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789A - 중륜 구동 자전거 - Google Patents

중륜 구동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789A
KR20110113789A KR1020100033057A KR20100033057A KR20110113789A KR 20110113789 A KR20110113789 A KR 20110113789A KR 1020100033057 A KR1020100033057 A KR 1020100033057A KR 20100033057 A KR20100033057 A KR 20100033057A KR 20110113789 A KR20110113789 A KR 20110113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wheel
coupled
shaft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현
Original Assignee
유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현 filed Critical 유종현
Priority to KR1020100033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3789A/ko
Publication of KR20110113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1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 B62H1/12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using additional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03Combination of crank axles and bearings housed in the bottom bra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및 모터 사이클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 축이 구비된 허브와 상기 허브가 구비된 구동 바퀴와 상기 구동바퀴 앞측에 앞 보조바퀴, 축봉지지관, 축봉(32)과 손잡이를 구비하는 앞 보조바퀴부와, 뒤 보조바퀴 지지대와 뒤보조바퀴를 구비하는 뒤 보조바퀴부를 연결 결합하는 허브결합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바퀴를 구동하는 페달 및 동력전달부를 포함시켜 인력으로 구동되는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또한, 하나 이상 축이 구비된 허브와 상기 허브가 구비된 구동 바퀴와 하나 이상 축이 구비된 허브와 상기 허브가 구비된 구동 바퀴와상기 구동바퀴 앞측에 앞 보조바퀴, 축봉지지관, 축봉(32)과 손잡이를 구비하는 앞 보조바퀴부와, 뒤 보조바퀴 지지대와 뒤보조바퀴를 구비하는 뒤 보조바퀴부를 연결 결합하는 허브결합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바퀴를 구동하는 원동기를 포함여, 원동력으로 구동되는 모터사이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륜 구동 자전거{Middle wheel drive cycle}
본 발명은 자전거 및 모터 사이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에 구동바퀴가 있고 상기 구동 바퀴의 허브와 상기 구동바퀴의 진행방향의 앞쪽과 뒤쪽에 각각 보조바퀴를 결합 연결하는 프레임을 구비한다.
따라서 앞과 뒤 보조바퀴 사이에 구동하는 바퀴가 중앙에 위치하지만, 허브 결합 프레임과 앞뒤 보조바퀴를 통해 균형을 쉽게 잡는다.
상기 구동바퀴 허브에 동력전달수단과 페달 결합하여 인력으로 페달에 동력을 가해 구동 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구동바퀴 허브에 원동기를 통해 동력을 가해 페달 위에 올라서서 원동기를 가동시켜 스스로 움직이는 모터 사이클로도 이용 가능한 승용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란 사람의 힘으로 회전되는 바퀴를 통하여 움직일 수 있는 양륜 자전거 또는 외발자전거를 말한다. 또한, 원동기의 힘으로 가는 승용기구의 일종인 모터사이클도 포함이 된다.
