d)가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자석(150a)(150b)(150c)(150d)이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131a)(131b)(131c)(131d)와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141a)(141b)(141c)(141d)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100)의 센터링(centering) 작용을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손떨림 보정 렌즈 부재의 센터링을 위해, 본 제1 실시예의 센터링 모듈(100)이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손떨림 보정 렌즈 부재(111)가 센터링되는 경우는 촬상 장치의 모드(mode)에 따라 여러 가지 경우에 해당될 수 있지만, 여기서, 크게 두 가지 경우만 들어 설명한다.
즉, 손떨림 보정 렌즈 부재(111)가 센터링되는 경우는, 자동 초점 렌즈를 구동하기 전에 합초 동작을 위해 센터링되는 경우가 있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처음부터 손떨림 보정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센터링되는 경우이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부재(130)가 센터링 중심의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이 경우, 자석(150a)(150b)(150c)(150d)은 각각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131a)(131b)(131c)(131d)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에 배치되면서, 제2 강자성체 플 레이트(141a)(141b)(141c)(141d)의 중심으로부터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후, 자속 밀도를 평형화하려는 힘에 의하여 조정 부재(130)는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좌측으로 힘을 받게 됨으로써, 자석(150a)(150b)(150c)(150d)이 각각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131a)(131b)(131c)(131d) 및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141a)(141b)(141c)(141d)의 중심에 배치되어 센터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부재(130)가 센터링 중심의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이 경우, 자석(150a)(150b)(150c)(150d)은 각각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131a)(131b)(131c)(131d)의 중심으로부터 우측에 배치되면서,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141a)(141b)(141c)(141d)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후, 자속 밀도를 평형화하려는 힘에 의하여 조정 부재(130)는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우측으로 힘을 받게 됨으로써, 자석(150a)(150b)(150c)(150d)이 각각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131a)(131b)(131c)(131d) 및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141a)(141b)(141c)(141d)의 중심에 배치되어 센터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센터링 작용의 예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볼 때, 조정 부재(130)의 초기 위치가 센터링 중심으로부터 우측으로 치우쳐 있거나, 좌측으로 치우쳐 있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지면(紙面)을 기준으로 하여 센터링 중심으로부터 앞쪽이나 뒤쪽,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치우쳐 있는 경우에도 모두 해당되게 된다. 즉, 자석(150a)(150b)(150c)(150d)의 위치가 각각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131a)(131b)(131c)(131d) 및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141a)(141b)(141c)(141d)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속 밀도를 평형화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본 제1 실시예의 센터링 작용은 그러한 힘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100)은, 조정 부재(130), 고정 부재(140) 및 자석(150a)(150b)(150c)(150d)을 이용함으로써, 손떨림 보정 렌즈 부재(111)를 고정하여 센터링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100)은, 필요한 때에 손떨림 보정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도, 센터링 기능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100)은 자성(磁性)을 이용하여 센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촬상 장치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100)은,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작용하여도, 자력에 의해 미세 진동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센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인데, 도 7 및 도 8의 센터링 모듈의 상태는 센터링이 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200)은, 렌즈군 부재(210), 촬상 부재(220), 조정 부재(230), 고정 부재(240) 및 자석(250a)(250b)(250c)(250d)들을 포함한다.
렌즈군(群) 부재(210)는 줌 렌즈, 조리개, 초점 렌즈 등의 여러 렌즈가 모인 렌즈와 지지부들로 이루어져 있다.
본 제2 실시예의 렌즈군 부재(210)는 손떨림 보정 렌즈 부재를 구비하지 않는다. 즉,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손떨림 보정 및 센터링 작용을 촬상 부재(220)를 이용하여 수행하게 된다.
한편, 촬상 부재(220)는 촬상 소자(221)와 촬상 소자 지지부(222)를 포함한다.
촬상 소자(221)는 줌 렌즈 등의 렌즈들로부터 입사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소자인데, 촬상 소자(221)로는 제1 실시예의 촬상 소자(121)와 마찬가지로 CCD 소자가 사용된다.
촬상 소자 지지부(222)는 촬상 소자(221)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조정 부재(230)는 촬상 부재(220)를 고정하여 센터링을 수행하는 부재로, 촬상 부재(220)에 장착된다.
