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293B1 - 휴대 단말, 데이터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데이터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293B1
KR101195293B1 KR1020107026128A KR20107026128A KR101195293B1 KR 101195293 B1 KR101195293 B1 KR 101195293B1 KR 1020107026128 A KR1020107026128 A KR 1020107026128A KR 20107026128 A KR20107026128 A KR 20107026128A KR 101195293 B1 KR101195293 B1 KR 101195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lated information
display
touch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5935A (ko
Inventor
가케루 이리에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135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휴대 단말(10)은, LCD 모니터(32)와, 그 LCD 모니터(32)의 상면에 설치된 터치패널 입력장치(24)를 구비한다. LCD 모니터(32)에는, 문자 입력 키와 수신 메일이 표시되고, 수신 메일에 있어서의 본문의 문자열은 터치패널 입력장치(24)에 대한 조작에 의해 임의로 선택된다. 또한, 선택된 문자열의 관련 정보는 임의의 문자 입력 키에 대응시켜 일시 기억된다. 그리고, 일시 기억하기 위해 이용한 문자 입력 키로부터 전송 메일의 본문에 터치앤드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지면, 일시 기억된 관련 정보를, 전송 메일의 본문에 삽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데이터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DATA CONTROL PROGRAM, AND DATA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 터치 패널에 의해 조작되는,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의 관련 기술의 일예가, 특허문헌 1에 공개되어 있다. 이 관련 기술은, 터치 패널에 표시된 문자 입력 키를 조작함으로써, 문자의 입력을 행하는 휴대 단말 장치이다. 이 휴대 단말 장치는, 표시부인 터치 패널에 입력 문자 표시 영역과 입력 문자 선택 영역을 표시한다. 입력 문자 선택 영역에는, 문자 입력 시에 있어서, 최초에 1개의 키에 대하여 복수 문자가 할당된 복수 문자 할당 키가 표시되고, 임의의 복수 문자 할당 키가 조작되면, 그 복수 문자 할당 키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의 입력 영역이 다시 표시된다. 그리고, 재표시한 문자의 입력 영역에 대하여 조작이 되면, 입력 문자 표시 영역에 문자가 표시된다.
또한, 비특허 문헌 1에 공개되어 있는 관련 기술에서는, 입력한 문자열을 복사함으로써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서 키에 의해 커서를 이동시키고, 이동시키는 문자열에 있어서의 최초의 문자를 지정하고, 범위 지정 키를 조작하여, 선택할 문자열을 지정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다음에, 커서 키를 조작하여, 선택할 문자열의 범위를 지정하고, 종점 키를 조작하면 문자열이 선택됨과 더불어 복사 등의 기능을 선택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그리고, 복사의 기능이 선택되면 당해 문자열이 복사된다. 계속해서, 커서 키에 의해 커서를 이동시키고, 복사한 문자열을 이동시키고 싶은 위치를 지정한다. 다음에, 메뉴 키를 조작하고, 「데이터 붙이기」의 일람을 표시시킨다. 그리고, 복사한 문자열이 선택되면, 당해 복사한 문자열이 삽입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7-280153호 공보 [G06F 3/041, G06F 3/023, H03M11/04]
비특허문헌 1: W21SA by SANYO 취급설명서 [252페이지]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관련 기술에서는,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을 행할 수 있지만, 입력한 문자열을 선택하는 조작은 할 수 없다.
또한, 비특허문헌 1의 관련 기술에서는, 입력한 문자열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어, 사용자의 조작이 복잡하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복사한 문자열의 이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다. 또한, 복사한 문자열에 관련된 정보를 취득할 수 없고, 복사한 문자열의 관련 정보를 기억하는 것과 같은 기재는 전혀 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새로운, 휴대 단말, 데이터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의의 데이터에 관련되는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기억시키고, 기억한 관련 정보를 간단히 활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 데이터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구성을 채용했다. 또한, 괄호 내의 참조 부호 및 보충 설명 등은, 이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기술하는 실시 형태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발명을 전혀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제1의 발명은, 터치 패널을 가지고, 임의로 선택가능한 제1 데이터를 제1 표시 범위, 및 도안을 제2 표시 범위에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터치 패널의 터치 개시 위치 및 터치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위치 검출 장치를 가지는 휴대 단말로서, 터치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제1 터치 개시 위치 및 제1 터치 종료 위치에 의거하여 제1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는 선택부, 제1 표시 범위에 제2 터치 개시 위치가 포함되고, 또한 제2 표시 범위에 제2 터치 종료 위치가 포함될 때에,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 제1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제1 관련 정보가 터치 패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제1 관련 정보를 도안에 대응시켜서 기억시키는 기억부, 기억부에 의해 제1 관련 정보가 기억된 상태에서, 제2 표시 범위에 제3 터치 개시 위치가 포함되고, 또한 제1 표시 범위에 제3 터치 종료 위치가 포함될 때에, 기억부에 의해 기억된 제1 관련 정보를 제2 관련 정보로서 표시하는 제2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제2 관련 정보가 터치 패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제2 관련 정보를 제1 표시 범위에 표시되는 제2 데이터에 부가하는 부가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이다.
제1의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10)은, 터치 패널(24)을 가지고, 임의로 선택가능한 제1 데이터(수신 메일의 본문)를 제1 표시 범위(기능 표시 범위(56)) 및 도안(문자 입력 키 군)을 제2 표시 범위(키 입력 범위(58))에 표시하는 표시 장치(32)와, 터치 패널의 터치 개시 위치(시점 좌표) 및 터치 종료 위치(종점 좌표)를 검출하는 터치 위치 검출 장치(20)를 가진다. 선택부(20, S29: S59, S65)는, 터치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제1 터치 개시 위치 및 제1 터치 종료 위치에 의거하여 제1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한다. 제1 표시부(20, S95, S113, S141, S169)는, 제1 표시 범위에 제2 터치 개시 위치가 포함되고, 또한 제2 표시 범위에 제2 터치 종료 위치가 포함될 때에,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표시한다. 기억부(20, S99, S119, S123, S125, S147, S151, S153, S173)는, 제1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제1 관련 정보가 터치 패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제1 관련 정보를 도안에 대응시켜서 기억시킨다. 제2 표시부(20, S227, S233)는, 기억부에 의해 제1 관련 정보가 기억된 상태에서, 제2 표시 범위에 제3 터치 개시 위치가 포함되고, 또한 제1 표시 범위에 제3 터치 종료 위치가 포함될 때에, 기억부에 의해 기억된 제1 관련 정보를 제2 관련 정보로서 표시한다. 부가부(20, S243, S249)는, 제2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제2 관련 정보가 터치 패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제2 관련 정보를 제1 표시 범위에 표시되는 제2 데이터(전송 메일의 본문)에 부가한다.
예를 들면, 제1 데이터는 수신 메일의 본문에 있어서의 문자열 데이터이며, 제2 데이터는 수신 메일을 전송하는 전송 메일의 본문에 있어서의 문자열 데이터이다. 선택부는, 수신 메일의 본문에 있어서의 문자열을 선택한다. 문자열이 선택된 상태에서, 제1 데이터가 표시된 제1 표시 범위에 제2 터치 개시 위치가 포함되고, 도안이 표시되는 제2 표시 범위에 제2 터치 종료 위치가 포함될 때에, 선택된 문자열의 제1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기억부는, 선택된 제1 관련 정보를 도안에 대응시켜서 기억한다. 그리고, 도안에 대응시켜서 제1 관련 정보가 기억된 상태에서, 도안이 표시되는 제2 표시 범위에 제3 터치 개시 위치가 포함되고, 제2 데이터인 전송 메일의 본문의 문자열 데이터가 표시되는 제1 표시 범위에 제3 터치 종료 위치가 포함될 때에, 제2 표시부는, 제1 관련 정보를 제2 관련 정보로서 표시한다. 그리고, 제2 관련 정보가 선택되면, 전송 메일의 본문에, 선택된 제2 관련 정보를 부가, 즉 삽입 또는 추기한다.
제1의 발명에 의하면, 터치 패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는, 관련 정보가 기억되고, 그 기억된 관련 정보는 임의의 위치에 부가된다. 즉, 사용자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선택된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기억시키고, 기억한 관련 정보를 간단히 활용할 수 있다.
제2의 발명은, 제1의 발명에 종속하고, 제1 표시부는,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제1 데이터의 표시 영역 (「사」의 문자 표시 영역, 「토」의 문자 표시 영역 등)에 제2 터치 개시 위치가 포함되고, 또한 제2 표시 범위에 제2 터치 종료 위치가 포함될 때에,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표시한다.
제2의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선택된 데이터를 명확히 인식하고, 터치패널을 조작할 수 있다.
제3의 발명은, 제1의 발명 또는 제2의 발명에 종속하고, 제2 표시부는, 제2 표시 범위에 제3 터치 개시 위치가 포함되고, 또한 제3 터치 종료 위치가 제2 데이터의 표시 영역(「↓」의 영역 좌표 등)에 포함될 때에, 기억부에 의해 기억된 제1 관련 정보를 제2 관련 정보로서 표시한다.
제3의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기억한 관련 정보를 부가하는 위치를 명확히 인식하여, 터치 패널을 조작할 수 있다.
제4의 발명은, 제1의 발명 또는 제3의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종속하고, 도안이 복수 있고, 제1 표시부는, 제1 표시 범위에 제2 터치 개시 위치가 포함되고, 또한 1개의 도안의 표시 영역에 제2 터치 종료 위치가 포함될 때에,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표시하고, 기억부는, 선택된 제1 관련 정보를 1개의 도안에 대응시켜서 기억시킨다.
제4의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기억에 이용하는 도안을 명확히 인식하여, 터치 패널을 조작할 수 있다.
제5의 발명은, 제4의 발명에 종속하고, 제2 표시부는, 제3 터치 개시 위치가 기억부에 의해 기억된 제1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1개의 도안의 표시 영역에 포함되고, 또한 제1 표시 범위에 제3 터치 종료 위치가 포함될 때에, 1개의 도안에 대응시켜서 기억시킨 제1 관련 정보를 제2 관련 정보로서 표시한다.
제5의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관련 정보를 부가할 때에, 기억에 이용한 도안을 인식한 다음에, 터치 패널을 조작할 수 있다.
제6의 발명은, 제1의 발명 또는 제5의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종속하고, 제1 표시부는,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관련 정보 취득부를 포함하고, 제1 표시부는, 관련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제1 관련 정보를 표시한다.
제6의 발명에서는, 관련 정보 취득부(20, S89, S93, S105, S129, S133, S163, S167)는,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제1 표시부는, 관련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제1 관련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관련 정보 취득부는, 기억 장치에 기억된 데이터 베이스나, 서버에 기억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취득한다.
제6의 발명에 의하면, 선택된 데이터의 관련 정보가 다양한 장소에 기억되어 있다고 해도, 활용할 수 있다.
제7의 발명은, 제6의 발명에 종속하고, 관련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의 후보가 복수일 때, 복수의 후보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는 후보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제1 표시부는, 후보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복수의 후보 중 어느 1개가 터치 패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후보의 제1 관련 정보를 표시한다.
제7의 발명에서는, 후보 표시부 (20, S109, S137)는, 관련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의 후보가 복수일 때, 복수의 후보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한다. 그리고, 제1 표시부는, 후보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복수의 후보 중 어느 1개가 터치 패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후보의 제1 관련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제1 데이터가 「후추시」등의 지명의 문자열인 경우에, 후보 표시부는, 「도쿄도 후추시」 및 「히로시마켄 후추시」의 2개의 후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1 표시부는, 「히로시마켄 후추시」가 선택되면, 「히로시마켄 후추시」의 제1 관련 정보를 표시한다.
제7의 발명에 의하면, 선택된 데이터가, 동음 이의어인 경우에, 사용자는 자신이 의도하는 의미로 좁힐 수 있다.
제8의 발명은, 제6의 발명 또는 제7의 발명에 종속하고,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를 더 구비하고, 관련 정보 취득부는,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기억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제1 관련 정보 취득부를 포함한다.
제8의 발명에서는,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28)를 더 구비한다. 제1 관련 정보 취득부(20, S89, S133, S167)는,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기억 장치로부터 취득한다.
제8의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이 가지는 기억 장치에 선택된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기억시켜 둘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임의의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제9의 발명은, 제6의 발명 또는 제8의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종속하고,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기억하는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관련 정보 취득부는,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제2 관련 정보 취득부를 더 포함한다.
제9의 발명에서는, 통신부(14, 20)는,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기억하는 서버(110, 120, 130)와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제2 관련 정보 취득부(12, 14, 20, S93, S105, S129, S161)는,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서버로부터 취득한다.
제9의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서버에 선택된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기억시켜 둘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임의의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서버를 이용하여, 선택된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제10의 발명은, 제9의 발명에 종속하고, 서버는, 제3 데이터를 기억하고, 기억부는, 제2 관련 정보 취득부에 의해 제3 데이터의 메모리 어드레스가 취득되었을 때, 서버의 IP 어드레스 및 제3 데이터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제1 관련 정보로서 기억하고, 기억부에 의해 서버의 IP 어드레스 및 제3 데이터의 메모리 어드레스가 제1 관련 정보로서 기억되었을 때, 서버의 IP 어드레스와 제3 데이터의 메모리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서버로부터 제3 데이터를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부를 더 구비하고, 부가부는,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제3 데이터를 제2 데이터에 부가한다.
제10의 발명에서는, 서버는, 제3 데이터(지도 화상 데이터, 음악 데이터)를 기억한다. 기억부는, 제2 관련 정보 취득부에 의해 제3 데이터의 메모리 어드레스가 취득되었을 때, 서버의 IP 어드레스 및 제3 데이터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제1 관련 정보로서 기억한다. 데이터 취득부(20, S247)는, 기억부에 의해 서버의 IP 어드레스 및 제3 데이터 메모리 어드레스가 제1 관련 정보로서 기억되었을 때, 서버의 IP 어드레스와 제3 데이터의 메모리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서버로부터 제3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부가부는,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제3 데이터를 제2 데이터에 부가한다. 예를 들면, 제3 데이터가 지도 화상 데이터일 때에, 전송 메일의 본문에 지도 화상 데이터를 삽입한다.
제10의 발명에 의하면, 기억하는 관련 정보가, IP 어드레스 및 메모리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문자열만으로 되기 때문에, 휴대 단말이 구비하는 기억 장치의 데이터 용량에 대하여, 기억 데이터의 비율을 작게 할 수 있다.
제11의 발명은, 제6의 발명 또는 제10의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종속하고, 제1 데이터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하고, 관련 정보 취득부는, 선택된 제1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선택된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타데이터로부터 취득하는 제3 관련 정보 취득부를 더 포함한다.
제11의 발명에서는, 제1 데이터는 메타데이터(400b, 400d, 402b, 402d)를 포함한다. 제3 관련 정보 취득부(20, S167)는, 선택된 제1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선택된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타데이터로부터 취득한다.
제11의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선택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타데이터를 관련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제12의 발명은, 제11의 발명에 종속하고, 제1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선택부는, 임의로 선택 가능한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일 때, 그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화상 데이터 선택부를 포함한다.
제12의 발명에서는, 제1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400, 400a, 400c)를 포함한다. 화상 데이터 선택부(20, S65)는, 임의로 선택가능한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일 때, 그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다.
제12의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임의의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여도 선택할 수 있다.
제13의 발명은, 제11의 발명에 종속하고, 메타데이터는, 제1 데이터의 타이틀을 포함하고, 관련 정보 취득부는, 선택된 제1 데이터의 타이틀을 선택된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타데이터로부터 취득하는 타이틀 취득부 및 타이틀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타이틀에 의거하여,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제4 관련 정보 취득부를 더 포함한다.
제13의 발명에서는, 메타데이터는, 제1 데이터의 타이틀을 포함한다. 타이틀 취득부(20, S161)는, 선택된 제1 데이터의 타이틀을 선택된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타데이터로부터 취득한다. 제4 관련 정보 취득부(20, S163)는, 타이틀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타이틀에 의거하여,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취득한다.
제13의 발명에 의하면, 선택된 데이터가 문자열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 선택된 데이터의 타이틀을 취득하고, 그 타이틀을 이용하여 관련 정보 등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제14의 발명은, 제1의 발명 내지 제13의 발명에 종속하고, 제2 표시부는, 기억부에 의해 기억된 제1 관련 정보의 일부를 읽어내는 일부 독출부 및 일부 독출부에 의해 읽어내어진 제1 관련 정보의 일부를 제2 관련 정보로서 간이 표시하는 간이 표시부를 포함한다.
제14의 발명에서는, 일부 독출부(20, S223)는, 기억부에 의해 기억된 제1 관련 정보의 일부를 읽어낸다. 간이 표시부(20, S227)는, 일부 독출부에 의해 읽어내어진 제1 관련 정보의 일부를 제2 관련 정보로서 간이 표시한다. 예를 들면, 간이 표시부는, 터치 종점 위치를 나타내기 전에, 제2 관련 정보를 간이 표시한다.
제14의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간이 표시에 의해 관련 정보를 확인한 다음에, 관련 정보를 부가하는 위치를 정할 수 있다.
