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728B1 -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728B1
KR101079728B1 KR1020090022131A KR20090022131A KR101079728B1 KR 101079728 B1 KR101079728 B1 KR 101079728B1 KR 1020090022131 A KR1020090022131 A KR 1020090022131A KR 20090022131 A KR20090022131 A KR 20090022131A KR 101079728 B1 KR101079728 B1 KR 101079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nection terminal
opening
connec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009A (ko
Inventor
임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모텍
Priority to KR1020090022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72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접속단자의 사용이 용이한 커넥터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는, 접속단자가 내부에 마련되며 일측에 접속단자가 출입되는 출입구가 마련되는 커넥터 몸체,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유닛, 그리고, 개폐유닛에 연동하여 출입구를 통해 상기 접속단자를 선택적으로 돌출시키는 작동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출입구의 개방에 연동하여 접속단자를 자동으로 커넥터 몸체에 대해 돌출시킬 수 있음으로써, 접속단자의 사용이 간편해짐과 아울러 취급/보관이 용이해진다.
접속단자, USB, 커넥터, 돌출, 자동, 개폐, 출입구, 커버.

Description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CONNECTING APPARATUS HAVING CONNECTING TERMINAL}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접속단자를 자동으로 사용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SB(Universal Serial Bus)라 함은 마우스, 프린터, 모뎀, 스피커 등과 같은 주변기기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버스 규격으로서, 휴대용 커넥터의 접속단자에 주로 채용된다. 상기 USB단자가 채용된 커넥터는 주로 메모리칩이 내장되어, 상기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근래에는 상기 USB단자가 채용된 커넥터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메모리칩을 내장함으로써, 컴퓨터에 무선 인터넷 환경을 제공하기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커넥터의 경우 상기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에 연결되기 위해, 상기 USB단자가 상기 커넥터의 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된 USB단자로 인한 상기 커넥터의 미관이 매끄럽지 못하다는 디자인성 저하가 야기된다.
또한, 상기 돌출된 USB단자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됨을 차단하기 위한 별도 의 USB단자 커버를 구비해야 함으로써, 사용자 조작의 번거로움과 USB단자 커버의 분실 우려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접속단자를 자동으로 몸체에 대해 돌출시킬 수 있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속단자의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커넥터는, 커넥터 몸체, 개폐유닛 및 작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유닛은 접속단자가 내부에 마련되며, 일측에 상기 접속단자가 출입되는 출입구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단자는 USB(Universal Serial Bus)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 측으로 상기 도어를 작동시키는 가압부재 및, 상기 도어와 맞물려 상기 가압부재의 작동력을 규제하는 규제위치와, 상기 규제위치를 벗어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조작되는 조작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는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위치와, 상기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커넥터 몸체에는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마련된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도어를 상기 개방위치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커넥터 몸체에 마련된 조작공을 통해 돌출되는 돌출단과, 상기 조작공을 통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와 연결된 지지단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단과 지지단의 사이에는 상기 도어가 선택적으로 통과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연결홈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개폐유닛에 연동하여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접속단자를 선택적으로 돌출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출입구 측으로 상기 접속단자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커넥터 몸체의 출입구가 개방됨에 연동하여 접속단자가 커넥터 몸체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어, 접속단자의 사용이 간편해진다.
둘째, 커넥터 몸체의 내부에 접속단자를 수납하고 사용시에만 출입구를 통해 자동으로 돌출시킴에 따라, 기존의 접속단자 커버가 불필요해진다. 즉, 접속단자의 수납과 보관이 용이해진다.
셋째, 출입구의 개폐 및 접속단자의 돌출을 탄성체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가동시킴에 따라, 구동원 발생수단과 같은 구동을 위한 구조가 간단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접속단자(U)를 구비하는 커넥터(1)는 커넥터 몸체(10), 개폐유닛(20) 및 작동유닛(60)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몸체(10)는 접속단자(U)를 구비하며, 일측에 상기 접속단자(U)가 출입될 수 있는 출입구(11)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 몸체(10)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접속단자(U)를 통한 소정 데이타의 입/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판 및/또는 상기 접속단자(U)로부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판(미도시)과 메모리(미도시)의 기술구성은 공지된 기술로부터 이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상기 접속단자(U)는 USB(Universal Serial Bus)단자를 포함하며, 컴퓨터와 주변기기를 상호 접속시키는 것으로 예시한다.
상기 개폐유닛(20)은 상기 출입구(1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30), 가압부재(40) 및 조작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30)는 상기 출입구(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30)는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출입구(11)를 폐쇄시키는 위치와, 상기 출입구(11)를 개방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되는 도어(30)가 상기 커넥터 몸체(10)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될 때, 상기 커넥터 몸체(10)의 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방향이 가변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30)는 상기 출입구(11)를 개폐시키는 개폐단(31)과 상기 개폐단(31)으로부터 연장되어 후술할 가압부재(40)와 연결되는 연결단(33)으로 구분된 다. 한편, 상기 도어(30)의 슬라이딩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 몸체(10)에는 상기 도어(30)의 슬라이딩방향과 대응되는 가이드레일(13)이 마련됨이 좋다.
