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766B1 - 스포로폴레닌 또는 유도체화된 스포로폴레닌의 외피막을포함하는 투약 제형 - Google Patents

스포로폴레닌 또는 유도체화된 스포로폴레닌의 외피막을포함하는 투약 제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766B1
KR101190766B1 KR1020057025138A KR20057025138A KR101190766B1 KR 101190766 B1 KR101190766 B1 KR 101190766B1 KR 1020057025138 A KR1020057025138 A KR 1020057025138A KR 20057025138 A KR20057025138 A KR 20057025138A KR 101190766 B1 KR101190766 B1 KR 101190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sporopollenin
dosage form
mmol
pharmaceutical do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4848A (ko
Inventor
스티븐 로렌스 앳킨
스티븐 토머스 베킷
그라함 맥킨지
Original Assignee
더 유니버시티 오브 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315019A external-priority patent/GB0315019D0/en
Priority claimed from GB0411047A external-priority patent/GB0411047D0/en
Application filed by 더 유니버시티 오브 헐 filed Critical 더 유니버시티 오브 헐
Publication of KR20060094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meth]acrylate, polyacrylamide, polystyren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alcohol or polystyrene sulfonic acid res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01Conjugates being cells, cell fragments, viruses, ghosts, red blood cells or viral v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3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yethylene oxide,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68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63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Abstract

지지체에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결합되거나 그 속에 캡슐화된 유효량의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또한, 임의선택적으로,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또는 식이성 투약 제형으로서, 상기 지지체는 식물이나 곰팡이의 포자의 스포로폴레닌 또는 다른 유사한 외피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포로폴레닌 또는 유도체화된 스포로폴레닌의 외피막을 포함하는 투약 제형{DOSAGE FORM COMPRISING AN EXINE COATING OF SPOROPOLLENIN OR DERIVATIZED SPOROPOLLENIN}
본 발명은 약제학적/식이성 투약 제형, 상기 투약 제형의 제조 방법 및 해당 투약 제형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 및 수의학적 용도의 투약 제형도 제공한다.
스포로폴레닌(sporopollenin)은 각종 식물, 이끼류, 곰팡이류 및 조류(algae)의 포자(spore)의 외피막이다. 스포로폴레닌은 해당 스포로폴레닌의 외피막에 부착되거나 해당 외피막에 함유되어 있는 지질, 탄수화물, 단백질 및 핵산을 제거하기 위하여 용매, 알칼리 및 산에 의한 연속 처리에 의해 상기 포자로부터 분리된다. 효소적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스포로폴레닌은 화학 및 물리적으로 안정하며 카로티노이드-유사성 및 소수성으로 알려져 있다. 글루칸, 만난 및 키틴으로 이루어진 다른 외피막도 유사한 화학 및 물리적 안정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몇몇 포자는 셀룰로오스로 부분적으로 구성된 내피막을 갖고 있으며; 해당 내피막은 이러한 화학적 처리에 의해 대부분 분해된다(F.Zetzsche and K.Huggler Annalen, 1928, 461,89).
DE-A-19902724에서는 활성 물질을 충전한 스포로폴레닌 캡슐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의 투약 제형을 개시한다. 이러한 투약 제형은 활성 물질 방출이 캡슐의 무결성(integrity)에 의존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 문헌과 달리 본 발명은 스포로폴레닌 낭(sac)의 충전을 돕고, 특히 처리속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탄력성 및 알코올을 이용하며, 또한 전달 대상 타깃에 부합되는 소정의 외피막 크기를 이용한다.
US-A-5013552에서는 전달 시스템 용도의 폴렌(pollen) 알갱이에서 얻어진 장입된 셀룰로오스 셸(shell)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개시한다. 이러한 셸은 상기 내피막과 유사해서 스포로폴레닌을 얻기 위해 이용하는 추출 방법에 의해 파괴된다.
본 발명의 첫번째 양태에 있어서, 약제학적 또는 식이성 투약 제형은 식물, 이끼, 곰팡이 또는 조류의 포자의 외피막이나 그의 단편(fragment)으로부터 선택된 지지체 상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유효량의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또한, 임의선택적으로,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두번째 양태에 있어서, 약제학적 또는 식이성 투약 제형은 식물, 이끼, 곰팡이 또는 조류의 포자의 외피막이나 그의 단편으로부터 선택된 지지체 내에 물리적으로 결합된 유효량의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또한, 임의선택적으로,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물리적으로 결합된 활성 물질은 지지체에 흡수되기도 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활성 물질은 중공형 외피막, 예를 들어 스포로폴레닌의 벽에 일체화되어 있는 공동(cavity) 혹은 중심의 공동 속에 유지된다. 이러한 세가지 양태에 따라, 투약 제형을 혈류 속에 흡수하여 피막을 분해하고 활성 물질을 방출시키는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번째 양태에 있어서, 약제학적 또는 식이성 투약 제형의 제조방법은:
외피막을 침투 보조액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외피막을 활성 물질과 접촉시켜 상기 활성 물질이 스포로폴레닌 벽의 공동 속으로 침투하도록 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외피막을 활성 물질과 접촉시켜 상기 활성 물질이 외피막 내부로 침투하도록 하는 단계; 및
이어서, 침투 보조액을 제거하고 외피막을 건조시켜 활성 물질이 피막 속에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침투 보조액은 C1 내지 C4 알코올,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과, 수성 C1 내지 C4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수성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나 가용화제이다.
스포로폴레닌 외피막은 활성 물질의 용액에 침지되어 액상으로 된다. 또한, 피막은 활성 물질과 접촉하기 전에 용매나 다른 침투 보조액에 침지될 수도 있다.
스포로폴레닌 외피막은: (i) 가압처리로 태블릿을 형성하고, 이 태블릿은 다시 대기압 또는 감압하에 활성 물질(혹은, 단순히 침투 보조액이 있거나 없는 상태의 액상형 활성 물질) 용액과 접촉하며; (ii) 침투 보조액이 있거나 없는 상태에서 활성 물질의 존재하에 감압 처리된다. 이러한 절차는 실온이나 최고 250℃의 고온에서 수행된다. 활성 물질은 약물, 약물의 혼합물, 식이성 물질, 식이성 물질의 혼합물 또는 약물의 혼합물과 식이성 혼합물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식이성 물질의 예로서 미네랄과 에센스 오일을 포함한다. 콜레스테롤 강하용 투약 제형도 제공된다. 비타민, 미네랄, 식품용 항료 및 기타 건강용 활성 물질을 본 발명에 따른 투약 제형을 이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상기 투약 제형을 식료품, 예를 들어, 시리얼 바 등의 콜레스테롤 강하용 식품에 투입할 수 있다. 수의학 용도의 식이성 제품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외피막 무게의 수배에 달하는 활성물질 고장입율을 달성할 수 있다. 다량의 물질을 캡슐화하는 이러한 능력은 건강 보조물질이나, 향료, 방부제, 항산화제 또는 미네랄류 같은 다양한 성분들 또는 첨가물을 식품 및 드링크류 같은 제품에 첨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스포로폴레닌 외피는 제품이 소모될 때까지 수분, 산, 알칼리성 산화작용 또는 광분해작용 등으로부터 활성 물질을 보호할 수 있다. 일부 물질, 예컨대, 황산구리는 수성액에 쉽게 방출되지 않는 반면, 다른 성분들(물리학적으로 함유된 것에 한해서)은 천천히 방출된다. 황산구리의 부착은 스포로폴레닌 셸 전체에 균일하게 흡수되는 SEM-X-선으로 확인되었다. 활성 성분은 내장을 통과하면서 천천히 방출될 수 있다. 이것을 원치 않으면, 별도의 피막을 스포로폴레닌 외피막에 부착하여 방출을 지연시킬 수 있다. 아라비아 고무 같은 저점도 수지로 외피막의 반투과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외피막을 유도체화할 수도 있다. 혈류 속으로의 흡수를 원치 않을 경우, 보다 큰 스포로폴레닌 입자(100 마이크론 이상)를 이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투약 제형에서, 외피막은 스포로폴레닌, 글루칸, 만난 또는 키틴을 포함한다. 이들 외피막은 화학적 및 역학적으로 안정하고, 사용 및 투여가 편리하며 또한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들은 대체로 용출성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고, 활성 물질에 대한 큰 장입 용량을 갖도록 기능화될 수 있으며, 또한, 단백질이 결여되어 있어, 단백질이나 변성 단백질의 흔적에 기인한 알러지나 기타 생리학적 영향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갖는다. 이러한 외피막은 US-A-5013552에 개시된 바와 같은 덜 엄격한 추출 절차에 따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지지체는 실질적으로 단백질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주로 스포로폴레닌, 키틴, 글루칸 또는 만난을 포함하는 외피막으로 구성된다.
단백질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5%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미만이다.
바람직한 피막은 6% w/v의 수산화칼륨 수용액 내에서 2시간 환류시킨 결과, 더 이상의 단백질 손실이 관측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낮은 레벨의 단백질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약 제형은 산 또는 알칼리 매질에서는 안정하지만 특정 환경, 특히, 혈액 내에서 신속히 생분해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분해 산물은 무독성이며 염증 반응도 나타내지 않는다. 위장관내에서의 체류시간은 적을 수 있다. 분해는 혈류 속에서 신속히 일어나며, 위장관내에서는 그보다 훨씬 느리기 때문에 약물 또는 활성 물질을 수분 내에, 예를 들면 20분 내에 효과적으로 신속히 투여할 수 있다.