종래의 양륜 자전거의 회전체는 앞, 뒤 바퀴와 중간에 큰 스프라킷 3개이다. 그리고 큰 스프라킷이 체인으로 뒷바퀴를 회전시키므로 구동바퀴는 뒤바퀴이다. 따라서 큰 스프라킷이 지면과 닿으면 안되므로 앞바퀴를 뒷바퀴와 같은 크기로 하므로 부피가 크게 하는 것이다. 즉, 구동바퀴가 맨 뒤쪽에 있어 전체적으로 앞바퀴가 크고 이에 따라 프레임이 커지게 된다. 종래의 모터사이클 또한 양륜 자전거의 큰 스프라킷이 없이 모터의 기어로 되어 있을 뿐 회전체는 마찬가지로 3개로 되어 있으나, 구동바퀴는 뒤 바퀴이다.
양륜자전거는 지면과의 접점이 두 개이고, 구동 바퀴는 뒷 바퀴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승용할 수 있는 구간은 앞 뒤 바퀴 허브 사이로 제한하게 된다. 이로 인해 구동바퀴인 뒷바퀴의 허브 뒤쪽에 사용자의 중심이 이동하게 되면 자전거가 전복될 우려 있다. 따라서 허리를 구부리고 타게 되어 무게 중심이 앞 바퀴와 뒷바퀴 사이에 오게하여 전복되는 것을 막는다.
종래의 외발자전거의 사용자가 승용할 수 있는 구간은 외발바퀴 허브를 중심을 승용구간이 아주 협소하므로 많은 연습을 하지 않고서는 사용자가 넘어진다.
종래 실용실안 ‘외발자전거’ (출원번호2019900016493)와 같이 구동바퀴(외발자전거)에 프레임을 이용하여 앞 또는 뒤에 하나의 보조바퀴를 구비하게 된다 하더라도 승용구간이 보조바퀴와 구동바퀴의 허브까지 이므로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구동바퀴의 허브서 벗어나게 되면 전복된다.
종래의 킥보드의 경우 종래의 자전거에 비해 프레임이 작고 가벼우나, 사용자의 몸 전체가 승용하는 것이 아니라 발로 지면을 지키는 구조이고 한쪽 발로만 구동하므로 효율성이 자전거보다 떨어진다.
종래의 모터사이클을 포함한 자전거는 회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뒤 바퀴를 크게 하며 크게 한 뒤바퀴와 균형을 맞추기 위해 앞바퀴 또한 크게 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도 이에 대해 보조를 맞추어 크게 한다. 또한, 구동체와 구동바퀴가 달라 이를 연결하기 위해 스프라킷, 체인 등 여러 가지 부품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부피가 크고 무겁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페달의 동력이 직접 가해지는 허브와 구동바퀴의 허브를 일치 시켜 부품 수를 줄임과 동시에 사용자가 승용할 수 있는 구간을 확대함으로써, 자전거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동축과 구동바퀴의 허브를 일치시켜 구동하는 회전체가 하나가 되는 것이 목적이다.
중간 바퀴가 구동바퀴가 되므로 앞바퀴와 뒷바퀴를 중간바퀴인 구동바퀴에 비해 현격히 축소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면과 닿는 접점이 세 개이므로 승용구간이 넓어 안정적으로 탈 수 있게 하는 자전거를 제공하는 목적이다.
양륜자전거와 같은 많은 연습이 필요 없이 쉽게 탈 수 있는 자전거를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보조바퀴와 프레임을 통해 구동바퀴인 중륜바퀴를 지지하는 자전거를 는 것이 목적이다.
구동 바퀴가 동작하는 것과 무관하게 보조바퀴를 움직여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동바퀴와 구동체를 일치 시켜서 부품의 수, 전체 크기 및 무게 등을 줄 일려는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나 이상 축이 구비된 허브와 상기 허브가 구비된 구동 바퀴 있어서,
허브결합 프레임은 제 1허브체결부와 제 2허브체결부에 각각 체결구멍이 형성하여, 상기 제 1허브체결부의 체결구멍과 상기 허브 좌측 둘레 사이에 베이링이 삽입하여 결합하며, 상기 제 2허브체결부의 체결구멍과 상기 허브 우측 외면 사이에 베어링이 삽입하여 결합하여 삽입함과 동시에,
