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567B1 - 좌식 의자 - Google Patents

좌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567B1
KR101193567B1 KR1020120045774A KR20120045774A KR101193567B1 KR 101193567 B1 KR101193567 B1 KR 101193567B1 KR 1020120045774 A KR1020120045774 A KR 1020120045774A KR 20120045774 A KR20120045774 A KR 20120045774A KR 101193567 B1 KR101193567 B1 KR 101193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seat
backrest
frame
cush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해림
Original Assignee
(주)해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올 filed Critical (주)해올
Priority to KR1020120045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54Infla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석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좌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의자는 좌대(A)와 등받이(B)에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이 구비되어 착석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에는 제1 및 제2 급기펌프(71,72)와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가 연결되어 좌대에어백(50)과 허리지지에어백(9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좌대에어백(50)과 허리지지에어백(9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의 탄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착석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좌식 의자{SEATING TYPE CHAIR}
본 발명은 착석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좌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등록실용신안 제20-0318468호 등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을 수 있도록 된 좌식 의자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좌식 의자의 일반적인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 사용자가 깔고 앉는 좌대(A)와, 상기 좌대(A)의 후단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등받이(B)로 구성된다.
상기 좌대(A)는 좌대프레임(10)과 상기 좌대프레임(10)에 구비된 좌대쿠션부재(20)로 구성되고, 상기 등받이(B)는 상기 좌대프레임(10)의 후측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등받이프레임(30)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0)에 구비된 등받이쿠션부재(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좌대(A)와 등받이(B)의 사이에는 미도시된 각도조절기구가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B)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등받이(B)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좌대쿠션부재(20)와 등받이쿠션부재(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좌대프레임(10)과 등받이프레임(30)에 각각 고정되거나, 길게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좌대프레임(10)과 등받이프레임(3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좌식 의자는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을 상측으로 회동시켜 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을 전방으로 회동시켜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과 보관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좌식 의자는 일반적인 소파 등에 비해 쿠션의 두께가 얇아서 착석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좌식 의자의 쿠션부재를 두껍게 하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으나, 쿠션부재가 두꺼워질 경우 등받이프레임(30)을 전방으로 회동시켜 접을 때에 좌대쿠션부재(20)와 등받이쿠션부재(40)가 상호 간섭되어 조작이 용이하게 않거나, 접히더라도 접힌 두께가 매우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석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좌식 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좌대프레임(10)과 상기 좌대프레임(10)에 구비된 좌대쿠션부재(20)로 구성된 좌대(A)와, 상기 좌대프레임(10)의 후측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등받이프레임(30)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0)에 구비된 등받이쿠션부재(40)로 구성된 등받이(B)를 포함하는 좌식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대쿠션부재(20)에는 사용자의 엉덩이 또는 엉덩이의 둘레부를 지지하는 좌대에어백(50)이 구비되고, 상기 등받이쿠션부재(40)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등 양측을 지지하는 등받이에어백(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의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좌대쿠션부재(20) 또는 상기 등받이쿠션부재(40)에는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지지에어백(9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의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은 하단이 상기 좌대프레임(10)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대(31)와, 상기 고정대(31)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대(32)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쿠션부재(40)는 상기 승강대(32)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의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에는 급기구(51,61)와 배기구(52,62)가 형성되며, 상기 급기구(51,61)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급기펌프(71,72)와, 상기 배기구(52,62)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는 상기 배기구(52,62)에 연결되는 배기통로(83a)와 상기 배기통로(83a)와 교차되는 제어통로(83b)가 형성된 하우징(83)과, 상기 제어통로(83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기통로(83a)를 개폐하는 밸브체(84)와, 상기 밸브체(84)에 연결되어 밸브체(84)가 배기통로(83a)를 밀폐하도록 전진 가압하는 스프링(85)과, 상기 밸브체(84)의 일측에서 하우징(83)의 외부로 연장되며 외측단이 눌려지면 상기 밸브체(84)가 배기통로(83a)를 개방하도록 후퇴시키는 푸쉬바(86)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통로(83a)는 양단이 상기 하우징(83)의 양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는 상기 푸쉬바(86)가 상호 마주보도록 상기 좌대프레임(10)과 등받이프레임(30)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가 등받이프레임(30)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의 푸쉬바(86)가 상호 맞닿아 후퇴되어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의 배기통로(83a)가 개방되어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의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허리지지에어백(90)의 일측에 연결되어 허리지지에어백(90)의 팽창을 조절하는 팽창조절기구(1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팽창조절기구(100)는 상기 허리지지에어백(90)에 