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153B1 -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수분량 측정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수분량 측정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153B1
KR101190153B1 KR1020100103803A KR20100103803A KR101190153B1 KR 101190153 B1 KR101190153 B1 KR 101190153B1 KR 1020100103803 A KR1020100103803 A KR 1020100103803A KR 20100103803 A KR20100103803 A KR 20100103803A KR 101190153 B1 KR101190153 B1 KR 101190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tude
sample
transmission wave
wave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1116A (ko
Inventor
우영제
이봉춘
최영준
조영근
김주형
최영철
문규돈
채성태
류화성
서인호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03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153B1/ko
Publication of KR2012006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microwaves or radio waves, i.e. electromagnetic waves with a wavelength of one millimetre or more
    • G01N22/04Investigating moisture cont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진위상을 달리하는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를 송신파로 이용하여 측정대상 시료에 조사하고, 측정대상 시료를 통과하여 수신된 수신파에서의 진폭을 파악함으로써 측정대상 시료의 수분량을 파악하여 측정하게 되는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수분량 측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 송신파(S1), 상기 기본 송신파(S1)와 복수개의 마이크로파로 이루어진 위상차 발진 송신파(S2, S3)로 이루어진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 송신파를 측정대상 시료에 조사하여 통과하게 하는 단계; 기본 송신파(S1) 및 복수개의 위상차 발진 송신파(S2, S3) 각각에 대응되는 수신파를 검출하여 진폭(Es1, Es2, Es3)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수신파의 진폭 값을 평균한 평균 진폭 Em을 구하는 단계; 기본 송신파(S1)를 완전건조 상태의 시료에 조사하여 수신된 수신파의 진폭 Eo과, 평균 진폭 Em과의 진폭 차이 값 ΔEs을 구하는 단계; 및 기지의 비례상수 k에 진폭 차이 값 ΔEs을 곱하여 측정대상 시료의 수분량을 측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수분량 측정방법 및 수분량 측정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수분량 측정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Moisture Content in a Sample Using Multi Phase Microwave}
본 발명은 마이크파를 이용하여 시료의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는 농도 측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발진위상을 달리하는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를 송신파로 이용하여 측정대상 시료에 조사하고, 측정대상 시료를 통과하여 수신된 수신파에서의 진폭을 파악함으로써 측정대상 시료의 수분량을 측정하게되는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수분량 측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등의 시료에 대해 수분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측정대상 시료에 발진 위상을 달리하는 복수개의 마이크로파(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를 송신파로서 투과시키고, 각각의 발진 위상을 가지는 송신파에 대응되는 수신파에 대해 진폭을 측정하여, 측정된 진폭의 평균을 구하며, 이렇게 구해진 평균 진폭을 이용하여, 진폭의 감소 비율에 근거하여 수분량을 측정함으로써 노이즈가 제거된 신뢰성 있는 농도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시료의 수분량 측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진폭 E과 진동수를 가지는 마이크로파로 이루어진 기본 송신파(S1), 상기 기본 송신파(S1)와 동일한 진폭 E와 진동수를 가지되 발진시의 위상차를 가지는 복수개의 마이크로파로 이루어진 위상차 발진 송신파(S2, S3)로 이루어진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 송신파를 측정대상 시료에 조사하여 통과하게 하는 단계; 측정대상 시료를 통과한 기본 송신파(S1) 및 복수개의 위상차 발진 송신파(S2, S3) 각각에 대응되는 수신파를 검출하여 각각의 수신파들에 대해 진폭(Es1, Es2, Es3)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수신파의 진폭 값을 평균하여 수신파의 평균 진폭 Em을 구하는 단계; 기본 송신파(S1)를 완전건조 상태의 동일 시료에 조사하여 수신된 수신파의 진폭 Eo과, 평균 