투약 제형은 생복합체(bioconjugate), 즉 담체 또는 스포로폴레닌이나 다른 외피막을 포함하는 기질에 대한 약물 분자의 공유 결합 같은 화학 결합을 통하여 합성된 거대분자형 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용시 공유 결합이 바람직하지만, 이온 결합, 수소 결합, 반 데르 발스 힘(van der Vaals force) 또는 외피막 내의 캡슐화 등의 방법도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담체에 대한 약물이나 기타 활성 물질의 결합력이 크지 않아도 되는 흡입형 제형 같은 응용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활성 물질이나 약물은 스포로폴레닌과 직접 반응하거나 이것에 물리적으로 부착되어 생복합체를 형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스포로폴레닌이나 다른 외피막은 약물이 안정한 공유 결합이나 기타 화학적 결합에 의해 적절히 부착될 수 있도록 기능화된다. 예를 들면, 경구 전달에 있어서는 활성 물질 및 지지체가 위를 통과하여 장관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산성 용액에서 안정한 결합을 선택한다. 이와 별도로, 캡슐화되는 약물은 외피막 피복에 의해 달성되는 보호성 때문에 안정화될 수 있다. 물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부착된 활성 물질을 보호하는 또다른 방법은 아라비아 고무나 전분 등을 이용한 추가의 코팅 처리에 의해 달성된다. 종래의 필름 코팅물, 예를 들면,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나 기타의 변형된 셀룰로오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정보에 근거하여 예컨대, β-락탐, 세팔로스포린 또는 디데옥시아데노신 같이 수성 매질 특히 산성 매질에 불안정한 약물의 투여에 있어서 상기 투약 제형에 대한 소정의 응용 분야를 찾는다. 혈액 내 방출 전에 일어나는 분해작용을 감소시킨다. 시클로스포린, 탁산(taxane), 기타의 마크롤라이드(macrolide) 등의 불용성 또는 난용성 약물도 용이하게 혈류 속으로 투여할 수 있다. 그 예로는, 시클로스포린, 메벤다졸(mebendazole), 나이스타틴(nystatin), 프로포폴(propofol), 파클리탁셀, 미코나졸, 안트라사이클리논(anthracyclinone) 또는 시프로플로아신(ciprofloacin) 등이 있다.
스포로폴레닌이나 다른 외피막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이루어진 지지체는, 경구 투여시 혈액 속에 신속히 흡수되는 능력과 또한 신속히(20분 내지 2시간) 촉매 분해되는(catabolised) 능력 측면에서, 종래의 약물 또는 다른 활성 물질을 전달하는데 사용되었던 고분자류와 뚜렷이 구별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이들 지지체는 상이한 용해도 및 안정도를 갖는 광범위한 약물에 쉽게 부착된다. 지지체는 생물학적 기원에 따라서 화학적으로 또한 형체학적으로 일관적이며, 산 불안정 분자를 보호할 수 있고 무독성이다. 또한, 스포로폴레닌이나 다른 외피막을 구강을 통해 경구 섭취하거나 또는 폐 속으로 흡입시 부분적으로 단백질로 인한 알러지 반응을 나타내지 않으며, 또한 이러한 반응과 연관된 탄수화물류는 식물 포자 공급원으로부터 미리 제거되어 있었다. 스포로폴레닌이나 다른 외피막의 분해는 혈액 속에서 빠르게 일어나 활성 성분의 신속 방출을 가져온다. 그러한 코팅은 투여 및 흡수 동안에 그들의 크기 및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정 종(species)으로부터 얻어진 외피막은 크기 및 형태가 균일해서 약물 장입량 및 전달 방식에 따라 투약 제형을 최적의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입자가 클수록 약물 또는 기능성 식품 성분 같은 활성 물질을 다량 함유할 수 있다. 연구 결과, 25마이크론 크기의 입자인 경우, 중심 공동 속에 등량 이상의 활성 물질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전에, 이러한 대형 입자는 장벽을 통해 혈류 속으로 과흡착(persorption)될 수 없는 것으로 제안되어 있었다(ML Wierner, Fd Chem. Toxic., 1988, 26(10) 867-880).
생복합 반응에 관한 다수의 자료, 논문 및 문헌이 있다(2건의 중요한 인용 자료: Bioconjugate Techniques, Greg T Hermanson, 1996, Academic Press Inc and Bioconjugation in Pharmaceutical Chemistry, II Farmaco, 1999, 54, 497-526). 또한 다수의 결합제가 공지되어 있다. DCC(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또는 EDC{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같은 카보디이미드류가 크게 효과적이다. 1차 아민 또는 카복실염기를 함입한 약물 및 프로브(probe) 중 어떤 종류는 유도화되지 않은 스포로폴레닌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약 제형은 특히 흡입 투여시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적절한 약제학적 부형제, 희석제 또는 담체가 투여 경로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투약 제형은 경구, 구강내 또는 설하 등의 투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투약 제형을 태블릿, 연질 겔 캡슐을 포함한 캡슐, 배주(ovule), 약액이나 현탁액 등의 형태일 수 있다. 투약 제형은 즉시, 지연, 변칙 또는 제어된 방출 전달에 적합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압축 제형물 형태로 외피막을 사용하면, 태블릿화하는 동안 균일성을 유지하고 필요시 태블릿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는 융통성 때문에 유리한 경우도 있다.
투약 제형은 또한 신속 분산 또는 신속 용해 투여에 적용될 수 있다.
압축 태블릿이나 다른 압축된 투약 제형도 이용될 수 있다. 수성 및 비수성 코팅물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제형에 액상내 분산을 촉진하는 붕해제(disintegrant)나 활성적인 결합제를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은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락토오스, 시트르산 나트륨, 탄산 칼슘, 2염기성 인산 칼슘, 글리신 및 전분, 바람직하게는 옥수수, 감자 또는 타피오카 전분 등의 부형제;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크로스카멜로스(croscarmelose) 나트륨 같은 붕해제;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수크로스 및 젤라틴 등의 과립화 결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같은 윤활제 및 활석이나 콜로이드성 실리카 같은 유동화제(glidant)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약 제형은 젤라틴 캡슐의 충전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부형제는 락토스, 공-결정성 자당, 전분, 셀룰로오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이와 별도로, 예를 들어, GB 1548022 및 RP Scherer사의 Zydis(상표명) 제제에 관련된 다수의 특허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동결 건조된 투약 제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약 제형은 수성 현탁액이나 건조된 과립물 또는, 현탁액으로 재구성될 기타의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 방출 또는 변동 방출용 투약 제형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소듐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잔탄검(xanthan gum), 카보머, 오일, 왁스 및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방출속도 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특히 소형 스포로폴레닌 단편을 이용한 경피성 투여 방식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투약 제형은 호흡기 투여에 적합하다. 스포로폴레닌이나 다른 외피막을 이끼, 곰팡이 또는 식물류로부터 선택하여 투약 제형이 원하는 투여 부위, 예컨대, 하부 폐에 침투할 수 있도록 선택된 적절한 크기의 입자물을 제공한다. 약 1 내지 100 마이크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마이크론,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마이크론 및 특히 1 내지 5 마이크론의 입자 크기가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투약 제형은 입자 크기의 균일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입자 크기 및 형태는 산, 염기 또는 유기 용매로 포자를 추출한 후에도 큰 변화 없이 유지된다. 추출된 외피막은 이것의 원래 포자가 가진 크기 및 형태와 유사한 크기 및 형태를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종래의 천식 치료제 같은 미세화된 약물은 극미립자부터 큰 덩어리까지 광범위한 입자 크기를 나타낸다.
특정 종에서 얻어진 포자는 각 종마다 협소한 크기분포 및 일관된 형태를 갖고 있어서, 선별된 투여 위치 또는 투여 방식에 적합한 투약 형태를 얻기 위해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포자는 겉씨 식물, 속씨 식물, 양치 식물, 곰팡이 및 조류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이들은 다음과 같은 선행 기술 문헌의 내용에 포함되어 있다:
G. Shaw, Sporopollenin in Phytochemical Phylogeny, J.B. Harborne(Ed), Academic press, London and New York, Chapter 3, (1997), 31-5.
P.D.Moore, J.A.Webb and M.E. Collinson, Pollen analysis, 2nd editio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1999).
J. Brooks, Some Chemical and Geochemical Studies on Sporopollenin in: Sporopollenin, J. Brooks, M. Muir, P.Van Gijzel and G. Shaw, (Eds) Academic press, London and New York, (1971), 305-348.
대표적인 종들의 포자 크기는 다음과 같다:
포자 크기의 예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1.2㎛
물망초(Myosotis) 2.4 내지 5㎛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Aspergillus niger) 4㎛
페니실륨(Penicillium) 3 내지 5㎛
칸타렐루스 미노르 (Cantharellus minor) 4 내지 6㎛
가노메르마(Ganomerma) 5 내지 6.5㎛
아그로사이베(Agrocybe) 10 내지 14㎛
우르티카 디오이카(Urtica dioica) 10 내지 12㎛
페리코니아(Periconia) 16 내지 18㎛
에피코쿰(Epicoccum) 20㎛
라이코포듐 클라바툼(Lycopodium clavatum) 25㎛
아비에스(Abies) 125㎛
쿠쿠르비타파포(Cucurbitapapo) 200㎛
쿠부르비타(Cuburbita) 250㎛
'농부의 폐'(farmers' lung)라는 질환을 야기하는 포자는 폐의 특정 위치에 침착(deposit)됨으로써 이러한 질환을 일으킨다. 단백질성 및 다른 관련 물질을 포자로부터 제거하여 외피막을 형성하면, 폐속의 동일 위치에 유익한 작용제를 전달할 수 있는 무해한 형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투약 제형은 폐 흡입 또는 비강내 흡입을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건조 분말 흡입기 또는 정량 흡입기 에어로졸을 사용하거나 또는 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HFA 134a) 또는 1,1,1,2,3,3,3-헵타플루오로프로판(HFA 227) 같은 적절한 추진제와 함께 가압식 용기, 펌프, 스프레이 또는 연무기를 통해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다.
