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824B1 -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이중복합렌즈 - Google Patents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이중복합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824B1
KR101190824B1 KR1020110140392A KR20110140392A KR101190824B1 KR 101190824 B1 KR101190824 B1 KR 101190824B1 KR 1020110140392 A KR1020110140392 A KR 1020110140392A KR 20110140392 A KR20110140392 A KR 20110140392A KR 101190824 B1 KR101190824 B1 KR 101190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uide plate
camera
mobile communica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현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송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송지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1020110140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824B1/ko
Priority to PCT/KR2012/000683 priority patent/WO201309481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회전식 또는 퍼즐식 이중복합렌즈에 관한 것으로, 휴대장치에 내장된 카메라 렌즈의 DSLR 활용을 위한 방법으로, 하드콘택트렌즈의 광학적 굴절률을 사용하여 카메라의 CCD또는 CMOS의 F값에 따라 수차보정상태를 양호하게 하고 화각을 보정하며, 접사, 어안, 망원렌즈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복합렌즈를 제공하며, 상기 렌즈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여, 휴대기기의 광학렌즈 촬영 및 분해조립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이중복합렌즈 {Double composite lens for camera of mobile equipment and mobile phone}
본 발명은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이중복합렌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에 하드콘택트렌즈가 장착된 렌즈교환기를 이중으로 구비하여, 휴대기기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CMOS, CCD카메라의 촬영기능을 보강하고 이중복합렌즈의 교환에 따라 SLR급의 고급촬영이 가능하도록 한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이중복합렌즈에 관한 것이다.
최근 DSLR 카메라의 발전과 수요확대로 사진촬영에 대한 대중적인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개인휴대통신장치 또는 기타 소형 전자장치에 장착된 카메라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과 활용도가 늘어남에 따라, 상기 장치들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의 기술 역시 발전하고 있다.
한편, 상기 개인휴대통신장치 또는 기타 소형 전자장치에 장착되는 카메라 렌즈의 단점으로 지적되던 이미지 화소 문제는 해당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기존 DSLR에 버금가는 800만, 1000만 화소까지 근접하게 되었으나, 기존 DSLR 카메라의 렌즈를 광각, 어안, 번들, 접사 렌즈 등으로 다양하게 교체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촬영효과를 발휘하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
DSLR 카메라는 렌즈 교환을 통해서 거리가 멀거나 가까움, 빛이 많고 적음 등 제한된 환경을 극복하고 다양한 사진촬영을 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으로, 상기 렌즈의 종류는 크게 초점거리에 따라서 단렌즈와 줌렌즈로 구분되고, 화각에 따라서 광각렌즈, 표준렌즈, 망원렌즈 등으로 구분된다.
이때, 초점거리는 카메라의 필름에 해당하는 CCD(CMOS)에서 렌즈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초점거리가 짧은 렌즈는 화각이 넓어지고, CCD(CMOS)에서 렌즈가 길수록 화각은 좁아진다.
화각에 따른 렌즈의 종류를 초점거리로 나타내면, 어안렌즈(7~15mm), 광각렌즈(15~35mm), 표준렌즈(38~58mm), 망원렌즈(70~200mm), 초망원렌즈(200mm 이상)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표준렌즈는 사람의 눈으로 보는 것과 거의 비슷한 렌즈로, 화각은 40~60도, 초점거리는 50mm를 기준으로 한다.
다음으로, 광각렌즈는 화각은 60도 이상, 초점거리가 50mm 이하로 표준렌즈에 비해 광각범위가 넓어 경치 촬영이나, 좁은 공간을 넓게 보이게 하는 실내 인테리어 촬영에 많이 사용된다.
다음으로, 망원렌즈는 화각이 40도 이하, 초점거리가 50mm 이상으로 멀리 있는 것을 가까이 당겨서 찍는 렌즈이다.
