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821B1 -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821B1
KR101191821B1 KR1020110011146A KR20110011146A KR101191821B1 KR 101191821 B1 KR101191821 B1 KR 101191821B1 KR 1020110011146 A KR1020110011146 A KR 1020110011146A KR 20110011146 A KR20110011146 A KR 20110011146A KR 101191821 B1 KR101191821 B1 KR 101191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 bus
arrival
time
information
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0620A (ko
Inventor
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액티브디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액티브디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액티브디앤씨
Priority to KR1020110011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821B1/ko
Publication of KR20120090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6Q50/4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Abstract

본 발명은 셔틀버스의 위치에 따른 승/하차지 도착 예상 시간을 분석하여 학부모가 원하는 시간에 셔틀버스의 도착 예상 시간을 학부모에게 안내함으로써, 차량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착 알림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됨에 따라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된 운행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해당 운행 단말로 운행 코스 리스트를 운행 단말로 전송하여 운행 코스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운행 코스에 대한 경로 정보 및 원생 정보를 운행 단말로 전송하며, 운행 모드 시작을 요청한 운행 단말이 실시간 제공하는 셔틀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각각의 승/하차지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하되, 승/하차지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이 학부모로부터 지정받은 안내 시간 이내이면, ARS 서버로 ARS 안내를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학부모가 원하는 시간에 미리 셔틀버스의 도착을 안내함으로써, 불필요한 차량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SERVICING NOTIFY ARRIVAL TIME OF SHUTTLE BUS}
본 발명은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셔틀버스의 위치에 따른 승/하차지 도착 예상 시간을 분석하여 학부모가 원하는 시간에 셔틀버스의 도착 예상 시간을 학부모에게 안내함으로써, 차량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집, 유치원, 학원, 일부 학교에서는 원생들의 등하교를 돕기 위해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이러한 셔틀버스는 미리 정해져 있는 노선을 따라 순회하면서 원생들을 목적지(어린이집, 유치원, 학원, 학교 또는 학생들의 집 근처)까지 이동시켜 주는 것으로, 이동하는 노선이나 운행하는 시간이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에 원생 또는 학부모들은 셔틀버스가 도착하는 시점의 시간대에 미리 승/하차지에 나가 있다가 셔틀버스가 도착하면 원생을 셔틀버스에 태워 어린이집, 유치원, 학원, 학교 등으로 보내거나 셔틀버스로 귀가하는 원생을 맞이하게 된다.
그러나, 비가 오거나 눈이 오는 등 날씨의 영향으로 셔틀버스가 평소보다 늦어지거나, 교통 혼잡 등으로 인하여 셔틀버스가 늦어지는 경우, 또는 원생의 승/하차 지연 등으로 인하여 셔틀버스가 늦어지는 경우에는 셔틀버스의 정확한 도착시간을 알 수 없으므로, 원생 또는 학부모들이 승/하차지에서 셔틀버스가 도착하기를 무작정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셔틀버스에 탑재되어 있는 운행 단말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셔틀버스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승/하차지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하고, 승/하차지 도착 예상 시간이 학부모가 원하는 안내 시간 이내이면, 학부모 단말로 셔틀버스 도착을 미리 안내함으로써, 불필요한 차량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는,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된 운행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된 상기 운행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와;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교육 기관별 셔틀버스 운행 코스 정보, 운행 코스별 경로 및 원생 정보, 원생별 학부모 연락처 및 안내 시간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인증이 완료된 상기 운행 단말로 운행 코스 리스트를 제공하는 운행 코스 리스트 제공부와; 상기 운행 단말로부터 선택받은 운행 코스에 대응하는 경로 정보와 원생 정보를 상기 운행 단말로 제공하는 경로 및 원생 정보 제공부와; 운행 모드 시작을 요청한 상기 운행 단말이 실시간 제공하는 셔틀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와; 상기 운행 단말로부터 수신한 셔틀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운행 단말로부터 선택받은 운행 코스에 의거하여 승/하차지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하는 도착 예상 시간 산출부와; 승/하차지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이 학부모로부터 지정받은 안내 시간 이내이면, ARS 서버로 ARS 안내를 요청하는 ARS 안내 요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도착 알림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에 따라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된 운행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운행 단말의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검색된 운행 코스 리스트를 상기 운행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운행 단말로부터 운행 코스를 선택받으면, 선택받은 운행 코스에 대한 경로 정보 및 원생 정보를 상기 운행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운행 모드 시작을 요청한 상기 운행 단말이 실시간 제공하는 셔틀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각각의 승/하차지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하는 과정과; 승/하차지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이 학부모로부터 지정받은 안내 시간 이내이면, ARS 서버로 ARS 안내를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학부모가 원하는 시간에 미리 셔틀버스의 도착을 안내함으로써, 불필요한 차량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이다.
