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785B1 -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785B1
KR101191785B1 KR1020120061505A KR20120061505A KR101191785B1 KR 101191785 B1 KR101191785 B1 KR 101191785B1 KR 1020120061505 A KR1020120061505 A KR 1020120061505A KR 20120061505 A KR20120061505 A KR 20120061505A KR 101191785 B1 KR101191785 B1 KR 101191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connector
contac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나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씽크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씽크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씽크윈텍
Priority to KR1020120061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54Checking;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이 안착되는 셀 안착부; 영상 압축 신호를 검사용 영상으로 복원하는 영상 복원부;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영상 복원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검사용 영상을 셀에 제공할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발생부를 구비한 팔레트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검사용 영상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컴퓨터부; 셀의 구동 전원을 생성하는 구동 전원 공급부; 컴퓨터부, 영상 복원부 및 영상 발생부를 동작시킬 제어 전원을 생성하는 제어 전원 공급부; 제어 신호를 팔레트 유닛으로 전송하는 제어 통신부; 검사용 영상을 영상 압축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압축부를 구비한 검사기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TEST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팔레트에 실려진 복수의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전원 공급 및 검사용 영상 신호를 공급하는 커넥터에 자동으로 접속되어 각 셀의 양부 판정을 테스트하는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는 제조가 완료되면 공정 검사를 거친 후 일정 시간 동안 가혹한 조건으로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검사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통상적으로 검사 단계는, 팔레트(팔레트)에 다수 개의 셀이 안착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팔레트에는 각 셀에 대하여 각 셀에서 요구하는 주파수로 구성된 검사용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영상 발생부가 배치된다. 또한, 팔레트의 영상 발생부는 별도의 컴퓨터와 통신하며, 컴퓨터는 셀에서 표시할 검사용 영상에 대한 영상 신호를 영상 발생부로 전송한다.
이때, 팔레트의 영상 발생부는 컴퓨터와는 개별적인 장치로 구성되므로, 컴퓨터와 영상 발생부와의 검사용 영상 신호의 전송을 위한 통신 라인, 컴퓨터가 영상 발생부 및 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라인, 영상 발생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전원을 전송하기 위한 전원 라인, 각 셀의 구동 전원을 전송하기 위한 전원 라인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라인 중 예를 들면, 검사용 영상 신호의 전송을 위한 통신 라인은, 검사용 영상이 24비트 영상 신호인 경우, 24개의 라인이 필요하게 된다. 여기에 다른 라인들을 추가하면, 적어도 30~50 개의 라인을 하나의 커넥터에 구비하고, 각 팔레트의 셀을 검사할 때마다, 이 커넥터를 서로 연결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컴퓨터와 팔레트의 연결을 위하여, 종래의 돌출된 핀 전극과 이 핀 전극이 삽입되는 통형상 접점을 구비한 종래의 삽입식 커넥터를 이용한다면, 핀 전극이 굽어지거나 돌출된 길이가 일정하지 않거나, 통형상 접점이 헐거워서 핀 전극이 삽입되었을 때 서로 완전히 밀착되지 않는 등에 의한 접속 불량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를 포함하는 검사기와 디스플레이 셀이 안착된 팔레트와의 전기적 접속이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개선된 구조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기에서 제공하는 검사용 영상이 팔레트로 전송될 때 영상 신호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최소화하여, 고품질의 신호 전송을 실현하고자 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검사 대상이 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이 안착되는 셀 안착부; 입력되는 영상 압축 신호를 상기 셀에서 표시할 검사용 영상으로 복원하는 영상 복원부;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영상 복원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 복원부로부터 상기 복원된 검사용 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셀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셀에 제공할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발생부;를 구비한 팔레트 유닛, 및 상기 검사용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 발생부 및 상기 영상 복원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컴퓨터부; 상기 셀의 구동 전원을 생성하는 구동 전원 공급부; 상기 컴퓨터부, 상기 영상 복원부 및 상기 영상 발생부를 동작시킬 제어 전원을 생성하는 제어 전원 공급부;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팔레트 유닛의 상기 영상 발생부에 전송하는 제어 통신부; 상기 검사용 영상을 상기 팔레트 유닛의 상기 영상 복원부에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 압축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압축부;를 구비한 검사기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영상 압축 신호는, 상기 컴퓨터부에서 생성한 상기 검사용 영상을 상기 영상 압축부에서 시리얼 신호 패턴으로 변환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압축부는 상기 검사용 영상을 300MHz 이하의 영상 전송 클록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압축하여 상기 영상 압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복원부는 상기 영상 압축 신호로부터 상기 검사용 영상을 복원하고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셀에서 요구하는 영상 전송 클록을 갖도록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팔레트 유닛에 배치되어, 상기 영상 압축 신호, 상기 구동 전원, 상기 제어 전원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검사기 