제 1가지부는 상기 제 1허브체결부의 일면과 상기 제 2허브체결부의 일면에 결합하되, 상기 구동바퀴 둘레를 벗어나 상기 구동바퀴 둘레 선상의 앞 측에서 끝단이 형성되고, 제 2가지부는 상기 제 1허브체결부의 타면과 상기 제 2허브체결부의 타면에 결합하되, 상기 구동바퀴 둘레를 벗어나 상기 구동바퀴 둘레 선상의 뒤 측에서 끝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궁극적으로 상기 제 1가지부와 연결되는 앞 보조바퀴와 궁극적으로 상기 제4가지부와 연결되는 뒤 보조바퀴부를 특징으로 한다.
페달 및 동력전달 수단 또는 원동기를 통해 상기 구동바퀴를 구동하며 그리고 앞 보조바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허브결합프레임을 통해 구동 바퀴의 앞, 뒤에 보조바퀴를 설치하고, 허브 좌우에서 연결 결합 지지하여 자전거가 지면에 닿는 지점이 외발자전거에 비해 2개가 더 있고 바퀴가 안정적으로 운행하는 효과가 있으며, 승용구간이 종래 두 개 의 바퀴 허브 사이에서 3개의 바퀴 전 구간이므로 승용구간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양륜 자전거 및 오토바위는 동력발생(페달 또는 엔진)에서 구동 바퀴까지 체인스프라켓(또는 체인 링)과 체인, 작은 스프라켓 등 부품 구성이 많으나, 본 발명은 구동체가 구동바퀴이므로 동력전달 단계 및 부품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양륜자전거와 오토바이와 다르게 중앙에 구동바퀴가 위치하고 구동체가 구동바퀴가 되므로 상기 체인스프라킷이 지면에 닿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바퀴와 같은 크기에 앞바퀴가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앞뒤 보조바퀴를 중앙에 위치한 바퀴 보다 현격히 작게 만들 수 있는 효과 및 프레임의 크기, 구성수 및 동력전달체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피 및 무게를 줄이는 효과도 있다.
양륜자전거의 뒷바퀴와 거의 같은 크기인 앞바퀴를 움직여 방향전화하지 않고 작은 보조바퀴로 방향을 전환하므로 방향전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종래의 자전거에 크기 및 부피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페달 및 동력전달부 또는 원동기가 있어 지속적으로 구동하는 효과가 있다.
앞뒤에 보조바퀴가 있고 중앙에 구동바퀴가 있어서 승용구간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므로 사용자가 자전거와 함께 앞 방향 또는 뒤 방향으로 전복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부피 및 무게에서 외발자전거와 거의 같은 수준이나, 방향전환 및 안정성 및 전복 방지 등 기능면에서 양륜자전거와 같은 수준의 효과가 있다.
구동바퀴 앞과 뒤에 보조바퀴가 있고 세 개의 바퀴를 프레임으로 연결하므로 세 개의 바퀴 모두 지면과 접점하므로 앞쪽 또는 뒤쪽으로 전복되지 않는 안정성이 있다.
도 1은 제 1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2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3실시 예에 따른 원동기가 포함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3실시 예에 따른 원동기가 포함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 1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2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과 도2를 참조하면, 구동바퀴(10)는 허브(11) 등이 포함된 통상적인 바퀴이다.
허브결합프레임(20)은 구동바퀴(10)의 허브(11)좌측에 제 1허브체결부(21)에 체결구멍(210)과 결합하되, 상기 허브(11)와 상기 체결구멍(210)사이에 베어링(13)이 삽입된다.
