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496B1 - 재열 보일러 및 재열 보일러의 가스 온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재열 보일러 및 재열 보일러의 가스 온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496B1
KR101191496B1 KR1020107008395A KR20107008395A KR101191496B1 KR 101191496 B1 KR101191496 B1 KR 101191496B1 KR 1020107008395 A KR1020107008395 A KR 1020107008395A KR 20107008395 A KR20107008395 A KR 20107008395A KR 101191496 B1 KR101191496 B1 KR 101191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heat
combustion air
combustion
furnace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8644A (ko
Inventor
쥰지 이마다
이사오 우찌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58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7/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air supply
    • F23C7/02Disposition of air supply not passing through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5/00Adaptations of plants for special use
    • F01K15/02Adaptations of plants for special use for driving vehicles, e.g. locomotives
    • F01K15/04Adaptations of plants for special use for driving vehicles, e.g. locomotives the vehicles being waterborne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1/00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 F22B21/002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involving a single upper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1/00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 F22B21/02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built-up from substantially straight water tubes
    • F22B21/04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built-up from substantially straight water tubes involving a single upper drum and a single lower drum, e.g. the drums being arranged transversely
    • F22B21/08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built-up from substantially straight water tubes involving a single upper drum and a single lower drum, e.g. the drums being arranged transversely the water tubes being arranged sectionally in groups or in banks, e.g. bent over at their ends
    • F22B21/081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built-up from substantially straight water tubes involving a single upper drum and a single lower drum, e.g. the drums being arranged transversely the water tubes being arranged sectionally in groups or in banks, e.g. bent over at their ends involving a combustion chamber, placed at the side and built-up from wate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5/00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GSUPERHEATING OF STEAM
    • F22G1/00Steam superheating characterised by heating method
    • F22G1/16Steam superheating characterised by heating method by using a separate heat source independent from heat supply of the steam boiler, e.g. by electricity, by auxiliary combustion of fuel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GSUPERHEATING OF STEAM
    • F22G7/00Steam superheaters characterised by location, arrangement, or disposition
    • F22G7/12Steam superheaters characterised by location, arrangement, or disposition in f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6/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 F23C6/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in series connection
    • F23C6/04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in series connection with fuel supply in s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9/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secondary air for completing combustion of fuel 
    • F23L9/02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secondary air for completing combustion of fuel  by discharging the air above the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Supply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재열 보일러는, 버너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연소 가스가, 화로(102)로부터 과열기, 증발관군을 통과하여 흐르도록 구성된 주 보일러와, 증발관군의 후류측에 재열 버너(107)를 구비한 재열로(108)와, 상기 재열로(108)의 상부측에 재열기(109)를 갖는 재열 보일러이며, 재열로(108) 내에서 재열 버너(107)와 대향하는 위치에 연소용 공기의 일부를 연소용 공기(11b)로서 공급하는 연소용 공기 공급부(12)를 갖는다. 연소 가스(107a)와 연소용 공기(11b)의 대향 충돌에 의해, 연소 가스(107a)의 연소용 공기(11b)와의 혼합을 촉진하고, 연소 가스의 유동 패턴을 변화시켜, 재열로(108)의 출구에서의 연소 가스(107a)의 온도의 언밸런스를 저감한다.

Description

재열 보일러 및 재열 보일러의 가스 온도 제어 방법{REHEAT BOILER AND GAS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REHEAT BOILER}
본 발명은, 증발관군의 후류측에 재열로, 재열기를 설치하여, 재열로의 출구 부근에서의 연소 가스의 가스 온도의 언밸런스를 저감하는 재열 보일러 및 재열 보일러의 가스 온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선박용 보일러로서, 과열기를 구비한 것이 채용되고 있다(특허 문헌 1). 또한, 종래의 선박용 보일러의 연소 가스 후류측에 재열로와 재열기를 구비한 재열 보일러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선박용 재열 보일러의 구성의 일례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은, 종래의 재열 보일러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재열 보일러(100)는 버너(101)와 화로(102)와 프론트 뱅크 튜브(103)와 과열기(Super Heater : SH)(104)와 증발관군(리어 뱅크 튜브)(105)으로 이루어지는 주 보일러(106)와, 증발관군(105)의 후류측에 재열 버너(107)를 구비한 재열로(108)와, 배기 가스 출구측에 설치한 재열기(109)로 이루어진다. 버너(101)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연소 가스는, 화로(102)로부터 프론트 뱅크 튜브(103), 과열기(104) 및 증발관군(105)을 흘러, 재열 버너(107)의 연소 가스와 재열로(108)에서 혼합되고, 재열기(109)와 열교환을 행하면서 흘러, 가스 출구(110)로부터 유출됨으로써 효율적으로 운전을 행하도록 되어 있었다.