유닛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접점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2 접점들을 구비하여, 상기 제2 접점들을 통해, 상기 영상 압축 신호, 상기 구동 전원, 상기 제어 전원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접점은 전극이 외부로 노출된 형태이고, 상기 제1 접점은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결합될 때 상기 제2 접점과 접촉하도록 돌출된 형태이고, 상기 제1 접점 및 상기 제2 접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접촉할 때 탄성이 작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는, 제2 커넥터와의 접속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봉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가이드 봉이 내벽에 밀착되어 삽입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봉은 적어도 2개 형성되며, 상기 2개의 가이드 봉은 서로 다른 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봉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내벽 일측에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접점들이 서로 완전하게 접촉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 봉과 접촉하는 접촉 전극이 배치되어, 상기 접촉 전극과 상기 가이드 봉의 전기적 연결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접속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 전극과 상기 가이드 봉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 또는 음향을 발생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봉의 측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 봉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맞추어지는 걸림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를 포함하는 검사기와 디스플레이 셀이 안착된 팔레트와의 전기적 접속이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 셀의 검사가 접속 불량에 의한 오류없이 완전하게 실행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신호 및 전원 전송을 위한 접점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접점의 접속 방식을 개선함에 따라, 상기한 접속 불량의 오류를 해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기에서 제공하는 검사용 영상이 팔레트로 전송될 때 영상 신호에 발생하는 노이즈가 최소화됨으로써, 검사용 영상을 왜곡없이 전송할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 셀 검사가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 1(a)은 액정 디스플레이 셀이 안착되는 팔레트와 팔레트에 안착된 셀들에 대해 검사용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검사기 유닛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b)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를 실제 구성한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은 도 2를 참조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 중 검사기 유닛측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b)은 팔레트 유닛측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커넥터의 제1 접점 및 제2 커넥터의 제2 접점의 접속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구성하는 기타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접점을 구성하는 압력 봉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가이드 봉과 가이드 홈의 구조 및 그 주변의 기타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의 구조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일반적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의 표시면을 구성하는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구조물로서, 이하에서 "셀"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a)은 액정 디스플레이 셀(C)이 안착되는 팔레트 유닛(100)과 팔레트 유닛에 안착된 셀에 대해 검사용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검사기 유닛(2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b)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를 구성한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는, 검사기 유닛(200)과, 팔레트 유닛(100)으로 구성된다. 팔레트 유닛(100)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셀(C)이 안착될 수 있으며, 검사기 유닛(200)은 팔레트 유닛(100)에 셀(C)의 동작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용 영상과 팔레트 유닛(100)의 동작 및/또는 셀(C)의 동작을 위한 전원 및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팔레트 유닛(100)은, 안착된 셀(C)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검사기 유닛(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및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입력되는 검사용 영상을 접속된 셀(C)에 전송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b)에 도시된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의 구성예를 참조하면, 검사기 유닛(200)을 구성하는 컴퓨터부(210) 및 전원부(구동 전원 공급부 및 제어 전원 공급부)(220/230)와, 팔레트 유닛(100)을 구성하는 셀 안착부(110) 및 표시제어 수단(영상 복원부 및 영상 발생부를 포함)(120/130)이 커넥터부(180/280)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일례로서, 표시제어 수단과 디스플레이 셀이 개별적인 접속 수단(예를 들면,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전원부에서 생성되는 셀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과 표시제어 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전원이 커넥터부를 통해 표시제어 수단 측으로 제공되고, 또한, 컴퓨터부(210)에서 표시제어 수단의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와 접속된 셀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용 영상이 커넥터부를 통해 표시제어 수단에 제공되면, 표시제어 수단에서는 해당 셀(C)에 대하여 구동 전원 및 검사용 영상을 제공하고, 셀(C)에서는 입력되는 검사용 영상을 표시한다.
