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273B1 -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2273B1 KR100622273B1 KR1020040102324A KR20040102324A KR100622273B1 KR 100622273 B1 KR100622273 B1 KR 100622273B1 KR 1020040102324 A KR1020040102324 A KR 1020040102324A KR 20040102324 A KR20040102324 A KR 20040102324A KR 100622273 B1 KR100622273 B1 KR 1006222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fingerprint
- prism
- shutter
- p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24—Sensors therefor by using geometrical optics, e.g. using pris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29—Protecting the fingerprint sensor against damage caused by the fing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G06V40/1376—Matching features related to ridge properties or fingerprint textur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41—Sensing with light passing through the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터(shutter)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빛을 입사하기 위한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입사되는 빛의 방향을 바꾸어 접촉되는 사용자의 지문 영상을 생성하는 프리즘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등록된 지문과 비교 및 확인할 수 있는 지문인식센서모듈; 상기 프리즘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프리즘의 상부에 배치되는 노출개구가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문인식센서모듈이 수용설치되는 케이싱; 및 각 일측 단부가 상호 접촉되어 상기 노출개구를 차단하는 폐쇄위치와, 각 일측단부가 상호 이격되어 상기 노출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싱에 상호 대향되게 결합되며,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는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 손가락의 바닥면이 접촉되어 하방으로 가압되면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한 쌍의 개폐부재를 갖는 셔터(shutter);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가 상기 손가락을 상기 프리즘에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단순한 구조로서 프리즘에 손가락을 접촉시키지 않고서도 지문을 인식시킬 수 있고 프리즘을 보호하는 셔터를 반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어, 이물질이 표면에 부착되는 것과 흠집의 발생 등으로 인한 프리즘의 손상을 종래 보다 더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인식률을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시에 사용자가 위생상 꺼리지 않고 사용자의 사용이 편리하다.
지문인식장치, 지문, 비접촉, 셔터, 개폐부재, 토오션 스프링, 이격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지문인식장치의 셔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측면도,
도 6은 도 1의 지문인식장치의 셔터개방감지센서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 3 : 손가락
10 : 지문인식센서모듈 11 : 프리즘
20 : 케이싱 21 : 노출개구
23 : 스톱퍼 30 : 셔터
31 : 개폐부재 32 : 수평부재
32a : 경사부 33 : 걸림편
34 : 수직부재 37 : 토오션 스프링
40 : 셔터개방감지센서 41 : 피감지돌기
본 발명은,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프리즘에 접촉하지 않고서도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문이라 함은 손가락 끝마디의 바닥면에 있는 융선(隆線)이 만드는 무늬를 말하며, 여기서 융선이라는 것은 땀샘의 출구(땀구멍) 부분이 주위보다 융기하고, 또한 이것이 서로 연락하여 밭고랑 모양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말한다. 그런데 손가락 끝마디의 바닥면에 있는 이 무늬는 평생 불변이며 또한 만인이 같지 않으므로 이것을 증거로 하여 개인식별(個人識別)에 이용되고 있다.
최근 정보화 시대가 되어감에 따라 개인 정보의 보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데, 그 동안에 많은 사람들이 개인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비밀번호나 열쇠, 카드 같은 물리적 도구가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도구가 다른 사람에게 유출되거나 잃어버리기 쉽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지문을 사용하여 개인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따라서 근자에 사용자의 지문을 전자적으로 읽어 미리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해 본인 여부를 확인하는 지문인식장치가 개발되어 실제로 각종 기계 등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지문인식장치는 특별히 보안이나 방범시스템 등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데, 지문인식장치는 타인에 의해 도용당할 위험이 없고 열쇠와 같은 별도의 기구를 소 지하고 다닐 필요가 없는 장점으로 인해 열쇠나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접근제한 방식을 빠르게 대체해나가고 있다.