정량 흡입기 조성물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계면활성제나 공용매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약 제형은 좌약이나 페서리(pessary)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특히 스포로폴레닌이나 포자의 단편을 함입한 투약 제형을 겔, 하이드로겔 로션, 용액, 크림, 연고 또는 살포 분말 등의 형태로 국소 도포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은 또한 스킨 패치를 사용하여 피부 투여 또는 경피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약 형태는 인간 또는 수의학 용도로 제공된다.
본 발명을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기술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포로폴레닌이나 다른 외피막은 포자를 유기용매 및 강산과 알칼리의 조합물로 엄격한 처리(harsh treatment)함으로써 분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스포로폴레닌의 유도체화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른 1차 아민 기능화된 스포로폴레닌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폴리아민 기능화된 스포로폴레닌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2에 따른 아미노산 기능화된 스포로폴레닌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따른 아미노산 에스테르 기능화된 스포로폴레닌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따른 폴리히드록실 기능화된 스포로폴레닌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5에 따른 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아민-스포로폴레닌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9 및 20에 따른 할로겐화 기능화된 외피막을 포함하는 투약 제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1 내지 23에 따른 할로겐화 기능화된 외피막을 포함하는 투약 제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4에 따른 티올기 부착의 스포로폴레닌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5에 따른 p-니트로벤조일옥시카보닐기 부착의 스포로폴레닌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6에 따른 탄소-탄소 결합 부착물이 부착된 스포로폴레닌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7에 따른 시스플라틴 부착의 스포로폴레닌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8에 따른 스포로폴레닌의 티올 착체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고분자내 스포로폴레닌 입자 내부 및 벽 내부의 공동을 보여주는 SEM 현미경 사진.
실시예 1 - 라이코포듐 클라바툼으로부터의 스포로폴레닌의 분리
라이코포듐 클라바툼(250g, Fluka사 제품)을 아세톤(700㎖)에 현탁하고 4시간 동안 환류하에 교반했다. 고형 잔류물을 여과하고 신선한 아세톤으로 세척한 뒤 반응 플라스크로 다시 옮겨 수산화칼륨 용액(850㎖, 6% w/v 수용액)에 재현탁시켰다. 혼합물을 6시간 동안 환류하에 교반했다. 잔류물을 여과, 열수로 충분히 세척한 뒤 반응 플라스크로 도로 옮겨, 수산화물 처리를 반복했다. 고형물을 여과하여 열수, 핫 에탄올 및 물로 다시 세척했다. 잔류물을 2시간 동안 에탄올(750㎖) 속에서 환류하에 교반하고 여과한 뒤, 프레시 에탄올과 클로로메탄으로 차례대로 세척했다. 얻어진 고형물을 신선한 디클로로메탄(750㎖)에 재현탁하고, 2시간 동안 환류하에 교반하고 여과한 뒤, 공기 중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여과된 입자물을 오르토인산염(85%, 800㎖)에 재현탁하고, 5일간 저속 환류하에 교반하고 여과했다. 잔류물을 다량의 열수로 세척한 뒤 흡입 건조시켰다. 오르토인산염 처리 및 건조를 반복했다. 입자물을 열수, 에탄올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차례대로 세척했다. 마지막으로 고형물을 2시간 동안 에탄올(800㎖) 속에서 환류하에 교반하고 여과한 뒤,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여 스포로폴레닌(50g)을 수득했고 이것을 다시 공기 건조 및 진공 건조시켰다.
실시예 2: 티록신의 물리적 부착 및 생물학적 평가
스포로폴레닌(0.5g)을 2분간 10톤 압력으로 압축했다. 얻어진 태블릿을 0.3㎖ DMSO 및 1.5㎖ 에탄올 내의 300㎍ 티록신 함유 용액에 첨가했다. 태블릿은 1분 내에 용액을 빨아들였으며, 이 시료를 5℃에서 오산화인에 통과시켜 소정의 중량까지 감압 건조시켰다. 티록신이 물리적으로 부착된 스포로폴레닌을 피실험자에게 경투 투여했다. 15분 내에 환자의 티록신 레벨이 혈액 1ℓ당 1 나노몰의 양까지 상승했다. 이러한 레벨 증가는 실시예 18에서와 같이, 다수의 스포로폴레닌 입자/부분 분해된 입자의 관측에서 대등하게 관측되었다. 따라서, 환자당 5ℓ의 혈액을 가정할 때, 경구 소화에 따른 15분 후에 확인된 4㎍의 티록신은 약물 전달율 0.66%에 해당한다. 이것은 전달된 스포로폴레닌 입자의 양(0.6%)에 부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신속한 티록신 레벨 증가는 내장 하부의 제우제눔(jeujenum)에 대부분 흡수되는 탓에 1 내지 2시간이 지날 때까지 기대할 수 없었을 것이다.
실시예 3: 인간 재조합 성장 호르몬의 물리적 흡수
스포르폴레닌(0.5g)을 10 톤 압력하에 2분간 압축하여 태블릿(16㎜×3㎜)을 형성했다. 이 태블릿을 희석제(0.5㎖; 글리세롤, m-크레졸 수용액 및 수산화나트륨 및/또는 염화수소산 함유) 및 에탄올(2.0㎖)을 함유한 혼합물 내의 인간 재조합 성장 호르몬 고체 제형[5.5㎎, 만니톨, 글리신, 2염기성 인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및/또는 인산과 함께 호르몬(1㎎)을 함유한 것]의 용액에 첨가했다. 스포로폴레닌 태블릿은 모든 용액을 흡수하면서 초기 부피의 대략 4배까지 급속히(15초) 증가했다. 얻어진 분말을 5℃에서 48시간 동안 감압 건조시켜 소정의 중량에 도달했다.
실시예 4: 가용성 인슐린 제형의 물리적 흡수
가용성 인슐린(0.18g 인슐린, rDNA, 염화아연, 글리세롤, 메타크레졸, 수산화나트륨, 염화수소산 및 물을 함유하는 2㎤의 제형)과 에탄올(1㎖)로 이루어진 용액을 10 톤의 압력하에 2분간 압축하여 태블릿으로 형성된 스포로폴레닌(1g)에 첨가하였다. 이 용액은 20초만에 스포로폴레닌에 흡수되어 해당 스포로폴레닌 태블릿은 초기 부피의 약 4배로 증가했다. 얻어진 분말을 5℃에서 48시간 동안 감압 건조시켜 소정의 중량에 도달했다.
실시예 5: 해바라기 오일의 물리적 흡수
16㎜ 형틀에서 10 톤의 압력으로 2분간 압축시켜서 스포로폴레닌(0.5g) 태블릿을 제조하였다. 태블릿을 실온에서 흡수 보조액(1㎖) 내의 해바라기 오일(1㎖) 혼합물에 첨가했다(표 1). 얻어진 분말을 소정의 중량이 될 때까지 50℃의 오븐에서 P2O5에 통과시켜 건조시켰다.
용매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태블릿은 3시간 이상 무변화 상태로 유지되었다.
흡수 보조액 완전 흡수까지의 시간
에탄올 20초
디에틸 에테르 1분 5초
석유 에테르 3시간
디클로로메탄 35초
헥산 3시간
에틸 아세테이트 50초
아세토니트릴 20초
톨루엔 2분 15초
삭제
에탄올 및 해바라기 오일에 동반하는 물리적 부착 처리는 40℃에서 반복했으며 이에 따라 시료의 완전 흡수까지 걸리는 시간이 감소했다; 흡수는 12초 후에 완료되었다. 완전 흡수까지의 시간은 사용된 흡수 보조액의 종류와 온도에 크게 의존한다.
실시예 6: 글리신의 물리적 흡수
에탄올(0.5㎖)로 희석한 1M 글리신 용액(0.5㎖)에 스포로폴레닌 태블릿(0.5g)을 첨가했다. 용액은 신속히 흡수되었고, 그 결과 얻어진 분말은 소정의 중량에 도달할 때까지 오산화인에 통과시켜 감압 건조시켰다. 장입량은 1.9mmol/g의 스포로폴레닌으로 확인되었다. 이 실험을 스포로폴레닌 압축처리 없이 반복했다. 장입량은 0.38mmol/g의 스포로폴레닌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스포로폴레닌을 압축할 때 글리신에 대한 흡수력이 크게 증가한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스포로폴레닌은 물 속에서 30분간 강한 교반 처리에 의해 15% 수용성 글리신을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동일한 시료를 전분으로 피복하면 30분간 강한 교반 처리시 35%의 글리신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7: 황산구리의 물리적 흡수
에탄올(0.5㎖)로 희석한 1M 황산구리 용액(0.5㎖)에 스포로폴레닌 태블릿(0.5g)을 첨가했다. 용액은 신속히 흡수되었고, 그 결과 얻어진 분말은 소정의 중량에 도달할 때까지 오산화인에 통과시켜 감압 건조시켰다. 장입량은 2.5mmol/g의 스포로폴레닌으로 확인되었다. 황산 구리의 부착 상태는 SEM-X-선에 의해 스포로폴레닌 셸 전체에 균일하게 흡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스포로폴레닌은 물 속에서 30분간 교반함에 따라 75% 황산구리를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8: LR 화이트 레진(등록상표)의 물리적 흡수
스포로폴레닌 태블릿(0.1g)을 LR 화이트 레진(등록상표)(2㎖: 폴리히드록시 치환된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 수지, 19.6% C12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테르, 0.9% 디메틸 파라 톨루이딘)의 50% 에탄올 용액에 첨가했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천천히 저었다. 그 결과 얻어진 입자물을 원심분리하고 다시 LR 화이트 레진(등록상표)(2㎖)으로 12시간 동안 처리했다. 이 혼합물을 젤라틴 캡슐에 담고 60℃에서 8시간 동안 가열했다. 그 결과 얻어진 고분자를 SEM 현미경으로 관측한 바와 같이 스포로폴레닌 입자 내부 및 벽 내부의 공동에 완전히 충전했다(도 15).