제15의 발명은, 제1의 발명 또는 제14의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종속하고, 도안은, 문자 입력 키로서 이용되고, 도안에 대응시켜서 관련 정보가 기억될 때에, 도안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표시 상태 변경부를 더 구비한다.
제15의 발명에서는, 도안은, 문자 입력 키로서 이용된다. 표시 상태 변경부(20, S35)는, 도안에 대응시켜서 관련 정보가 기억될 때에, 도안의 표시 상태를 변경한다.
제15의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도안에, 기억한 관련 정보를 읽어내는 기능과 다른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제16의 발명은, 터치 패널(24)을 가지고, 임의로 선택가능한 제1 데이터(문자열, 화상)를 제1표시 범위 및 도안(문자 입력 키 군)을 제2 표시 범위에 표시하는 표시 장치(32)와, 터치패널의 터치 개시 위치(시점 좌표) 및 터치 종료 위치(종점 좌표)를 검출하는 터치 위치 검출 장치(20)를 가지는 휴대 단말의 프로세서(20)를, 터치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제1 터치 개시 위치 및 제1 터치 종료 위치에 의거하여 제1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는 선택부(S29:S59, S65), 제1 표시 범위에 제2 터치 개시 위치가 포함되고, 또한 제2 표시 범위에 제2 터치 종료 위치가 포함될 때에,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 (S95, S113, S141, S169), 제1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제1 관련 정보가 터치 패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제1 관련 정보를 도안에 대응시켜서 기억시키는 기억부(S99, S119, S123, S125, S147, S151, S153, S173), 기억부에 의해 제1 관련 정보가 기억된 상태에서, 제2 표시 범위에 제3 터치 개시 위치가 포함되고, 또한 제1 표시 범위에 제3 터치 종료 위치가 포함될 때에, 기억부에 의해 기억된 제1 관련 정보를 제2 관련 정보로서 표시하는 제2 표시부 (S227, S233), 및 제2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제2 관련 정보가 터치 패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제2 관련 정보를 제1 표시 범위에 표시되는 제2 데이터에 부가하는 부가부(S243, S249)로서 기능시키는 데이터 제어 프로그램이다.
제16의 발명에서도, 제1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고, 선택된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기억시키고, 기억한 관련 정보를 간단히 활용할 수 있다.
제17의 발명은, 터치 패널(24)을 가지고, 임의로 선택가능한 제1 데이터(문자열, 화상)를 제1 표시 범위, 및 도안(문자 입력 키 군)을 제2 표시 범위에 표시하는 표시 장치(32)와, 터치 패널의 터치 개시 위치(시점 좌표) 및 터치 종료 위치(종점 좌표)를 검출하는 터치 위치 검출 장치(20)를 가지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의 데이터 제어 방법으로서, 터치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제1 터치 개시 위치 및 제1 터치 종료 위치에 의거하여 제1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는 선택 단계(S29:S59, S65), 제1 표시 범위에 제2 터치 개시 위치가 포함되고, 또한 제2 표시 범위에 제2 터치 종료 위치가 포함될 때에,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 단계(S95, S113, S141, S169), 제1 표시 단계에 의해 표시된 제1 관련 정보가 터치패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제1 관련 정보를 도안에 대응시켜서 기억시키는 기억 단계(S99, S119, S123, S125, S147, S151, S153, S173), 기억 단계에 의해 제1 관련 정보가 기억된 상태에서, 제2 표시 범위에 제3 터치 개시 위치가 포함되고, 또한 제1 표시 범위에 제3 터치 종료 위치가 포함될 때에, 기억 단계에 의해 기억된 제1 관련 정보를 제2 관련 정보로서 표시하는 제2 표시 단계(S227, S233), 및 제2 표시 단계에 의해 표시된 제2 관련 정보가 터치 패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제2 관련 정보를 제1 표시 범위에 표시되는 제2 데이터에 부가하는 부가 단계(S243, S249)를 포함하는, 데이터 제어 방법이다.
제17의 발명에서도, 제1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고, 선택된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기억시키고, 기억한 관련 정보를 간단히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의 목적,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휴대 단말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휴대 단말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해도(圖解圖)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휴대 단말의 LCD 모니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휴대 단말의 메일 기능에 있어서, 본 발명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수신 메일에 있어서, 관련 정보의 일시 기억의 순서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수신 메일에 있어서, 관련 정보의 일시 기억의 순서의 다른 일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문자열을 선택하는 순서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내는 선택된 문자열을 일시 기억하는 순서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나타내는 수신 메일의 전송 메일에 있어서, 삽입의 순서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전송 메일에 있어서, 삽입의 순서의 다른 일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전송 메일에 있어서, 삽입의 순서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LCD 모니터에 표시되는 GUI를 묘화하는 레이어 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내는 RAM의 메모리 맵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RAM에 기억되는 데이터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RAM에 기억되는 키 입력 데이터 및 메일 표시 영역 데이터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나타내는 RAM에 기억되는 검색 테이블 데이터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나타내는 RAM에 기억되는 주소록 데이터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8은 도 14에 나타내는 RAM에 기억되는 폴더 데이터의 상세 및 일시 기억 데이터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9는 도 1에 나타내는 지도 서버의 HDD에 기억되는 데이터 베이스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20은 도 1에 나타내는 음악 서버의 HDD에 기억되는 데이터 베이스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21은 도 1에 나타내는 저명자 서버의 HDD에 기억되는 데이터 베이스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22는 도 1의 휴대 단말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전체 처리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23은 도 1에 나타내는 CPU의 수신 메일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24는 도 1에 나타내는 CPU의 선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25는 도 1에 나타내는 CPU의 일시 기억 처리의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26은 도 1에 나타내는 CPU의 일시 기억 처리의 다른 일부로서, 도 25에 후속하는 플로우도이다.
도 27은 도 1에 나타내는 CPU의 일시 기억 처리의 그 외의 일부로서, 도 25에 후속하는 플로우도이다.
도 28은 도 1에 나타내는 CPU의 일시 기억 처리의 다른 그 외의 일부로서, 도 25에 후속하는 플로우도이다.
도 29는 도 1에 나타내는 CPU의 일시 기억 처리의 다른 일부로서, 도 25에 후속하는 플로우도이다.
도 30은 도 1에 나타내는 CPU의 전송 메일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31은 도 1에 나타내는 CPU의 독출 처리의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32는 도 1에 나타내는 CPU의 독출 처리의 다른 일부로서, 도 31에 후속하는 플로우도이다.
도 33은 도1에 나타내는 지도 서버를 이용한 관련 정보의 일시 기억 순서를 설명한 도해도이다.
도 34는 도 1에 나타내는 저명자 서버를 이용한 관련 정보의 일시 기억 순서를 설명한 도해도이다.
도 35는 사진 화상의 관련 정보의 일시 기억 순서를 설명한 도해도이다.
도 36은 음악 데이터의 관련 정보의 일시 기억 순서를 설명한 도해도이다.
도 37은 일시 기억하기 위한 전용 키의 작성 순서를 설명한 도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휴대 단말(10)은, 키 입력 장치(22) 및 터치패널 입력장치(24)를 포함한다. 키 입력 장치(22) 또는 터치패널 입력장치(24)에 의해 발호 조작이 행해지면, CPU(20)(프로세서 또는 컴퓨터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는, CDMA 방식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회로(14)를 제어하여 발호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된 발호 신호는, 안테나(12)로부터 송출되고,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에 송신된다. 그리고, 통화 상대가 응답 조작을 행하면, 통화 가능 상태가 확립된다.
통화 가능 상태로 이행한 후에 키 입력 장치(22)에 의해 통화 종료 조작이 행해지면, CPU(20)는, 무선 통신 회로(14)를 제어하여,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에 통화 종료 신호를 송신한다. 통화 종료 신호의 송신 후, CPU(20)는, 통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먼저 통화 상대로부터 통화 종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도, CPU(20)는, 통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통화 상대에게 상관없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통화 종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도, CPU(20)는 통화 처리를 종료한다.
휴대 단말(10)의 전원이 온인 상태에서 통화 상대로부터의 발호 신호가 안테나(12)에 의해 잡히면, 무선 통신 회로(14)는, 착신을 CPU(20)에 통지한다. CPU(20)는, 착신 통지에 기술된 발신 기지 정보를 LCD 드라이버(30)에 제어되는 LCD 모니터(32)에 표시시키고, 도시하지 않은 착신 통지용의 스피커로부터 착신음을 출력한다. 키 입력 장치(22)에 의해 응답 조작이 행해지면, 통화 가능 상태가 확립된다.
통화 가능 상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처리가 실행된다. 통화 상대로부터 송신된 변조 음성 신호(고주파 신호)는, 안테나(12)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된 변조 음성 신호는, 무선 통신 회로(14)에 의해 복조 처리 및 복호 처리가 실시된다. 이에 따라 얻어진 수화 음성 신호는, 스피커(18)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마이크(16)에 의해 도입된 송화 음성 신호는, 무선 통신 회로(14)에 의해 부호화 처리 및 변조 처리가 실시된다. 이에 따라 생성된 변조 음성 신호는, 상술과 마찬가지로, 안테나(12)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또한, 터치패널 입력장치(24)는, 터치패널과 그 터치패널의 제어 회로로 구성되어 있고, 손가락이 터치패널 입력장치(24)의 표면에 접근하여 생긴 전극간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정전 용량 방식으로 불리는 방식으로 터치를 검출한다. 또한, 이 터치패널 입력장치(24)에는, 투명 필름 등에 전극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손가락이 접근하여 생긴 전극간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투영형의 정전 용량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또한, 검출 방식에는, 표면형의 정전 용량 방식이 채용되어도 되고, 저항막 방식,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및 전자 유도 방식 등이어도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터치패널 입력장치(24)의 상면을 손가락으로 접촉하는 조작을 「터치」로 부르기로 한다. 한편, 터치패널 입력장치(24)로부터 손가락을 떼는 조작을 「릴리즈」로 부르기로 한다. 그리고, 터치에 의해 나타난 조작의 개시 위치의 좌표를 「시점 좌표」, 릴리즈에 의해 나타난 조작의 종료 위치의 좌표를 「종점 좌표」로 부르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패널 입력장치(24)의 상면을 터치하고, 계속해서 릴리즈하는 조작을 「터치 조작」으로 부르기로 한다. 또한, 터치패널 입력장치(24)에 대한 조작은, 손가락만에 한정되지 않고 펜 등의 끝이 가는 형상을 한 막대로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조작을 행하기 위해서, 전용의 터치 펜 등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터치하는 경우의 터치 위치는, 터치패널 입력장치(24)에 접촉되어 있는 손가락의 면적에 있어서의 중심이 터치 위치가 된다. 단, 터치 위치를 터치패널 입력장치(24)에 접촉되어 있는 손가락의 면적에 있어서의 중심으로 할 때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아도 접촉되어 있는 손가락의 면적이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터치 위치를 움직이지 않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어도, CPU(20)에서는, 터치 위치가 이동하고 있다고 검출한다. 여기에서, CPU(20)에서는, 터치 위치의 이동량이 미량(예를 들면, LCD 모니터(32)의 10dot 이하)이면, 터치 위치가 변화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키 입력 장치(22) 또는 터치패널 입력장치(24)에 의해 네트워크(100)를 통한 데이터 통신 조작이 행해지면, CPU(20)는, 무선 통신 회로(14)를 제어하여 지도 서버(110), 음악 서버(120) 또는 저명자 서버(130)와의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지도 서버(110)는, HDD(112)와 CPU(114)를 구비하고, HDD(112)에는 일본 전국의 지명과, 그 지명에 대응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로 구성되는 데이터 베이스가 기억된다. 또한, HDD(112)에는, GPS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화상도 기억된다. 또한, HDD(112)에 기억되는 지명과 지도 화상은, 일본국내만에 한정되지 않고 전세계의 지명과 지도 화상이 기억되어도 된다.
음악 서버(120)는, HDD(122)와 CPU(124)를 구비하고, HDD(122)에는 다양한 곡의 음악 데이터와, 그 음악 데이터에 대응하는 곡명, 가수 및 가사 등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베이스가 기억된다.
저명자 서버(130)는, HDD(132)과 CPU(134)를 구비하고, HDD(132)에는 앞에 기술한 가수나 작사자나 작곡자의 성명, 출신, 생일 및 혈액형 등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베이스가 기억된다. 한편, 저명자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배우, 정치가, 역사상의 인물 등의 프로필이 포함되어도 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10)의 사용자는, 휴대 단말(10)에 의해 각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을 행함으로써,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화상, 흥미가 있는 곡의 가사 또는 흥미가 있는 저명자의 프로필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휴대 단말(10)의 외관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휴대 단말(10)은, 판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C)를 가진다. 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16) 및 스피커(18)는 케이스(C)에 내장된다. 내장된 마이크(16)에 통하는 개구(op2)는, 케이스(C)의 길이 방향 한쪽의 주면에 설치되고, 내장된 스피커(18)에 통하는 개구(op1)는, 케이스(C)의 길이 방향 다른쪽의 주면에 설치된다. 즉, 사용자는, 개구(op1)를 통하여 스피커(18)로부터 출력되는 음을 듣고, 개구(op2)를 통하여 마이크(16)에 음성을 입력한다.
키 입력 장치(22)는, 통화 키(22a), 메뉴 키(22b) 및 통화 종료 키(22c)의 3종류의 키를 포함하고, 각각의 키는, 케이스(C)의 주면에 설치된다. LCD 모니터(32)는, 모니터 화면이 케이스(C)의 주면에 노출하도록 부착되고, 또한 LCD 모니터(32)의 상면에는, 터치패널 입력장치(24)가 설치된다.
사용자는, 통화 키(22a)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응답 조작을 행하고, 통화 종료 키(22c)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통화 종료 조작 등을 행한다. 또한, 사용자는, 메뉴 키(22b)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도 3(B)에 도시하는 메뉴 화면을 LCD 모니터(32)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통화 종료 키(22c)를 길게 누름으로써 휴대단말(10)의 전원 온/오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 입력장치(24)는, LCD 모니터(32)의 화면 내의 임의의 위치를 사용자가 지시하기 위한 포인팅 디바이스이다. 터치패널 입력장치(24)는, 그 상면을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어루만지거나(슬라이드하거나), 접촉함으로써 조작되면, 조작된 조작 위치의 좌표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사용자는, 터치패널 입력장치(24)의 상면을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어루만지거나, 접촉함으로써, 조작의 방향이나 도형 등을 휴대 단말(10)에 입력할 수 있다.
도 3(A)?도 3(C)는, LCD 모니터(32)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3(A)는, 휴대 단말(10)의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예이다. 도 3(A)를 참조하여, LCD 모니터(32)에는, 상태 표시 범위(40) 및 화상 표시 범위(42)가 표시된다. 상태 표시 범위(40)에는, 안테나(12)의 감도, 배터리의 잔량 및 현재 시각 등이 표시된다. 화상 표시 범위(42)에는, 예를 들면 휴대단말(10)이 대기 상태이면, 대기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가 표시된다. 또한, 실행된 기능에 따라, 화상 표시 범위(42)에는, 다양한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상태 표시 범위(40) 및 화상 표시 범위(42)에 대해서는, 다른 표시예에 대해서 같기 때문에, 다른 표시예에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B)는,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표시예이다. 메뉴 화면은, 메뉴 키(22b)가 누름 조작된다고 표시된다. 도 3(B)를 참조하여, 화상 표시 범위(42)에는, 전화 기능 키(44), 주소록 기능 키(46), 메일 기능 키(48), 브라우저 기능 키(50), 데이터 폴더 기능 키(52) 및 툴 기능 키(54) 등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임의의 기능 키를 터치 조작함으로써, 그 임의의 기능 키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킨다. 예를 들면, 전화 기능 키(44)가 터치 조작되면, LCD 모니터(32)에는, 전화 기능의 실행을 나타내는 화상(도 3(C)참조)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각각의 기능 키가 터치 조작된 경우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전화 기능 키(44)가 터치 조작되면, 휴대 단말(10)은, 상술한 대로, 전화 기능이 실행된다. 주소록 기능 키(46)가 터치 조작되면, 휴대 단말(10)은, 등록되어 있는 주소록을 표시한다. 메일 기능 키(48)가 터치 조작되면, 휴대 단말(10)은, 도 4(A)?도 4(C)에 도시하는 메일 기능을 실행한다. 브라우저 기능 키(50)가 터치 조작되면, 휴대 단말(10)은 네트워크(100)에 접속하고, 지도 서버(110), 음악 서버(120) 또는 저명자 서버(130) 등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얻어진 문자열이나 화상 등을 LCD 모니터(32)에 표시한다.
데이터 폴더 기능 키(52)가 터치 조작되면, 휴대 단말(10)은 RAM(28)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 및 음악 데이터 등이 기억되는 데이터 폴더의 내용을 LCD 모니터(32)에 표시한다. 툴 기능 키(54)가 터치 조작되면, 휴대 단말(10)은, 자신의 설정(현재 시각, LCD 모니터(32)의 콘트라스트)을 변경하는 화면을 LCD 모니터(32)에 표시한다.
또한, 카메라 기능이나 TV 튜너 기능 등의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10)이면, 메뉴 화면에는, 더욱 많은 기능 키가 표시된다.
