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674B1 - 외발 자전거 - Google Patents

외발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674B1
KR101194674B1 KR20100074943A KR20100074943A KR101194674B1 KR 101194674 B1 KR101194674 B1 KR 101194674B1 KR 20100074943 A KR20100074943 A KR 20100074943A KR 20100074943 A KR20100074943 A KR 20100074943A KR 101194674 B1 KR101194674 B1 KR 101194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icycle
power
power transmiss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74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2880A (ko
Inventor
염규상
Original Assignee
염규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규상 filed Critical 염규상
Priority to KR20100074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674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67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외발 자전거는 원판형상으로 내부가 빈 구조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좌우양단에 설치되는 페달을 굴러 회전운동하는 크랭크와,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크랭크에 축설되는 스프라켓으로 이루어진 동력발생수단; 상기 프레임의 타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과, 제1체인을 통해 상기 스프라켓과 연결되어 회전축에 축설되는 다단기어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 및 내주연에 상기 다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체인을 갖고 베어링부재의 지지를 받으며 프레임에 설치되어 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바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동력발생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을 1개의 바퀴부재에 설치함으로 인해 부피,무게가 감소하여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두 바퀴자전거에서나 볼 수 있는 빠른 이동성을 갖는 외발 자전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외발 자전거{THE UNICYCLE}
본 발명은 외발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바퀴자전거에서나 볼 수 있는 동력발생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을 외발 자전거에 사용함으로 인해 누구나 쉽고 안전하게 탈 수 있는 외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발 자전거는 하나의 바퀴에 동력발생수단을 구비하여 탈 수 있는 것이다.
외발 자전거는 몇 가지 주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바퀴 (타이어, 튜브, 테두리 쇠, 바큇살, 허브, 축), 크랭크, 페달, 프레임으로 구비된 동력발생수단과 안장봉, 안장으로 구비된 착석부재로 이루어진다.
두 바퀴자전거와 다른 외발 자전거의 바퀴의 특징은 동력발생수단으로서 축이 허브와 따로 움직일 수 없게 되어 있어 크랭크의 회전이 직접 바퀴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이다.
예컨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5545호에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일 방향으로만 동력이 전달되는 주 바퀴; 상기 축의 양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양 발이 올려지며, 그 후단에 지면을 가압하여 제동시키는 브레이크가 구비되는 페달; 및 상기 주 바퀴와 축과의 결합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축으로부터 주 바퀴로 동력이 전달되는 동력 전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발 자전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양방향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기술에서 일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게 한 기술로서, 두 바퀴자전거에 비해 쉽게 탈 수 없고, 등판능력 및 가속도가 부족하여 이동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5545호 "외발 자전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동력발생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을 1개의 바퀴부재에 설치함으로 인해 부피,무게가 감소하여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두 바퀴자전거에서나 볼 수 있는 빠른 이동성을 갖는 외발 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다단기어로 인해 등판능력 및 가속도가 뛰어난 외발 자전거도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동력발생수단과 동력전달수단으로 인해 누구나 쉽게 탈 수 있는 외발 자전거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손잡이로 인해 탑승시 안정감이 증대되는 외발 자전거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발 자전거는 원판형상으로 내부가 빈 구조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좌우양단에 설치되는 페달을 굴러 회전운동하는 크랭크와,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크랭크에 축설되는 스프라켓으로 이루어진 동력발생수단; 상기 프레임의 타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과, 제1체인을 통해 상기 스프라켓과 연결되어 회전축에 축설되는 다단기어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 및 내주연에 상기 다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체인을 갖고 베어링부재의 지지를 받으며 프레임에 설치되어 