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597B1 -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597B1
KR101192597B1 KR1020100134796A KR20100134796A KR101192597B1 KR 101192597 B1 KR101192597 B1 KR 101192597B1 KR 1020100134796 A KR1020100134796 A KR 1020100134796A KR 20100134796 A KR20100134796 A KR 20100134796A KR 101192597 B1 KR101192597 B1 KR 101192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ingerprint reader
opening
door lock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2876A (ko
Inventor
한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큐챌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큐챌린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큐챌린지
Priority to KR1020100134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597B1/ko
Publication of KR20120072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간단한 조작으로 개폐를 할 수 있고, 보다 세련된 디자인이 가능하며, 지문 인식기의 위치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도록 개선된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사용되는 지문 인식기용 커버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태의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네 개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지문 인식기를 수용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이 배치된 상태에서 아래위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마주보는 측벽에 서로 대칭으로 마련되며 하단부로부터 상단부쪽으로 갈수록 상기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도록 마련되는 홈부인 가이드 홈;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지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개방시켜 상기 지문 인식기가 노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여 상기 지문 인식기를 보호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를 가압하는 판 스프링인 제1스프링; 및,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할때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1스프링을 가압함에 따라 제1스프링에 의해 눌려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활성화하는 웨이크업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전체적인 크기를 줄임으로써 설치 위치에 제한을 없애 자유로운 디지털 도어락의 디자인이 가능하도록 하고, 손가락 하나만으로 간단히 개폐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Cover for Digital Doorlock Fingerprint recognizer}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간단한 조작으로 개폐를 할 수 있고, 보다 세련된 디자인이 가능하며, 지문 인식기의 위치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도록 개선된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생체인식 기술 중의 하나인 지문 인식기가 도어락 장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지문은 태어나면서 죽을때 까지 같은 형태를 유지하며, 상처가 생기는 경우에도 금방 기존의 형태로 재생되기 때문에 지문이 바뀌는 경우는 거의 생기지 않으며, 다른 사람과 동일한 형태의 지문을 가질 확률은 10억분의 1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지문인식은 지문의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전자적으로 읽어 미리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인 지문인식 방식에는 광학식과 반도체 방식이 있다. 광학식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으로 강한 빛을 팰르튼(platen)에 조사하고 플래튼에 얹혀진 지문의 형태를 반사하면 반사된 지문의 이미지가 고굴절 렌즈를 통과해 CCD에 입력되는 방식이다. 반도체 방식은 피부의 전기전도 특성을 이용하여 실리콘 칩 표면에직접 손 끝을 접촉하면 칩 표면에 접촉된 지문의 특수한 모양을 전기 신호로 읽어 들이는 방식이다.
이러한 지문 인식기가 사용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경우 지문 인식부의 오염방지를 위하여 커버를 씌우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 인식부(1)와 숫자 키패드(2)를 동시에 덮을 수 있는 슬라이딩 방식의 커버(3)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도 1에는 커버(3)가 도면상의 윗쪽으로 이동하여 지문 인식부(1)와 숫자 키패드(2)가 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커버(3)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지문 인식부(1)와 숫자 키패드(2)가 숨겨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의 경우 숫자 키패드와 지문 인식부를 모두 덮는 방식인데 커버를 슬라이드 하기 위해서는 손 전체를 이용하여 어느 정도 힘을 가해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슬라이딩을 위한 가이드를 형성하기 위하여 도어록 장치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져야 하고 슬라이딩 길이 확보를 위하여 아래위 방향으로도 길어야 하므로 디자인 상의 제약이 많았다. 또한, 지문 인식부의 위치에도 제한이 있었는데, 커버(3)를 상부로 최대한 슬라이딩 상태에서의 커버(3)의 하단부에 비하여 지문 인식부(2)가 아래에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다 간단한 조작으로 개폐가 가능하고 지문인식기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이며 보다 심플한 구조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사용되는 지문 인식기용 커버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태의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네 개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지문 인식기를 수용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이 배치된 상태에서 아래위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마주보는 측벽에 서로 대칭으로 마련되며 하단부로부터 상단부쪽으로 갈수록 상기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도록 마련되는 홈부인 가이드 홈;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지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개방시켜 상기 지문 인식기가 노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여 상기 지문 인식기를 보호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를 가압하는 판 스프링인 제1스프링; 및,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할때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1스프링을 가압함에 따라 제1스프링에 의해 눌려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활성화하는 웨이크업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 중 상기 가이드 홈이 마련된 한 쌍의 측벽에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로부터 중앙부까지 마련되는 홈인 제2가이드 홈과,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제2가이드 홈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 하는 제2가이드 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를 가압하는 제2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스프링이 상기 웨이크업 스위치를 누르지 않는 방향으로 제1스프링을 가압하는 제3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전체적인 크기를 줄임으로써 설치 위치에 제한을 없애 자유로운 디지털 도어락의 디자인이 가능하도록 하고, 손가락 하나만으로 간단히 개폐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의 커버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의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에 커버부재가 결합한 상태 중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에 커버부재가 결합한 상태 중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커버부재가 프레임에 결합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의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에 커버가 결합한 상태 중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에 커버가 결합한 상태 중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커버가 프레임에 결합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사용되는 지문 인식기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프레임(10), 가이드 홈(121), 제2가이드 홈(122), 커버부재(20), 제1스프링(31), 제2스프링(32), 제3스프링(33), 웨이크업 스위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11)와상기 개구부(11)로부터 연장되는 네 개의 측벽(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의 측벽(12)들에 의해 이루어진 공간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문 인식기가 수용된다.