도 3(C)는, 앞에 기술한 전화 기능 키(44)가 터치 조작된 경우의 표시예이다. 도 3(C)를 참조하여, 화상 표시 범위(42)는, 기능 표시 범위(56) 및 키 입력 범위(58)를 포함한다. 기능 표시 범위(56)에는, 키 입력 범위(58)에 포함되는 키가 터치 조작된 결과가 표시된다. 키 입력 범위(58)에는, 전화 기능의 입력 키 군(60)이 표시되고, 숫자를 입력하는 숫자열 입력 키(0~9)나, 착신 이력 및 발신 이력을 표시하는 키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숫자 입력 키가 터치 조작되면, 기능 표시 범위(56)에는, 터치 조작된 숫자 입력 키에 대응하는 숫자열(전화 번호)이 표시된다. 그리고, 통화 키(22a)가 누름 조작되면, 휴대 단말(10)은,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기와의 통화 상태를 확립하기 위해서, 발호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키 입력 범위(58) 및 기능 표시 범위(56)에 대해서는, 전화 기능이나 메일 기능의 다른 기능 등 다른 표시예에 대해서 동일하기 때문에, 다른 표시예에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A)?도 4(C)는, 메일 기능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4(A)는, 도 3(B)에 나타내는 메뉴 화면에 있어서, 메일 기능 키(48)가 터치 조작된 후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도 4(A)를 참조하여, 화상 표시 범위(42)에는, 신규 작성 키(70), 수신 박스 키(72), 송신 박스 키(74), 신착 메일 조회 키(76) 및 메일 설정 키(78)가 표시된다. 신규 작성 키(70)가 터치 조작되면, 휴대단말(10)은 신규 메일을 작성하는 화면을 LCD 모니터(32)에 표시한다. 수신 박스 키(72)가 터치 조작되면, 휴대 단말(10)은 수신한 메일(수신 메일)의 일람을 표시한다. 송신 박스(74) 키가 터치 조작되면, 휴대 단말(10)은 송신한 메일(송신 메일)의 일람을 LCD 모니터(32)에 표시한다. 신착 메일 조회 키가 터치 조작되면, 휴대 단말(10)은, 도시하지 않은 메일 서버에 대하여, 신규 수신 메일이 축적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메일 설정 키(78)가 터치 조작되면, 휴대 단말(10)은 메일 기능에 있어서의 설정(메일의 자동 수신 설정 등)을 변경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도 4(B)는, 어떤 수신 메일의 내용을 확인할 경우의 표시예이다. 도 4(B)를 참조하여, 전화 기능과 동일하게, 화상 표시 범위(42)는, 기능 표시 범위(56) 및 키 입력 범위(58)를 포함한다. 기능 표시 범위(56)에는, 어떤 수신 메일에 있어서의 정보(메일의 수신 시각, 발신인, 건명 등)와 수신 메일의 본문이 표시된다.
키 입력 범위(58)에는, 메일 기능의 입력 키 군(80)이 표시되고,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 키, 회신 키, 전송 키 및 메뉴 키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문자 입력 키에는, あ행 문자 입력 키가 포함된다. あ행 문자 입력 키는, 「あ,い,う,え,お」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이며, 터치 조작되면, あ행의 각각의 문자를 지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터치 조작을 1번 행하면, 「あ」의 문자를 입력하고, 다시 또 한번, 터치 조작을 행하면, 「い」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기능 표시 범위(56)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 기능 표시 범위(56)의 표시 내용은 상하 방향으로 스크롤한다. 즉, 시점 좌표와 종점 좌표가 상이한 좌표로 나타나면, 표시 내용이 스크롤한다. 예를 들면, 시점 좌표가 기능 표시 범위(56)의 상부, 종점 좌표가 기능 표시 범위(56)의 하부로 나타나면, 기능 표시 범위(56)의 표시 내용은 하측 방향으로 스크롤하고,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도 4(B)에서는 표시되지 않은 수신 메일의 본문이 표시된다. 또한, 도 4(C)에 있어서, 시점 좌표가 기능 표시 범위(56)의 하부, 종점 좌표가 기능 표시 범위(56)의 상부로 표시되면, 기능 표시 범위(56)의 표시 내용은 상방향으로 스크롤하고, 도 4(B)의 표시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도 3(C) 및 도 4(B) 등으로 나타내는 키 입력 범위(58)에 있어서, 키가 표시되지 않은 위치에 터치 조작되면, 문자 입력 키의 표시를 숨기고, 회신 키, 전송 키 및 메뉴 키만을 표시한다. 또한, 휴대 단말(10)은, 문자 입력 키가 숨겨진 상태에서, 키가 표시되지 않은 위치에 터치 조작되면, 문자 입력 키가 다시 표시된다.
또한, 키 입력 범위(58)에 있어서, 키가 표시되지 않은 위치에서 상부로부터 하부로의 슬라이드에 따라서 문자 입력 키를 숨기고, 하부로부터 상부로의 슬라이드에 따라서 숨긴 문자 입력 키를 재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에서, 이 휴대 단말(10)은, 터치패널 입력장치(24)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라, LCD 모니터(32)에 표시되는 문자열 또는 화상과, 그 문자열 또는 화상의 관련 정보를 기억하고, 그 기억한 문자열을 LCD 모니터(32)에 표시되는 데이터(문자열 데이터) 등에 대하여 용이하게 삽입(부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터치에 의한 시점 좌표 및 릴리즈에 의한 종점 좌표의 좌표에 의거하여, 수신 메일의 본문에 있어서의 문자열을 선택하면,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사토」의 문자열은 선택된 상태로 된다. 또한,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선택된 상태의 문자열의 표시 좌표(표시 영역) 내에서 터치되고, あ행 문자 입력 키 등의 표시 좌표 내에서 릴리즈되면,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팝업(82)이 표시된다. 이 팝업(82)은, 「사토」의 문자열이, 성명, 지명 또는 곡명 중 어떠한 종별인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이다.
도 5(C)을 참조하여, 이 팝업(82) 내에는, 성명에 대응하는 체크박스(84a), 지명에 대응하는 체크박스(84b) 및 곡명에 대응하는 체크박스(84c)가 포함된다. 이하, 체크박스(84a?84c)(이 후에 기재되는 모든 체크박스)를 통합하여 체크박스(84)라고 한다.
이들의 체크박스(84)는, 터치 조작에 의해, 체크가 있는 상태(유효) 또는 체크가 없는 상태(무효)가 전환된다. 즉, 체크박스(84)의 각각에 대응하는 플래그가 RAM(28) 내에 설치되어 있고, 그 플래그에 의해 체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각 체크박스(84)에 대응하는 플래그는, 1비트의 레지스터로 구성된다. 플래그가 성립(온)되면, 레지스터에는 데이터값 「1」이 설정되고, 플래그가 불성립(오프)되면, 레지스터에는 데이터값 「0」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성명에 대응하는 체크박스(84a)에 체크가 되면, CPU(20)는, 「사토」의 문자열이 성명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체크박스(84)에 대해서는, 전화 기능이나 메일 기능의 다른 기능 등 다른 도해도에 있어서 같기 때문에, 다른 도해도에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하여, 선택된 문자열의 종별이 선택되면,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팝업(82)의 표시가 갱신된다. 갱신후의 팝업(82) 내에는, 성명의 관련 정보로서 선택가능한, 전화번호, 어드레스의 일람과, 각각 대응하는 체크박스(84d, 84e)와, 확정 키(82a)가 표시된다. 즉, 여기서는,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는 「사토」의 관련 정보, 즉 전화번호 및 어드레스가 선택가능하다. 또한, 선택가능한 관련 정보는 선택된 데이터에 따라 다르고, 다른 성명이면,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는 내용도 변화된다.
확정 키(82a)는, 터치 조작되면, 체크된 체크박스(84)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종점 좌표로 표시된 문자 입력 키에 대응시켜 RAM(28)에 일시 기억시킨다. 즉,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체크박스(84e)에 체크가 되고, 확정 키(82a)가 터치 조작되면, あ행 입력 키에 관련되어, 「사토」의 문자열과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는 「사토」의 메일 어드레스가 일시 기억된다.
또한, 어떠한 체크박스(84)에 체크가 되지 않은 채 확정 키(82a)가 터치 조작되면, 관련 정보는 기억되지 않고, 선택된 문자열만이 일시 기억된다. 또한, 선택된 문자열만을 일시 기억하는 경우에는, 도 5(C)에 도시하는 팝업(82)이 표시된 상태에서, 팝업(82)의 표시 영역외를 터치 조작해도 된다. 이 경우, 도 6(A)에 도시하는 팝업(82)이 표시되지 않고, 도 6(B)에 도시하는 표시로 된다.
그리고, 상술한 일시 기억 조작이 종료하면,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팝업(82)의 표시가 사라지고, あ행 문자 입력 키의 표시가 변화된다.
즉,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선택된 문자열에 터치하고 나서, 슬라이드하여 임의의 문자 입력 키로 릴리즈하면, 당해 선택된 문자열과 그 문자열의 관련 정보는, 임의의 문자 입력 키에 대응하는 메모리 어드레스에 따라서 일시 기억된다. 이하, 터치한 후에 슬라이드하고, 릴리즈하는 조작을 터치앤드슬라이드 조작으로 부른다.
또한, 릴리즈로 표시되는 문자 입력 키는, あ행 문자 입력 키만에 한정되지 않고, か행 문자 입력 키나 さ행 문자 입력 키 등의 다른 키여도 된다.
그리고,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수신 메일을 전송하는 메일(전송 메일)의 본문에 대하여, 일시 기억하는 기억 영역을 나타내는 메모리 어드레스와 대응하는 문자 입력 키, 여기서는 あ행 문자 입력 키의 표시 좌표 내에 터치되고, 현재의 터치 위치가 기능 표시 범위(56) 내에 들어가면, 간이 팝업(88)이 표시된다. 이 간이 팝업(88)은, 일시 기억된 문자열 및 관련 정보의 일부를 간이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GUI이다. 그리고, 임의의 장소에서 릴리즈되면 간이 팝업(88)의 표시가 소거되고, 일시 기억된 문자열 및 관련 정보는, 전송 메일의 본문에 삽입(부가)된다. 즉, 사용자는, 간이 팝업(88)에 의해 관련 정보의 일부를 확인한 다음에, 관련 정보를 삽입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시 기억한 문자열 및 관련 정보는, 삽입뿐만 아니라, 표시되어 있는 문자열에 추기되어도 된다. 이하, 일시 기억하는 기억 영역을 나타내는 메모리 어드레스와 대응하는 문자 입력 키로 터치되고, 일시 기억된 문자열 및 관련 정보를 부가하는 조작을 부가 조작으로 부른다.
또한, 문자 입력 키에, 터치하여 1초 경과하면, 간이 팝업(88)이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あ행 문자 입력 키의 표시 좌표 내에서 터치되어, 1초간 경과하면, 간이 팝업(88)이 표시된다. 또한, 간이 팝업(88)이 일시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あ행 문자 입력 키의 표시 좌표 내에서 릴리즈되었다고 해도, あ행의 문자는 입력되지 않는다.
계속하여, 간이 팝업(88)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송 메일의 본문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에서 릴리즈되면, 도 10(A)에 도시하는 팝업(82)에 의해 일시 기억한 내용이 표시된다. 이 팝업(82)에는, 일시 기억한 「사토」의 문자열 및 「사토」의 관련 정보인 메일 어드레스와, 각각의 일시 기억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체크박스(84)가 표시되고, 확정 키(82a)와 삭제 키(82b)가 더 표시된다.
도 10(A)에서 도시된 확정 키(82a)는, 터치 조작되면,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체크된 체크박스(84)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종점 좌표에 의거하여 기능 표시 범위(56)에 표시되는 문자열 데이터에 삽입한다. 또한, 삭제 키(82b)가 터치 조작되면, 체크된 체크박스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삭제된다.
즉,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あ행 문자 입력 키로부터 회신 메일의 본문에 있어서의 임의의 좌표에 터치앤드슬라이드 조작하면, 일시 기억된 문자열 및 그 문자열의 관련 정보는, LCD 모니터(32)에 표시된 전송 메일에 있어서의 본문의 문자열 데이터에 대하여, 릴리즈에 의해 나타낸 종점 좌표에 의거하여 삽입된다.
여기에서, 문자열을 일시 기억하는 순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도5(C)는, 선택한 문자열을 일시 기억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여, 기능 표시 범위(56)에 표시되는 수신 메일의 본문에서는, 「사토」의 문자열이 선택되어 있다. 또한, 수신 메일의 본문에 있어서, 「사토」의 문자열을 선택하는 순서는, 도 7(A)?도7(E)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A)는, 수신 메일의 본문에 표시되는 일부 문자의 표시 좌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해도이다. 도 7(A)에 표시하는 「사」의 문자 표시 영역은 도 7(B)에 나타내고, 「토」의 문자 표시 영역은 도 7(C)에 나타낸다. 도 7(B)는, 「사」의 표시 좌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7(B)를 참조하여, 세로축 방향으로 좌표(VCx1)와 좌표(VCx2)로 표시되고, 가로축 방향으로 좌표(VCy1)와 좌표(VCy2)로 표시되는 영역이, 「사」의 표시 영역이다. 마찬가지로, 도 7(C)는, 「토」의 표시 좌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7(C)를 참조하여, 세로축 방향으로 좌표(VCx3)와 좌표(VCx4)로 표시되고, 가로축 방향으로 좌표(VCy3)와 좌표(VCy4)로 표시되는 영역이, 「토」의 표시 영역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문자 표시 영역은, 전각 문자와 반각 문자로 크기가 다르다.
여기에서, 도 7(D)을 참조하여, 점 a로 표시되는 좌표는, 도 7(B)에 도시한 「사」의 표시 좌표 내에 포함되고, 점 b로 표시되는 좌표는, 도 7(C)에 도시한 「토」의 표시 좌표 내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터치에 의해 점 a가 시점 좌표로서 표시되고, 릴리즈에 의해 점 b가 종점 좌표로서 표시된 경우, 즉 점 a로부터 점 b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 도 7(E)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시점 좌표에 의해 표시된 「사」의 문자로부터, 종점 좌표에 의해 표시된 「토」의 문자는, 선택된 문자열이 된다. 또한, 선택된 문자열 「사토」의 표시색은 변경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자열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와 「토」의 사이에도 문자가 포함될 경우에는, 사이에 있는 문자도 선택된 문자열이 된다.
또한, 임의의 문자를 터치 조작함으로써, 그 임의의 문자열을 포함하는 문자열이 선택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히라가나 문자가 터치 조작되면 전후의 히라가나의 문자열이 선택되고, 한자의 문자가 터치 조작되면 전후의 한자의 문자열이 선택된다.
도 5(B)를 참조하여, 선택된 문자열 「사토」로부터, あ행 문자 입력 키에 터치앤드슬라이드 조작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선택된 문자열 「사토」를 あ행 문자 입력 키와 대응하는 메모리 어드레스가 나타내는 기억 영역에 일시 기억시키는 순서는, 도 8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도 5(B)에 있어서의 영역(R1)을 확대한 도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세로축 방향으로 좌표(VKx1)와 좌표(VKx2)로 표시되고, 가로축 방향으로 좌표(VKy1)와 좌표(VKy2)로 표시되는 범위가, あ행 문자 입력 키의 표시 영역이다. 점 c로 표시되는 좌표는, 선택된 문자열에 포함되는 「토」의 표시 좌표 내에 포함된다. 점 d는, あ행 문자 입력 키의 표시 좌표 내에 포함된다. 그리고, 점 e로 표시되는 좌표는, 메일 기능의 입력 키 군(80)에 있어서의 어떠한 키의 표시 좌표 내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터치에 의해 점 c가 시점 좌표로서 표시되고, 릴리즈에 의해 점 d가 종점 좌표로서 표시되는 경우에, 즉 점 c로부터 점 d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팝업(82)이 표시된다. 또한, 터치에 의해 점 c가 시점 좌표로서 표시되고, 릴리즈에 의해 점 e가 종점 좌표로서 표시되는 경우에는, 팝업(82)이 표시되지 않는다.
즉, 일시 기억 조작으로서 인식되는 시점 좌표 및 종점 좌표의 위치를 한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선택된 데이터와 일시 기억에 이용하는 문자 입력 키를 명확히 인식하여, 터치패널 입력장치(24)에 대한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여, あ행 문자 입력 키의 표시색은, 다른 문자 입력 키와는 다른 색으로 표시된다. 즉, 사용자는, 1개의 키에, 일시 기억한 관련 정보를 읽어내는 기능과 문자 입력의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에, 일시 기억한 문자열 및 관련 정보를 전송 메일의 본문에 삽입하는 순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A), 도 9(B), 도 10(A) 및 도 10(B)는, 일시 기억한 문자열을 전송 메일의 본문에 삽입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여, 키 입력 범위(58)로 표시되는 あ행 문자 입력 키는, 다른 문자 입력 키와는 다른 색으로 표시된다. 도 10(B)를 참조하여, あ행 문자 입력 키로부터 회신 메일의 본문을 표시하는 영역에 터치앤드슬라이드 조작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이하, 일시 기억된 문자열을 회신 메일에 있어서의 본문의 문자열에 삽입하는 순서를, 도 11(A),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A)는, 문자열 데이터의 최종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영역 좌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또한, 이 최종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좌측에는, 커서(86)가 표시된다. 또한, 도 11(A), (B)에서는 ,「↓」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실제로는 사용자는 인식할 수 없다. 도 11(A)을 참조하여, 세로축 방향으로 좌표(VCx5)와 좌표(VCx6)로 표시되고, 가로축 방향으로 좌표(VCy5)와 좌표(VCy26)로 표시되는 영역이 ,「↓」의 영역이다.