그 밖에도, 광각렌즈의 하나로 화각이 180도 이상 되는 어안렌즈, 접사용으로 사용하는 매크로렌즈, 오목거울의 원리를 이용한 반사망원렌즈, 반사망원렌즈, 연초점 렌즈, 시프트렌즈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렌즈들은, 포커스 배율이 다른 매크로렌즈, 표준렌즈, 광각렌즈, 망원렌즈 등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접사, 근거리, 중거리, 장거리에 적합한 렌즈가 하나의 군을 이루어 복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화각이 좁고 초첨거리가 멀어지는 망원렌즈로 갈수록 복합적으로 구성되는 렌즈의 수가 많아지므로 렌즈군을 포함하는 렌즈 경통의 길이 또한 길어지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개인휴대통신장치 또는 기타 소형 전자장치에 장착되는 카메라는 소형 휴대 장치에 장착되어야만 하는 특성상, 크기와 부피를 줄이기 위해 하나의 렌즈만을 포함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다양한 렌즈교체에 따른 DSLR 촬영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망원촬영을 위해서는 크기와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렌즈군이 구성되어야 하므로, 상기 휴대 장치에 탑재되는 망원렌즈의 성능이 떨어지거나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휴대기기 전용 하드렌즈가 개발되어 사용자는 이를 추가로 구매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나, 현재 출시되고 있는 전용렌즈는 렌즈자체의 크기가 크고, 거치대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므로 부피가 커져 사용자의 편의성과 휴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기기 자체에 내장된 카메라의 DSLR활용을 위하여 실제 DSLR렌즈 또는 유사장치, 렌즈를 부착용 거치대 등 별도의 장치들을 구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개발된 DSLR렌즈 또는 유사장치, 렌즈를 부착용 거치대 등 별도의 장치들은 특정 모델의 휴대전화장치 전용으로만 제작되어 타 휴대기기나 구형 피처 폰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우므로 호환성이 떨어지고 비경제적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렌즈들을 휴대장치에 장착함에 있어서도, 별도의 부착 또는 거치장치를 이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으로 휴대가 어렵고 활용도가 낮아지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된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기타 소형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장치에 내장된 카메라 렌즈의 DSLR 활용을 위한 방법으로, 하드콘택트렌즈의 광학적 굴절률을 사용하여 카메라의 CCD또는 CMOS의 F값에 따라 수차보정상태를 양호하게 하고 화각을 보정하며, 접사, 어안, 망원렌즈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렌즈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렌즈(접사, 어안, 망원렌즈)의 호환성 및 교체가 용이하고, 상기 렌즈를 휴대기기의 카메라 표면에 장착 또는 탈착을 용이하게 하여, 휴대기기의 광학렌즈 촬영 및 분해조립성을 개선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회전 가능하게 힌지 조립된 렌즈 교환기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 교환기의 회전상태에 따라 광학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회전형 렌즈 교환기를 갖춘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퍼즐형 렌즈 교환기를 이용하여, 상기 퍼즐형 렌즈 교환기의 퍼즐 이동에 따라 광학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퍼즐형 렌즈 교환기를 갖춘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기타 소형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의 크기와 부피를 최소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소형 경량화를 이루는 것은 물론, 휴대성과 사용편의성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회전판; 상기 제 1회전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회전판; 상기 제 1회전판 및 상기 제 2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및 상기 제 1회전판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렌즈군과 상기 제 2회전판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렌즈군을 포함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회전식 이중복합렌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회전판 및 상기 제2회전판의 외경을 따라 각각 구비된 톱니기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회전식 이중복합렌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렌즈군의 어느 하나를 오목렌즈로 구성하고, 상기 제 1렌즈군의 축과 동일한 위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2렌즈군의 어느 하나를 볼록렌즈로 구성하여 망원렌즈의 효과를 가지는 이중복합렌즈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회전식 이중복합렌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렌즈군의 어느 하나를 볼록렌즈로 구성하고, 상기 제 1렌즈군의 축과 동일한 위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2렌즈군의 어느 하나를 오목렌즈로 구성하여 어안렌즈의 효과를 가지는 이중복합렌즈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회전식 이중복합렌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렌즈군의 어느 하나를 볼록렌즈로 구성하고, 상기 제 1렌즈군의 축과 동일한 위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2렌즈군의 어느 하나를 플레이트 또는 필터로 구성하여 접사렌즈의 효과를 가지는 이중복합렌즈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회전식 이중복합렌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가이드플레이트;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 상부에 위치하는 제 2가이드플레이트; 상기 제 1가이드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 2가이드플레이트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블럭; 및 제1교차부 및 제2교차부로 이루어지는 렌즈교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교차부에 2개의 렌즈블럭이 적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퍼즐식 이중복합렌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는 제1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제1교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가이드플레이트는 제2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제2교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제 2가이드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교차부로 상기 렌즈블럭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퍼즐식 이중복합렌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렌즈블럭은 제1렌즈블럭 및 제2렌즈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교차부에 상기 제1렌즈블럭이 배치되고, 상기 제2교차부에 제2렌즈블럭이 배치되어, 상기 렌즈교차부에 상기 제1렌즈블럭 및 상기 제2렌즈블럭이 적층 배치됨으로써, 이중복합렌즈를 구성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퍼즐식 이중복합렌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면 및 상기 제1교차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상기 제 2가이드플레이트에 배치되는 상기 렌즈블럭이 위치할 수 있도록 평탄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퍼즐식 이중복합렌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가이드플레이트는 가로
Figure 112011102412893-pat00001
세로인 A
Figure 112011102412893-pat00002
