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9742B1 - 침수식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침수식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9742B1
KR101189742B1 KR1020100103385A KR20100103385A KR101189742B1 KR 101189742 B1 KR101189742 B1 KR 101189742B1 KR 1020100103385 A KR1020100103385 A KR 1020100103385A KR 20100103385 A KR20100103385 A KR 20100103385A KR 101189742 B1 KR101189742 B1 KR 101189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dishes
rinsing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955A (ko
Inventor
윤범
Original Assignee
윤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범 filed Critical 윤범
Priority to KR1020100103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974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1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0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by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clean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량의 식기를 동시에 원통에 수납하여 침수한 상태에서 세척하는 침수식 식기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는 구동모터가 장착되는 기계실을 구성하고 기계실 상측으로 외부수도배관이 연결되는 입수부와, 사용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가 구성되는 원통형 저수조를 구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수조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실리콘코팅된 내주면에 실리콘브러시가 부착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부중앙에 바닥면이 드럼 바닥면의 3분의2 이상 차지하며 중앙이 상향 돌출되어 거치대결합부를 구성하고 실리콘 코팅처리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거치대결합부에 결합되고 속이 깊은 식기를 거치하도록 내부에 배기공이 형성된 다수의 실리곤거치봉을 구성한 거치대와; 상기 드럼과 회전판의 회전을 조작하는 조작반으로 구성한 침수식 식기세척기와, 이를 이용하여 실리콘 코팅처리된 철망을 접시가 세워져서 투입되도록 W형으로 구성하고, 그 상단의 전방과 후방에는 요동중심걸이를 형성한 식기세척 광주리에 식기를 담아서 흐르는 물에 식기에 붙은 찌꺼기를 1차로 제거하는 찌꺼기제거공정인 제1공정과;
원통형 저수조의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실리콘코팅된 내주면에 실리콘브러시가 부착된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부중앙에 바닥면이 드럼 바닥면의 3분의2 이상 차지하며 중앙이 상향 돌출되어 실리콘 코팅처리된 회전판을 구성한 침수식 식기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에 세척할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세제를 혼합한 세척수를 저수하는 세척수저수공정인 제2공정과;
상기 찌꺼기제거공정인 제1공정에서 입자가 굵은 찌꺼기가 제거된 식기를 세척수저수공정인 제2공정에서 물과 세제가 혼합되어 세척할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에 넣어서 담가두는 불림공정인 제3공정과;
상기 불림공정인 제3공정에서 물과 세제가 혼합되어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내에서 불려지는 식기를 간헐적으로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물살의 힘과 원통형 저수조 내부의 드럼표면에 일체로 형성된 실리콘브러시와의 마찰로 표면의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잔류하는 음식물을 충분히 불려주는 불림세척공정인 제4공정과;
상기 불림세척공정인 제4공정에서 일부 닦여진 식기를 세제가 혼합되어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내에서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순차로 강하게 회전시켜서 식기들의 마찰과 세제가 혼합된 물과의 마찰과 실리콘브러시와의 마찰로 식기를 세척하는 메인세척공정인 제5공정과;
상기 메인세척공정인 제5공정에서 세제가 혼합되어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내에서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순차로 강하게 회전시켜서 실리콘으로 된 가이드익편에 안내된 식기들의 마찰과 세제가 혼합된 물과의 마찰과 실리콘브러시와의 마찰로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를 배수하고 수납된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깨끗한 헹굼수를 채우는 세척수교체공정인 제6공정과;
상기 1차 물 교체 공정인 제6공정에서 세척한 세척수를 배수하고 깨끗한 헹굼수를 수납된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채운 상태에서 회전판을 회전하여 식기에 잔존하는 세척수를 씻어내는 1차헹굼공정인 제7공정과;
상기 1차헹굼공정인 제7공정에서 식기를 헹군 다음, 1차 헹군 물을 배수하고 새로운 헹굼수를 수납된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채우는 헹굼수교체공정인 제8공정과;
상기 헹굼수교체공정인 제8공정에서 새로운 헹굼수가 채워지면 회전판이 회전하여 식기를 유동시킴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새로운 헹굼수가 보충되면서 헹굼을 끝낸 물이 배수되는 헹굼마무리공정인 제9공정과;
상기 헹굼마무리공정인 제9공정에서 헹굼이 완료되면 헹굼수의 공급을 끝냄과 동시에 헹굼수를 배수하는 헹굼수배수공정인 제10공정과;
상기 헹굼수배수공정인 제10공정에서 헹굼수가 배수되면 회전판과 원통을 동시에 고속 회전하여 식기에 남은 물을 탈수하는 탈수공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침수식 식기세척기{Dishwasher of the water soaking}
본 발명은 다량의 식기를 동시에 원통에 수납하여 침수한 상태에서 세척하는 침수식 식기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량의 음식을 취급하는 식당이나 유흥업소에서 음식물을 담아 먹은 다량의 식기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세척하도록 한 것이다.