도 1에서, 통신부(110)는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된 운행 단말(10)과 통신을 수행한다.
전술한, 운행 단말(10)은 셔틀버스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단말 내에 탑재되어 있는 도착 알림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됨에 따라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한다.
인증부(115)는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운행 단말(10)이 접속되면, 접속된 운행 단말(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저장부(120)는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즉,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교육 기관별로 셔틀버스 운행 코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운행 코스별로 경로 정보와 해당 운행 코스에서 승차 또는 하차하는 원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원생별로 학부모 연락처 및 셔틀버스 도착 알림을 안내받을 안내 시간을 저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120)는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교육 기관별로 하나 이상의 셔틀버스 운행 코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운행 코스 정보 DB와, 운행 코스별로 경로 정보와 승/하차할 원생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로 및 원생 정보 DB와, 셔틀버스의 승/하차지 도착 예상 시간을 안내받을 학부모의 연락처와 셔틀버스 도착 알림을 안내받을 안내 시간을 저장하고 있는 학부모 연락처 DB와, 운행 코스별로 셔틀버스가 각각의 승/하차지를 통과한 시간에 기초하여 생성된 타임 스탬프 데이터를 저장하는 타임 스탬프 데이터 DB와, 운행 단말별로 운행했던 코스에 대한 기록을 저장하는 운행 히스토리 DB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운행 코스 리스트 제공부(125)는 인증부(115)를 통해 인증이 완료된 운행 단말(10)로 운행 코스 리스트를 제공하여, 운행 단말(10)로부터 운행 코스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한 운행 코스를 선택받는다. 이때, 운행 코스 리스트 제공부(125)는 운행 단말(10)의 식별 정보로 운행 코스 리스트를 검색하여, 검색된 운행 코스 리스트를 운행 단말(10)로 제공한다.
또한, 운행 코스 리스트 제공부(125)는 운행 단말(10)로 운행 코스 리스트를 제공할 때, 날씨 리스트도 함께 제공하여 운행 단말(10)로부터 운행 코스와 함께 날씨 정보를 선택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경로 및 원생 정보 제공부(130)는 운행 단말(10)로부터 운행 코스를 선택받으면, 운행 단말(10)로부터 선택받은 운행 코스에 대응하는 경로 정보와 해당 운행 코스에서 승차 또는 하차하는 원생 정보를 검색하여, 이를 운행 단말(10)로 제공한다.
위치 정보 수신부(135)는 운행 모드 시작을 요청한 운행 단말(10)이 실시간 제공하는 셔틀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다.
타임 스탬프 데이터 생성부(140)는 위치 정보 수신부(135)를 통해 수신한 셔틀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셔틀버스가 각각의 승/하차지를 통과한 시간에 기초하는 타임 스탬프 데이터를 생성하고, 승/하차지별로 생성된 타임 스탬프 데이터를 저장부(120)의 타임 스탬프 데이터 DB에 저장한다.
도착 예상 시간 산출부(145)는 운행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와 운행 단말(10)로부터 선택받은 운행 코스에 의거하여 각각의 승/하차지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을 실시간 산출한다.
