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428B1 -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층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층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428B1
KR101191428B1 KR1020110049030A KR20110049030A KR101191428B1 KR 101191428 B1 KR101191428 B1 KR 101191428B1 KR 1020110049030 A KR1020110049030 A KR 1020110049030A KR 20110049030 A KR20110049030 A KR 20110049030A KR 101191428 B1 KR101191428 B1 KR 101191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 member
barrel
laminated
guide
guid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조
홍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Priority to KR1020110049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02Cores, Yokes, or armatures made from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4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33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made from she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6Ro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적층배럴은 블랭크 다이의 내부면에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층의 라미나 부재가 정위치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층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Lamination barrel having guide groove or guide protrude part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minae stack having the lamination barrel}
본 발명은 적층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블랭킹된 라미나 부재가 블랭킹 펀치에 의해 아래로 이동되는 동안에 라미나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적층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미나 부재를 적층하여 제조되는 적층 코아는 발전기나 모터의 회전자 및 고정자로 사용되며, 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도 1에는 라미나 부재(100)가 적층되어 완성된 적층 코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라미나 부재(100) 중심에는 샤프트 홀(101)이 형성되고, 샤프트 홀(101)을 중심으로 다수의 날개부(109)가 소정 각도마다 형성되며, 날개부(109) 사이에는 슬롯(102)이 형성된다.
각각의 라미나 부재(100)에는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인터록탭(103)이 형성되며, 라미나 부재(100)가 적층될 때 상층 라미나 부재(100)의 인터록탭(103)이 하층 라미나 부재의 인터록홈(104)에 억지끼움됨으로써 상호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라미나 부재(100)는 금속 스트립을 블랭킹하여 제조되는데, 라미나 부재(100)의 제조공정과, 라미나 부재(100)를 적층하여 적층코아를 제조하는 공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블랭킹 펀치가 블랭크 다이(blank die)에 삽입되면 금속 스트립이 블랭킹되어 라미나 부재(100)가 만들어지고, 상기 블랭킹된 라미나 부재(100)가 블랭크 다이의 내부에서 블랭킹 펀치에 의해 아래로 이동된 다음, 라미나 부재(100)가 하층의 라미나 부재(100)와 서로 억지끼움 결합된다.
이 때, 블랭킹 펀치에 의한 블랭킹 공정과, 블랭킹 펀치에 의해 라미나 부재(100)가 블랭크 다이의 아래로 이동하는 동안에 라미나 부재(100)가 임의로 회전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금속 스트립은 그 두께가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라미나 부재(100)도 그 두께가 균일하지 않다. 이에 따라 라미나 부재(100)가 수직으로 적층되지 못하고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적층배럴을 소정 간격마다 회전시킴으로써 라미나 부재(100)의 두께 편차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데, 이러한 회전 적층을 인덱싱(indexing)이라고 한다. 상기 인덱싱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8043호 등에 그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인덱싱은 라미나 부재의 두께 편차 문제를 해소할 수 있지만, 적층배럴의 회전과 정지가 빠르게 반복되기 때문에 상,하층의 라미나 부재를 정위치에서 결합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적층배럴의 회전과 정지가 빠르게 반복되는 경우에 적층배럴이 흔들리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블랭킹 시에 적층배럴을 가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고, 상기 방안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2743호로 등록되었다.
