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969A - 안마 장치 - Google Patents

안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969A
KR20240014969A KR1020220092799A KR20220092799A KR20240014969A KR 20240014969 A KR20240014969 A KR 20240014969A KR 1020220092799 A KR1020220092799 A KR 1020220092799A KR 20220092799 A KR20220092799 A KR 20220092799A KR 20240014969 A KR20240014969 A KR 20240014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er
base frame
massage device
floor
m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대성
박성균
임태섭
박찬영
엄태인
백건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2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969A/ko
Priority to PCT/KR2023/007013 priority patent/WO2024025109A1/ko
Publication of KR20240014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7/00Accessories for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8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for changing a straight chair into an easy chair, e.g. by inverting or tilting seat and back-rest in the base frame or by overturning the whole chair
    • A47C1/029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for changing a straight chair into an easy chair, e.g. by inverting or tilting seat and back-rest in the base frame or by overturning the whole chair by changing the length or the inclination of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61H2201/1669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moving along the body in a reciprocating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1Control means thereof hydraulically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안마 장치는 안마를 제공하도록 안마 모듈이 마련되는 시트 프레임과, 시트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레그와, 바닥에 지지되도록 레그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고,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시트 프레임이 바닥에 대해 흔들리는 것(to rock)이 가능하도록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를 들어올리도록 마련되는 리프터(Lifter)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마 장치{MASSAGE APPARATUS}
본 개시는 안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마 장치는 사용자에게 안마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안마 장치는 사용자가 안착할 수 있는 의자와 같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마 장치는 사용자에게 안마를 제공하기 위한 안마 모듈과,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그리고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기 위해 프레임을 커버하는 가죽이나 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안마 장치가 사용자에게 편안한 휴식을 제공할 수 있음에 따라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모드와 체험을 느끼게 해줄 수 있는 안마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흔들의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안마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베이스 프레임이 커브드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안마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베이스 프레임을 리프트하도록 마련되는 리프터를 포함하는 안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례에 따른 안마 장치는 안마를 제공하도록 안마 모듈이 마련되는 시트 프레임과 상기 시트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레그와 바닥에 지지되도록 상기 레그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가 상기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시트 프레임이 상기 바닥에 대해 흔들리는 것(to rock)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를 들어올리도록 마련되는 리프터(Lifter)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바닥과 마주하는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이 상기 바닥에 대해 구를 수 있도록 상기 바닥을 향하여 볼록하게 커브드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변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부는 상기 리프터에 의해 상기 바닥을 향하여 볼록하게 벤딩되거나 상기 바닥에 나란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는 일측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부에 결합되고 타측에서 상기 시트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는 제1 리프터이고, 상기 안마 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제2 리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후방부를 상기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리는 스윙 모드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부를 상기 바닥과 나란하게 배치시키는 일반 모드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에 마련되는 미들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전방부 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후방부가 상기 바닥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일반 모드와 상기 전방부 또는 상기 후방부가 상기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려지도록 상기 미들부를 푸시하는 스윙 모드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안마 장치가 안마 모드와 스윙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상기 안마 모듈과 상기 리프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윙 모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는 상기 바닥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안마 모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바닥에 대해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바닥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마 모드와 상기 스윙 모드가 함께 수행되도록 상기 안마 모듈 및 상기 리프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안마 장치는 상기 시트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시트 프레임을 뒤로 젖히도록(recline) 상기 시트 프레임을 푸시 가능한 리클라인 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클라인 가이더는 상기 시트 프레임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마 장치가 안마 모드와 스윙 모드와 리클라이닝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상기 안마 모듈과 상기 리프터와 상기 리클라인 가이더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클라인 가이더가 상기 시트 프레임을 푸시하도록 제어한 뒤에 상기 리프터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를 상기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변형부는 서로 핀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바디와 복수의 연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바디는 전방 홀과 후방 홀을 포함하는 제1 연결바디와 상기 제1 연결바디의 상기 후방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방 홀과 후방 홀을 포함하는 제2 연결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핀은 상기 제1 연결바디의 상기 후방 홀과 상기 제2 연결바디의 상기 전방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클라인 가이더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안마 장치는 안마 모드와 스윙 모드를 모두 포함하므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안마 장치는 안마 모드와 스윙 모드 그리고 리클라이닝 모드 모두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선호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마 장치가 일반 모드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마 장치가 리클라이닝 모드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마 장치가 스윙 모드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의 복수의 연결핀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 장치가 리클라이닝 모드와 스윙 모드가 함께 수행될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 장치가 일반 모드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안마 장치가 스윙 모드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 장치가 일반 모드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안마 장치가 스윙 모드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 장치가 일반 모드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 장치가 일반 모드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 장치가 일반 모드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 장치가 일반 모드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방" 및 "하방"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 장치를 도시한다. 도 1를 참조하면, 안마 장치(1)는 사용자(U)에게 안마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안마 장치(1)는 사용자(U)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의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안마 장치(1)는 사용자(U)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는 가죽이나 천 소재로 덮여있을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U)의 피부에는 부드러운 소재가 접촉되므로 사용자(U)가 심리적인 안정감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안마 장치(1)는 사용자(U)를 지지할 수 있는 시트 프레임(10)을 포함할 수 있다. 시트 프레임(10)은 사용자(U)의 머리에서부터 상체 그리고 둔부 및 하체를 지지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시트 프레임(10)은 일 측에 안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프레임(10)은 베이스 프레임(30)의 전방에 결합되어 사용자(U)의 신체가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시트 프레임(10)의 안착면은 사용자(U)의 신체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프레임(10)의 안착면은 사용자(U)의 신체 후면과 접촉되어 사용자(U)를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시트 프레임(10)의 안착면은 사용자(U)의 착석감을 높일 수 있도록 폭신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착면은 시트 프레임(10) 후방의 안마 모듈(15)에 의해 사용자(U)의 신체 후면이 가압될 수 있도록 변형 가능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안착면을 형성하는 소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U)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는 재질로 구비되면 족하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사용자(U)의 상반신과 사용자(U)의 하반신은 사용자의 둔부를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시트 프레임(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U)의 머리, 등, 팔, 다리, 둔부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시트 프레임(10)에는 사용자(U)에게 안마를 제공할 수 있도록 안마 모듈(15)이 마련될 수 있다.