도 11(B)는, 도 9(B)에 있어서의 영역(R2)을 확대한 도해도이다. 도 11(B)를 참조하여, 점 g로 표시되는 좌표는,「↓」의 영역 좌표 내에 포함된다. 점 f로 표시되는 좌표는, あ행 문자 입력 키의 표시 좌표 내에 포함된다. 그리고, 점 h로 표시되는 좌표는, 메일 기능의 입력 키 군(80)의 각각의 키에 있어서의 표시 좌표 내에는 포함되지 않는 임의의 점이다.
여기에서, 터치에 의해 점 f가 시점 좌표로서 표시되고, 릴리즈에 의해 점 g가 종점 좌표로서 표시되는 경우에, 즉 점 f로부터 점 g까지 터치앤드슬라이드 조작되면, 도 10(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팝업(82)이 표시된다. 또한, 삽입하는 문자열 또는 관련 정보가 선택되면, 회신 메일 본문의 「↓」의 앞, 즉 문자열의 최후에 삽입된다. 그리고, 전송 메일의 본문을 나타내는 문자열에 있어서, 문자열 데이터의 최종 위치를 표시하는 데이터「↓」는, RAM(28)의 기억 영역에 격납되는 위치가 변경된다. 또한, 릴리즈에 의해 점 e가 종점 좌표로서 표시되는 경우에는, 팝업(82)은 표시되지 않는다.
즉, 부가 조작으로서 인식되는 시점 좌표 및 종점 좌표의 위치를 한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일시 기억 조작에 이용한 문자 입력 키와, 일시 기억한 관련 정보를 삽입하는 위치를 명확히 인식하고, 터치패널 입력장치(24)에 대한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수신 메일에서는 일시 기억한 문자열을 터치 조작에 의해 선택하고, 선택한 문자열로부터 임의의 문자 입력 키에 터치앤드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사용자는, 선택한 문자열 및 그 문자열의 관련 정보를 일시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전송 메일을 작성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일시 기억에 이용한 문자 입력 키에 터치하고, 삽입시키는 위치에서 릴리즈하는 터치앤드슬라이드 조작을 함으로써, 일시 기억한 문자열 또는 관련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あ행의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あ행 문자 입력 키의 표시 좌표 내에서 터치하고나서 1초 경과하기 전에 릴리즈하면 된다. 또한, 임계치로 한 1초의 값은, 임의로 변경 가능하고, 2초 이상이어도 되고, 1초보다 짧은 시간이어도 된다. 이에 따라, 문자 입력의 기능과 일시 기억의 기능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관련 정보만을 일시 기억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팝업(82)의 우측 위에 표시된 「×」마크가 터치 조작되면, 팝업(82)은 소거된다. 즉, 문자열 및 그 문자열의 관련 정보를 일시 기억하는 조작, 일시 기억한 관련 정보를 삽입하는 조작은, 팝업(82)의 표시가 소거되면, 캔슬된다.
또한, 각 문자 입력 키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문자열이 선택된 상태에서, 기능 표시 범위(56)로부터 키 입력 범위(58)에 터치앤드슬라이드 조작되면, 우선 순위가 높은 문자입력 키로부터 차례로 선택된 문자열의 관련 정보를 일시 기억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あ행 문자 입력 키의 우선 순위가 가장 높게 설정되는 경우에, 기능 표시 범위(56)로부터 키 입력 범위(58)에 터치앤드슬라이드 조작되면, あ행 문자 입력 키에 대응하는 메모리 어드레스에 따라서 관련 정보가 일시 기억된다. 또한, 기능 표시 범위(56)로부터 임의의 문자 입력 키, 또는 선택된 문자열로부터 키 입력 범위(58)에 터치앤드슬라이드 조작이 되어도, 일시 기억 조작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1개의 문자 입력 키에 대응시켜 관련 정보가 일시 기억되어 있는 상태에서, 키 입력 범위(58)로부터 기능 표시 범위(56)에 터치앤드슬라이드 조작되면, 전송 메일 등의 본문에, 1개의 문자 입력 키에 대응되어 일시 기억된 관련 정보가 추기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あ행 문자 입력 키에 대응되어 관련 정보가 일시 기억되는 경우에, 키 입력 범위(58)로부터 기능 표시 범위(56)에 터치앤드슬라이드 조작되면, あ행 문자 입력 키에 대응되어 일시 기억된 관련 정보가, 전송 메일의 본문에 추기된다. 또한, 일시 기억한 관련 정보가 대응되는 문자 입력 키로부터 기능 표시 범위(56), 또는 키 입력 범위(58)로부터 전송 메일의 본문에 터치앤드슬라이드 조작이 되어도, 부가 조작으로 해도 된다.
여기에서, LCD 모니터(32)의 표시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A)?도 12(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3개의 레이어(최상층, 중간층, 최하층)가 겹쳐져 설치되고, 가상 공간에 있어서, 시점측(사용자)에 최상층이 설치되고, 시점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중간층 및 최하층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도 12(A)에 도시하는 최상층에는, 팝업(82) 및 간이 팝업(88)이 묘화된다. 단, 최상층에는, 아무 것도 묘화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도 12(B)에 도시하는 중간층에는, 키 입력 범위(58)에 포함되는 키가 묘화된다. 그리고, 도 12(C)에 도시하는 최하층에는, 기능 표시 범위(56)에 표시되는 메일 본문 및 상태 표시 범위(40)에 포함되는 안테나(12)의 감도, 배터리의 잔량 및 현재 시각 등이 묘화된다. 단, 메일 본문의 일부는, 중간층에 의해 숨겨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키 입력 범위(58)에 있어서, 키가 표시되지 않은 위치에 터치 조작하여 문자 입력 키의 표시를 숨기면, 중간층에 표시되는 키 입력 범위(58)가 숨겨지기 때문에, 최하층에 표시되는 메일 본문의 전체가 표시되게 된다. 또한, 일시 기억하는 경우나 삽입하는 경우에, 터치앤드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지면, 최상층에 팝업(82)이 표시된다.
도 13은, RAM(28)의 메모리 맵을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RAM(28)의 메모리 맵(300)에는, 프로그램 기억 영역(302) 및 데이터 기억 영역(304)이 포함된다. 프로그램 및 데이터의 일부는, 플래시 메모리(26)로부터 한번에 전부 또는 필요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또한 순차적으로 독출되어, RAM(28)에 기억되고, 그리고 CPU(20) 등에서 처리된다.
프로그램 기억 영역(302)은, 휴대 단말(10)을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휴대 단말(10)을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전체 처리 프로그램(310), 수신 메일 처리 프로그램(312), 선택 처리 프로그램(314), 일시 기억 처리 프로그램(316), 전송 메일 처리 프로그램(318) 및 독출 처리 프로그램(320) 등에 의해 구성된다. 전체 처리 프로그램(310)은, 전화 기능이나 메일 기능 등의 휴대 단말(10)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수신 메일 처리 프로그램(312)은, 수신 메일의 표시 중에 행해진 터치 조작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며, 예를 들면, 선택된 문자열에 대한 일시 기억 조작 등을 처리한다. 선택 처리 프로그램(314)은, 수신 메일 처리 프로그램(312)의 사브 루틴이며, 수신 메일 본문의 문자열 등을 선택하는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다. 일시 기억 처리 프로그램(316)은, 수신 메일 처리 프로그램(312)의 서브루틴이며, 선택된 문자열 및 그 문자열의 관련 정보에 대한 일시 기억 조작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이다.
전송 메일 처리 프로그램(318)은, 전송 메일의 표시 중에 행해진 조작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며, 예를 들면, 일시 기억한 문자열이나 관련 정보를 읽어내는 조작 등을 처리한다. 독출 처리 프로그램(320)은, 전송 메일 처리 프로그램(318)의 서브루틴이며, 일시 기억한 데이터를 독출하고, 부가 조작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는데, 휴대 단말(10)을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통화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작성한 전송 메일을 송신하는 프로그램,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각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도 포함한다.
도 14를 참조하여, 데이터 기억 영역(304)에는, 조작 데이터 버퍼(330), 선택 범위 데이터 버퍼(332) 및 다운로드 데이터 버퍼(334)가 설치된다. 또한, 데이터 기억 영역(304)에는, 터치 좌표 맵 데이터(336), 표시 데이터(338), 검색 테이블 데이터(340), 주소록 데이터(342), 메일 데이터(344), 폴더 데이터(346) 및 일시 기억 데이터(348)가 기억됨과 더불어, 터치 플래그(350) 및 터치 간격 카운터(352)가 설치된다.
조작 데이터 버퍼(330)는, 터치패널 입력장치(24)의 조작 결과를 기억하기 위한 버퍼이며, 예를 들면 현재의 터치 위치, 시점 좌표 및 종점 좌표 등을 격납한다. 선택 범위 데이터 버퍼(332)는, 문자열 또는 화상을 선택하는 처리가 실행되었을 때에, 선택된 문자열 또는 화상의 표시 좌표와, 문자열 데이터 또는 화상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격납하기 위한 버퍼이다. 다운로드 데이터 버퍼(334)는, 각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취득한 문자열이나 화상을, 데이터 폴더에 저장하기 까지의 동안, 기억하기 위한 버퍼이다.
터치 좌표 맵 데이터(336)는, 터치패널 입력장치(24)에 대하여 행해진 조작, 예를 들면 시점 좌표에 의해 표시된 위치와, LCD 모니터(32)의 표시 좌표를 대응시키기 위한 맵 데이터이다. 즉, CPU(20)는, 터치 좌표 맵 데이터(336)에 의거하여, 터치패널 입력장치(24)에 대하여 행해진 조작의 결과를 LCD 모니터(32)의 표시와 대응시킬 수 있다.
표시 데이터(338)는, 휴대 단말(10)의 기능마다 LCD 모니터(32)에 표시하는 화상이나 문자열의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표시 데이터(338)에는, 메일 기능 표시 데이터(338a) 등이 포함된다. 메일 기능 표시 데이터(338a)는, 메일 메뉴 키 데이터(354), 키 입력 영역 데이터(356) 및 메일 표시 영역 데이터(358) 등으로 구성된다. 메일 메뉴 키 데이터(354)는, 도 4(A) 등에 나타내는 메일 메뉴 화면에 포함되는 각 키의 데이터이다. 키 입력 영역 데이터(356)는, 도 4(B)등으로 나타내는 키 입력 범위(58)의 메일 기능의 입력 키 군(80)의 데이터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5(A)를 참조하여, 키 입력 영역 데이터(356)는, あ행 문자 입력 키 표시 데이터(370) 및 か행 문자 입력 키 표시 데이터(372) 등으로 구성된다. あ행 문자 입력 키 표시 데이터(370)는, 도 4(B)등에 나타내는 あ행 문자 입력 키의 표시 데이터이며, 또한, あ행 문자 입력 키 표시 데이터(370)는, あ행 표시 좌표 데이터(370a), あ행 표시 화상 데이터(370b) 및 あ행 대응 메모리 어드레스 데이터(370c)로 구성된다.
あ행 표시 좌표 데이터(370a)는, 도 8에서 도시한 좌표(VKx1), 좌표(VKx2), 좌표(VKy1) 및 좌표(VKy2)의 표시 좌표의 데이터이다. あ행 표시 화상 데이터(370b)는, あ행 문자 입력 키를 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화상 데이터이며, 히라가나의 「あ」를 표시하는 화상이다. あ행 대응 메모리 어드레스 데이터(370c)는, 도 18(B)에 도시하는 일시 기억 데이터(348)에 있어서의 메모리 어드레스의 데이터이다.
か행 문자 입력 키 표시 데이터(372)는, 도 4(B) 등에 나타내는 か행 문자 입력 키의 표시 데이터이다. 또한, か행 문자 입력 키 표시 데이터(372)를 구성하는, か행 표시 좌표 데이터(372a), か행 표시 화상 데이터(372b) 및 か행 대응 메모리 어드레스 데이터(372c)는, あ행 문자 입력 키 표시 데이터(370)를 구성하는 각 데이터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일 표시 영역 데이터(358)는, 수신 메일, 회신하는 메일(회신 메일) 및 전송 메일 등의 본문에 포함되는 문자열을 표시하는 데이터 등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5(B)를 참조하여, 메일 표시 영역 데이터(358)는, 건명 정보 표시 데이터(374) 및 본문 정보 표시 데이터(376) 등으로 구성된다. 건명 정보 표시 데이터(374)는, 메일의 건명을 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문자열이나 표시 좌표 등의 데이터이다. 본문 좌표 데이터(376)는, 메일의 본문을 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문자열이나 표시 좌표 등의 데이터이며, 표시되는 메일에 따라 구성되는 데이터가 다르다. 예를 들면, 도 4(B) 등에 나타내는 수신 메일이 LCD 모니터(32)에 표시되는 경우에, 본문 정보 표시 데이터(376)는, 본문 표시 좌표 데이터(376a), 「사」의 표시 데이터(376b) 및 「토」의 표시 좌표 데이터(376c) 등으로 구성된다.
본문 표시 좌표 데이터(376a)는, 도 4(B) 등에 도시되는 수신 메일의 본문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좌표의 데이터이다. 「사」의 표시 데이터(376b)는, 문자 「사」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이며, 「사」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사」의 표시 좌표 데이터(380), 「사」를 표시하는 화상인 「사」의 표시 화상 데이터(382) 및 「사」를 나타내는 문자열로서의 데이터인 「사」의 문자열 데이터(384)로 구성된다. 또한, 「사」의 표시 좌표 데이터(380)는, 도 7(B)에 표시한 좌표(VCx1), 좌표(VCx2), 좌표(VCy1) 및 좌표(VCy2)의 표시 좌표의 데이터이다.
「토」의 표시 데이터(376c)는, 문자 「토」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이며, 데이터 구성은, 「사」의 표시 데이터(376b)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 「토」의 표시 좌표 데이터(386)는, 도 7(C)에 나타낸 좌표(VCx3), 좌표(VCx4), 좌표(VCy3) 및 좌표(VCy4)의 표시 좌표의 데이터이다.
또한, 본문 표시 좌표 데이터(376)에 나타내는 메일의 본문의 표시 좌표 내에는 「사」의 표시 좌표 데이터(380) 및 「토」의 표시 좌표 데이터(386) 등이 포함된다.
도 14로 되돌아가, 검색 테이블 데이터(340)는, 선택된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메모리 어드레스 및 각 서버의 IP 어드레스로 구성되는 테이블 데이터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을 참조하여, 검색 테이블에서는, 종별의 란에는 성명, 지명, 곡명 및 화상이 기억된다. 또한, 검색처의 란에는, 종별에 대응하는 검색처의 데이터명이 기억된다. 예를 들어, 성명이면, 주소록 데이터(342) 및 저명자 서버(130)가 기억된다. 지명이라면, 지도 서버(110)가 기억된다. 곡명이라면, 음악 데이터(402)(도 18(A)에서 후술) 및 음악 서버(120)가 기억된다. 화상이면 저장 화상 데이터(400)(도 18(A)에서 후술)가 기억된다.
그리고, 메모리 어드레스/IP 어드레스의 란에는, 검색처의 메모리 어드레스 또는 IP 어드레스가 기억된다. 즉, 성명에 대응하여, 주소록 데이터(342)의 메모리 어드레스로서 「0X4000000-0X4FFFFFF」와, 저명자 서버(130)의 IP 어드레스로서 「IP:210.146.180.***」이 기억된다. 또한, 지명에 대응하여 지도 서버의 IP 어드레스로서 「IP:210.146.181.***」이 기억된다. 또한, 곡명에 대응하여, 음악 데이터(402)의 메모리 어드레스 「0X6000000-0X6FFFFFF」와, 음악 서버(120)의 IP 어드레스로서 「IP:210.146.182.***」이 기억된다. 그리고, 화상에 대응하여, 저장 화상 데이터(400)의 메모리 어드레스로서 「0X5000000-0X5FFFFFF」이 기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IP 어드레스는 「IP:」로부터 시작되고, 메모리 어드레스는 「0X」로부터 시작된다.
도 14로 되돌아가, 주소록 데이터(342)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인물의 전화번호 등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7을 참조하여, 주소록에는, 성명, 전화번호, 메일 어드레스, 그룹, 주소, 생일, 성별, 혈액형 및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기억된다. 성명의 란에는 주소록 데이터(342)에 등록되는 인물의 성명이 기억된다. 전화번호의 란에는, 성명의 란에 대응하여 전화번호가 기억된다. 메일 어드레스의 란에는, 성명의 란에 대응하여 메일 어드레스가 기억된다. 그룹의 란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그룹이 기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룹으로서 「친구」, 「회사」 및 「기타」등이 설정된다. 이 그룹은, 주소록 데이터(342)를 LCD 모니터(32)에 표시시킬 때에 이용된다. 예를 들면, 「친구」의 그룹만을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그룹의 란에 「친구」가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만이 추출되어, LCD 모니터(32)에 표시된다.