그러나, 상기 방안에도 불구하고, 블랭킹 공정과, 블랭킹된 라미나 부재가 적층배럴 내부에서 아래로 이동하는 동안에 라미나 부재가 임의로 회전하게 되어 상,하층 라미나 부재가 정위치에서 서로 결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블랭킹 공정과, 블랭킹된 라미나 부재가 적층배럴 내부에서 아래로 이동하는 동안에 라미나 부재가 임의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상,하층의 라미나 부재가 정위치에서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적층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에 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층배럴은 가이드 홈(176)이 내부면(175)에 형성된 블랭크 다이를 구비한다. 가이드 홈(176)은 블랭크 다이의 상단에서 아래를 향하여 형성되되, 금속 스트립이 블랭킹 펀치에 의해서 블랭킹되어 만들어진 라미나 부재의 날개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내부면(175)에 형성된다. 가이드 홈(176)은 상기 블랭킹된 라미나 부재가 아래로 이동하는 동안에 라미나 부재를 가이드하여 하층의 라미나 부재와 정위치에서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홈(176)은 내부면(175)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176)은 블랭크 다이의 상단에서 아래를 향하여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176)은 0.005mm 내지 0.01mm의 깊이(t1)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층배럴은 가이드 돌출부(177)가 내부면(175)에 형성된 블랭크 다이를 구비한다. 가이드 돌출부(177)는 블랭크 다이의 상단에서 아래를 향하여 형성되되, 금속 스트립이 블랭킹 펀치에 의해서 블랭킹되어 만들어진 라미나 부재의 슬롯(102)과 대응되도록 상기 내부면(175)에 형성된다. 가이드 돌출부(177)는 상기 블랭킹된 라미나 부재가 아래로 이동하는 동안에 라미나 부재를 가이드하여 하층의 라미나 부재와 정위치에서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177)는 내부면(175)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177)는 블랭크 다이의 상단에서 아래를 향하여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177)는 0.02mm의 높이(t2)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출부(177)의 양끝단(177a)은 라미나 부재의 날개부와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적층코아 제조장치는 상기 적층배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적층코아 제조장치는 적층배럴을 소정 간격마다 회전시키는 인덱싱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는 블랭킹 공정과, 블랭킹된 라미나 부재가 적층배럴 내부에서 아래로 이동하는 동안에 라미나 부재가 임의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상,하층의 라미나 부재가 정위치에서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적층 코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층배럴을 구비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적층코아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적층 코아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금속 스트립 위에 공정을 표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적층배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적층배럴에 구비된 블랭크 다이와 스퀴즈 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블랭크 다이에 라미나 부재가 블랭킹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a는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b는 도 7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a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층배럴에 구비된 블랭크 다이와, 블랭크 다이에 삽입된 라미나 부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a는 도 10의 D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b는 도 10의 E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a의 F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적층배럴의 내부에서 라미나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 예를 들어,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 돌출부가 적층배럴의 내부면에 형성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적층배럴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8043호, 제10-0522534호, 제10-0762744호 등에 개시된 다양한 적층코아 제조장치에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들의 명세서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적으로 포함된다. 다만,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적층코아 제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층배럴을 구비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4는 상기 적층코아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적층 코아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금속 스트립 위에 공정을 표현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라미나 부재는 길다란 형상의 금속 스트립(105)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이송하면서 스탬핑 및 블랭킹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코아 제조장치는 그 상면으로 금속 스트립(105)이 공급되는 하부다이(110)와, 하부다이(1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운동하는 상부 프레스(120)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스(120)는 이미 잘 알려진 프레스 구동수단에 의해 빠른 속도로 상하로 스트로크 운동하도록 설계되며, 그 하면에는 하부다이(110) 위로 공급되는 금속 스트립(105)을 스탬핑하거나 블랭킹하는 다양한 형상과 기능을 가진 핀펀치(130a)(140a)(150a)(160a)들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하부다이(110)에는 상기 핀펀치들에 상응하는 펀치홀(130b)(140b)(150b)(160b)들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공정의 마지막 단계에는 금속 스트립(105)을 블랭킹하여 라미나 부재(100)를 완성하는 블랭킹펀치(170a)가 상부 프레스(120)에 구비되고, 블랭킹된 라미나 부재(100)를 수납하여 적층시키는 적층배럴(171)이 하부다이(110)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코아 제조장치는 예를 들어, 5 단계의 공정을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데, 슬롯형성부(130), 카운터홀 형성부(140), 샤프트홀 형성부(150), 인터록 탭 형성부(160) 및, 블랭킹부(170) 등이 그것이다.
제1 단계(I) 공정인 슬롯형성부(130)에서, 금속 스트립(105)이 별도의 공급수단에 의해 하부다이(110) 위로 공급되면, 상부 프레스(12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부 프레스(120) 하면에 설치된 핀펀치(130a)가 하강하여 홀(130b) 내부로 삽입되면서 금속 스트립(105)에 복수개의 슬롯(102)을 천공한다.
상기 슬롯(102) 형성 후, 상부 프레스(120)가 상승하고 금속 스트립(105)이 다시 공급수단에 의해 소정 거리 전진하여 스테이지 II의 카운터홀 형성부(140)에 도달하게 된다. 카운터 공정은 최종적으로 적층되는 적층 코아의 매수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소정 매수마다 라미나 부재(100)에 카운터 홀(106)을 형성하기 위해 핀펀치(140a)로 금속 스트립(105)을 천공하는 공정이다. 핀펀치(140a)는 미도시된 구동수단에 의해 작동상태와 비작동상태 중에서 어느 한 가지 모드로 선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카운터 홀(106)을 천공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핀펀치(140a)가 비작동상태가 되고 이 경우에는 후속적인 공정에서 라미나 부재(100)에 인터록 탭(10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운터 공정이 완료되면, 상부 프레스(120)가 상승하고 금속 스트립(105)은 다시 소정거리 전진하여 스테이지 III의 샤프트홀 형성부(150)에 도달한다.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상부 프레스(120)가 하강하면서 핀펀치(150a)에 의해 금속 스트립(105)의 중심부에 샤프트 홀(101)이 천공된다.
