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035B1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035B1
KR101727035B1 KR1020100044792A KR20100044792A KR101727035B1 KR 101727035 B1 KR101727035 B1 KR 101727035B1 KR 1020100044792 A KR1020100044792 A KR 1020100044792A KR 20100044792 A KR20100044792 A KR 20100044792A KR 101727035 B1 KR101727035 B1 KR 101727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ar panel
heat exchanging
blowing
blow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329A (ko
Inventor
이주형
허덕
배성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4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035B1/ko
Priority to EP10175917A priority patent/EP2386802B1/en
Priority to ES10175917T priority patent/ES2398514T3/es
Priority to CN201010509476.XA priority patent/CN102242955B/zh
Priority to US12/895,192 priority patent/US9074780B2/en
Publication of KR20110125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공조 운전 시 또는 미작동 시에 열교환 유니트 또는 송풍 유니트의 위치, 각도 또는 간격을 가변시켜 컴팩트하고, 높은 공조 효율을 가지며, 열교환 유니트 또는 송풍 유니트의 이동을 위한 구동 유니트의 수를 줄일 수 있고, 구동 유니트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특정 영역의 공기를 사용 목적에 알맞도록 공기의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압축기와 열교환기를 갖추고 냉매를 유동시켜 주거공간, 식당, 도서관, 또는 사무실 등과 같은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공기조화장치는 냉매사이클을 일 방향으로만 가동하여 실내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 시스템과, 냉매사이클을 양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가동하여 실내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냉난방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또한, 일체형과 분리형 공기조화장치로 구분되며,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장치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서로 독립된 형태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어,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장치는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는 열교환기가 설치된 실내기, 그리고 실외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여 토출하는 압축기가 설치된 실외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는 분리되어 각각 실내와 실외에 설치되며, 이들은 서로 냉매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한대의 실외기에 한대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통상적인 공기조화장치와, 한대의 실외기에 다수대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멀티 공기조화장치로 구분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한 공기조화장치 중 분리형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의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실내기는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실내기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 및 상기 실내기 내의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는 내부에 각각 장착되는 열교환기 및 송풍팬의 설치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소정의 폭, 높이 및 두께를 가지며, 부피가 큰 실내기는 설치 공간의 주변 실내 인테리어를 해치는 결과를 초래한다.
컴팩트한 실내기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에 높아지고 있으나, 실내기의 크기가 작아지면, 그 내부에 장착된 열교환기 및 송풍팬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높은 효율을 나타내는 동시에 컴팩트한 실내기 및 공기조화장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공조 운전 시 또는 미작동 시에 열교환 유니트 또는 송풍 유니트의 위치, 각도 또는 간격을 가변시켜 컴팩트하고, 높은 공조 효율을 갖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 유니트 또는 송풍 유니트의 이동을 위한 구동 유니트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구동 유니트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면 패널 및 상기 전면 패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후면 패널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어느 한 패널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열교환 유니트;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송풍 유니트; 및 상기 열교환 유니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유니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 유니트 및 송풍 유니트의 인접하는 종단부들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열교환 유니트 및 송풍 유니트의 타 종단부는 후면 패널에 각각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 유니트 및 송풍 유니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후면 패널과의 힌지 결합부가 후면 패널의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 유니트와 상기 후면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가 후면 패널의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장착되고, 구동 유니트는 송풍 유니트와 후면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 또는 열교환 유니트와 후면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열교환 유니트와 상기 후면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가 후면 패널의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장착되고, 구동 유니트는 열교환 유니트와 후면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 또는 송풍 유니트와 후면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구동 유니트는 열교환 유니트와 송풍 유니트를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유니트는 상기 구동 유니트는 모터, 상기 모터에 장착된 구동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힌지 결합부에 장착된 종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유니트는 열교환 유니트 및 송풍 유니트 중 적어도 하나와 후면 패널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선형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 구동부에 의하여 열교환 유니트 및 송풍 유니트 중 적어도 하나와 후면 패널 사이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구동 유니트는 열교환 유니트와 송풍 유니트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선형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 구동부에 의하여 열교환 유니트 및 송풍 유니트의 결합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송풍 