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415B1 -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415B1
KR101191415B1 KR1020090081804A KR20090081804A KR101191415B1 KR 101191415 B1 KR101191415 B1 KR 101191415B1 KR 1020090081804 A KR1020090081804 A KR 1020090081804A KR 20090081804 A KR20090081804 A KR 20090081804A KR 101191415 B1 KR101191415 B1 KR 101191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door plate
discharge port
air condition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980A (ko
Inventor
허동철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1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4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3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는: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보조공기토출구와,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고, 보조공기토출구와 연통되는 연결구를 형성한 도어플레이트와, 도어플레이트의 전면에 구비되는 전면패널과, 전면패널이 도어플레이트에서 승하강되어 도어플레이트의 연결구를 차폐시키는 승하강부 및 전면패널과 도어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여 전면패널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멀티, 전면패널, 보조공기토출구, 승하강부, 탄성부재

Description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MULTI-WAY DISCHARGE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에 보조공기토출구를 형성하여 신속하게 쾌적한 실내공간을 제공하는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의 냉각/방열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기에는 방열/냉각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최근에는 입체 냉/난방을 고려하여 실내기의 측면이나 상면 등에 공기가 토 출되는 공기 토출구를 형성하는 추세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의 상측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면에 개방되며, 양측면 상부에 공기토출구(22)가 형성되고, 양측면 하부에 공기흡입구(24)를 형성한 캐비닛(20)과, 캐비닛(20)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패널(30)과, 캐비닛(20)과 전면패널(30)의 사이 하부에 설치된 송풍기와 송풍기의 상측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부에 형성된 공기흡입구(24)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되어 상부에 형성된 공기토출구(22)를 통해 실내에 공급됨으로써,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하단부 양측에 흡입부와 상단부 양측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2방향으로 흡입, 토출됨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바람의 방향과 풍량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이 한정적이라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전면패널에 흡입구 및 토출구를 더 형성할 경우 전면 디자인을 훼손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체의 전면에 보조공기토출구를 형성하고, 전면패널을 승하강부에 의해 승하강시켜 보조공기토출구를 차폐함으로써, 미감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신속하게 쾌적한 실내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면패널의 승하강작동시 감속기어와 탄성부재에 의해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고, 소음을 방지하는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는: 본체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보조공기토출구와,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고, 보조공기토출구와 연통되는 연결구를 형성한 도어플레이트와, 도어플레이트의 전면에 구비되는 전면패널과, 전면패널이 도어 플레이트에서 승하강되어 도어플레이트의 연결구를 차폐시키는 승하강부 및 전면패널과 도어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여 전면패널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의 하부에는 전면패널의 이동구간을 확보하도록 베이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승하강부는 도어플레이트의 전면에서 전면패널이 승하강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구동부에 의해 승하강하는 전면패널이 직선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부는 도어플레이트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축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동기어와, 전동기어와 치합되는 감속기어와, 감속기어와 연결된 피니언기어 및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도록 전면패널에 형성된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슬라이드부는 도어플레이트의 전면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 및 가이드홈부에 삽입되고, 전면패널에 연결되어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레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부재는 일측이 전면패널에 연결되고, 타측은 도어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는 은 종래 발명과 달리 본체의 전면에 보조공기토출구를 형성하고, 보조공기토출구와 연통되는 연결구를 전면패널이 승하강부에 의해 승하강되어 보조공기토출구를 차폐함으로써, 전면패널의 미감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신속하게 쾌적한 실내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도어플레이트는 본체에 힌지 연결되어 본체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어 내부 전장품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도어플레이트 전면에서 승하강되는 전면패널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됨으로, 전면패널의 상승시 구동모터의 부하를 줄여주는 효과를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의 하강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승하강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100)는 크게, 본체(110), 도어플레이트(140), 전면패널(150) 및 승하강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10)는 전면이 개구된 케이스형상으로 양측면 상부에는 공기토출구(114)가 형성되고, 양측면 하부에는 공기흡입구(112)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전면에는 상부에는 보조공기토출구(115)가 형성되고, 보조공기토출구에는 공기안내덕트(130)가 구비된다.