실시예 9 - 스포로폴레닌의 유도체화(도 1)
라이코포듐 클라바툼에서 분리된 스포로폴레닌을 약 5mmol/g의 레벨에서 직접 브롬산염화 처리에 의해 할로겐화한다(F. Zetsche and K. Huggler, Liebigs Ann. Chem., 1928, 461, 89). 이것을 클로로디메틸 에테르 및 주석 염화물과 반응시켜 클로로메틸화함으로써 약 1 mmol/g 염소의 장입량을 제공한다(G. Mackenzie and G.Shaw, Int. J. Peptide Protein Res., 1980, 15, 298-300). 종래의 메리필드 방법을 이용하여 단순 트리펩티드를 합성하는 데 클로로메틸기가 사용되었다. 이와 별도로, 스포로폴레닌은 1,3-디아미노프로판으로 아미노화시켜 1.6 mmol/g 염기의 장입량을 제공한다(R Adamson, S.Gregson and G.Shaw, Int. J. Peptide Protein Res., 1983, 22, 560-564). 1,3-디아미노프로판 스포로폴레닌은 클로로아세트산 무수물 또는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키고, 다시 4-히드록시벤질 알코올 결합자(linker)의 나트륨염으로 처리한다. 이후의 벤질 말단 스페이서는 통상의 방법론을이용하여 테라펩티드를 합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온 교환 수지형 물질은 에틸 브로모아세테이트/염기의 가수분해 반응에 따라 스포로폴레닌의 디아미노에탄 유도체 및 상기 물질의 반응에서 얻어진 산으로부터 생성된다(장입량 1.4mmol/g). 스포로폴레닌과 클로로술폰산의 반응에서 산성 산물을 얻을 수 있다(장입량 1.6mmol/g)(G.Shaw, M.Sykes, R.W.Humble, G. Mackenzie, D.Marsdan, E.Phelivan, Reactive Polymers, 1988, 9, 211-217).
스포로폴레닌은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견고하지만 동시에 비교적 쉽게 유도체화되는 것으로서, 종래 다수의 고분자보다 유리한 점이 있다. 생결합체로서 이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정착기는 BNH2, -OH, SH 및 CO2H이다. 스포로폴레닌은 상기의 정착기가 표면에 쉽게 제공되어 직접적으로 혹은 정착기와 약물 사이에서 짧은 사슬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나 접합기를 통하여 약물과 공유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스포로폴레닌 상의 결합자 및 정착기를 앞서 열거한 선행 기술보다 더욱 개선하였다. 이하에 동정된 새로운 결합자/정착기는 상기의 유도체화된 스포로폴레닌을 악물 전달물질로 응용함에 있어서 부착 편의성, 장입량 개선, 부착 안정성 및 독성 부산물의 최소화 등의 측면에서 문헌상에 소개된 기술보다 더 유리하다. 하나의 공급원에서 얻어진 스포로폴레닌 입자는 형태 및 화학적 성질이 거의 동일하다는 점에 유념한다. 이와 같은 일관성은 약제학적 규모에서 이용되는 인공 고분자류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네번째 양태에 있어서, 1차 아민 기능화된 스포로폴레닌이 제공된다.
폴리(L-리신), 폴리(L-아스파트산) 등, 약물 전달에 이용되는 다수의 시판 고분자들은 광범위한 약물 벡터 분야에서 특히 다목적으로 이용가능한 결합자/정착기가 될 수 있게 하는 잠재적인 친핵성으로 인해 약물에 부착되는 1차 아민기를 보유한다. 통상적으로, 아민기는 카보디이미드 시약을 사용해서 카복실-함유 약물에 결합된다. 1차 아민은 또한 디숙신이미딜카보네이트(disuccinimidylcarbonate) 및 트리에틸아민과 반응하여 인슐린 같은 아민 운반 약물을 부착시킬 수 있는 이소우레아(isourea)를 생성한다(Bioconjugate Techniques by Greg T Hermanson, 1996, Academic Press Inc and Bioconjugation in pharmaceutical chemistry by Il Farmaco, 1999, 54, 497-526 참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는 화학성을 최소화하고 기존의 디아민류 같은 무독성 스페이서기를 사용하지 않고서, 1차 아민 작용기로 스포로폴레닌을 유도체화하는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접근법은 실온에서 수성 암모니아(0.880)로 스포로폴레닌을 처리하여 아민화 형태의 스포로폴레닌을 얻고, 이어서 LiAlH4로 환원시켜 1차 아민 형태(-NH2)의 고분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약 1mmol/g의 장입량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0 - 1차 아민 기능화된 스포로폴레닌의 제조(도 2)
스포로폴레닌(2g)을 실온에서 4일간 0.880의 암모니아 내에서 교반했다. 스포로폴레닌을 여과 수거하여 물(10×100㎤), EtOH(2×30㎤) 및 DCM(2×30㎤)으로 차례대로 세척했다. 그 다음, 스포로폴레닌을 감압하에 건조하여 소정의 중량으로 만들었다. LiAlH4(3.6g)를 N2 하에 디옥산(100㎤) 내에서 교반했다. 아민화된 스포로폴레닌(2.0g)을 첨가하고 N2 하에 4일간 환류시켰다. 얻어진 혼합물을 냉각했다. 에틸 아세테이트(100㎤)를 조심스럽게 첨가한 뒤 냉각시켰다. 다량의 불용성 덩어리를 유리막대로 잘게 부수었다. 물(100㎤)을 천천히 가한 뒤 2M 황산(200㎤)을 첨가했다. 얻어진 1차 아미노 스포로폴레닌을 다시 물(2×250㎤), EtOH(2×250㎤), DCM(2×250㎤) 으로 차례대로 세척한 뒤 감압 하에 건조하여 소정의 중량(1.8g)을 얻었다.
본 발명의 다섯번째 양태에 의하면, 폴리아미노 기능화된 외피막이 제공된다. 유효량의 활성 물질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폴리아미노 기능화된 스포로폴레닌을 함유하는 투약 제형도 또한 제공된다.
스페르민, 스페르미딘 같은 소정의 폴리아미노 화합물은 체내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된다. 이들은 무독성이기 때문에 스페이서기로서 응용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폴리아미노 화합물은 불활성 용매에서 가열 또는 환류에 의해 스포로폴레닌과 반응하여 공유 결합을 형성하게 된다.
디아민 및 1차 아민보다 폴리아민이 유리한 점은 약물 부착을 위한 부가적인 친핵성 아미노기의 활용성에 있으며, 이는 이러한 유도체화된 스포로폴레닌 및 이와 유사한 외피막에 대해 약물 충전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1,3,5-페닐렌디아민 등의 방향족 폴리아민 및, 멜라민 같은 관련 헤테로사이클을 유사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방향족 아민은 포스겐이나 티오포스겐(thiophosgene)을 각각 이용하여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서 용이하게 활성화될 수 있고, 또한, 뉴클레오시드 같은 히드록실-함유 약물(예, D4T, 아실클로비르 및 AZT)에 의해서도 활성화된다. 실시예 11은 이러한 정착기나 스페이서기를 부착하는 것에 관한 처리 방식을 개시한다.
실시예 11 - 폴리아민 기능화된 스포로폴레닌의 제조(도 3)
스페르미딘(0.7mmol), 1,3,5-페닐렌디아민(0.7mmol) 및 멜라민을 각각 다양항 용매 즉, 톨루엔(10㎖), 디메틸 술폭시드(DMSO) 및 디메틸 포름아미드(DMF) 내에서 스포로폴레닌(0.1g)으로 24시간 환류시킨 뒤, 여과 후, 톨루엔(2×10㎤), 2M HCl(2×10㎤), 물(3×10㎤), EtOH(2×10㎤) 및 DCM(2×10㎤)으로 차례대로 세척하고, 소정의 중량이 될 때까지 감압하에 건조함으로써, 각각의 장입량 1.6, 0.95 및 0.54mmol/g 을 얻었다.
본 발명의 여섯번째 양태에 의하면, 카복실산 기능화된 외피막이 제공된다. 유효량의 활성 물질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카복실산 기능화된 외피막을 포함하는 투약 제형도 또한 제공된다.
약물-고분자 복합체(conjugate)를 형성하는 통상의 방법은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및 카보디이미드를 사용하여 N-히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를 거쳐 카복실산염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수반한다. 이와 같이 활성화된 에스테르는 펩티드 같이 1차 아민 운반 약물과 뉴클레오시드 같이 히드록실-함유 약물에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다수의 상용 카보디이미드는 수성 또는 유기 용매에 가용성이다. 스포로폴레닌에 대한 카복실산 결합자의 부착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G.Shaw, M.Sykes, R.W.Humble, G.Mackenzie, D.Marsdan, E.Phelivan, Reactive Polymers, 1988, 9, 211-217). 이 방법은 1,3-디아미노프로판 유도체화된 스포로폴레닌을 에틸 브로모아세테이트와 반응시킨 뒤 비누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아미노 유도체화된 스포로폴레닌을 숙신산 무수물 또는 에틸 브로모아세테이트와 반응시킨 뒤 이어서 비누화함으로써 장입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카복실산 작용기를 도입하는 또다른 방법은 Gly-Phe-Ala-Leu 또는 Gly-Phe-Leu-Gly 같은 짧은 펩티드 사슬이나 또는 아미노산을 부착하는 것이다. 결합자로서 아미노산을 외피막에 부착하는 것은, 적절한 용매 내에서 보호받지 않은 아미노산이나 에틸 또는 아미노산의 다른 알킬 에스테르를 외피막과 함께 가열 또는 환류시킴으로써 쉽게 달성되므로 매력적이다. 상기 결합자의 또다른 장점은 무독성이다. 실시예 12는 유도체화되지 않은 아미노산을 스포로폴레닌에 부착하는 실행 방식을 개시한다.