제어 통신부(240) 및/또는 영상 압축부(250)가 커넥터부(280)에 내장될 수 있으며, 또한, 영상 복원부(120) 및/또는 영상 발생부(130)가 커넥터부(180)에 내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시된 형태는, 단지 이해를 위한 것으로서, 실제 적용시 필요에 따라 변경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상술한 바와 같은 원리로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의 전체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검사기 유닛(200)은, 컴퓨터부(210)와 제어 전원 공급부(230)와 구동 전원 공급부(220)와 제어 통신부(240)와 영상 압축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팔레트 유닛(100)은, 셀 안착부(110)와 영상 복원부(120)와 영상 발생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팔레트 유닛(100)과 검사기 유닛(200)은 각각 제1 커넥터(180)와 제2 커넥터(280)의 결합에 의해 연결된다.
컴퓨터부(210)는, 셀(C)에서 표시하도록 하여 셀의 동작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용 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컴퓨터부(210)는 팔레트 유닛(100)의 표시제어 수단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일례로서, 검사용 영상은, 16비트, 24비트, 32비트의 병렬 신호 방식으로 구성된 TMDS 영상일 수 있다.
물론, 다른 영상 전송 방식의 검사용 영상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이다.
제어 전원 공급부(230)는, 검사기 유닛(200)의 각 부 및 팔레트 유닛(100)의 각 부(특히, 제어 회로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VCC 및 GND)(제어 전원)을 생성한다. 팔레트 유닛(100)으로의 제어 전원은 커넥터부(180/280)를 통해 공급된다(커넥터부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구동 전원 공급부(220)는, 팔레트 유닛(100)에 안착된 각 디스플레이 셀(C)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VDD, VSS 및 GND)(구동 전원)을 생성한다. 구동 전원은 커넥터부(180/280)를 통해 팔레트 유닛(100)으로 공급된다.
제어 통신부(240)는, 컴퓨터부(210)에서 생성한 제어 신호를 커넥터부(180/280)를 통해 팔레트 유닛의 표시제어 수단으로 전송한다.
영상 압축부(250)는, 컴퓨터부(210)에서 생성한 검사용 영상을 150MHz 이하의 전송 클록에 맞추어 영상 압축 신호를 생성한다. 즉, 영상 압축부(250)는 검사용 영상의 데이터량을 줄임으로써, 낮은 전송 클록에서도 데이터가 완전하게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전송 클록은 일례로서, 150MHz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케이블과 같은 매체를 통해 신호를 전송할 때, 신호의 전송 클록이 낮을수록 전송의 효율이 높아지고 전송 과정에서 신호에 추가될 수 있는 노이즈의 발생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적절히 낮은 클록을 이용하도록 한다.
또한, 영상 압축부(250)는 병렬 신호 방식의 검사용 영상을 직렬 신호 전송 방식으로 변환하여 영상 압축 신호를 생성한다. 이로써, 영상의 전송을 위하여 필요한 라인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2개의 영상 전송용 라인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영상 압축 신호의 일례는, V-by-One® 신호일 수 있다.
한편, 팔레트 유닛(100)에 있어서, 셀 안착부(110)는,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대차에 탑재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셀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셀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운반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셀 안착부(110)는 안착된 셀이 표시제어 수단으로부터 구동 전원 및 영상 신호(검사용 영상)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접속 수단은 자동으로 조작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셀의 입력 접속 위치에 결속될 수 있다.
영상 복원부(120)는, 영상 압축부(250)에서 전송하는 300MHz 이하의 낮은 전송 클록을 갖는 영상 압축 신호를, 표시제어 수단에서 사용하는 적정한 전송 클록으로 상향 변환한다. 또한, 영상 압축 신호를 병렬 신호 방식의 원래 검사용 영상으로 복원한다. 복원된 검사용 영상은 영상 발생부(130)로 전송된다.
영상 발생부(130)는, 구동 전원 공급부(22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전원을 검사 대상인 셀(C)에 공급한다. 또한, 해당 셀의 영상 표시 동작을 제어하면서, 영상 복원부(120)로부터 입력되는 검사용 영상을 해당 셀에서 시각적으로 표시하기에 적합한 특성(예를 들면, 주파수 특성, 전압 특성, 신호 패턴 특성 등)의 영상 패턴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영상 패턴은, 예를 들면, LVDS 방식, TMDS 방식, DP 방식 등이 가능하다.