상기 측벽(12)에 중 어느 한 쌍의 측벽에는 제1가이드 홈(121)과 제2가이드 홈(122)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가이드 홈(121)과 제2가이드 홈(122)은 상기 프레임(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아래위 방향으로 배치되는 측벽에 마련되며, 한 쌍의 측벽 각각에 상기 제1가이드 홈(121)과 제2가이드 홈(122)가 미러 이미지의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1가이드 홈(121)은 측벽에 마련되는 홈인데 측벽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쪽으로 갈수록 개구부(12)로부터 멀어지게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측벽(12)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갈수록 개구부(12)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상기 제2가이드 홈(122)은 상기 개구부(11)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으로서, 측벽의 상단부로부터 중앙부까지 형성된 홈이다.
상기 커버부재(20)는 상기 개구부(11)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구성으로서, 제1가이드 돌기(21)와 제2가이드 돌기(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재(20)의 위치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를 개방하는 위치인 경우 그 내부에 수용되는 지문 인식기(미도시)가 노출된 상태가 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를 폐쇄하는 위치인 경우 지문 인식기(미도시)가 외부로부터 차단되어 지문 인식기를 보호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커버부재(20)의 제1가이드 돌기(21)는 한 쌍이 마련되어 각각 한 쌍의 제1가이드 홈(121)을 따라 이동하고, 제2가이드 돌기(22)는 한 쌍이 마련되어 각각 한 쌍의 제2가이드 홈(122)을 따라 이동하면서 커버부재(2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한다.
상기 제1스프링(31)은 상기 커버부재(20)가 상기 프레임(10)의 개구부(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가이드 돌기(21)를 가압하는 판 스프링이다.
상기 제1스프링(31)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 홈(121)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가이드홈(121)과 마찬가지로 양 측벽에 각각 하나씩 모두 한 쌍이 마련된다.
상기 제2스프링(32)은 상기 제1스프링(31)과 마찬가지로 커버부재(20)가 개구부(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 돌기(21)를 가압한다.
상기 웨이크업 스위치(40)는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활성화하는 스위치이다.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전원을 절약하기 위하여 사용을 하지 않은 때에는 비활성화 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커버를 열거나 숫자 버튼 등을 누르게 되면 활성화 되는데 웨이크업 스위치는 커버를 여는 과정에서 어떤 메커니즘에 의해 눌려지게 되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활성화하는 스위치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20)가 개구부(11)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1가이드 돌기(21)가 상기 제1스프링(31)을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제1스프링(31)이 웨이크업 스위치(40)의 버튼을 누름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활성하하게 되고, 반대로 커버부재(20)가 개구부(11)를 폐쇄하는 위치가 되면 제1가이드 돌기(21)가 제1스프링(31)을 가압하는 상태가 해제되면서 웨이크업 스위치(40)를 누르는 상태가 해제되어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활성화 역시 해제되게 된다.
이때 제3스프링(33)이 상기 제1스프링(31)이 상기 웨이크업 스위치(40)를 누르는 반대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커버부재(20)가 개구부(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때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활성화 해제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지문을 인식하는 매커니즘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앞서 실시한 각 구성의 기능,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프레임(10)과 커버부재(20)는 폐쇄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지문 인식기를 보호하게 된다. 프레임(10)과 커버부재(20)의 크기는 지문 인식기를 덮을 수준이면 되므로 작게 만들 수 있고 사용자는 손가락 하나만 움직여도 커버부재(20)를 움직여 프레임(10)의 개구부(11)를 개방할 수 있게 되므로 매우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고, 디자인 상의 제약도 상당 부분 없어지게 된다.