실시예 12 - 카복실산 작용기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아미노산 기능화된 스포로폴레닌의 제조(도 4)
글리신(0.1g) 및 스포로폴레닌(0.1g)의 혼합물을 DMSO에서 2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스포로폴레닌을 여과 수거하여 톨루엔(2×10㎤), EtOH(2×10㎤), 2M HCl(2×10㎤), 물(3×10㎤), EtOH(2×10㎤) 및 DCM(2×10㎤)의 차례대로 세척해서 3.6mmol/g의 장입량을 얻었다.
실시예 13은 스포로폴레닌에 대한 아미노산 에스테르의 부착에 대한 실행 방법 및 이용할 수 있는 카복실 작용기에 관한 부수적인 조건을 설명한다.
실시예 13 - 카복실산 작용기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아미노산 에스테르 기능화된 스포로폴레닌의 제조(도 5)
글리신 에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0.1g)를 톨루엔(20㎤) 및 트리에틸아민(2㎖) 내에서 교반했다. 스포로폴레닌(0.1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2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냉각 및 유도체화된 포자를 여과 수거하고, 톨루엔(2×10㎤), EtOH(2×10㎤), 2M HCl(2×10㎤), 물(3×10㎤), EtOH(2×10㎤) 및 DCM(2×10㎤)의 차례대로 세척했다. 이어서, 스포로폴레닌을 감압하에 건조시켰고, 그 결과 1.7mmol/g의 장입량이 확인되었다. 2M NaOH(20㎖)에서 2시간 동안 환류한 결과 이에 상응하는 카복실산의 나트륨염에 대한 에틸 에스테르 작용기의 가수분해 반응이 달성되었다. 실온에서 2M HCl(40㎖)로 중화시키고 나서 물로 세척 후 감압하에 건조하여 원하는 산을 수득했다(장입량 2.8mmol/g).
전술한 방법은 또한 β-알라닌, L-리신, α-L-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및 아미노말로네이트 등의 에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에 대해서도 실행되어, 1.0 내지 2.5mmol/g 범위의 장입량을 얻었다. 아미노말로네이트,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을 부착하는 것은 두개의 카복실산염 작용기를 이용하여 약물의 장입 용량을 추가로 늘릴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곱번째 양태에 의하면, 폴리히드록실 기능화된 외피막이 제공되다. 유효량의 활성 물질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폴리히드록실 기능화된 외피막을 포함하는 투약 제형도 또한 제공된다.
탄수화물로부터 다량 얻어지는 폴리히드록실 결합자는 부착의 용이성, 무독성 및, 외피막에 부착된 당의 성질에 따라 다수의 히드록실기를 이용할 수 있음에 따른 높은 장입율 등의 장점을 가진다. 외피막에서의 다수의 히드록실기의 이용성은 다양한 종류의 약물을 부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폴리히드록실 유도체화된 외피막의 화학적 및 형태적 일관성과 안정성은 전분, 셀룰로오스 및 포자 없이 유도된 키토산 등의 다당류 약물 벡터보다 더욱 유리한 것이다. 후자의 고분자는 스포로폴레닌이나 그의 동등한 외피막에서와 같은 화학적 및/또는 형태적 일관성, 또는 산 및 알칼리에 대한 동일한 내성 및 흡습성을 보이지 않는다.
상기 복합체 물질 상의 히드록실기는 약물-고분자 복합체 합성에 적합한 다수의 활성화된 물질 종류로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H기는 숙신이미도- 및 이미다졸릴-카보네이트, p-니트로페닐포름에이트와 함께 메실레이트 및 토실레이트로선 활성화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펩티드 같은 1차 아민 함유 약물과 쉽게 반응한다. 히드록실기는 또한 알데히드나 케톤으로 산화될 수 있다.
1차 아민 함유 약물은 환원형 아민화 반응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고분자 상의 OH기 역시 CNBr에 의해 활성화되어 시아네이트 에스테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것은 아미노 함유 약물과 반응한다. 따라서, 탄수화물로부터 유래된 약물-고분자 복합체는 외피막에 결합하여 다수의 반응성 히드록실기를 가진 한편, 화학적 및 형태학적으로 일관성이 있는 복합체를 제공한다. 실시예 14는 폴리히드록실 결합자를 스포로폴레닌에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실시예 14 - 폴리히드록실 기능화된 스포로폴레닌의 제조(도 6)
소르비톨라민(0.13g, 0.69mmol)을 DMSO(10㎤) 내에서 교반했다. 스포로폴레닌(0,1g, 0.23mmol)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냉각된 포자를 여과 수거하여 DMSO(2×10㎤), 물(100㎤), EtOH(2×10㎤) 및 DCM(2×10㎤)의 차례대로 세척했다. 스포로폴레닌을 소정 중량까지 감압하에 건조하여 1.7mmol/g의 장입량을 얻었다.
실시예 15 - 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아민-스포로폴레닌의 제조(도 7)
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14와 유사한 방법으로 0.83mmol/g의 장입량을 얻었다.
실시예 16 - 플루오레신 및 티록신이 공유 부착된 스포로폴레닌의 제조
플루오레신(0.5g) 및 티록신(0.5g)을 스포로폴레닌(0.1g)과 함께 각각 DMSO(20㎖) 내에서 환류시켰다. 냉각된 스포로폴레닌을 여과 수거하여, 물(100㎤), EtOH(2×10㎤) 및 DCM(2×10㎤)의 차례대로 세척했다. 스포로폴레닌을 소정 중량까지 감압하에 건조하여 각각 1.0 및 0.37mmol/g의 장입량을 얻었다.
이러한 부착 형태는 약물이나 다른 활성 물질이 환류 단계를 견딜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안정하다면 매우 효과적이다. 직접 부착 방법은 스포로폴레닌 만큼 화학적으로 안정하지 않은 다수의 상용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뛰어난 장점을 갖는다.
인슐린처럼 안정성이 떨어지는 약물은 숙시닐아미도 스페이서 등을 통하여 또한 결합제로서 DCC 및 HOBt를 사용함으로써 아미노스포로폴레닌에 부착될 수 있다. 결합 내의 스포로폴레닌은 스포로폴레닌의 각 배취(batch)당 약물 결합시 예상되는 장입량이 높은 일관성을 보이는 등 화학적 일관성이라는 측면에서 상용의 고분자를 능가하는 장점을 갖는다. 인슐린 등 약물 부착에 관한 실행 방법은 다음의 절차에서 상세 기술한다:
실시예 17 - 인슐린-결합 스포로폴레닌의 제조
건조 디메틸포름아미드(DMF, 15㎖)에 가한 숙신산 무수물(0.57g, 5.7mmol)을 건조 DMF(30㎖)에 가한 아미노스포로폴레닌(1g)의 현탁액에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하에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했다. 생성물을 여과 분리하고,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 P2O5의 존재 및 감압하에 48시간 건조하였다. 건조 DMF 중의 HOBt(2.27g, 1.84mmol) 및 DCC(3.80g, 18.4mmol)를 건조 DMF(20㎖) 중의 숙시닐아미도스포로폴레닌의 현탁액에 차례대로 첨가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질소 하에 교반하고 동결 건조된 인슐린(0.2g)을 무수 DMF(20㎖)에 용액으로서 첨가했다.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했다. 0℃의 물(10㎖)을 가하여 반응을 중단시켰다.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천천히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 및 아세톤과 에테르로 세척한 결과, 0.03mmol/g의 장입량을 가진 인슐린-숙시닐아미도 스포로폴레닌이 수득되었다.
전술한 실시예는 단백질 및 효소를 스포로폴레닌 및 유사한 외피막에 부착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안티센스(antisense) 올리고뉴클레오티드 같은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경구 경로로 상기 약물의 전달을 가능하도록 유사한 화학적 방식에 따라 부착된다. 종래에 이런 화합물들은 대개 PEG-3'-올리고뉴클레오티드나 PEG-5'-올리고뉴클레오티드 복합체로서 주사에 의해 전달되었다. 전술한 히드록실화된 정착 스포로폴레닌을 사용함으로써, PEG-3'-올리고뉴클레오티드나 PEG-5'-올리고뉴클레오티드 복합체를 합성하는데 이용된 것과 유사한 합성 결합 반응이 행해질 수 있다.
탁산 및 시클로스포린 같이 수용해성이 낮은 약물의 스포로폴레닌-약물형 복합체는 특별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약물은 예를 들면, DMSO나 수성 완충용매 같은 고효율성 용매에 함유된 결합제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하에서 스포로폴레닌에 부착될 수 있다. 스포로폴레닌-약물형 복합체는 경구 투여에 의해 혈류에 도달하면 약물이 고분산 방식으로 방출되어 혈장에 의해 더욱 잘 용매화된다. 따라서, 스포로폴레닌 및 유사의 외피막은, 수계에서 용해성이 나쁜 약물을 유도하는 데 종종 이용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의 대체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복합체는, PEG-약물 복합체가 주사식인 것에 반하여 경구로 취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실시예 18 - 생물학적 평가
임상 실험에서 두 팀의 실험 대상에게 스포로폴레닌(1g; 25㎛; 라이코포듐 클라바툼으로부터 유래)을 소모시키고 30분 간격으로 혈액 시료를 채취했다.
혈액 시료(20)를 3000rpm에서 8분간 원심분리시켰다. 혈청을 분리하고 잔류물을 수회 물로 세척한 후(총 10㎖) 더 큰 관으로 옮겼다. 시료를 완전히 혼합하고 다시 한번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제거하고 펠릿과 잔류액(0.5㎖)을 0.5㎖의 글리세롤에 재현탁했다.