지문인식장치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밝기의 빛을 입사하기 위한 광원과, 광원에서 입사되는 빛의 방향을 바꾸어 접촉되는 사용자의 지문 영상을 생성하는 프리즘과, 생성된 지문 영상을 집광하는 포커스렌즈와, 집광된 광을 광전변환하는 고체촬상소자와, 광전변환된 전기신호를 지문패턴(Pattern) 영상으로 신호처리하는 영상신호처리부와, 지문패턴 영상을 기설정된 기준패턴영상과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별하는 패턴 레컨나이저 (Recognizer)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통상적인 지문인식장치로서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는,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 바닥면을 프리즘에 직접 접촉시키면 손가락 바닥면의 지문을 인식하여 등록된 지문과 비교 및 확인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손가락 바닥면이 접촉되는 프리즘이 외부로 노출되고 지문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이 프리즘에 사용자의 손가락 바닥면을 접촉시켜야 하는 접촉식으로서, 프리즘이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프리즘이 오염되기 쉬우며 또한 흠집의 발생 등으로 인한 프리즘의 손상의 위험이 많고 결과적으로 인식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리즘에 손가락의 바닥면이 직접 접촉되어야 하는 구조이므로 손가락 바닥면에 의한 오염으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워 인식률이 저하되고 다음 사용자가 사용 시에 위생상으로 꺼려해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 219128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 지문인식장치는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에서 프리즘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점을 고려한 것으로서, 지문인식장치의 케이싱에 지문인식장치의 감지부 보다 정확하게는 외부로 노출되는 프리즘을 보호하는 커버를 설치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는 한 손으로 스위치를 눌러서 프리즘을 보호하는 커버를 개방시킨 후 프리즘에 손가락을 올려 지문이 인식되도록 한 뒤 지문인식작업이 끝난 후에는 커버를 직접 잡고서 닫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평상시에는 커버가 프리즘을 덮고 있으므로 어느 정도 이물질에 의한 프리즘 표면의 오염을 방지하고 흠집의 발생 등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직접 한 손으로 스위치를 눌러서 커버를 개방시키고 지문인식작업이 끝난 후에는 커버를 손으로 잡고서 직접 닫아야 하는 등 거의 수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에 있어서 번거러우며 특히 사용자에 따라 커버의 닫힘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만약 이러한 구조에서 자동으로 커버를 개폐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모터를 설치해야 하는 등 구조가 복잡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문인식장치는 모두 프리즘에 손가락의 바닥면을 접촉시켜야만 되는 구조이므로 손가락 바닥면의 접촉에 의하여 프리즘 표면이 더럽혀져 인식률이 저하되며 다음 사용자가 위생상 꺼리게 되는 공통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순한 구조로서 프리즘에 손가락을 접촉시키지 않고서도 지문을 인식시킬 수 있고 프리즘을 보호하는 셔터를 반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어, 이물질이 표면에 부착되는 것과 흠집의 발생 등으로 인한 프리즘의 손상을 종래 보다 더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인식률을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시에 사용자가 위생상 꺼리지 않고 사용자의 사용이 편리한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빛을 입사하기 위한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입사되는 빛의 방향을 바꾸어 접촉되는 사용자의 지문 영상을 생성하는 프리즘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등록된 지문과 비교 및 확인할 수 있는 지문인식센서모듈; 상기 프리즘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프리즘의 상부에 배치되는 노출개구가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문인식센서모듈이 수용설치되는 케이싱; 및 각 일측 단부가 상호 접촉되어 상기 노출개구를 차단하는 폐쇄위치와, 각 일측단부가 상호 이격되어 상기 노출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싱에 상호 대향되게 결합되며,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는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 손가락의 바닥면이 접촉되어 하방으로 가압되면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한 쌍의 개폐부재를 갖는 셔터(shutter);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가 상기 손가락을 상기 프리즘에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케이싱에 대하여 상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셔터는,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를 상호 대향되는 내측으로 회전시키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토오션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에는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상기 개방위치에서 회동을 멈추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는 상호 대향되는 측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하강되는 형상의 경사부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폐부재의 측부에 결합되는 피감지돌기; 및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가 상기 개방위치로의 이동에 연동된 상기 피감지돌기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을 감지하는 셔터개방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면 셔터가 개방위치에 온 때에 지문인식센서모듈을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셔터개방감지센서는, 빛을 감지하고 있다가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가 상기 개방위치에 놓일 때 상기 피감지돌기가 상기 빛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피감지돌기의 이동을 감지하는 광센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지문인식장치의 셔 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지문인식장치의 셔터개방감지센서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1)는, 사용자의 지문을 판독하여 등록된 지문과 비교 및 확인할 수 있는 지문인식센서모듈(10)과, 개구된 형상의 노출개구(21)가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지문인식센서모듈(10)이 수용설치되는 케이싱(20)과, 케이싱(20)에 설치되어 노출개구(21)를 개폐하는 한 쌍의 개폐부재(31)를 갖는 셔터(30)를 구비한다. 