진폭 Em과의 진폭 차이 값 ΔEs을 구하는 단계; 및 측정대상 시료와 동일한 종류이며 수분량을 이미 알고 있는 기준 시료들에 대해서, 이상적인 상태에서 파장과 진폭을 알고 있는 송신파를 조사하고, 완전건조 상태의 시료에 대해서도 동일한 송신파를 조사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한 진폭의 변화를 측정하여 기준 시료의 수분량과 진폭 변화량 간의 관계에 의해 미리 사전에 알고 있는 비례상수 k에 진폭 차이 값 ΔEs을 곱하여 측정대상 시료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수분량 측정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진폭 E과 진동수를 가지는 마이크로파로 이루어진 기본 송신파(S1), 상기 기본 송신파(S1)와 동일한 진폭 E와 진동수를 가지되 발진시의 위상차를 가지는 복수개의 마이크로파로 이루어진 위상차 발진 송신파(S2, S3)로 이루어진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 송신파를 발생시키는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 송신파 발진부(11)와, 발생되어 출력된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 송신파를 측정 대상 시료에 조사하는 상기 송신부(12)와, 상기 측정대상 시료를 투과한 수신파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증폭부로 전달하는 검파기(13)로 이루어진 검출부(10); 상기 검출부(10)로부터 출력된 수신파 신호의 전압레벨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20); 상기 증폭부(20)로부터 출력된 수신파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AD변환기(30); 진폭 E와 사전 결정된 진동수를 가지는 기본 송신파(S1)를 완전건조 상태의 시료에 조사하여 수신된 수신파의 진폭 Eo에 대한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기저장하고 있고, 측정대상 시료와 동일한 종류이며 수분량을 이미 알고 있는 기준 시료들에 대해서 이상적인 상태에서 파장을 알고 있는 송신파를 조사하고 완전건조 상태의 동일 종류 시료에 대해서도 동일한 송신파를 조사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한 진폭의 변화를 측정하여 얻어진 기준 시료의 수분량과 진폭 변화량 간의 관계에 의한 농도와 진폭 변화량간의 비례상수 k에 대한 데이터를 내장 메모리에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측정대상 시료를 통과한 수신파들에 대해 진폭(Es1, Es2, Es3) 값을 평균하여 수신파의 평균 진폭 Em을 구하고, 기저장되어 있던 진폭 Eo과, 상기 평균 진폭 Em과의 진폭 차이 값 ΔEs을 구하여, 내부 메모리에 기저장되어 있던 비례상수 k에 진폭 차이 값 ΔEs을 곱하여 측정대상 시료의 수분량을 계산하여 계산된 결과를 제어부(40); 및 상기 제어부(4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의 수분량 측정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시료에 대한 수분량을 정량적이며, 노이즈가 제거된 신뢰성이 높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마이크로파로서 사인파 형태의 송신파와, 상기 송신파가 수분량 0이고 균질한 순수한 물질을 통과한 후 수신한 수신파와, 일정 수분을 가지는 시료를 통과한 후 수신한 시료의 수신파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수분량 0인 시료에 대한 수신파에서의 진폭 Ew와 측정대상 시료의 수신파에서의 진폭 Es의 차이 ΔE 및 시료의 수분량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 즉, 진폭과 주파수는 동일하된 위상이 서로 다른 마이크로파인 송신파와, 상기 송신파가 시료를 통과한 후 수신한 수신파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수분량 측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하여 시료의 수분량을 측정하게 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시료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기본적인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마이크로파로서 사인파 형태의 송신파(굵은 실선으로 도시)와, 상기 송신파가 측정대상 시료와 동일하되 수분량이 0인 상태의 완전건조 시료를 통과한 후 수신한 순수물의 수신파(가는 실선으로 도시)와, 일정한 수분량을 시료를 통과한 후 수신한 시료의 수신파(점선으로 도시)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사인파 형태의 송신파를 수분량이 0인 완전건조 상태의 시료에 조사하게 되면, 시료를 통과하여 수신한 수신파는 θw의 위상차를 가지게 되고, 진폭도 감쇄가 일어나서 송신파의 진폭 E보다 작은 Ew의 진폭을 가지게 된다. 일정 수분량을 가지는 시료의 경우,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에 의해 마이크로파의 진행에 장애가 발생하기 때문에 시료를 통과하여 수신한 수신파는 완전건조 상태의 시료에서의 위상차 θw보다 더 큰 위상차 θs를 가지게 되며, 진폭 역시 더 작아진 Es의 진폭을 가지게 된다.
시료의 수분량이 커질수록 마이크로파의 진행에 대한 방해가 더 심해지므로, 시료를 통과한 수신파의 진폭은 시료의 수분량에 비례하여 더 감소하게 된다. 즉, 시료의 수분량은 완전건조 상태에서 측정된 수신파에서의 진폭 Ew와 시료의 수신파에서의 진폭 Es의 차이 ΔE에 비례하는 것이다. 이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아래의 수학식 1과 같고, 이를 도면으로 나타내면 도 2의 그래프도와 같다.