B의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교차부에 2개의 렌즈블럭이 적층 배치되었을 때, 적어도 4개 이상의 구역이 블랭크(blank) 구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퍼즐식 이중복합렌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제 2가이드플레이트 안쪽 테두리의 일정 영역에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렌즈블럭의 바깥쪽 테두리에는 가이드홈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홈이 결합하면서, 상기 렌즈블럭이 위치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퍼즐식 이중복합렌즈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기타 소형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는, 휴대장치에 내장된 카메라 렌즈의 DSLR 활용을 가능하게 하여 접사, 어안, 망원렌즈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렌즈(접사, 어안, 망원렌즈)의 호환성 및 교체가 용이하고, 상기 렌즈를 휴대기기의 카메라 표면에 장착 또는 탈착을 용이하게 하여 휴대기기의 광학렌즈 촬영 및 분해조립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하게 힌지 조립된 렌즈 교환기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 교환기의 회전상태에 따라 광학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회전형 렌즈 교환기를 갖춘 카메라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가능한 퍼즐형 렌즈 교환기를 이용하여, 상기 퍼즐식 렌즈의 이동에 따라 광학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퍼즐형 렌즈 교환기를 갖춘 카메라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기타 소형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의 크기와 부피를 최소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되고 소형 경량화를 이루는 것은 물론, 휴대성과 사용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이중복합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상기 이중복합렌즈에 삽입되는 렌즈군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b는 상기 이중복합렌즈에 부착되는 렌즈군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복합렌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복합렌즈의 수직이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사렌즈(C)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복합렌즈를 휴대장치에 접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복합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310) 및 제 2가이드플레이트(320)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복합렌즈에 삽입되는 렌즈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복합렌즈를 휴대장치에 접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이중복합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는 상기 이중복합렌즈에 삽입되는 렌즈군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b는 상기 이중복합렌즈에 부착되는 렌즈군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이중복합렌즈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한 바, 회전식 이중복합렌즈(1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식 이중복합렌즈 (100)는, 제 1회전판(110), 상기 제 1회전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회전판(120), 상기 제 1회전판 및 상기 제 2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축(130), 상기 제 1회전판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렌즈군 및 상기 제 2회전판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렌즈군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회전축(130)이 제 1회전판(110) 및 제 2회전판(120)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각각의 회전판의 중심부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회전판들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회전판은 원형판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판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회전 가능하게 힌지 조립된 상기 제 1회전판(110) 및 제 2회전판(120)의 중심부를 기점으로 하여 수 개의 렌즈군(140)이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회전판(110)에는 제 1렌즈군(140a)을, 상기 제 2회전판(120)에는 제 2렌즈군(140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렌즈군(140)의 중심축의 위치 및 원형 배열 간격은 동일한 각도를 가지고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중복합렌즈(100)의 회전축(130)의 회전상태에 따라 제 1렌즈군(140a) 및 제 2렌즈군(140b)의 배열이 용이하여 이중복합렌즈군(140)의 조합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 1회전판(110) 및 제 2회전판(120)의 외경을 따라서 톱니기어(111)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톱니기어(111)는 상기 이중복합렌즈군(140)의 조합을 교환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사용자가 회전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만, 상기 톱니기어(111)를 본 발명의 회전판 회전 제어장치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손으로 밀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타 유사한 기능의 다른 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복합렌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복합렌즈의 수직이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이중복합렌즈의 수직이동상태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상기 회전축(130)은 제 1회전판(110) 및 제 2회전판(120)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각각의 회전판의 중심부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회전판들이 회전하도록 하는 동시에, 외경이 서로 다른 원통형의 축(130a, 130b)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통형의 축은 외경이 상대적으로 큰 제 1회전판(110)의 축(130a) 내부에, 외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 2회전판(120)의 축(130b)이 삽입되거나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회전판(110) 및 제 2회전판(120)의 수직운동은 상기 외경이 다른 원통형의 회전축(130a, 130b)에 의해 이격거리(g)가 조절될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상기 제 2회전판의 축(130b)이 상기 제 1회전판의 축(130a)보다 돌출되어 이격거리(g)가 길어지거나, 도 4와 같이 상기 제 2회전판의 축(130b)이 상기 제 1회전판의 축(130a)보다 삽입되어 이격거리(g)가 짧아지므로 상기 제 1회전판(110) 및 제 2회전판(120)에 구비된 이중복합 렌즈군(140)의 포커싱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한 바, 상기 회전축(130)은 회전축(130)의 상부 고정점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압력(P)을 가하여 단차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130)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단차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렌즈군(140)의 구성 및 조합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로서 상기 이중복합렌즈(100)에 사용되는 렌즈군(140)은 크기와 부피를 소형화하기 위해 하드콘택트형 광학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드콘택트형 광학렌즈는 시력교정용의 것이 아닌 휴대장치의 카메라의 화각을 보정하고 접사, 어안, 망원의 기능을 하는 하드콘택트형 렌즈를 말한다.
또한, 상기 렌즈의 소재 및 성형방법은 글리콜카보네이트, 셀루로오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late: CAB)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ylmetacrylate: PMMA) 및 실리콘 함유 소수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소재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콘택트 렌즈 재료를 캐스트 몰딩(Cast Molding) 금형주조를 통하여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렌즈군(14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렌즈군의 제조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하드콘택트렌즈의 특성상 산소가 투과되지 않는 산소불투과성이고, 굴절지수가 높은 소재로 구면굴절, 프리즘굴절율에 따라 각각의 디옵터(D)를 가지는 하드콘택트렌즈를 광학설계 한다.