주소의 란에는, 성명의 란에 대응하여 주소가 기억된다. 생일의 란에는, 성명의 란에 대응하여 생일이 기억된다. 성별의 란에는, 성명의 란에 대응하여 성별이 기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남자」 또는 「여자」로 표시된다. 혈액형의 란에는, 성명의 란에 대응하여 혈액형이 기억된다. URL의 란에는, 생일의 란에는, 성명의 란에 대응하여 공개되어 있는 홈페이지의 URL 등이 기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화번호, 메일 어드레스, 그룹, 주소, 생일, 성별, 혈액형 및 URL은, 성명의 관련 정보로서 취급된다. 또한, 어드레스 데이터에 「NULL」이 기억되어 있는 항목은, 선택 가능한 관련 정보로서 표시되지 않는다. 즉, 선택 가능한 관련 정보인지 여부의 판단은, 「NULL」에 의해 판단된다.
도 14로 되돌아가, 메일 데이터(344)는, 수신 메일의 데이터 및 송신 메일의 데이터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문 표시 데이터(376)를 구성하는 문자의 데이터는 메일 데이터(344)로부터 읽어내어진다.
폴더 데이터(346)는, 데이터 폴더 기능에 의해 기억된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고, 데이터 폴더 기능 키(52)가 터치 조작되었을 때에, 읽어내어진다. 도 18(A)를 참조하여, 폴더 데이터(346)는, 저장 화상 데이터(400) 및 음악 데이터(40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장 화상 데이터(400)는, 브라우저 기능 등에 의해 다운로드하여 저장된 화상이나, 메일 기능에 의해 송수신된 화상 데이터 등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운로드한 화상 데이터는, 지도 화상 데이터(400a) 및 그 지도 화상 데이터(400a)의 메타데이터로 구성되는 지도 화상 메타데이터(400b) 등이다. 지도 화상 메타데이터(400b)를 구성하는 메타데이터로는, 지도 화상의 타이틀, 지도 화상의 작성일, 그 대표적인 지명의 위치를 나타내는 GPS 정보 및 지도 화상 데이터 사이즈 등이다. 또한, 지도 화상의 타이틀은, 그 지도 화상에 의해 나타나는 대표적인 지명이다.
또한, 송수신된 화상 데이터는, 사진 화상 데이터(400c) 및 그 사진 화상 데이터(400c)의 메타데이터로 구성되는 사진 화상 메타 데이터(400d) 등이다. 사진 화상 메타 데이터(400d)를 구성하는 메타데이터로는, 사진 화상의 타이틀, 촬영일 및 지도 화상 데이터 사이즈 등이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각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는, 화상의 관련 정보로서 취급된다. 즉, 지도 화상 메타데이터(400b) 또는 사진 화상 메타데이터(400d)로부터, 화상의 관련 정보가 취득된다.
또한, 휴대 단말(10)에 카메라 기능을 설치하고, 그 카메라 기능에 의해 촬영된 사진 데이터에 의해 저장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음악 데이터(402)는, 브라우저 기능 등에 의해 다운로드하여 저장된 음악 데이터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운로드한 음악 데이터는, 제1 음악 데이터(402a) 및 제1 음악 데이터(402a)의 메타데이터로 구성되는 제1 음악 메타데이터(402b), 제2 음악 데이터(402c) 및 제2 음악 데이터(402c)의 메타데이터로 구성되는 제2 음악 메타데이터(402d) 등으로 구성된다. 제1 음악 데이터(402a) 및 제2 음악 데이터(402c)가 음악 플레이어 기능 등에 의해 재생 처리가 실시되면,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로부터 음악을 출력한다. 제1 음악 메타데이터(402b) 및 제2 음악 메타데이터(402d)는, 각각 제1 음악 데이터(402a) 및 제2 음악 데이터(402c)에 대응하고 있고, 구성하는 메타데이터로는, 가수명, 작사/작곡자, 곡명 및 가사 등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곡명의 관련 정보로서, 가수명, 작사/작곡자 및 가사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곡명의 관련 정보는, 제1 음악 메타 데이터(402b) 및 제2 음악 메타 데이터(402d)로부터 읽어내어진다.
즉, 사용자는, 지도 화상 메타데이터(400b), 사진 화상 메타데이터(400d), 제1 음악 메타데이터(402b) 및 제2 음악 메타데이터(402d)를 구성하는 메타데이터를 관련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음악 메타데이터(402b) 및 제2 음악 메타데이터(402d)를 구성하는 메타데이터로는, 음악 데이터의 데이터 사이즈, 비트 레이트, 앨범 타이틀 등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각 메타데이터는, 대응하는 데이터에 포함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14로 되돌아가, 일시 기억 데이터(348)는, 일시 기억된 문자열 및 그 문자열의 관련 정보 등의 데이터이다. 또한, 일시 기억 데이터(348)의 메모리 어드레스로는, 도 18(B)를 참조하여, 0X9000000-0X9000FFF, 0X9001000-0X9001FFF, 0X9002000-0X9002FFF, …등으로 표시된다. 이 메모리 어드레스는, 16진수로 표현되어 있고, FFF(16)는, 4095(10)이다. 즉, 000(16)~FFF(16)은, 0(10)~4095(10)이다. 또한, 「0X9000000-0X9000FFF」는 あ행 문자 입력 키에 대응하고, あ행 대응 어드레스 데이터(370c)로서 기억되고, 「0X9001000-0X9001FFF」는 か행 문자 입력 키에 대응하고, か행 대응 어드레스 데이터(372c)로서 기억된다. 즉, 1개의 문자 입력 키에는, 4096개의 메모리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다.
여기에서, 메모리 어드레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메모리 어드레스의 1어드레스에는, 1바이트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문자 입력 키마다 4096바이트의 관련 정보를 일시 기억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문자 입력 키에 20개의 관련 정보를 일시 기억할 수 있고, 1개의 관련 정보의 최대 데이터 사이즈는, 약 200바이트가 된다.
또한, 1바이트는 반각 1문자분에 상당하고, 2바이트는 전각 1문자분에 상당한다. 따라서, 관련 정보가 문자열이면, 1개의 관련 정보는 반각 200문자, 전각 100문자까지로 된다. 또한, 1개의 문자 입력 키에 할당되는 메모리 어드레스의 수 및 1개의 관련 정보의 최대 데이터 사이즈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어도 된다.
도 14로 되돌아가, 터치 플래그(350)는, 터치패널 입력장치(24)에 터치하고 있는지(접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플래그이다. 예를 들면, 터치 플래그(350)는, 1비트의 레지스터로 구성된다. 터치 플래그(350)가 성립(온)되면, 레지스터에는 데이터값 「1」이 설정되고, 터치 플래그(350)가 불성립(오프)되면, 레지스터에는 데이터값 「0」이 설정된다. 터치 간격 카운터(352)는, 터치되고 나서의 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한 카운터이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데이터 기억 영역(304)에는, 문자 변환을 행하기 위한 사전 데이터 등이 기억됨과 더불어, 휴대단말(10)의 동작에 필요한 다른 카운터나 플래그도 설치된다.
계속하여, 지도 서버(110), 음악 서버(120) 및 저명자 서버(130)의 각각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를 참조하여, 지도 서버(110)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도도후켄(都道府縣), 시?구, 쵸명, 번지, 호 및 GPS/메모리 어드레스가 기억된다. 또한, 지도 서버(110)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같은 행에 기억되는 도도후켄, 시?구, 쵸명, 번지, 호에 의해 주소를 표시한다.
도도후켄의 란에는 교토후(京都府) 등의 도도후켄명이 기억된다. 시?구의 란에는 도도후켄명에 대응하여 시?구가 기억된다. 예를 들면, 교토후 내이면 교토시 사쿄구, 교토시 나카교구 등이 기억된다. 쵸명의 란에는, 시?구의 란에 대응하여 쵸명이 기억된다. 예를 들면, 교토시 나카교구이면, △△쵸 및 □□쵸 등이 기억된다. 쵸메의 란에는, 쵸명의 란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512 등이 기억된다. 번지의 란에는, 쵸메의 란에 대응하여 번지(수)가 기억된다. 호의 란에는, 번지에 대응하여 호(수)가 기억된다. 단, 번지 및 호는 쵸명에 따라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번지 및 호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이 기억된다.
GPS/메모리 어드레스의 란에는, 도도후켄, 시?구, 쵸명, 번지, 호에 의해 표시된 주소에 대응하는 GPS 정보와 GPS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 어드레스를 기억한다. 예를 들면, 「교토후?교토시 나카교구?△△쵸?512」에 대응하는 GPS정보는 「35°00”37.XX”N 135°45’05.YY”E」이다. 「35°00’37.XX”N」은 「북위 35도 00도 37분 XX초」를 나타내고, 「135°45’05.YY”E」는 「동경 135도 45도 05분 YY초」를 나타낸다. 또한, N은 북위, E는 동경을 의미한다. 또한, 일본국내의 GPS 정보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S는 남위, W는 서경을 의미한다. 그리고, 메모리 어드레스는, 「0XD0000001」등이며, 이 메모리 어드레스는 지도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HDD(112)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지명은 도도후켄, 시?구 및 쵸명을 포함한다. 또한, 관련 정보는, 지명으로부터 검색된 주소와 그 주소에 대응하는 지도 화상이다.
또한 지도 서버(110)의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할 때는, 선택된 지명이 주지의 형태소 해석의 처리가 실시되고, 명사에 상당하는 단어가 추출된다. 그리고, 그 추출한 단어로부터 주소가 검색된다.
예를 들면, 지명이 「교토후 교토시 나카교구」이면, 「교토후」, 「교토시」 및 「나카교구」가 추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시와 구는 동일한 단어로서 취급하므로, 「교토시」 및 「나카교구」는 「교토시 나카교구」로 된다. 그리고, 추출된 단어는, 도도후켄의 란, 시?구의 란 및 쵸명의 란의 순번으로 검색되어, 주소가 좁혀진다. 즉, 도도후켄의 란에 있어서 「교토후」가 검색되면, 시?구의 란에 있어서는, 도도후켄에 「교토후」가 기억되는 범위로 좁혀진다. 또한, 시?구의 란에서 「교토시 나카교구」가 검색되어, 복수의 검색 결과가 얻어지는 경우에는, 최초로 찾은 쵸명에 대응하는 주소가 검색 결과로서 취급된다. 즉, 「교토후 교토시 나카교구」의 지명으로부터는, 「교토후 교토시 나카교구 △△쵸 521」의 주소가 얻어진다. 「교토후 교토시 나카교구 △△쵸 521」은 교토시 나카교구 관청의 주소를 나타내고 있고, 지명이 시?구만이면, 시청 또는 구청의 주소가 검색 결과로서 얻어진다. 또한, 지명이 도도후켄만이면 도도후켄청의 주소로 한다. 한편, 도도후켄청, 시청 또는 구청이 아니고, 가장 가까운 역의 주소여도 된다.
또한, 지명에 도도후켄이 포함되지 않고, 시?구나 쵸명만일 때에, 다른 도도후켄에서 같은 시?구 또는 쵸명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검색 결과로서 얻어진 시?구 또는 쵸명에 도도후켄명을 부가하여 선택가능하게 표시한다. 또한, 선택된 데이터가, 지명의 일부를 나타내는 문자열이여도, 그 지명의 일부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지명이 검색 결과로 되어도 된다.
이에 따라, 선택된 데이터가 다른 지역에 있는 지명을 나타내는 경우에, 사용자는 자신이 의도하는 지명으로 좁힐 수 있다. 또한, 성명이나 곡명도, 지명과 마찬가지로 후보가 표시된다.
또한, 관련 정보로서 지도 화상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지명으로부터 주소를 검색하고, 그 주소에 대응하는 GPS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화상이 관련 정보가 된다. 단, 관련 정보로서 일시 기억하는 경우에는, 지도 화상에서는 데이터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지도 서버(112)의 IP 어드레스 및 메모리 어드레스와 GPS 정보를 기억한다. 즉, 일시 기억하는 관련 정보가 IP 어드레스 및 메모리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문자열만으로 되기 때문에, RAM(28)의 데이터 용량에 대하여, 일시 기억 데이터(348)의 비율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관련 정보가 삽입될 때에, 지도 서버(112)의 IP 어드레스 및 메모리 어드레스와 GPS 정보로부터 지도 화상을 다운로드하여 삽입한다. 또한, 다운로드하는 지도 화상은, 축척이 3000분의 1이 되도록 한다. 또한, 이 지도 화상의 축척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도 20을 참조하여, 음악 서버(120)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곡명, 가수명, 작사/작곡자, 가사 및 메모리 어드레스가 기억된다. 곡명의 란에는 음악 서버(120)에 기억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의 곡명이 기억된다. 가수명의 란에는, 곡명에 대응하여 그 곡을 부르는 가수의 성명이 기억된다. 작사/작곡자의 란에는, 곡명에 대응하여 작사자와 작곡자의 성명이 기억된다. 가사의 란에는, 곡명에 대응하여 그 곡의 가사가 기억된다. 메모리 어드레스의 란에는, 곡명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HDD(122)의 메모리 어드레스가 기억된다. 또한, 음악 서버(120)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곡의 자켓 사진 화상 등이 기억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수명, 작사/작곡자 및 가사는, 곡명의 관련 정보로서 취급된다. 단, 가사를 관련 정보로서 일시 기억하는 경우에는, 가사의 문자열을 음악 서버(120)로부터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 데이터 버퍼(334)에 격납한다. 그리고, 가사의 문자열 전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부분을 선택시키고 나서, 일시 기억한다. 또한, 가사의 문자수가 전각 100문자를 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가사의 문자열은 전각 100문자마다 분할되고 나서, 복수의 관련 정보로서 일시 기억된다.
또한, 음악 데이터를 관련 정보로서 일시 기억하는 경우에는, 음악 데이터는 데이터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음악 서버(120)의 IP 어드레스 및 메모리 어드레스를 기억한다. 그리고, 관련 정보가 삽입될 때에, 음악 서버(120)의 IP 어드레스 및 메모리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삽입한다.
다음에, 도 21을 참조하여, 저명자 서버(130)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성명, 출신, 생일, 성별, 혈액형 및 URL이 기억된다. 성명의 란에는, 저명자의 성명이 기억된다. 출신의 란에는, 성명의 란에 대응하여 출신지가 기억된다. 또한, 생일의 란, 성별의 란, 혈액형 및 URL의 란에 대해서는, 주소록(도 17)과 동일하게 성명의 란에 대응하여, 각각의 항목이 기억된다.
또한, 주소록과 동일하게 하여, 출신, 생일, 성별, 혈액형 및 URL은 저명자의 성명의 관련 정보로서 취급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주소록에 의해 성명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 저명자 서버(130)로부터 관련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주소록에 있어서의 주소의 란은, 저명자 서버(130)에 있어서의 출신지에 상당하고, 주소가 관련 정보로서 선택될 때에, 저명자 서버(130)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는, 출신의 란으로부터 관련 정보가 취득된다.
이에 따라, 관련 정보가 RAM(28)이나, 지도 서버(110), 음악 서버(120) 및 저명자 서버(130) 등이 다양한 장소에 기억되어 있다고 해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성명의 관련 정보이면, RAM(28)에 기억된 주소록 데이터(342)로부터 취득할 수 있고, 지명의 관련 정보이면, 지도 서버(110)에 기억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취득할 수 있다.
CPU(20)는, 도 22에 도시하는 전체 처리, 도 23에 도시하는 수신 메일 처리, 도 24에 도시하는 선택 처리, 도 25?도 29에 도시하는 일시 기억 처리, 도 30에 도시하는 전송 메일 처리 및 도 31, 도 32에 도시하는 독출 처리 등을 포함하는 태스크를 병렬적으로 실행한다.
도 22는 전체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22를 참조하여, 단계 S1에서는, 전원 오프 조작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휴대단말(10)의 전원이 온인 상태에서, 통화 종료 키(22c)가 길게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에서 “YES”이면, 즉, 전원 오프 조작이 되면, 전체 처리를 종료하고, 휴대 단말(10)은, 전원 오프 상태가 된다. 한편, 단계 S1에서 “NO”이면, 즉 전원 오프 조작이 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3에서 메뉴 키(22b)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에서 “NO”이면, 즉 메뉴 키(22b)가 조작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1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3에서 “YES”이면, 즉 메뉴 키(22b)가 조작되어 있으면, 단계 S5에서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CPU(20)는, 도 3(B)에 나타내는 표시예를 LCD 모니터(32)에 표시한다.