연결되며 일측면에는 관통공(101c)이 형성된 실린더(101)와, 상기 실린더(101)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되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된 피스톤(102)과, 상기 실린더(101)의 관통공(101c)에 나사 결합되고 선단부는 상기 피스톤(10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나사축(103)과, 상기 나사축(103)의 후측단에 구비된 레버(104)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104)로 나사축(103)을 회전시키면 상기 나사축(103)이 전후진되어 피스톤(102)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실린더(101) 내부의 공기를 상기 허리지지에어백(90)으로 공급하거나 허리지지에어백(90) 내부의 공기가 실린더(101) 내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의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의자는 좌대(A)와 등받이(B)에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이 구비되어 착석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에는 제1 및 제2 급기펌프(71,72)와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가 연결되어 좌대에어백(50)과 허리지지에어백(9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좌대에어백(50)과 허리지지에어백(9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의 탄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착석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좌식 의자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의자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의자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의자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의자의 좌대에어백과 등받이에어백 및 제1 및 제2 급기펌프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의자의 제1 및 제2 배기밸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의자의 허리지지에어백과 팽창조절기구를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의자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의자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좌식 의자는 좌대프레임(10)과 상기 좌대프레임(10)에 구비된 좌대쿠션부재(20)로 구성된 좌대(A)와, 상기 좌대프레임(10)의 후측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등받이프레임(30)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0)에 구비된 등받이쿠션부재(40)로 구성된 등받이(B)를 포함하는 것은 종래의 좌식 의자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좌대프레임(10)은 경성 재질(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의 바 또는 파이프를 사각형으로 벤딩하여 구성된 프레임본체(11)와, 상기 프레임본체(11)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면에 상기 좌대쿠션부재(20)가 고정되는 지지패널(12)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본체(11)의 후측 상면에는 브라켓(13)이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의 하단이 상기 브라켓(13)에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13)에는 미도시된 각도조절기구가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을 전후방으로 회동시켜 등받이(B)의 각도를 조절한 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대쿠션부재(20)와 상기 등받이쿠션부재(40)는 넓은 판 형상으로 구성된 탄성부재(21,41)와, 상기 탄성부재(21,41)의 외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22,42)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21,41)는 바람직하게, 스펀지, 우레탄폼 등과 같이 탄성이 있는 발포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좌대프레임(10)과 등받이프레임(30)에 고정된다.
상기 커버부재(22,42)는 직물지, 가죽 등의 시트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21,41)의 외부를 덮도록 결합되어, 상기 좌대쿠션부재(20)와 등받이쿠션부재(40)의 외관을 개선함과 동시에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은 하단이 상기 좌대프레임(10)의 브라켓(13)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대(31)와, 상기 고정대(31)의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대(3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대(31)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수평부(31a)와, 상기 수평부(31a)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하단이 상기 좌대프레임(10)의 브라켓(13)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수직부(31b)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대(32)는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의 수직부(31b)의 외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승강파이프(32a)와, 상기 등받이쿠션부재(40)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파이프(32a)의 전면에 고정되며 전면에는 상기 등받이쿠션부재(40)가 고정되는 지지패널(32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파이프(32a)의 일측에는 미도시된 위치고정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상기 승강대(32)를 승강시켜 상기 등받이쿠션부재(40)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한 후 상기 위치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승강대(32)가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대쿠션부재(20)에는 좌대에어백(50)이 구비되고, 상기 등받이쿠션부재(40)에는 등받이에어백(60)이 구비된다.
상기 좌대에어백(50)은 바람직하게, 플랙시블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엉덩이 둘레부에 대응되는 링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좌대쿠션부재(20)의 탄성부재(21) 상면에 고정되어, 좌대(A)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둘레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에어백(60)은 바람직하게, 플랙시블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등받이쿠션부재(40)의 탄성부재(41) 전면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각각 고정되어, 등받이(B)에 기대진 사용자의 등 양측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은 상기 커버부재(22,42)에 의해 덮혀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에는 급기구(51,61)와 배기구(52,62)가 형성되고, 상기 급기구(51,61)에는 제1 및 제2 급기펌프(71,72)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배기구(52,62)에는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가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급기펌프(71,72)와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를 조작하여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급기펌프(71,72)는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의 승강대(32)에 고정되어 상기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에 외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바람직하게, 피스톤펌프를 이용한다.