유니트와 상기 후면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가 후면 패널의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구동 유니트는 상기 힌지 결합부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선형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열교환 유니트와 상기 후면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가 후면 패널의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구동 유니트는 상기 힌지 결합부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선형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 유니트는 회전 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열교환 유니트와 송풍 유니트를 연결하는 드레인 팬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 유니트와 드레인 팬 및 드레인 팬과 송풍 유니트는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힌지 결합되고, 열교환 유니트 및 송풍 유니트는 후면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열교환 유니트 및 송풍 유니트는 후면 패널에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힌지 결합되며, 구동 유니트는 상기 열교환 유니트와 후면 패널 또는 상기 송풍 유니트와 후면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 유니트의 힌지 결합부 및 송풍 유니트의 힌지 결합부는 동력 전달 부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공조 운전 시 또는 미작동 시에 열교환 유니트 또는 송풍 유니트의 위치, 각도 또는 간격을 가변시켜 컴팩트하고, 높은 공조 효율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 유니트 또는 송풍 유니트의 이동을 위한 구동 유니트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구동 유니트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는 각 종 구성부품이 내장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공기조화장치(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하우징 영역 (10)및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 하우징 영역(20)을 포함하며, 전면 하우징 영역(10)과 후면 하우징 영역(20)의 사이 공간에 각 구성부품이 장착된다.
또한, 전면 또는 후면 하우징 영역(10, 20)은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하우징 영역(미부호)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각각 별도로 마련된 전면 하우징 영역(10)과 측면 하우징 영역 및 후면 하우징 영역(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에는 전면 하우징 영역(10) 및 후면 하우징 영역(20)이 각각 전방 측 측면 하우징 영역과 후방 측 측면 하우징 영역을 갖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전면 하우징 영역(10)은 전면 하우징 본체 및 공기조화장치(1) 내부의 각 구성부품의 전면을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폐하기 위한 전면 패널(1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면 패널(11)은 상기 전면 하우징 본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하우징 본체에 일 종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공기조화장치(1)의 작동 여부에 따라 전면 하우징 본체에 대하여 열림 또는 닫힘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고, 상기 전면 하우징 본체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병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후면 하우징 영역(20)은 설치 공간의 벽체 등에 안착되기 위한 후면 패널(2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전면 패널(11)과 후면 패널(21) 사이의 간격이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구성부품이 내장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부피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전면 하우징 영역(10)과 후면 하우징 영역(20)이 연결될 수 있다.
즉, 공기조화장치(1)의 공조 운전 시에는 내부의 각 구성부품이 공조 운전에 적합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도록 하우징 내부 공간을 증가시키고, 공기조화장치(1)의 미작동 운전 시에는 내부의 위치된 구성부품(40, 50) 사이의 간격 및 상대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하우징 내부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하우징 영역(10)이 후면 하우징 영역(20)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수평방향을 따라 병진 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고, 전면 하우징 영역(10)이 후면 하우징 영역(20)에 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수직방향을 따라 병진 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전면 하우징 영역(10)이 후면 하우징 영역(20)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회전 운동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병진 운동 방식 및 회전 운동 방식은 전면 하우징 영역(10) 및 후면 하우징 영역(20)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2가지 이상의 운동 방식이 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은 전면 패널(11) 및 후면 패널(21)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전면 패널(11)과 후면 패널(21) 사이의 공간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운동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공기 흡입구(12) 및 공기 토출구(30)를 갖는다.
각 흡입구(12, 30)는 상기 하우징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공기 흡입구는 전면 패널에 형성될 수도 있고, 측면 하우징 영역의 상부면 또는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면 패널(11)이 전면 하우징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경우에는 전면 패널의 열림 상태에서 전면 패널(11)과 전면 하우징 본체 사이의 공간이 공기 흡입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토출구(30)는 상기 공기 흡입구(12)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공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공기 흡입구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에는 공기 토출구(30)가 전면 하우징 영역(10)의 하부면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하우징의 공기 토출구(30)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 및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풍향 조절 기구(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풍향 조절 기구(60)는 공기 토출구(30)를 통과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좌우 조절 부재 및 상하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상하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는 상하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상하 조절 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 패널(11) 또는 후면 패널(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열교환 유니트(40)를 포함한다.
