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820B1 -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820B1
KR101098820B1 KR1020090087290A KR20090087290A KR101098820B1 KR 101098820 B1 KR101098820 B1 KR 101098820B1 KR 1020090087290 A KR1020090087290 A KR 1020090087290A KR 20090087290 A KR20090087290 A KR 20090087290A KR 101098820 B1 KR101098820 B1 KR 101098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terminal
stop
route
transpor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555A (ko
Inventor
신인식
권성준
홍창기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87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820B1/ko
Publication of KR20110029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7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 G08G1/09688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where input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a mobile device, e.g. a mobile phone, a PD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해 원하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최적의 교통수단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함과 동시에 해당 교통수단을 탑승할 수 있는 정류장의 위치를 모바일 단말에 지도로 표시해 주고, 해당 교통수단이 정류장에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알려주며, 탑승 후에는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계속하여 파악하여 교통수단의 변경 지점에 근접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목적지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한 후 이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교통 정보를 출력하고, 현재 위치에 따라 알람 기능 및 하차벨 동작 메시지를 출력하는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된 목적지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해 교통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통합교통정보서버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 통합교통정보서버, 환승, 하차 알람

Description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ANSPORTATION INFORMATION USING INTELLECTUAL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해 원하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최적의 교통수단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함과 동시에 해당 교통수단을 탑승할 수 있는 정류장의 위치를 모바일 단말에 지도로 표시해 주고, 해당 교통수단이 정류장에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알려주며, 탑승 후에는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계속하여 파악하여 교통수단의 변경 지점에 근접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가용을 이용해 이동하는 경우, 내비게이션에 의한 위치 검색 기능을 이용해 자기가 원하는 목적지까지 쉽게 찾아 갈 수 있다.
이때, 내비게이션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자신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의 정보를 이용해 전자지도상에서 표시되는 도로 중에서 가장 적합한 경로를 탐색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내비게이션의 경우에는 자동차가 이동할 수 있는 도로들을 중심으로 최적의 경로를 검색한다는 점에서 자가용을 이용하지 않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대중 교통을 이용해 원하는 목적지를 가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전자지도와는 다른 대중 교통의 노선을 이용한 경로 탐색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노선을 이용한 경로 탐색의 경우에는 노선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대한 목적지 검색이 어려운 것은 물론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없고 웹을 이용해 미리 검색을 해야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용자가 노선 정보를 이미 알고 있는 경우에도 잠을 잔다거나, 책을 읽는 것과 같은 다른 행동으로 인해 하자정류장을 의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지나가 버리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익숙하지 않은 장소에서는 버스 혹은 기차의 노선만을 이용해서는 환승하는 경로를 쉽게 찾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잘못된 환승으로 인해 원하지 않는 장소로 이동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익숙하지 않은 장소에서도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최적의 교통 수단을 이용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현재 위치에서 탑승할 교통수단의 정류장을 모바일 단말기에서 지도로 표시해 주고, 해당 교통수단이 정류장에 도착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알려주면, 사용자에게 환승 및 하차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여 시행착오 없이 원하는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교통 노선은 물론 교통 노선을 이용하기 위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이러한 위치까지 사용자가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전자지도 정보를 동시에 이용하는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복수의 교통 수단들의 노선 정보와 복수의 교통 수단을 연계하는 경로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은 목적지 정보를 입력하고, 교통 정보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모듈; 현재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위치인식모듈; 및 상 기 입력된 목적지 정보 및 검색된 현재 위치 정보를 통합교통정보서버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통합교통정보서버로부터 교통 수단, 노선 정보, 환승 정보 및 하차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위치인식모듈에 의해 검색되는 현재 위치가 환승 정류장 또는 하차 정류장의 일정 범위 내에 진입하는 경우에 알람을 실행하는 안내서비스구동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교통 수단은 버스, 지하철, 비행기, 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노선 정보는 이에 대응되는 각각의 교통 수단의 노선 번호, 환승 정류장의 이름과 위치 좌표 및 하차 정류장의 이름과 위치 좌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내서비스구동모듈은 현재 위치를 기초로 탑승 