상기 피스톤펌프는 둘레면에 흡기구(73a)와 배기구(73b)가 형성된 실린더(73)와, 상기 실린더(73)의 내부에 결합된 피스톤(74)과, 일단은 상기 피스톤(74)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실린더(73)의 외측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75)로 구성되며, 상기 흡기구(73a)에는 실린더(73)의 내부로 개방되는 원웨이밸브(73c)가 연결되고, 상기 배기구(73b)에는 외측으로 개방되는 원웨이밸브(73d)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배기구(73b)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구성된 급기튜브(76)를 통해 상기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의 급기구(51,61)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피스톤로드(75)를 밀거나 당겨 피스톤(74)을 전후진시키면, 외부의 공기가 흡기구(73a)를 통해 실린더(73)의 내부로 유입된 후 배기구(73b)를 통해 상기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으로 공급되어, 상기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이 팽창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는 상기 좌대프레임(10)과 등받이프레임(30)의 고정대(31) 일측에 고정된 것으로, 상기 배기구(52,62)에 연결되는 배기통로(83a)와 상기 배기통로(83a)와 교차되는 제어통로(83b)가 형성된 하우징(83)과, 상기 제어통로(83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기통로(83a)를 개폐하는 밸브체(84)와, 상기 밸브체(84)에 연결되는 스프링(85)과, 상기 밸브체(84)의 일측에서 하우징(83)의 외부로 연장된 푸쉬바(86)로 구성된다.
상기 배기통로(83a)는 상기 하우징(83)의 양측을 관통하도록 직선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이 플랙시블한 재질로 구성된 배기튜브(87)를 통해 상기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의 배기구(52,62)에 연결되어,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통로(83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통로(83b)는 상기 배기통로(83a)에 비해 지름이 크게 구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푸쉬바(86)가 관통하는 관통공(83c)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밸브체(84)는 도 6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통로(83a)와 교차되도록 위치되면 배기통로(83a)를 막아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 내부의 공기가 배기통로(83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85)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통로(83b)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체(84)가 배기통로(83a)를 밀폐하도록 전진 가압한다.
상기 푸쉬바(86)는 상기 밸브체(84)에서 상기 스프링(85)이 설치된 쪽의 반대쪽 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83c)을 통해 상기 하우징(83)의 외부로 연장된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푸쉬바(86)를 누르면, 도 6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84)가 후퇴되어 상기 배기통로(83a)를 개방하여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이 축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 및 제2 급기펌프(71,72)를 이용하여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에 공기를 공급하여 부풀리거나, 상기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를 이용하여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이 축소되도록 하여,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에 의해 엉덩이와 허리가 지지되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바(86)가 상호 마주보도록 상기 좌대프레임(10)과 등받이프레임(30)의 고정대(31)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가 등받이(B)를 접기 위해 등받이프레임(30)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도 7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의 푸쉬바(86)가 상호 맞닿아 후퇴되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의 배기통로(83a)가 개방되어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B)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접음에 따라 자동으로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를 통해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부피가 줄어들게 되어,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이 간섭되어 등받이(B)가 접히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쿠션부재(40)의 하단에는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지지에어백(90)이 구비된다.
상기 허리지지에어백(90)은 바람직하게, 플랙시블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등받이쿠션부재(40)의 하단에 좌우로 길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등받이쿠션부재(40)에 등을 기댈 때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허리지지에어백(90)은 등받이쿠션부재(40)의 탄성부재(41) 전면에 고정되어, 커버부재(42)에 의해 덮여 가려지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좌대프레임(10)의 지지패널(12)의 후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본체(11)에 비해 짧게 구성되어 지지패널(12)의 후단부에 공간부(14)가 형성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B)의 승강대(32)를 하강시킨 후 전방으로 회동시켜 접으면, 상기 허리지지에어백(90)이 상기 공간부(14)로 삽입된다.
따라서, 허리지지에어백(90)의 공기를 배출하지 않고도 등받이(B)를 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허리지지에어백(90)에는 그 팽창을 조절하는 팽창조절기구(100)가 연결된다.