다음으로, 광학설계한 제품형상을 1차 및 2차 사출금형의 방법으로 금형가공 할 수 있다.
상기 사출금형은 사출성형기에 금형을 부착한 후 적정한 온도로 용융된 수지를 제품형상(하드콘택트렌즈)의 금형 캐비티 내에 적정한 압력과 속도로 충진시킨 다음, 일정한 시간을 두고 충진된 수지를 냉각고화시켜 성형품(하드콘택트렌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성형품(하드콘택트렌즈)과 같은 디자인화 된 금속성 형상부위 중 이동측의 성형품을 코어라고 하고 고정측의 성형품명을 캐비티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제품형상은, 광학설계를 기반으로 가공성 검토에 따라 사출용 금형코어의 소재를 니켈동으로 하고 광학설계의 토릭형상 가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형코어는 토릭 및 오프셋 구면의 복합변 가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3차원 고속가공기(22,000RPM)를 사용하여 황삭, 1차 정삭가공 및 2차 정삭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공된 렌즈사출용 코어는 코어표면에 요구되는 형상정도 PV 0.2㎛, 표면조도(거칠기) Ra 10㎚ 이하의 가공공차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금형주조법(Cast Molding)을 이용한 렌즈의 사출성형을 시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출성형의 재료로 글리콜카보네이트, 셀루로오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late: CAB)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ylmetacrylate: PMMA) 및 실리콘 함유 소수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소재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하드콘택트렌즈 재료를 캐스트 몰딩(Cast Molding) 금형주조를 통하여 성형할 수 있으며, 상기 하드콘택트렌즈 재료를 가소화 시키고 가소화된 용융수지를 성형기(사출기) 노즐을 통해 금형내 충진 시키고 냉각고화시켜 취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취출된 렌즈를 폴리싱 등 후가공 작업으로 표면처리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렌즈들은, 본 발명의 제 1회전판(110) 및 제 2회전판(120)의 중심부를 기점으로 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 배열된 관통구멍에 삽입하여 제 1렌즈군(140a) 또는 제 2렌즈군(14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참조)
한편, 상기 렌즈군의 직경 및 디옵터(D)는 렌즈의 성능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제조된 렌즈들을 본 발명의 제 1회전판(110) 및 제 2회전판(120)의 원형 배열된 관통구멍에 삽입하기 위한 장치로, 상기 제조된 렌즈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동일하게 규격화된 바렐(14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한 바, 제 1회전판(110) 및 제 2회전판(120)에 배열된 관통구명의 내경(d1)과, 상기 내경(d1)과 동일한 치수의 외경(d2)을 가지는 원통형의 바렐(141)이 구비되고, 상기 바렐(141)의 내주면에 제조된 렌즈(142)들을 삽입 또는 접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합을 위한 접합제로는 아크릴계 고분자 중합체 또는 제클(Geckel)등의 나노접착물질 또는 소정의 접착력을 가진 접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렌즈들이 접합된 바렐(141)을, 상기 제 1렌즈군(140a) 및 제 2렌즈군(140b) 구멍에 이중복합렌즈로 구성될 것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삽입 체결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바렐을 통하여 렌즈를 회전판에 고정하는 것은 일 예에 해당할 뿐,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방법에 한정하지 않으며, 제조된 렌즈를 접합제를 통하여 회전판 상에 직접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복합렌즈에 부착되는 렌즈군(10)은 일정 두께(d)를 갖는 플레이트(12) 일면에 렌즈(11)를 부착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타면에 접합체(13)를 포함시켜, 상기 접합체를 회전판(14)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의 두께는 약 1mm 내외인 것이 바람직하다.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은 상기 플레이트의 직경보다 작은 관통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멍이 상부에 상기 플레이트를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관통구멍이 없이 플레이트를 상기 회전판에 접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회전판은 투명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이중복합렌즈의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복합렌즈는, 상기 제 1렌즈군(140a) 또는 제 2렌즈군(140b)의 조합을 통해 망원렌즈, 어안렌즈, 접사렌즈 등 다양한 SLR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망원렌즈군의 조합(A)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1회전판(110)에 삽입되는 제 1렌즈군의 어느 하나를 오목렌즈(142a)로 구성하고, 상기 제 1렌즈군의 축과 동일한 위치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제 2회전판(120)에 삽입되는 제 2렌즈군의 어느 하나를 볼록렌즈(142b)로 구성하면 망원렌즈의 효과를 가지는 이중복합렌즈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렌즈군의 오목렌즈(142a)와 상기 제 2렌즈군의 볼록렌즈(142b)로 조합된 이중복합렌즈는 상기 오목렌즈(142a)의 후방구면굴절률의 변화와 상기 볼록렌즈(142b)의 전방구면굴절률의 변화에 따라 망원(Tele scope)의 기능이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원렌즈군의 조합에서, 상기 제 1렌즈군의 오목렌즈(142a)의 후방구면굴절률은 -10 내지 -30디옵터(D)일 수 있으며, 10 내지 20디옵터(D)의 전방구면굴절률을 가지는 볼록렌즈(142b)가 상기 제 2렌즈군에 위치함으로써 이중복합렌즈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목렌즈(142a)와 볼록렌즈(142b)의 화각비(θ)는 1:1 내지 1:3 의 화각비(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렌즈군의 오목렌즈(142a)와 상기 제 2렌즈군의 볼록렌즈(142b)가 조합된 망원렌즈군은 상기 제 1회전판(110)과 상기 제 2회전판(120)의 이격거리(g)를 회전축(130)의 수직이동을 통해 단차의 변화를 주어 렌즈군의 화상입사각에 맞추어 포커싱 기능을 실시하면 원거리의 물체를 가깝게 볼 수 있는 망원렌즈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어안렌즈군(B)의 조합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1회전판(110)에 삽입되는 제 1렌즈군의 어느 하나를 볼록렌즈(143a)로 구성하고, 상기 제 1렌즈군의 축과 동일한 위치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제 2회전판(120)에 삽입되는 제 2렌즈군의 어느 하나를 오목렌즈(143b)로 구성하면 어안렌즈의 효과를 가지는 이중복합렌즈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렌즈군의 볼록렌즈(143a)와 상기 제 2렌즈군의 오목렌즈(143b)로 조합된 이중복합렌즈는 상기 볼록렌즈(143a)의 전방구면굴절률의 변화와 상기 오목렌즈(143b)의 후방구면굴절률의 변화에 따라 어안(Fish-eye)의 기능이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안렌즈군의 조합에서, 상기 제 1렌즈군의 볼록렌즈(142b)의 전방구면굴절력은 2 내지 5디옵터(D)일 수 있으며, -10 내지 -30디옵터(D)의 후방구면굴절률을 가지는 오목렌즈(143b)가 상기 제 2렌즈군에 위치함으로써 이중복합렌즈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록렌즈(143a)와 오목렌즈(143b)의 화각비(θ)는 1:1.5 내지 1:3.5 화각비(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렌즈군의 볼록렌즈(143a)와 상기 제 2렌즈군의 오목렌즈(143b)가 조합된 어안렌즈군은 상기 제 1회전판(110)과 상기 제 2회전판(120)의 이격거리(g)를 회전축(130)의 수직이동을 통해 단차의 변화를 주어 렌즈군의 화상입사각에 맞추어 포커싱 기능을 실시하면 화면외각에 왜곡을 가지는 어안렌즈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사렌즈(C)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 1회전판(110)에 삽입되는 제 1렌즈군의 어느 하나를 볼록렌즈(144a)로 구성하고, 상기 제 1렌즈군의 축과 동일한 위치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제 2회전판(120)에 삽입되는 제 2렌즈군의 어느 하나를 플레이트나 필터로 구성하면 접사렌즈의 효과를 가지는 복합렌즈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렌즈군의 볼록렌즈(144a)와 상기 제 2렌즈군의 플레이트 또는 필터로 조합된 접사렌즈는 상기 볼록렌즈(144a)의 전방구면굴절률의 변화에 따라 접사(Macro)의 배율기능이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사렌즈에서, 상기 제 1렌즈군의 볼록렌즈(144a)의 전방구면굴절력은 5 내지 20디옵터(D)이며, 20디옵터 시에는 최대 50배의 확대배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 및 필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약 1mm 내외 두께의 평판형상을 가지는 투명 플레이트나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UV필터로 제작하여 제 1렌즈군의 손상을 막거나, MCUV필터로 제작하여 플레어현상이나 고스트현상을 막아 사진의 질을 향상시키거나, CPL필터로 제작하여 잡광을 차단하여 사진촬영의 효과를 보다 낫게 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제 2렌즈군의 구멍에 다각형 등의 모양을 주어 다양한 촬영효과를 내는 방법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렌즈의 대표적인 조합 방법 외에도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하게 힌지 조립된 상기 제 1회전판(110) 및 제 2회전판(120)의 중심부를 기점으로 하여 수 개의 렌즈군(140)이 일정한 간격으로 동일한 각도를 가지고 원형 배열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이중복합렌즈(100)의 회전축(130)의 회전상태에 따라 제 1렌즈군(140a) 및 제 2렌즈군(140b)의 교체가 용이한 동시에, 상기 제 1렌즈군(140a)의 개수에 상기 제 2렌즈군(140b)의 개수를 곱한 수만큼의 이중복합렌즈의 조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 1회전판(110) 및 제 2회전판(120)을 구비한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이중복합렌즈는 전후방구면굴절력을 달리하는 다양한 렌즈를 상기 회전축을 가지는 회전판들에 구비함으로써,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의 촬상소자에 맺히는 상을 다르게 하여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SLR렌즈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기존 DSLR 카메라 못지않은 다양한 효과의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복합렌즈를 휴대장치에 접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복합렌즈(100)는 도 6을 참조한 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200)의 카메라 렌즈(210) 상부에 회전하는 렌즈군을 위치하도록 부착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휴대통신장치의 모델에 제약 없이 휴대폰 케이스에 장착되도록 제작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소형화된 이중복합렌즈로 활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복합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복합렌즈는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이중복합렌즈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한 바, 퍼즐식 이중복합렌즈(3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퍼즐식 이중복합렌즈(300)는, 제 1가이드플레이트(310),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 상부에 위치하는 제 2가이드플레이트(320), 상기 제 1가이드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 2가이드플레이트에 배치되는 렌즈블럭(331, 3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 및 제2가이드플레이트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7a 및 도 7b에서 생략하였으며, 이는 후술하는 도 8을 참조하기로 한다. 