정류장의 위치를 전자지도로 표시하고, 상기 교통수단이 상기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통합교통정보서버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도착 예상시간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탑승 정류장 정보, 상기 교통 수단의 노선 번호 및 상기 교통수단이 다음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BIS 시스템에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도착 예상시간을 수신하는 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승 정보는 환승을 위해 이동할 경로가 표시된 전자지도를 포함하고, 상기 환승 정류장에 진입한 이후에 상기 이동할 경로가 표시된 전자지도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 기능은 진동, 음성 또는 문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인식모듈에 의해 검색되는 현재 위치가 환승 정류장 또는 하차 정류장의 일정 범위 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하차벨 동작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통합교통정보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통 수단에 대한 노선 정보 및 환승을 위해 이동할 경로가 표시될 수 있는 전자지도를 저장하는 교통 노선 DB 및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된 목적지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교통 노선 DB를 검색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교통 수단, 상기 교통 수단의 노선 정보, 환승 정보 및 하차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노선검색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교통 수단은 버스, 지하철, 비행기, 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노선 정보는 이에 대응되는 각각의 교통 수단의 노선 번호, 환승 정류장의 이름과 위치 좌표 및 하차 정류장의 이름과 위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환승 정보는 환승을 위해 이동할 경로를 표시한 상기 교통 노선 DB에 저장된 전자지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 노선 DB는 각각의 교통 수단에 대한 노선 정보를 저장하는 교통 수단 노선 DB; 및 환승 또는 하차시 이동경로를 표시한 전자지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통 노선 DB에 저장된 각각의 교통 수단들의 이동 경로를 검색하고, 정류장에 상기 교통 수단들이 도착할 예정시간을 계산하는 실시간교통정보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간교통정보관리부는 상기 모바일단말로부터 상기 교통수단이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교통 수단이 상기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해 목적지를 입력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현재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 및 현재 위치 정보를 통합교통정보서버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통합교통정보서버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교통 수단, 노선 정보, 환승 정보 및 하차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교통 정보를 모바일 단말을 이용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의 현재 위치가 상기 환승 또는 하차 정류장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을 이용해 알람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하차벨 작동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승 정보는 환승을 위해 이동할 경로가 표시된 전자지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환승 정류장 또는 하차 정류장에 진입한 이후에 상기 이동할 경로가 표시된 전자지도를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 기능은 진동, 음성 또는 문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통 수단은 버스, 지하철, 비행기, 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노선 정보는 이에 대응되는 각각의 교통 수단의 노선 번호, 환승 정류장의 이름과 위치 좌표 및 하차 정류장의 이름과 위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은 모바일 단말로부터 목적지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목적지 및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교통 노선 DB를 검색하여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교통 수단, 노선 정보, 환승 정보 및 하차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교통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통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교통 수단이 하나의 교통 수단인지 또는 복수의 교통수단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노선 정보는 각각의 교통 수단의 노선 번호, 환승 정류장의 이름과 위치 좌표 및 하차 정류장의 이름과 위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은 각각의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 실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최적의 교통 수단을 제공하고, 탑승할 교통 수단이 정류장에 도착하는데까지 걸리는 예상 시간을 제공할 뿐 아니라, 환승 및 하차의 경우에는 현재 위치에 따라서 알림 기능 및 자동 하차벨 기능 통해 사용자기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은 익숙하지 않은 장소에서도 목적지에 대한 정보만을 입력하여 버스를 비롯한 교통 노선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전자지도를 이용해 사용자가 정류장이나 환승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의 기본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100), 모바일 단말(100)과 무선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는 통합교통정보서버(200), 및 모바일 단말(100)과 근거리 통신망(20)에 의해 연결되는 버스(300)의 하차벨(3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100)은 입력된 목적지 및 검색된 현재 위치 정보를 무선통신망(10)을 통해 통합교통정보서버(200)로 전송한다.
통합교통정보서버(200)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목적지 및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교통 수단을 선택하고, 이러한 교통 수단에 의한 최적의 교통 정보를 검색하여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교통 정보는 이용할 교통 수단, 노선 정보, 환승 정보 및 하차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통합교통정보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교통 정보에는 교통 수단에 의한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노선 정보는 물론, 목적지까지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도보 등으로 이동하는 경로가 표시된 전자지도도 포함된다.