약 0.1㎖의 분획물을 취하여 광현미경으로 검사했다. 커버 슬립 하의 전체 면적을 조사했다.
스포로폴레닌 입자의 수를 다음과 같이 계수했다. 입자 총수는 완전 무결한 입자 및 서로 응집된 단편 군체의 수를 계수하여 계산했다. 이들 단편은 하나의 스포로폴레닌 입자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다수의 성분을 함유했을 가능성도 있다.
현미경 검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번째 실험 대상의 시료(음식 섭취후)
1) 스포로폴레닌 투여 전:
입자가 발견되지 않음
2a) 투여 30분 후:
80개의 입자 중 12개는 완전한 형태이며 나머지는 10-20개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클러스터.
2b) 투여 30분 후:
45개의 입자 중 7개는 완전한 형태이며 나머지는 단편.
3a) 투여 60분 후:
2개의 완전한 입자와 27개의 소단편 군체가 확인됨.
3b) 투여 60분 후:
20개의 소단편 군체가 확인되었으나 완전한 입자는 없음.
4) 투여 90분 후:
1개의 완전한 입자와 12개의 매우 작은 단편 군체가 관측됨.
5) 투여 120분 후:
몇개의 작은 단편이 관측됨.
두번째 실험 대상의 시료(절식)
1) 스포로폴레닌 투여 전:
입자가 발견되지 않음
2a) 투여 30분 후:
3개의 완전한 입자 및 48개의 매우 작은 단편이 확인됨.
2b) 투여 30분 후:
4개의 완전한 입자 및 35개의 단편 영역이 확인됨.
3a) 투여 60분 후:
1개의 완전한 입자와 17개의 극소단편 영역이 관측됨.
3b) 투여 60분 후:
2개의 입자 및 15개의 단편 영역이 관측됨.
4) 투여 90분 후:
입자도 단편도 발견되지 않음.
1g 중 혈류에 들어가는 스포로폴레닌의 최소비율은 0.60%로 계산되었다.
치료 효능에 필요한 약물-스포로폴레닌 복합체의 양을 추정한다:
1mmol g-1의 평균 장입량을 가정할 때, 1g의 스포로폴레닌 중에서 혈류에 들어가는 약물의 양이 0.006 mmol이 된다.
물리적 또는 공유결합 형태로 인슐린(분자량: 6000)이 부착된 1g의 스포로폴레닌에서, 장입량이 0.03mmol/g이면 11㎎(0.018㎜)의 상용되는 인슐린을 혈류에 공급하게 되며 30 IU 수준에 해당한다. 정상인이 하루 24u의 인슐린을 생성하고 보통 당뇨병의 경우 하루 평균 60u 를 생성하므로, 최대 2g의 스포로폴레닌이 1일 인슐린 공급량에 맞먹는다. 이로부터, 피하주사 투약이 경구 투약 경로와 대등한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가정한다.
1g의 스포로폴레닌에 부착된 티록신(분자량: 776.9)에 있어서, 장입량이 0.37mmol/g일 경우, 상용되는 티록신 1.7㎎[약 17회 투약량(평균 투약량 100㎍)]을 공급한다. 스포로폴레닌에 대해 티록신을 600㎍의 장입량으로 물리적 부착하면 혈류 속에 3.6㎍을 전달하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경구로 수용한 뒤 15분 후 실험 대상자의 혈액에서 발견되는 티록신이 4㎍/5ℓ로 분석됨으로써 상기 값을 뒷받침하였다(예컨대, 전달된 스포로폴레닌 입자의 양에 부합하는 0.66%의 전달율).
스포로폴레닌이나 다른 유사한 외피막은 다수 유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스포로폴레닌은 하나 이상의 약물을 단일 투약으로 함께 전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활성화제와 혼합된 약물은 동일한 스포로폴레닌 입자에 함께 결합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의 다기능성은 지방산 사슬 같은 작용기를 도입하고, 지질복합체나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을 형성하며, 또한 입체 구조의 장애에 의해 부착 약물을 보호하고 상기 부착 입자가 혈류에 도달한 경우에는 약물을 저속 방출할 수 있는 PEG-지질형 복합체를 형성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포로폴레닌의 잔류 이중 결합 및 카복실산기는 각각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결합이 먼저 브롬과 반응하여 브로모스포로폴레닌을 형성하고 이것이 아지드화나트륨과 반응하여 신규의 아지도스포로폴레닌을 생성하며, 또, 이 생성물이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에 의해 환원되어 1차 아미노스포로폴레닌을 형성하는 것이다. 1차 아민은 완충액 내에서 항바이러스 약물 AZT 모노포스페이트 등의 약물 및 커플링제인 EDC 와 반응하여 AZT 모노포스포릴스포로폴레닌을 제공한다. 스포로폴레닌에 남아있는 카복실산기는 그 뒤 DDC를 이용하여 헥사데실아민과 축합시킨다. 헥사데실 성분은 부착된 약물을 위 내에서 짧은 시간 동안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이 부착 형태에 대한 방법론적 예는 다음과 같다(도 8).
본 발명의 여덟번째 양태에 의하면, 할로겐 기능화된 외피막이 제공된다. 유효량의 활성 성분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할로겐 기능화된 외피막을 포함하는 투약 제형도 또한 제공된다.
실시예 19 - 브롬화, 아지드화 및 환원 반응에 의한 1차 아민의 도입
스포로폴레닌(1g)을 아세트산(10㎤)에 가한 30% 브롬 용액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했다. 스포로폴레닌을 여과 회수하여 메탄올(10×5㎤) 및 에테르(5㎤)로 세척한 뒤 감압하에 건조하여 브로모스포로폴레닌을 얻었다(도 8의 (A)). DMSO(30㎤)에 가한 아지드화나트륨(1.25g, 19.2mmol) 용액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60℃에서 48시간 가열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아지도스포로폴레닌(도 8의 (B))을 여과 수거하고, 세척, 건조(1.8mmol/g N3) 및, THF(15㎤)에 가한 리튬 알루미늄 히드라이드(0.2g)의 혼합물로 1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이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세척 및 건조하여 아미노스포로폴레닌(도 8의 (C))(1.4mmol/g NH2)을 제공했다.
실시예 20 - AZT 모노포스페이트의 부착
AZT 모노포스페이트(2.1mmol)를 0.1M MES, pH4.7-6.0의 완충용액(15㎤) 에 가한 아미노스포로폴레닌(0.3g; 1.4mmol/NH2의 g)의 교반 현탁액에 첨가했다. EDC(2.1mmol)를 첨가한 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했다. 입자를 여과, 물세척 및 감압하에 건조하여 AZT 모노포스포라미데이트 스포로폴레닌(monophosphoramidate sporopollenin)(도 8의 (D))을 수득했다(1mmol/g).
실시예 21 - 헥사데실아민의 부착
DMSO(10㎤)에 가한 AZT 모노포스포릴 스포로폴레닌(0.3g; 1mmol/g) 및 DCC(2.1mmol)의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결과 얻어진 헥사데실아미노(1mmol/g)/AZT 모노포스포라미데이트(1mmol/g) 스포로폴레닌(도 8의 (E))을 여과 분리한 뒤 감압하에 건조시켰다.
Fmoc 분석에서 확인했을 때, 스포로폴레닌은 계산치 1mmol/g의 장입량으로 잔류 히드록실기를 보유한다(도 9의 경로 (A)). 이들 작용기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스페이서기1를 통하여 약물을 부착할 수 있다.
실시예 22 - OH 기의 알킬화
6M NaOH(50㎤)에 가한 스포로폴레닌(1g; 1mmol/g) 및 클로로아세트산(6mmol)의 현탁액을 18시간 동안 교반한 뒤 세척 및 건조 후, 0.8mmol/g의 장입량을 가진 스포로폴레닌-아세트산을 수득했다(도 9의 경로 (B)).
실시예 23 - OH 기의 아실화
(i) 무수물 및 산염화물의 이용:
잔류 히드록실기를 아세틸 클로라이드 또는 아세트산 무수물 등의 시약을 이용하여 쉽게 아세틸화2,3,4하고, 또한 표준 조건 하에서 염화벤조일에 의해 벤조일화 됨으로써 아실화된 스포로폴레닌을 수득했다(도 9의 경로 (C)). 염화벤조일(5mmol)을, 얼음욕에서 냉각된 DCM(10㎤), DMAP 및 피리딘(3mmol)에 가한 스포로폴레닌(0.1g; 1mmol/g OH)의 교반 현탁액에 첨가했다. 벤조일화된 스포로폴레닌(0.6mmol/벤조일화물의 g)을 여과, 세척 및 건조시켰다.
(ii) N-보호된 아미노산 및 결합제의 이용:
Fmoc 글리신 같은 N-보호된 아미노산(도 8의 경로 D)과 또한 DMAP에 의해 촉매화된 DCC 같은 결합제를 이용하여 히드록실기를 직접 아실화 하는 방법은 현재 공지된 바가 없다. 그러므로 이 방법론적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DCM(20㎤) 및 DMF(1㎤)에 가한 Fmoc 글리신(1mmol) 및 DCC(0.5mmol)의 용액을 20분간 교반했다. DCM을 증발 제거하고 DMF(10㎤)에 가한 잔류 용액을 DMF(10㎤)에 가한 스포로폴레닌(0.1mmol/g)의 현탁액에 첨가했다. DMF(2㎤)에 가한 DMAP(0.1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그 결과 얻어진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교반했다. Fmoc 글리실 스포로폴레닌을 여과하고 DMF, DCM 및 MeOH 로 세척한 뒤 건조시켰다(0.41mmol/Fmoc 글리신의 g).