안마 장치(1)는 시트 프레임(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레그(20)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20)는 일 측에서 시트 프레임(10)에 결합될 수 있고, 타 측에서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30)에 결합될 수 있다.
레그(20)는 시트 프레임(10)의 좌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레그(20)는 베이스 프레임(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레그(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베이스 프레임(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30)은 시트 프레임(10)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하나로 마련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마 장치가 일반 모드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마 장치가 리클라이닝 모드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마 장치가 스윙 모드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의 복수의 연결핀을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시트 프레임(10)은 제1 안착부(11)와 제2 안착부(12) 그리고 제3 안착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착부(11)는 사용자(U, 도 1 참조)의 신체 중 머리의 일부 또는 머리 전체 그리고 상반신이 지지할 수 있다. 제2 안착부(12)는 제1 안착부(11)와 연결되어 제1 안착부(1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안착부(12)는 사용자(U)의 신체 중 하반신 중 둔부의 후방 일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안착부(13)는 제2 안착부(12)와 연결되어 제2 안착부(12)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안착부(13)는 사용자(U)의 신체 중 하반신의 일부 또는 하반신의 전체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착부(11)와 제2 안착부(12)는 사용자(U)의 머리를 포함한 상반신의 일부 또는 전체를 사용자(U)의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제3 안착부(13)는 사용자(U)의 하반신의 일부 또는 전체를 사용자(U)의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제1 안착부(11)와 제2 안착부(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안착부(11)와 제2 안착부(12)는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착부(11)는 사용자(U)의 머리를 지지하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제2 안착부(12)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안착부(11)는 제2 안착부(12)에 대해 고정되도록 제2 안착부(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안착부(12)는 사용자(U)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제3 안착부(13)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안착부(12)는 제3 안착부(13)와 연결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제3 안착부(13)에 대해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안착부(12)는 제3 안착부(13)에 대해 고정되도록 제3 안착부(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안착부(13)는 사용자(U)의 허벅지 및 종아리를 사용자(U)의 후방에서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안착부(13)는 사용자(U)의 허벅지를 지지하는 부분과 사용자(U)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3 안착부(13)에서 사용자(U)의 허벅지를 지지하는 부분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안착부(13)에서 사용자(U)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부분은 사용자(U)의 허벅지를 지지하는 부분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U)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3 안착부(13)에서 사용자(U)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부분은 사용자(U)의 종아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사용자(U)의 종아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시트 프레임(10)과 베이스 프레임(30)은 개시된 발명의 일 예에 불과하며, 시트 프레임(10) 및 베이스 프레임(30)은 사용자(U)의 신체를 지지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시트 프레임(10)은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베이스 프레임(30)의 외측에는 베이스 프레임(30)을 커버하는 하우징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은 시트 프레임(10)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은, 사용자(U)가 시트 프레임(10)에 착석 시에 사용자(U)의 상측, 하측, 좌측, 우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되어 안마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고 전체적인 심미감을 향상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은 안마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U)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격리된 느낌을 받도록 사용자(U)의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일 면에는 사용자(U)의 명령이 입력되는 조작부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U)는 조작부를 통해 안마 장치(1)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조작부로 입력된 명령은 안마 장치(1)의 제어부(60, 도 15 참조)로 수신되어 다양한 안마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조작부의 입력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U)의 명령은 무선 통신 방식의 원격 제어를 통해 제어부(60)로 수신될 수 있다.