따라서,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통합교통정보서버(200)로부터 교통 정보를 수신한 후, 목적지까지의 이동 방법에 대한 교통 정보를 출력한다. 출력되는 교통 정보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100)을 이용해 일괄적으로 확인을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00)은 현재 위치를 기초로 탑승 정류장의 위치를 전자지도로 표시하고, 해당 교통수단이 상기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통합교통정보서버(200)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도착 예상시간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모바일 단말(100)은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BIS(Bus Information System)(400)에 탑승 정류장 정보, 상기 교통 수단의 노선 번호 및 상기 교통수단이 다음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도착 예상시간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100)은 전자지도 상에 사용자의 이동에 의한 현재 위치를 계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100)은 이동 중에 현재 위치를 계속적으로 검색하고, 검색결과 모바일 단말(100)의 현재 위치가 환승 정류장 혹은 하차 정류장 등에 근접하는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100) 자체의 알람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알람 기능은 진동, 음성, 문자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100)은 사용자가 버스 등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 환승 정류장 혹은 하자 정류장 등에 근접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하차벨 동작 메시지를 근거리 통신망(20)을 통해 전송하여 자동으로 하차벨이 울리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버스를 예를 들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각각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 는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교통수단을 버스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100), 모바일 단말(100)과 무선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는 통합교통정보서버(200), 및 모바일 단말(100)과 근거리 통신망(20)에 의해 연결되는 버스(300)의 하차벨(310)을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인터페이스모듈(110), 안내서비스구동모듈(120), 위치인식모듈(130), 무선통신부(140) 및 연동부(15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모듈(110)은 입력부 및 출력부를 구비하여,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해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를 입력한다. 여기서, 목적지는 주소 또는 명칭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모듈(110)은 출력부를 통해 통합교통정보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교통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교통 정보를 모바일 단말(10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위치인식모듈(130)은 모바일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검색한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100)의 현재 위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을 탑재하여 현재 위치를 검색하거나, 기지국의 위치를 이용해 현재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위치인식모듈(130)은 사용자가 교통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는 물론, 사용자가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중에는 계속적으로 현재 위치를 검색한다.
안내서비스구동모듈(120)은 모바일 단말(100)의 인터페이스모듈(110)을 통해 입력된 목적지 정보 및 위치인식모듈(130)에 의해 검색된 현재 위치 정보를 무선 통신부(140)을 통해 통합교통정보서버(200)로 전송한다.
안내서비스구동모듈(120)은 전송한 목적지 및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통합교통정보서버(200)로부터 사용자가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정보인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교통정보는 사용자가 이용할 교통 수단, 노선 정보, 환승 정보 및 하차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교통 수단으로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교통 정보는 버 스 노선 번호, 환승이 필요한 경우 환승 정류장 이름 및 위치 좌표, 하차 정류장의 이름 및 위치 좌표를 포함한다.
또한, 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이동을 해야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표시한 전자지도를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중에 모바일 단말(100)에 출력되는 전자지도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안내서비스구동모듈(120)은 현재 위치를 기초로 탑승 정류장의 위치를 전자지도로 표시하는 것은 물론, 해당 교통수단이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통합교통정보서버(200)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도착 예상시간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모바일 단말(100)은 기존 BIS 시스템(400)과 연동할 수 있는 연동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연동부(150)는 탑승 정류장 정보, 해당 교통 수단의 노선 번호 및 교통수단이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BIS 시스템(400)에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도착 예상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시된 도착 예상시간은 인터페이스모듈(110)을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에서 버스 탑승 정류장까지 도보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 환승을 하는 경우에 환승을 위해 버스 정류장으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 하차 정류장으로부터 목적지까지 일정한 거리를 도보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 각각의 이동경로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고, 또한, 환승할 버스 정류장에 해당 버스가 도착할 예상시간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100)에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이동경로를 표시한 전자지도는 환승 정류장 또는 하차 정류장에 진입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안내서비스구동모듈(120)은 위치인식모듈(130)을 통해 인식되는 모바일 단말(100)의 현재 위치가 환승 정류장 또는 하차 정류장으로 근접하는 경우에는 알람 기능을 실행한다.
여기서, 알람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환승 정류장 또는 하차 정류장에 근접한다고 함은 환승 정류장 또는 하차 정류장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일정한 영역 안으로 모바일 단말이 진입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안내서비스구동모듈(120)은 모바일 단말(100)의 현재 위치가 환승 정류장 또는 하차 정류장으로 근접하는 경우에 하차벨 동작 메시지를 근거리 통신망(20)을 통해 버스(300)의 하차벨(310)로 전송한다.