펩티드 및 단백질 약물을 부착하기 위해 유사한 부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iii) 히드록실기의 카바메이트화
잔류 히드록실기는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할 수 있다(도 9의 경로 (E)). 이 방법은 p-말레이미도페닐 이소시아네이트를 이용하여 히드록실기를 커플링하는 헤테로 이작용기성 결합자를 형성할 수 있다. 스포로폴레닌은 다음과 같이 페닐 이소시아네이트를 이용하여 유도하였다: 스포로폴레닌(1g; 1mmol/g) 및 페닐 이소시아네이트의 현탁액을 교반 및 80℃에서 18시간 동안 가열하고, 여과, DMSO 및 메탄올로 세척 후 건조시켜서 스포로폴레닌카바메이트(0.9mmol/g)를 수득했다.
(iv) 히드록실기의 할로겐화
스포로폴레닌의 잔류 히드록실기는 SOCl2, POCl3 또는 PCl5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할로겐화 할 수 있다(도 9의 경로 (F)). 상기 할로겐화된 형태의 스포로폴레닌은 추후에 고분자를 결합자를 이용하여 또한 그 뒤 약물을 이용하여 유도체화 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히드록실기의 할로겐화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무수 탄산칼륨(6.37mmol) 및 스포로폴레닌(1g; 1mmol/OH의 g)을 0℃에서 DCM에 가한 PCl5의 용액에 첨가했다. 혼합물을 15분간 교반한 뒤 스포로폴레닌을 여과 분리, DCM 및 에탄올로 세척한 뒤 건조시켰다(1mmol/Cl의 g).
참조 문헌:
1. S. Kettley, PhD University of Hull, 2001.
2. G.Shaw, The Chemistry of Sporopollenin, in: Sporopollenin, J.Brooks, M.Muir, P.Van Gijzel and G.Shaw, (Eds) Academic press, London and New York, 1971, 305-348.
3. F.Zetche, P.Kalt, J.Liechti, E.Ziegler, J.Prakt. Chem., 1937, 148, 267.
4. P.Fawcett, D.Gree, R.Holleyhead and G.Shaw, Grana, 1970, 10, 246.
5. M.E.Annunziato, U.S.Patel, M.Ranade and P.S.Palumbo, Bioconjugate Chem., 1993, 4. 212.
여러개의 생복합체가 티올 정착기를 사용한다(Bioconjugate Techniques Greg T Hermanson, 1996, Academic Press Inc and Bioconjugation in pharmaceutical chemistry, II Farmaco 1999, 54, 497-526). 스포로폴레닌은, 예컨대, 스포로폴레닌 이중 결합의 1차 브롬화 반응과 후속으로 티오우레아 처리(도 10) 또는 NaSH를 이용한 처리에 의해 쉽게 유도체화하여 티올기를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홉번째 양태에 의하면, 티올 기능화된 외피막이 제공된다. 유효량의 활성 물질에 화학 결합한 티올 기능화된 외피막을 포함하는 투약 제형도 또한 제공된다.
실시예 24 - 스포로폴레닌에 대한 티올기 부착(도 10)
DMSO(10㎤)에 가한 브로모스포로폴레닌(1g; 4.5mmol/g; 스포로폴레닌을 아세트산에 가한 브롬과 반응시켜 상술한 바와 같이 수득됨) 및 티오우레아(60mmol)의 교반 현탁액을 24시간 환류시켰다. 생성물을 여과 수거하여 DMSO, 물, 2M HCl, 물, EtOH 및 DCM의 차례대로 세척했다. 입자를 25% KOH 내에서 환류 하에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후, 입자를 여과하여 물, 2M HCl, 물 및 메탄올로 세척한 뒤 건조하여 티올화된 스포로폴레닌을 수득했다(5.2mmol/g).
실시예 25 - 스포로폴레닌에 대한 p-니트로벤조일옥시카보닐기의 부착(도 11)
p-니트로벤조일옥시카보닐 클로라이드로 티올기를 아실화한다(도 11):
티올화된 스포로폴레닌(5.2mmol/g)을 환류 하에 p-니트로벤조일옥시카보닐 클로라이드(30mmol) 및 트리에틸아민(30mmol)을 함유하는 DCM(25㎤)을 이용하여 N2 하에 교반했다. 촉매를 여과, DCM 및 메탄올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p-니트로벤조일티오옥실카보닐화된 스포로폴레닌을 수득했다(2.45mmol/g).
스포로폴레닌에 대한 탄소-탄소 부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이처럼 오히려 복잡하지만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안정한 고분자 물질의 구조는 현재 완전히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표면에서 어떤 반응이 일어날지 미리 알기는 어렵다. 그러나, 탄소-탄소 결합 형성의 간단한 예는, KOH 용액을 이용한 가수분해 및 무기산을 이용한 중화반응으로 스포로폴레닌 상에 2중산 작용화를 제공한 후(도 12의 구조(C)), 에톡시화 나트륨 용액 내에서 디에틸 멜로네이트와 브로모스포로폴레닌을 반응시켜 목적물을 얻고 따라서 CO2H기의 장입량을 증가시킨다. 상기 방법론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열번째 양태에 의하면, 탄소-탄소 결합을 통한 기능화된 외피막이 제공된다. 외피막, 탄소-탄소 결합, 및 유효량의 활성 물질에 결합된 기타의 작용기(들)를 포함하는 투약 제형도 또한 제공된다.
실시예 26 - 스포로폴레닌에 대한 작용기의 탄소-탄소 결합 부착물의 부착
디에틸 말로네이트(25mmol)를 50℃에서 메톡시화 나트륨(30㎤; 25mmol Na)의 용액에 천천히 첨가했다. 그 결과 얻어진 용액을 에탄올(50㎤)에 가한 브로모스포로폴레닌(1g; 5mmol/Br의 g)의 교반 현탁액에 천천히 첨가했다. 첨가(15분)후,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디에틸 말로닐 스포로폴레닌(도 12의 (A))을 여과 분리 및 에탄올로 세척했다. 수산화칼륨(15mmol)을 물(2㎤)에 용해하여 에탄올(10㎤)에 첨가했다. 용액을 에탄올(40㎤)에 가한 디에틸 스포로폴레닌 디에틸멜로네이트의 교반 현탁액(도 12의 (A))에 첨가하여 18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입자는 여과 분리하고 물 및 에탄올로 세척한 뒤 건조하여 칼륨염을 얻었다(도 12의 (B)). 얼음물에 가한 (B)의 현탁액을 희석 황산으로 산성화하여 물 및 에탄올로 세척 및 건조후 스포로폴레닌 말론산을 수득했다(1mmol/g)(도 12의 (C)).
약물 전달과 관계없이 여과물질을 생성하기 위해 스포로폴레닌에 부착된 스페이서기에 금속을 부착시켰다(G.Shaw, M.Sykes, R.W. Humble, G.Mackenzie, D.Marsdan, E.Phelivan, Reactive Polymers, 9,(1988), 211-217). 그러나, 금속 착체를 처리하는 약물은 개시되지 않았다. 다음의 실시예는 스포로폴레닌이 백금의 리간드로서 작용하는 방법을 개시한다(도 12의 (D)). 이것은 시스플라틴, CBDCA 및 JM-40 같은 공지의 항암 약물과 유사하다(도 13). 신규의 유도체(도 12의 (D))가 합성되는 방법은 도 12에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27 - 스포로폴레닌에 대한 시스플라틴의 부착
DMF(20㎤)에 가한 시스-[PtCl2(NH3)2](1.33mmol)의 용액을 DMF(20㎤)에 가한 스포로폴레닌 말론산(도 12의 (C))의 교반 현탁액에 첨가했다. 이어서, 0.1M 수성 KOH(27㎤)를 첨가하여 그 결과 혼합물을 60℃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했다. 스포로플라틴(도 12의 (D), 또한 도 13에 도시)을 여과 분리하여 물, 에탄올 및 에테르(0.9mmol/g)로 세척했다.
다수의 금(I) 티올레이트 착체는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한 효능을 보여준다. 가장 성공적인 약물은 미오크라이신(Myochrysine), 솔가날(Solganal), 알로크라이신(Allochrysine), 또한 최근의 경구 투여용 리다우라(Ridaura)까지 포함한다(R.Bau, J.Am.Chem.Soc. 1998, 120, 9380). 리다우라는 금의 티오슈가/포스핀 착체이며 다수의 당을 가지므로 소화계에서 분해하기 힘들다. 이에 관련된 금의 스포로폴레닌/포스핀 착체는 장내에서 안정하며 더욱 신속히 금(I) 티올레이트를 혈류속으로 전달하여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할 수 있게 해준다. 백금, 루테늄, 가돌리늄 및 테크네튬 착염도 또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28 - 스포로폴레닌의 금(I) 티올레이트 착체(도 14)
에탄올-물(1:4; 50㎤)에 가한 탄산칼륨(1mmol)을 티올화된 스포로폴레닌(1g; 1mmol/g)의 현탁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뒤 0℃로 냉각했다. 0℃의 에탄올-물에 가한 (트리에틸포스판) 금(I) 클로라이드(1.1mmol)의 용액을 천천히 첨가했다. 용액을 실온까지 상승시키고 다시 12시간 동안 교반했다. (트리에틸포스핀)(스포로폴레닌-S)금(I) 유도체(0.8mmol/g)를 물, 에탄올 및 에테르로 세척한 후 건조시켰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식이성 투약 제형은 스포로폴레닌 또는 다른 유사한 외피막을 포함하는 지지체에 화학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결합된 활성 성분을 유효량 포함하고, 또한, 임의선택적으로,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인간과 수의학적 용도로 이용된다.