여기서 지문인식센서모듈(10)은 프리즘(11)을 가지는데, 노출개구(21)는 프리즘(11)의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개폐부재(31)는 각 일측 단부가 상호 접촉되어 노출개구(21)를 차단하는 폐쇄위치와, 각 일측 단부가 상호 이격되어 노출개구(21)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케이싱(20)에 결합되며, 초기에 폐쇄위치에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가 손가락(3)의 바닥면이 접촉되어 하방으로 가압되면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개방위치에서 한 쌍의 개폐부재(31)는 손가락(3)을 프리즘(11)에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여 지문인식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프리즘(11)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우선, 지문인식센서모듈(10)은, 일정한 밝기의 빛을 입사하기 위한 광원(미도시)과, 광원에서 입사되는 빛의 방향을 바꾸어 접촉되는 사용자의 지문 영상을 생성하는 프리즘(11)과, 생성된 지문 영상을 집광하는 포커스렌즈(미도시)와, 집광된 광을 광전변환하는 고체촬상소자(미도시)와, 광전변환된 전기신호를 지문패턴(Pattern) 영상으로 신호처리하는 영상신호처리부(미도시)와, 지문패턴 영상을 기 설정된 기준패턴영상과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별하는 패턴 레컨나이저(Recognizer)(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러한 지문인식센서모듈(10)은 케이싱(20)에 수용설치되며, 프리즘(11)과 이격된 상태에서 개폐부재(31)에 의하여 지지되는 손가락(3)의 지문을 인식한 뒤 등록된 지문과 비교 및 확인하여 본인여부 판정 등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판독된 지문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별도로 더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케이싱(20)은, 프리즘(11)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프리즘(11)과 대향되는 부분이 개구된 노출개구(21)를 갖는다. 또한 한 쌍의 개폐부재(31)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회동 시에 개방위치보다 더 밑으로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도록 개방위치에서 한 쌍의 개폐부재(31)의 회동을 멈추게 하는 스톱퍼(stopper)(23)가 케이싱(20)의 상단부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스톱퍼(23)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방위치에서 한 쌍의 개폐부재(31)가 손가락(3)을 프리즘(11)에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여야 하므로, 한 쌍의 개폐부재(31)가 손가락(3) 바닥면의 폭 보다 좁은 폭만큼 이격된 위치에 있도록 마련되어 손가락(3)이 한 쌍의 개폐부재(31) 사이로 빠져 프리즘(11)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셔터(30)는, 전술한 한 쌍의 개폐부재(31)와, 한 쌍의 개폐부재(31)에 결합되어 한 쌍의 개폐부재(31)를 상호 대향되는 내측으로 회전시키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토오션 스프링(37)을 갖는다. 개폐부재(31)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하도록 케이싱(20)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예를 들어 케이싱(20)의 내측벽에 안내그루브를 형성하고 개폐부재(31)를 폐쇄위치로 탄성바이어스시키도록 안 내그루브 상의 바닥에 압축스프링을 설치하며 손가락(3)의 접촉에 의한 가압 시에 개폐부재(31)가 안내그루브를 따라 이동하게 하도록 개폐부재(31)를 케이싱(20)에 결합시키는 방법과 같이 다양하게 있을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20)에 대하여 한 쌍의 개폐부재(31)가 상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토오션 스프링(37)이 한 쌍의 개폐부재(31)에 결합되어 개폐부재(31)들이 초기 상태에서 폐쇄위치에 있도록 한 쌍의 개폐부재(31)를 상호 대향되는 내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도 3에서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31)는, 토오션 스프링(37)에 의해 개폐부재(31)가 폐쇄위치에서 탄성바이어스되도록 토오션 스프링(37)에 걸림지지되는 걸림편(33)과, 한 쌍의 수직부재(34)와, 수직부재(34)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부재(32)를 갖는다. 왼쪽의 개폐부재(31)의 수직부재(34)는 오른쪽의 개폐부재(31)의 수직부재(34)와 회동 시에 간섭을 방지하도록 각 수평부재(32)의 폭 방향의 중심축 선상에서 다소 거리 차를 두고서 배치되어 있으며, 수평부재(32)는 왼쪽의 수평부재(32)와 오른쪽의 수평부재(32)가 상호 대향되는 측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하강되는 형상의 경사부(32a)를 갖는다. 이러한 경사부(32a)에 의하여 한 쌍의 개폐부재(31)의 윗면 형상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손가락(3)의 바닥면의 형상과 대략 유사한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한 쌍의 개폐부재(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폐부재(31)의 측부에는 피감지돌기(41)가 측부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피감지돌기(41)는 한 쌍의 개폐부재(31)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될 때 함게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은 피감지돌기(41)의 이동은 셔터 개방감지센서(40)가 감지하게 된다.