따라서, 버스(300)의 하차벨(310)은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하차벨 동작 메시지를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후에 하차벨처리모듈(미도시)을 통해 하차벨을 동작시켜 사용자가 하차 여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통합교통정보서버(200)는 버스노선 DB(201), 노선검색모듈(202), 통신부(203) 및 실시간교통정보관리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노선DB(201)는 하나의 교통 수단인 버스에 대한 노선 정보 및 환승을 위해 이동할 경로가 표시될 수 있는 전자지도를 저장한다.
여기서, 노선 정보는 각각의 버스 번호에 대한 노선 및 모든 정류장 정보, 다른 버스로 환승을 하는 경우에 환승 정류장의 이름 및 위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노선 정보는 지도 상에 버스 노선을 표시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은 물론, 각각의 정류장을 연결하는 선으로 간단한 다이어그램 방식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노선 정보는 버스 노선에 대한 정보 즉 버스의 이동경로 및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만, 그 외 정류장까지의 이동 경로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별도의 전자 지도로 저장할 수 있다.
즉,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가 버스 정류장을 찾아가기 위한 이동 경로는 별도의 전자 지도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노선검색모듈(202)은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목적지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버스 노선 DB를 검색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노선 정보, 환승 정보 및 하차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검색하여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현재위치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교통정보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단 거리에 의한 검색, 고속 도로 이용 검색, 최단 시간 검색 등 다양한 알고리즘에 의해 구현이 가능하다.
여기서, 노선 정보는 버스 노선 번호, 환승 정류장의 이름과 위치 좌표 및 하차 정류장의 이름과 위치 좌표를 포함한다.
또한, 환승 정보는 환승을 위해 이동할 경로를 표시한 전자지도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환승을 위해 버스 정류장의 위치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는 전자지도 상에 표시되는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실시간교통정보관리부(204)는 버스 노선DB에 저장된 버스들의 이동 경로를 검색하고, 정류장에 버스들이 도착할 예정시간을 계산한다. 따라서, 실시간교통정보관리부(204)는 운행중인 버스들의 현재 위치를 GPS 위성을 이용해 파악하여 정류장과의 거리와 평균 속도를 이용해 각각의 정류장에 버스들이 도착할 예상시간을 계산한다.
실시간교통정보관리부(204)는 모바일단말(100)로부터 해당 버스가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해당 버스가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을 전송한다.
BIS 시스템(400)은 기존에 구축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BIS 시스템(400)은 기존에 운행중인 버스들의 현재 위치들을 파악하고, 각각의 버스들이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을 실시간으로 계산한다. 그리고, 모바일단말(100)의 연동 부(150)로부터 예상시간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대응되는 버스에 대한 예상시간을 전송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 은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교통 수단으로 복수개의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의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의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100), 모바일 단말(100)과 무선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는 통합교통정보서버(200), 및 모바일 단말(100)과 근거리 통신망(20)에 의해 연결되는 교통수단(300)의 하차벨(310)을 포함한다. 그리고, 기존의 BIS 시스템(400)에 연동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인터페이스모듈(110), 안내서비스구동모듈(120), 위치인식모듈(130), 무선통신부(140) 및 연동부(15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모듈(110)은 입력부 및 출력부를 구비하여,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해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를 입력한다. 여기서, 목적지는 주소 또는 명칭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모듈(110)은 출력부를 통해 통합교통정보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교통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의 교통 정보를 모바일 단말(10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위치인식모듈(130)은 모바일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검색한다. 위치인식모듈(130)은 사용자가 교통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는 물론, 사용자가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중에는 계속적으로 현재 위치를 검색한다.
안내서비스구동모듈(120)은 모바일 단말(100)의 인터페이스모듈(110)을 통해 입력된 목적지 정보 및 위치인식모듈(130)에 의해 검색된 현재 위치 정보를 무선 통신부(140)을 통해 통합교통정보서버(200)로 전송한다.