Figure 112010068646409-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W는 수분량이며, k는 비례상수이고, ΔE는 순수 물의 수신파에서의 진폭 Ew에서 시료의 수신파에서의 진폭 Es을 뺀 값이다.
따라서 수분량이 0인 완전건조상태의 시료와, 수분량을 이미 알고 있되 그 수분량이 다양한 동일한 물성과 재료의 시료를 준비하여 진폭과 위상, 그리고 파장을 알고 있는 송신파를 완전건조상태의 시료와 상기 수분량이 변화된 시료에 각각 조사하여 위와 같은 진폭의 변화를 측정하여 이를 DB화 시키게 되면, 해당 수분량과 진폭 변화량 간의 관계를 규정하는 상기 비례상수 k를 사전에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비례상수 k를 알고 있으면, 수분량을 알고자 하는 실제 측정대상 시료에 마이크로파를 송신파로서 조사하고, 시료를 통과한 수신파를 수신하여 수신파에서의 진폭 변화(정확하게는 순수한 물을 통과한 수신파의 진폭과 측정대상 시료를 통과한 수신파의 진폭 간의 차이)를 파악하게 되면, 이미 구해놓은 비례상수 k를 이용하여 실제 측정대상 시료의 수분량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실제로 시료를 통과한 수신파에서의 진폭 변화에 영향을 주는 원인으로는 시료에 포함된 수분 이외에도 시료의 물리적인 상태가 있다. 예를 들어, 시료에 기포가 존재하는 등의 불완전한 상태에 의해 시료를 통과한 수신파의 진폭이 감소하게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반면에 앞서 수학식 1에서의 비례상수 k를 구하는데 사용되었던 기지의 다양한 수분량 값을 가지는 시료는 이상적인 상태에서 측정된 것이다. 따라서 이상적이지 아니한 상태의 시료에 대해 마이크로파를 송신하고 시료를 통과한 수신파에 대해 진폭을 측정하였을 때, 측정된 진폭이 과연 수분량에 의한 영향만 반영된 것인지, 아니면 시료의 물리적 상태로 인한 노이즈가 반영된 것인지 확인할 수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에서 기술하는 것처럼, 발진 위상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마이크로파로 이루어진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를 송신파로 이용함으로써, 노이즈를 제거하게 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라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 즉, 진폭과 주파수는 동일하되 발진 시점이 상이하여 발진 위상이 서로 다르게 됨으로써 발진 위상차를 가지는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인 송신파(굵은 실선으로 도시)와, 상기 송신파가 시료를 통과한 후 수신한 수신파(점선으로 도시)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는 서로 발진되는 시점이 달라 발진 위상차를 가지는 복수개의 마이크로파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진폭 E와 주파수를 가지는 기본 송신파(S1), 및 상기 기본 송신파(S1)와 동일한 진폭 E와 주파수를 가지고 있되 발진 시점이 달라서, 발진 위상차를 가지는 복수개의 위상차 발진 송신파(S2, S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진폭 E와 주파수를 가지는 마이크로파로 이루어진 기본 송신파(S1)를 측정대상 시료에 조사하여, 측정대상 시료를 통과한 수신파(R1)를 검출하고 그 진폭 Es1을 측정한다. 그와 더불어 기본 송신파(S1)와 동일한 진폭 E와 주파수를 가지는 마이크로파로 이루어지되 발진 시점이 달라 발진 위상차를 가지는 복수개의 위상차 발진 송신파(S2, S3)를 측정대상 시료에 조사하여,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의 발진 위상차를 가지는 송신파(S2)에 대한 시료의 수신파(R2)를 검출하여 그 진폭 Es2를 측정하고, (+)의 발진 위상차를 가지는 송신파(S3)에 대한 시료의 수신파(R3)를 검출하여 그 진폭 Es3를 측정한다.
즉,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로 이루어진 송신파에 대응하는 각각의 수신파에 대해 그 진폭을 각각 측정하는 것이다.
시료가 이상적인 균질한 상태에 있다면, 송신파의 발진 위상차를 달리하더라도 수신파의 진폭은 변화가 없어야 한다. 그러나 측정대상 시료는 통상 이상적인 물리적 상태에 있지 아니하므로, 발진 위상차를 달리한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 송신파에 의한 수신파의 진폭에는 변화가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수신파의 진폭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위와 같이 발진 위상차를 달리하여 송신된 마이크로파 즉,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 송신파 각각에 대하여 수신파로부터 측정된 진폭의 평균값을 구하게 된다. 즉, 위의 예에서 수신파 R1의 진폭 Es1과 수신파 R2의 진폭 Es2, 그리고 수신파 R3의 진폭 Es3의 평균을 내어 수신파의 평균 진폭 Em을 구하는 것이다.