공기안내덕트(130)는 보조공기토출구(115)의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구동부(135)에 의해 회전된다.
그리고, 공기안내덕트(130)는 중공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어 토출되는 공기가 격벽에 의해 확장되어 토출된다.
회전구동부(135)는 공기안내덕트(130)에 형성되는 종동기어(136)와, 종동기어(136)와 치합되는 주동기어(137)와, 주동기어(137)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탭핑모터(1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10)의 전면에는 본체(110)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본체(11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플레이트(140)가 구비된다.
도어플레이트(140)에는 보조공기토출구(115)와 연통되는 연결구(142)가 형성된다.
도어플레이트(140)는 본체(110)의 내부를 손쉽게 개폐할 수 있어 본체(110) 에 구비되는 전장품의 불량시 교체 또는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그리고, 도어플레이트(140)의 전면에는 전면패널(150)이 구비된다.
전면패널(150)은 도어플레이트(140)의 전면에 구비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것으로 전면이 다양한 디자인으로 형성된다.
전면패널(150)은 도어플레이트(140)에서 승하강부(160)에 의해 승하강되어 연결구(142)를 차폐함으로써, 본체(110)의 보조공기토출구(115)를 차폐시킨다.
이때, 본체(110)의 하부에는 전면패널(150)의 이동구간을 확보하도록 일정높이를 갖는 베이스(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승하강부(160)는 도어플레이트(140)의 전면에서 전면패널(150)이 승하강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70) 및 구동부(170)에 의해 승하강하는 전면패널(150)이 직선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동부(170)는 도어플레이트(140)에 구비되는 구동모터(172)와, 구동모터(172)에 축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동기어(174)와, 전동기어(174)와 치합되는 감속기어(176)와, 감속기어(176)와 연결된 피니언기어(178) 및 피니언기어(178)와 치합되도록 전면패널(150)에 형성된 랙기어(17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속기어(176)는 전동기어(174)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구동모터(172)에 걸리는 부하를 줄이기 위함으로 기어간 일정 감속비를 갖도록 기어크기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슬라이드부(180)는 본체(1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182) 및 가이드홈부(182)에 삽입되고, 전면패널(150)에 연결되어 가이드홈부(182)를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레일(18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레일(184)이 가이드홈부(182)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됨으로, 전면패널(150)은 상하로 정확하게 안내한다.
그리고, 전면패널(150)은 도어플레이트(140)에서 탄성부재(190)에 의해 탄동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90)는 일측이 전면패널(150)에 연결되고, 타측은 도어플레이트(140)에 연결되는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전면패널(150)의 하강시에는 탄성부재(190)가 인장되고, 상승시에는 전면패널(150)의 무게에 의해 구동모터(172)에 더 많은 구동력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를 탄성부재(190)의 복원력에 의해 구동모터(172)의 부하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토출용 공기조화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최초 공기조화기(100)를 가동하게되며, 본체(110)의 하단부 양측면에 형성된 공기흡입구(112)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한 후, 본체(110)의 상단부 양측면에 형성된 공기토출구(114)를 통해 토출된다.
사용자가 보조공기토출구(115)를 이용하여 실내를 신속하게 쾌적한 환경을 만들고자 공기조화기(100)를 조작하면, 구동모터(172)가 작동되어 피니언기어(178) 가 회전되고, 피니언기어(178)와 치합된 랙기어(179)에 의해 전면패널(150)을 하강시킨다.
이때, 구동모터(172)의 구동력은 전동기어(174)와 감속기어(176)에 의해 구동모터(172)에 걸리는 부하를 줄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운전시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를 지닌다.
그리고, 전면패널(150)과 도어플레이트(140)에 각각 연결된 탄성부재(190)는 전면패널(150)의 하강에 의해 인장되고, 전면패널(150)은 가이드홈부(182)과 가이드레일(184)에 의해 직선으로 정확하게 안내되면서, 본체(110)의 상부에 형성된 보조공기토출구(115)가 개방된다.
이는 본체(110)의 하부에 전면패널(150)의 이동구간이 확보되도록 베이스(120)가 형성됨으로써, 가능하다.
보조공기토출구(115)의 개방에 의해 본체(11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공기토출구(114)와 함께 실내를 신속하게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보조공기토출구(115)에 구비된 공기안내덕트(130)가 회전구동부(135)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을 반복하면서 실내의 곳곳에 공기를 토출시킴으로써, 공기 순환효율을 배가하는 효과를 지닌다.
한편, 보조공기토출구(115)의 사용을 중지시키고자 공기조화기(100)를 조작하면, 구동모터(172)가 반대로 회전되어 전동기어(174)와 감속기어(176)에 걸쳐 피니언기어(178)와 랙기어(179)에 의해 전면패널(150)이 상부로 상승한다.
이때, 전면패널(150)의 하강에 의해 인장된 탄성부재(190)의 복원력에 의해 전면패널(1150)의 무게를 지지함으로써, 구동모터(172)의 부하를 감소시켜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이처럼 전면패널(150)이 승하강되는 구조에 의해 다방향의 토출구조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전면패널(150)의 디자인을 훼손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보조공기토출구(115)에 공기안내덕트(130)를 구비함으로써, 실내의 곳곳에 토출 공기를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전면패널(150)의 승하강작동시 감속기어(176)와 탄성부재(190)에 의해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의 하강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승하강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110: 본체
112 : 공기흡입구 114 : 공기토출구
115 : 보조공기토출구 120 : 베이스
130 : 공기안내덕트 135 : 회전구동부
136 : 종동기어 137 : 주동기어
138 : 스탭핑모터 140 : 도어플레이트
142 : 연결구 150 : 전면패널
152 : 연결브라켓 160 : 승하강부
170 : 구동부 172 : 구동모터
174 : 전동기어 176 : 감속기어
178 : 피니언기어 179 : 랙기어
180 : 슬라이드부 182 : 가이드홈부
184 : 가이드레일 190 : 탄성부재