안내서비스구동모듈(120)은 전송한 목적지 및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통합교통정보서버(200)로부터 사용자가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정보인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교통정보는 사용자가 이용할 교통 수단, 노선 정보, 환승 정보 및 하차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교통 수단은 버스와 같이 하나의 교통 수단일 수 있는 것은 물론, 버스, 지하철을 연계한 교통 수단일 수 있다. 또한, 교통 수단으로 배, 비행기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안내서비스구동모듈(120)은 현재 위치를 기초로 탑승 정류장의 위치를 전자지도로 표시하는 것은 물론, 해당 교통수단이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 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통합교통정보서버(200)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도착 예상시간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모바일 단말(100)은 기존 BIS 시스템(400)과 연동할 수 있는 연동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연동부(150)는 탑승 정류장 정보, 해당 교통 수단의 노선 번호 및 교통수단이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BIS 시스템(400)에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도착 예상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시된 도착 예상시간은 인터페이스모듈(110)을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교통 수단은 버스와 같이 하나의 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환승을 하거나, 버스에서 지하철로 환승을 하는 경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이동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표시한 전자지도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서비스구동모듈(120)은 위치인식모듈(130)을 통해 인식되는 모바일 단말(100)의 현재 위치가 환승 정류장 또는 하차 정류장으로 근접하는 경우에는 알람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안내서비스구동모듈(120)은 모바일 단말(100)의 현재 위치가 환승 정류장 또는 하차 정류장으로 근접하는 경우에 하차벨 동작 메시지를 근거리 통신망(20)을 통해 교통수단(300)의 하차벨(310)로 전송한다.
따라서, 교통수단(300)의 하차벨(310)은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하차벨 동작 메시지를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후에 하차벨처리모듈(미도시)을 통해 하차벨을 동작시켜 사용자가 하차 여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통합교통정보서버(200)는 교통 노선 DB(210), 노선검색모듈(220), 통신부(230) 및 실시간교통정보관리부(240)를 포함한다.
교통 노선DB(210)는 복수의 교통 수단 각각에 대한 노선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 1 교통수단노선DB(211)은 버스에 대한 노선 정보를 저장하고, 제 2 교통수단노선DB(212)는 지하철에 대한 노선 정보를 저장하고, 제 3 교통수단노선DB(213)는 비행기에 대한 노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교통 노선DB(21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교통 수단의 노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교통 노선DB(210)는 사용자가 각각의 교통 수단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정류장 혹은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지도정보(214)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지도정보(214)는 하나의 교통 수단에 의해 환승하는 경우에는 물론, 복수의 교통 수단에 의해 환승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환승을 위한 각각의 정류장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해 이동경로를 표시하는 전자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지도는 각각의 교통 수단에 의한 환승시 사용자의 이동경로는 물론, 교통 수단을 변경하면서 환승을 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이동해야 하는 이동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노선 정보는 각각의 교통 수단의 노선 번호, 환승 정류장의 이름과 위치 좌표 및 하차 정류장의 이름과 위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노선검색모듈(220)은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목적지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교통 노선DB(210)를 검색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교통 수단, 교통 수단의 노선 정보, 환승 정보 및 하차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검색하여 통신부(230)를 통해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정보는 교통 노선DB(210)에 저장된 각각의 교통 수단에 대한 노선 DB를 이용해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다.
실시간교통정보관리부(204)는 교통 노선 DB(210)에 저장된 교통수단들의 이동 경로를 검색하고, 정류장에 교통수단들이 도착할 예정시간을 계산한다. 따라서, 실시간교통정보관리부(204)는 운행중인 교통수단들의 현재 위치를 GPS 위성을 이용해 파악하여 정류장과의 거리와 평균 속도를 이용해 각각의 정류장에 교통수단들이 도착할 예상시간을 계산한다.