공조 운전 시의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열교환 유니트(40)는 전방 측 열교환기(41) 및 후방 측 열교환기(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유니트(40)는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열교환기(41, 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접하는 2개의 열교환기(41, 42)는 결합 각도가 유지 및 변경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유니트(40)는 전면 패널(11) 또는 후면 패널(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열교환 유니트(40)가 후면 패널(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팬(51) 및 상기 팬을 지지하기 위한 팬 하우징(52, 도 2참조)을 갖는 송풍 유니트(50)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 유니트(50)는 상기 하우징의 공기 흡입구(12)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 흡인된 공기를 공기 토출구(30)를 통해 토출하게 된다. 냉방 운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공기 흡입구(12)를 통해 공기조화장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 유니트(40)를 경유하면서 열을 빼앗겨 찬 공기가 된 후 공기 토출구(30)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토출된다.
상기 팬(51)으로는 시로코팬(sirocco fan), 축류팬(propeller fan), 터보 팬(turbo fan) 또는 횡류팬(cross-flow fa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하우징(52)에는 복수의 팬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열교환 유니트(40)의 회전 이동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유니트를 포함한다.
이하, 공조 운전 또는 미작동 운전 여부에 따라 구동 유니트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 유니트 및/또는 송풍 유니트가 하우징 내에서 이동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별도의 구동 유니트를 통하여 하우징 내에서의 열교환 유니트 및 송풍 유니트의 이동을 조절할 수도 있으나, 소비전력의 감소 및 설치 공간 효율의 극대화의 측면에서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가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서로 연결시킨 후, 하나의 구동 유니트를 통하여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 중 어느 한 유니트의 이동을 구동시킬 수 있다.
도 2는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 유니트(100)가 상기 송풍 유니트를 회전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의 (a)는 공기조화장치의 미작동 운전 시의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를 나타내며, 도 2의 (b)는 공기조화장치의 공조 운전 시의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의 팬 하우징(52)의 인접하는 종단부들은 힌지 결합부(h3)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열교환 유니트(40) 및 팬 하우징(52)의 타 종단부는 후면 패널(21)에 마련된 힌지결합부(h1, h2)를 통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 유니트(40) 및 팬 하우징(5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후면 패널(21)과의 힌지 결합부(h1, h2)가 후면 패널(21)의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슬라이드 이동을 위하여, 상기 후면 패널(21)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마련되고, 상기 열교환 유니트(40) 및 팬 하우징(52) 중 적어도 하나의 힌지 결합부(h1, h2)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는 송풍 유니트(50)가 후면 패널(21)의 수직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장착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구동 유니트(100)는 송풍 유니트(50)의 팬 하우징(52)과 후면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h2)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모터 및 모터에 장착된 구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힌지 결합부의 힌지축의 일 종단부에 종동기어가 마련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가 치합된 상태로 모터에 회전에 의하여 힌지 결합부(h2)의 힌지축이 회전되며, 송풍 유니트(50)의 팬 하우징(52)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 사이에 하나 이상의 감속 기어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기어는 예를 들어, 웜 기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유니트(100)는 송풍 유니트(50)의 팬 하우징(52)과 후면 패널(21)을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h2) 또는 팬 하우징(52)에 장착될 수 있으며, 도 2는 구동 유니트(100)가 상기 팬 하우징(52)에 장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장치가 공조 운전을 시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팬 하우징(5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연결된 열교환 유니트(4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 유니트(40)의 타 종단부는 후면 패널(21)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열교환 유니트(40)와 송풍 유니트(50)를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h3)는 하우징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송풍 유니트(50)는 후면 패널(21)의 수직방향을 따라 상단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 유니트(40)는 공조 운전 시 열교환 면적을 넓힐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장치가 미작동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팬 하우징(5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는 후면 패널의 수직 방향을 따라 나란히 정렬하게 된다.