Claims (6)

  1. 본체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보조공기토출구;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공기토출구와 연통되는 연결구를 형성한 도어플레이트;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전면에 구비되는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이 상기 도어플레이트에서 승하강되어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연결구를 차폐시키는 승하강부; 및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도어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전면패널의 하강시 인장되어 상기 전면패널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보조공기토출구 및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부에 의해 상기 전면패널 전체가 하강하여 상기 보조공기토출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전면패널의 이동구간을 확보하도록 베이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전면에서 상기 전면패널이 승하강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승하강하는 상기 전면패널이 직선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도어플레이트에 구비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축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동기어;
    상기 전동기어와 치합되는 감속기어;
    상기 감속기어와 연결된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전면패널에 형성된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전면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 및
    상기 가이드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전면패널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6. 삭제
KR1020090081804A 2009-09-01 2009-09-01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KR101191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804A KR101191415B1 (ko) 2009-09-01 2009-09-01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804A KR101191415B1 (ko) 2009-09-01 2009-09-01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980A KR20110023980A (ko) 2011-03-09
KR101191415B1 true KR101191415B1 (ko) 2012-10-16

Family

ID=43931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804A KR101191415B1 (ko) 2009-09-01 2009-09-01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4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8074B (zh) * 2012-01-18 2014-06-11 上海理工大学 一种带双通道装置的空调室内壁挂机
CN104061669B (zh) * 2014-07-09 2017-05-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立式空调器
CN105423420B (zh) * 2015-12-01 2018-08-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结构及具有其的空调柜机
KR20190106682A (ko) 2018-03-07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3431A (ja) 2007-10-02 2009-05-14 Daikin Ind Ltd 室内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3431A (ja) 2007-10-02 2009-05-14 Daikin Ind Ltd 室内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980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413B1 (ko)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KR101191416B1 (ko) 흡입토출량 가변형 공기조화기
KR20090038555A (ko) 토출풍향 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1191415B1 (ko)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KR20100086313A (ko) 공기조화기
KR20080042396A (ko) 토출가이드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500804B1 (ko)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JP6116840B2 (ja) 空気調和機
KR2010002535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CN214627829U (zh) 机柜
KR101482126B1 (ko) 공기조화기
KR101345265B1 (ko) 공기조화기
KR10134682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8818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22668B1 (ko)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KR101174034B1 (ko) 멀티 흡입 토출형 공기조화기
KR101482118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6314A (ko) 공기조화기
KR200280424Y1 (ko) 에어컨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2007007825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20230349563A1 (en) Air conditioning unit
KR2009010541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208186555U (zh) 空调室内机
KR10068818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727035B1 (ko) 공기조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