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373B1 -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 방송 프로그램 검색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 방송 프로그램 검색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373B1
KR101191373B1 KR1020067013511A KR20067013511A KR101191373B1 KR 101191373 B1 KR101191373 B1 KR 101191373B1 KR 1020067013511 A KR1020067013511 A KR 1020067013511A KR 20067013511 A KR20067013511 A KR 20067013511A KR 101191373 B1 KR101191373 B1 KR 101191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program
keyword
information
cont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5554A (ko
Inventor
아쓰시 마쓰타니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05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3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6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recognising users'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recognising items expressed in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 H04H60/7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using programme related information, e.g. title, composer or interpre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라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기호를 나타내기 위한 키워드를 등록하고, 방송 내용 정보인 온에어 정보나 나우 온에어 정보를 기초로 각 라디오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상기 키워드의 히트수를 집계함으로써, 이 키워드의 히트수를 디스플레이(26)에 표시하여 어느 라디오 프로그램이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향이 강한 라디오 프로그램인지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고, 이렇게 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라디오, 사용자, 프로그램, 키워드, 히트수.

Description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 방송 프로그램 검색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PROGRAM SEARCH DEVICE, PROGRAM SEARCH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에 관한 것이며, 사용자의 기호(嗜好)에 맞는 방송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시하는데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것이다.
종래, 라디오 방송이나 텔레비전 방송의 방송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방송 프로그램의 타이틀이나 출연자 등의 프로그램 정보, 및 방송 프로그램 내에서 흐르는 악곡의 타이틀이나 아티스트 등의 악곡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며, 이하, 이것을 방송 내용 정보라고도 함)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는, 방송 내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의 홈 페이지를 참조하여 확인하는 방법이나, 상기 방송 내용 정보가 게재된 정보지 등을 구입하여 확인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또, 방송 프로그램(예를 들면,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흐르고 있는 악곡이 마음에 들었을 때, 사용자가 그때의 시각을 휴대 단말기에 기억시키고, 이 시각을 기초로 소정의 서버가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방송 프로그램 및 악곡에 관한 방송 내용 정보를 검색하고, 이것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0-339345 공보 참조).
그런데, 전술한 방송 내용 정보는 각 방송국에 있어서의 각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일시마다의 정보이며, 그 정보량은 방대하다. 이때문에, 홈 페이지나 정보지 등에 게재된 방송 내용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는 방송 프로그램을 찾아내는 것은 어렵다.
또,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흐르고 있는 악곡이 마음에 들었을 때, 그때의 시각을 휴대 단말기에 기억시키고, 이 시각을 기초로 상기 라디오 프로그램 및 악곡에 관한 방송 내용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가 듣고 있던 라디오 프로그램에 관한 방송 내용 정보밖에 제공할 수 없다. 즉 이 경우, 사용자가 듣고 있지 않은 라디오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마음에 든 악곡을 방송하고 있는 라디오 프로그램(즉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라디오 프로그램)이 있었다고 해도, 이 라디오 프로그램에 관한 방송 내용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고는 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 프로그램 검색 방법 및 방송 프로그램 검색 프로그램을 제안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에 있어서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기호를 나타내기 위한 키워드를 등록하는 키워드 등록 수단과, 1개 이상의 방송국에서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포함하는 방송 내용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방송 내용 정보에 있어서의 방송 프로그램마다의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도록 했다.
또 본 발명의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에 있어서는, 1개 이상의 방송국에서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일시 및 타이틀을 포함하는 방송 내용 정보를 상기 방송 프로그램마다 축적하는 기억 매체와, 외부 장치로부터 방송 기간, 방송 프로그램의 타이틀 및 방송국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색 조건으로서 지정하기 위한 검색 조건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기호를 나타내기 위한 키워드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검색 조건 정보에 따라, 기억 매체로부터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방송 내용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수단과, 검색 수단에 의한 검색 결과로서 얻어진 방송 내용 정보에 있어서의 방송 프로그램마다의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방송 프로그램마다의 키워드의 출현 빈도에 따른 정보를, 외부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도록 했다.
이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기호를 나타내는 키워드를 등록하고, 방송 내용 정보를 기초로 방송 프로그램마다 상기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검출함으로써, 각 방송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상기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소정의 표시부에 표시하여 어느 방송 프로그램이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향이 강한 방송 프로그램인지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 검색 방법에 있어서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기호를 나타내기 위한 키워드를 등록하는 키워드 등록 스텝과, 1개 이상의 방송국에서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포함하는 방송 내용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스텝과, 통신 스텝에서 수신한 방송 내용 정보에 있어서의 방송 프로그램마다의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검출하는 검출 스텝을 포함하도록 했다.
이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기호를 나타내는 키워드를 등록하고, 방송 내용 정보를 기초로 방송 프로그램마다 상기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검출함으로써, 각 방송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상기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소정의 표시부에 표시하여 어느 방송 프로그램이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향이 강한 방송 프로그램인지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송 프로그램 검색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기호를 나타내기 위한 키워드를 등록하는 키워드 등록 스텝과, 1개 이상의 방송국에서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포함하는 방송 내용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스텝과, 통신 스텝에서 수신한 방송 내용 정보에 있어서의 방송 프로그램마다의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검출하는 검출 스텝을 실행시키도록 했다.
이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기호를 나타내는 키워드를 등록하고, 방송 내용 정보를 기초로 방송 프로그램마다 상기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검출함으로써, 각 방송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상기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소정의 표시부에 표시하여 어느 방송 프로그램이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향이 강한 방송 프로그램인지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기호를 나타내는 키워드를 등록하고, 방송 내용 정보를 기초로 방송 프로그램마다 상기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검출함으로써, 각 방송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상기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소정의 표시부에 표시하여 어느 방송 프로그램이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향이 강한 방송 프로그램인지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고, 이렇게 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 프로그램 검색 방법 및 방송 프로그램 검색 프로그램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의한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방송 내용 정보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방송 중인 프로그램 테이블에 있어서의 방송 내용 정보의 갱신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방송이 끝난 악곡 테이블에 있어서의 방송 내용 정보의 추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방송이 끝난 프로그램 테이블에 있어서의 방송 내용 정보의 추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온에어 정보의 내용을 나타낸 약선도(略線圖)이다.
도 8은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제1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기호 프로그램 제시 화면(라디오 프로그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제2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제3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제2 실시예에 의한 하드 디스크 레코더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는 텔레비전 프로그램표 화면(1)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예에 의한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기호 프로그램 제시 화면(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나타낸 약선도이다.
도 17은 텔레비전 프로그램표 화면(2)을 나타낸 약선도이다.
도 18은 기호 프로그램 정보의 제시예(1)를 나타낸 약선도이다.
도 19는 기호 프로그램 정보의 제시예(2)를 나타낸 약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시스템 2: 클라이언트 단말기
10: 제어부 11, 24, 54: ROM
13, 25, 55: RAM 14: 방송 내용 정보 데이터 베이스
16, 34: 통신 처리부 17, 3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0: 조작 입력부 21: 입력 처리부
23, 53: CPU 26: 디스플레이
31, 56: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50: 하드 디스크 레코더
51: 적외선 수광부 58: 튜너
59: 디스크램블러 62: 디멀티플렉서
65: 모니터
PS(PS1~PSn):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RC: 리모트 컨트롤러
이하 도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제1 실시예
(1-1)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
도 1에서, 1은 전체적으로 제1 실시예에 의한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고, 1 이상의 라디오국 RS(RS1~RSn)로부터 각각 송신되는 라디오 방송파를 클라이언트 단말기(2)가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또 라디오국 RS(RS1~RSn)에는, 각각 자국(自局)의 방송 내용 정보(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함)를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NT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2)에 제공하기 위한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가 전용선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에 대하여, 현재의 방송 상황(라디오 프로그램의 개시나 종료,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흐르는 악곡의 개시나 종료 등)을 통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는 네트워크 NT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2)로부터 방송 내용 정보의 취득 요구를 접수하면, 이 취득 요구에 따라 상기 방송 내용 정보를 네트워크 NT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1-2)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의 회로 구성
다음에,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의 회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1~PSn의 회로 구성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1의 회로 구성만을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2~PSn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구성으로 이루어는 제어부(10)가, ROM(Read Only Memory)(11)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본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버스(12)를 통해 RAM(Random Access Memory)(13)에 판독하고, 이들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전체를 제어하는 동시에, 소정의 연산 처리 등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1는 전용선으로 접속된 라디오국 RS1에 의해 관리 운영되며, 상기 라디오국 RS1에서 방송하는 라디오 방송에 관한 방송 내용 정 보를 방송 내용 정보 데이터 베이스(14)에서 관리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방송 내용 정보 데이터 베이스(14)의 구성을 도 3에 나타낸다. 이 방송 내용 정보 데이터 베이스(14)는 방송 내용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복수개의 테이블(방송 중인 프로그램 테이블 TB1, 방송이 끝난 악곡 테이블 TB2 및 방송이 끝난 프로그램 테이블 TB3)로 구성되어 있다.