따라서, 공조 시에는 열교환 면적을 넓혀 높은 효율을 가지며, 미작동 시에는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의 설치 공간,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두께(D)가 줄어들 수 있으므로, 컴팩트한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 유니트(101)가 상기 송풍 유니트(50)와 열교환 유니트(40)의 힌지 결합부(h3)를 회전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3의 (a)는 공기조화장치의 미작동 운전 시의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를 나타내며, 도 3의 (b)는 공기조화장치의 공조 운전 시의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를 나타낸다.
열교환 유니트, 송풍 유니트 및 후면 패널 간의 연결 관계는 도 2를 통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며, 본 실시예는 상기 구동 유니트(101)가 상기 송풍 유니트(50)와 열교환 유니트(40)의 힌지 결합부(h3)를 회전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구동 유니트(101)에 의한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의 회전 이동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상기 구동 유니트(101)는 상기 송풍 유니트(50)와 열교환 유니트(40)의 힌지 결합부(h2) 또는 어느 한 유니트(40, 5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4는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 유니트(103)가 상기 열교환 유니트(40)와 후면 패널(21)의 힌지 결합부(h1)를 회전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4의 (a)는 공기조화장치의 미작동 시의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의 위치를 나타내며, 도 4의 (b)는 공기조화장치의 공조 운전 시의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의 위치를 나타낸다.
열교환 유니트(40), 송풍 유니트(50) 및 후면 패널(21) 간의 연결 관계는 도 2를 통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며, 본 실시예는 상기 구동 유니트(103)가 상기 열교환 유니트(40)와 후면 패널(21)의 힌지 결합부(h1)를 회전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구동 유니트(103)에 의한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의 회전 이동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상기 구동 유니트(103)는 상기 열교환 유니트(40)와 후면 패널(21)의 힌지 결합부(h1) 또는 열교환 유니트(4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5는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 유니트(200)가 상기 송풍 유니트(50)와 후면 패널(21)의 힌지 결합부(h2)를 후면 패널(21)의 수직방향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5의 (a)는 공기조화장치의 미작동 시의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의 위치를 나타내며, 도 5의 (b)는 공기조화장치의 공조 운전시의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의 위치를 나타낸다.
열교환 유니트(40), 송풍 유니트(50) 및 후면 패널(21) 간의 연결 관계는 도 2를 통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 유니트(200)가 선형 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선형 구동부가 상기 송풍 유니트(50)와 후면 패널(21)의 힌지 결합부(h2)를 후면 패널(21)의 수직방향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도 5를 참조하면, 공조 운전 시에는 상기 선형 구동부(200)가 상기 송풍 유니트(50)와 후면 패널(21)의 힌지 결합부(h2)를 후면 패널(21)의 수직방향을 따라 승강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열교환 유니트(40)와 송풍 유니트(50)의 힌지 결합부(h3)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미작동 시에는 상기 선형 구동부(200)가 상기 송풍 유니트(50)와 후면 패널(21)의 힌지 결합부(h2)를 후면 패널(21)의 수직방향을 따라 하강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열교환 유니트(40)와 송풍 유니트(50)가 후면 패널(21)의 수직 방향을 따라 나란히 정렬하게 된다.