문화가 발전하면서 다수의 사람들이 모여서 생활하는 집단생활의 기회가 늘어나고 여기에 따른 음식물도 다량으로 동시에 공급되어 섭취하게 되는바, 이때 사용되는 음식물을 담아 먹는 식기를 세척하는 것이 하나의 문제점으로 되었다.
이에 다량의 음식물을 공급하는 식당이나 유흥업소에서는 취급이 까다로운 사기접시를 배제하고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접시를 사용하고 있으나 사용한 접시를 쉽게 세척하는 장치를 개발하지 못하고 이미 개발된 식기세척기를 사용하거나 인력에 의존하였다.
지금까지의 식기세척기를 살펴보면, 케이스(case)내에 세척실이 구비되고, 상기 세척실 내에는 세척하기 위한 식기들을 정렬시켜 놓을 수 있는 이송랙이 설치되며, 하부에는 식기에 세척수를 분출하는 분사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분사장치는 세척실 바닥으로부터 돌설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송랙 하부에 위치하여 세척수를 상측으로 분출하게 된다.
케이스의 일측에는 급수관이 구비되고, 이 급수관을 통해 급수된 물은 세척실 바닥에 일정량이 채워지게 되는 것으로, 세척실의 바닥에 집수부가 형성되고, 이 집수부는 유로관을 통해 분사장치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 펌프와, 집수부의 물을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펌프가 설치되어 있다.
특허공고 제1994-0009563호(1994.10.15)는 세척실을 복수개의 세척실로 분리형성하고 세척하고자 하는 식기량에 따라 각각의 세척실에 구비된 세척수 분사장치만을 선택적으로 분리운전함으로써 식기 세척에 필요한 물, 세제, 전력이 필요 이상으로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나의 펌프로 세척수의 공급과 배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의 감소 및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밴츄리(Ventri) 효과를 이용하여 세제의 투입량을 정확하게 제어함으로써 세척코스에 따라 정량의 세제를 조절하여 투입시킬 수 있어 세제의 과다사용 및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허공고 제97-010429호(1997.06.26)는 그릴 위에 세척하고자 하는 식기를 올려놓은 뒤 그릴을 세척기 속에 넣고 식기의 상하 측에서 물을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물 분사방식의 세척기가 식기에 묻어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말라 있는 경우, 식기에 물을 분사하더라도 쉽게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식기가 깨끗하게 닦이지 않아 식기를 물속에 넣어 일정시간 식기 불림 작업을 할 수 있는 그릴회전방식(물속 세척방식)에 사용되는 접시를 전용으로 세척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접시 고정용 그릴을 회전시키기 위한 그릴 회전장치를 제공하여 물을 절약하고 보다 빠른 시간에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등록 제10-0194152호(1999.02.08)는 세척조내에 설치되어 세척될 식기를 수용하는 식기세척기용 식기바스켓에 관한 것으로, 틀을 형성하는 와이어와, 바스켓의 저면을 형성하며 식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도록 수회절곡형성된 저면와이어와, 식기의 측방이탈을 방지하는 측면와이어와, 측면와이어를 보강결속하는 중간와이어와, 바스켓의 양측에는 복수의 로울러가 구비되어 있어 세척조의 양측내벽에 설치된 안내레일을 따라 출입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세척될 식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며 소정의 각도범위내에서 회동가능한 가이드랙과, 상기 가이드랙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회동멈춤수단을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현하는데 따른 유사한 기술로 원통형 세탁기를 인용하고 있는바, 일반적으로 가정용 세탁기는 의류와 같은 세탁물을 세탁하는 것으로, 세탁방식으로는 세탁조의 중앙에 치솟은 날개모양의 봉의 회전에 의한 교반식(agitator type)과 원판 모양의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한 와권식(pulsator type) 및 이를 조합한 방식이 있다.
교반식은 물살의 방향(수류)을 상하로 순환시키고, 와권식은 좌우로 순환시킨다. 이러한 물살의 힘이 세탁물에 가해져 세탁물을 흔들거나 비비는 작용을 통해 세탁된다.