상기 팽창조절기구(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리지지에어백(90)에 연결되며 일측면에는 관통공(101c)이 형성된 실린더(101)와, 상기 실린더(101)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되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된 피스톤(102)과, 상기 실린더(101)의 관통공(101c)에 나사 결합되고 선단부는 상기 피스톤(10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나사축(103)과, 상기 나사축(103)의 후측단에 구비된 레버(104)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101)는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의 승강대(32) 일측에 고정되며 전면 일측에는 통기공(101a)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통기공(101a)은 플랙시블한 재질로 구성된 연결관(101b)을 통해 상기 허리지지에어백(90)의 일측에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102)은 둘레면에 전후면으로 개방된 결합홈(102a)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101)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홈(102a)이 결합되는 돌기(101d)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스톤(102)이 회전되지 않고 실린더(101)를 따라 전후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버(104)는 상기 실린더(101)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나사축(103)의 후측단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그것을 손으로 잡고 돌려서 나사축(103)을 정역 회전시키면 도 8에 실선 또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축(103)의 나사 작용에 의해 피스톤(102)이 실린더(101)의 내부를 따라 전후진되면서 실린더(101) 내부의 공기를 상기 허리지지에어백(90)으로 공급하거나, 허리지지에어백(90) 내부의 공기가 실린더(101) 내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레버(104)를 손으로 잡고 나사축(103)을 회전시키면, 공기가 허리지지에어백(90)의 내부로 공급되거나 허리지지에어백(9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허리지지에어백(90)이 팽창되거나 축소되면서 허리지지에어백(90)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가 지지되는 강도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좌식 의자는 좌대(A)와 등받이(B)에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이 구비되어 착석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좌대(A) 또는 등받이(B)에는 허리지지에어백(90)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여 착석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은 하단이 상기 좌대프레임(10)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대(31)와, 상기 고정대(31)의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대(32)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쿠션부재(40)는 상기 승강대(32)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게 상기 승강대(32)를 승강시켜 등받이쿠션부재(40)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여, 착석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에는 상기 제1 및 제2 급기펌프(71,72)와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가 연결되어, 좌대에어백(50)과 허리지지에어백(9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의 탄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착석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배기통로(83a)는 양단이 상기 하우징(83)의 양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는 상기 푸쉬바(86)가 상호 마주보도록 상기 좌대프레임(10)과 등받이프레임(30)의 고정대(31)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가 등받이프레임(30)을 전방으로 회동시켜 접을 때에 상기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의 푸쉬바(86)가 상호 맞닿아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의 배기통로(83a)가 개방되어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의 부피가 줄어들게 되므로, 좌대(A)와 등받이(B)가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등받이(B)를 손쉽게 접을 수 있으며, 접힌 의자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허리지지에어백(90)의 일측에는 허리지지에어백(90)의 팽창을 조절하는 팽창조절기구(100)가 연결되어,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허리지지에어백(90)의 팽창 정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좌대프레임(10)과 등받이프레임(30)은 바 또는 파이프를 벤딩하여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좌대프레임(10)과 등받이프레임(30)은 넓은 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대쿠션부재(20)와 등받이쿠션부재(40)의 커버부재(22,42)는 각기 별도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좌대쿠션부재(20)와 등받이쿠션부재(40)의 커버부재(22,42)는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2,42)는 좌대쿠션부재(20)와 등받이쿠션부재(40)의 탄성부재(21,41)를 덮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커버부재(22,42)(22)는 탄성부재(21,41)와 함께 좌대프레임(10)과 등받이프레임(30)의 외부를 함께 덮어 가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리지지에어백(90)은 상기 등받이쿠션부재(4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허리지지에어백(90)은 상기 좌대쿠션부재(20)의 후측단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대쿠션부재(20)와 등받이쿠션부재(40)는 내부의 탄성부재(21,41)와 탄성부재(21,41)를 감싸는 커버부재(22,42)(22)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21,41)에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 및 허리지지에어백(90)이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탄성부재(21,41)의 구조를 생략하고, 상기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을 넓은 판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A. 좌대 10. 좌대프레임
20. 좌대쿠션부재 B. 등받이
30. 등받이프레임 40. 등받이쿠션부재
50. 좌대에어백 60. 등받이에어백
71, 72. 제1 및 제2 급기펌프 81,82. 제1 및 제2 배기밸브
90. 허리지지에어백 100. 팽창조절기구

Claims (5)