방송 중인 프로그램 테이블 TB1에는,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1에 접속된 라디오국 RS1의 국명(局名), 상기 라디오국 RS1에서 지금 현재 방송 중인 라디오 프로그램의 타이틀, 상기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지금 현재 방송 중인 악곡의 타이틀, 상기 악곡의 아티스트, 상기 악곡의 장르로 이루어지는 방송 내용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즉 방송 중인 프로그램 테이블 TB1에는, 지금 현재 방송 중인 라디오 프로그램 및 악곡에 관한 방송 내용 정보만이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또 방송이 끝난 악곡 테이블 TB2에는, 라디오국 RS1의 국명, 상기 라디오국 RS1의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악곡이 방송된 시각(날짜 및 개시 시각), 상기 악곡의 타이틀, 상기 악곡의 아티스트, 상기 악곡의 장르로 이루어지는 방송 내용 정보가 축적되어 있다.
즉 방송이 끝난 악곡 테이블 TB2에는,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방송된 악곡에 관한 방송 내용 정보가 축적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방송이 끝난 프로그램 테이블 TB3에는, 라디오국 RS1의 국명, 상기 라디오국 RS1에서 방송된 라디오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날짜, 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 상기 라디오 프로그램의 타이틀, 상기 라디오 프로그램의 출연자(DJ(Disk Jockey))명으로 이루어지는 방송 내용 정보가 축적되어 있다.
즉 방송이 끝난 프로그램 테이블 TB3에는, 방송된 라디오 프로그램에 관한 방송 내용 정보가 축적되도록 되어 있다.
실제로,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1의 제어부(10)(도 2)는 라디오국 RS1로부터 전용선 인터페이스(15), 통신 처리부(16)를 순차적으로 통해 현재의 방송 상황(라디오 프로그램의 개시나 종료,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흐르는 악곡의 개시나 종료 등)이 통지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방송 상황을 기초로 방송 내용 정보 데이터 베이스(14) 내의 방송 중인 프로그램 테이블 TB1을 갱신한다.
즉, 라디오 프로그램이 종료되고 다음의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바뀌었을 때나,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방송되고 있는 악곡이 다음의 악곡으로 바뀌었을 때 등의 타이밍에서, 방송 중인 프로그램 테이블 TB1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내용 정보를 최신의 방송 내용 정보로 갱신한다.
따라서, 방송 중인 프로그램 테이블 TB1에는, 지금 현재의 방송 상황에 맞춘 거의 리얼 타임의 방송 내용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로부터의 취득 요구에 따라, 이 방송 중인 프로그램 테이블 TB1에 저장되어 있는 리얼 타임의 방송 내용 정보(이 하, 이것을 나우(now) 온에어 정보라고 함)을 통신 처리부(1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2)에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0)는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흐르는 악곡의 방송 종료 후, 소정 시간(예를 들면, 수 분) 경과 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송이 끝난 악곡 테이블 TB2에 상기 악곡에 관한 방송 내용 정보를 추가한다.
또한, 제어부(10)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방송 종료 후, 소정 시간(예를 들면, 수 분) 경과 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송이 끝난 프로그램 테이블 TB3에 상기 라디오 프로그램에 관한 방송 내용 정보를 추가한다.
또한, 제어부(10)는 방송이 끝난 악곡 테이블 TB2에 있어서의 방송 시각과, 방송이 끝난 프로그램 테이블 TB3의 방송 시간을 대응시킴으로써,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디오 프로그램 및 상기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방송된 악곡에 관한 방송 내용 정보(이하, 이것을 온에어 정보라고 함)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온에어 정보는 각 라디오 프로그램 및 상기 각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방송된 악곡에 관한 방송 내용 정보로 되므로, 상기 온에어 정보를 축적함으로써, 이 축적된 온에어 정보가 어느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어느 악곡이 방송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리스트 정보로 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로부터의 취득 요구에 따라, 이 온에어 정보를 통신 처리부(1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2)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1는 라디오국 RS1에서 방송하는 라디오 프로그램에 관한 방송 내용 정보를 기억 관리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방송 내용 정보를 기초로, 지금 현재 방송 중인 라디오 프로그램 및 악곡에 관한 나우 온에어 정보나, 방송이 끝난의 라디오 프로그램 및 악곡에 관한 온에어 정보를 생성하고, 이들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2)에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동일하게,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2~PSn에 있어서도, 각각 대응하는 라디오국 RS2~RSn에서 방송하는 라디오 프로그램 및 악곡의 방송 내용 정보를 기억 관리하는 동시에, 나우 온에어 정보나 온에어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2)에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1-3)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회로 구성
다음에, 클라이언트 단말기(2)의 회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그 하우징 표면이나 리모트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각종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부(20)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상기 조작 입력부(20)에서 이것을 인식하고, 상기 조작에 따라 조작 입력 신호를 입력 처리부(21)에 송출한다.
입력 처리부(21)는 공급되는 조작 입력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입력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조작 입력 신호를 조작 커맨드로 변환하고, 이것을 버스(22)를 통해 CPU(23)에 공급한다.
CPU(23)는 ROM(24)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본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버스(22)를 통해 RAM(25)에 판독하고, 이들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전체를 제어하는 동시에, 소정의 연산 처리나, 입력 처리부(21)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커맨드에 따른 각종 처리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디스플레이(26)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디바이스로서, 하우징 표면에 직접 장착되어 있는 경우나 외부 장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CPU(23)에 의한 처리 결과나 각종 영상 데이터가 표시 처리부(27)를 통해 영상 신호로서 공급되면, 상기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미디어 드라이브(28)는, 예를 들면, CD(Compact Disc)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나,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스틱(등록 상표)에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판독하여 재생하는 드라이브로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이면, 이것을 버스(22)를 통해 표시 처리부(27)에 송출하고, 음성 데이터이면 음성 처리부(29)에 송출한다.
표시 처리부(27)는 버스(22)를 통해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를 실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26)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26)에 상기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게 한다.
또 음성 처리부(29)는 버스(22)를 통해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를 실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음성 신호를 2 채널의 스피커(30)에 송출함으로써, 상기 스피커(30)로부터 상기 음성 신호에 따른 스테레오 음성을 출력시킨다.
또한, CPU(23)는 미디어 드라이브(28)에서 판독한 컨텐츠 데이터를 버스(22)를 통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1)에 송출함으로써,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컨텐츠 파일로서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1)에 기억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도 하다.
또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1)에 기억한 컨텐츠 파일도, 상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1)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로서 판독하고, 디스플레이(26)나 스피커(30)로부터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안테나(32)는 라디오국 RS(RS1~RSn)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라디오 방송파를 수신하고, 이것을 AM/FM 튜너로 이루어지는 튜너(33)에 송출한다.
튜너(33)는 CPU(23)의 제어 하에 안테나(32)를 통해 수신한 라디오 방송파 중에서, 예를 들면, 조작 입력부(20)를 통해 지정된 라디오국 RS1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 신호를 추출하여 복조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음성 신호를 버스(22), 음성 처리부(29)를 순차적으로 통해 스피커(30)로부터 출력한다.
이에 따라, 라디오국 RS1에서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음성을 사용자에게 청취시킬 수 있다.