사용자가 커버부재(20)를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움직이게 되면 움직이는 과정에서 제1가이드 돌기(21)가 제1스프링(31)에 힘을 가하게 되고 이 힘에 의해 웨이크업 스위치(40)를 눌러 디지털 도어락 장치가 활성화 되어 지문 인식기 역시 활성화되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커버부재(20)에서 손을 떼는 경우 기본적으로 커버부재(20)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커버부재(20)의 자중에 의해 개구부(11)를 폐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중 이외에도 제1스프링(31)과 제2스프링(32)이 커버부재(20)가 개구부(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가압하고 있고, 제3스프링(33)도 제1스프링(31)이 웨이크업 스위치(40)를 누르는 반대방향으로 탄성가압하고 있는데 이러한 탄성가압에 의해 제1스프링(31)에 탄성복원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커버부재(20)가 개구부(11)를 폐쇄하도록 힘을 가하게 되며 이러한 커버부재(20)의 이동에 의해 웨이크업 스위치(40)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됨으로써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활성화가 해제된다. 물론 웨이크업 스위치(40)를 누르는 힘이 해제되는 순간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활성화가 해제되는 것이 아니라 몇 초 정도의 타임 딜레이를 가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어긋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로 구체화될 수 있다.
10 : 프레임 11 : 개구부
12 : 격벽 121 : 제1가이드 홈
122 : 제2가이드 홈 20 : 커버부재
21 : 제1가이드 돌기 22 : 제2가이드 돌기
31 : 제1스프링 32 : 제2스프링
33 : 제3스프링 40 : 웨이크업 스위치

Claims (4)

  1.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사용되는 지문 인식기용 커버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태의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네 개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지문 인식기를 수용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측벽 중 어느 한 쌍의 마주보는 측벽에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쪽으로 갈수록 상기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도록 마련되는 홈부인 제1가이드 홈;
    상기 제1가이드 홈에 끼워지는 한 쌍의 제1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개방시켜 상기 지문 인식기가 노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여 상기 지문 인식기를 보호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가이드 돌기를 가압하는 판 스프링인 제1스프링; 및,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할때 상기 제1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1스프링을 가압함에 따라 제1스프링에 의해 눌려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활성화하는 웨이크업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측벽들 중 상기 제1가이드 홈이 마련된 한 쌍의 측벽에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로부터 중앙부까지 마련되는 홈인 제2가이드 홈과,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제2가이드 홈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 하는 제2가이드 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 돌기를 가압하는 제2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이 상기 웨이크업 스위치를 누르지 않는 방향으로 제1스프링을 가압하는 제3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
KR1020100134796A 2010-12-24 2010-12-24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 KR101192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796A KR101192597B1 (ko) 2010-12-24 2010-12-24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796A KR101192597B1 (ko) 2010-12-24 2010-12-24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876A KR20120072876A (ko) 2012-07-04
KR101192597B1 true KR101192597B1 (ko) 2012-10-18

Family

ID=46707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796A KR101192597B1 (ko) 2010-12-24 2010-12-24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5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437B1 (ko) * 2013-12-13 2014-12-10 (주)에버넷 지문인식 디지털 도어락
KR101883676B1 (ko) * 2017-09-29 2018-08-01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지문 및 지정맥의 인증처리시 비밀번호입력을 위한 키패드모듈이 형성된 도어록
CN109898924B (zh) * 2019-03-11 2023-11-17 苏州琨山通用锁具有限公司 智能门锁半隐藏式指纹头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876A (ko)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14165C2 (ru) Идентифицирующий отпечаток пальца датчик с интегрированным нажимным выключателем
US6504945B1 (en) System for promoting correct finger placement in a fingerprint reader
KR101192597B1 (ko)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
US3804524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fingerprint identification
KR101067098B1 (ko) 생체인증장치
WO2006050513A3 (en) Finger guide device
JP2010256971A (ja) 生体認証装置
KR101726993B1 (ko) 지문인식모듈의 고정 구조
WO2006057691A1 (en) Protective cover for a biometric sensor
KR101568031B1 (ko)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
KR100587885B1 (ko) 지문 입력장치
KR101799074B1 (ko) 지정맥 인식이 가능한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지정맥 측정 방법
KR20140015016A (ko) 도어락의 지문 인식부 개폐 장치
KR100596454B1 (ko) 세척기능을 구비한 지문인식장치
KR101044145B1 (ko) 광학 포인팅 장치
JP6957025B2 (ja) 血流認証装置
KR100622273B1 (ko)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
CN101614087B (zh) 门锁装置的外侧主体
KR101079728B1 (ko)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KR20090012019U (ko)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
KR101744094B1 (ko)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
KR200203947Y1 (ko) 지문인식장치의 개폐장치
KR100525122B1 (ko) 지문인식장치 입력부의 보호 커버
EP4242903A1 (en) Terminal apparatus assembly and terminal equipment including same
JPH04242486A (ja) 指紋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