영상 복원부(120)와 영상 발생부(130)는, 제어 전원울 공급받아 동작하며 제어 통신부(240)를 통해 전송된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영상 복원부(120)와 영상 발생부(130)는, 필요에 따라서는, 서로에 탑재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 전원 공급부(230)에서 생성한 제어 전원, 구동 전원 공급부(220)에서 생성한 구동 전원, 제어 통신부(240)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 영상 압축부(250)에서 송신하는 영상 압축 신호는 제2 커넥터(280)와 제1 커넥터(180)를 포함하는 커넥터부의 접속을 통해 표시제어 수단으로 전송된다.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구성 및 동작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a) 및 도 3(b)은 검사기 유닛과 팔레트 유닛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a)을 살펴보면, 컴퓨터부(210)에서 생성한 검사용 영상과, 검사기 유닛(200)의 각부 및/또는 팔레트 유닛(100)의 표시제어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제어 명령)는 링크 보드에 제공된다. 이때, 검사용 영상은 DVI 케이블을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제어 신호는 RS232C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링크 보드에서는 입력된 신호들을, 예를 들면, DVI 듀얼 케이블을 통해 제어 통신부(240) 및 영상 압축부(25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 전원 공급부(230)로부터의 제어 전원 및 구동 전원 공급부(220)로부터의 구동 전원도 링크 보드를 통해 팔레트 유닛 측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IO 신호는, 검사용 디스플레이 셀이 자체 발광 가능한 LED 등을 이용하는 경우, 각 LED들에 대한 점멸을 제어하는 패턴으로 구동 전원이 공급되어야하므로, 이 구동 전원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IO 신호는 디스플레이 셀에서 생성되어 검사기 유닛으로 제공되며, 구동 전원 또는 제어 전원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신호 및 전원들은 케이블 및 커넥터부를 통해 팔레트 유닛으로 전송되는데, 구동 전원을 위하여 3라인, I/O 신호를 위하여 2라인, 제어 신호를 위하여 2라인, 압축된 영상 압축 신호 전송을 위하여 2라인, 제어 전원을 위하여 2라인이 필요하다. 신호 전송의 라인 개수는 단지 예시로서, 기능의 추가 및 변경, 또는 영상 신호의 압축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팔레트 유닛측에 있어서는, 커넥터부를 통해 입력된 구동 전원 및 제어 전원은 버퍼 보드로 입력되어 각 셀 및 영상 발생부(130)에 각각 전송된다. 제어 신호는 영상 발생부(130)로 전송된다. 검사용 영상을 압축한 영상 압축 신호는 영상 복원부(120)에서 검사용 영상으로 복원된 후 영상 발생부(130)에 제공된다. 영상 발생부(130)는 검사용 영상을 각 셀(C)에 적합한 영상 패턴으로 변환하여 버퍼 보드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영상 발생부(130)에서는 셀(C)로부터 수신한 구동 전원 제어 신호를 IO 신호로서 검사기 유닛 측으로 전송한다. 이때, 구동 전원 제어 신호는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압축되어 IO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이렇게, 셀은 버퍼 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구동 전원 및 영상 패턴에 의해 구동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에 의하면, 검사용 영상이 직렬 전송 방식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검사기 유닛에서 팔레트 유닛에 이르는 신호 전송을 위한 라인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검사 장치에서는, 24비트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24라인이 필요했으나, 직렬 전송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단지 2개의 신호 전송 라인만으로도 검사용 영상의 전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팔레트 유닛에 구비된 커넥터와 검사기 유닛에 구비된 커넥터를 서로 연결할 때, 접점의 개수가 적어질 수 있으므로, 접점의 개수가 많아서 접점들 사이에서 접속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직렬 전송 방식의 신호를 300MHz 이하, 특히, 150MHz 이하의 낮은 전송 클록으로 압축하여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영상 신호의 전송시 통신 경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검사용 영상이 커넥터를 통해 전송되지 못하는 최악의 경우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노이즈에 강인한 손실없는 효율적인 신호 전송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에 있어서, 검사기 유닛과 팔레트 유닛을 연결하는 커넥터부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커넥터부를 구성하는 제1 커넥터의 제1 접점 및 제2 커넥터의 제2 접점의 접속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신호 및 전원을 전송하기 위한 커넥터부의 접속을,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며 눌려진 후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이 작용하는 제1 접점(182)과, 제1 접점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 접점이 눌려지면서 접촉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노출된 전극 형태의 제2 접점(282)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현하였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다수의 접점을 구비한 커넥터를 서로 결합하여도 돌출된 접점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손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돌출된 접점에 탄성이 작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마주하는 접점과 탄성에 의해 압력이 작용하는 확실한 접촉이 보장된다.