또 CPU(23)는 통신 처리부(3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5)를 순차적으로 통해 네트워크 NT에 접속하고, 상기 네트워크 NT 상의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도 하다.
그리고, CPU(23)는 필요에 따라 이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 에 대하여 전술한 나우 온에어 정보나 온에어 정보의 취득을 요구하기 위한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요구 정보에 따라 상기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로부터 송신되는 나우 온에어 정보나 온에어 정보를 수신하고, 이들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1)에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클라이언트 단말기(2)에 있어서는, 네트워크 NT 상의 도시하지 않은 종합 서비스 서버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도 하며, 상기 종합 서비스 서버에 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2)가 사용되는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종합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지역에서 수신 가능한 라디오 방송의 주파수, 상기 라디오 방송을 방송하고 있는 라디오국 RS(RS1~RSn)의 국명, 상기 라디오국 RS(RS1~RSn)에서 관리되는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의 어드레스 등을 취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이와 같이 하여 취득한 수신 가능한 라디오국 RS(RS1~RSn) 중, 원하는 라디오국 RS(RS1~RSn)를 사용자에게 몇 개인가 선택시키고, 이 선택된 라디오국 RS(RS1~RSn)의 국명, 주파수 및 상기 선택된 라디오국 RS(RS1~RSn)에서 관리 운영되는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의 어드레스를 대응시킨 정보(이하, 이것을 프리셋 정보라고 함)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1)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기(2)의 CPU(23)는 사용자에게 이 프리셋 정보 중에서 예를 들면 라디오국 RS1의 국명을 지정시키는 것만으로, 지정된 라디오국 RS1의 주파수에 튜너(33)를 맞추거나, 라디오국 RS1가 관리 운영하는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1에 액세스하거나 하도록 되어 있다.
(1-4) 기호 프로그램 제시 기능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에서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라디오 프로그램(이하, 이것을 기호 프로그램이라고도 함)을 검색하고, 이것을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기호 프로그램 제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클라이언트 단말기(2)에 있어서, 이 기호 프로그램을 검색하는 방법으로서는, 크게 나누어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에서 축적 관리되고 있는 온에어 정보로부터 검색하는 방법과, 기록 관리되고 있는 나우 온에어 정보로부터 검색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또한 이 중의 온에어 정보로부터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로부터 온에어 정보를 수신하여 검색하는 경우와,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 측에서 온에어 정보로부터 기호 프로그램을 검색시키고, 이것을 수신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 기호 프로그램 제시 기능에 있어서의 각 방법 및 각 경우에 따른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1-4-1) 클라이언트 단말기(2)가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로 부터 온에어 정보를 수신하여 기호 프로그램을 검색하는 경우의 제1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1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와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와의 처리 시퀀스로 이루어지며, 이하, 이 처리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예를 들면, 처음 전원이 투입되면 스텝 SP1에서, 사용자에 대하여 자신의 기호를 나타내는 키워드를 입력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26)에 표시하고, 이에 따라 키워드(예를 들면, 아티스트: 「하마자키 아미」)가 입력된 것을 인식하면, 이 키워드(아티스트: 「하마자키 아미」)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1)에 기록하고 다음의 스텝 SP2로 진행한다.
스텝 SP2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온에어 정보를 취득하는 기간 및 간격을 지정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26)에 표시하고,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취득 기간 「11월 1일~12월 31일」, 취득 간격 「1일」이 입력된 것을 인식하면, 이들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1)에 기록하고, 다음의 스텝 SP3으로 진행한다.
스텝 SP3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자체에 내장된 클록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기초로, 날짜가 취득 기간 「11월 1일~12월 31일」내로 될 때까지 기다려, 취득 기간내로 된 것을 인식하면, 다음의 스텝 SP4로 진행한다.
스텝 SP4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취득 간격 「1일」경과 후, 프리셋 정보로서 기록하고 있는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의 어드레스 각각에 대하여 취득 간격 「1일」분의 온에어 정보를 요구한다.
이와 같이 취득 간격이 「1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날짜가 바뀐 타이밍에서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에 전날 분의 온에어 정보를 요구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로부터 취득 간격에 따른 온에어 정보(이 경우, 전날 분의 온에어 정보)가 요구된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는 스텝 SP5에서, 각각이 전날 분의 온에어 정보를 방송 내용 정보 데이터 베이스(14)로부터 검색하고, 다음의 스텝 SP6으로 진행한다.
스텝 SP6에서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는 스텝 SP5에서 검색 결과로서 얻어진 전날 분의 온에어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2)에 송신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로부터 송신된 전날 분의 온에어 정보를 수신하면, 스텝 SP7에서, 이것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1)에 미리 구축하고 있는 온에어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축적하고, 다음의 스텝 SP8로 진행한다. 이 결과, 이 온에어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각 라디오국 RS(RS1~RSn)에서 방송된 라디오 프로그램 및 악곡에 관한 온에어 정보가 축적된다.
스텝 SP8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키워드(아티스트: 「하마자키 아미」)를 포함하는 온에어 정보를 온에어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다음의 스텝 SP9로 진행한다.
스텝 SP9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스텝 SP8에서 검색 결과로서 얻어진 키워드(아티스트: 「하마자키 아미」)를 포함하는 온에어 정보를 프로그램 타이틀마다 통합하는 동시에, 그 통합한 수(즉 프로그램 타이틀마다의 키워드의 출현 빈도이며, 이하 이것을 히트수라고 함)를 상기 프로그램 타이틀마다 집계한다.
실제로, 예를 들면, 이때 키워드로서 등록된 아티스트 「하마자키 아미」의 악곡을 5회 방송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관한 온에어 정보가 온에어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되었다고 하면, 상기 라디오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히트수는 「5」가 된다. 따라서, 이 히트수가 많은 라디오 프로그램일수록, 키워드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향이 강한 라디오 프로그램, 즉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라디오 프로그램(기호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얻어진 온에어 정보를 기초로 라디오 프로그램(기호 프로그램)의 타이틀, 상기 라디오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키워드의 히트수, 상기 라디오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라디오국 RS(RS1~RSn)의 국명을 각각 대응시킨 정보(이하, 이것을 기호 프로그램 정보라고 함)를 생성하고, 다음의 스텝 SP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P10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조작 입력부(20)(도 8)를 통해 기호 프로그램 정보의 제시가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스텝 SP12로 옮겨지고, 이에 대하여 긍정 결과를 얻으면, 다음의 스텝 SP11로 진행한다.
스텝 SP11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제시하기 위한 기호 프로그램 제시 화면(40)을 디스플레이(26)(도 8)에 표시하고, 다음의 스텝 SP12로 진행한다.
이 기호 프로그램 제시 화면(40)에는, 히트수가 많았던 상위 10 프로그램의 기호 프로그램 정보가 상기 히트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시켜 표시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하여 어느 국의 어느 라디오 프로그램이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향이 강한 라디오 프로그램인지, 즉 어느 라디오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라디오 프로그램인지를 인식시킬 수 있다.
스텝 SP12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이때의 날짜가 취득 기간 「11월 1일~12월 31일」밖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때의 날짜가 아직 온에어 정보의 취득 기간 내이므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스텝 SP4로 복귀하고, 다시 취득 간격 「1일」경과 후,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에 취득 간격 분(전날 분)의 온에어 정보를 요구한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이 스텝 SP12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질 때까지, 즉 날짜가 취득 기간 「11월 1일~12월 31일」밖이 될 때까지 취득 간격 「1일」경과마다 취득 간격 분(전날 분)의 온에어 정보를 취득하여 온에어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축적하고, 축적한 온에어 정보로부터 기호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텝 SP12에서 긍정 결과를 얻은 이후에는 온에어 정보의 취득을 멈추고, 취득 기간 내에 축적한 온에어 정보로부터 기호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이 제1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에 있어서,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로부터 온에어 정보를 취득하고, 키워드를 기초로 이 온에어 정보로부터 기호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고, 이것을 디스플레이(26)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1-4-2)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 측에서 온에어 정보로부터 기호 프로그램을 검색시키고, 이것을 클라이언트 단말기(2)가 수신하는 경우의 제2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2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와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와의 처리 시퀀스로 이루어지며, 이하, 이 처리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예를 들면, 처음 전원이 투입되면 스텝 SP20에서, 사용자에 대하여 자신의 기호를 나타내는 키워드를 입력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26)에 표시하고, 이에 따라 키워드(예를 들면, 아티스트: 「하마자키 아미」)가 입력된 것을 인식하면, 이 키워드(아티스트: 「하마자키 아미」)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1)에 기록하여 다음의 스텝 SP21로 진행한다.