실시간교통정보관리부(204)는 모바일단말(100)로부터 교통수단이 탑승 정류 장에 도착할 예상시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해당 교통수단이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을 전송한다. 여기서, 교통수단은 버스를 비롯하여 다양한 교통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BIS 시스템(400)은 기존에 구축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BIS 시스템(400)은 기존에 운행중인 교통수단들의 현재 위치들을 파악하고, 각각의 교통수단들이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을 실시간으로 계산한다. 그리고, 모바일단말(100)의 연동부(150)로부터 예상시간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대응되는 교통수단에 대한 예상시간을 전송한다. 다만, 기존 BIS 시스템(400)은 버스 정보에 한정하여 운영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교통수단에 대한 교통정보를 운영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4 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이 이루어지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 는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을 통해 이루어지는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모바일 단말의 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목적지를 입력한다.(S410)
사용자가 목적지를 입력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은 위치인식모듈을 이용해 모바일 단말의 현재 위치를 검색한다.(S420) 여기서, 모바일 단말은 GPS 모듈을 이용하거나 기지국의 위치를 이용해 구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입력된 목적지 및 검색된 현재 위치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합교통정보서버로 전송한다.(S430)
그리고, 목적지 및 현재 위치 정보의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통합교통정보서버로부터 최적의 교통 정보를 수신한다.(S440)
교통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교통 정보 즉, 교통 수단, 노선 정보, 환승 정보, 하차 정보 및 환승 또는 하차시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표시한 전자지도를 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출력한다.(S450)
이때, 목적지까지의 모든 경로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은 현재 위치를 기초로 탑승 정류장의 위치를 전자지도로 표시할 수 있고, 교통수단이 상기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통합교통정보서버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도착 예상시간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모바일 단말은 탑승 정류장 정보, 상기 교통 수단의 노선 번호 및 상기 교통수단이 다음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BIS 시스템에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도착 예상시간을 수신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은 주기적으로 현재 위치를 검색하여 모바일 단말의 현재 위치가 환승 또는 하차 정류장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60)
판단결과,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진입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하여 모바일 단말의 현재 위치를 검색하면서 진입여부를 체크하고,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해 알람 기능을 실행한다.(S470)
여기서, 알람 기능은 진동, 음성 또는 문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하차벨 작동 메시지를 버스 등의 하차벨로 전송한다.(S480)
도 5 는 통합교통정보서버에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이 이루어지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 는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에서 통합교통정보서버를 통해 이루어지는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통합교통정보서버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목적지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S510)
모바일 단말로부터 목적지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교통 노선DB를 검색한다.(S520)
그리고, 교통 노선DB 검색에 따라 복수의 교통 수단 이용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S530)
만일, 최적의 교통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복수의 교통 수단을 이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교통 노선DB를 검색하여 수신된 목적지 및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현재 위치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교통 수단, 노선 정보, 환승 정보 및 하 차 정보를 포함하는 최적의 교통 정보를 검색한다.(S540)
만일, 최적의 교통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하나의 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교통 수단의 노선DB를 검색하여 최적의 교통 정보를 검색한다.(S550)
최적의 교통 정보가 검색되면, 이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다.(S560)
추가적으로, 통합교통정보서버는 모바일단말로부터 교통수단이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교통 수단이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을 전송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 내지 도 13 은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서비스를 이용하는 하나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다.
도 6에서 사용자는 서울역에서 남산 서울 타워를 가고자 한다. 이때, 사용자는 도 7 과 같이 모바일 단말에 목적지인 남산 서울 타워를 입력한다.
목적지인 남산 서울 타워가 입력되면 모바일 단말은 목적지 및 현재 위치 정보를 통합교통정보서버로 전송하고, 통합교통정보서버로부터 도 8과 같은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도 8 은 버스 노선을 이용해 남산 서울 타워까지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다.
먼저, 현재 위치에서 첫번째 버스 정류장까지 사용자가 이동해야 하는 경로를 도 9와 같이 전자 지도 상에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첫번째 버스 정류장으 로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이동 경로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타승할 버스가 버스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스를 타고, 환승할 충무로역 근처에 진입하면, 도 10과 같이 모바일 단말은 환승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고, 진동하면서 알람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하차벨 동작 메시지를 전송하여 하차벨을 작동시킨다.