도 5는,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더욱 상세한 구조 및 기타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커넥터(180)에는 복수의 제1 접점(182)들이 제2 커넥터(280)의 제2 접점(282)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1 커넥터(180)의 일측(제1 접점들의 주변 양측)에는 하나씩의 가이드 봉(184)이 배치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 봉(184)은 서로 다른 굵기로 구성된다. 또한, 가이드 봉 중 적어도 하나에는 걸림홈(18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봉(184)은 전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봉(184)은 제1 커넥터(180)가 제2 커넥터(280)에 정확하게 위치맞춤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봉(184)은 단지 하나만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커넥터(280)에는 제1 커넥터의 가이드 봉(184)들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홈(284)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284)들은 대응되는 가이드 봉(184)들의 굵기에 일치하는 내부 지름을 갖는다. 이로써, 가이드 봉(184)이 정확하게 삽입되어 각 접점들이 서로 정확하게 위치맞춤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봉(184)의 굵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제1 커넥터(180)가 뒤집어져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 홈(284)의 내부에는, 삽입된 가이드 봉(184)의 걸림홈(186)에 탄성적으로 맞추어질 수 있도록 걸림 돌기(286)가 설치됨으로써, 제1 커넥터(180)와 제2 커넥터(280)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쉽게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걸림홈(186)과 걸림 돌기(286)의 배치는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 홈(284)의 내부 일측(예를 들면, 가장 깊은 안쪽 부분)에는, 제1 커넥터(180)와 제2 커넥터(280)가 완전하게 결합되었을 때 전도성 재질의 가이드 봉(184)과 접촉하게 되는 접촉 전극(288)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홈에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 봉(184)은 내부적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커넥터(180)와 제2 커넥터(280)가 완전하게 결합되었을 때, 2개의 접촉 전극(288)들이 가이드 봉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되게 되므로, 검사기 유닛에서 커넥터가 완전하게 결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더욱, 도 3(a) 및 도 3(b)에서 컨텍 체크 블록과 LED, 부저 블록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완전하게 결합되어 2개의 접촉 전극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되었을 때, 부저에서 음향을 출력하거나 LED가 발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작자가 접속을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탄성이 작용하는 상태로 돌출된 제1 접점을 구성하는 압력봉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압력봉의 일단은 전방을 향하여 노출되어 제2 접점(282)과 접촉하는 제1 접점(182)을 구성한다. 압력봉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183) 등이 배치되어 전방을 향하는(제2 접점을 향하여) 탄성이 부여된다. 또한, 제1 접점(182)의 끝부분은 날카롭게 가공되어 제2 접점(282)과의 탄성에 의한 접촉을 강화한다.