도 6 중, 부호 111은 물 드럼, 112는 증기 드럼, 113, 114는 헤더, 115는 월 튜브를 나타내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243106호 공보
그런데, 종래의 선박용 재열 보일러(100)에서는, 재열 버너(107)는 재열로(108)의 전방벽측에만 설치되고, 재열로(108)의 후방벽측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열로(108)의 출구측(도 6 중, 부호 B 부분)에서 재열로(108)의 전방벽(도 7 중, X)측과 후방벽(도 7 중, Y)측에서 연소 가스 온도에 큰 언밸런스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재열로(108)의 출구측[즉, 재열기(109)의 입구측]에서의 연소 가스 온도의 언밸런스는, 재열로(108)나 재열기(109)의 전열 성능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재열기(109)의 재열 튜브의 고온 부식이나 서포트재의 강도 저하를 초래할 우려도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7 중, 부호 A는 재열 버너의 부분이고, 부호 C는 재열기(109)의 출구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비추어, 재열 버너의 가스의 유동 패턴을 변화시킴으로써, 재열로의 출구측에서의 연소 가스의 가스 온도의 언밸런스의 저감을 도모하는 재열 보일러 및 재열 보일러의 가스 온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발명은, 버너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연소 가스가, 화로로부터 과열기, 증발관군을 통과하여 흐르도록 구성된 주 보일러와, 상기 증발관군의 후류측에 재열 버너를 구비한 재열로와, 상기 재열로의 상부측에 재열기를 갖는 재열 보일러이며, 상기 재열로 내에서 상기 재열 버너와 대향하는 위치에 연소용 공기의 일부를 공급하는 연소용 공기 공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열 보일러에 있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소용 공기 공급부가, 상기 재열로 내의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2단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열 보일러에 있다.
제3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소용 공기 공급부에 상기 연소용 공기의 일부를 50% 이하의 비율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열 보일러에 있다.
제4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소용 공기 공급부가, 상기 재열로 내의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2단 이상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연소용 공기 공급부마다 다른 양의 상기 연소용 공기의 일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열 보일러에 있다.
제5 발명은,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재열 보일러의 가스 온도 제어 방법이며, 상기 재열 버너와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연소용 공기의 일부를 상기 재열로 내로 공급하여, 상기 재열로의 출구측에서의 연소 가스의 가스 온도의 언밸런스를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열 보일러의 가스 온도 제어 방법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열로 내에서 재열 버너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한 연소용 공기 공급부로부터 연소용 공기의 일부를 재열로 내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재열 버너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의 유동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재열로의 출구측에서의 연소 가스의 가스 온도의 언밸런스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재열 보일러의 재열로와 재열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b는 도 1a 중의 재열로의 연직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재열 보일러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재열로의 출구 부근에서의 연소 가스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재열 보일러의 재열로와 재열기 부분만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재열로의 출구 부근에서의 연소 가스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재열 보일러의 구성의 일례를 간략하게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재열로의 출구 부근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혹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관한 재열 보일러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재열 보일러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종래의 재열 보일러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재열로에 공기 공급부를 설치한 것이므로, 동일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재열 보일러의 재열로와 재열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는 개략도로, 도 2의 I-I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 중의 재열로의 연직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재열 보일러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1a 및 도 1b 중, 부호 X가 재열로 전방벽측이고, 부호 Y가 재열로의 후방벽측이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재열 보일러(10A)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종래의 재열 보일러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버너(101)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연소 가스가, 화로(102)로부터 과열기(104), 증발관군(105)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주 보일러(106)와, 재열 버너(107)에 의해 연소 가스가 재연소되는 재열로(108)와, 재연소된 연소 가스가, 재열기(109)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재열 보일러인 동시에,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열로(108) 내에서 재열 버너(107)와 대향하는 위치에 재열 버너(107)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11a)의 일부를 연소용 공기(11b)로서 공급하는 연소용 공기 공급부(12)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연소용 공기(11) 중, 재열 버너(107)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연소용 공기(11a)라 하고, 연소용 공기(11) 중, 재열 버너(107)로 공급된 나머지이며, 연소용 공기 공급부(12)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연소용 공기(11b)라 한다.