수신파의 평균 진폭 Em을 구하게 되면, 기본 송신파(S1)를 완전건조 상태의 시료에 조사하여 수신된 수신파의 진폭 Eo와의 차이 ΔEs = Eo - Em를 구하고, 구해진 진폭 차이 ΔEs와, 사전에 측정하여 알고 있던 기지의 비례상수 k를 이용하여 해당 측정대상 시료의 수분량을 상기한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하게 된다.
상기 비례상수 k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시료와 동일한 종류이며 수분량을 이미 알고 있는 다양한 기준 시료들이 이상적인 안정한 물리적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기준 시료들 각각에 대해 파장과 진폭을 알고 있는 마이크로파로 이루어진 송신파를 조사하고, 완전건조 상태의 시료에 대해서도 동일한 송신파를 조사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한 진폭의 변화를 측정하여 기준 시료의 농도와 진폭 변화량 간의 관계에 의해 구하게 되는 미리 사전에 알고 있는 값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대상 시료에 존재하는 미지의 불확실한 물리적 상태로 인한 수분량 측정값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신뢰성 있고 정확도가 높은 수분량 측정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음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따라 수분량을 측정하는 시료의 수분량 측정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수분량 측정장치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수분량 측정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10)와, 증폭부(20)와, AD변환기(30)와, 제어부(40)와, 표시부(50)와, 통신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검출부(10)는 발진 위상차를 달리한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 송신파 즉, 진폭과 진동수는 동일하되 발진시의 위상을 달리한 복수개의 마이크로파로 이루어진 송신파를 발생시켜 측정대상 시료에 투과시키고, 시료의 통과로 인하여 진폭이 감소된 각각의 마이크로 송신파에 대한 수신파를 검출한 후, 검출된 수신파의 신호를 상기 증폭부(20)로 전달한다.
이러한, 상기 검출부(10)는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 송신파 발진부(11), 송신부(12), 및 검파기(13)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 송신파 발진부(11)는 발진 위상차를 달리한 복수개의 마이크로 송신파 즉, 진폭과 진동수는 동일하되 발진시의 위상을 달리한 복수개의 마이크로파로 이루어진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 송신파를 발생시키고, 발생되어 출력된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 송신파를 상기 송신부(12)로 전달한다. 즉, 도 3과 관련하여 살펴본 것과 같이, 진폭 E와 사전 결정된 진동수를 가지는 기본 송신파(S1) 및 상기 기본 송신파(S1)와 동일한 진폭 E와 진동수를 가지되 발진시의 위상차를 가지는 복수개의 위상차 발진 송신파(S2, S3)로 이루어진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 송신파를 발생시켜 송신부(12)로 전달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 송신파는 위와 같이 3개의 위상차를 가지는 마이크로 송신파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복수개의 다양한 위상차를 가지는 더 많은 개수의 마이크로 송신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진부(11)는 측정대상 시료와의 절연을 위해 아이솔레이터를 포함한 오실레이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송신부(12)는 상기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 송신파 발진부(11)로부터 발생되어 출력된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 송신파를 측정 대상 시료에 조사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송신부(12)는 규격화된 극판을 장착하고 있다. 여기서, 해당 극판은 면 부분이 어레이(Array)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아이솔레이터를 포함한 트랜스미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검파기(13)는 상기 측정대상 시료를 투과한 수신파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증폭부로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검파기(13)는 수신파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규격화된 극판을 구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송신부(12)로부터 측정대상 시료로 조사되어 측정대상 시료를 통과하면서 진폭이 감소된 수신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규격화된 극판을 구비하고 있는 로우 배리어 쇼키 다이오드(Low Barrier Schottky Dio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증폭부(20)는 상기 검출부(10)로부터 수신파의 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수신파 신호의 전압레벨을 증폭하여 이를 상기 AD변환기(30)로 전달한다. 