즉, 후술하는 도 8의 가이드플레이트에 렌즈블럭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퍼즐식 이중복합렌즈(300)는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렌즈교차부(400)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교차부(400)에 2개의 렌즈블럭이 적층(Z) 배치됨으로써, 이중복합렌즈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교차부(400)는 제1교차부(410) 및 제2교차부(4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교차부(410)의 상부에 상기 제2교차부(420)가 위치하고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교차부(410)는 제1방향, 즉, 수평방향(X)으로 이동가능한 수평교차부일 수 있으며, 상기 제2교차부(420)는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방향, 즉, 수직방향(Y)으로 이동가능한 수직교차부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수평교차부 및 상기 수직교차부는 어느 한 교차부를 기준으로 90도의 각을 이루면서 서로 교차하므로 정의된 것으로, 제1교차부를 수직교차부로 정의하고, 제2교차부를 수평교차부로 정의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수평 및 수직의 의미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교차부는 수평교차부로, 제2교차부는 수직교차부로 명칭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310)는 수평방향(X)으로 이동가능한 수평교차부(41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2가이드플레이트(320)는 수직방향(X)으로 이동가능한 수직교차부(42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310)은 상기 제 2가이드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수평교차부(410)로 렌즈블럭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면(332)을 포함하고 있다.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면은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 2가이드플레이트에 위치하는 제1렌즈블럭(331)이 상기 경사면인 가이드면을 따라 수평방향(X)으로 이동하여, 수평교차부(41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 2가이드플레이트에 위치하는 제2렌즈블럭(333)이 수직방향(Y)으로 이동하여 수직교차부(4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퍼즐식 이중복합렌즈(300)의 렌즈교차부(400)의 수평교차부(410)에 하나의 제1렌즈블럭(331)이 배치되고, 수직교차부(420)에 하나의 제2렌즈블럭(333)이 배치되어, 상기 렌즈교차부(400)에 제1렌즈블럭(331) 및 제2렌즈블럭(333)이 적층(Z) 배치됨으로써, 이중복합렌즈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가이드플레이트(320)는 가로×세로인 A×B, 예를 들면, 3×4의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교차부(400)에 2개의 렌즈블럭이 적층 배치되었을 때, 적어도 4개 이상의 구역이 블랭크(blank) 구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블랭크(blank) 구역은 퍼즐식 이중복합렌즈(300)에서 상술한 렌즈블럭이 상호 배치를 바꿔가면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B, C 및 D의 적어도 4개 이상의 블랭크(blank) 구역이 필요하다.
물론, 상기 블랭크(blank) 구역이 다수일 수록 렌즈블럭이 상호 배치를 바꿔가면서 이동하기 용이할 것이나, 불필요한 공간을 배제하기 위해, 최소한 4개 이상의 블랭크(blank) 구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는 제 2가이드플레이트(320)는 가로×세로인 3×4의 구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다양한 조합, 예를 들면, 2×3, 2×4, 3×3, 4×5 등 다양한 경우로 조합할 수 있다.
다만, 이들 각각의 경우, 렌즈블럭이 상호 배치를 바꿔가면서 이동하기 위한 경로로써, 필요한 수만큼의 블랭크(blank)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렌즈교차부(400)가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중앙부 등의 일정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도 7a 및 도 7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가이드플레이트에 위치하는 제1렌즈블럭(331)이 상기 경사면인 가이드면(332)을 따라 수평방향(X)으로 이동하여, 수평교차부(410)에 배치되기 위해서는, 최초 위치하기 위한 구역, 가이드면 구역, 수평교차부 구역의 3구역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가로 및 세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3구역 이상으로 설정이 되어야 하고, 즉, 수평교차부(410)를 기준으로 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수평교차부 구역 외에 적어도 2개의 구역은 반드시 확보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복합렌즈에 따르면, 제1실시예의 경우, 제 1렌즈군의 개수에 상기 제 2렌즈군의 개수를 곱한 수만큼의 이중복합렌즈의 조합이 가능하였으나, 제2실시예에서는 렌즈블럭의 개수가 n개라고 가정시, nP(퍼뮤테이션)2의 개수만큼 이중복합렌즈의 조합이 가능하다.