셔터개방감지센서(40)는 피감지돌기(41)의 이동을 감지하여 개폐부재(31)가 개방위치로 이동되어 개방되었음을 감지하게 된다. 셔터개방감지센서(40)는 광센서로서, 개폐부재(31)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빛을 감지하고 있다가 한 쌍의 개폐부재(31)가 개방위치에 놓여 피감지돌기(41)가 빛을 차단하게 되면 피감지돌기(41)의 이동을 감지하게 된다. 셔터개방감지센서(40)가 셔터(30)의 개방을 감지하게 되면 이 때 지문인식센서모듈(10)이 작동되어 지문인식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 한 쌍의 개폐부재(31)는, 토오션 스프링(37)이 한 쌍의 개폐부재(31)의 걸림편(33)을 한 쌍의 개폐부재(31)의 상호 대향되는 내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고 있기 때문에, 케이싱(20)의 노출개구(21)를 차단하는 폐쇄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3) 바닥면을 한 쌍의 개폐부재(31)의 상부면에 접촉시킨 뒤 토오션 스프링(37)의 탄성력을 이기는 힘으로 누르게 되면 케이싱(20)에 상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개폐부재(31)는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 1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개방위치에서 한 쌍의 개폐부재(31)는 스톱퍼(23)에 의하여 회동을 멈추게 되고 손가락(3)은 한 쌍의 개폐부재(31)의 내측 단부에 각각 양 측부가 걸친 상태로 그리고 지문인식센서모듈(10)의 프리즘(1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개폐부재(31)에 의하여 지지되게 된다.
한편, 개폐부재(31)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회동하게 되면 개폐부재(31)의 상호 대향되는 측의 반대측에 결합되어 있는 피감지돌기(41)도 하방으로 내려오게 되고 이에 따라 피감지돌기(41)는 셔터개방감지센서(40)가 감지하고 있던 빛을 차단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셔터개방감지센서(40)는 한 쌍의 개폐부재(31)가 개방위치에 놓였음을 감지하게 된다.
도 1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개방위치에서 개폐부재(31)는 손가락(3)이 프리즘(11)과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에서 지지하게 되는데, 개폐부재(31)가 개방위치에 놓였음을 셔터개방감지센서(40)가 감지하게 되면, 프리즘(11)과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고 있는 손가락(3)에 대하여 지문인식센서모듈(10)은 지문인식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지문인식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손가락(3)을 위로 들어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개폐부재(31)에 가해졌던 힘이 해제되어 한 쌍의 개폐부재(31)는 토오션 스프링(3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개방위치에서부터 폐쇄위치로 회동하여 처음 상태로 유지된다. 즉 프리즘(11)의 상부에 배치되는 케이싱(20)의 노출개구(21)를 개폐하는 한 쌍의 개폐부재(31)의 개폐동작을 단순히 손가락(3)을 개폐부재(31)에 접촉 및 접촉해제시키는 단순한 동작으로 다시 말해서 반자동으로 달성할 수 있으며, 프리즘(11)에 손가락의 바닥면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문인식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프리즘(11)에 손가락(3)의 바닥면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문인식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리즘(11)의 표면이 오염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위생상 꺼리지 않게 된다. 또한 지문인식작업을 하지 않는 동안에는 개폐부재(31)가 케이싱(20)의 노출개구(21)를 차단하는 폐쇄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 때에는 외부로부터 먼지가 케이싱(20)으로 유입되지 않게 되어 프리즘(11)의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이 종래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되며 흠집의 발생 등으로 프리즘(11)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도 종래 보다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개폐부재(31)가 케이싱(20)에 대하여 상대회동하여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케이싱(20)의 내측벽에 안내그루브를 형성하고 개폐부재(31)를 폐쇄위치로 탄성바이어스시키도록 안내그루브 상의 바닥에 압축스프링을 설치하고 손가락(3)의 접촉에 의한 가압 시에 개폐부재(31)가 안내그루브를 따라 이동하게 하도록 개폐부재(31)를 케이싱(20)에 결합시키는 경우와 같이 한 쌍의 개폐부재(31)가 케이싱(2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여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셔터개방감지센서(40)가 부착되어 개폐부재(31)가 개방위치에 놓인 것을 감지한 때에 지문인식작업이 수행되도록 한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셔터개방감지센서(40)와 피감지돌기(41)를 구성하지 않고 별도로 구성된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손가락(3)을 접촉시키라는 안내를 한 뒤 적절한 시간 동안에 지문인식센서모듈(10)이 지문인식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로서 프리즘에 손가락을 접촉시키지 않고서도 지문을 인식시킬 수 있고 프리즘을 보호하는 셔터를 반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어, 이물질이 표면에 부착되는 것과 흠집의 발생 등으로 인한 프리즘의 손상을 종래 보다 더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인식률을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시에 사용자가 위생상 꺼리지 않고 사용자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6)