시트 프레임(10)은 사용자(U)에게 안마를 제공할 수 있는 안마 모듈(15,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안마 모듈(15)은 제1 지지부(11)에 마련되어 사용자(U)의 머리부터 허리까지 안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사용자(U)의 하반신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안마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듈이 도면에 도시된 안마 모듈(15)과 별도로 시트 프레임(10)에 마련될 수 있다.
안마 장치(1)는 시트 프레임(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레그(20)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20)의 일측은 시트 프레임(10)에 마련될 수 있고, 레그(20)의 타측은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30)에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30)은 바닥에 나란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30)은 전방부(31)와, 미들부(32) 그리고 후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20) 각각은 전방부(31)와 미들부(32)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마 장치(1)는 시트 프레임(10)과 베이스 프레임(30) 사이를 연결하는 리클라인 가이더(5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클라인 가이더(50)는 미들부(32)에 연결될 수 있다. 리클라인 가이더(50)는 유압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리클라인 가이더(50)는 베이스 프레임(30)에 고정되며 시트 프레임(10)의 일부를 상측으로 푸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리클라인 가이더(50)는 시트 프레임(10)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시트 프레임(10)의 전방부란 시트 프레임(10)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고, 시트 프레임(10)의 후방부란 시트 프레임(10)의 무게중심으로부터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리클라인 가이더(50)는 유압 실린더(50)로 구비될 수 있다. 리클라인 가이더(50)는 리클라인 로드(51)과 리클라인 실린더(52)를 포함할 수 있다.
리클라인 로드(51)의 상측은 시트 프레임(10)에 결합될 수 있다. 리클라인 로드(51)의 하측은 리클라인 실린더(52)내에 삽입될 수 있다. 리클라인 실린더(52)의 상측은 리클라인 로드(51)가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리클라인 실린더(52)의 하측은 베이스 프레임(30)에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리클라인 실린더(52)는 리클라인 로드(51)의 하단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실 공간(55)을 포함할 수 있다. 실 공간(55) 내부에는 유압유와 같은 점성이 낮은 기름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리클라인 실린더(52)는 실 공간(55)의 양측에 유압유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포트(53) 및 제2 포트(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트(53)는 제1 포트홀(5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포트(54)는 제2 포트홀(54a)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포트(53)과 제2 포트(54)는 서로 연통될 수 있고, 체크 밸브(미도시)에 의해 유압유의 흐름이 제어될 수 있다. 실 공간(55) 내의 유압유는 제1 포트홀(53a)을 통과하여 제2 포트홀(54a)으로 유동할 수 있고, 반대로 제2 포트홀(54a)을 통과하여 제1 포트홀(53a)을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제1 포트홀(53a)을 통해 유압유가 실 공간(55)으로 유입되는 경우에 리클라인 로드(51)는 베이스 프레임(30)에 가깝도록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포트홀(54a)을 통해 실 공간(55)으로 유압유가 유입되는 경우에 리클라인 로드(51)는 리클라인 실린더(52) 내에 하측으로 더욱 삽입될 수 있다.
리클라인 로드(51)가 실 공간(55) 내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면 리클라인 가이더(50)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리클라인 가이더(50)의 길이는 리클라인 로드(51)의 상단부터 리클라인 실린더(52)의 하단까지의 최소 직선 거리일 수 있다. 리클라인 로드(51)가 실 공간(55) 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가 리클라인 가이더(50)의 길이가 제2 길이(L2)일 때일 수 있다. 반면, 리클라인 로드(51)가 실 공간(55) 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가 리클라인 가이더(50)의 길이가 제1 길이(L1)일 때일 수 있다.
즉, 리클라인 가이더(50)는 실 공간(55)내에서 이동되는 리클라인 로드(51)의 위치에 따라 제1 길이(L1) 및 제2 길이(L2) 사이에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리클라인 가이더(50)가 제1 길이(L1)일 때 보다 제2 길이(L2)일 때 리클라인 로드(51)가 실 공간(55) 내에 더 삽입된 위치일 수 있다. 리클라인 가이더(50)의 제1 길이(L1)는 제2 길이(L2)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리클라인 가이더(50)의 제1 길이(L1)일 때 제2 안착부(12)는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리클라인 가이더(50)의 제2 길이(L2)일 때 제1 안착부(11)의 상단(11a)이 뒤로 젖혀져서 안마 장치(1)는 리클라이닝 모드(Reclining Mode)를 수행할 수 있다. 안마 장치(1)가 리클라이닝 모드(RM)일 때, 제1 안착부(11)의 상단(11a)은 일반 모드(Normal Mode)일 때에서의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안마 장치(1)가 리클라이닝 모드(RM)일 때, 제3 안착부(13)의 하단(13a)은 일반 모드(NM)일 때에서의 위치보다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위치일 수 있다.