다음으로, 금속 스트립(105)이 전진하여 스테이지 IV의 인터록 탭 형성부(160)에서 인터록탭(103)이 형성된다. 즉, 인터록탭 형성부(160)로 금속 스트립(105)이 공급되면 상부 프레스(120)가 하강하면서 금속 스트립(105)을 가압하여 인터록탭(103)을 형성한다. 이때, 금속 스트립(105)에는 인터록탭펀치(160a)의 단면에 상응하는 형상, 예를 들어, 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인터록탭(103)이 형성된다.
스테이지 V(170)에서는 금속 스트립(105)이 상부 프레스(120)에 설치된 블랭킹펀치(170a)에 의해 블랭킹되어 최종적으로 라미나 부재(100)가 형성된다. 라미나 부재(100)는 블랭킹펀치(170a)에 의해 블랭킹 됨과 동시에 그 하부에 설치된 적층배럴(171) 내에 삽입되면서 미리 삽입되어 있던 또 다른 라미나 부재(100) 위에 적층된다. 이때, 라미나 부재(100)들은 펀치에 의해 압입되면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에 있는 라미나 부재(100)의 인터록탭(103)이 그 하부에 있는 라미나 부재(100)의 인터록홈(104) 내부로 억지끼움되어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소정 매수 예컨대, 20장의 라미나 부재가 동일한 과정에 의해 적층된 뒤에, 알려진 바와 같이, 카운터 홀 형성과정에 의해 인터록탭이 없는 라미나 부재가 블랭킹되어 그 위에 적층되면, 라미나 부재는 더 이상 적층되지 않고 분리되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적층 코아는 별도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적층배럴(171)의 보다 상세한 구성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적층배럴(171)은 하부다이(110)에 고정된 제1 및 제2부시(181a)(181b)에 베어링(182a)(182b)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적층배럴(171)의 내부에는 중공형의 블랭크 다이(172)가 설치되는데, 블랭킹 펀치(170a)가 금속 스트립(105)을 블랭킹할 때 블랭크 다이(172) 속으로 진입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랭크 다이(172)는 블랭킹 펀치(170a)가 삽입되는 중공(174)과, 내부면(175)에 형성된 가이드 홈(176)을 구비한다. 가이드 홈(176)은 블랭크 다이(172)의 상단에서 아래를 향하여 수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공(174)에 블랭킹 펀치(170a)가 삽입되는 동작에 의해 금속 스트립(105)이 블랭킹되어 라미나 부재(100)가 형성되고, 상기 라미나 부재(100)는 블랭킹 펀치(170a)에 의해서 가압되어 아래로 이동한 후 하층의 라미나 부재(100)에 적층된다. 상,하층 라미나 부재(100)가 결합되어 적층되는 것은 '배경기술'에서 설명된 바 있다.
금속 스트립(105)이 블랭킹 펀치(170a)에 의해서 블랭킹될 때, 가이드 홈(176)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금속 스트립(105)이 블랭킹되기 때문에 날개부(109)의 끝단 중 일부가 가이드 홈(176)에 삽입된 상태가 되고, 날개부(109)의 끝단 중 일부가 가이드 홈(176)에 삽입됨에 따라 라미나 부재(100)가 아래로 이동하는 동안에 라미나 부재(100)가 가이드 홈(176)에 의해 가이드 되고, 이에 따라 라미나 부재(10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홈(176)은 금속 스트립(105)이 블랭킹 펀치(170a)에 의해서 블랭킹되는 경우와, 블랭킹된 라미나 부재(100)가 블랭킹 펀치(170a)에 의해 가압되어 아래로 이동하는 동안에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홈(176)은 상,하층의 라미나 부재(100)가 서로 정위치에서 결합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정위치'는 상,하층 라미나 부재의 인터록 탭(103)이 어긋남이 없이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홈(176)은 블랭크 다이(172)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소정 각도는 라미나 부재(100)의 날개부(109)와 대응되는 각도이다. 예를 들어, 라미나 부재(100)의 날개부(109)가 10개인 경우에는 이웃하는 가이드 홈(176)이 36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36도의 정수배가 되도록 형성된다. 라미나 부재(100)의 날개부(109)가 10개인 경우에 이웃하는 가이드 홈(176)이 36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면 모든 날개부(109)가 가이드 홈(176)에 의해서 가이드 되고, 도 7 내지 도 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웃하는 가이드 홈(176)이 72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경우에는 가이드 홈(176)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날개부(109)와 가이드되지 않는 날개부(109)가 교대로 존재하게 된다.