상기 선형 구동부(200)는 링크 부재, 모터, 기어 트레인 또는 실린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열교환 유니트(40)와 상기 후면 패널(21)을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h1)가 후면 패널(21)의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송풍 유니트(50)의 타 종단부가 상기 후면 패널(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선형 구동부는 열교환 유니트(40)와 후면 패널(21)을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h1)를 후면 패널(21)의 수직방향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열교환 유니트(40) 또는 송풍 유니트(50)를 구동시키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각 도면의 (a)는 공기조화장치의 미작동 시를 나타내고, (b)는 공기조화장치의 공조운전 시를 나타낸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각 실시예들은 구동 유니트를 제외하고 열교환 유니트(40)와 송풍 유니트(50) 및 후면 패널(21)의 연결관계는 도 2를 통하여 설명한 그것과 동일하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동 유니트(300)는 열교환 유니트(40)와 후면 패널(21)을 연결하는 선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선형 구동부(300)의 양 종단부(300a, 300b)는 열교환 유니트(40) 및 후면 패널(5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선형 구동부(300)에 의하여 열교환 유니트(40)와 후면 패널(21) 사이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선형 구동부(300)는 링크 부재, 모터, 기어 트레인 또는 실린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종단부(300b)는 후면 패널(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 종단부(300a)는 열교환 유니트(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도 6을 참조하면, 공조 운전 시에 상기 선형 구동부(300)의 길이가 증가하게 되면, 열교환 유니트(40)와 후면 패널(21) 사이의 각도가 증가하게 되고,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의 힌지 결합부(h3)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송풍 유니트(50)는 후면 패널(21)의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미작동 시에 상기 선형 구동부(300)의 길이가 감소하게 되면, 열교환 유니트(40)와 후면 패널(21) 사이의 각도가 감소하게 되고,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의 힌지 결합부(h3)는 하우징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송풍 유니트(50)는 후면 패널(21)의 수직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구동 유니트(301)는 송풍 유니트(50)와 후면 패널(21)을 연결하는 선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선형 구동부(301)에 의하여 열교환 유니트(40)와 후면 패널(21) 사이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선형 구동부(301)는 링크 부재, 모터, 기어 트레인 또는 실린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종단부(301b)는 후면 패널(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 종단부(301a)는 송풍 유니트(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도 7을 참조하면, 공조 운전 시에 상기 선형 구동부(301)의 길이가 증가하게 되면, 송풍 유니트(50)는 후면 패널(21)의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 송풍 유니트(50)와 후면 패널(21) 사이의 각도가 증가하게 되며,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의 힌지 결합부(h3)는 하우징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미작동 시에 상기 선형 구동부(300)의 길이가 감소하게 되면, 송풍 유니트(50)는 후면 패널(21)의 수직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송풍 유니트(50)와 후면 패널(21) 사이의 각도가 감소하게 되며,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의 힌지 결합부(h3)는 하우징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구동 유니트(303)는 열교환 유니트(40)와 송풍 유니트(50)를 연결하는 선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선형 구동부(303)에 의하여 열교환 유니트(40)와 송풍 유니트(50)의 결합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선형 구동부(303)는 링크 부재, 모터, 기어 트레인 또는 실린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종단부(303b)는 열교환 유니트(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 종단부(303a)는 송풍 유니트(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도 8을 참조하면, 공조 운전 시에 상기 선형 구동부(303)의 길이가 감소하게 되면, 열교환 유니트(40)와 송풍 유니트(50)의 결합 각도가 증가하게 되고, 열교환 유니트(40)와 후면 패널(21) 사이의 각도가 증가하게 되며, 송풍 유니트(50)는 후면 패널의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미작동 시에 상기 선형 구동부(303)의 길이가 증가하게 되면, 열교환 유니트(40)와 송풍 유니트(50)의 결합 각도가 감소하게 되고, 열교환 유니트(40)와 후면 패널(21) 사이의 각도가 감소하게 되며, 송풍 유니트(50)는 후면 패널의 수직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열교환 유니트(40)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안내하기 위한 드레인 팬(7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드레인 팬(70)은 열교환 유니트(40) 및 송풍 유니트(5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직렬로 장착될 수 있다.