재열로(108) 내에서 재열 버너(107)와 대향하는 위치에 연소용 공기 공급부(12)를 설치함으로써, 재열 버너(107)로부터 분출되는 연소 가스(107a)와 연소용 공기 공급부(12)로부터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11b)가 대향 충돌하여, 연소 가스(107a)의 연소용 공기(11b)와의 혼합이 촉진되므로, 재열로(108)의 출구에서의 연소 가스(107a)의 온도의 언밸런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3은 도 1a에 도시하는 재열로의 출구에서의 연소 가스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열로(108) 내에서 재열 버너(107)와 대향하는 위치에 연소용 공기 공급부(12)를 설치하고, 연소용 공기(11b)를 재열로(108) 내로 공급함으로써, 재열로(108) 출구 부근(도 1a, 도 2 중, 부호 B)의 연소 가스(107a)의 온도 분포의 폭이, 예를 들어 600 내지 800℃가 되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종래의 재열 보일러(100)에서의 재열로(108)의 출구 부근(도 6, 도 7 중, 부호 B)의 연소 가스(107a)의 온도 분포보다도 좁아져, 평균하여 약 700℃ 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재열 버너(107)와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연소용 공기(11)를 재열로(108)로 공급함으로써,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종래의 재열 보일러에서의 재열로(108)의 출구 부근(도 6, 도 7 중, 부호 B)의 연소 가스(107a)의 온도에 비해, 재열로(108)의 출구 부근의 온도의 언밸런스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재열 보일러(10A)에 있어서는, 연소용 공기(11) 중, 재열 버너(107)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11a)를 제외한 연소용 공기(11b)를 연소용 공기 공급부(12)로부터 50% 이하의 비율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연소용 공기(11) 중, 연소용 공기(11b)로 많이 사용하면, 재열 버너(107)에서 연료가 충분히 연소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재열 보일러(10A)에 있어서는, 연소 가스(107a)가 재열 버너(107)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11a)와 연소한 후, 연소용 공기 공급부(12)로부터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11b)와 연소시켜, 단계적으로 투입하도록 하고 있다. 그로 인해, 연소 가스(107a)를 연소용 공기(11a, 11b)에 의해 2단 연소시킴으로써 NOX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재열 보일러(10A)에 있어서는, 연소용 공기 공급부(12)로부터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11b)의 공기량은, 예를 들어 댐퍼 등의 공기량 조정 수단에 의해 조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재열 보일러(10A)에 따르면, 재열로(108) 내에서 재열 버너(107)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한 연소용 공기 공급부(12)로부터 연소용 공기(11b)를 재열로(108) 내로 공급함으로써, 재열 버너(107)로부터 분출되는 연소 가스(107a)의 유동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재열로(108)의 출구측에서의 연소 가스(107a)의 가스 온도의 언밸런스를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재열로(108)나 재열기(109)의 전열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동시에, 재열기(109)의 재열 튜브의 고온 부식이나 서포트재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관한 재열 보일러에 대해, 도 4,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재열 보일러의 재열로와 재열기 부분만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재열 보일러는, 제1 실시예에 관한 재열 보일러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재열 보일러(10B)는 재열로(108)의 재열 버너(107)의 대항 위치에 재열로(108)의 높이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한 3단의 연소용 공기 공급부(12-1 내지 12-3)를 설치한 것이다.