또한, 허브(11) 우측에도 제 2허브체결부(22)의 체결구멍(220) 사이에 베어링(13)이 삽입된다. 상기 베어링(13)으로 인해 상기 구동바퀴(10)이 회전하더라도 허브결합프레임(20)은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 1허브체결부(21)와 제 2 허브체결부(22)는 각각의 상기 체결구멍(210, 220)을 통해 허브와 결합한다.
제 1가지부(23)는 제 1허브체결부(21) 일면과 제 2허브체결부(22) 일면과 결합하므로 상기 제 1허브체결부(21)와 상기 제 2허브체결부(22)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바퀴(10)를 지지하게 된다.
제 2가지부(24)도 제 1허브체결부(21) 타면과 제 2허브체결부(22) 타면과 결합하므로 상기 제 1허브체결부(21)와 상기 제 2허브체결부(22)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바퀴(10)를 지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 1허브체결부(21)와 제 2허브체결부(22)를 결합 연결시 상기 제 1가지부(23)와 제 2가지부(24)는 상기 구동바퀴(10)의 둘레를 벗어나 각각 끝단(230, 240)이 형성되므로, 상기 구동바퀴(10)와 접촉하지 않아 상기 구동바퀴(10)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1과 같이 상기 허브결합체결부(20)는 중심부에서 상기 허브(11)의 좌우 측과 상기 체결구멍(210, 220)을 통해 결합하고 상기 구동바퀴(10)를 둘러싸면서, 상기 허브결합프레임의 상기 제 1가지부 끝단(230)이 상기 구동바퀴(10)의 타이어 둘레 앞쪽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 2가지부 끝단(240)이 상기 구동바퀴(10)의 타이어 둘레 뒤쪽에서 형성되는 형태가 될수 있고,
도 3과 같이 제 1허브체결부(21)의 체결구멍(210)와 제 2허브체결부(22)의 체결구멍(220)이 허브(11)의 좌우 측에서 각각 결합하고 상기 제1 허브결체결부 (21)와 제 2허브체결부(22)의 위쪽 일단과 타단에 각각 제 1가지부(23)과 제 2가지부(24)와 결합하되 상기 제 1가지부(23)의 끝단(230)이 구동바퀴(10) 앞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 2가지부(24)의 끝단(240)이 상기 구동바퀴(10) 뒤쪽에 형성되는 형태가 될 수 있어,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허브결합프레임(20)의 소재는 사용자의 무게 및 본 발명품 자체를 지탱할 수 있는 금속 및 비금속 소재 모두가 가능하며, 화학제품 또한 소재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도1과 도3과 같이, 뒤 보조바퀴부(40)는 뒤보조바퀴지지대(42)와 뒤보조바퀴(41)를 구비하며, 상기 뒤보조바퀴지지대(42)의 일단은 상기 허브결합 프레임의 제 2가지부 끝단(240)과 결합하고, 상기 뒤보조바퀴지지대(42) 하단에 하나 이상의 상기 뒤 보조바퀴(41)가 결합한다. 즉, 상기 제 2가지부 끝단(240)은 상기 구동바퀴(10) 뒤쪽에 있어 상기 뒤 보조바퀴 지지대(42)를 통해 상기 뒤 보조바퀴(41)와 결합 및 지지하되며, 상기 뒤 보조바퀴(41)는 궁극적으로 상기 허브결합프레임(2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뒤 보조바퀴 지지대(42)는 상기 뒤 보조바퀴(41)의 허브와 연결 지지하여 상기 뒤 보조바퀴(41)회전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제 2가지부 끝단(240)과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앞보조바퀴 조정부(30)는 손잡이(36)를 회전하여 최종적으로 앞보조바퀴(31)를 조정하므로서, 자전거 방향조절하는 부문으로 구성면에서 축봉지지관(35)와, 축봉(32)과, 상기 앞보조바퀴(31)와 상기손잡이(36)를 구비한다.
상기 축봉지지관(35)는 상기 허브결합프레임(20)의 제 1가지부 끝단(230)과 결합하며, 상기 축봉(32)은 상기 축봉지지관(35)를 삽입 및 관통하고, 상기 축봉(32)의 하단에 하나 이상의 상기 앞 보조바퀴(31)와 결합하되, 상기 축봉(32)의 상단에 상기 손잡이(36)와 결합한다.