또한, 환승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11과 같이 환승을 위해 사용자가 이동해야 되는 경로를 전자지도 상에 표시하여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버스를 타고, 하차할 남산 서울타워 근처에 진입하면 도 12와 같이 모바일 단말은 환차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고, 진동하면서 알람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하차벨 동작 메시지를 전송하여 하차벨을 작동시킨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 13과 같이 하차지점에서부터 최종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전자지도를 이용해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의 기본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이 이루어지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통합교통정보서버에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이 이루어지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31)

  1.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목적지 정보를 입력하고, 교통 정보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모듈;
    현재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위치인식모듈; 및
    상기 입력된 목적지 정보 및 검색된 현재 위치 정보를 통합교통정보서버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통합교통정보서버로부터 교통 수단, 노선 정보, 환승 정보 및 하차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위치인식모듈에 의해 검색되는 현재 위치가 환승 정류장 또는 하차 정류장의 일정 범위 내에 진입하는 경우에 알람을 실행하는 안내서비스구동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수단은 버스, 지하철, 비행기, 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노선 정보는 이에 대응되는 각각의 교통 수단의 노선 번호, 환승 정류장의 이름과 위치 좌표 및 하차 정류장의 이름과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서비스구동모듈은
    현재 위치를 기초로 탑승 정류장의 위치를 전자지도로 표시하고, 상기 교통수단이 상기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통합교통정보서버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도착 예상시간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4. 제 2 항에 있어서,
    탑승 정류장 정보, 상기 교통 수단의 노선 번호 및 상기 교통수단이 다음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BIS(Bus Information System)에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도착 예상시간을 수신하는 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승 정보는
    환승을 위해 이동할 경로가 표시된 전자지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서비스구동모듈은
    상기 전자지도 상에 사용자의 이동에 의한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환승 정류장에 진입한 이후에 상기 이동할 경로가 표시된 전자지도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모바일 단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기능은
    진동, 음성 또는 문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모듈에 의해 검색되는 현재 위치가 환승 정류장 또는 하차 정류장의 일정 범위 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하차벨 동작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0.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통 수단에 대한 노선 정보 및 환승을 위해 이동할 경로가 표시될 수 있는 전자지도를 저장하는 교통 노선 DB; 및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된 목적지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교통 노선 DB를 검색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교통 수단, 상기 교통 수단의 노선 정보, 환승 정보 및 하차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노선검색모듈을 포함하는 통합교통정보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수단은 버스, 지하철, 비행기, 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노선 정보는 이에 대응되는 각각의 교통 수단의 노선 번호, 환승 정류장의 이름과 위치 좌표 및 하차 정류장의 이름과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교통정보서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노선 DB에 저장된 각각의 교통 수단들의 이동 경로를 검색하고, 정류장에 상기 교통 수단들이 도착할 예정시간을 계산하는 실시간교통정보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통합교통정보서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교통정보관리부는
    상기 모바일단말로부터 상기 교통수단이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교통 수단이 상기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교통정보서버.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환승 정보는
    환승을 위해 이동할 경로를 표시한 전자지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교통정보서버.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노선 DB는
    각각의 교통 수단에 대한 노선 정보를 저장하는 교통 수단 노선 DB; 및
    환승 또는 하차시 이동경로를 표시한 전자지도를 포함하는 통합교통정보서버.
  16. 모바일 단말을 이용해 목적지를 입력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현재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 및 현재 위치 정보를 통합교통정보서버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통합교통정보서버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교통 수단, 노선 정보, 환승 정보 및 하차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교통 정보를 모바일 단말을 이용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의 현재 위치가 상기 환승 또는 하차 정류장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을 이용해 알람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를 기초로 탑승 정류장의 위치를 전자지도로 표시하고, 상기 교통수단이 상기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통합교통정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이에 대응하여 도착 예상시간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탑승 정류장 정보, 상기 교통 수단의 노선 번호 및 상기 교통수단이 다음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BIS(Bus Information System)에 전송하는 단계; 및
    이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도착 예상시간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하차벨 작동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환승 정보는
    환승을 위해 이동할 경로가 표시된 전자지도를 포함하는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도 상에 사용자의 이동에 의한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승 정류장 또는 하차 정류장에 진입한 이후에 상기 이동할 경로가 표시된 전자지도를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기능은
    진동, 음성 또는 문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수단은 버스, 지하철, 비행기, 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노선 정보는 이에 대응되는 각각의 교통 수단의 노선 번호, 환승 정류장의 이름과 위치 좌표 및 하차 정류장의 이름과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
  25. 모바일 단말로부터 목적지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목적지 및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교통 노선 DB를 검색하여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교통 수단, 노선 정보, 환승 정보 및 하차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교통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단말로부터 상기 교통수단이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교통 수단이 상기 탑승 정류장에 도착할 예상시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교통 수단이 하나의 교통 수단인지 또는 복수의 교통수단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노선 정보는 각각의 교통 수단의 노선 번호, 환승 정류장의 이름과 위치 좌표 및 하차 정류장의 이름과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
  28. 제 16 항 내지 제 27 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수단은 하차벨을 구비하고,
    상기 하차벨은 상기 하차벨 동작 메시지에 응답하여 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3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수단은 하차벨을 구비하고,
    상기 하차벨 동작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하차벨이 울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수단은 하차벨을 구비하고,
    상기 하차벨 동작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하차벨 동작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하차벨이 울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방법.