공기 공급부(12-1 내지 12-3)로부터 연소용 공기(11b-1 내지 11b-3)를 재열로(108)로 공급함으로써, 연소 가스의 연소용 공기(11b-1 내지 11b-3)와의 혼합 정도를 임의로 조정하여, 재열로(108)의 출구 부근에서의 연소 가스의 온도 분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관한 보일러(10B)에 있어서는, 공기 공급부(12-1 내지 12-3)에 의해 각각으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11b-1 내지 11b-3)의 유량을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재열로(108)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11b-1 내지 11b-3)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연소 가스(107a)의 연소용 공기(11b-1 내지 11b-3)와의 혼합 정도를 조정하여, 재열로(108)의 출구 부근에서의 온도 분포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소용 공기(11b-1)의 공기량을 비교적 많게 하고, 연소용 공기(11b-2, 11b-3)의 공기량을 균등하게 함으로써, 재열로(108)의 출구 부근에서의 온도 분포를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재열로의 출구 부근에서의 연소 가스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소용 공기 공급부(12-1 내지 12-3)에 의해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11b-1 내지 11b-3)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열로(108)의 출구측에서의 연소 가스(107a)의 가스 온도의 언밸런스를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소용 공기(11b)를 다단으로 나누어 재열로(108) 내로 공급함으로써, 재열로(108)의 출구 부근(도 4 중, 부호 B)의 연소 가스(107a)의 온도 분포의 폭이, 예를 들어 620 내지 780℃가 되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종래의 재열 보일러(100)에서의 재열로(108)의 출구 부근(도 6 중, 부호 B)의 연소 가스(107a)의 온도 분포보다도 좁아져, 평균하여 약 700℃ 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1 실시예에 관한 재열 보일러(10A)에서의 재열로(108)의 출구 부근(도 2 중, 부호 B)의 연소 가스(107a)의 온도 분포에 비해 더욱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재열 버너(107)와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연소용 공기(11b-1 내지 11b-3)를 재열로(108)로 공급하여, 연소용 공기(11b-2, 11b-3)의 공기량을 미세 조정함으로써, 재열로(108)의 출구 부근의 온도의 언밸런스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연소용 공기(11b-1 내지 11b-3)의 유량을 미세 조정함으로써, 온도, 체류 시간 등의 환원 영역 조건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NOX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소용 공기(11b-1)의 유량을 적게 하고, 연소용 공기(11b-3)의 유량을 많게 하여, 재열로(108) 내를 공기가 부족한 상태로 함으로써, NOX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재열 보일러(10B)에 따르면, 재열로(108)의 재열 버너(107)의 대항하는 위치에 높이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설치한 복수의 연소용 공기 공급부(12-1 내지 12-3)로부터 연소용 공기(11b-1 내지 11b-3)를 공급하여, 재열로(108)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11b-1 내지 11b-3)의 유량을 미세 조정함으로써, 재열 버너(107)의 가스 유동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재열로(108)의 출구측에서의 연소 가스(107a)의 가스 온도의 언밸런스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재열로(108)나 재열기(109)의 전열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동시에, 재열기(109)의 재열 튜브의 고온 부식이나 서포트재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소 가스(107a)의 연소용 공기(11b-1 내지 11b-3)와의 혼합 정도를 미세 조정하여, 재열로(108)의 출구 부분에서의 온도 분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연소용 공기(11b-1 내지 11b-3)의 공기량을 미세 조정하여, 재열로(108)의 환원 영역 조건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NOX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재열 