스텝 SP21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는 기간 및 간격을 지정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26)에 표시하고,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취득 기간 「11월 1일~12월 31일」, 취득 간격 「1일」이 입력된 것을 인식하면, 이들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1)에 기록하고, 다음의 스텝 SP22로 진행한다.
스텝 SP22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키워드(아티스트 「하마자키 아미」)와 검색 조건 정보로서의 취득 기간 「11월 1일~12월 31일」을, 프리셋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는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의 어드레스 각각에 대하여 송신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로부터 송신된 키워드 및 검색 조건 정보(취득 기간)를 수신한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는 스텝 SP23에서, 이 키워드 및 검색 조건 정보(취득 기간)를 RAM(13)에 기록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스텝 SP22에서 키워드 및 검색 조건 정보(취득 기간)를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에 송신한 후, 스텝 SP24로 옮겨지고, 상기 스텝 SP24에서, 자체에 내장된 클록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기초로, 날짜가 검색 조건 정보의 취득 기간 「11월 1일~12월 31일」내로 될 때까지 기다려, 취득 기간 내로 된 것을 인식하면, 다음의 스텝 SP25로 진행한다.
스텝 SP25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취득 간격 「1일」경과 후(즉 날짜가 바뀌면), 프리셋 정보로서 기록하고 있는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의 어드레스 각각에 대하여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요구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로부터 기호 프로그램 정보가 요구된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는 스텝 SP26에서, 각각이 RAM(13)으로부터 키워드 및 검색 조건 정보(취득 기간)를 판독하고, 상기 검색 조건 정보의 취득 기간 「11월 1일~12월 31일」내이며 또한 키워드(아티스트: 「하마자키 아미」)를 포함하는 온에어 정보를 방송 내용 정보 데이터 베이스(14)로부터 검색하고, 다음의 스텝 SP27로 진행한다.
이 경우,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는 「11월 1일~전날」까지의 온에어 정보 중에서 키워드(아티스트: 「하마자키 아미」)를 포함하는 것을 방송 내용 정보 데이터 베이스(14)로부터 검색한다.
스텝 SP27에어서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는 스텝 SP26에서 검색 결과로서 얻어진 온에어 정보를 프로그램 타이틀마다 통합하는 동시에, 그 통합한 수(키워드의 히트수)를 상기 프로그램 타이틀마다 집계한다.
그리고,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는 얻어진 온에어 정보를 기초로 라디오 프로그램(기호 프로그램)의 타이틀, 상기 라디오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키워드의 히트수, 자국의 국명을 각각 대응시킨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고, 다음의 스텝 SP28로 진행한다.
스텝 SP28에서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는 각각 생성한 기 호 프로그램 정보를 크라이언트 단말기(2)에 송신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로부터 송신된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면, 스텝 SP29에서, 조작 입력부(20)를 통해 기호 프로그램 정보의 제시가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스텝 SP31로 옮겨지고, 이에 대하여 부정 결과를 얻으면, 다음의 스텝 SP30으로 진행한다.
스텝 SP30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제1 기호 프로그램 정보 제시 처리의 경우와 동일하게, 기호 프로그램 제시 화면(40)(도 10)을 디스플레이(26)에 표시하고, 다음의 스텝 SP31로 진행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하여 어느 국의 어느 라디오 프로그램이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향이 강한 라디오 프로그램인지, 즉 어느 라디오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라디오 프로그램인지를 인식시킬 수 있다.
스텝 SP31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날짜가 취득 기간 「11월 1일~12월 31일」밖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때의 날짜가 아직 기호 프로그램 정보의 취득 기간 내이므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스텝 SP25로 복귀하고, 다시 취득 간격 「1일」경과 후,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에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요구한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이 스텝 SP31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질 때 까지, 즉 날짜가 취득 기간 「11월 1일~12월 31일」밖이 될 때까지 취득 간격 「1일」경과마다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텝 SP31에서 긍정 결과를 얻은 이후는 기호 프로그램 정보의 취득을 정지하고, 마지막에 취득한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이 제2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에 있어서,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 측에서 온에어 정보로부터 기호 프로그램을 검색시켜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시키고, 이것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26)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1-4-3) 클라이언트 단말기(2)가 나우 온에어 정보로부터 기호 프로그램을 검색하는 경우의 제3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3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와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와의 처리 시퀀스로 이루어지며, 이하, 이 처리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항상 최신의 나우 온에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이하, 이것을 폴링 간격이라고 부르며, 예를 들면, 30초로 설정되어 있음)마다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t~PSn)에 대하여 나우 온에어 정보의 취득 요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예를 들면, 처음 전원이 투입되면 스텝 SP40에서, 사용자에 대하여 자신의 기호를 나타내는 키워드를 입력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26)로부터 출력하고, 이에 따라 키워드(예를 들면, 아티스트: 「하마자키 아미」)가 입력된 것을 인식하면, 이 키워드(아티스트: 「하마자키 아미」)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1)에 기록하고 다음의 스텝 SP41로 진행한다.
스텝 SP41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프리셋트 정보로서 기록하고 있는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의 어드레스 각각에 대하여 나우 온에어 정보를 요구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로부터 나우 온에어 정보가 요구된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는 스텝 SP42에서, 각각이 방송 내용 정보 데이터 베이스(14)의 방송 중인 프로그램 테이블 TB1로부터 나우 온에어 정보를 추출하고, 이것을 클라이언트 단말기(2)에 송신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로부터 송신된 나우 온에어 정보를 수신하면, 스텝 SP43에서, 이 수신한 나우 온에어 정보와, 전회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로부터 수신한 나우 온에어 정보를 비교하여, 상이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마다 이번에 수신한 나우 온에어 정보와 전회 수신한 나우 온에어 정보를 비교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경우, 예를 들면,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1로부터 이번에 수신한 나우 온에어 정보는 상기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1로부터 전회 수신한 나우 온에어 정보와 비교된다.
여기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예를 들면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1에 대응하는 라디오국 RS1에서, 현시점과 전회(30초 전)에서 악곡이 바뀌어 있지 않음으로써, 전회 및 이번 나우 온에어 정보가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스텝 SP45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이 스텝 SP43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이것은 예를 들면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1에 대응하는 라디오국 RS1에서, 현시점과 전회(30초 전)에서 악곡이 바뀜으로서, 전회의 나우 온에어 정보와 이번의 나우 온에어 정보가 상이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스텝 SP44로 진행한다.
스텝 SP44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이번에 취득한 나우 온에어 정보에 이때의 시각을 대응시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1)에 미리 구축하고 있는 나우 온에어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추가하고, 다음의 스텝 SP45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2)에 있어서는,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로부터 수신한 나우 온에어 정보를, 각각 전회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로부터 수신한 나우 온에어 정보와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즉 악곡이 바뀐 경우)에만 나우 온에어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추가하여 축적하도록 되어 있다.
즉 나우 온에어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각 라디오국 RS(RS1~RSn)에서 방송된 라디오 프로그램 및 악곡에 관한 나우 온에어 정보가 축적 되게 되고, 이 결과, 이 나우 온에어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전술한 온에어 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거의 동일한 정보가 축적된다.
따라서, 이 나우 온에어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축적된 나우 온에어 정보는 어느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어느 악곡이 방송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리스트가 된다.
스텝 SP45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조작 입력부(20)(도 8)를 통해 기호 프로그램 정보의 제시가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스텝 SP49로 옮겨지고, 이에 대하여 긍정 결과를 얻으면, 다음의 스텝 SP46으로 진행한다.
스텝 SP46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키워드(아티스트 「하마자키 아미」)를 포함하는 나우 온에어 정보를 나우 온에어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다음의 스텝 SP47로 진행한다.