리클라이닝 모드(RM)에서 시트 프레임(10)은 일반 모드(GM)일 때보다 수평에 가깝게 지지되어 사용자(U, 도 1 참조)가 누운 자세와 같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리클라이닝 모드(RM)는 반드시 리클라인 가이더(50)의 제2 길이(L2)에서 수행되는 것이 아니고, 제1 길이(L1)보다 길게 될 때 구현될 수 있다. 리클라인 가이더(50)의 길이가 제1 길이(L1)와 제2 길이(L2) 사이에서 조절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각도의 리클라이닝 모드(RM)를 선택할 수 있다.
안마 장치(1)는 베이스 프레임(30)에 연결되고 베이스 프레임(30)의 일부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리프터(Lifter, 4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터(40)는 베이스 프레임(30)의 일부를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려 시트 프레임(10)이 바닥에 대해 흔들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리프터(40)는 베이스 프레임(30)의 후방부(33)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리프터(40)는 길이가 조절되어 베이스 프레임(30)의 일부를 들어올릴 수 있다.
리프터(40)는 유압 실린더(4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터(40)는 리클라인 가이더(50)와 유사한 원리로 작동될 수 있다. 리프터(40)는 리프터 로드(41)와, 리프터 로드(41)의 하단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실 공간(45)을 형성하는 리프터 실린더(42)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터 로드(41)는 일측에서 시트 프레임(10)에 연결될 수 있고, 타측에서 리프터 실린더(42)에 연결될 수 있다. 리프터 실린더(42)는 일측에서 리프터 로드(41)가 삽입될 수 있고, 타측에서 베이스 프레임(30)에 연결될 수 있다.
리프터 실린더(42)는 제1 포트홀(43a)을 포함하는 제1 포트(43) 및 제2 포트홀(44a)을 포함하는 제2 포트(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트(43)와 제2 포트(44)는 실 공간(45)을 기준으로 양 측에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포트(43)와 제2 포트(44)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1 포트홀(43a)과 제2 포트홀(44a) 사이에 유동하는 유압유의 유동 방향은 제1 포트홀(43a) 및 제2 포트홀(44a) 사이에 배치되는 체크 밸브(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 포트홀(43a)을 통해 토출되는 유압유가 제2 포트홀(44)을 통해 실 공간(45)으로 유입되면 리프터 실린더(42)가 시트 프레임(10)에 더 가까워질 수 있다. 제2 포트홀(44a)을 통해 토출되는 유압유가 제1 포트홀(43)을 통해 실 공간(45)으로 유입되면 리프터 로드(41)가 베이스 프레임(30)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실 공간(45) 내에서 리프터 로드(41)가 이동하는 범위 내에서 가장 덜 삽입되는 위치가 리프터(40)의 길이가 제1 길이(L1)일 때일 수 있다. 여기서 리프터(40)의 길이란 리프터 로드(41)의 상단에서부터 리프터 실린더(42)의 하단까지의 최소 직선 거리일 수 있다. 실 공간(45) 내에서 리프터 로드(41)가 가장 많이 삽입되는 위치가 리프터(40)의 길이가 제2 길이(L2)일 때일 수 있다. 리프터(40)의 길이는 제1 길이(L1)와 제2 길이(L2)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리프터(40)의 제1 길이(L1)는 제2 길이(L2) 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리프터(40)는 일 측에서 시트 프레임(10)에 결합되고, 타 측에서 베이스 프레임(3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프터(40)는 베이스 프레임(30)과 레그(20)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30)의 전방부(31)와 미들부(32) 그리고 미들부(32)와 후방부(33) 사이에는 변형부(35)가 마련될 수 있다. 변형부(35)는 전방부(31)의 후단(31b)와 미들부(32)의 전단(32a)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변형부(35)는 미들부(32)의 후단(32b)와 후방부(33)의 전단(33a)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변형부(35)는 벤딩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부분일 수 있다.
리프터(40)가 제1 길이(L1)보다 작은 길이로 조절되어 베이스 프레임(30)의 일부를 바닥으로부터 들어 올리게 되면 베이스 프레임(30)의 변형부(35)가 바닥에 대해 볼록하게 변형될 수 있다. 바닥과 마주하는 베이스 프레임(30)의 지지면(30a)이 바닥에 대해 구를 수 있도록 바닥을 향하여 볼록하게 커브드될 수 있다. 리프터(40)가 제1 길이(L1)일 때는 변형부(35)가 바닥에 나란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클라인 가이더(50)의 제1 길이(L1) 및 제2 길이(L2)는 각각, 리프터(40)의 제1 길이(L1) 및 제2 길이(L2)에 대응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전방부(31)의 전단(31a)은 전방부(31)의 후단(31b)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후방부(33)의 전단(33a)은 후방부(33)의 후단(33b)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의 안마 장치(1)는 스윙 모드(Swing Mode)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윙 모드(Swing Mode)를 수행할 때 레그(20)와 베이스 프레임(30) 및 시트 프레임(10)의 결합되는 부분이 회전되지 않도록 별도의 고정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스윙 모드(SM)에서는 베이스 프레임(30)의 지지면(30a)이 바닥에 대해 구를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30)이 벤딩될 수 있다. 스윙 모드(SM)에서 사용자(U)는 전후 방향으로 안마 장치(1)를 기울임에 따라 바닥과 접촉하는 베이스 프레임(30)의 접촉면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베이스 프레임(30)은 진자 운동과 같은 움직임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30)은 바닥에 대해 구를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U)가 더 이상 시트 프레임(10)을 기울이지 않더라도 시트 프레임(10)이 베이스 프레임(30)의 운동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리프터(40)는 후방부(33)를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리는 제1 모드와 후방부(33)가 바닥과 나란하게 배치시키는 제2 모드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제1 모드는 바람직하게는 안마 모드나 일반 모드(NM)일 수 있다. 제2 모드는 스윙 모드(SM)일 수 있다.