즉, 제1실시예에서 제1렌즈군의 개수가 5개이고, 제2렌즈군의 개수가 5개라고 가정시, 조합이 가능한 이중복합렌즈의 개수는 5×5의 25개에 해당하나,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10개의 렌즈블럭이 있다고 가정시, 10P2, 즉, 10×9의 90개의 이중복합렌즈의 조합이 가능하므로, 따라서, 퍼즐식의 경우, 회전식의 경우보다 더 많은 수의 이중복합렌즈 조합이 가능하다.
도 8은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310) 및 제 2가이드플레이트(320)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복합렌즈에 삽입되는 렌즈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8에서는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은 렌즈블럭을 도시하지 않았다.
먼저, 도 8을 참조한 바, 제 1가이드플레이트(310)는 가이드면(332) 및 수평교차부(4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제 2가이드플레이트에 배치되는 렌즈블럭이 위치할 수 있도록 평탄면(3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 1가이드플레이트의 역할은 2개의 렌즈블럭이 적층 배치됨에 있어, 하부에 배치되는 렌즈블럭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인 수평교차부(410)를 제공하고, 상기 수평교차부(410)로 렌즈블록이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면(332)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이들 가이드면과 수평교차부를 제외한 영역은 평탄면(313)으로 구성되어, 제 2가이드플레이트에 배치되는 렌즈블럭이 상기 평탄면(31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310) 및 제 2가이드플레이트(320) 안쪽 테두리의 일정 영역에는 가이드 레일(321)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가이드플레이트(320)의 안쪽 테두리를 따른 수평 또는 수직 가이드 레일(321a)을 포함하며, 또한, 도 7b를 참조하여, 제 2가이드플레이트에 위치하는 제1렌즈블럭(331)이 상기 경사면인 가이드면(332)을 따라 수평방향(X)으로 이동하여, 수평교차부(410)에 배치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경사 가이드 레일(32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310)의 가이드면(332) 및 수평교차부(4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제 2가이드플레이트에 배치되는 렌즈블럭이 위치할 수 있도록 평탄면(3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평탄면에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지 않고, 또한, 상기 가이드면(332) 영역에는 제 2가이드플레이트(320)의 경사 가이드 레일(321b)이 형성되므로, 상기 수평교차부(410)에 수평 또는 수직 가이드 레일(311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한 바, 상기 렌즈블럭(330)의 바깥쪽 테두리에는 가이드홈(34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가이드 레일(321)과 렌즈블럭(330)의 가이드홈(341)이 결합하면서, 상기 렌즈블럭이 위치이동하면서, 이중복합렌즈의 교환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복합렌즈에 삽입되는 렌즈군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하드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렌즈(140')들을 원통형의 바렐(141)에 삽입 체결되어 하나의 렌즈군(140)을 형성한다. (도 2a참조)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한 바, 상기 바렐(141)에 삽입 체결된 렌즈군(140)은 렌즈블럭(330)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원통 형상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퍼즐식 이중복합렌즈의 렌즈블럭(33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복합렌즈를 휴대장치에 접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중복합렌즈(300)는 도 10을 참조한 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200)의 카메라 렌즈(미도시) 상부에 렌즈교차부(400)가 위치하도록 부착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휴대통신장치의 모델에 제약 없이 휴대폰 케이스에 장착되도록 제작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소형화된 이중복합렌즈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회전식 이중복합렌즈 110: 제 1회전판
120: 제 2회전판 111: 톱니기어
130: 회전축 140: 렌즈군
200: 휴대장치 210: 카메라 렌즈
300 : 퍼즐식 이중복합렌즈 310 : 제 1가이드플레이트
320 : 제 2가이드플레이트 331, 333 : 렌즈블럭
332 : 가이드면 400 : 렌즈교차부
410 : 수평교차부 420 : 수직교차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가이드플레이트;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 상부에 위치하는 제 2가이드플레이트;
    상기 제 1가이드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 2가이드플레이트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블럭; 및
    제1교차부 및 제2교차부로 이루어지는 렌즈교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교차부에 2개의 렌즈블럭이 적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퍼즐식 이중복합렌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는 제1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제1교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가이드플레이트는 제2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제2교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제 2가이드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교차부로 상기 렌즈블럭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퍼즐식 이중복합렌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블럭은 제1렌즈블럭 및 제2렌즈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교차부에 상기 제1렌즈블럭이 배치되고, 상기 제2교차부에 제2렌즈블럭이 배치되어, 상기 렌즈교차부에 상기 제1렌즈블럭 및 상기 제2렌즈블럭이 적층 배치됨으로써, 이중복합렌즈를 구성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퍼즐식 이중복합렌즈.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면 및 상기 제1교차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상기 제 2가이드플레이트에 배치되는 상기 렌즈블럭이 위치할 수 있도록 평탄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퍼즐식 이중복합렌즈.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가이드플레이트는 가로
    Figure 112011102412893-pat00003
    세로인 A
    Figure 112011102412893-pat00004
    B의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교차부에 2개의 렌즈블럭이 적층 배치되었을 때, 적어도 4개 이상의 구역이 블랭크(blank) 구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퍼즐식 이중복합렌즈.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제 2가이드플레이트 안쪽 테두리의 일정 영역에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렌즈블럭의 바깥쪽 테두리에는 가이드홈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홈이 결합하면서, 상기 렌즈블럭이 위치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퍼즐식 이중복합렌즈.