즉, 증폭부(20)는 수신파 신호의 전압크기, 예컨대 2 ~ 3mV 크기의 전압을 2 ~ 3V 크기로 증폭하여 줌으로써, 후술할 AD변환기(30)에서의 디지털 신호 변환시 적절한 분해능(Resolution)을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AD변환기(30)는 상기 증폭부(20)로부터 수신파 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수신파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제어부(40)로 전달한다. 즉, 상기 AD변환기(30)는 상기 증폭부(20)로부터 아날로그 형태의 수신파 신호들을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이를 상기 제어부(40)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40)는 내부 메모리(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으며, 해당 구비된 내부 메모리에는, 측정대상 시료와 동일한 종류이며 수분량을 이미 알고 있는 기준 시료들에 대해서 이상적인 상태에서 파장을 알고 있는 송신파를 조사하고, 완전건조 상태의 동일 시료에 대해서도 동일한 송신파를 조사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한 진폭의 변화를 측정하여 얻어진 기준 시료의 수분량과 진폭 변화량 간의 관계에 의한 농도와 진폭 변화량간의 비례상수 k에 대한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진폭 E와 사전 결정된 진동수를 가지는 기본 송신파(S1)를 완전건조 상태의 동일 시료에 조사하여 수신된 수신파의 진폭 Eo에 대한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기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 송신파를 이루는 각각의 마이크로 송신파에 대한 수신파로부터 측정된 각각의 진폭의 평균값 Em을 구하고, 구해진 진폭의 평균값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기본 송신파(S1)를 완전건조 상태의 시료에 조사하여 수신된 수신파의 진폭 Eo과의 차이를 구하고, 구해진 진폭의 차이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비례상수 k를 이용하여 상기한 수학식 1에 의하여 해당 측정대상 시료의 수분량을 산출하여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50)는 상기 제어부(4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50)는 LCD, PDP 및 LED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40)는 산출된 해당 측정대상 시료의 수분량을 통신부(60)를 통해 외부 기기(미도시)로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환산된 수분량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60)를 통해 근거리무선통신이 가능한 프린터, 복합기 또는 PC 등으로 송신하여 이를 수신한 해당 프린터, 복합기 또는 PC 등에서 상기 환산된 수분량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통신부(60)는 상기 제어부(4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외부 기기로 송신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60)는 LAN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또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자신과 동일한 통신 모듈을 구비한 외부 기기(미도시)와 유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10: 검출부 11: 다중 마이크로파 발진부
12: 송신부 13: 검파기
20: 증폭부 30: AD변환기
40: 제어부 50: 표시부

Claims (2)

  1. 진폭 E과 진동수를 가지는 마이크로파로 이루어진 기본 송신파(S1), 상기 기본 송신파(S1)와 동일한 진폭 E와 진동수를 가지되 발진시의 위상차를 가지는 복수개의 마이크로파로 이루어진 위상차 발진 송신파(S2, S3)로 이루어진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 송신파를 측정대상 시료에 조사하여 통과하게 하는 단계;
    측정대상 시료를 통과한 기본 송신파(S1) 및 복수개의 위상차 발진 송신파(S2, S3) 각각에 대응되는 수신파를 검출하여 각각의 수신파들에 대해 진폭(Es1, Es2, Es3)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수신파의 진폭 값을 평균하여 수신파의 평균 진폭 Em을 구하는 단계;
    기본 송신파(S1)를 완전건조 상태의 동일 시료에 조사하여 수신된 수신파의 진폭 Eo과, 평균 진폭 Em과의 진폭 차이 값 ΔEs을 구하는 단계; 및
    측정대상 시료와 동일한 종류이며 수분량을 이미 알고 있는 기준 시료들에 대해서, 이상적인 상태에서 파장과 진폭을 알고 있는 송신파를 조사하고, 완전건조 상태의 시료에 대해서도 동일한 송신파를 조사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한 진폭의 변화를 측정하여 기준 시료의 수분량과 진폭 변화량 간의 관계에 의해 미리 사전에 알고 있는 비례상수 k에 진폭 차이 값 ΔEs을 곱하여 측정대상 시료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수분량 측정방법.