스윙 모드(SM)는 리프터(40)의 제2 길이(L2)에서만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리프터(40)의 길이가 제1 길이(L1)보다 짧게 고정될 때 구현될 수 있다. 제1 길이(L1)와 제2 길이(L2) 사이에 조정되는 리프터(40)에 의해 사용자(U)는 원하는 각도나 기울기의 스윙 모드(SM)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U)는 안마 장치(1)에서 안마를 제공받을 수 있음과 별도로 스윙 운동을 느낄 수 있다. 스윙 모드(SM)를 수행하는 안마 장치(1)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용자(U)는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일반 모드(NM) 보다 더 편안하게 수면에 들 수 있다.
스윙 모드(SM)를 수행 중인 안마 장치(1)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용자(U)는 책을 이용한 휴식 등 독서를 즐길 수 있어 심리적으로 안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U)는 가만히 앉아있거나 누워 있는 경우보다 보다 더 안락함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유아용 모듈을 이용하여 안마 장치(1)에 탑승한 유아에게 유아용 흔들 의자 기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유아의 정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리프터(40)와 리클라인 가이더(50)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프터(40)는 베이스 프레임(30)의 일부를 들어올릴 수 있으면 족하고, 리클라인 가이더(50)는 시트 프레임(10)의 일부를 푸시하여 회전시킬 수 있으면 족하다.
변형부(35)는 서로 핀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바디(36, 37, 38, 39)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바디(36, 37, 38, 39)는 제1 연결바디(36, 38)와, 제2 연결바디(37, 39)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부(35)는 복수의 연결바디(36, 37, 38, 39)를 연결시키는 복수의 연결핀(CP)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바디(36, 38)은 전방 홀(36a, 38a)와 후방 홀(36b, 38b)을 포함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바디(37, 39)는 전방 홀(37a, 39a)와 후방 홀(37b, 39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바디(36, 38)과 제2 연결바디(37, 39)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제1 연결바디(36, 38)의 후방 홀(36b, 38b)과 제2 연결바디(37, 39)의 전방 홀(37a, 39a)이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바디(36, 38)의 후방 홀(36b, 38b)과 제2 연결바디(37, 39)의 전방 홀(37a, 39a)에 각각 연결 핀(CP)이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연결바디(36, 38)와 제2 연결바디(37, 39)는 서로 결합됨과 동시에 각각의 연결바디(36, 37, 38, 39)가 연결되는 부분이 절곡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리프터(40)가 베이스 프레임(30)의 일부를 들어올림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30)의 다른 일부가 변형 가능하므로, 베이스 프레임(30)이 바닥에 대해 구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 장치가 리클라이닝 모드와 스윙 모드가 함께 수행될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안마 장치(1)의 제어부(60, 도 15 참조)는 리클라이닝 모드(RM)를 위해 리클라인 가이더(50)을 통해 시트 프레임(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60)는 그 이후 스윙 모드(SM)를 위해 리프터(40)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30)을 일부가 바닥에 이격시킬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안마 장치(1)는 스윙 모드(SM)로 변환된 후 리클라이닝 모드(RM) 모드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한 안마 장치(1)는 리클라이닝 스윙 모드(Reclining Swing Mode, RSM)를 수행할 수 있다. 리클라인 스윙 모드(RSM)에서 리클라인 가이더(50)의 길이는 제2 길이(L2)일 수 있다. 리클라인 스윙 모드(RSM)에서 리프터(40)의 길이는 제2 길이(L2)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클라인 가이더(50)의 길이는 제1 길이(L1) 보다 클 수 있고, 리프터(40)의 길이는 제1 길이(L1) 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리클라인 스윙 모드(RSM)에 안착하는 사용자(U, 도 1 참조)는 스윙 모드(SM) 보다 더 머리가 뒤로 젖혀진 채로 스윙 운동을 느낄 수 있어 다양한 모드에 의해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리클라인 가이더(50)의 길이는 제1 길이(L1)와 제2 길이(L2) 사이에 연속되도록 조절될 수 있고, 리프터(40)의 길이는 제1 길이(L1)와 제2 길이(L2) 사이에 연속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면 사용자(U)는 원하는 각도의 리클라이닝 모드와 원하는 각도의 스윙 모드를 함께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 장치가 일반 모드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안마 장치가 스윙 모드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안마 장치(1)는 시트 프레임(10)의 일부를 푸시하도록 마련되는 리클라인 가이더(150)를 포함할 수 있다. 