전술한, 도착 예상 시간 산출부(145)는 각각의 승/하차지로 향하는 셔틀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평균 이동 속도를 구한 후, 각각의 승/하차지까지 남은 거리를 평균 이동 속도로 나눠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도착 예상 시간 산출부(145)는 타임 스탬프 데이터 DB에 누적된 타임 스탬프 데이터와 날씨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날씨와 요일, 계절 등의 변수에 따라 최적화된 각 승/하차지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ARS 안내 요청부(150)는 도착 예상 시간 산출부(145)를 통해 실시간 산출되는 각각의 승/하차지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이 학부모로부터 지정받은 안내 시간 이내이면, ARS 서버(20)로 셔틀버스 도착 알림을 안내할 학부모 연락처와 도착 예상 시간을 전송하여 ARS 안내를 요청한다. 예를 들어, 탑승지 3에서 승/하차하는 원생의 학부모 A, B, C로부터 지정받은 안내 시간이 각각 3분, 5분, 10분인 경우, ARS 안내 요청부(150)는 도착 예상 시간 산출부(145)를 통해 실시간 산출되는 탑승지 3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이 10분이 될 때, ARS 서버(20)로 학부모 C의 연락처와 도착 예상 시간 10분을 전송하여 ARS 안내를 요청하고, 탑승지 3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이 5분이 될 때, ARS 서버(20)로 학부모 B의 연락처와 도착 예상 시간 5분을 전송하여 ARS 안내를 요청하며, 탑승지 3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이 3분이 될 때 ARS 서버(20)로 학부모 A의 연락처와 도착 예상 시간 3분을 전송하여 ARS 안내를 요청한다.
전술한, ARS 안내 요청부(150)는 ARS 서버(20)로 ARS 안내를 요청한 후, ARS 안내 요청부(150)가 ARS 서버(20)로 ARS 안내를 요청함에 따라 변경되는 원생별 ARS 발송 상태 목록을 운행 단말(10)로 제공한다.
전술한, ARS 안내 요청부(150)는 운행 단말(10)로부터 선택받은 원생에 대해서만 도착 예상 시간이 해당 원생의 학부모로부터 지정받은 안내 시간 이내가 되면 ARS 서버(20)로 ARS 안내를 요청할 수 있고, 반대로 운행 단말(10)로부터 선택받은 원생에 대해서는 도착 예상 시간이 해당 원생의 학부모로부터 지정받은 안내 시간 이내가 되더라도 ARS 서버(20)로 ARS 안내를 요청하지 않을 수도 있다.
원생 탑승/마중 여부 정보 제공부(155)는 ARS 안내 요청부(150)를 통해 ARS 서버(20)로 ARS 안내를 요청한 후, ARS 서버(20)로부터 원생 탑승/마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운행 단말(10)로 전송한다.
문자 메시지 전송 요청부(160)는 운행 단말(10)로부터 운행 모드 시작/종료를 요청받으면, SMS 서버(30)로 해당 운행 코스에서 승차 또는 하차하는 원생의 학부모 연락처를 전송하여 학부모 단말(40)로 셔틀버스 출발/도착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라고 요청한다.
전술한, 문자 메시지 전송 요청부(160)는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웹 사이트 연동 오류, 애플리케이션 오류, ARS 발송 오류 등과 같은 오류로 인해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되면, SMS 서버(30)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 및 학부모에게 서비스 이용 불가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운행 정보 제공부(165)는 유/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된 학부모로부터 어느 한 운행 코스를 선택받게 되면, 선택받은 운행 코스에 대한 경로 정보를 학부모에게 제공하거나, 선택받은 운행 코스의 경로 상에 셔틀버스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여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이다.
우선,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예를 들어, 인솔 교사, 셔틀버스 운전 기사 등)의 요청에 따라 도착 알림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운행 단말(10)이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면(S10),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접속된 운행 단말(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S12), 인증을 수행한 운행 단말(10)의 식별 정보로 검색된 운행 코스 리스트를 운행 단말(10)로 전송하여 운행 코스를 선택받는다(S14).
상기한 과정 S14에서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운행 단말(10)로 운행 코스 리스트를 전송할 때, 날씨를 선택할 수 있는 날씨 정보 리스트도 함께 전송하여 날씨도 함께 선택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과정 S14를 통해 운행 단말(10)로부터 운행 코스를 선택받은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운행 단말(10)로부터 선택받은 운행 코스에 대한 경로 정보와 해당 운행 코스에서 승차 또는 하차하는 원생에 대한 정보를 운행 단말(10)로 전송한다(S16).
이후,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운행 단말(10)로부터 운행 모드 시작을 요청받으면(S18), SMS 서버(30)로 해당 운행 코스에서 승차 또는 하차하는 원생의 학부모 연락처를 전송하여 학부모 단말(40)로 셔틀버스 출발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라고 요청한다(S20).
상기한 과정 S20을 통해 문자 메시지 전송을 요청받은 SMS 서버(30)는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학부모의 연락처에 의거하여, 학부모 단말(40)로 셔틀버스 출발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한 과정 S18을 통해 운행 단말(10)로부터 운행 모드 시작을 요청받은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운행 단말(10)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셔틀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각 승/하차지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한다(S22).