가이드 홈(176)은 0.005mm 내지 0.01mm 정도의 깊이(t1)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홈(176)의 깊이(t1)가 0.01mm 보다 크면 완성된 적층코아의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가이드 홈(176)의 깊이(t1)가 0.005mm 보다 작으면 전술한 가이드 효과가 떨어진다.
도 8a는 날개부(109)의 끝단과 대응되는 곳에 가이드 홈(176)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날개부(109)의 끝단이 가이드 홈(176)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도 8b는 날개부(109)의 끝단과 대응되는 곳에 가이드 홈(176)이 없고 날개부(109)의 끝단이 내부면(175)에 접촉된 것을 보여준다.
한편, 블랭크 다이(172) 밑에는 스퀴즈 링(squeeze ring)(173)이 장착되는데, 스퀴즈 링(173)은 블랭킹 펀치(170a)에 의해 블랭킹된 라미나 부재(100)를 수용하며, 그 내경이 라미나 부재(100)에 상응하는 정도여서 라미나 부재(100)가 스퀴즈 링(173) 내에 억지끼움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블랭킹된 라미나 부재(100)들은 블랭킹 펀치(170a)에 밀려 스퀴즈 링(173) 내에 억지끼움되면서 인터록탭(103)에 의해 상호 적층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배럴(171)은 인덱싱 적층을 위해서 소정 간격마다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은 인덱싱 유니트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인덱싱 유니트는 적층배럴(171)의 외주에 설치된 풀리(도 5의 183)와, 풀리(183)에 연결된 벨트(184)와, 구동원인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에 따라 적층배럴(171)을 소정 각도씩 회전시키는 인덱스 드라이버와, 모터의 회전수 등을 제어하는 콘트롤 패널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덱싱 유니트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78043호 등에 그 구성 및 작동 과정이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78043호에 기재된 내용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층배럴에 구비된 블랭크 다이와, 블랭크 다이에 삽입된 라미나 부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 다이(172)는 그 내부면(175)에, 가이드 홈(176)을 대신하여, 가이드 돌출부(177)가 형성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가이드 돌출부(177)는 블랭크 다이(172)의 상단에서 아래를 향하여 수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돌출부(177)는 금속 스트립(105)이 블랭킹 펀치(170a)에 의해서 블랭킹되는 경우와, 블랭킹된 라미나 부재(100)가 블랭킹 펀치(170a)에 의해 가압되어 아래로 이동하는 동안에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돌출부(177)는 상,하층의 라미나 부재(100)가 서로 정위치에서 결합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돌출부(177)는 블랭크 다이(172)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소정 각도는 라미나 부재(100)의 슬롯(102, 즉, 이웃하는 날개부(109) 사이)과 대응되는 각도이다. 예를 들어, 라미나 부재(100)의 슬롯(102)이 10개인 경우에는 이웃하는 가이드 돌출부(177)가 36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36도의 정수배가 되도록 형성된다. 라미나 부재(100)의 슬롯(102)이 10개인 경우에 이웃하는 가이드 돌출부(177)가 36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면 모든 슬롯(102)이 가이드 돌출부(177)에 의해서 가이드 되고, 도 10 내지 도 1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웃하는 가이드 돌출부(177)가 72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경우에는 가이드 돌출부(177)에 의해서 가이드 되는 슬롯(102)과 가이드 되지 않는 슬롯(102)이 교대로 존재하게 된다.
가이드 돌출부(177)는 대략 0.02mm의 높이(t2)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a는 슬롯(102)의 끝단과 대응되는 곳에 가이드 돌출부(177)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슬롯(102)의 끝단이 가이드 돌출부(177)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도 11b는 슬롯(102)의 끝단과 대응되는 곳에 가이드 돌출부(177)가 없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블랭크 다이(172) 밑에 스퀴즈 링(squeeze ring)(173)이 장착될 수 있는 것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가이드 돌출부(177)의 양끝단(177a)은 날개부(109)의 양끝단과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끝단(177a)이 날개부(109)의 양끝단과 중첩되도록 형성되면 블랭킹 시에 날개부(109)의 양끝단이 변형하게 되고, 상기 변형은 가이드 돌출부(177)와 날개부(109)의 결합력을 높여서 슬롯(102)이 가이드 돌출부(177)에 의해 견고하게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한다.