안마 장치(1)는 베이스 프레임(30)의 일부를 들어올리도록 마련되는 리프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터(140) 또는 리클라인 가이더(50)는 공압 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다. 리클라인 가이더(150)의 길이를 제1 길이(L1)와 제2 길이(L2) 사이에 마련되도록 조절하기 위하여 리클라인 가이더(150)는 펌프(P)를 구비한 공압 실린더(150)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P)는 제1 리클라인 부재(151)의 가이드 홈(151a)에 기체를 삽입하거나 인출하여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 홈(151a)에 기체가 삽입되면 가이드 홈(151a) 내의 기체 압력이 상승하여 제2 리클라인 부재(152)를 하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로써 제1 리클라인 부재(151)의 상단에서부터 제2 리클라인 부재(152)의 하단까지의 길이인 리클라인 가이더(150)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반면, 펌프(P)가 가이드 홈(151a) 내의 기체를 인출하게 되면, 가이드 홈(151a) 내의 압력이 줄어들게 되므로 제2 리클라인 부재(152)를 상측으로 당길 수 있다. 이로써 제1 리클라인 부재(151)의 상단에서부터 제2 리클라인 부재(152)의 하단까지의 길이인 리클라인 가이더(150)의 길이가 감소할 수 있다.
리프터(140)의 제2 리프터 부재(142)는 제1 리프터 부재(141)의 리프터 홈(141a)에 삽입 가능할 수 있다. 제2 리프터 부재(142)가 리프터 홈(411a)에 가장 깊게 삽입될 때 리프터(140)의 길이는 제2 길이(L2)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리프터 부재(142)가 리프터 홈(141a)에 가장 적게 삽입될 때 리프터(140)의 길이는 제1 길이(L1)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프터(140)의 길이는 제1 리프터 부재(141)의 상단과 제2 리프터 부재(142)의 하단까지의 최소 직선 거리일 수 있다. 리프터(140)의 제1 길이(L1)는 제2 길이(L2) 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리프터(140)의 펌프(P)가 리프터 홈(141a)에 기체를 삽입시키면, 리프터(140)의 길이는 제1 길이(L1)로 되어 베이스 프레임(30)이 바닥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리프터(140)의 펌프(P)가 리프터 홈(141a) 내의 기체를 외부로 계속 인출시키면 리프터(140)의 길이는 제2 길이(L2)까지 줄어들 수 있고, 리프터(140)의 하단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30)의 일부가 바닥으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다.
리프터(140) 또는 리클라인 가이더(1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달리, 랙 기어(Rack Gear)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리프터(140) 또는 리클라인 가이더(150)는 랙 기어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별도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랙 기어와 맞물려 별도의 부재가 이동됨에 따라 리프터(140) 또는 리클라인 가이더(15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 장치가 일반 모드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레그(220)가 시트 프레임(10) 및 베이스 프레임(230)과 일체화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한 안마 장치(1)는 리클라인 가이더(50, 도 2 참조)의 구성 없이 레그(220)와 리프터(4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안마 장치(1)는 일반 모드(NM)와 스윙 모드(SM)를 수행할 수 있다.
스윙 모드(SM)를 수행하는 안마 장치(1)의 리프터(40)의 길이가 제1 길이(L1)보다 짧을 때, 베이스 프레임(30)의 일부가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레그(220)가 시트 프레임(10) 및 베이스 프레임(230)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으므로, 스윙 모드(SM)를 구현할 때 보다 안정적인 안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 장치가 일반 모드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2와 달리, 베이스 프레임(330)의 전방부와 미들부가 일체화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330)은 전방부(331)와 후방부(333)를 포함할 수 있고, 전방부(331)와 후방부(333) 사이를 연결하는 변형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
안마 장치(300)는 일반 모드(NM)와, 리클라이닝 모드(RM) 그리고 스윙 모드(SM)를 각각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대응되어 리프터(40)의 길이가 줄어듬에 따라 후방부(333)가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려지고, 변형부(335)에 의해 일정한 곡률이 형성되어 안마 장치(1)는 스윙 모드(SM)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 장치가 일반 모드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2와 달리, 베이스 프레임(430)의 미들부와 후방부가 일체화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430)은 전방부(431)와 후방부(432)를 포함할 수 있고, 전방부(431)와 후방부(432) 사이를 연결하는 변형부(435)를 포함할 수 있다.