상기 구동바퀴(10)의 구동은 축이 구비된 두 개의 좌, 우 페달(15)과 좌, 우를 구별하여 일 단에 상기 페달(15)과 결합하고, 타 단에 허브(11)와 결합하여 상기 페달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하여 바퀴를 회전시키는 두 개의 좌, 우 동력전달부(17, 18)를 사용하여 구동한다.
상기 동력전달부(17, 18)는 상기 페달(15)의 회전 운동 또는 진자운동을 상기 허브(11)에 전달하는 역할로 종래의 크랭크 등이 한 예이다. 따라서 상기 허브결합프레임(20)을 통해 상기 구동바퀴(10)를 지지한 가운데 상기 구동바퀴(10) 앞뒤 측면에 상기 앞보조바퀴(31)와 뒤보조바퀴(41)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 구동바퀴(10)는 상기 앞보조바퀴(31)와 뒤보조바퀴(41) 사이에 위치하여 중간에서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허프결합프레임은 최종적으로 상기 구동바퀴 및 앞, 두 보조바퀴와 연결 결합하므로서 상기 세 바퀴 모두 지면에 지속적으로 접지하여 회전하므로서 앞측 또는 뒤측으로 전복되지 않는다.
도 4는 제 3실시예에 따른 원동기가 포함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3실시예에 따른 원동기가 포함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의 허브결합프레임(20)과 뒤 바퀴보조부(30)와 앞바퀴 조정부(40)는 도 1과 도 2 내지 도 3의 상기 허브결합프레임(20)과 상기 뒤 바퀴보조부(30)와 상기 앞바퀴 조정부(40)와 같은 형태를 띠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다.
다만, 도 4와 도 5와 같이, 허브(11)에 동력을 가하여 구동바퀴(10)를 구동하는 원동기(50)를 포함하고 있어, 인력이 아닌 상기 원동기(50)의 힘으로 상기 구동바퀴(10)를 구동 시킨다.
상기 원동기(50)의 힘으로 상기 구동바퀴(10)를 구동시에는 사용자가 승용할 곳은 도1과 같이 상기 허브(11) 및 상기 크랭크와 결합된 페달(15)이 될 수 있고, 상기 허브결합프레임의 좌, 우 측면에 발판(51)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승용할 수 있게 한다.
도 5와 같이 상기 원동기(50)에 포함되어 있는 숫기어(52)를 상기 허브와 결합된 암기어(53)와 연결하여 상기 허브(11)를 구동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상기 구동바퀴(10)가 회전하게 된다.
도 1과 도 3과 같이, 상기 축봉(32)은 하나 이상으로 구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축봉(32a)은 다른 하나의 축봉(32b)에 슬라이딩 삽입하게 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축봉(32)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한다.
도 1과 도 4와 같이, 상기 허브결합 프레임의 제 1가지부(23)상기 바퀴 둘레를 벗어난 부분과 상기 허브결합 프레임의 제 2가지부(24)상기 바퀴 둘레를 벗어난 부분에 각각 힌지 결합(37, 43)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바퀴(10)가 회전하지 않을 경우 힌지 결합을 통해 상기 허브결합프레임(20)의 크기 및 부피를 줄여 보관 및 이동이 쉽게 한다.
10. 구동바퀴 11. 허브
13. 베어링 15. 좌 페달
16. 우 페달 17. 좌 동력전달부
18. 우 동력전달부 20. 허브결합프레임
21. 제 1허브결합부 22. 제 2허브결합부
23. 제 1가지부 24. 제 2가지부
30. 앞보조바퀴조정부 31. 앞보조바퀴
32. 축봉 35. 축봉지지관
36. 손잡이 37. 힌지결합(앞)
40. 뒤보조바퀴부 41. 뒤보조바퀴
42. 뒤보조바퀴지지대 43. 힌지결합(뒤)
50. 원동기 51. 발판
52. 숫기어 53. 암기어
210. 제 1허브결합 체결구멍 220. 제 2허브결합 체결구멍
230. 제 1가지부 끝단 240. 제 2가지부 끝단