KR1020090087290A 2009-09-16 2009-09-16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098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290A KR101098820B1 (ko) 2009-09-16 2009-09-16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290A KR101098820B1 (ko) 2009-09-16 2009-09-16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555A KR20110029555A (ko) 2011-03-23
KR101098820B1 true KR101098820B1 (ko) 2011-12-26

Family

ID=43935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290A KR101098820B1 (ko) 2009-09-16 2009-09-16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8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751B1 (ko) * 2017-10-11 2019-03-21 김재하 원샷 제어기능·양방향 커뮤니케이션망 기능을 갖는 스마트 버스 통합 제어 장치
KR20210064784A (ko) * 2019-11-26 2021-06-03 최수영 교통 수단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909B1 (ko) * 2013-12-02 2016-07-2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Gps좌표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버스 원격 벨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1682928B1 (ko) * 2014-11-19 2016-12-06 주식회사 공간소프트 모바일을 이용한 버스내 호출 서비스 방법
CN105371861B (zh) * 2015-11-17 2019-02-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路线导航方法及路线导航服务器
SG11201810948QA (en) * 2016-06-15 2019-01-30 Manjalink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ons between users and transportation service providers in an integrated public and/or private transportation service platform
KR102078177B1 (ko) * 2018-08-08 2020-04-07 전수황 경로선택방법을 이용한 통합경로정보제공방법
CN111105285B (zh) * 2018-10-29 2024-01-05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连环派单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N113959456A (zh) * 2021-09-22 2022-01-21 王怡 一种基于大数据的智慧地图路径导航方法及智慧地图平台
CN114743387A (zh) * 2022-05-12 2022-07-12 苏州天微至胜运动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交通智能引导控制系统及引导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149B1 (ko) 2005-11-17 2007-03-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중 교통 수단을 이용한 여행자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149B1 (ko) 2005-11-17 2007-03-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중 교통 수단을 이용한 여행자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751B1 (ko) * 2017-10-11 2019-03-21 김재하 원샷 제어기능·양방향 커뮤니케이션망 기능을 갖는 스마트 버스 통합 제어 장치
KR20210064784A (ko) * 2019-11-26 2021-06-03 최수영 교통 수단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347617B1 (ko) * 2019-11-26 2022-01-07 최수영 교통 수단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555A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820B1 (ko) 지능형 모바일 교통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N103328929A (zh) 具有会话传送机制的导航系统及其操作方法
JP6301780B2 (ja) 交通機関情報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
CN102636175B (zh) 路径引导系统
JP2010048824A (ja) 情報提供装置
JPWO2019220205A1 (ja) 乗降位置決定方法、乗降位置決定装置、ならびに、乗降位置決定システム
JP2007072971A (ja) 待ち合わせ支援装置および待ち合わせ支援方法
KR100647742B1 (ko) 대중교통 기반의 네비게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12215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待ち合わせ地点決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50874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自車相対位置の案内方法
JP2003217093A (ja) バス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717843B1 (ko) 대중교통정보를 이용한 개인항법장치 및 그 방법
JP2016212056A (ja) 通知システム、サーバ装置、通信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知方法
WO2020201802A1 (ja) 配車サービス乗車地決定方法及び配車サービス乗車地決定システム
KR20090000417A (ko)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와 교통 수단을 제공하는 방법과시스템
JP2011038775A (ja)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携帯端末装置および省電力復帰方法ならびに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550697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2018160109A (ja) バス検索システム及び入力手段
JP4163741B1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装置ならびに経路探索方法
JP201917896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H10170288A (ja) 乗車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9036720A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サーバ、携帯端末装置、及び情報配信方法
JP2017096768A (ja) 行動計画立案・実行支援装置
JP201020411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0627755B1 (ko) 대중교통수단의 최적 환승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