조정 부재(230)는 사각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 전면에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231a)(231b)(231c)(231d)를 구비하고 있는데, 조정 부재(230)의 부분 중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231a)(231b)(231c)(231d)를 제외한 부분은 비자성체로 이루 어진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정 부재(230)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정 부재의 형상은, 촬상 부재에 장착되면서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면 되고, 그 외의 특별한 제한이 없다.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231a)(231b)(231c)(231d)는 철과 같은 강자성의 성질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되, 정사각형의 얇은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231a)(231b)(231c)(231d)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의 형상은, 자속 밀도의 평형의 중심이 가급적 그 형상의 중심에 위치하는 형상을 가지기만 하면 된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231a)(231b)(231c)(231d)는 4개로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의 개수는 2개 이상이기만 하면 되고, 그 외의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의 개수는 3개, 5개, 6개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고정 부재(240)는 조정 부재(230)와 마주보도록 렌즈군 부재(210)와 조정 부재(230) 사이에 배치되며,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고정 부재(240)는, 촬상 부재(220)로 영상광이 도달하도록 그 중앙에 사각형 의 개구부(240a)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배면에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241a)(241b)(241c)(241d)를 구비하고 있는데, 고정 부재(240)의 부분 중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241a)(241b)(241c)(241d)를 제외한 부분은 비자성체로 이루어진다.
고정 부재(240)는 센터링 모듈(200)이 장착되는 촬상 장치(미도시)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센터링을 위해서 조정 부재(230)가 고정 부재(24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렌즈군 부재(210)와 고정 부재(240)는 분리되어 촬상 장치 내에 설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240)에 렌즈군 부재(210)를 고정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240)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부재의 형상은, 촬상 장치에 용이하게 고정되면서,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면 되고, 그 외의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240)는 렌즈군 부재(210)와 조정 부재(230) 사이에 배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부재는 조정 부재(23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그 경우에는 고정 부재의 전방에 조정 부재와 렌즈군 부재가 위치하게 되고, 제1 강자성 플레이트는 조정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며,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는 고정 부재의 전면에 배치되게 된다.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241a)(241b)(241c)(241d)는 정사각형의 얇은 플레이 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강자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231a)(231b)(231c)(231d)와 각각 동일한 소재,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4개의 자석(250a)(250b)(250c)(250d)은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231a)(231b)(231c)(231d)와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241a)(241b)(241c)(241d)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데, 자석(250a)(250b)(250c)(250d)의 형상은 반구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반구의 형상이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의 곡면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고른 자속 밀도를 나타낼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입체 도형을 포괄하는 넓은 개념이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자석(250a)(250b)(250c)(250d)의 부분 중 반구의 아래 평평한 면에 해당되는 부분이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231a)(231b)(231c)(231d)에 접촉하고, 자석(250a)(250b)(250c)(250d)의 부분 중 곡면의 최상부 부분이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241a)(241b)(241c)(241d)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석(250a)(250b)(250c)(250d)의 부분 중 반구의 아래 평평한 면에 해당되는 부분이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241a)(241b)(241c)(241d)에 접촉하고, 자석(250a)(250b)(250c)(250d)의 부분 중 곡면의 최상부 부분이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231a)(231b)(231c)(231d)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제2 실시예의 4개의 자석(250a)(250b)(250c)(250d)이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231a)(231b)(231c)(231d)와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241a)(241b)(241c)(241d) 사이에 각각 배치되기 위해서는, 초기 세팅 시, 제1 강자성체 플레이 트(231a)(231b)(231c)(231d)와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241a)(241b)(241c)(241d)가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자석(250a)(250b)(250c)(250d)이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231a)(231b)(231c)(231d)와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241a)(241b)(241c)(241d)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200)이 센터링되는 작용을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촬상 부재의 센터링을 위해, 본 제2 실시예의 센터링 모듈(200)이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촬상 부재(220)가 센터링되는 경우는 촬상 장치의 모드에 따라 여러 가지 경우에 해당될 수 있지만, 여기서, 크게 두 가지 경우만 들어 설명한다.
즉, 촬상 부재(220)가 센터링되는 경우는, 자동 초점 렌즈를 구동하기 전에 합초 동작을 위해 센터링되는 경우가 있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처음부터 손떨림 보정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센터링되는 경우이다.