Claims (5)

  1. 하나 이상 축이 구비된 허브(11)와 상기 허브(11)가 구비된 구동 바퀴(10) 있어서,

    두 개의 허브결합부(21, 22)와 두 개의 가지부(23, 24)을 구비하며, 상기 제 1허브체결부(21)와 제 2허브체결부(22)에 각각 체결구멍(210, 220)을 형성하여, 상기 제 1허브체결부의 체결구멍(210)과 상기 허브(11)의 좌측과 결합하되, 상기 제 1허브체결부의 체결구멍(210)과 상기 허브(11) 좌측 외면 사이에 베이링(13)이 삽입하여 결합하고, 상기 제 2허브체결부의 체결구멍(220)과 상기 허브(11)의 우측과 결합하되, 상기 제 2허브체결부의 체결구멍(220)과 상기 허브(11) 우측 외면사이에 베어링(13)을 삽입하여 결합하며, 상기 제 1가지부(23)는 상기 제 1허브체결부(21)의 일면과 상기 제 2허브체결부(22)의 일면에 결합하되, 상기 구동바퀴(10) 둘레를 벗어나 상기 구동바퀴 둘레 선상의 앞측에서 끝단(23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가지부(24)는 상기 제 1허브체결부(21)의 타면과 상기 제 2허브체결부(22)의 타면에 결합하되, 상기 구동바퀴(10) 둘레를 벗어나 상기 구동바퀴(10) 둘레 선상의 뒤측에서 끝단(240)이 형성되는 허브결합 프레임(20)과;

    두 개의 좌, 우 페달(15, 16)과;

    상기 좌 페달(15)과, 우 페달(16)은 좌, 우를 구별하여 각각 상기 페달(15, 16) 일단과 결합하고, 타 단에 허브(11)와 결합하여 상기 페달(15, 16)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구동바퀴(10)를 회전시키는 좌, 우 동력전달부(17, 18)와;

    뒤보조바퀴지지대(42)와 뒤보조바퀴(41)를 구비하되, 상기 뒤보조바퀴지지대(42)의 일단은 상기 허브결합 프레임(20)의 제 2가지부 끝단(240)과 결합하고, 상기 뒤보조바퀴지지대(42) 타단에 하나 이상의 뒤보조바퀴(41)가 결합하는 뒤보조바퀴부(40)와;

    축봉지지관(35)과, 축봉(32)과, 앞 보조바퀴(31)와 손잡이(36)를 구비하되, 상기 축봉지지관(35)는 상기 허브결합프레임(20)의 제 1가지부 끝단(230)과 결합하며, 상기 축봉(32)은 상기 축봉지지관(35)을 관통하고, 상기 축봉(32)의 하단에 하나 이상의 상기 앞보조바퀴(31)와 결합하고 상기 축봉(32)의 상단에는 상기 손잡이(36)와 결합하는 앞보조바퀴조정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륜 구동 자전거.
  2. 하나 이상 축이 구비된 허브(11)와 상기 허브(11)가 구비된 구동 바퀴(10) 있어서,

    두 개의 허브결합부(21, 22)와 두 개의 가지부(23, 24)을 구비하며, 상기 제 1허브체결부(21)와 제 2허브체결부(22)에 각각 체결구멍(210, 220)을 형성하여, 상기 제 1허브체결부의 체결구멍(210)과 상기 허브(11)의 좌측과 결합하되, 상기 제 1허브체결부의 체결구멍(210)과 상기 허브(11) 좌측 외면 사이에 베이링(13)이 삽입하여 결합하고, 상기 제 2허브체결부의 체결구멍(220)과 상기 허브(11)의 우측과 결합하되, 상기 제 2허브체결부의 체결구멍(220)과 상기 허브(11) 우측 외면사이에 베어링(13)을 삽입하여 결합하며, 상기 제 1가지부(23)는 상기 제 1허브체결부(21)의 일면과 상기 제 2허브체결부(22)의 일면에 결합하되, 상기 구동바퀴(10) 둘레를 벗어나 상기 구동바퀴 둘레 선상의 앞측에서 끝단(23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가지부(24)는 상기 제 1허브체결부(21)의 타면과 상기 제 2허브체결부(22)의 타면에 결합하되, 상기 구동바퀴(10) 둘레를 벗어나 상기 구동바퀴(10) 둘레 선상의 뒤측에서 끝단(240)이 형성되는 허브결합 프레임(20)과;