상기한 과정 S22에서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각각의 승/하차지로 향하는 셔틀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평균 이동 속도를 구한 후, 각각의 승/하차지까지 남은 거리를 평균 이동 속도로 나눠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한다.
상기한 과정 S22에서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각 승/하차지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할 때, 누적된 타임 스탬프 데이터와 날씨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날씨와 요일, 계절 등의 변수에 따라 최적화된 각 승/하차지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비나 눈이 오는 날씨에는 맑은 날씨에 비해 교통이 혼잡하므로, 누적된 타임 스탬프 데이터 중에서 비나 눈이 오는 날씨의 타임 스탬프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각 승/하차지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에는 상기한 과정 S22를 통해 산출된 각 승/하차지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이 각 승/하차지에서 승/하차하는 원생의 학부모로부터 지정받은 안내 시간 이내인 지를 판단한다(S24).
상기한 과정 S24의 판단결과 각 승/하차지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이 학부모로부터 지정받은 안내 시간 이내인 경우에는, ARS 서버(20)로 셔틀버스 도착 알림을 안내할 학부모의 연락처와 도착 예상 시간을 전송하여 ARS 안내를 요청한다(S26).
상기한 과정 S26을 통해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ARS 안내를 요청받은 ARS 서버(20)는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학부모의 연락처와 도착 예상 시간에 의거하여, 해당 학부모 단말(40)로 셔틀버스 도착 예상 시간에 대한 ARS 안내가 제공되는 ARS 호를 자동 발신한다.
한편, 상기한 과정 S26을 통해 ARS 서버(20)로 ARS 안내를 요청한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ARS 안내 요청에 따라 변경된 원생별 ARS 발송 상태 목록을 운행 단말(10)로 전송한다(S28).
상기한 과정 S28을 통해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원생별 ARS 발송 상태 목록을 제공받은 운행 단말(10)은 이를 화면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원생별 ARS 발송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한 과정 S26을 통해 ARS 서버(20)로 ARS 안내를 요청한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ARS 서버(20)로부터 탑승/마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데, ARS 서버(20)로부터 탑승/마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탑승/마중 여부 정보를 운행 단말(1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원생별 탑승/마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30).
상기한 과정 S26의 ARS 안내 요청에 따라 해당 학부모 단말(40)로 ARS 호를 발신한 ARS 서버(20)는 착신되는 ARS 호에 대해 학부모 단말(40)이 응답을 하게 되면, 학부모 단말(40)로 셔틀버스 도착 예상 시간에 대한 ARS 안내(예를 들어, 안녕하세요.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입니다. 셔틀버스가 3분 후 도착 예정입니다.)를 수행하고, 탑승/마중 여부를 선택하는 ARS 안내(예를 들어, 탑승/마중 여부를 선택해 주세요. 탑승/마중이 가능한 경우에는 1번을, 탑승/마중이 불가한 경우에는 2번을, 대기는 3번을 눌러주세요.)를 수행하여, 학부모 단말(40)로부터 탑승/마중 여부를 선택받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학부모 단말(40)로부터 탑승/마중 여부를 선택받은 ARS 서버(20)는 학부모 단말(40)로부터 선택받은 탑승/마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ARS 서버(20)로부터 탑승/마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탑승/마중 여부 정보를 운행 단말(1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원생별 탑승/마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과정 S30을 통해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원생별 탑승/마중 여부를 확인한 사용자는 이번 승/하차지에서 승/하차할 원생이 존재하지 않으면 다음 승/하차지로 이동하고, 이번 승/하차지에서 승/하차할 원생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번 승/하차지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한 과정 S26의 ARS 안내 요청에 따라 해당 학부모 단말(40)로 ARS 호를 발신한 ARS 서버(20)는 학부모 단말(40)이 응답하지 않으면, 기설정된 회수만큼 학부모 단말(40)로 ARS 호를 발신하는 데, 그래도 학부모 단말(40)이 응답하지 않으면, 학부모 단말(40)이 응답하지 않음을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통해 운행 단말(1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학부모 단말(40)로 직접 전화를 하도록 유도한다.
이후,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ARS 안내를 해야 할 원생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S32).
상기한 과정 S32의 판단결과 ARS 안내를 해야 할 원생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 S22로 진행하여 운행 단말(10)로부터 실시간 제공되는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각 승/하차지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한다.