안마 장치(400)에 대한 구동 원리 및 수행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 장치가 일반 모드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안마 장치(500)는 제1 리프터(40)와 제2 리프터(5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프터(40)는 베이스 프레임(30)의 후방부(33)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리프터(540)는 베이스 프레임(30)의 전방부(31)에 결합될 수 있다.
스윙 모드(SM, 도 4 참조)일 때의 제1 리프터(40)는 제1 길이(L1) 보다 작게 마련되어 베이스 프레임(30)의 후방부(33)를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스윙 모드(SM)일 때의 제2 리프터(540)는 제1 길이(L1)보다 작게 마련되어 베이스 프레임(30)의 전방부(31)를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리프터(40, 540)가 복수로 마련되어 각각의 길이를 조금만 조절하더라도 베이스 프레임(30)의 변형되는 정도가 더 크게 될 수 있으므로, 일반 모드(NM)에서 스윙 모드(SM)로 변형되는 시간을 빠르게 조절하거나 곡률이 더 크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만족도가 더욱 상승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베이스 프레임(30)의 후방부(33)과 시트 프레임(10)에 결합되는 제1 리프터(40)의 구성 대신 레그(20)의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2 리프터(540)의 구성만으로 베이스 프레임(30)의 전방부(31)를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려 베이스 프레임(30)의 형상이 조절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 장치가 일반 모드일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안마 장치(600)는 각각 시트 프레임(10)의 제1 안착부(11)와 전방부(31)에 결합거나 제3 안착부(13)와 후방부(33)에 결합되는 레그(20, 620)를 포함할 수 있다.
안마 장치(600)는 시트 프레임(10)과 베이스 프레임(30)의 미들부(32)에 결합되는 리프터(64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터(640)는 제1 길이(L1)일 때 베이스 프레임(30)이 바닥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 길이(L1) 보다 크게 마련되는 경우에는 베이스 프레임(30)의 미들부(32)를 바닥을 향해 푸시할 수 있다.
리프터(640)가 미들부(32)를 푸시하면, 시트 프레임(10)에 거리가 유지된 채로 결합되는 전방부(31)와 후방부(33)는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다.
리프터(640)는 전방부(31) 또는 후방부(33)가 바닥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일반 모드(NM)와 전방부(31) 또는 후방부(33)가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려지는 스윙 모드(SM)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0)의 변형부(35)의 구조에 의해 안마 장치(600)는 일반 모드(NM)와 스윙 모드(SM, 도 4 참조)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이와 독립적으로 리클라이닝 모드(RM, 도 3 참조)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마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U)는 안마 장치(1, 100, 200, 300, 400, 500, 600)에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User Input, UI)을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UI)을 수신한 제어부(60)는 사용자의 선호에 따른 일반 모드(NM) 또는 스윙 모드(SM)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리프터(40, 140, 540, 640)와 안마 모듈(15)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일반 모드(NM)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0, 230, 330, 430)이 바닥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모드일 수 있고 반드시 안마 모듈(15)이 일반 모드(NM)에서 구동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 모드(NM)에서 안마 모듈(15)이 구동되는 것은 바람직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일반 모드(NM) 또는 스윙 모드(SM) 또는 리클라이닝 모드(RM) 중 적어도 하나에서 사용자(U)에게 안마를 제공하는 안마 모드를 위한 안마 모듈(15)를 제어할 수 있다(67). 제어부(60)는 안마 모드와 스윙 모드(SM)가 함께 수행되도록 안마 모듈(15)과 리프터(40, 140, 540, 64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리클라인 가이더(50)의 체크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61). 이에 따라 리클라인 로드(51)가 이동될 수 있어 리클라인 가이더(5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리프터(40)의 체크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62). 마찬가지로 리프터 로드(41)가 이동되어 베이스 프레임(30)의 일부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리클라인 가이더(150)의 펌프(P)를 통해 가이드 홈(151a)으로 기체를 유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63). 제어부(60)는 리프터(140)의 펌프(P)를 통해 리프터 홈(141a)으로 기체를 유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64).
제어부(60)는 제2 리프터(540)의 체크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65). 제어부(60)는 리프터(640)의 체크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66).
제어부(60)는 안마 장치(1, 100, 200, 300, 400, 500, 600)가 일반 모드(NM)와 스윙 모드(SM)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리프터(40, 140, 540, 60)와, 리클라이닝 모드(RM)를 수행하기 위한 리클라인 가이더(50, 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또는 별도로 제어부(60)는 안마 모듈(15)를 구동시키기 위한 안마 모듈(15)의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67).