또한, 상기 도어(30)의 개폐단(31)에는 손잡이(32)가 돌출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32)는 개방위치에 위치한 도어(30)를 폐쇄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다. 이러한 손잡이(32)는 상기 출입구(11)의 연부에 간섭됨에 따라, 상기 도어(30)의 개폐범위를 규제함이 좋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30)가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하나, 이로 꼭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도어(30)가 상기 커넥터 몸체(10)에 대해 회전되거나, 상기 도어(30)가 접철 또는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출입구(1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것과 같은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 가압부재(40)는 상기 출입구(11)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로 상기 도어(30)를 가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부재(40)가 상기 도어(30)의 연결단(33)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단(33)을 상기 개방위치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체인 것으로 예시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인 가압부재(40)의 일단은 상기 도어(30)의 연결단(33)과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커넥터 몸체(10)에 고정된다.
상기 조작부재(50)는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 도어(30)와 맞물려 상기 가압부재(40)의 작동력을 규제하는 규제위치와, 상기 규제위치를 벗어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조작된다. 이때, 상기 조작부재(50)의 규제위치는 도 4의 (a)에 대응되며, 상기 조작부재(50)의 해제위치는 도 4의 (b)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 규제위치에 위치하는 조작부재(50)는 상기 도어(30)의 연결단(33)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간섭홈(34)과 교차하도록 맞물림으로써, 그 규제위치가 고정된다.
이러한 조작부재(50)는 상기 커넥터 몸체(10)에 관통되어 마련된 조작공(12)을 통해 돌출되는 돌출단(51), 상기 돌출단(5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 몸체(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단(52) 및, 상기 돌출단(51)과 지지단(52)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홈(5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재(50)는 도 4와 같이, 상기 도어(30)의 간섭홈(3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상기 돌출단(51)과 지지단(52)은 그 단부가 돌출됨으로써, 상기 조작부재(50)는 "I"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지지단(52)은 상기 조작부재(50)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지지프레임(54)의 내면에 일단이 지지되는 스프링(53)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53)는 상기 지지단(52)을 상기 조작공(12) 측으로 즉, 돌출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이다.
상기 연결홈(55)은 상기 돌출단(51)과 지지단(52)의 사이에 인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홈(55)은 상기 조작부재(50)가 도 2에 도시된 P방향으로 가압될 경우, 도 4의 (b)와 같이 상기 도어(30)의 슬라이딩 경로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로 인해, 상기 연결홈(55)은 상기 도어(30)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작동유닛(60)은 상기 개폐유닛(20)의 개폐에 연동하여 출입구(11)를 통해 접속단자(U)를 선택적으로 돌출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작동유닛(60)의 일단은 상기 커넥터 몸체(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접속단자(U)와 연결되어, 상기 접속단자(U)를 상기 출입구(11)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U)는 상기 출입구(11)를 폐쇄하는 도어(30)에 간섭되어 커넥터 몸체(10)의 내부에 수납되나, 상기 출입구(11)가 개방되면 접속단자(U)를 가압하는 작동유닛(60)에 의해 접속단자(U)가 자동으로 출입구(11)를 통해 돌출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접속단자(U)는 상기 커넥터 몸체(10)내에 수납되는 수납위치로부터 커넥터 몸체(10)로부터 돌출되는 사용위치로 상기 작동유닛(60)에 의해 작동된다. 이때,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접속단자(U)의 돌출 범위 규제를 위한 별도의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접속단자(U)를 구비하는 커넥터(1)의 사용동작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과 같이, 상기 커넥터 몸체(10)의 내부에 접속단자(U)가 마련된 상태 즉,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재(50)를 도 2에 도시된 P방향으로 가압한다. 참고로, 상기 커넥터 몸체(10)에 접속단자(U)가 수납된 상태일 때는, 도 4의 (a)와 같이 상기 조작부재(50)가 상기 도어(30)의 간섭홈(34)과 맞물려 도어(30)를 개방위치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40)의 작동력이 규제되고 있는 상태이다. 즉, 상기 도어(30)의 폐쇄위치가 상기 도어(30)의 간섭홈(34)과 조작부재(50)의 맞물림에 의해 규제되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 이때, 상기 조작부재(50)가 스프링(53)에 의해 커넥터 몸체(10)의 외부를 향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조작부재(50)의 규제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조작부재(50)가 P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조작부재(50)가 상기 커넥터 몸체(10)의 내부로 도 2와 같이 진입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조작부재(50)의 상기 도어(30)의 간섭홈(34)을 벗어나게 되어, 상기 조작부재(50)의 연결홈(55)이 도 4의 (b)와 같이 도어(30)의 슬라이딩 경로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도어(30)를 개방위치로 가압하던 가압부재(40)의 작동력 규제가 해제되어, 상기 도어(30)는 개방된 연결홈(55)을 통해 개방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30)의 슬라이딩 이동은 가이드레일(13)에 의해 가이드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30)가 개방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커넥터 몸체(10)의 출입구(11)가 개방된다. 그러면, 상기 출입구(11)의 개방과 동시에 상기 접속단자(U)가 상기 작동유닛(60)에 의해 커넥터 몸체(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사용위치에 위치하는 접속단자(U)를 다시 커넥터 몸체(10) 내부의 수납위치로 위치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접속단자(U)를 수납위치 측으로 가압하여 밀어 넣음과 동시에, 상기 도어(30)를 폐쇄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도어(30)의 개폐단(31)에 마련된 손잡이(32)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도어(30)와 조작부재(50)가 탄성체인 가압부재(40)와 작동유닛(60)에 의해 동작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꼭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즉, 상기 도어(30)와 조작부재(50)가 전자석 또는 작동모터와 같이 다양한 가압/작동수단에 의해 동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커넥터 몸체로부터 접속단자가 돌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개폐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개폐유닛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커넥터 10: 커넥터 몸체
11: 출입구 20: 개폐유닛
30: 도어 40: 가압부재
50: 조작부재 60: 작동유닛
U: 접속단자