계속하여, 단계 S7에서는, 임의의 기능 키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메뉴 화면에 표시된, 전화 기능 키(44), 주소록 기능 키(46), 메일 기능 키(48), 브라우저 기능 키(50), 데이터 폴더 기능 키(52) 및 툴 기능 키(54) 등이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7에서 “NO”이면, 즉 임의의 기능 키가 조작되지 않으면, 단계 S7의 판단을 반복한다. 한편, 단계 S7에서 “YES”이면, 즉 임의의 기능 키가 터치 조작되면, 단계 S9에서, 선택된 임의의 기능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메일 기능 키(48)가 터치 조작되면, 도 4(A)에 도시하는 메일 메뉴 화면이 LCD 모니터(32)에 표시되고, 메일 기능이 실행된다. 또한, 메일 메뉴 화면에서는, 수신 박스 키(72)가 터치 조작되면 수신 메일을 표시한다. 계속해서, 단계 S11에서는, 실행 중의 기능을 종료시키는 조작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통화 종료 키(22c)가 누름 조작되면, 실행 중의 기능은 종료한다. 단계 S11에서 “NO”이면, 즉 실행 중의 기능을 종료시키는 조작이 되지 않으면, 단계 S11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11에서 “YES”이면, 즉 실행 중의 기능을 종료시키는 조작이 되면 단계 S13에서 대기 화면을 표시한다. 즉, 도 3(A)에 도시하는 대기 화면을 LCD 모니터(32)에 표시한다. 그리고, 단계 S13의 처리가 종료하면, 단계 S1로 되돌아간다.
도 23은, 수신 메일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23을 참조하여, 단계 S21에서는, 선택된 수신 메일을 표시한다. 즉, 도시하지 않은 수신 메일을 선택하는 GUI에서 선택된 수신 메일이, 단계 S21의 처리로 표시된다. 단계 S23에서는,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즉, 터치 플래그(350)가 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3에서 “NO”이면, 즉 터치되지 않으면, 단계 S23의 판단을 반복한다. 한편, 단계 S23에서 “YES”이면, 즉 터치되어 있으면, 단계 S25에서 본문의 표시 좌표 내에서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즉, 시점 좌표가 수신 메일의 본문을 표시하고 있는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5에서 “YES”이면, 즉 수신 메일의 본문을 표시하고 있는 범위에서 터치되면, 단계 S27에서 선택 데이터의 표시 좌표 내에서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시점 좌표가 선택 문자열(즉, 선택 데이터)의 표시 좌표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7에서 “YES”이라면, 즉 선택된 문자열의 표시 좌표 내에서 터치되어 있으면, 단계 S31로 진행하고, 단계 S27에서 “NO”이면, 즉 선택된 문자열의 표시 좌표 내에서 터치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29에서 선택 처리(도 24 참조)를 실행한다. 또한, 선택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하여, 단계 S31에서 문자 입력 키의 표시 좌표 내에서 릴리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あ행 문자 입력 키 등의 표시 좌표 내에서 릴리즈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31에서 “NO”이면, 즉 임의의 문자 입력 키의 표시 좌표 내에서 릴리즈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23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31에서 “YES”이면, 즉 임의의 문자 입력 키의 표시 좌표 내에서 릴리즈되면, 단계 S33에서 일시 기억 처리(도 25 참조)를 실행한다. 또한, 일시 기억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하여, 단계 S35에서, 문자 입력 키의 표시를 변경한다. 예를 들면, 일시 기억 처리에 이용한, あ 문자 입력 키를 표시하는 색이,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변경된다. 또한, 단계 S33의 처리에서 일시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 문자 입력 키의 표시는 변경되지 않는다. 그리고, 단계 S35의 처리가 종료하면, 단계 S23으로 되돌아간다.
여기에서, 단계 S25에서 “NO”이면, 즉 수신 메일의 본문 표시 좌표 내에서 터치되지 않으면, 조작 키의 표시 좌표 내에서 터치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단계 S37에서 판단한다. 즉, 임의의 조작 키의 표시 좌표 내에서, 시점 좌표와 종점 좌표가 나타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7에서 “NO”이면, 즉 조작 키의 표시 좌표 내에서 터치 조작되지 않으면, 단계 S23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37에서 “YES”이면, 즉 조작 키의 표시 좌표 내에서 터치 조작되면, 단계 S39에서 종료 조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통화 종료 키(22c) 등이 누름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9에서 “YES”이면, 즉 종료 조작이 되면, 수신 메일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39에서 “NO”이면, 즉 종료 조작이 아니면, 단계 S41에서 터치 조작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고, 단계 S23으로 되돌아간다. 예를 들면, 메일 기능의 메뉴 키 등의 표시 좌표 내에서 터치 조작되면, 메일 기능의 메뉴 기능의 화면을 표시시킨다.
도 24는, 단계 S29(도 23 참조)에 나타내는 선택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도이다. 도 24를 참조하여, 단계 S51에서는, 터치된 위치를 시점 좌표로서 조작 데이터 버퍼(330)에 격납한다. 계속해서, 단계 S53에서는, 릴리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터치 플래그(350)가 오프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53에서 “NO”이면, 릴리즈되지 않으면, 단계 S53의 판단을 반복한다. 한편, 단계 S53에서 “YES”이면, 단계 S55에서 릴리즈된 위치를 종점 좌표로서 조작 데이터 버퍼(330)에 격납한다.
계속하여, 단계 S57에서는, 시점 좌표와 종점 좌표가 문자열의 표시 좌표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조작 데이터 버퍼(330)에 격납되는 시점 좌표와 종점 좌표가, 「사」표시 좌표 데이터(380)나 「토」표시 좌표 데이터(386) 등으로 나타내는 표시 좌표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57에서 “YES”이면, 즉 시점 좌표와 종점 좌표가 문자열의 표시 좌표내이면, 단계 S59에서, 문자열의 표시 좌표 및 문자열 데이터를 선택 범위 데이터 버퍼(332)에 격납한다. 즉, 조작 데이터 버퍼(330)에 격납되는 시점 좌표 및 종점 좌표의 사이에 포함되는 문자열의 표시 좌표와, 시점 좌표와 종점 좌표의 사이에 포함되는 문자열 데이터가 선택 범위 데이터 버퍼(332)에 격납된다.
계속하여, 단계 S61에서는, 시점 좌표와 종점 좌표의 사이에 포함되는 문자열의 표시 영역의 색을 변경한다. 즉, 선택된 문자열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서, 도 5(A)에 도시하는, 선택된 문자열 「사토」와 같이 나타낸다. 그리고, 단계 S61의 처리가 종료하면, 선택 처리를 종료하고, 수신 메일 처리(도 23 참조)로 되돌아간다.
여기에서, 단계 S57에서 “NO”이면, 즉 시점 좌표와 종점 좌표가 문자열의 표시 좌표 내가 아니면, 단계 S63에서 시점 좌표와 종점 좌표가 화상 데이터의 표시 좌표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시점 좌표와 종점 좌표가 지도 화상 데이터나 사진 화상 데이터 등의 표시 좌표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화상 표시 좌표 데이터로 나타내는 표시 좌표 내에, 조작 데이터 버퍼(330)에 격납되는 시점 좌표와 종점 좌표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63에서 “NO”이면, 즉 시점 좌표와 종점 좌표가 화상 데이터의 표시 좌표 내가 아니면, 선택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63에서 “YES”이면, 단계 S65에서 화상 데이터의 표시 화상 및 그 화상 데이터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선택 범위 데이터 버퍼에 격납한다. 즉, 조작 데이터 버퍼(330)에 격납되는 화상 데이터의 표시 좌표와, 화상 데이터의 메모리 어드레스가 선택 범위 데이터 버퍼(332)에 격납된다. 예를 들면, 시점 좌표 및 종점 좌표가 지도 화상 데이터(400a)의 표시 좌표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시점 좌표 및 종점 좌표와, 지도 화상 데이터(400a)의 메모리 어드레스가, 선택 범위 데이터 버퍼(332)에 격납된다. 즉, 사용자는, 화상 데이터도 선택 데이터로서 선택할 수 있다.
계속하여, 단계 S67에서는, 시점 좌표와 종점 좌표가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의 표시 영역의 색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의 색을 전체적으로 푸른색으로 한다. 그리고, 단계 S67의 처리가 종료하면, 선택 처리를 종료한다.
도 25는, 단계 S33(도 23 참조)에 나타내는 일시 기억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도이다. 도 25를 참조하여, 단계 S81에서는, 선택 데이터는 문자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선택 처리(도 24 참조)에서 선택된 데이터가 문자열인지 화상인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선택 범위 데이터 버퍼(332)에 문자열이 격납되어 있는지 메모리 어드레스가 격납되어 있는지에 따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격납된 문자열이 「0X」로부터 시작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81에서 “NO”이면, 즉 선택 데이터가 문자열 데이터가 아니라 화상 데이터이면, 단계 S155(도 29 참조)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81에서 “YES”이면, 선택 범위 데이터 버퍼(332)에 격납된 문자열을 일시 기억한다. 예를 들면, あ행 문자 입력 키가 일시 기억 조작에 이용되면, あ행 대응 어드레스 데이터(370c)에 의해 나타나는 메모리 어드레스, 즉 「0X9000000-0X9000FFF」로 나타나는 RAM(28)의 메모리 어드레스에 따라, 선택 데이터인 문자열을 일시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1개째의 일시 기억하는 데이터이므로, 0X9000000로부터 순서대로 문자열이 일시 기억된다.
계속하여, 단계 S85에서 문자열의 종별 일람을 표시한다. 즉, 도 5(C)에 나타내는 팝업(82)에 의해, 성명, 지명 및 곡명이 표시된다. 계속하여 단계 S87에서는, 성명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체크 박스(84a)에 대응하는 플래그가 온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87에서 “NO”이면, 즉 체크 박스(84a)가 체크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103(도 26참조)으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87에서 “YES”이면, 즉 체크 박스(84a)가 체크되어 있으면, 단계 S89에서 주소록으로부터 성명의 후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선택된 문자열이 「사토」이면, 검색 테이블(도16 참조)로부터 주소록 데이터(342)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그 취득된 메모리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주소록 데이터(342) 내의 성명의 란(도 17참조)에 있어서, 「사토」를 검색한다.
계속하여, 단계 S91에서 취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주소록 데이터(342) 내의 성명의 란에 있어서, 「사토」가 검색 결과로서 취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91에서 “YES”이면, 즉 취득되었으면 단계 S95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91에서 “NO”이면, 즉 취득못하였으면 단계 S93에서 저명자 서버(130)로부터 성명의 후보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검색 테이블로부터 저명자 서버(130)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그 취득된 IP 어드레스에 따라서 저명자 서버(130)와의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그리고, 저명자 서버(130)의 데이터 베이스(도 21참조)에 있어서, 성명의 란에서 선택된 문자열과 일치하는 항목을 검색한다. 또한, 단계 S89 또는 단계 S93에서 복수의 후보가 검색 결과로서 출력되면, 복수의 후보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GUI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계속하여, 단계 S95에서는, 취득 가능한 관련 정보의 일람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17을 참조하여, 주소록 데이터(342)에 있어서의 성명의 란에서 「사토」를 검색하면, 주소, 생일, 성별, 혈액형 및 URL의 란에는 「NULL」이 기억되어 있으므로, 전화번호 및 메일 어드레스 취득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전화번호, 메일 주소, 주소, 생일, 성별, 혈액형 및 URL은, 관련 정보로서 표시되지 않는다.
계속하여, 도 25로 되돌아가, 단계 S97에서 확정 키(82a)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하는 팝업(82) 내의 확정 키(82a)가 터치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97에서 “NO”이면, 즉 확정 키(82a)가 터치 조작되지 않으면, 단계 S97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한편, 단계 S97에서 “YES”이면, 즉 확정 키(82a)가 터치 조작되면, 단계 S99에서 선택된 관련 정보를 일시 기억한다.
예를 들면, 도 6(A)를 참조하여, 체크박스(84e)에 체크되어 확정 키(82a)가 터치 조작되면, 체크박스(84e)에 대응하여 어드레스 즉, 주소록 데이터(342)에 있어서, 「사토」에 대응하는 「메일 어드레스」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메일 어드레스가 관련 정보로서 일시 기억된다. 또한, あ행 문자 입력 키가 일시 기억 조작에 이용되면, あ행 대응 어드레스 데이터(370c)에 의해 나타나는 메모리 어드레스, 즉 「0X9000000-0X9000FFF」로 나타나는 RAM(28)의 메모리 어드레스에 따라, 선택 데이터인 문자열을 일시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2개째 이후의 일시 기억하는 데이터이므로, 0X90000C8, 즉 201바이트째부터 순서대로 메일 어드레스가 일시 기억된다. 또한, 복수의 관련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0X90000C8부터 200바이트마다 메모리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복수의 관련 정보가 일시 기억된다.
도 25로 되돌아가, 단계 S101에서는, 관련 정보 일람의 표시를 소거한다. 즉 팝업(82)의 표시를 소거한다. 그리고, 단계 S101의 처리가 종료하면, 일시 기억 처리를 종료하고, 수신 메일 처리(도 23참조)로 되돌아간다.
도 26을 참조하여, 단계 S103에서는, 지명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도 5(C)에 도시하는 팝업(82) 내의 체크박스(84b)가 체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03에서 “NO”이면, 즉 지명이 선택되지 않으면 단계 S127(도27)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03에서 “YES”이면, 즉 지명이 선택되면 단계 S105에서 지명 서버(110)로부터 지명의 후보를 취득한다. 즉, 검색 테이블(도 16참조)로부터 지도 서버(110)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그 취득한 IP 어드레스에 따라, 지도 서버(110)와의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그리고, 선택된 문자열이 「교토시 나카교구」이면, 지명 서버(110)의 데이터 베이스(도 20 참조)에 있어서, 도도후켄의 란, 시?구의 란 및 쵸명의 란의 순번으로, 「교토시 나카교구」가 검색된다.
계속하여, 단계 S107에서는, 후보가 복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지명 서버(110)의 데이터 베이스에 있어서의 검색 결과가 복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07에서 “NO”이면, 즉 검색 결과가 1개이면, 단계 S113으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07에서 “YES”이면, 즉 검색 결과가 복수이면, 단계 S109에서 후보 일람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지명이 「후추시」이면, 검색 결과로서, 「도쿄도 후추시」와 「히로시마켄 후추시」가 검색 결과로서 얻어진다. 그리고, 단계 S109에서는, 「도쿄도 후추시」와 「히로시마켄 후추시」가 팝업(82)에 의해 선택가능하게 표시된다.
계속하여, 단계 S111에서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복수의 검색 결과에 있어서의 후보 일람으로부터 임의의 1개가 선택되고, 확정 키(82a) 등이 터치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11에서 “NO”이면, 즉 후보 일람으로부터 임의의 1개가 선택되지 않으면, 단계 S111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한편, 단계 S111에서 “YES”이면, 즉 후보 일람으로부터 임의의 1개가 선택되면, 단계 S113에서 취득 가능한 관련 정보의 일람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교토시 나카교구」의 관련 정보인 주소 및 지도용 정보가 선택가능하도록, 팝업(82)에 의해 표시된다.
계속하여, 단계 S115에서 확정 키(82a)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팝업(82) 내의 확정 키(82a)가 터치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15에서 “NO”이면, 즉 확정 키(82a)가 조작되지 않으면, 단계 S115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한편, 단계 S115에서 “YES”이면, 즉 확정 키(82a)가 조작되면, 단계 S117에서 지도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선택된 관련 정보가 지도 화상 데이터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17에서 “NO”이면, 즉 선택된 관련 정보가 지도 화상 데이터만이 아니면, 단계 S121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17에서 “YES”이면, 즉 선택된 관련 정보가 지도 화상 데이터만이면, 단계 S119에서 IP 어드레스 및 메모리 어드레스와 GPS 정보를 일시 기억하고, 단계 S101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교토시 나카교구」의 지명에 있어서, 지도가 관련 정보로서 선택되면, GPS 정보 「35°00’37.XX”N 135°45’05.YY”E」 및 HDD(112)의 메모리 어드레스 「0XD0000001」와, 지도 서버(110)의 IP 어드레스가 일시 기억된다. 또한, あ행 문자 입력 키가 일시 기억 조작에 이용되면, あ행 대응 어드레스 데이터(370c)에 의해 나타나는 메모리 어드레스, 즉 「0X9000000-0X9000FFF」로 나타나는 RAM(28)의 메모리 어드레스에 따라, 선택 데이터인 문자열을 일시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2개째 이후의 일시 기억하는 데이터이므로, 0X90000C8, 즉 201바이트째부터 순서대로 IP 어드레스, 메모리 어드레스 및 GPS 정보로 일시 기억한다. 또한, 일시 기억된 IP 어드레스, 메모리 어드레스 및 GPS 정보의 문자열은, 문자열 중의 「,」 등에 의해 구별된다.
단계 S121에서는, 주소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선택된 관련 정보가 주소의 문자열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21에서 “YES”이면, 즉 선택된 관련 정보가 주소의 문자열만이면, 단계 S123에서 주소의 문자열을 일시 기억하고, 단계 S101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교토시 나카교구」의 지명에서는, 「교토후 교토시 나카교구 △△쵸 521」의 주소가 관련 정보로서 얻어진다. 그리고, 단계 S119의 처리와 동일하게 하여, 지정된 일시 기억 데이터(348)의 메모리 어드레스에 일시 기억된다.