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바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부재는 바퀴부재의 내주연에 끼워지는 다 수개의 베어링들과, 베어링들을 관통하여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어링축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프레임에는 충격완화부재를 갖는 안장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안장에는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손잡이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에는 변속레버가 더 설치되어 다단기어의 기어비를 변경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동력발생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을 1개의 바퀴부재에 설치함으로 인해 부피,무게가 감소하여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두 바퀴자전거에서나 볼 수 있는 빠른 이동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 다단기어로 인해 등판능력 및 가속도가 뛰어난 효과도 있다.
또, 동력발생수단과 동력전달수단으로 인해 누구나 쉽게 외발 자전거를 탈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손잡이로 인해 탑승시 안정감이 증대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발 자전거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3은 본 발명의 외발 자전거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외발 자전거의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발 자전거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3은 본 발명의 외발 자전거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외발 자전거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발 자전거는 프레임(10)과, 동력발생수단(20)과, 동력전달수단(30)과, 바퀴부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은 원판형상으로 내부가 빈 구조를 갖는다.
이때, 프레임(10)의 재질은 통상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철 등으로 하여 내구성을 강하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동력발생수단(20)은 페달(21)을 갖는 크랭크(22)와, 스프라켓(23)으로 구비된다.
크랭크(22)는 상기 프레임(10)의 일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좌우양단에 설치되는 페달(21)을 굴러 회전운동을 한다.
상기 페달(21)을 갖는 크랭크(22)는 통상의 두 바퀴 자전거에서 사용되는 방식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크랭크(22)에는 스프라켓(23)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스프라켓(23)은 제1체인(32)을 걸어 동력발생수단(20)에서 얻는 동력을 프레임(10)의 타단에 설치되는 동력전달수단(30)에 전달하기 위함이다.
상기 동력전달수단(30)은 회전축(31)과, 다단기어(33)로 구비된다.
회전축(31)은 동력발생수단(20)이 설치되는 프레임(10)의 타단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때, 회전축(31)에는 제1체인(32)을 통해 상기 스프라켓(23)과 연결되어 동력발생수단(30)으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받는 다단기어(33)가 축설된다.
이와 같이 다단기어(33)로 전달되는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바퀴부재(40)가 프레임(10)에 설치된다.
상기 바퀴부재(40)는 내주연에 상기 다단기어(33)와 치합하는 제2체인(41)을 갖고 베어링부재(42)의 지지를 받으며 프레임(10)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체인(41)은 바퀴부재(40)의 내주연에 고정되어 동력발생수단(20)으로부터 발생한 동력이 전달되는 동력전달수단(30)의 동력을 받아 회전된다.
또, 바퀴부재(40)의 외주연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통상의 튜브(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부재(42)는 바퀴부재(40)의 내주연에 끼워지는 다 수개의 베어링(43)들과, 베어링(43)들을 관통하여 프레임(10)에 고정되는 베어링축(44)들로 이루어져, 바퀴부재가 회전시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프레임(10)에는 충격완화부재(51)를 갖는 안장(50)이 더 설치되어,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게된다.
이때, 충격완화부재(51)는 통상의 탄성부재를 이용하거나 오일쇼바 또는 가스쇼바 등을 사용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안장(50)에는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손잡이(52)가 더 설치되어 초보자가 탈 때 손쉽게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52)에는 변속레버(53)가 더 설치되어 다단기어(33)의 기어비를 변경하여 가파른 언덕에서 손쉽게 동력을 발생하거나 평지에서 빠른 가속도를 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동력발생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을 1개의 바퀴부재에 설치함으로 인해 부피,무게가 감소하여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두 바퀴자전거에서나 볼 수 있는 빠른 이동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동력발생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을 1개의 바퀴부재에 설치함으로 인해 부피,무게가 감소하여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두 바퀴자전거에서나 볼 수 있는 빠른 이동성을 갖는 외발 자전거를 제공한다.
또, 다단기어로 인해 등판능력 및 가속도가 뛰어난 외발 자전거도 제공한다.
또, 동력발생수단과 동력전달수단으로 인해 누구나 쉽게 탈 수 있는 외발 자전거도 제공한다.
또한, 손잡이로 인해 탑승시 안정감이 증대되는 외발 자전거도 제공한다.
10:프레임 20:동력발생수단
21:페달 22:크랭크
23:스프라켓 30:동력전달수단
31:회전축 32:제1체인
33:다단기어 40:바퀴부재
41:제2체인 42:베어링부재
43:베어링 44:베어링축
50:안장 51:충격완화부재
52:손잡이 53:변속레버