  2. 진폭 E와 진동수를 가지는 마이크로파로 이루어진 기본 송신파(S1), 상기 기본 송신파(S1)와 동일한 진폭 E와 진동수를 가지되 발진시의 위상차를 가지는 복수개의 마이크로파로 이루어진 위상차 발진 송신파(S2, S3)로 이루어진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 송신파를 발생시키는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 송신파 발진부(11)와, 발생되어 출력된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 송신파를 측정 대상 시료에 조사하는 송신부(12)와, 상기 측정대상 시료를 투과한 수신파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증폭부로 전달하는 검파기(13)로 이루어진 검출부(10);
    상기 검출부(10)로부터 출력된 수신파 신호의 전압레벨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20);
    상기 증폭부(20)로부터 출력된 수신파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AD변환기(30);
    진폭 E와 사전 결정된 진동수를 가지는 기본 송신파(S1)를 완전건조 상태의 시료에 조사하여 수신된 수신파의 진폭 Eo에 대한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기저장하고 있고, 측정대상 시료와 동일한 종류이며 수분량을 이미 알고 있는 기준 시료들에 대해서 이상적인 상태에서 파장을 알고 있는 송신파를 조사하고 완전건조 상태의 동일 종류 시료에 대해서도 동일한 송신파를 조사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한 진폭의 변화를 측정하여 얻어진 기준 시료의 수분량과 진폭 변화량 간의 관계에 의한 농도와 진폭 변화량간의 비례상수 k에 대한 데이터를 내장 메모리에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측정대상 시료를 통과한 수신파들에 대해 진폭(Es1, Es2, Es3) 값을 평균하여 수신파의 평균 진폭 Em을 구하고, 기저장되어 있던 진폭 Eo과, 상기 평균 진폭 Em과의 진폭 차이 값 ΔEs을 구하여, 내부 메모리에 기저장되어 있던 비례상수 k에 진폭 차이 값 ΔEs을 곱하여 측정대상 시료의 수분량을 계산하여 계산된 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40); 및
    상기 제어부(4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수분량 측정장치.
KR1020100103803A 2010-10-25 2010-10-25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수분량 측정방법 및 장치 KR101190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803A KR101190153B1 (ko) 2010-10-25 2010-10-25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수분량 측정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803A KR101190153B1 (ko) 2010-10-25 2010-10-25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수분량 측정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116A KR20120061116A (ko) 2012-06-13
KR101190153B1 true KR101190153B1 (ko) 2012-10-12

Family

ID=4661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803A KR101190153B1 (ko) 2010-10-25 2010-10-25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수분량 측정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1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61349C1 (ru) * 2017-09-27 2018-07-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управления им. В.А. Трапезникова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влагосодержания диэлектрической жидкости
RU2659569C1 (ru) * 2017-09-27 2018-07-0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управления им. В.А. Трапезникова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влагосодержания диэлектрической жидкост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076B1 (ko) 1998-10-02 2001-11-03 니시무로 타이죠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도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076B1 (ko) 1998-10-02 2001-11-03 니시무로 타이죠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도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116A (ko)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2961B2 (en) Level measuring instrument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JP2012515347A5 (ko)
DK1910869T3 (da) Lasermåleindretning og fremgangsmåde
JPH10253339A (ja) 音波利用計測方法及び計測装置
JP2009192524A5 (ko)
WO2011086913A1 (ja) 蛍光測定装置及び蛍光測定方法
KR101190153B1 (ko)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수분량 측정방법 및 장치
CN103712639B (zh) 一种光纤布里渊散射频谱的分布式快速检测方法和装置
WO2008155843A1 (ja) 雑音測定装置及び試験装置
US20160097670A1 (en) Resolution mode switching for pulsed radar
KR101190152B1 (ko) 다중 위상차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도 측정방법 및 장치
Lipka et al. Resonator for charge measurement at REGAE
WO2011037887A4 (en) Flow measurement using near field microwaves
US11099051B2 (en) Method and fill level measuring device for determining the fill level of a medium by means of continuous wave radar measurement
JP5082108B2 (ja) ガス成分検出装置
CN116529611A (zh) 声学谐振流体流量测量装置和方法
JP2019100912A (ja) 電磁波を用いた物質の同定装置、同定方法
CN102495277A (zh) 重频抖动脉冲功率测量装置
KR101203041B1 (ko) 위상차를 이용한 정현파 진폭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1044000B1 (ko) 도플러 주파수 측정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더 세트의 시험 시스템
JP2005189245A5 (ko)
WO2019047634A1 (zh) 一种直线距离上平均流体流速测量系统
EA005301B1 (ru) Уровнемер с устройством связи (варианты)
WO2017154731A1 (ja) 振動検査装置
RU2471982C2 (ru) Способ многоточечной калибровки глубины направля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горизонтально направленного бур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