스텝 SP47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스텝 SP46에서 검색 결과로서 얻어진 키워드(아티스트: 「하마자키 아미」)를 포함하는 나우 온에어 정보를 프로그램 타이틀마다 통합하는 동시에, 그 통합한 수(키워드의 히트수)를 상기 프로그램 타이틀마다 집계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얻어진 나우 온에어 정보를 기초로 라디오 프로그램(기호 프로그램)의 타이틀, 상기 라디오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키워드의 히 트수, 상기 라디오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라디오국 RS(RS1~RSn)의 국명을 각각 대응시킨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고, 다음의 스텝 SP48로 진행한다.
스텝 SP48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제1 및 제2 기호 프로그램 정보 제시 처리의 경우와 동일하게, 기호 프로그램 제시 화면(40)(도 10)을 디스플레이(26)에 표시하고, 다음의 스텝 SP49로 진행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하여 어느 국의 어느 라디오 프로그램이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향이 강한 라디오 프로그램인지, 즉 어느 라디오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라디오 프로그램인지를 인식시킬 수 있다.
스텝 SP49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자체에 내장된 클록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기초로, 스텝 SP41에서 나우 온에어 정보를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에 요구하고 나서 폴링 간격(30초)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폴링 간격이 경과할 때까지, 이 스텝 SP49에서 기다리고, 폴링 간격이 경과하여 긍정 결과를 얻은 후, 다시 스텝 SP41로 복귀하고,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에 대하여 나우 온에어 정보를 요구한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폴링 간격마다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로부터 나우 온에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나우 온에어 정보가 전회 수신한 나우 온에어 정보와 상이한 경우에만 나우 온에어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축적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키워드를 기초로 이 축적한 나우 온에어 정보로부터 기호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고, 이것을 디스플레이(26)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1-5)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 및 효과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사용자의 기호를 나타내는 키워드와 온에어 정보의 취득 기간을 상기 사용자에게 입력시키고, 이들을 등록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프리셋트 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는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로부터 온에어 정보를 수신하고, 이것을 온에어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축적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취득 기간 내이며 또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온에어 정보를 온에어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이것을 라디오 프로그램의 타이틀마다 통합하여 키워드의 히트수를 집계하고, 상기 키워드의 히트수에 따른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사용자에 대하여 어느 국의 어느 라디오 프로그램이 키워드에 히트한 회수가 많고,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향이 강한 라디오 프로그램인지를 인식시킬 수 있고, 이 결과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 이 클라이언트 단말기(2)에 있어서는, 프리셋 정보로서 등록하고 있는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에 대하여 키워드 및 온에어 정보의 취득 기간을 송신하고, 이들을 기초로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에서 생성된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기도 하다.
이 경우,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로부터 송신된 키워드와 온에어 정보의 취득 기간에 따라, 취득 기간 내이며 또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온에어 정보를 방송 내용 정보 데이터 베이스(14)로부터 검색하고, 이 검색 결과를 기초로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기(2) 측에서의 처리를 경감할 수 있고, 또 클라이언트 단말기(2)의 사용자가 어떠한 라디오 프로그램을 좋아하고 있는지를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에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 클라이언트 단말기(2)에 있어서는, 방송이 끝난의 방송 내용 정보인 온에어 정보 대신에 방송 중인 방송 내용 정보인 나우 온에어 정보를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로부터 수신하여 축적하고, 이 축적한 나우 온에어 정보를 기초로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기도 하다.
이와 같이 현재 방송 중인 방송 내용 정보인 나우 온에어 정보를 기초로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최신의 방송 내용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이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라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기호를 나타내기 위한 키워드를 등록하고, 온에어 정보나 나우 온에어 정보를 기초로 각 라디오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상기 키워드의 히트수를 집계함으로써, 이 키워드의 히트수를 디스플레이(26)에 표시하여 어느 라디오 프로그램이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향이 강한 라디오 프로그램인지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고, 이렇게 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각 라디오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상기 키워드의 히트수를 집계하고, 이것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각 라디오 프로그램이 어느 정도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것인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클라이언트 단말기(2)는 키워드의 히트수가 많은 상위 10 프로그램의 랭킹을 디스플레이(26)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도록 함으로써, 어느 라디오 프로그램이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향이 강한 라디오 프로그램인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2) 제2 실시예
(2-1) 하드 디스크 레코더의 구성
도 13에서, 50은 전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하드 디스크 레코더를 나타내고, 리모트 컨트롤러 RC의 조작에 따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RC로부터 적외선 신호 S1로서 송신되는 각종 명령을 적외선 수광부(51)에서 수신하고, 이것을 버 스(52)를 통해 CPU(53)에 공급한다.
CPU(53)는 ROM(54)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본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버스(52)를 통해 RAM(55)에 판독하고, 이들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전체를 제어하는 동시에, 적외선 수광부(51)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명령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하드 디스크 레코더(50)에는, 예를 들면, 250GB 정도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6)가 탑재되어 있고, 안테나(57)를 통해 수신한 텔레비전 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영상 및 프로그램 음성을 출력하는 통상 모드 외에, 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6)에 상기 프로그램 영상 및 프로그램 음성에 따른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는 녹화 모드와, 녹화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재생하는 재생 모드를 가지고 있다.
CPU(53)는 통상 모드 시, 안테나(57)를 통해 수신한 텔레비전 방송파 S2를 튜너(58)에 입력한다.
튜너(58)는 CPU(53)의 제어 하에, 텔레비전 방송파 S2 중에서, 리모트 컨트롤러 RC를 통해 지정된 채널의 신호(이하, 이것을 텔레비전 신호라고 함) S3을 추출하고, 이것을 디스크램블러(59)에 송출한다.
디스크램블러(59)는 CPU(53)의 제어 하에, 카드 인터페이스(60)에 끼워 붙여진 IC 카드(61)에 기록되어 있는 암호 키 정보를 사용하여, 텔레비전 신호 S3에 대한 소정의 디스크램블 처리를 실행하고, 이 결과 얻어지는 텔레비전 방송 데이터 D1을 디멀티플렉서(62)에 송출한다.
디멀티플렉서(62)는 CPU(53)의 제어 하에, 텔레비전 방송 데이터 D1을 영상 부분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영상 데이터 VD와, 음성 부분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음성 데이터 AD로 분리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 VD를 비디오 디코더(63)에 송출하는 동시에, 음성 데이터 AD를 오디오 디코더(64)에 송출한다.
비디오 디코더(63)는 CPU(53)의 제어 하에, 영상 데이터 VD에 대하여 M 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규격에 따른 소정의 디코드 처리를 실행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하고, 이 결과 얻어지는 영상 신호 VS를 외부의 모니터(65)에 송출한다.
또 오디오 디코더(64)는 CPU(53)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AD에 대하여 MPEG 규격에 따른 소정의 디코드 처리를 실행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하고, 이 결과 얻어지는 음성 신호 AS를 외부의 스피커(66)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외부의 모니터(65)에는, 영상 신호 VS에 따른 프로그램 영상이 표시되고, 외부의 스피커(66)로부터는 음성 신호 AS에 따른 프로그램 음성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하드 디스크 레코더(50)는 통상 모드 시, 사용자에게 지정된 채널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영상 및 프로그램 음성을 모니터(65) 및 스피커(66)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청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CPU(53)는 녹화 모드 시, 안테나(57)를 통해 수신한 텔레비전 방송파 S2에 대하여 통상 모드 시와 동일하게 튜너(58), 디스크램블러(59) 및 디멀티플렉서(62)에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영상 데이터 VD 및 음성 데이터 AD를 얻 고, 이들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6)에 송출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6)는 영상 데이터 VD와, 상기 영상 데이터 VD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 AD를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CD로서 빈 영역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 하여 하드 디스크 레코더(50)는 녹화 모드 시, 텔레비전 방송의 프로그램 영상 및 프로그램 음성에 따른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CD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6)에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재생 모드 시, CPU(53)는 리모트 컨트롤러 RC를 통해 재생하도록 지시된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CD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6)로부터 판독하고, 이것을 디멀티플렉서(62)에 송출한다.