KR1020110140392A 2011-12-22 2011-12-22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이중복합렌즈 KR101190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392A KR101190824B1 (ko) 2011-12-22 2011-12-22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이중복합렌즈
PCT/KR2012/000683 WO2013094811A1 (ko) 2011-12-22 2012-01-30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이중복합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392A KR101190824B1 (ko) 2011-12-22 2011-12-22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이중복합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0824B1 true KR101190824B1 (ko) 2012-10-15

Family

ID=4728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392A KR101190824B1 (ko) 2011-12-22 2011-12-22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이중복합렌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90824B1 (ko)
WO (1) WO201309481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643B1 (ko) * 2013-02-26 2014-09-12 주식회사팝콘팩토리 개인휴대통신장치 또는 전자장치 내장광학계용 외장광학계 복합렌즈
WO2017092261A1 (zh) * 2015-12-01 2017-06-08 幸福在线(北京)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摄像头模组、移动终端及其拍摄图像的方法和装置
CN107102420A (zh) * 2017-06-13 2017-08-29 深圳市华周测控技术有限公司 左右移动式调焦镜头
KR20190072887A (ko) * 2017-12-18 2019-06-2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차량용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6531B2 (en) 2015-02-02 2018-11-13 Xing Du Motorized interchangeable lens system
US10247906B2 (en) 2015-02-02 2019-04-02 Xing Du Imaging system with movable tray of selectable optical elements
WO2016123927A1 (zh) * 2015-02-02 2016-08-11 杜兴 光学路径更换系统及成像设备
US10295784B2 (en) 2015-02-02 2019-05-21 Xing Du Imaging system with movable tray of selectable optical elements
IT202000001096A1 (it) * 2020-01-21 2021-07-21 Colicchio Simona Unità di rivestimento per terminali mobili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8176A (ja) 2002-12-26 2004-07-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機器
JP2005004170A (ja) 2003-03-31 2005-01-06 Advanced Systems Japan Inc リボルバー式レンズ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メラ、並びに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JP2010032759A (ja) 2008-07-29 2010-02-12 Casio Comput Co Ltd 撮影装置、及び光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0365A1 (ja) * 2002-10-31 2004-05-13 Agilent Technologies Japan, Ltd. 携帯機器用ズーム付撮像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8176A (ja) 2002-12-26 2004-07-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機器
JP2005004170A (ja) 2003-03-31 2005-01-06 Advanced Systems Japan Inc リボルバー式レンズ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メラ、並びに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JP2010032759A (ja) 2008-07-29 2010-02-12 Casio Comput Co Ltd 撮影装置、及び光学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643B1 (ko) * 2013-02-26 2014-09-12 주식회사팝콘팩토리 개인휴대통신장치 또는 전자장치 내장광학계용 외장광학계 복합렌즈
WO2017092261A1 (zh) * 2015-12-01 2017-06-08 幸福在线(北京)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摄像头模组、移动终端及其拍摄图像的方法和装置
CN107102420A (zh) * 2017-06-13 2017-08-29 深圳市华周测控技术有限公司 左右移动式调焦镜头
KR20190072887A (ko) * 2017-12-18 2019-06-2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차량용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33834B1 (ko) * 2017-12-18 2019-10-1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차량용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94811A1 (ko)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824B1 (ko)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이중복합렌즈
US8498063B2 (en) Telephoto lens system
CN101806956B (zh) 目镜系统、取景器光学系统、电子取景器及图像摄取装置
CN104136956B (zh) 变焦光学系统和光学装置
CN113703129A (zh) 一种摄像用光学镜头组、取像装置及电子装置
US8873159B2 (en) Telephoto lens system
CN115268035A (zh) 摄影用光学镜头组
TWI689748B (zh) 取像鏡頭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201942630A (zh) 攝像用光學鏡頭、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I361296B (en) Fixed-focus lens
US9057871B2 (en) Set of compound lenses and imaging apparatus
TW200835931A (en) Zoom lens and imaging apparatus
JP4244288B2 (ja) 3群ズームレンズ
CN210839790U (zh) 一种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113267874B (zh) 取像用光学镜头组、取像装置及电子装置
CN110471160A (zh) 成像光学镜片组、取像装置及电子装置
KR20170073883A (ko)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TWI771811B (zh) 電子裝置
TWI705266B (zh) 光學系統及其光學鏡頭
CN101162286A (zh) 观察光学系统、镜筒以及照相机
TW201502571A (zh) 光學成像系統
JP2007072117A (ja) 可変焦点距離レンズ,撮影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
US8807854B2 (en) Camera system, interchangeable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terchangeable lens
CN107544130B (zh) 附接光学系统、图像捕获光学系统和图像捕获装置
JP2001324684A (ja) ファインダー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