도 7은 가이드 봉과 가이드 홈의 구조 및 그 주변의 기타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통해서, 가이드 봉(184)에 형성된 걸림홈(186)과, 가이드 홈(284)에 구성된 걸림 돌기(286) 및 접촉 전극(288)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Claims (10)

  1. 검사 대상이 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이 안착되는 셀 안착부; 입력되는 영상 압축 신호를 상기 셀에서 표시할 검사용 영상으로 복원하는 영상 복원부;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영상 복원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 복원부로부터 상기 복원된 검사용 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셀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셀에 제공할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발생부; 상기 영상 압축 신호, 구동 전원, 상기 제어 전원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1 접점을 갖는 제1 커넥터를 구비한 팔레트 유닛, 및
    상기 검사용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 발생부 및 상기 영상 복원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컴퓨터부; 상기 셀의 구동 전원을 생성하는 구동 전원 공급부; 상기 컴퓨터부, 상기 영상 복원부 및 상기 영상 발생부를 동작시킬 제어 전원을 생성하는 제어 전원 공급부;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팔레트 유닛의 상기 영상 발생부에 전송하는 제어 통신부; 상기 검사용 영상을 상기 팔레트 유닛의 상기 영상 복원부에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 압축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압축부; 상기 제1 접점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2 접점들을 가지며, 상기 제2 접점들을 통해 상기 영상 압축 신호, 구동 전원, 상기 제어 전원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한 검사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점은 전극이 외부로 노출된 형태이고, 상기 제1 접점은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결합될 때 상기 제2 접점과 접촉하도록 돌출된 형태이고, 상기 제1 접점 및 상기 제2 접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서로 접촉할 때 서로를 누르는 탄성이 작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압축 신호는, 상기 컴퓨터부에서 생성한 상기 검사용 영상을 상기 영상 압축부에서 시리얼 신호 패턴으로 변환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압축부는 상기 검사용 영상을 300MHz 이하의 영상 전송 클록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압축하여 상기 영상 압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복원부는 상기 영상 압축 신호로부터 상기 검사용 영상을 복원하고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셀에서 요구하는 영상 전송 클록을 갖도록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2 커넥터와의 접속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봉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가이드 봉이 내벽에 밀착되어 삽입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여,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가이드봉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됨에 따라 각 접점들이 서로 정확하게 접촉되도록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봉은 적어도 2개 형성되며, 상기 2개의 가이드 봉은 서로 다른 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봉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내벽 일측에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접점들이 서로 완전하게 접촉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 봉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접촉 전극이 배치되어,
    상기 접촉 전극과 상기 가이드 봉의 전기적 연결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접속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전극과 상기 가이드 봉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 또는 음향을 발생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봉의 측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 봉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맞추어지는 걸림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
KR1020120061505A 2012-06-08 2012-06-08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 KR101191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505A KR101191785B1 (ko) 2012-06-08 2012-06-08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505A KR101191785B1 (ko) 2012-06-08 2012-06-08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785B1 true KR101191785B1 (ko) 2012-10-18

Family

ID=47288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505A KR101191785B1 (ko) 2012-06-08 2012-06-08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7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215A (ko) * 2014-01-13 2015-07-22 (주)나이시스 영상 분할전송 및 복원을 이용한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검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780B1 (ko) * 2006-10-02 2007-10-19 (주)나이시스 액정모듈용 에이징 테스트 구동장치
JP2009006118A (ja) * 2007-05-28 2009-01-15 Olympus Corp 内視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780B1 (ko) * 2006-10-02 2007-10-19 (주)나이시스 액정모듈용 에이징 테스트 구동장치
JP2009006118A (ja) * 2007-05-28 2009-01-15 Olympus Corp 内視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215A (ko) * 2014-01-13 2015-07-22 (주)나이시스 영상 분할전송 및 복원을 이용한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검사 방법
KR101590470B1 (ko) 2014-01-13 2016-02-01 (주)나이시스 영상 분할전송 및 복원을 이용한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검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9477B2 (en) Connector and method for implementing the connector
KR101742093B1 (ko)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의 테스트용 지그
KR101191785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
KR20110093627A (ko) 테스트 헤드 및 이를 구비한 반도체 웨이퍼 시험장치
US798239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180149687A1 (en) Testing system for multiple-unit locomotives
KR20210035589A (ko) 디스플레이 패널 테스트 장치
JP4358018B2 (ja) Amoledの駆動回路を検査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827860B1 (ko) 핀 블록 어셈블리
US20100118135A1 (en) Image capturing device assembly for use with test probe
US20070126453A1 (en) Apparatus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CN110954837A (zh) 一种电池包诊断仪
CN111007428B (zh) 一种列车校线装置及方法
US20110070923A1 (en) Handheld apparatus and method of examining and driving a detachable screen of a handheld apparatus
CN109945140A (zh) 一种灯带中间接头
CN108627676A (zh) 信号自动对接装置及收容结构
CN104156287A (zh) 硬盘侦测系统
JP2001176611A (ja) 信号伝送装置およびジャック
KR100599983B1 (ko) 프로브 유닛의 취부구조
KR102308094B1 (ko) 점검 장치, 인공위성 및 디버그 방법
CN111669298A (zh) 连接器性能测试方法及其系统
KR20160094552A (ko) 표시 패널 및 이의 검사 장치
CN105375238B (zh) 连接器的开启装置、光学检测装置及检测产线
KR102332771B1 (ko) 디스플레이 모듈을 검사하는 시스템
JP2006058549A (ja) デジタルビデオ信号インタフェース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