디멀티플렉서(62)는 CPU(53)의 제어 하에,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CD의 영상 부분인 영상 데이터 VD를 비디오 디코더(63)에 송출하는 동시에, 상기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CD의 음성 부분인 음성 데이터 AD를 오디오 디코더(64)에 송출한다.
그리고, CPU(53)는 통상 모드 시와 동일하게 비디오 디코더(63) 및 오디오 디코더(64)에서 각각 영상 데이터 VD 및 음성 데이터 AD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영상 신호 VS 및 음성 신호 AS를 얻고, 이들을 각각 모니터(65) 및 스피커(66)에 송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하드 디스크 레코더(50)는 재생 모드 시, 하드 디스크에 기록하고 있는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CD에 따른 프로그램 영상 및 프로그램 음성을 모니터(65) 및 스피커(66)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청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CPU(53)는 디멀티플렉서(62)에서, 텔레비전 방송 데이터 D1로부터 영 상 데이터 VD 및 음성 데이터 AD를 분리할 때, 이들과 함께 텔레비전 방송 데이터 D1에 포함되어 있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의 데이터(이하, 이것을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데이터라고 함) ED를 분리하고, 이것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6)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기도 하다.
이 EPG 데이터 ED는 SI(Service Information)라고 불려지는 섹션 형식의 테이블류(類)로 기술되어 있고, 이 테이블류 중에는, 채널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SDT(Service Description Table)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E IT(Event Information Table)가 존재한다.
이 SDT에는, 채널 번호, 채널 이름(방송국명) 및 채널 내용 등이 기술되어 있고, 또 EIT에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타이틀, 방송 개시 시각, 방송 종료 시각, 장르 및 개요 등이 기술되어 있다.
즉 EPG 데이터 ED에는, 현재 시각으로부터 수십 시간 앞까지 방송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이하, 이것을 텔레비전 방송 내용 정보라고 함)가 기술되어 있고, 방송국으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에서 자주 분배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6)에는, 항상 최신의 EPG 데이터 ED가 유지된다.
그리고, CPU(53)는 이 EPG 데이터 ED를 이용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것을 비디오 디코더(63)를 통해 모니터(65)에 텔레비전 프로그램표 화면(70)(도 14)으로서 표시한다.
이 텔레비전 프로그램표 화면(70)에는, 현재 시각으로부터 수십 시간 앞까지 방송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텔레비전 방송 내용 정보가 채널마다 일람(一覽)으 로 되어 표시되도록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 텔레비전 프로그램표 화면(70) 상에서, 현재 시각으로부터 수십 시간 앞까지 방송되는 각 채널의 각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관한 텔레비전 방송 내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이 하드 디스크 레코더(50)에 있어서는, 이 텔레비전 프로그램표 화면(70) 상에서 리모트 컨트롤러 RC를 통해 사용자가 녹화하고 싶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녹화 예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2) 기호 프로그램 제시 기능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드 디스크 레코더(50)에서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하, 이것을 기호 프로그램이라고도 함)을 검색하고, 이것을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기호 프로그램 제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하드 디스크 레코더(50)는 이 기호 프로그램을 EPG 데이터 ED로부터 검색하도록 되어 있고, 이하, 이 기호 프로그램 제시 기능에 있어서의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에 대하여 도 1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하드 디스크 레코더(50)의 CPU(53)는, 예를 들면, 처음 전원이 투입되면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 순서 RT1을 개시하고, 계속되는 스텝 SP60에서, 사용자에 대하여 자신의 기호를 나타내는 키워드를 입력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모니터(65)에 표시하고, 이에 따라 키워드(예를 들면, 「노천탕」)가 리모트 컨트롤러 RC를 통해 입력된 것을 인식하면, 이 키워드 「노천탕」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6)에 기록하고 다음의 스텝 SP61로 진행한다.
스텝 SP61에서 CPU(53)는 EPG 데이터 ED 내에서의 어느 기간을 기호 프로그램의 검색 대상 기간으로 하는지를 나타내는 대상 기간을 지정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모니터(65)에 표시하고,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대상 기간 「1월 1일~2월 28일」이 입력된 것을 인식하면, 이것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6)에 기록하고, 다음의 스텝 SP62로 진행한다.
스텝 SP62에서 CPU(53)는 리모트 컨트롤러 RC를 통해 기호 프로그램 정보의 제시가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이때 CPU(53)는 스텝 SP66으로 옮겨지고, 이에 대하여 긍정 결과를 얻으면, 다음의 스텝 SP63으로 진행한다.
스텝 SP63에서 CPU(53)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6)로부터 키워드 「노천탕」 및 대상 기간 「1월 1일~2월 28일」을 판독하고, 이 대상 기간 「1월 1일~2월 28일」내이며 또한 키워드 「노천탕」을 포함하는 텔레비전 방송 내용 정보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6)에 기록하고 있는 EPG 데이터 ED로부터 검색하고, 다음의 스텝 SP64로 진행한다.
스텝 SP64에서 CPU(53)는 스텝 SP63에서 검색 결과로서 얻어진 텔레비전 방송 내용 정보를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타이틀마다 통합하는 동시에, 그 통합한 수(키워드의 히트수)를 상기 타이틀마다 집계한다.
그리고, CPU(53)는 얻어진 텔레비전 방송 내용 정보를 기초로 텔레비전 프로그램(기호 프로그램)의 타이틀, 상기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키워드의 히트수, 상기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채널 이름을 각각 대응시킨 기호 프 로그램 정보를 생성하고, 다음의 스텝 SP65로 진행한다.
스텝 SP65에서 CPU(53)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제시하기 위한 기호 프로그램 제시 화면(80)을 모니터(65)에 표시한다.
이 기호 프로그램 제시 화면(80)에는, 히트수가 많았던 상위 10 프로그램의 기호 프로그램 정보가 상기 히트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시켜 표시되도록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하여 어느 채널의 어느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향이 강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인지, 즉 어느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인지를 인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호 프로그램 제시 화면(80)을 표시한 후, CPU(53)는 다음의 스텝 SP66으로 옮겨지고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드 디스크 레코더(50)는 이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에 있어서, 키워드를 기초로 EPG 데이터 ED로부터 기호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고, 이것을 모니터(65)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 CPU(53)는 이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에 있어서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인식하면,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텔레비전 프로그램표 화면(70) 상에서의 상기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표시 위치에 커서 CS를 점멸 표시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 텔레비전 프로그램표 화면(70)을 참조할 때, 어느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상기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인지를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CPU(53)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한 통상 모드에 이후로 했을 때,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히트수가 많았던 텔레비전 프로그램 중에서, 그날에 방송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모니터(65)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그날에 방송되는 것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CPU(53)는 통상 모드로 출력하고 있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종료 직전에,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히트수가 많았던 텔레비전 프로그램 중에서, 현재 출력하고 있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종료 후에 방송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모니터(65)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현재 시청하고 있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종료 후에 방송되는 것을 통지할 수 있다.
(2-3)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 및 효과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하드 디스크 레코더(50)는 사용자의 기호를 나타내는 키워드와 EPG 데이터 ED의 대상 기간을 상기 사용자에게 입력시키고, 이들을 등록한다.
그리고, 하드 디스크 레코더(50)는 이 대상 기간 내이며 또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방송 내용 정보를 EPG 데이터 ED로부터 검색하고, 이것을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타이틀마다 통합하여 키워드의 히트수를 집계하고, 상기 키워드의 히트수에 따른 기호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이에 따라, 하드 디스크 레코더(50)는 사용자에 대하여 어느 채널의 어느 텔 레비전 프로그램이 키워드에 히트한 회수가 많고,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향이 강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인지를 인식시킬 수 있으며, 이 결과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이 하드 디스크 레코더(50)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기호를 나타내기 위한 키워드를 등록하고, EPG 데이터 ED를 기초로 각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상기 키워드의 히트수를 집계함으로써, 이 키워드의 히트수를 모니터(65)에 표시하여 어느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향이 강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인지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고, 이렇게 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각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상기 키워드의 히트수를 집계하고, 이것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각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어느 정도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것인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하드 디스크 레코더(50)는 키워드의 히트수가 많은 상위 10 프로그램의 랭킹을 모니터(65)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도록 함으로써, 어느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향이 강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인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사용자는, 예를 들면, 가장 히트수가 많았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다음에, 히트수가 많았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녹화해 둔다고 하는 것처럼, 그 랭킹을 기초로 시청이나 녹화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이 하드 디스크 레코더(50)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시청 시 및 녹화 시에 있어서의 편리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3) 다른 실시예
그리고,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방송 프로그램으로서의 라디오 프로그램 및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기호 프로그램의 대상으로 한 경우에 대하여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터넷상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 컨텐츠 등, 이 밖에 여러 가지의 방송 프로그램을 기호 프로그램의 대상으로 해도 된다.