우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부재(230)가 센터링 중심의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이 경우, 자석(250a)(250b)(250c)(250d)은 각각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231a)(231b)(231c)(231d)의 중심으로부터 우측에 배치되면서,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241a)(241b)(241c)(241d)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후, 자속 밀도를 평형화하려는 힘에 의하여 조정 부재(230)는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우측으로 힘을 받게 됨으로써, 자석(250a)(250b)(250c)(250d)이 각각 제1 강자성체 플 레이트(231a)(231b)(231c)(231d) 및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241a)(241b)(241c)(241d)의 중심에 배치되어 센터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부재(230)가 센터링 중심의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이 경우, 자석(250a)(250b)(250c)(250d)은 각각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231a)(231b)(231c)(231d)의 중심의 좌측에 배치되면서,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241a)(241b)(241c)(241d)의 중심의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후, 자속 밀도를 평형화하려는 힘에 의하여 조정 부재(230)는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좌측으로 힘을 받게 됨으로써, 자석(250a)(250b)(250c)(250d)이 각각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231a)(231b)(231c)(231d) 및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241a)(241b)(241c)(241d)의 중심에 배치되어 센터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센터링 작용의 예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볼 때, 조정 부재(230)의 초기 위치가 센터링 중심으로부터 좌측으로 치우쳐 있거나, 우측으로 치우쳐 있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지면(紙面)을 기준으로 하여 센터링 중심으로부터 앞쪽이나 뒤쪽,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치우쳐 있는 경우에도 모두 해당되게 된다. 즉, 자석(250a)(250b)(250c)(250d)의 위치가 각각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231a)(231b)(231c)(231d) 및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241a)(241b)(241c)(241d)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속 밀도를 평형화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본 제2 실시예의 센터링 작용은 그러한 힘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200)은, 조정 부재(230), 고정 부재(240) 및 자석(250a)(250b)(250c)(250d)을 이용함으로써, 촬상 부재(220)를 고정하여 센터링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200)은, 필요한 때에 손떨림 보정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도, 센터링 기능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200)은 자성(磁性)을 이용하여 센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촬상 장치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200)은,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작용하여도, 자력에 의해 미세 진동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센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200)은, 반구 형상의 자석(250a)(250b)(250c)(250d)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센터링 모듈(100)에 비하여 그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은,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센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은, 필요한 때에 손떨림 보정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도, 센터링 기능만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손떨림 보정 렌즈 부재를 포함하는 렌즈군 부재;
    상기 렌즈군 부재로 투사된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부재;
    상기 손떨림 보정 렌즈 부재에 장착되며, 적어도 두개의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는 조정 부재;
    상기 조정 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와 각각 대응되는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에 접촉하여 배치되며, 구 형상 및 반구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자석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부재는 전하 결합 소자(CCD)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촬상 부재로 영상광이 도달하도록 개구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에 배치되는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센터링 모듈이 장착되는 촬상 장치에 고정되는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8. 렌즈군 부재;
    상기 렌즈군 부재로 투사된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부재;
    상기 촬상 부재에 장착되며, 적어도 두개의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는 조정 부재;
    상기 조정 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와 각각 대응되는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에 접촉하여 배치되며, 구 형상 및 반구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자석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부재는 전하 결합 소자(CCD)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자성체 플레이트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강자성체 플레이트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렌즈군 부재와 상기 조정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촬상 부재로 영상광이 도달하도록 개구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광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조정 부재의 전방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렌즈군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에 배치되는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센터링 모듈이 장착되는 촬상 장치에 고정되는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KR1020060076211A 2006-08-11 2006-08-11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KR101195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211A KR101195502B1 (ko) 2006-08-11 2006-08-11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211A KR101195502B1 (ko) 2006-08-11 2006-08-11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454A KR20080014454A (ko) 2008-02-14
KR101195502B1 true KR101195502B1 (ko) 2012-10-29

Family

ID=3934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211A KR101195502B1 (ko) 2006-08-11 2006-08-11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5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315B1 (ko) 2008-06-09 2010-01-0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장치
CN112361165A (zh) * 2020-11-17 2021-02-12 南京梵柏图商贸有限公司 一种基于压电晶体的摄像用自动调节支撑装置
WO2023000199A1 (zh) * 2021-07-21 2023-01-26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内置有云台的拍摄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000A (ja) 1997-06-25 1999-01-22 Minolta Co Ltd 撮像装置
JP2005311758A (ja) 2004-04-22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モジュ−ル及びカメラ付き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000A (ja) 1997-06-25 1999-01-22 Minolta Co Ltd 撮像装置
JP2005311758A (ja) 2004-04-22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モジュ−ル及びカメラ付き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454A (ko)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2022B2 (en) Low profile tri-axis actuator for folded lens camera
JP6046680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5580684B2 (ja) 像振れ補正装置及びカメラ
JP2021535443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WO2017037688A1 (en) Auto focus an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with roll compensation in a compact folded camera
JP6056883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CN212723615U (zh) 相机模块
JP2014126668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KR20100115573A (ko) 디지털 카메라의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US20090201381A1 (en) Shake correction module for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4747201A (zh) 相机致动器及包括其的相机模组
JP6365647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US20240085763A1 (en) Camera module
KR101195502B1 (ko) 촬상 장치용 센터링 모듈
JP2018040861A (ja) 像ブレ補正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US8149282B2 (en) Hand shake correction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8259218B2 (en) Photographing module with optical zoom
KR101521527B1 (ko)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
KR101813393B1 (ko) 카메라 모듈
US20230269453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same
US20230209159A1 (en) Camera module
WO2024070481A1 (ja) ブレ補正装置
US20220417406A1 (en) Camera module
US20230259002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KR20090092665A (ko) 손떨림 보정과 자동초점 기능을 일체화한 영상촬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