Claims (40)

  1. 지지체 내에 캡슐화된 유효량의 활성 물질을 포함하며, 임의선택적으로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투약 제형(dosage form)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식물, 이끼, 곰팡이류 또는 조류(algae)의 포자(spore)의 스포로폴레닌-함유 외피막이나 그의 단편(fragment)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스포로폴레닌-함유 외피막은 0.5% 미만의 단백질을 포함하고, 상기 투약 제형은 태블릿, 연질 겔 캡슐, 배주(ovule), 약액(elixir), 폐 또는 비강내 투여에 적합한 형태, 좌약, 페서리(pessary), 겔, 하이드로겔 로션, 로션, 크림, 연고, 살포 분말, 피부 또는 경피 투여에 적합한 형태 및 스킨패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투약 제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로폴레닌-함유 외피막은 단백질을 0.1% 미만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투약 제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자는 라이코포듐 클라바툼(Lycopodium clavatum), 물망초(Myosotis),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Aspergillus niger), 페니실륨(Penicillium), 칸타렐루스 미노르(Cantharellus minor), 가노메르마(Ganomerma), 아그로사이베(Agrocybe), 우르티카 디오이카(Urtica dioica), 페리코니아(Periconia), 에피코쿰(Epicoccum), 아비에스(Abies), 쿠쿠르비타파포(Cucurbitapapo) 또는 쿠부르비타(Cuburbita)의 포자인 것인 약제학적 투약 제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1 내지 100 마이크론 범위의 입자 크기를 지니는 것인 약제학적 투약 제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1 내지 10 마이크론 범위의 입자 크기를 지니는 것인 약제학적 투약 제형.
  6. 제1항에 있어서, 비강내 혹은 폐 투여, 또는 경구, 구강내, 설하, 피부 혹은 경피 투여에 적합한 것인 약제학적 투약 제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을 혈류 속으로 흡수시켜 치료하는 방법에 이용하기 위한 것인 약제학적 투약 제형.
  9. 활성 성분을 혈류 속으로 흡수시켜 치료하는 약제의 제조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약제학적 투약 제형을 이용하는 것인 약제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약 제형은 비강내 또는 폐 투여에 적합하며, 또한 비강내 또는 폐 투여를 위한 유효량의 활성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투약 제형을 원하는 투여 부위에 침투시킬 수 있도록 선택된 입자 크기를 지니는 것인 약제학적 투약 제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KR1020057025138A 2003-06-27 2004-06-28 스포로폴레닌 또는 유도체화된 스포로폴레닌의 외피막을포함하는 투약 제형 KR101190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315019.0 2003-06-27
GB0315019A GB0315019D0 (en) 2003-06-27 2003-06-27 Dosage form
GB0411047A GB0411047D0 (en) 2004-05-18 2004-05-18 Dosage form
GB0411047.4 2004-05-18
PCT/GB2004/002775 WO2005000280A2 (en) 2003-06-27 2004-06-28 Dosage form comprising an exine coating of sporopollenin or derivatized sporopollen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848A KR20060094848A (ko) 2006-08-30
KR101190766B1 true KR101190766B1 (ko) 2012-10-12

Family

ID=33554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138A KR101190766B1 (ko) 2003-06-27 2004-06-28 스포로폴레닌 또는 유도체화된 스포로폴레닌의 외피막을포함하는 투약 제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638538B1 (ko)
JP (1) JP5059402B2 (ko)
KR (1) KR101190766B1 (ko)
AU (1) AU2004251496B2 (ko)
BR (1) BRPI0411623A (ko)
CA (1) CA2530645C (ko)
MX (1) MXPA05013965A (ko)
MY (1) MY149933A (ko)
WO (1) WO200500028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8270B2 (en) 2003-06-27 2009-10-27 University Of Hull Dosage form
GB0427520D0 (en) * 2004-12-16 2005-01-19 Univ Hull Magnetic resonance contrast media
DE102005016714A1 (de) * 2005-04-11 2006-10-12 Maack, Andreas, Dipl.-Chem.Dr. Verwendung von Sporopollenin und/oder deren Derivaten als Bestandteil von Arzneimitteln, Medizinalprodukten und Nahrungsergänzungsmitteln
WO2007012857A1 (en) * 2005-07-28 2007-02-01 University Of Hull Topical formulations containing sporopollenin
GB0724550D0 (en) * 2007-12-18 2008-01-30 Univ Hull Formulations
GB0812513D0 (en) * 2008-07-09 2008-08-13 Univ Hull Delivery vehicle
GB2488838A (en) 2011-03-11 2012-09-12 Biomimetics Health Ind Ltd A stable antimicrobial aqueous hypochlorous acid solution
DE102012216190A1 (de) 2012-09-12 2014-04-1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Komposite und Beschichtungsstoffe mit in biologischem Hüllmaterial inkludierten Wirkstoffen
EP2906257A4 (en) 2012-10-15 2016-08-10 Univ Texas Tech System IMMUNOMODULATION USING SPORES AND POLLEN GRAINS
EP3581174A4 (en) 2017-02-09 2020-12-30 Universidade de Santiago de Compostela PURIFIED POLLEN PARTICLES AND THEIR USE TO DELIVER NANOSYSTEMS
US10913937B2 (en) * 2017-04-17 2021-02-09 Lafayette College Degradation of sporopollenin
US20200347393A1 (en) * 2017-12-08 2020-11-05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icro- and nanoneedles for plant and other cell penetration
WO2022180405A1 (en) 2021-02-26 2022-09-01 Sporomex Limited Methods for the extraction of dispersible microcapsules
GB202102748D0 (en) 2021-02-26 2021-04-14 Botanical Solutions Ltd Exine constructs
WO2022200762A1 (en) 2021-03-26 2022-09-29 Sporomex Limited Methods for the extraction of dispersible microcapsules (immunocontracep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6208A (ja) * 1982-12-24 1984-07-05 Kobayashi Kooc:Kk プレス状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S6359378A (ja) * 1986-08-28 1988-03-15 Kiteii:Kk 物体の表面に主剤を固着させる剤及び方法
US5013552A (en) * 1989-02-06 1991-05-07 Samir Amer Moh Modified pollen grains for delivering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to plants and animals
JP2970957B2 (ja) * 1991-05-15 1999-11-02 株式会社グレイトチレン 精製花粉栄養調整物
CN1105594A (zh) * 1994-11-16 1995-07-26 潘自航 降癌灵丹
US6156330A (en) * 1997-05-14 2000-12-05 Japan As Represented By Director General Of National Institute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s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Chitin beads, chitosan beads, process for preparing these beads, carrier comprising said beads, and process for preparing microsporidian spore
DE19902724A1 (de) * 1999-01-19 2000-07-27 Dietmar Lerche Mikrokapseln aus Sporopollen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An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38538B1 (en) 2018-02-14
EP1638538A2 (en) 2006-03-29
WO2005000280A2 (en) 2005-01-06
CA2530645C (en) 2013-05-07
AU2004251496A1 (en) 2005-01-06
KR20060094848A (ko) 2006-08-30
MXPA05013965A (es) 2006-05-25
JP5059402B2 (ja) 2012-10-24
WO2005000280A3 (en) 2005-06-16
BRPI0411623A (pt) 2006-08-08
AU2004251496B2 (en) 2009-10-01
CA2530645A1 (en) 2005-01-06
JP2007520430A (ja) 2007-07-26
MY149933A (en)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8270B2 (en) Dosage form
KR101190766B1 (ko) 스포로폴레닌 또는 유도체화된 스포로폴레닌의 외피막을포함하는 투약 제형
US7169814B2 (en) Guanidinium transport reagents and conjugates
US8277776B2 (en) Compositions for delivery of therapeutics and other materials
EP3295935B1 (en) Crystallization method and bioavailability
KR101234540B1 (ko) 경구 투여가능한 고형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HUE026134T2 (en) Microparticles containing diketopiperazine salts for drug delivery
WO2009152691A1 (zh) 聚乙二醇修饰壳寡糖脂肪酸嫁接物及制备方法和应用
TW201832783A (zh) 包含glp-1/胰高血糖素雙重激動劑、連接子和透明質酸的接合物
JPH11508289A (ja) ポリ(2−アミノ−2−デオキシ−d−グルコース)のn−アシル化誘導体とポリペプチド類とのイオン性分子結合体
Li et al. Supramolecular azasugar clusters based on an amphiphilic fatty-acid-deoxynojirimycin derivative as multivalent glycosidase inhibitors
KR20080042045A (ko) 포유동물로의 인터페론 전달용 지질 구조물
WO2022022354A1 (zh) 聚乙二醇偶联药物增效剂、其制备方法及用途
ZA200510179B (en) Dosage form
EP1404372B1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and ligands for use therein; mimetics for uea-1
CN109568598A (zh) 用于药物流产的胎盘靶向纳米颗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NGH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orodispersible tablets of propranolol hydrochloride using calcium cross-linked cassia fistula gum and cross carmellose sodium
JPH0751592B2 (ja) シクロトリフォスファゼン誘導体
Dacasin et al. Evaluation of Ipil-Ipil (Leucaena leucocephala) seed gum as co-encapsulating agent for targeted and controlled delivery of powdered insulin plant (Chamaecostus cuspidatus).
RU2201234C2 (ru) Полимерный водорастворимый аналог ацетилсалициловой кислоты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AU2012203627B2 (en) Diketopiperazine salts, diketomorpholine salts or diketodioxane salts for drug delivery
JP2004523480A (ja) 活性作用物質送達系ならびに活性作用物質の保護および投与方法
WO2023242766A1 (en) Gold nanoconjugates
CN116999408A (zh) 组织蛋白酶b敏感的脂肪酸-阿霉素前药及其白蛋白纳米粒和制备方法与应用
CN115554272A (zh) 一种纳米颗粒的制备方法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