또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각 라디오국 RS(RS1~RSn)에 각각 대응하는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가 접속되고,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가 각각 대응하는 라디오국 RS(RS1~RSn)에서 방송되는 라디오 방송의 방송 내용 정보를 기록 관리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모든 라디오국 RS(RS1~RSn)에 접속된 1개의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로 모든 라디오국 RS(RS1~RSn)에서 방송되는 라디오 방송의 방송 내용 정보를 일괄적으로 기록 관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온에어 정보의 기초가 되는 방송이 끝난 악곡 테이블 TB2 및 방송이 끝난 프로그램 테이블 TB3에는, 과거에 방송된 라디오 프로그램 및 상기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방송된 악곡에 관한 방송 내용 정보가 축적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 면, 방송 예정인 라디오 프로그램 및 상기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방송 예정인 악곡에 관한 방송 내용 정보를 미리 수 주간 분 축적해 두도록 해도 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방송 예정인 라디오 프로그램 중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각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가 유지하고 있는 방송 내용 정보로서의 온에어 정보 및 나우 온에어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라디오 프로그램(기호 프로그램)을 검색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기호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 방송 내용 정보이면, 이 밖에 여러 가지의 방송 내용 정보로부터 기호 프로그램을 검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는, 텔레비전 방송파 S2에 포함되는 전자 프로그램표로서의 EPG 데이터 ED로부터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텔레비전 프로그램(기호 프로그램)을 검색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기호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 전자 프로그램표이면, 예를 들면, 인터넷 상의 서버로부터 분배되는 EPG 데이터나, 이 밖에 여러 가지의 전자 프로그램표로부터 기호 프로그램을 검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온에어 정보나 나우 온에어의 취득 기간(즉 라디오 프로그램의 방송 기간)이나, 프리셋 정보에 등록한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의 어드레스(또는 방송국명)를 기호 프로그램의 검색 조건으로 하도 록 한 경우에 대하여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온에어 정보 및 나우 온에어 정보에 포함되는 다른 정보를 검색 조건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검색 조건으로서 라디오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복수개 지정시키고, 이들 지정된 프로그램이 각각 어느 정도 키워드에 히트하는지를 제시함으로써, 이들 프로그램이나 사용자의 기호에 어느 정도 맞는 프로그램인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는, EPG 데이터 ED에 있어서의 대상 기간(즉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방송 기간)을 기호 프로그램의 검색 조건으로 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EPG 데이터 ED에 포함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채널 이름(방송국명)이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타이틀 등을 검색 조건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이들 검색 조건을 사용자에게 자유롭게 지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시청 시간이나, 시청 채널, 시청 프로그램에 따른 기호 프로그램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 녹화 및 재생 가능한 하드 디스크 레코더(50)에 기호 프로그램 제시 기능을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EPG 데이터 ED를 취득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등, 이 밖에 여러 가지의 기기에 상기 기호 프로그램 제시 기능을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 외부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로서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를, 키워드 등록 수단 및 검색 조건 설정 수단으로서의 조작 입력부(20) 및 입력 처리부(21)나, 통신 수단으로서의 통신 처리부(34)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5)나, 검출 수단으로서의 CPU(23)에 의해 구성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밖에 여러 가지의 구성으로 이 클라이언트 단말기(2)를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 기억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로서의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를, 기억 매체로서의 방송 내용 정보 데이터 베이스(14)나, 수신 수단 및 송신 수단으로서의 통신 처리부(16)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나, 검색 수단 및 검출 수단으로서의 제어부(10)에 의해 구성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밖에 여러 가지의 구성으로 이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를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는,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로서의 하드 디스크 레코더(50)를, 키워드 등록 수단 및 검색 조건 설정 수단으로서의 리모트 컨트롤러 RC 및 적외선 수광부(51)나, 프로그램표 수신 수단으로서의 튜너(58), 디스크램블러(59) 및 디멀티플렉서(62)나, 프로그램표 검색 수단 및 검출 수단으로서의 CPU(53)에 의해 구성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밖에 여러 가지의 구성으로 하드 디스크 레코더(50)를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기(2)가 수신 가능한 방송으로 서 라디오국에서 방송되는 라디오 방송을 적용하고, 하드 디스크 레코더(50)가 수신 가능한 방송으로서 텔레비전국에서 방송되는 텔레비전 방송을 적용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가 인터넷 라디오 방송이나 위성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여, 그 방송 내용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거나, 또는 하드 디스크 레코더(50)가 인터넷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고, 그 인터넷 텔레비전 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관한 각종 방송 내용 정보 등을 네트워크상의 서버로부터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의 제어부(10)나, 클라이언트 단말기(2)의 CPU(23)가, ROM(11)이나, ROM(24)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전술한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를 실행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 전용의 모듈을, 방송 내용 정보 제공 서버 PS(PS1~PSn)나, 클라이언트 단말기(2)에 실장(實裝)하고, 제어부(10)나 CPU(23) 대신에 이 모듈이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드 디스크 레코더(50)의 CPU(53)가, ROM(54)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전술한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를 실행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 전용의 모듈을, 하드 디스크 레코더(50)에 실장하고, CPU(53) 대신에 이 모듈이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라디오 방송의 수신 장치인 클라이언트 단말기(2)나, 텔레비전 방송의 수신 장치인 하드 디스크 레코더(50)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나 퍼스널 컴퓨터 등 클라이언트 단말기(2)나 하드 디스크 레코더(50) 이외의 여러 가지의 단말기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 경우, 예를 들면, 전술한 기호 프로그램 제시 처리 전용의 모듈을 이들 여러 가지의 단말기에 실장하면, 용이하게 클라이언트 단말기(2)나 하드 디스크 레코더(50)와 동일한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방송 프로그램을 검색하는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방송국으로부터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과,
    현재의 시각 정보를 취득하는 시각 취득 수단과,
    키워드를 등록하는 키워드 등록 수단과,
    1개 이상의 방송국에서 방송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타이틀, 방송 일시 및 프로그램 내용을 포함하는 방송 내용 정보로 이루어지는 전자 프로그램 표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전자 프로그램 표에 포함되는 방송 내용 정보로부터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방송 내용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 얻어진 방송 내용 정보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마다의 상기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와 상기 시각 정보 및 상기 방송 일시에 기초하여, 상기 키워드의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방송 예정의 방송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상기 출력 수단이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고 있는 때에는,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 예정인 취지를 나타내는 소정의 정보를 상기 출력 수단에 출력시키고, 상기 출력 수단이 상기 전자 프로그램 표를 출력하고 있는 때에는 상기 전자 프로그램 표로서 출력되어 있는 방송 내용 정보 중, 상기 키워드의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내용 정보를 강조 표시시키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키워드의 출현 빈도가 가장 높고 현재일에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이 현재일에 방송되는 취지를 나타내는 소정의 정보를 상기 출력 수단에 출력시키는,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키워드의 출현 빈도가 가장 높고 상기 출력 수단이 출력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 후에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이 상기 출력 수단이 출력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 후에 방송되는 취지를 나타내는 소정의 정보를 상기 출력 수단에 출력시키는,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출력 수단이 출력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이 종료하는 때에,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출력 수단에 출력시키는,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추출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내용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소정의 정보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키워드의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순으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랭킹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랭킹에 포함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내용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소정의 정보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
  7. 키워드를 키워드 등록 수단이 등록하는 키워드 등록 스텝과,
    1개 이상의 방송국에서 방송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타이틀, 방송 일시 및 프로그램 내용을 포함하는 방송 내용 정보로 이루어지는 전자 프로그램 표를 통신 수단이 수신하는 통신 스텝과,
    상기 전자 프로그램 표에 포함되는 방송 내용 정보로부터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방송 내용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 얻어진 방송 내용 정보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마다의 상기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검출 수단이 검출하는 검출 스텝과,
    상기 검출 스텝에서의 검출 결과와 시각 취득 수단이 취득한 현재의 시각 정보 및 상기 방송 일시에 기초하여, 제어 수단이 상기 키워드의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방송 예정의 방송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출력 수단이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고 있는 때에는,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 예정인 취지를 나타내는 소정의 정보를 상기 출력 수단에 출력시키고, 상기 출력 수단이 상기 전자 프로그램 표를 출력하고 있는 때에는 상기 전자 프로그램 표로서 출력되어 있는 방송 내용 정보 중, 상기 키워드의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내용 정보를 강조 표시시키는 출력 스텝
    을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 검색 방법.