여기에서, 단계 S121에서 “NO”이면, 즉 선택된 관련 정보가 지도 화상 데이터와 주소의 문자열이면, 주소의 문자열과 IP 어드레스 및 메모리 어드레스와 GPS 정보를 일시 기억하고, 단계 S101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단계 S119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GPS 정보 「35°00’37.XX”N 135°45’05.YY”E」 및 메모리 어드레스 「0XD0000001」와, 지도 서버의 IP 어드레스는, 2개째의 일시 기억하는 데이터이므로, 0X90000C8, 즉 201바이트째부터 순서대로 IP 어드레스, 메모리 어드레스 및 GPS 정보로 일시 기억된다. 그리고, 주소의 문자열은, 3개째의 일시 기억하는 데이터이므로, 0X9000190, 즉 401바이트째부터 일시 기억된다.
도 27을 참조하여, 단계 S127에서는, 곡명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도 5(C)에 도시하는 팝업(82)으로 곡명에 대응하는 체크박스(84c)에 체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27에서 “NO”이면, 즉 도 5(C)에 도시하는 팝업(82) 내의 체크박스(84c)가 체크되지 않으면, 단계 S87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127에서 “YES”이면, 즉 체크박스(84c)에 체크되면, 단계 S129에서 음악 서버(120)로부터 곡명의 후보를 취득한다. 즉, 검색 테이블(도 16참조)로부터 음악 서버(120)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그리고, 도 34를 참조하여, 선택된 문자열이 「00」이면 음악 서버(120)의 데이터 베이스(도20 참조)에 있어서의 곡명의 란에서 「00」이 검색된다.
계속하여, 단계 S131에서는, 취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음악 서버(120)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곡명의 후보를 취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31에서 “YES”이면, 즉 곡명의 후보를 취득하면 단계 S135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31에서 “NO”이면, 즉 곡명의 후보를 취득하지 못하면 단계 S133에서 음악 파일로부터 곡명의 후보를 취득한다. 즉, 음악 데이터(402)를 구성하는 음악 데이터로부터 곡명의 후보를 취득한다.
계속하여, 단계 S135에서는, 후보가 복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다른 가수가 동일한 곡을 부르는 경우도 있으므로, 곡명만으로는 1개의 후보로 좁힐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단계 S135에서 “NO”이면, 즉 후보가 1개만이면, 단계 S141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35에서 “YES”이면, 즉 복수의 후보가 있으면, 단계 S137에서 후보 일람을 표시하고, 단계 S139에서 그 후보 일람으로부터, 1개의 후보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단계 S139에서 “NO”이면, 1개의 후보가 선택되지 않으면, 단계 S139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한편, 단계 S139에서 “YES”이면, 즉 1개의 후보가 선택되면, 단계 S141에서 취득가능한 관련 정보의 일람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00」의 곡명이 음악 서버(120)의 데이터 베이스에 있어서의 곡명의 란에서 검색되면, 도 6(A)에 나타난 팝업(82)과 같은 GUI에서 가수명, 작사/작곡자 및 가사가 관련 정보로서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된다. 또한, 가사가 없는 클래식 등의 곡이면, 가사는 취득가능한 관련 정보로서 표시되지 않는다.
계속하여, 단계 S143에서는, 확정 키(82a)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난 팝업(82) 내의 확정 키(82a)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43에서 “NO”이면, 즉 확정 키(82a)가 조작되지 않으면, 단계 S143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한편, 단계 S143에서 “YES”이면, 즉 확정 키(82a)가 조작되면, 단계 S145로 진행한다.
도 28을 참조하여, 단계 S145에서는, 곡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관련 정보로서 곡, 즉 음악 데이터만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45에서 “NO”이면, 즉 곡만이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149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45에서 “YES”이면, 즉 곡만이 선택되면, 단계 S147에서 IP 어드레스 및 메모리 어드레스를 일시 기억하고, 단계 S101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도 20을 참조하여, 「00」의 관련 정보로서 곡이 선택되면, 음악 서버(120)에 있어서의 HDD(122)의 메모리 어드레스 「0XA0000001」와, 음악 서버(120)의 IP 어드레스가 일시 기억된다. 또한, IP 어드레스 및 메모리 어드레스를 일시 기억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단계 S119(도26 참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149에서는, 문자열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곡명의 관련 정보로서, 가수명, 작사/작곡자 또는 가사 중 어떤것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49에서 “YES”이면, 즉 가수명, 작사/작곡자 또는 가사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단계 S151에서 관련 정보의 문자열을 일시 기억하고, 단계 S101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음악 서버(120)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곡명 「00」에 대응하여, 「고다 AA」, 「나카이 BB/나카이 BB」 또는 「xxx………」중 어느 것이, 지정된 일시 기억 데이터(348)의 메모리 어드레스에 따라서 기억된다. 또한, 복수의 관련 정보를 일시 기억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단계 S125와 동일한 처리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149에서 “NO”이면, 즉 가수명, 작사/작곡자 또는 가사 중 어느 것이 선택되지 않으면, 가수명, 작사/작곡자 또는 가사 중 어느 하나와 곡이 선택된 것으로 하여, 단계 S15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53에서는, 관련 정보의 문자열과 IP 어드레스 및 메모리 어드레스를 일시 기억하고, 단계 S101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관련 정보로서 곡과 가수명이 선택되어 있으면, 「00」의 음악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 어드레스 「0XA0000001」와, 「고다 AA」가, 지정된 일시 기억 데이터(348)의 메모리 어드레스에 따라서 일시 기억된다.
도 29를 참조하여, 단계 S155에서는, 선택 범위 데이터 버퍼에 격납된 메모리 어드레스를 일시 기억한다. 즉, 선택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이므로, 화상 데이터의 메모리 어드레스가 일시 기억된다. 또한, 일시 기억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단계 S83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하여, 단계 S157에서는, 종별 일람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지도 화상 데이터(400a) 등인지, 사진 화상 데이터(400c) 등인지를 선택시키는 GUI를 표시한다. 계속하여, 단계 S159에서는, 지도 화상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시킨다. 즉, 표시한 GUI 등에서, 지도 화상 데이터(400a)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59에서 “NO”이면, 즉 지도 화상 데이터(400a)가 선택되지 않으면, 단계 S165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59에서 “YES”이면, 즉 지도 화상 데이터(400a)가 선택되면, 단계 S161에서 지도 화상 메타데이터(400b)를 읽어들인다. 즉, 지도 화상 메타데이터(400b)로부터 지도 화상 데이터(400a)의 타이틀, 즉 지명을 읽어낸다. 그리고, 단계 S163에서는, 지도 서버(110)로부터 지명의 후보를 취득하고, 단계 107로 진행한다. 즉, 지도 화상 데이터(400a)인 경우에, 지도 화상 메타데이터(400b)로부터 독출한 타이틀, 즉 지명을 이용하여 지도 서버(110)의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한다. 한편, 검색 처리에 대해서는 단계 105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165에서는, 사진 화상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표시한 GUI 등으로, 사진 화상 데이터(400c)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65에서 “NO”이면, 즉 사진 화상 데이터(400c)가 선택되지 않으면, 단계 S159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165에서 “YES”이면, 즉 사진 화상 데이터(400c)가 선택되면, 단계 S167에서 사진 화상 메타데이터(400d)를 읽어들이고, 단계 S169에서 취득가능한 관련 정보의 일람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35(A)를 참조하여, 사진 화상(Pic)이 사진 화상 데이터(400c)이면, 사진 화상 메타데이터(400d)로부터, 사진 화상의 타이틀 및 촬영일을 관련 정보로서 취득하고, 타이틀 및 촬영일이 선택가능하도록 팝업(82)을 표시한다.
계속하여, 단계 S171에서 확정 키(82a)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도 35(A)에 도시하는 확정 키(82a)가 터치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71에서 “NO”이면, 즉 확정 키(82a)가 터치 조작되지 않으면, 단계 S171의 처리를 반복 실행한다. 한편, 단계 S171에서 “YES”이면, 즉 확정 키(82a) 등이 터치 조작되면, 단계 S173에서 선택된 관련 정보를 일시 기억하고, 단계 S101로 진행한다. 즉, 사진 화상 데이터(400c)의 타이틀 또는 촬영일을 관련 정보로 하여, 지정된 일시 기억 데이터(348)의 메모리 어드레스에 따라서 일시 기억한다.
도 30은, 전송 메일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30을 참조하여, 수신 메일 처리 등으로 전송 키가 터치 조작되면, CPU(20)는, 전송 메일 처리를 실행한다. CPU(20)는, 단계 S191에서, 전송원의 수신 메일을 인용한다. 즉, 메일 데이터를 구성하는 전송원의 수신 메일로부터 본문을 인용한다. 구체적으로는, 건명에는 「Fw:」의 문자열이, 수신 메일의 건명의 처음에 삽입되고, 본문에는 수신 메일의 본문이 인용문으로서 삽입되는 전송 메일이 작성된다.
단계 S193에서는,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73에서 “NO”이면, 단계 S193의 판단을 반복한다. 한편, 단계 S193에서 “YES”이면, 단계 S195에서 문자 입력 키의 표시 좌표 내에서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あ행 문자 입력 키 등의 표시 좌표 내에서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95에서 “NO”이면, 즉 문자 입력 키의 표시 좌표 내에서 터치되지 않으면, 단계 S203으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95에서 “YES”이면, 즉 문자 입력 키의 표시 좌표 내에서 터치되면, 단계 S197에서 1초 이내에 릴리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터치 플래그(350)가 온이 되면, 터치 간격 카운터(352)가 카운트되는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단계 S197에서는, 그 터치 간격 카운터(352)의 카운트값이 1초를 나타내는 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97에서 “NO”이면, 즉 터치하고나서 1초 경과하하면, 단계 S199에서 독출 처리(도31 참조)를 실행하고, 단계 S193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독출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단계 S197에서 “YES”이면, 즉 1초 이내에 릴리즈되면, 단계 S201에서 문자 입력 처리를 실행하고, 단계 S193으로 되돌아간다. 예를 들면, あ행 문자 입력 키에 터치되어, 1초 이내에 릴리즈되면, あ행의 문자를 입력하는 동작이 실행된다.
이하, 단계 S203?S207의 처리는, 단계 S37?S41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203에서는, 조작 키의 표시 좌표 내에서 터치 조작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03에서 “NO”이면, 단계 S193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203에서 “YES”이면, 단계 S205에서 종료 조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05에서 “YES”이면, 전송 메일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205에서 “NO”이면, 단계 S207에서 터치 조작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고, 단계 S193으로 되돌아간다.
도 31은, 단계 S199(도30 참조)에 나타내는 독출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도이다. 도 31을 참조하여, 단계 S221에서는 터치된 위치를 시점 좌표로 하여 조작 데이터 버퍼(330)에 격납한다. 계속해서, 단계 S223에서는 일시 기억한 관련 정보의 일부를 읽어낸다. 예를 들면, あ행 문자 입력 키의 표시 좌표 내에 터치되면, あ행 문자 입력 키에 대응하는 메모리 어드레스의 기억 영역에 일시 기억된 문자열과 그 문자열에 있어서의 1개의 관련 정보가 독출되고, 그 일시 기억된 문자열과 그 문자열에 있어서의 1개의 관련 정보가 조작 데이터 버퍼(330)에 격납된다. 즉, 「사토」의 문자열 및 「사토」의 관련 정보인 「**xx@ecweb. ne. jp」등이 일시 기억되어 있으면, 조작 데이터 버퍼(330)에, 「사토」와 「**xx@ecweb. ne. jp」가 격납된다. 계속하여, 단계 S225에서는, 터치 위치가 기능 표시 범위(56)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현재의 터치 위치가 기능 표시 범위(56)의 표시 좌표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25에서 “NO”이면, 즉 현재의 터치 위치가 기능 표시 범위(56)의 표시 좌표 내가 아니면, 단계 S225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한편, 단계 S225에서 “YES”이면, 즉 현재의 터치 위치가 기능 표시 범위(56)의 표시 좌표 내이면, 단계 S227에서 터치 위치에 일시 기억한 데이터의 일부를 표시한다. 즉, 도 9(B)에 도시하는 간이 팝업(88)과 같이, 「사토」와 「**xx@ecweb. ne. jp」의 일부가 간이적으로 표시된다. 또한, 관련 정보가 메모리 어드레스인 경우에는, 관련 정보가 메모리 어드레스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계속하여, 단계 S229에서 릴리즈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터치 플래그(350)가 오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29에서 “NO”이면, 즉 터치 플래그(350)가 온이면 단계 S227로 되돌아간다. 즉, 현재의 터치 위치를 추종하도록 간이 팝업(88)의 표시 위치가 이동하게 된다. 또한, 단계 S229에서 “YES”이면, 즉 터치 플래그가 오프이면, 단계 S231에서 릴리즈된 위치를 종점 좌표로 하여 조작 데이터 버퍼(330)에 격납한다. 계속해서, 단계 S233에서는, 일시 기억된 데이터의 전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あ행 문자 입력 키의 표시 좌표 내에 터치되어 있으면, あ행 문자 입력 키에 대응하는 메모리 어드레스의 기억 영역에 일시 기억된 문자열과 그 문자열에 있어서의 관련 정보가 독출되어, LCD 모니터(32)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A)에 도시하는 팝업(82)과 같이 , 「사토」와 「**xx@ecweb. ne. jp」가 표시된다.
계속하여, 도 32를 참조하여, 단계 235에서는, 확정 키(82a)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도 10(A)에 도시하는 확정 키(82a)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35에서 “NO”이면, 즉 확정 키(82a)가 조작되지 않으면, 단계 S237에서 캔슬 조작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팝업(82)의 표시 좌표 외에 터치되거나, 통화 종료 키(23c)가 누름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37에서 “NO”이면, 즉 캔슬 조작이 되지 않으면 단계 S235로 되돌아가고, 한편, “YES”이면, 즉 캔슬 조작이 되면 단계 S245로 진행한다.
또한, 단계 S235에서 “YES”이면, 즉 확정 키(82a)가 조작되면, 단계 S239에서 어드레스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일시 기억 데이터(348)에 기억되는 관련 정보에, IP 어드레스 및 메모리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あ행 문자 입력 키가 터치되어 있으면, あ행 문자 입력 키에 대응하는 메모리 어드레스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관련 정보, 즉 「사토」와 「**xx@ecweb. ne. jp」에, 「IP:」 또는 「0X」부터 시작되는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39에서 “YES”이면, 즉 IP 어드레스 또는 메모리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으면, 단계 S247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239에서 “NO”이면, 즉 I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241에서 일시 기억 데이터(348)로부터 문자열을 취득한다.
계속하여, 단계 S243에서는,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삽입한다. 예를 들면, 도 10(A)에 도시하는 팝업(82)에서 체크박스(84j)에 체크가 되어, 확정 키(82a)가 터치 조작되면,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xx@ecweb. ne. jp」의 문자열이, 종점 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된다. 계속해서, 단계 S245에서 관련 정보의 표시를 소거하고, 독출 처리를 종료하여, 전송 메일 처리로 되돌아간다. 즉, 팝업(82)의 표시를 소거한다.
단계 S247에서는, IP 어드레스 및 메모리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도 33(A)를 참조하여, 종별을 지명으로 된 「교토시 나카교구」의 문자열이 일시 기억되고, 관련 정보로서, 지도 화상이 선택되는 경우에, 「IP:210.146.181.***」,「0XD0000001」 및 「35°00’37.XX”N 135°45’05.YY”E」가 관련 정보로서 일시 기억된다. 그리고, 부가 조작에 있어서의 종점 좌표가 T1으로 표시되는 좌표로 나타나면, IP 어드레스 「IP:210.146.181.***」에 의거하여, 지도 서버(110)와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메모리 어드레스 「0XD0000001」에 격납되는 GPS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에 있어서, 「35°00’37.XX”N 135°45’05.YY”E」가 중심 위치가 되는 지도 화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계속해서, 단계 S249에서는, 취득한 데이터를 삽입하고, 단계 S245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도 33(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다운로드된 지도 화상(Map)을 T1으로 표시하는 좌표에 삽입한다.
도 34(A), (B)는, 저명자 서버(130)를 이용하여, 관련 정보를 삽입하는 조작을 설명하는 도해도이다. 도 34(A)를 참조하여, 종별이 성명으로 된 「나카이 BB」의 문자열이 일시 기억되고, 관련 정보로서 URL이 선택되는 경우에, 주소록 데이터(342)에 「나카이 BB」의 어드레스 데이터가 없으면, 저명자 서버(130)의 데이터 베이스(도 21참조)에 있어서의 성명의 란에서 「나카이 BB」가 검색된다. 그리고, 저명자 서버(130)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http://www. BB. nakai. **. jp/index」의 문자열을 취득하여, 일시 기억된다. 그리고, 부가 조작에 있어서의 종점 좌표가 T2로 표시되면, 도 34(B)를 참조하여, 「http://www. BB. nakai. **. jp/index」가 부가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35(A)?(C)는, 사진 화상을 일시 기억하고, 메일에 삽입하는 조작을 설명하는 도해도이다. 도 35(A)를 참조하여, 폴더 기능에 의해, 사진 화상(Pic)이 표시되고, 그 사진 화상(Pic)에 대하여 일시 기억 조작이 되면 팝업(82)이 표시된다. 여기서는, 사진 화상이므로, 종별을 확인하는 GUI는 생략되고, 관련 정보를 선택하는 GUI가 표시된다. 그리고, 관련 정보로서 타이틀과 날짜가 선택되면, 사진 화상(Pic)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로부터 타이틀과 사진 화상(Pic)을 촬영한 촬영일이 일시 기억된다. 또한, 화상 데이터이므로, 사진 화상(Pic)의 화상 데이터가 아니라, 사진 화상(Pic)의 화상 데이터의 메모리 어드레스가 일시 기억된다.