    상기 허브(11)에 동력을 가하여 상기 구동바퀴(10)를 구동하게 하는 원동기(50)와;

    뒤보조바퀴지지대(42)와 뒤보조바퀴(41)를 구비하되, 상기 뒤 보조바퀴 지지대(42)의 일단은 상기 허브결합 프레임(20)의 제 2가지부 끝단(240)과 결합하고, 상기 뒤 보조바퀴 지지대(42) 타단에 하나 이상의 뒤보조바퀴(41)가 결합하는 뒤보조바퀴부(40)와;

    축봉지지관(35)과, 축봉(32)과, 앞보조바퀴(31)와 손잡이(36)를 구비하되, 상기 축봉지지관(35)는 상기 허브결합프레임(20)의 제 1가지부 끝단(230)과 결합하며, 상기 축봉(32)은 상기 축봉지지관(35)을 관통하고, 상기 축봉(32)의 하단에 하나 이상의 상기 앞 보조바퀴(31)와 결합하고 상기 축봉(32)의 상단에는 상기 손잡이(36)와 결합하는 앞보조바퀴조정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륜 구동 자전거.
  3. 제 1항 내지 제 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봉(32)은 하나 이상으로 구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축봉(32a)은 다른 하나의 축봉(32b)에 슬라이딩 삽입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륜 구동 자전거.
  4. 제 1항 내지 제 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 상기 허브결합 프레임(20)의 제 1가지부(23)중 상기 구동바퀴(10) 둘레를 벗어난 부분에 힌지 결합(37)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륜 구동 자전거.
  5. 제 1항 내지 제 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 상기 허브결합 프레임(20)의 제 2가지부(24)중 상기 구동바퀴(10) 둘레를 벗어난 부분에 힌지 결합(43)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륜 구동 자전거.
KR1020100033057A 2010-04-11 2010-04-11 중륜 구동 자전거 KR20110113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057A KR20110113789A (ko) 2010-04-11 2010-04-11 중륜 구동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057A KR20110113789A (ko) 2010-04-11 2010-04-11 중륜 구동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789A true KR20110113789A (ko) 2011-10-19

Family

ID=4502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057A KR20110113789A (ko) 2010-04-11 2010-04-11 중륜 구동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37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2755A (zh) * 2014-10-23 2016-06-29 杭州创皇电动车科技有限公司 移动式脚踏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2755A (zh) * 2014-10-23 2016-06-29 杭州创皇电动车科技有限公司 移动式脚踏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16152B (zh) 改进的踏板车和踏板驱动组件
KR100646019B1 (ko) 접철식 자전거
US7784808B2 (en) Rear-pedaling standing type bicycle structure
US9248880B2 (en) Frame structure
CA2762109C (en) Adjustable crank arms for elliptical bike and method of use
US10315725B2 (en) Bicycle with rear drive assembly for elliptical movement
US20060125205A1 (en) Front wheel drive mechanism for bicycle
JP2007307963A (ja) 前二輪自転車
WO2010010357A1 (en) Pedal powered wheeled vehicle
US20100059963A1 (en) Dual-drive bicycle
KR20110113789A (ko) 중륜 구동 자전거
CN201385731Y (zh) 前驱动后转向躺式三轮自行车
JP3169458U (ja) 手漕ぎ式自転車
US20060237945A1 (en) Common axis drive and shift system
KR20100134950A (ko) 손조작이 필요없는 자전거
CN202130539U (zh) 一种脚踏自行车
JP2006062526A (ja) リカンベント型自転車
KR20120100346A (ko) 자전거 유모차
CN201317432Y (zh) 结构优化的便携式轻快自行车
KR101650663B1 (ko) 소형 자전거
CN101348150A (zh) 运动休闲车
JP2010285010A (ja) 三輪自転車
CN100387479C (zh) 一种中轴前置坐式三轮车及其车架
JP3168709U (ja) タンデム自転車の改良構造
CN202574539U (zh) 一种可站骑的自行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