이러한 구조를 통해, 안마 장치(1,100, 200, 300, 400, 500, 600)는 사용자(U)의 선호에 따른 다양한 모드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는 만족도 높은 휴식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100, 200, 300, 400, 500, 600: 안마 장치
10, 210: 시트 프레임
20, 220, 620: 레그
30, 230, 330, 430: 베이스 프레임
40, 140, 540, 640: 리프터
50, 150: 리클라인 가이더
60: 제어부

Claims (18)

  1. 안마를 제공하도록 안마 모듈이 마련되는 시트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레그;
    바닥에 지지되도록 상기 레그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가 상기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시트 프레임이 상기 바닥에 대해 흔들리는 것(to rock)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를 들어올리도록 마련되는 리프터(Lifter); 를 포함하는 안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바닥과 마주하는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이 상기 바닥에 대해 구를 수 있도록 상기 바닥을 향하여 볼록하게 커브드될 수 있는 안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변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리프터에 의해 상기 바닥을 향하여 볼록하게 벤딩되거나 상기 바닥에 나란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부에 결합되는 안마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일측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부에 결합되고 타측에서 상기 시트 프레임에 결합되는 안마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제1 리프터이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제2 리프터를 더 포함하는 안마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후방부를 상기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리는 스윙 모드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부를 상기 바닥과 나란하게 배치시키는 일반 모드 사이에서 조절되는 안마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에 마련되는 미들부에 결합되는 안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전방부 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후방부가 상기 바닥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일반 모드와 상기 전방부 또는 상기 후방부가 상기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려지도록 상기 미들부를 푸시하는 스윙 모드 사이에서 조절되는 안마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마 장치가 안마 모드와 스윙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상기 안마 모듈과 상기 리프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윙 모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는 상기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안마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마 모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바닥에 대해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바닥에 지지되는 안마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마 모드와 상기 스윙 모드가 함께 수행되도록 상기 안마 모듈 및 상기 리프터를 제어하는 안마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시트 프레임을 뒤로 젖히도록(recline) 상기 시트 프레임을 푸시 가능한 리클라인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안마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인 가이더는 상기 시트 프레임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에 연결되는 안마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마 장치가 안마 모드와 스윙 모드와 리클라이닝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상기 안마 모듈과 상기 리프터와 상기 리클라인 가이더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클라인 가이더가 상기 시트 프레임을 푸시하도록 제어한 뒤에 상기 리프터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를 상기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리도록 제어하는 안마 장치.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서로 핀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바디와 복수의 연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바디는 전방 홀과 후방 홀을 포함하는 제1 연결바디와 상기 제1 연결바디의 상기 후방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방 홀과 후방 홀을 포함하는 제2 연결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핀은 상기 제1 연결바디의 상기 후방 홀과 상기 제2 연결바디의 상기 전방 홀에 삽입되는 안마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안마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인 가이더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안마 장치.
KR1020220092799A 2022-07-26 2022-07-26 안마 장치 KR20240014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799A KR20240014969A (ko) 2022-07-26 2022-07-26 안마 장치
PCT/KR2023/007013 WO2024025109A1 (ko) 2022-07-26 2023-05-23 안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799A KR20240014969A (ko) 2022-07-26 2022-07-26 안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969A true KR20240014969A (ko) 2024-02-02

Family

ID=8970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799A KR20240014969A (ko) 2022-07-26 2022-07-26 안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4969A (ko)
WO (1) WO202402510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7556U (ko) * 1985-11-25 1987-06-04
KR20160025195A (ko) * 2014-08-27 2016-03-08 이지수 흔들의자로 변형되는 의자
CN206660087U (zh) * 2016-12-26 2017-11-24 福建荣耀健身器材有限公司 一种前移零重力按摩椅架
KR20200125803A (ko) * 2019-04-25 2020-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마장치 및 안마장치의 제어방법
CN210727239U (zh) * 2019-08-13 2020-06-12 厦门爱玛康科技有限公司 具有摇摆功能的按摩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5109A1 (ko)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1306B1 (en) Seats
EP2016866B1 (en) Chair-type massage machine
WO2011052099A1 (ja) ロッキング椅子
CN101564344B (zh) 座椅型按摩机
KR101266497B1 (ko) 가변 시트형 안마 의자
JP4037674B2 (ja) 椅子
JP2010042180A (ja) マッサージ機
KR101359212B1 (ko) 마사지기
KR102458290B1 (ko) 리클라이닝 의자
JP2015002966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2014151014A (ja) マッサージ機
KR20240014969A (ko) 안마 장치
KR20150060230A (ko) 팔걸이부에 틸팅부가 구비된 의자
JP2006095144A (ja) 椅子、車いす、マッサージ椅子
KR101193567B1 (ko) 좌식 의자
KR20210115779A (ko) 안마장치
KR20210021208A (ko) 안마장치
JP2001275776A (ja) 座椅子
JP6539803B2 (ja) 腰臀部押圧伸展器
KR102617406B1 (ko) 통기성이 향상된 파손방지 기능을 갖는 좌식의자
KR102491240B1 (ko) 틸트기능을 갖는 의자
CN219270529U (zh) 一种可活动腰部的功能椅
KR102458967B1 (ko) 허리 밀착 의자
CN213849651U (zh) 一种靠背倾角可调式办公椅
CN107921309B (zh) 运动辅助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