Claims (9)

  1. 접속단자가 내부에 마련되며, 일측에 상기 접속단자가 출입되는 출입구가 마련되는 커넥터 몸체;
    상기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유닛; 및
    상기 개폐유닛에 연동하여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접속단자를 선택적으로 돌출시키는 작동유닛;
    을 포함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 측으로 상기 도어를 작동시키는 가압부재; 및
    상기 도어와 맞물려 상기 가압부재의 작동력을 규제하는 규제위치와, 상기 규제위치를 벗어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조작되는 조작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위치와, 상기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위 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커넥터 몸체에는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도어를 상기 개방위치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커넥터 몸체에 마련된 조작공을 통해 돌출되는 돌출단과, 상기 조작공을 통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와 연결된 지지단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단과 지지단의 사이에는 상기 도어가 선택적으로 통과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연결홈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출입구 측으로 상기 접속단자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USB(Universal Serial Bus)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8. USB단자가 내부에 마련되며, 일측에 상기 USB단자가 출입되는 출입구(11)가 마련되는 커넥터 몸체(10);
    상기 출입구를 폐쇄시키는 위치와 개방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30);
    상기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위치 측으로 상기 도어를 탄성 가압하는 가압부재(40);
    상기 도어와 맞물려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을 규제하는 규제위치와, 상기 규제위치를 벗어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조작되는 조작부재(50); 및
    상기 USB단자를 탄성 가압하여, 상기 출입구의 개방시 상기 USB단자를 상기 커넥터 몸체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작동유닛(60);
    를 포함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커넥터 몸체에는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KR1020090022131A 2009-03-16 2009-03-16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KR101079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131A KR101079728B1 (ko) 2009-03-16 2009-03-16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131A KR101079728B1 (ko) 2009-03-16 2009-03-16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009A KR20100104009A (ko) 2010-09-29
KR101079728B1 true KR101079728B1 (ko) 2011-11-10

Family

ID=4300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131A KR101079728B1 (ko) 2009-03-16 2009-03-16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7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3205A (zh) * 2017-03-20 2017-07-14 朱晓凤 一种桥梁设备
KR20220095466A (ko) 2020-12-30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5407A1 (en) 2005-03-15 2007-01-18 Memorex International, Inc. Mechanical spring component for use in memor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5407A1 (en) 2005-03-15 2007-01-18 Memorex International, Inc. Mechanical spring component for use in memor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009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8181B1 (ko) 휴대용 컴퓨터
JP4704861B2 (ja) 引出側板
US7375955B2 (en) Computer bezel
US9083105B2 (en) Cover module
JP2006293048A5 (ko)
US9796198B2 (en) Printing equipment housing box
KR101079728B1 (ko)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JP5121913B2 (ja) カバー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並びにカバー装置を備えた撮像装置
CN110179164B (zh) 一种电子烟组件
KR20220014174A (ko)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슬라이드 커버 구조
JP3768061B2 (ja) エアダンパー
ATE495902T1 (de) Nachfülleinheit
JP3223456U (ja) 電子タバコアセンブリ
US7409696B2 (en) Opening actuator for video disc player
KR101192597B1 (ko)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
KR100981116B1 (ko) 슬라이드 이동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장치에 사용되는슬라이드 장치
ATE381659T1 (de) Türanordnung
JP7277322B2 (ja) ラッチ受具
KR20110016806A (ko) 다중 탄성체가 설치된 자동 폐쇄 장치
KR101458635B1 (ko) 데이터 처리장치
JP2002236884A (ja) モバイル機器のカード挿入部開閉機構
KR200234786Y1 (ko) 정보기기용 메모리카드 커넥터
JP2016053713A5 (ko)
JP2005261051A (ja) 開閉機構と開閉機構を備えたアウトレット
KR200172934Y1 (ko) 휴대용 컴퓨터의 충전지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