한편, 상기한 과정 S32의 판단결과 ARS 안내를 해야 할 원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운행 단말(10)로 ARS 안내를 모두 완료했음을 통지하고(S34), 운행 단말(10)로부터 운행 모드 종료를 요청받으면(S36), SMS 서버(30)로 해당 운행 코스에서 승차한 원생의 학부모 연락처를 전송하여 학부모 단말(40)로 교육 기관에 셔틀버스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라고 요청한다(S38). 이때,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운행 모드가 하교하기이면, 학부모 단말(40)로 셔틀버스가 교육 기관에 도착했음을 알릴 필요가 없으므로, SMS 서버(30)로 문자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정 S38을 통해 문자 메시지 전송을 요청받은 SMS 서버(30)는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학부모의 연락처에 의거하여, 학부모 단말(40)로 교육 기관에 셔틀버스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운행 단말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셔틀버스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산출된 승/하차지 도착 예상 시간이 학부모가 원하는 안내 시간 이내이면, 학부모 단말로 셔틀버스의 도착 예상 시간을 안내하는 ARS 호를 자동 발신하도록 구현되어 있으나, 이를 수동 모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 각각의 승/하차지에 대한 ARS 발송을 요청받아 해당 승/하차지에서 승/하차하는 원생들의 학부모 단말로 ARS 호를 발신한다.
10. 운행 단말, 20. ARS 서버,
30. SMS 서버, 40. 학부모 단말,
100.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110. 통신부, 115. 인증부,
120. 저장부, 125. 운행 코스 리스트 제공부,
130. 경로 및 원생 정보 제공부, 135. 위치 정보 수신부,
140. 타임 스탬프 데이터 생성부, 145. 도착 예상 시간 산출부,
150. ARS 안내 요청부, 155. 원생 탑승/마중 여부 정보 제공부,
160. 문자 메시지 전송 요청부, 165. 운행 정보 제공부

Claims (10)

  1.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된 운행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된 상기 운행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와;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교육 기관별 셔틀버스 운행 코스 정보, 운행 코스별 경로 및 원생 정보, 원생별 학부모 연락처 및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가입시에 원생별로 입력받은 안내 시간(셔틀버스 도착 알림을 안내받을 안내 시간)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인증이 완료된 상기 운행 단말로 운행 코스 리스트를 제공하는 운행 코스 리스트 제공부와;
    상기 운행 단말로부터 선택받은 운행 코스에 대응하는 경로 정보와 원생 정보를 상기 운행 단말로 제공하는 경로 및 원생 정보 제공부와;
    운행 모드 시작을 요청한 상기 운행 단말이 실시간 제공하는 셔틀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와;
    상기 운행 단말로부터 수신한 셔틀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운행 단말로부터 선택받은 운행 코스에 의거하여 승/하차지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하는 도착 예상 시간 산출부와;
    승/하차지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이 상기 안내 시간 이내이면, ARS 서버로 셔틀버스 도착 알림을 안내할 학부모의 연락처와 도착 예상 시간을 전송하여 ARS 안내를 요청하는 ARS 안내 요청부와;
    ARS 안내 요청에 따라 학부모 단말로 셔틀버스 도착 예상 시간에 대한 ARS 안내가 제공되는 ARS 호를 발신한 ARS 서버로부터 원생 탑승/마중 여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운행 단말로 전송하는 원생 탑승/마중 여부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교육 기관별로 하나 이상의 셔틀버스 운행 코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운행 코스 정보 DB와;
    운행 코스별로 경로 정보와 승/하차할 원생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로 및 원생 정보 DB와;
    셔틀버스의 승/하차지 도착 예상 시간을 안내받을 학부모의 연락처와 셔틀버스 도착 알림을 안내받을 안내 시간을 저장하고 있는 학부모 연락처 D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단말로부터 운행 모드 시작/종료를 요청받으면, SMS 서버로 셔틀버스 출발/도착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문자 메시지 전송 요청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셔틀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셔틀버스가 각각의 승/하차지를 통과한 시간에 기초하는 타임 스탬프 데이터를 생성하는 타임 스탬프 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RS 안내 요청부는,
    상기 ARS 서버로 ARS 안내를 요청함에 따라 원생별 ARS 발송 상태가 변경되는 원생별 ARS 발송 상태 목록을 상기 운행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7.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도착 알림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에 따라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된 운행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운행 단말의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검색된 운행 코스 리스트를 상기 운행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운행 단말로부터 운행 코스를 선택받으면, 선택받은 운행 코스에 대한 경로 정보 및 원생 정보를 상기 운행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운행 모드 시작을 요청한 상기 운행 단말이 실시간 제공하는 셔틀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각각의 승/하차지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하는 과정과;