  1. 좌대프레임(10)과 상기 좌대프레임(10)에 구비된 좌대쿠션부재(20)로 구성된 좌대(A)와,
    상기 좌대프레임(10)의 후측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등받이프레임(30)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0)에 구비된 등받이쿠션부재(40)로 구성된 등받이(B)를 포함하는 좌식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대쿠션부재(20)에는 사용자의 엉덩이 또는 엉덩이의 둘레부를 지지하는 좌대에어백(50)이 구비되고,
    상기 등받이쿠션부재(40)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등 양측을 지지하는 등받이에어백(60)이 구비되며,
    상기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에는 급기구(51,61)와 배기구(52,62)가 형성되며,
    상기 급기구(51,61)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급기펌프(71,72)와,
    상기 배기구(52,62)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는
    상기 배기구(52,62)에 연결되는 배기통로(83a)와 상기 배기통로(83a)와 교차되는 제어통로(83b)가 형성된 하우징(83)과,
    상기 제어통로(83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기통로(83a)를 개폐하는 밸브체(84)와,
    상기 밸브체(84)에 연결되어 밸브체(84)가 배기통로(83a)를 밀폐하도록 전진 가압하는 스프링(85)과,
    상기 밸브체(84)의 일측에서 하우징(83)의 외부로 연장되며 외측단이 눌려지면 상기 밸브체(84)가 배기통로(83a)를 개방하도록 후퇴시키는 푸쉬바(86)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통로(83a)는 양단이 상기 하우징(83)의 양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는 상기 푸쉬바(86)가 상호 마주보도록 상기 좌대프레임(10)과 등받이프레임(30)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가 등받이프레임(30)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의 푸쉬바(86)가 상호 맞닿아 후퇴되어 제1 및 제2 배기밸브(81,82)의 배기통로(83a)가 개방되어 좌대에어백(50)과 등받이에어백(6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쿠션부재(20) 또는 상기 등받이쿠션부재(40)에는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지지에어백(9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은
    하단이 상기 좌대프레임(10)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대(31)와,
    상기 고정대(31)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대(32)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쿠션부재(40)는 상기 승강대(32)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의자.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허리지지에어백(90)의 일측에 연결되어 허리지지에어백(90)의 팽창을 조절하는 팽창조절기구(1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팽창조절기구(100)는
    상기 허리지지에어백(90)에 연결되며 일측면에는 관통공(101c)이 형성된 실린더(101)와,
    상기 실린더(101)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되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된 피스톤(102)과,
    상기 실린더(101)의 관통공(101c)에 나사 결합되고 선단부는 상기 피스톤(10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나사축(103)과,
    상기 나사축(103)의 후측단에 구비된 레버(104)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104)로 나사축(103)을 회전시키면 상기 나사축(103)이 전후진되어 피스톤(102)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실린더(101) 내부의 공기를 상기 허리지지에어백(90)으로 공급하거나 허리지지에어백(90) 내부의 공기가 실린더(101) 내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의자.
KR1020120045774A 2012-04-30 2012-04-30 좌식 의자 KR101193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774A KR101193567B1 (ko) 2012-04-30 2012-04-30 좌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774A KR101193567B1 (ko) 2012-04-30 2012-04-30 좌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567B1 true KR101193567B1 (ko) 2012-10-22

Family

ID=47288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774A KR101193567B1 (ko) 2012-04-30 2012-04-30 좌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5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691A (ko) 2015-08-26 2017-03-08 허동구 등받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매트형 좌식 의자
CN111731220A (zh) * 2020-06-19 2020-10-02 汉腾汽车有限公司 一种后排侧气囊防挤压限位支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691A (ko) 2015-08-26 2017-03-08 허동구 등받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매트형 좌식 의자
CN111731220A (zh) * 2020-06-19 2020-10-02 汉腾汽车有限公司 一种后排侧气囊防挤压限位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02675A (ja) 着座者の閾下運動を生じさせるための事務用、作業用、及びレジャー用椅子、及び椅子又は座部面用後付けキット
US20090247916A1 (en) Massage chair
ITTV20000084A1 (it) Struttura di sedia-poltroncina ergonomica particolarmente per ufficio, del tipo accessoriata con appoggiatesta ed appoggiareni regolabili
KR101193567B1 (ko) 좌식 의자
KR200494753Y1 (ko) 등받이가 이동되는 소파
US20100244520A1 (en) Chair type stretching apparatus
JP2008295879A (ja) マッサージ機
CN211461116U (zh) 气囊式按摩椅
KR101400621B1 (ko) 자체 충진식 에어 쿠션 의자
JP4866720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CN2922624Y (zh) 座椅椅背的调整改良结构
KR20110017230A (ko) 유압 실린더에 의해 좌석 회동속도 조절이 가능한 절첩식 의자
US6969117B2 (en) Backrest assembly for a seating arrangement
CN108621872B (zh) 用于可躺式座椅的腿部支撑部选项
JP5388085B2 (ja) 椅子
JP2005177446A (ja) 椅子
KR200395726Y1 (ko) 접의자
CN218889464U (zh) 一种靠背带有气囊的椅子
KR20240014969A (ko) 안마 장치
JP2005152201A (ja) 椅子
KR101712824B1 (ko) 듀얼백 의자
WO2006001104A1 (ja) 椅子
JP4143392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2010094305A (ja) 椅子
CN218605808U (zh) 一种舒适办公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