보일러(10B)에 있어서는, 재열로(108) 내의 높이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연소용 공기 공급부(12-1 내지 12-3)를 3단 설치하도록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 공급부(12)를 3단 이상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재열 보일러(10A, 10B)는, 재열로(108) 내에서 재열 버너(107)와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연소용 공기의 일부(11b)를 재열로(108) 내로 공급함으로써, 연소 가스의 유동 패턴을 변화시켜, 재열로(108)의 출구측에서의 연소 가스의 가스 온도의 언밸런스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선박용 보일러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재열 보일러 및 재열 보일러의 가스 온도 제어 방법은, 재열로 내에서 재열 버너와 대향하는 위치에 재열로 내의 높이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한 연소용 공기 공급부로부터 연소용 공기의 일부를 재열로 내로 공급함으로써, 연소 가스의 유동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재열로의 출구측에서의 연소 가스의 가스 온도의 언밸런스의 저감을 도모하는 선박용의 재열 보일러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10A, 10B : 재열 보일러
11, 11b-1 내지 11b-3 : 연소용 공기
12, 12-1 내지 12-3 : 연소용 공기 공급부
101 : 버너
102 : 화로
103 : 프론트 뱅크 튜브
104 : 과열기(SH)
105 : 증발관군(리어 뱅크 튜브)
106 : 주 보일러
107 : 재열 버너
108 : 재열로
109 : 재열기
110 : 가스 출구
111 : 물 드럼
112 : 증기 드럼
113, 114 : 헤더
115 : 월 튜브

Claims (5)

  1. 버너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연소 가스가, 화로로부터 과열기, 증발관군을 통과하여 흐르도록 구성된 주 보일러와, 상기 증발관군의 후류측에 재열 버너를 구비한 재열로와, 상기 재열로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재열기를 갖는 재열 보일러이며,
    상기 재열 버너는 상기 재열로의 전방벽에만 설치되고, 상기 재열 버너로부터 연소용 공기의 일부인 제1 연소용 공기와 연소 가스가 분출되고, 상기 재열로 내에서 상기 재열 버너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연소용 공기의 나머지인 제2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연소용 공기 공급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연소용 공기는 상기 연소용 공기에 대하여 50% 이하의 비율로 투입되는 동시에, 상기 연소용 공기 공급부가, 상기 재열로 내 후방벽에만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3단 이상 설치되고, 상기 제2 연소용 공기는, 최하단의 상기 연소용 공기 공급부의 공급량이 다른 연소용 공기 공급부의 공기량 보다도 많게 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열 보일러.
  2. 버너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연소 가스가, 화로로부터 과열기, 증발관군을 통과하여 흐르도록 구성된 주 보일러와, 상기 증발관군의 후류측에 재열 버너를 구비한 재열로와, 상기 재열로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재열기를 갖는 재열 보일러이며,
    상기 재열 버너는 상기 재열로의 전방벽에만 설치되고, 상기 재열 버너로부터 연소용 공기의 일부인 제1 연소용 공기와 연소 가스가 분출되고, 상기 재열로 내에서 상기 재열 버너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연소용 공기의 나머지인 제2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연소용 공기 공급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연소용 공기는 상기 연소용 공기에 대하여 50% 이하의 비율로 투입되는 동시에, 상기 연소용 공기 공급부가, 상기 재열로 내 후방벽에만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3단 이상 설치되고, 상기 제2 연소용 공기는, 최상단의 상기 연소용 공기 공급부의 공급량이 다른 연소용 공기 공급부의 공기량 보다도 많게 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열 보일러.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의 재열 보일러의 가스 온도 제어 방법이며,
    상기 재열 버너와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연소용 공기를 상기 재열로 내로 공급하여, 상기 재열로의 출구측에서의 연소 가스의 가스 온도의 언밸런스를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열 보일러의 가스 온도 제어 방법.