    승/하차지에 대한 도착 예상 시간이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가입시에 입력받은 안내 시간(셔틀버스 도착 알림을 안내받을 안내 시간) 이내이면, ARS 서버로 셔틀버스 도착 알림을 안내할 학부모의 연락처와 도착 예상 시간을 전송하여 ARS 안내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ARS 서버로부터 원생 탑승/마중 여부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ARS 서버로부터 수신한 원생 탑승/마중 여부 정보를 상기 운행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ARS 서버로 ARS 안내를 요청한 후, 상기 ARS 서버로 ARS 안내를 요청함에 따라 원생별 ARS 발송 상태가 변경되는 원생별 ARS 발송 상태 목록을 상기 운행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단말로부터 운행 모드 시작/종료를 요청받으면, 상기 운행 단말로부터 선택받은 운행 코스에서 승/하차하는 원생의 학부모 연락처를 SMS 서버로 전송하여 셔틀 버스 출발/도착 안내를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0011146A 2011-02-08 2011-02-08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191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146A KR101191821B1 (ko) 2011-02-08 2011-02-08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146A KR101191821B1 (ko) 2011-02-08 2011-02-08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620A KR20120090620A (ko) 2012-08-17
KR101191821B1 true KR101191821B1 (ko) 2012-10-16

Family

ID=46883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146A KR101191821B1 (ko) 2011-02-08 2011-02-08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8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330B1 (ko) * 2013-06-21 2014-07-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WO2017150744A1 (ko) * 2016-02-29 2017-09-08 주식회사 씨엘 셔틀버스 도착예정안내 및 노선 최적화 방법
CN106649673A (zh) * 2016-12-15 2017-05-10 北京万相融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
KR101942383B1 (ko) * 2017-05-22 2019-01-29 주식회사 탐생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위치 판단 방법
KR102008611B1 (ko) 2018-02-13 2019-08-07 (주)웰티즌 학원버스승하차 운행정보 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5092A (ja) 2002-11-29 2004-07-02 Tis:Kk 送迎バスの到着予定時間報知システム、及び報知方法、並びに報知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100824555B1 (ko) 2007-03-16 2008-04-23 (주)에스디시스템 셔틀차량의 도착시간 알림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5092A (ja) 2002-11-29 2004-07-02 Tis:Kk 送迎バスの到着予定時間報知システム、及び報知方法、並びに報知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100824555B1 (ko) 2007-03-16 2008-04-23 (주)에스디시스템 셔틀차량의 도착시간 알림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620A (ko)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821B1 (ko) 셔틀버스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6295088B2 (ja) 配車システム
KR102046384B1 (ko)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JP5238422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CN103824179A (zh) 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装置
KR101098820B1 (ko)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265158B1 (ko) 버스 정보 시스템 및 그의 정보 처리 방법
CN207367382U (zh) 一种带有路线规划的公交站牌
KR20180043347A (ko) 출행 정보 푸싱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CN104089622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导航方法
CN104952240A (zh) 获取公交位置信息及公交到站时间的方法、装置及系统
CN103491177A (zh) 一种数据传输系统及方法
JP2009190668A (ja) 交通機関情報取得装置、車載装置、交通機関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5057588A (ja) 遅延通知装置
JP6969311B2 (ja) 情報処理装置
CN103188259A (zh) 通信系统、服务器设备和通信方法
JP2014021653A (ja) 情報共有システム、情報共有方法及び端末装置
KR100627755B1 (ko) 대중교통수단의 최적 환승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673469B (zh) 用于交通计划的方法和装置
JP7401217B2 (ja) 基地局、交通通信システム、及び交通管理方法
JP4190717B2 (ja) 支援システム、処理システム、端末、及び支援方法
JP7077895B2 (ja) 運転評価装置、運転評価システム、運転評価方法、及び運転評価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454839B1 (ko) 교통정보 제공방법
JP2017162389A (ja) 車両用走行分析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00033259A (ko) 도착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