  8.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키워드를 키워드 등록 수단이 등록하는 키워드 등록 스텝과,
    1개 이상의 방송국에서 방송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타이틀, 방송 일시 및 프로그램 내용을 포함하는 방송 내용 정보로 이루어지는 전자 프로그램 표를 통신 수단이 수신하는 통신 스텝과,
    상기 전자 프로그램 표에 포함되는 방송 내용 정보로부터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방송 내용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 얻어진 방송 내용 정보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마다의 상기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검출 수단이 검출하는 검출 스텝과,
    상기 검출 스텝에서의 검출 결과와 시각 취득 수단이 취득한 현재의 시각 정보 및 상기 방송 일시에 기초하여, 제어 수단이 상기 키워드의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방송 예정의 방송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출력 수단이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고 있는 때에는, 추출된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 예정인 취지를 나타내는 소정의 정보를 상기 출력 수단에 출력시키고, 상기 출력 수단이 상기 전자 프로그램 표를 출력하고 있는 때에는 상기 전자 프로그램 표로서 출력되어 있는 방송 내용 정보 중, 상기 키워드의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내용 정보를 강조 표시시키는 출력 스텝
    을 실행시키는 방송 프로그램 검색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67013511A 2004-02-10 2005-02-03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 방송 프로그램 검색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KR101191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33689 2004-02-10
JPJP-P-2004-00033689 2004-02-10
PCT/JP2005/001976 WO2005076505A1 (ja) 2004-02-10 2005-02-03 番組検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554A KR20070005554A (ko) 2007-01-10
KR101191373B1 true KR101191373B1 (ko) 2012-10-15

Family

ID=34836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511A KR101191373B1 (ko) 2004-02-10 2005-02-03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 방송 프로그램 검색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62935A1 (ko)
JP (1) JPWO2005076505A1 (ko)
KR (1) KR101191373B1 (ko)
CN (1) CN1918834A (ko)
WO (1) WO20050765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3001B2 (ja) * 2006-05-09 2011-02-16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録画装置、録画システム、番組予約方法及び番組予約プログラム
US9300993B2 (en) 2008-08-29 2016-03-29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ontent notification for a set-top box
US20100058416A1 (en) * 2008-08-29 2010-03-04 Embarq Holdings Company,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web-based content feed for a set-top box
KR100976695B1 (ko) * 2008-11-28 2010-08-18 한국과학기술원 트렌드의 순위를 결정하는 방법
US20110010742A1 (en) * 2009-07-10 2011-01-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nhanced network search
JP5540652B2 (ja) * 2009-11-02 2014-07-02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記録制御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102763354A (zh) * 2009-12-18 2012-10-31 汤姆森特许公司 偏好引擎驱动的个性化的音乐服务
US8510775B2 (en) 2010-01-08 2013-08-13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entertainment data on a set top box
CN102999498A (zh) * 2011-09-08 2013-03-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媒体节目的检索方法及装置
US9747373B2 (en) 2012-05-11 2017-08-29 Zte Corporation Inquiry method and system, inquiry search server and inquiry terminal
US10002206B2 (en) 2012-10-26 2018-06-19 Saturn Licensing Llc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5046929A (ja) * 2014-10-24 2015-03-12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Thomson Licensing プリファレンス・エンジンによりドライブされるパーソナライズされた音楽サービス
US20190182645A1 (en) * 2017-12-08 2019-06-13 Qualcomm Incorporated Provisioning mechanism to trigger a subscription download at a user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3950A (ja) 2000-01-19 2001-07-27 Nec Corp 電子番組ガイド表示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0885B2 (ja) * 1993-06-18 2001-10-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キーワード付与システム
JPH08214282A (ja) * 1995-02-02 1996-08-20 Seiko Epson Corp 番組ガイド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番組予約システム
JPH11164217A (ja) * 1997-11-25 1999-06-18 Nec Corp 嗜好統計番組検索テレビシステム
JP3636419B2 (ja) * 1998-02-12 2005-04-06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オーディオ放送の受信機
JPH11261908A (ja) * 1998-03-06 1999-09-24 Toshiba Corp 番組及び又は情報の選択支援装置
AU5601200A (en) * 1999-06-09 2000-12-28 Discovery Communications, Inc. Electronic book selection and delivery system with targeted advertising
JP3518450B2 (ja) * 1999-11-19 2004-04-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US6473751B1 (en) * 1999-12-10 2002-10-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search queries and user profiles and viewing search results
JP2001249925A (ja) * 2000-03-03 2001-09-14 Sharp Corp 嗜好情報収集装置及び嗜好情報収集方法
EP1137210A2 (en) * 2000-03-20 2001-09-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evice for providing music and information to the passengers in a car
JP2002208900A (ja) * 2001-01-05 2002-07-26 Purantekku:Kk オンエア情報収集・配信システム
JP2002279026A (ja) * 2001-03-19 2002-09-27 Nec Corp 番組関心度提示サーバ、番組関心度提示方法、および番組関心度提示プログラム
JP3592255B2 (ja) * 2001-05-15 2004-11-24 株式会社メディアクリック 総合放送データベース作成システム及び放送局放送データベース作成システム
JP2003141167A (ja) * 2001-10-31 2003-05-16 Toshiba Corp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検索サーバ、コンテンツ提供方法
KR20030070275A (ko) * 2002-02-23 2003-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호 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청률 조사장치 및 방법
US20040148280A1 (en) * 2002-12-30 2004-07-29 Moriyuki Chimura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keyword determination method
US20050076384A1 (en) * 2003-08-29 2005-04-07 Manish Upendra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non-broadcast content on a broadcast-based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3950A (ja) 2000-01-19 2001-07-27 Nec Corp 電子番組ガイド表示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62935A1 (en) 2007-07-12
KR20070005554A (ko) 2007-01-10
CN1918834A (zh) 2007-02-21
JPWO2005076505A1 (ja) 2007-10-18
WO2005076505A1 (ja)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373B1 (ko)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 방송 프로그램 검색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US80421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681304B (zh) 处理元数据的方法和设备
US2011016745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50034650A1 (en) Ultrahard diamond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JP2008079139A (ja) インタラクティブ装置およびインタラクティブ装置の制御方法
KR20100002163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시스템
US7519269B2 (en) Video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program information
JP2006229678A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739225B2 (en) Alternative audio delivery for television viewing
JP564569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2084966A (ja) 動画情報視聴装置及び動画情報視聴方法
KR101129654B1 (ko) 방송 빈도 검출 장치, 방송 빈도 수신 장치, 방송 빈도 검출 방법, 방송 빈도 수신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KR101422010B1 (ko) 방송 수신기 및 방송 프로그램 검색 방법
JP4869456B1 (ja) 映像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情報表示方法
KR101507494B1 (ko) 디지털 티브이의 뮤트시간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22400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JP2009212814A (ja) 番組選択装置、番組選択プログラム、及び番組選択方法
JP2011239085A (ja) 録画再生装置及び方法
JP6863699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
JP5885808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JP2001285813A (ja)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2005341363A (ja) 番組選択装置、番組選択方法、及び受信端末装置
KR20080079013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타임 시프트 녹화 제어장치 및방법
JP2009141575A (ja) 一時記録再生装置、一時記録再生用プログラム、及び一時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