즉, 후면 패널(2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열교환 유니트(40)와 송풍 유니트(5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기 위한 힌지 결합부(h1, h2)가 마련되고, 상기 열교환 유니트(40)와 송풍 유니트(50) 사이에 직렬로 드레인 팬(7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 유니트(40), 송풍 유니트(50) 및 드레인 팬(70) 중 어느 하나를 전술한 구동 유니트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공기조화장치의 공조 운전시 및 미작동 시에 각 구성부재가 차지하는 부피(공기조화장치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의 (a)는 후면 패널(21)의 상단부의 힌지 결합부(h1)를 기준으로 제 1열교환 유니트(40-1)와 제 2열교환 유니트(40-2)와 송풍 유니트(50)가 차례로 힌지 결합부(h4, h5)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직렬로 연결되고, 송풍 유니트(50)의 일 종단부가 후면 패널(21)에 힌지 결합부(h2)를 통해 후면 패널(21)의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 10의 (b)는 후면 패널(21)의 상단부의 힌지 결합부(h1)를 기준으로 제 1열교환 유니트(40-1)와 송풍 유니트(50) 및 제 2열교환 유니트(40-2)가 차례로 힌지 결합부(h4, h5)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 2 열교환 유니트(40-2)의 일 종단부가 후면 패널(21)의 힌지 결합부(h2)를 통해 후면 패널(21)의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 10의 (c)는 후면 패널(21)의 상단부의 힌지 결합부(h1)를 기준으로 열교환 유니트(40)와 제 1송풍 유니트(50-1) 및 제 2송풍 유니트(50-2)가 차례로 힌지 결합부(h4, h5)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 2송풍 유니트(50-2)의 일 종단부가 후면 패널(21)에 힌지 결합부(h2)를 통해 후면 패널(21)의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하나 이상의 열교환 유니트(40-1. 40-2) 및 하나 이상의 송풍 유니트(50-1, 50-2)를 조합하여 높은 열교환 효율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한 열교환 유니트 또는 송풍 유니트를 전술한 구동 유니트로 이동시켜 공기조화장치의 공조 운전시 또는 미작동 시에 하우징 내의 각 구성부재가 차지하는 부피(공기조화장치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들로서, 도 11의 (a)는 공기조화장치의 미작동 시를 나타내고, (b)는 공기조화장치의 공조운전 시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열교환 유니트(50) 및 송풍 유니트(40)는 후면 패널(21)에 마련된 힌지결합부(h2, h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어느 한 유니트(40, 50)와 후면 패널(21)의 힌지 결합부(h1, h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유니트(400)가 마련된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유니트(400)는 송풍 유니트(50)와 후면 패널(21)의 힌지 결합부(h1)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며, 상기 힌지 결합부(h1)와 열교환 유니트(50)와 후면 패널(21)의 힌지 결합부(h2)는 동력 전달 부재(410), 예를 들어, 벨트 또는 체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 운전 시 송풍 유니트(50)를 회전시키면, 동력 전달 부재(410)에 의하여 송풍 유니트(50)와 후면 패널(21)의 힌지 결합부(h1)와 열교환 유니트(40)와 후면 패널(21)의 힌지 결합부(h2)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제 1열교환 유니트(40-1) 및 제 2열교환 유니트(40-2)가 각각 후면 패널(21)에 마련된 힌지결합부(h1, h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1열교환 유니트(40-1) 및 제 2열교환 유니트(40-2)는 회동 가능한 스윙 부재(500)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2열교환 유니트(40-2)는 송풍 유니트(50)와 힌지 결합부(h3)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송풍 유니트(50)와 후면 패널(21)의 힌지 결합부(h2)가 후면 패널(21)의 수직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열교환 유니트(40-2) 및 송풍 유니트(50) 중 적어도 하나를 전술한 구동 유니트로 이동시키면, 제 2열교환 유니트(40-2)에 연결된 제 1열교환 유니트(40-1)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처럼 복수의 열교환 유니트 또는 복수의 송풍 유니트는 후면 패널(21)에 대하여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공기조화장치 10: 전면 하우징 영역
11: 전면 패널 20: 후면 하우징 영역
21: 후면 패널 40: 열교환 유니트
50: 송풍 유니트 60: 풍향 조절 기구
100: 구동 유니트

Claims (15)

  1. 전면 패널 및 상기 전면 패널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후면 패널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어느 한 패널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열교환 유니트;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송풍 유니트; 및
    상기 열교환 유니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 유니트 및 송풍 유니트의 인접하는 종단부들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열교환 유니트 및 송풍 유니트의 타 종단부는 후면 패널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구동 유니트는, 공기조화장치의 공조 운전 시에는 하우징 내부 공간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증가되도록 상기 열교환 유니트를 상기 후면 패널에 대해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공기조화장치의 미작동 시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감소되도록 상기 열교환 유니트를 상기 후면 패널에 대해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유니트 및 송풍 유니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후면 패널과의 힌지 결합부가 후면 패널의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유니트와 상기 후면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가 후면 패널의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장착되고,