Claims (5)

  1. 원판형상으로 내부가 빈 구조의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일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좌우양단에 설치되는 페달(21)을 굴러 회전운동하는 크랭크(22)와, 프레임(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크랭크(22)에 축설되는 스프라켓(23)으로 이루어진 동력발생수단(20);
    상기 프레임(10)의 타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31)과, 제1체인(32)을 통해 상기 스프라켓(23)과 연결되어 회전축(31)에 축설되는 다단기어(33)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30); 및
    내주연에 상기 다단기어(33)와 치합하는 제2체인(41)을 갖고 베어링부재(42)의 지지를 받으며 프레임(10)에 설치되어 동력전달수단(3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바퀴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어링부재(42)는 바퀴부재(40)의 내주연에 끼워지는 다 수개의 베어링(43)들과, 베어링(43)들을 관통하여 프레임(10)에 고정되는 베어링축(44)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발 자전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에는 충격완화부재(51)를 갖는 안장(5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발 자전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50)에는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손잡이(52)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발자전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52)에는 변속레버(53)가 더 설치되어 다단기어(33)의 기어비를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발 자전거.
KR20100074943A 2010-08-03 2010-08-03 외발 자전거 KR101194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4943A KR101194674B1 (ko) 2010-08-03 2010-08-03 외발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4943A KR101194674B1 (ko) 2010-08-03 2010-08-03 외발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880A KR20120012880A (ko) 2012-02-13
KR101194674B1 true KR101194674B1 (ko) 2012-10-29

Family

ID=4583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74943A KR101194674B1 (ko) 2010-08-03 2010-08-03 외발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6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473B1 (ko) 2013-04-18 2015-05-04 고종화 씽싱바퀴
CN109532321A (zh) * 2018-11-07 2019-03-29 邹少锋 一种基于大小轮的滚轮结构及其运行方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7078A (ja) * 1982-09-24 1984-04-02 上片野 充 二重構造の車輪を有する一輪車
JP2002059884A (ja) * 2000-08-16 2002-02-26 Izumi Kosuke クランク内装ハブレス車輪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7078A (ja) * 1982-09-24 1984-04-02 上片野 充 二重構造の車輪を有する一輪車
JP2002059884A (ja) * 2000-08-16 2002-02-26 Izumi Kosuke クランク内装ハブレス車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880A (ko) 2012-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4808B2 (en) Rear-pedaling standing type bicycle structure
US6050584A (en) Bicycle placing rider in substantially semi-prone riding position
KR200453934Y1 (ko) 킥보드형 자전거
JP5225975B2 (ja) チェーンセット/クランク‐アーム・システムを備え、乗り手の両足による垂直方向における交互の往復運動で推進される自転車
US8414006B2 (en) Bicycle device with direct drive transmission and hubless wheels
US9359040B2 (en) Electric bike retrofit for disc brakes bicycle
US20140125032A1 (en) Dual Drive Bicycle
CN102582737B (zh) 大滚轮娱乐车
US20190168840A1 (en) Urban elliptical bicycle
KR101194674B1 (ko) 외발 자전거
KR200384084Y1 (ko) 자전거
JP2009186001A (ja) 動力正逆転変換装置あるいはそれを備えた人力移動装置あるいはロック解除機能を備えた一方向クラッチエレメント
US7938420B1 (en) Bicycle drive mechanism with pedal leverage arm
KR20110028418A (ko) 씽싱바퀴
GB2343870A (en) Cycle, scooter or exercise machine
CN201999137U (zh) 坐立双用三轮自行车
KR101603435B1 (ko) 킥보드
EP3655315A1 (en) Pedal scooter
US10974785B1 (en) Rider propelled scooter
GB2095631A (en) Cycles for two or more riders
US20200391823A1 (en) Rear wheel mounted drive mechanism for bicycles and reverse trikes
JP2009119990A (ja) チェーンレスの自転車
KR20110113789A (ko) 중륜 구동 자전거
JP2022103854A (ja) 一輪車
KR100934100B1 (ko) 페달 구동 자전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