100 : 라미나 부재 102 : 슬롯
109 : 날개부 171 : 적층배럴
172 : 블랭크 다이 173 : 스퀴즈 링
176 : 가이드 홈 177 : 가이드 돌출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중공형의 블랭크 다이를 구비하고, 블랭크 다이의 내부면(175)에는 가이드 돌출부(177)가 블랭크 다이의 상단에서 아래를 향하여 형성되며, 가이드 돌출부(177)는 금속 스트립이 블랭킹 펀치에 의해서 블랭킹되어 만들어진 라미나 부재의 슬롯(102)과 대응되도록 상기 내부면(175)에 형성되고, 가이드 돌출부(177)는 상기 블랭킹된 라미나 부재가 아래로 이동하는 동안에 라미나 부재를 가이드하여 하층의 라미나 부재와 정위치에서 결합하도록 하며,
    가이드 돌출부(177)의 양끝단(177a)은 라미나 부재의 날개부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배럴.
  5. 제4항에 있어서,
    가이드 돌출부(177)가 내부면(175)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고,
    가이드 돌출부(177)는 블랭크 다이의 상단에서 아래를 향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배럴.
  6. 제4항에 있어서,
    가이드 돌출부(177)는 0.02mm의 높이(t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배럴.
  7. 삭제
  8.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적층배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적층배럴을 소정 간격마다 회전시키는 인덱싱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
KR1020110049030A 2011-05-24 2011-05-24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층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 KR101191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030A KR101191428B1 (ko) 2011-05-24 2011-05-24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층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030A KR101191428B1 (ko) 2011-05-24 2011-05-24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층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428B1 true KR101191428B1 (ko) 2012-10-16

Family

ID=4728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030A KR101191428B1 (ko) 2011-05-24 2011-05-24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층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4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9520A (ja) 2001-07-02 2003-01-21 Kuroda Precision Ind Ltd 積層鉄心の製造用金型装置
KR100522534B1 (ko) 2003-05-23 2005-10-20 한국코아 주식회사 적층 코아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78043B1 (ko) 2004-01-30 2006-05-11 한국코아 주식회사 적층 코아 제조용 인덱싱 장치
KR100762743B1 (ko) 2006-01-10 2007-10-02 주식회사 포스코아 적층배럴 가압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9520A (ja) 2001-07-02 2003-01-21 Kuroda Precision Ind Ltd 積層鉄心の製造用金型装置
KR100522534B1 (ko) 2003-05-23 2005-10-20 한국코아 주식회사 적층 코아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78043B1 (ko) 2004-01-30 2006-05-11 한국코아 주식회사 적층 코아 제조용 인덱싱 장치
KR100762743B1 (ko) 2006-01-10 2007-10-02 주식회사 포스코아 적층배럴 가압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5125B2 (ja) 回転子積層鉄心の製造方法
JP4834433B2 (ja) アキシャルエアギャップ型電動機用固定子鉄心の製造方法
US9099897B2 (en) Method for connecting end sections of an annular laminated articl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6429129B2 (ja) ロータの製造方法
US200900252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minated core and the laminated core
JP5385068B2 (ja) 積層コアの転積装置
JP5591091B2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積層鉄心、回転電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EP3503360B1 (en)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heating inner diameter of laminated core
JP2009118704A (ja) 回転電機の回転子積層鉄心及びその製造方法
JP4574255B2 (ja) 分割積層コアの製造方法と製造用順送り金型
KR100578043B1 (ko) 적층 코아 제조용 인덱싱 장치
KR101191428B1 (ko)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층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
US6195875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ong, slender lamina stacks from nonuniform laminae
US201600941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minated cores
KR101881257B1 (ko) 적층코아 및, 그 제조방법
KR101130177B1 (ko) 적층코아 및, 그 제조방법
JPH06245439A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
KR101292275B1 (ko) 하프 블랭킹을 이용한 적층코아 제조장치
KR100762743B1 (ko) 적층배럴 가압 구조
KR100584192B1 (ko) 적층 코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층 코아 제조 방법
KR101089903B1 (ko) 적층코아,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4766774B2 (ja) 積層鉄心の製造装置
KR101875524B1 (ko) 펜슬코어 제조장치
KR101193089B1 (ko) 금속 스트립에 피어싱 홀을 형성하기 위한 피어싱 유니트 및 피어싱 방법
KR20130057158A (ko) 엠보싱 홈 형성용 핀펀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적층코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