- 빛을 입사하기 위한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입사되는 빛의 방향을 바꾸어 접촉되는 사용자의 지문 영상을 생성하는 프리즘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등록된 지문과 비교 및 확인할 수 있는 지문인식센서모듈;상기 프리즘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프리즘의 상부에 배치되는 노출개구가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문인식센서모듈이 수용설치되는 케이싱; 및각 일측 단부가 상호 접촉되어 상기 노출개구를 차단하는 폐쇄위치와, 각 일측단부가 상호 이격되어 상기 노출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싱에 상호 대향되게 결합되며,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는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 손가락의 바닥면이 접촉되어 하방으로 가압되면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한 쌍의 개폐부재를 갖는 셔터(shutter);를 포함하며,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가 상기 손가락을 상기 프리즘에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케이싱에 대하여 상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상기 셔터는,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를 상호 대향되는 내측으로 회전시키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토오션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싱에는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상기 개방위치에서 회동을 멈추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는 상호 대향되는 측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하강되는 형상의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폐부재의 측부에 결합되는 피감지돌기; 및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가 상기 개방위치로의 이동에 연동된 상기 피감지돌기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을 감지하는 셔터개방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셔터개방감지센서는, 빛을 감지하고 있다가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가 상기 개방위치에 놓일 때 상기 피감지돌기가 상기 빛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피감지돌기의 이동을 감지하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02324A KR100622273B1 (ko) | 2004-12-07 | 2004-12-07 |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02324A KR100622273B1 (ko) | 2004-12-07 | 2004-12-07 |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63213A KR20060063213A (ko) | 2006-06-12 |
KR100622273B1 true KR100622273B1 (ko) | 2006-09-19 |
Family
ID=37159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02324A KR100622273B1 (ko) | 2004-12-07 | 2004-12-07 |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2227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11797A (zh) * | 2020-03-31 | 2020-06-19 | 浙江南方九星科技产业发展有限公司 | 一种智能家居安全防护锁 |
-
2004
- 2004-12-07 KR KR1020040102324A patent/KR10062227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63213A (ko) | 2006-06-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01847B2 (en) | System for promoting correct finger placement in a fingerprint reader | |
KR100333138B1 (ko) | 광학식 지문입력장치의 잔류지문 판별방법 | |
US9305202B2 (en) | Portable device having fingerprint recognition function | |
JPH11225998A (ja) | 指紋検知装置および電気機器および扉開閉装置 | |
KR101067098B1 (ko) | 생체인증장치 | |
CN108038479B (zh) | 指纹识别装置及识别方法 | |
JP4484087B2 (ja) | 指紋認証機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方法 | |
KR100622273B1 (ko) | 셔터를 구비한 지문인식장치 | |
WO2022095084A1 (zh) | 一种用于门禁系统的指纹识别装置 | |
JPH10269344A (ja) | 指紋読み取り装置 | |
KR100596454B1 (ko) | 세척기능을 구비한 지문인식장치 | |
KR20060093444A (ko) | 손의 정맥 패턴을 이용한 개인 인식 장치 | |
EP3347855B1 (en) | Non-contact friction ridge capture device | |
KR101192597B1 (ko) |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 | |
KR100587885B1 (ko) | 지문 입력장치 | |
KR101812513B1 (ko) | 카메라를 통해 지문을 취득할 때 사용되는 지문 취득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취득 장치 | |
KR101799074B1 (ko) | 지정맥 인식이 가능한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지정맥 측정 방법 | |
KR200219128Y1 (ko) | 지문인식장치용 슬라이드 커버 | |
JPH04242486A (ja) | 指紋入力装置 | |
US20170307365A1 (en) | Object authentication device and method | |
KR100525122B1 (ko) | 지문인식장치 입력부의 보호 커버 | |
JP2019185372A (ja) | 血流認証装置 | |
KR20010000694A (ko) | 지문인식장치용 슬라이드 커버 | |
JP4621164B2 (ja) | 生体認証装置および方法、特に透過型指静脈認証装置および方法 | |
US20040228506A1 (en) | Lid and housing apparatus and method or non-contact fingerprint imag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90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