    구동 유니트는 송풍 유니트와 후면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 또는 열교환 유니트와 후면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유니트와 상기 후면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가 후면 패널의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장착되고,
    구동 유니트는 열교환 유니트와 후면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 또는 송풍 유니트와 후면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구동 유니트는 열교환 유니트와 송풍 유니트를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니트는 상기 구동 유니트는 모터, 상기 모터에 장착된 구동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힌지 결합부에 장착된 종동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구동 유니트는 열교환 유니트 및 송풍 유니트 중 적어도 하나와 후면 패널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선형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 구동부에 의하여 열교환 유니트 및 송풍 유니트 중 적어도 하나와 후면 패널 사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구동 유니트는 열교환 유니트와 송풍 유니트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선형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 구동부에 의하여 열교환 유니트 및 송풍 유니트의 결합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유니트와 상기 후면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가 후면 패널의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구동 유니트는 상기 힌지 결합부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선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유니트와 상기 후면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결합부가 후면 패널의 수직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구동 유니트는 상기 힌지 결합부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선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유니트는 회전 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유니트와 송풍 유니트를 연결하는 드레인 팬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 유니트와 드레인 팬 및 드레인 팬과 송풍 유니트는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힌지 결합되고, 열교환 유니트 및 송풍 유니트는 후면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4. 삭제
  15. 삭제
KR1020100044792A 2010-05-13 2010-05-13 공기조화장치 KR101727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792A KR101727035B1 (ko) 2010-05-13 2010-05-13 공기조화장치
EP10175917A EP2386802B1 (en) 2010-05-13 2010-09-09 Air conditioner
ES10175917T ES2398514T3 (es) 2010-05-13 2010-09-09 Acondicionador de aire
CN201010509476.XA CN102242955B (zh) 2010-05-13 2010-09-29 空调器
US12/895,192 US9074780B2 (en) 2010-05-13 2010-09-30 Air conditioner with rotating heat exc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792A KR101727035B1 (ko) 2010-05-13 2010-05-13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329A KR20110125329A (ko) 2011-11-21
KR101727035B1 true KR101727035B1 (ko) 2017-04-14

Family

ID=4539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792A KR101727035B1 (ko) 2010-05-13 2010-05-13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0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1720A1 (en) * 2004-06-29 2007-07-05 Kenichiro Maeda 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 us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4477A (ja) * 1998-09-01 2000-03-14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1720A1 (en) * 2004-06-29 2007-07-05 Kenichiro Maeda 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329A (ko) 201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5722B2 (en) Air conditioner having a movable panel that opens and closes discharge ports
CN102242955B (zh) 空调器
EP2386803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ith variable size of casing
KR101191413B1 (ko)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KR20100086313A (ko) 공기조화기
KR10077071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1463881A (zh) 窗式空调器风扇的蜗杆齿轮传动结构
KR101727036B1 (ko) 공기조화장치
CN101581472A (zh) 空调器
KR101191415B1 (ko)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KR100829065B1 (ko) 집중냉방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42524A (ko) 공기조화기
KR101727035B1 (ko) 공기조화장치
JP6814941B2 (ja) 床置型空気調和機
KR100638102B1 (ko) 공기조화기
KR100567808B1 (ko) 에어컨의 오토셔터 작동장치
CN110486798B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10077071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상부 공기 토출 플랩 구동장치
KR101999849B1 (ko) 공기 조화기
JP2020193802A (ja) 床置型空気調和機
KR10147934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1729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0986160B (zh) 空调内机及空调
CN109855177B (zh) 一种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101225983A (zh) 整体式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