KR1020107008395A 2007-10-17 2008-06-06 재열 보일러 및 재열 보일러의 가스 온도 제어 방법 KR101191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70225 2007-10-17
JP2007270225A JP5010425B2 (ja) 2007-10-17 2007-10-17 再熱ボイラ及び再熱ボイラのガス温度制御方法
PCT/JP2008/060470 WO2009050917A1 (ja) 2007-10-17 2008-06-06 再熱ボイラ及び再熱ボイラのガス温度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644A KR20100058644A (ko) 2010-06-03
KR101191496B1 true KR101191496B1 (ko) 2012-10-15

Family

ID=4056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395A KR101191496B1 (ko) 2007-10-17 2008-06-06 재열 보일러 및 재열 보일러의 가스 온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236501A1 (ko)
EP (1) EP2206952B1 (ko)
JP (1) JP5010425B2 (ko)
KR (1) KR101191496B1 (ko)
CN (1) CN101821550B (ko)
DK (1) DK2206952T3 (ko)
WO (1) WO20090509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3280B2 (ja) * 2011-02-14 2015-04-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舶用推進プラント
JP5916777B2 (ja) * 2014-02-14 2016-05-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舶用ボイラおよび舶用ボイラの運転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3906A (en) * 1978-02-02 1979-08-15 Mitsubishi Heavy Ind Ltd Steam temperature controller for marine reheat boiler
JPS63172806A (ja) * 1987-01-09 1988-07-16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二段燃焼炉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6898A (en) * 1974-12-20 1976-05-18 Combustion Engineering, Inc. Marine vapor generator having low temperature reheater
US3948223A (en) * 1975-01-02 1976-04-06 Foster Wheeler Energy Corporation Serially fired steam generator
JPH05230785A (ja) * 1992-02-19 1993-09-07 Babcock Hitachi Kk 回収ボイラおよびその燃焼方法
JP2002243106A (ja) 2001-02-21 2002-08-28 Mitsubishi Heavy Ind Ltd ボイラ
US7516620B2 (en) * 2005-03-01 2009-04-14 Jupiter Oxygen Corporation Module-based oxy-fuel boiler
US7475646B2 (en) * 2005-11-30 2009-01-13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ecreasing a rate of slag formation at predetermined locations in a boiler system
JP2009097801A (ja) * 2007-10-17 2009-05-07 Mitsubishi Heavy Ind Ltd ボイラ及びボイラの蒸気温度調整方法
JP5022204B2 (ja) * 2007-12-17 2012-09-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舶用ボイラ構造
JP5148426B2 (ja) * 2008-09-17 2013-02-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再熱ボイ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3906A (en) * 1978-02-02 1979-08-15 Mitsubishi Heavy Ind Ltd Steam temperature controller for marine reheat boiler
JPS63172806A (ja) * 1987-01-09 1988-07-16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二段燃焼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6952A1 (en) 2010-07-14
KR20100058644A (ko) 2010-06-03
DK2206952T3 (en) 2016-06-06
EP2206952A4 (en) 2014-06-11
EP2206952B1 (en) 2016-02-24
CN101821550B (zh) 2012-11-14
WO2009050917A1 (ja) 2009-04-23
JP5010425B2 (ja) 2012-08-29
US20100236501A1 (en) 2010-09-23
JP2009097802A (ja) 2009-05-07
CN101821550A (zh)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30614B (zh) 一种烟道分隔且流量可调节的塔式锅炉
CN101709660A (zh) 用于加热和热回收系统的低btu燃料流量比导管燃烧器
US20080156236A1 (en) Pulverized coal combustion boiler
EP0884526B1 (en) Boiler
CN104676573A (zh) 一种720℃高效超超临界二次再热电站锅炉
CN101883951B (zh) 船用锅炉构造
KR101191496B1 (ko) 재열 보일러 및 재열 보일러의 가스 온도 제어 방법
JP6056371B2 (ja) ボイラシステム
JP2009097801A (ja) ボイラ及びボイラの蒸気温度調整方法
JP2008151471A (ja) 微粉炭焚き対向燃焼ボイラ
US20070034167A1 (en) Continuous steam generator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continuous steam generator
US5890457A (en) Boiler
JP5812844B2 (ja) 舶用ボイラ
KR101280130B1 (ko) 재열 보일러
JP6513422B2 (ja) 燃焼バーナ、ボイラ、及び燃料ガスの燃焼方法
JP2012042154A (ja) 対向燃焼ボイラ装置の運転方法及び対向燃焼ボイラ装置
CA2894371C (en) Multi-stage duct fired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and methods of use
KR20140096998A (ko) 이중경로의 평행 과열기
JP6936207B2 (ja) ボイラ装置
JP4200862B2 (ja) ボイラの煤洗浄装置
JP2020528535A (ja) 流動床ボイラー設備及び流動床ボイラー設備において燃焼ガスを予熱する方法
US4342286A (en) Integral economizer steam generator
US2905154A (en) Vapour generating and vapour heating unit
JP2005273952A (ja) 減温装置
WO2014132319A1 (ja) ボイ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