그리고, 도 35(B)를 참조하여, 신규로 작성하는 메일(신규 메일)에 있어서, 부가 조작으로 종점 좌표가 T3으로 표시되면, 도 35(C)를 참조하여, 사진 화상(Pic)의 타이틀, 촬영한 촬영일을 삽입하고, 일시 기억된 사진 화상(Pic)의 화상 데이터의 메모리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사진 화상이 삽입된다.
도 36은, 음악 플레이어 기능을 실행 중에, 음악 데이터가 일시 기억될 때의 처리를 설명하는 도해도이다. 도 36을 참조하여, 음악 플레이어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에, 곡명 「××」의 문자열 표시를 선택하고, 일시 기억의 조작이 행해지면 종별을 확인하는 GUI는 생략되고,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GUI가 표시된다. 이 때, 곡명의 문자열이 우선 일시 기억되고, 음악 서버(120)로부터가 아니라, 곡명의 문자열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로부터 관련 정보가 취득된다. 즉, 「××」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가 제1 음악 데이터(402a)이면, 제1 음악 메타데이터(402b)로부터 관련 정보가 취득된다. 또한, 음악 데이터가 관련 정보로서 선택되는 경우에는, 제1 음악 데이터(402a)의 메모리 어드레스가 일시 기억된다.
도 37(A), (B)는, 일시 기억시키기 위한 전용 키를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이다. 또한, 전용 키를 이용한 일시 기억소 조작 및 삽입의 조작은 문자 입력 키를 이용했을 때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7(A)을 참조하여, 수신 메일의 내용을 LCD 모니터(32)에 나타내는 표시예이며, 기능 표시 범위(56)에는, 작성 키(200) 및 삭제 키(202)가 표시된다. 작성 키(200)가 표시 좌표내에서 터치 조작되면, 도 37(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일시 기억 키(204)가, 새롭게 표시된다. 삭제 키(202)는, 작성한 일시 기억 키(204)를 삭제하기 위한 키이다. 또한, 일시 기억 키(204)는, RAM(28)의 메모리 어드레스가 대응된다. 그리고, 일시 기억 키(204)는, 문자 입력 키와 마찬가지로, 선택된 문자열의 표시 좌표로부터 일시 기억 키(204)의 표시 좌표에 터치앤드슬라이드 조작되면, 대응된 메모리 어드레스가 나타내는 기억 영역에 선택된 문자열을 일시 기억시킨다.
또한, 일시 기억 키(174)의 표시는 1개만이지만, 작성 키(174)가 다시 터치 조작되면, 2개 이상 몇 개라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일시 기억 키(174)를 작성하는 경우에, 각각의 일시 기억 키(174)의 위치는 임의로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면, 일시 기억 키(174)를 3개 표시시킨 경우에, 우측단에 설치된 일시 기억 키(174)는, 터치앤드슬라이드 조작 등에 의해 좌측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휴대 단말(10)은, 수신 메일의 본문 및 문자 입력 키 군을 기능 표시 범위(56) 및 키 입력 범위(58)에 각각 표시하는 LCD 모니터(32)와, 그 LCD 모니터(32)의 상면에 설치되는 터치패널 입력장치(24)와, 그 터치패널 입력장치(24)로부터 시점 좌표 및 종점 좌표의 적어도 한쪽을 검출하는 CPU(20)를 가진다. 또한, 이 휴대 단말(10)은, 터치패널 입력장치(24)에 대한 터치 조작에 의해, 수신 메일의 본문에 있어서의 문자열이 선택된다. 문자열이 선택된 상태에서, 문자열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あ행 문자 입력 키의 표시 영역에 터치앤드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질 때에, 선택된 문자열의 관련 정보가 팝업(82)에 의해 표시된다. 그리고, 팝업(82)에 표시되는 관련 정보(제1 관련 정보)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관련 정보가, あ행 대응 어드레스 데이터(370c)가 나타내는 메모리 어드레스에 따라서, 일시 기억된다.
あ행 문자 입력 키를 이용하여 일시 기억 조작이 된 후에, 전송 메일이 표시된 상태에서, あ행 문자 입력 키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전송 메일에 있어서의 본문 표시 영역에 터치앤드슬라이드 조작이 될 때에, 일시 기억한 관련 정보(제2 관련 정보)를 팝업(82) 내에 표시한다. 그리고, 일시 기억한 관련 정보가 선택되면, 릴리즈한 위치에 의거하여 관련 정보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터치패널 입력장치(24)의 조작에 의해 선택 데이터를 결정하고, 그 선택 데이터의 관련 정보가 일시 기억된다. 그리고, 일시 기억된 관련 정보는, 전송 메일 등의 본문에 있어서, 임의의 위치에 삽입된다. 즉, 사용자는, 터치패널 입력장치(24)를 이용하여, 선택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일시 기억시키고, 일시 기억한 관련 정보를 간단히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수신 메일에서 선택된 문자열 등에 대한 관련 정보를 일시 기억했는데, 신규 메일, 회신 메일 및 송신 완료 메일 등의 본문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일시 기억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일시 기억한 관련 정보는, 전송 메일만에 한정되지 않고, 신규 메일 및 회신 메일의 본문에 삽입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메일 기능만에 한정되지 않고, 스케쥴 기능, 신규 주소록 등록 기능 등의 다른 기능에도, 관련 정보를 일시 기억하고, 일시 기억한 관련 정보를 삽입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을 설치한 표시 장치에 의해, 시점 좌표 또는 종점 좌표를 검출했는데, 터치 패널 기능을 구비하는 「광 센서 내장 시스템 액정」등에 의해, 시점 좌표 또는 종점 좌표를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휴대 단말(10)의 통신 방식에는, CDMA 방식, W-CDMA 방식, TDMA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PHS 방식 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휴대 단말(10)만에 한정되지 않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 정보 단말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이 상세하게 설명되어 도시되었는데, 이는 단순한 도해 및 일예로서 이용한 것이며, 한정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 아닌 것은 명확하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는 첨부된 클레임의 문언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10 : 휴대단말 20 : CPU
24 : 터치패널 입력장치 32 : LCD 모니터
28 : RAM 100 : 네트워크
110 : 지도 서버 120 : 음악 서버
130 : 저명자 서버

Claims (17)

  1. 터치 패널을 가지고, 임의로 선택가능한 제1 데이터를 제1 표시 범위, 및 도안을 제2 표시 범위에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상기 터치 패널의 터치 개시 위치 및 터치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위치 검출 장치를 가지는 휴대 단말로서,
    상기 터치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제1 터치 개시 위치 및 제1 터치 종료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제1 표시 범위에 제2 터치 개시 위치가 포함되고, 또한 상기 제2 표시 범위에 제2 터치 종료 위치가 포함될 때에, 상기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
    상기 제1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제1 관련 정보가 상기 터치 패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제1 관련 정보를 상기 도안에 대응시켜서 기억시키는 기억부,
    상기 기억부에 의해 제1 관련 정보가 기억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표시 범위에 제3 터치 개시 위치가 포함되고, 또한 상기 제1 표시 범위에 제3 터치 종료 위치가 포함될 때에, 상기 기억부에 의해 기억된 제1 관련 정보를 제2 관련 정보로서 표시하는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제2 관련 정보가 상기 터치 패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제2 관련 정보를 제1 표시 범위에 표시되는 제2 데이터에 부가하는 부가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제1 데이터의 표시 영역에 제2 터치 개시 위치가 포함되고, 또한 상기 제2 표시 범위에 제2 터치 종료 위치가 포함될 때에, 상기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제2 표시 범위에 제3 터치 개시 위치가 포함되고, 또한 제3 터치 종료 위치가 상기 제2 데이터의 표시 영역에 포함될 때에, 상기 기억부에 의해 기억된 제1 관련 정보를 제2 관련 정보로서 표시하는, 휴대 단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안이 복수 있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제1 표시 범위에 제2 터치 개시 위치가 포함되고, 또한 1개의 도안의 표시 영역에 제2 터치 종료 위치가 포함될 때에, 상기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기억부는, 선택된 제1 관련 정보를 상기 1개의 도안에 대응시켜서 기억시키는, 휴대 단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제3 터치 개시 위치가 상기 기억부에 의해 기억된 제1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1개의 도안의 표시 영역에 포함되고, 또한 상기 제1 표시 범위에 제3 터치 종료 위치가 포함될 때에, 상기 1개의 도안에 대응시켜서 기억시킨 제1 관련 정보를 제2 관련 정보로서 표시하는, 휴대 단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관련 정보 취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관련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제1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상기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의 후보가 복수일 때, 복수의 후보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는 후보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후보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상기 복수의 후보 중 어느 1개가 상기 터치 패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후보의 제1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관련 정보 취득부는, 상기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제1 관련 정보 취득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기억하는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관련 정보 취득부는, 상기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제2 관련 정보 취득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제3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제2 관련 정보 취득부에 의해 상기 제3 데이터의 메모리 어드레스가 취득되었을 때, 상기 서버의 IP 어드레스 및 상기 제3 데이터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제1 관련 정보로서 기억하고,
    상기 기억부에 의해 상기 서버의 IP 어드레스 및 상기 제3 데이터의 메모리 어드레스가 제1 관련 정보로서 기억되었을 때, 상기 서버의 IP 어드레스와 상기 제3 데이터의 메모리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제3 데이터를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부가부는, 상기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제3 데이터를 상기 제2 데이터에 부가하는, 휴대 단말.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관련 정보 취득부는, 상기 선택된 제1 데이터의 관련 정보를 상기 선택된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타데이터로부터 취득하는 제3 관련 정보 취득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부는, 임의로 선택 가능한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일 때, 그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화상 데이터 선택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제1 데이터의 타이틀을 포함하고,
    상기 관련 정보 취득부는, 상기 선택된 제1 데이터의 타이틀을 상기 선택된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타데이터로부터 취득하는 타이틀 취득부 및 상기 타이틀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타이틀에 의거하여, 상기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제4 관련 정보 취득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기억부에 의해 기억된 제1 관련 정보의 일부를 읽어내는 일부 독출부 및 상기 일부 독출부에 의해 읽어내어진 제1 관련 정보의 일부를 제2 관련 정보로서 간이 표시하는 간이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안는, 문자 입력 키로서 이용되고,
    상기 도안에 대응시켜서 관련 정보가 기억될 때에, 상기 도안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표시 상태 변경부를 더 구비하는, 휴대 단말.
  16. 삭제
  17. 터치 패널을 가지고, 임의로 선택가능한 제1 데이터를 제1 표시 범위, 및 도안을 제2 표시 범위에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상기 터치 패널의 터치 개시 위치 및 터치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위치 검출 장치를 가지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의 데이터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제1 터치 개시 위치 및 제1 터치 종료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는 선택 단계,
    상기 제1 표시 범위에 제2 터치 개시 위치가 포함되고, 또한 상기 제2 표시 범위에 제2 터치 종료 위치가 포함될 때에, 상기 선택된 제1 데이터의 제1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 단계,
    상기 제1 표시 단계에 의해 표시된 제1 관련 정보가 상기 터치 패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제1 관련 정보를 상기 도안에 대응시켜서 기억시키는 기억 단계,
    상기 기억 단계에 의해 제1 관련 정보가 기억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표시 범위에 제3 터치 개시 위치가 포함되고, 또한 상기 제1 표시 범위에 제3 터치 종료 위치가 포함될 때에, 상기 기억 단계에 의해 기억된 제1 관련 정보를 제2 관련 정보로서 표시하는 제2 표시 단계, 및
    상기 제2 표시 단계에 의해 표시된 제2 관련 정보가 상기 터치 패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제2 관련 정보를 제1 표시 범위에 표시되는 제2 데이터에 부가하는 부가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제어 방법.
KR1020107026128A 2008-07-30 2009-07-27 휴대 단말, 데이터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제어 방법 KR101195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96757 2008-07-30
JP2008196757A JP4801701B2 (ja) 2008-07-30 2008-07-30 携帯端末およびデータ制御方法
PCT/JP2009/003520 WO2010013434A1 (ja) 2008-07-30 2009-07-27 携帯端末、データ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935A KR20100135935A (ko) 2010-12-27
KR101195293B1 true KR101195293B1 (ko) 2012-10-26

Family

ID=4161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128A KR101195293B1 (ko) 2008-07-30 2009-07-27 휴대 단말, 데이터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12896B2 (ko)
JP (1) JP4801701B2 (ko)
KR (1) KR101195293B1 (ko)
WO (1) WO20100134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1701B2 (ja) * 2008-07-30 2011-10-2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データ制御方法
JP2012168618A (ja) * 2011-02-10 2012-09-06 Kyocera Corp 電子機器
KR20130080515A (ko) * 2012-01-05 2013-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문자 편집 방법.
CN102917013A (zh) * 2012-09-10 2013-02-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据传送系统、数据接收系统及数据交换方法
KR102072113B1 (ko) 2012-10-17 2020-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
JP6208106B2 (ja) * 2014-09-19 2017-10-0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375655A (zh) * 2014-11-24 2015-02-25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键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827A (ja) 1999-08-30 2001-05-25 Fankul Systems Inc コンテンツ収集・貼付方法及び装置並びにコンテンツ収集・貼付の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5181A (ja) * 1991-03-14 1993-09-03 Nec Corp 編集装置
US5542039A (en) * 1993-03-05 1996-07-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 for scaled parameters
US5737507A (en) * 1995-07-07 1998-04-07 Sun Microsystems, Inc. Representation of inter-relationships between graphical objects in a computer display device
US7007239B1 (en) * 2000-09-21 2006-02-28 Pal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contacts database and telephone services
JP4187379B2 (ja) * 2000-03-15 2008-1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話帳登録装置と通信端末装置と電話帳登録方法
US7434170B2 (en) * 2003-07-09 2008-10-07 Microsoft Corporation Drag and drop metadata editing
US7395500B2 (en) * 2003-08-29 2008-07-01 Yahoo! Inc. Space-optimizing content display
CN100407223C (zh) * 2004-04-02 2008-07-30 诺基亚公司 一种用于手写识别的设备和方法
US20060089152A1 (en) * 2004-10-27 2006-04-27 Nokia Corporation Location-based synchronization of mobile terminals
JP2007280153A (ja) 2006-04-10 2007-10-25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US8873858B2 (en) * 2006-06-29 2014-10-28 Rpx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enhanced text copy capability with touch input display
JP5080773B2 (ja) * 2006-09-28 2012-11-2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US8650507B2 (en) * 2008-03-04 2014-02-11 Apple Inc. Selecting of text using gestures
US8028029B2 (en) * 2008-05-15 2011-09-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sensitive exchange of electronic information
US8296670B2 (en) * 2008-05-19 2012-10-23 Microsoft Corporation Accessing a menu utilizing a drag-operation
JP4801701B2 (ja) * 2008-07-30 2011-10-2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データ制御方法
USD636780S1 (en) * 2009-10-23 2011-04-26 Susan Musleh Digital sig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827A (ja) 1999-08-30 2001-05-25 Fankul Systems Inc コンテンツ収集・貼付方法及び装置並びにコンテンツ収集・貼付の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01701B2 (ja) 2011-10-26
JP2010033450A (ja) 2010-02-12
US20110187665A1 (en) 2011-08-04
KR20100135935A (ko) 2010-12-27
US8612896B2 (en) 2013-12-17
WO2010013434A1 (ja) 201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293B1 (ko) 휴대 단말, 데이터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제어 방법
US9626094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U20103274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of portable device
US2005005255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oftware product
CN108496150A (zh) 一种屏幕截图和读取的方法及终端
US20090158214A1 (e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Presentation of Content Items of a Media Collection
WO2011023080A1 (zh) 联系信息输入方法及系统
KR101273396B1 (ko) 통신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시스템
CN102112952A (zh) 触敏显示器的多点触摸控制
US20130174032A1 (en) Updating document previews of embedded files
CN101689192A (zh) 基于对菜单画面的导航来限制搜索范围的方法、设备和计算机程序产品
KR20140030361A (ko) 휴대단말기의 문자 인식장치 및 방법
US20160179899A1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 and electronic apparatus performing the method
CN106886294B (zh) 一种输入法纠错方法和装置
JP5258612B2 (ja) 携帯端末および変換プログラム
CN102141886A (zh) 文本编辑方法和设备及计算机程序产品和计算机可读介质
JP2006031598A (ja) 携帯情報端末及びデータ表示方法
JP5254147B2 (ja) 通信機器及び携帯電子機器
JP6727071B2 (ja) 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CN107533522B (zh) 信息链接系统、信息链接程序和操作信息链接系统的方法
JP2010128539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関連情報表示プログラム
KR20100124952A (ko) 문자인식을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증강현실 기반 실시간 ar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015506A (ja) 表示装置、表示方法、表示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433146B1 (ko) 사용자 컨텐츠 업로드 방법 및 시스템
KR100916536B1 (ko)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