원통형 세탁기를 살펴보면, 실용신안등록 제0124117호(1998.06.08)는 봉세탁기용 린트필터에 관한 것으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역할을 하는 거름망, 린트필터를 세탁봉 중심에 형성된 원통형 공간에 착탈시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와 거름망이 고정되어지는 거름망고정판 A가 형성된 프레임 및 이물질걸림턱이 형성되고 역류방지판이 고정되는 거름망고정판 B으로 구성된 것이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38932호(2001.12.17)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와 같은 세척물을 세척하는 바닥에 설치된 펄세이션(회전날개)에 취부된 봉의 외주면에 형상이 다른 브러시체가 소정 간격으로 장착된 자동세탁기용 브러시 세척봉에 관한 것으로, 세탁기에서 펄세이터의 돌출봉에 복수의 브러시체가 장착된 세척봉을 설치하되, 브러시체의 형상을 각기 다르게 하면 이 브러시체에 의해 세척물의 이동이 방해받지 않아 세탁기의 세탁원리와 솔질작용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제1브러시체가 어느 하나의 폭이 다른 폭보다 긴 측면을 가지며, 이 제1브러시체의 긴 폭에 대응하는 제2브러시체의 폭이 이 제2브러시체의 다른 폭보다 짧은 측면을 가지는 것이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3-0019734호(2003.06.23)는 세탁기의 세탁내조에 관한 것으로, 내측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요철부와; 상기 요철부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조립되는 커버; 그리고, 상기 요철부 및 커버의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상승되는 수류를 원활하게 안내하는 것은 물론, 종래의 인너비 조립시 발생되는 틈새를 미연에 방지하여 세탁물의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0-2006-0089680(2006.09.15)는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세탁조의 내면에 들러붙은 잔존 세제와 이물질 찌꺼기를 긁어내는 이물질 제거부재가 세탁드럼의 외면에 보강 설치되어진 구조를 이루므로, 세탁드럼의 둘레면에 구비된 이물질 제거부재가 세탁드럼과 함께 회전되면서 세탁조의 내면에 들러붙은 잔존 세제나 이물질찌꺼기를 긁어내게 되어 세탁조의 내면이 항상 자동으로 청결하게 유지되므로 드럼식 세탁기의 세탁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6-0009775호(1996.04.29)는 세탁기의 세탁물 꼬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밸런스 링의 상면에 얹혀지는 가림판을 가지고, 가림판의 하면 가장자리에 밸런스 링의 내주면 하단에 걸림유지되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걸림편이 형성되며, 가림판의 하면 중앙에 보스가 나사구멍을 갖도록 형성되는 덮개와, 덮개의 나사구멍에 체결되는 나사와; 나사의 하단에 물살과 세탁물의 운동 방향에 대응하여 변형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유연성 봉으로 구성되어, 회전익의 퇴전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물살에 의해 세탁물이 회류될 때 세탁조의 중앙 상부에 위치하는 유연성 봉이 세탁물의 운동 방향에 대응하여 자유자재로 변형되면서 와류 현상을 방지시킬 뿐만 아니라, 세탁조의 중앙으로 몰리는 세탁물을 외측으로 흩으러 주어 세탁물이 꼬임이 방지되고, 유연성 봉이 세탁물을 때려 물살과 함께 충격을 줌과 동시에 물살의 방향을 임의의 방향으로 변경시켜 세탁물을 세탁하게 되므로 세탁 효율을 향상시킨 것이다.
특허출원 제1995-0013339호(1995.05.26)는 세탁물을 세탁시 세탁물의 꼬임을 최소한으로 줄여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세탁물의 세탁력을 향상시켜 줄수 있도록 한 전자동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익으로부터 일어나는 세탁수의 회전수류에 의하여 세탁물이 세탁되는 전자동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익의 상면 중앙에 소정의 크기와 길이를 갖고 설치되어 중앙의 회전수류를 높여주어 꼬임을 방지하여 줌과 동시에 세탁물의 마찰에 의하여 세탁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세탁부재를 갖춘 것이다.
특허공고 제1994-0009563호(1994.10.15), 특허공고 제97-010429호(1997.06.26), 특허등록 제10-0194152호(1999.02.08), 실용신안등록 제0124117호(1998.06.08),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38932호(2001.12.17),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3-0019734호(2003.06.23),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0-2006-0089680호(2006.09.15),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6-0009775호(1996.04.29), 특허출원 제1995-0013339호(1995.05.26)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세척하고자 하는 식기량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물과 세제가 공급되고 일정 시간동안 식기 세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송랙을 다 채울 수 없는 적은 량의 식기를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세척효율이 저하되므로 필요 이상의 물, 세제, 전력을 소비하게 되었다.
더욱이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해 이송랙에 식기가 모두 채워질 때까지 기다릴 경우에는 장시간 방치하는 것에 의해 식기에 묻은 이물질이 굳어서 세척이 어렵거나 다시 세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필요 이상의 과다한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의 전력소모가 증가되고, 세척 펌프와 배수 펌프를 별도로 사용함으로써 부품증가 및 원상상승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의 세제 자동 투입장치에 있어서도 식기 세척기 도어(door) 내측의 하단에 홈을 형성하여, 세척 운전 전 소정량의 세제를 홈에 담은 후 세척을 실시하면 세척수의 분사에 의해 세제가 세척조내로 투입되며, 세척수와 섞이며 한 방식이거나, 또 전기적으로 개폐되는 뚜껑이 달린 세제통을 세척기의 도어 내측 중앙부에 설치하여 세척 전에 소정량의 세제를 담아 뚜껑을 닫은 후 도어를 닫고 세척을 실시하면 어느 시점에서 전기적 신호에 의해 뚜껑이 열려서 세제가 투입되게 한 방식인 것으로, 세제통의 입구를 개폐하거나 세제를 밀어내기 위한 별도의 복잡한 장치로 구성됨으로써 부품을 증가시켜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세제 투입방식은 소정량의 세제가 한꺼번에 세척실 내로 투입되기 때문에 세척시마다 세제를 매번 넣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아울러 식기의 오염종류에 따라 6~12종의 세척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데 각 코스별 세제 투입량을 사용자가 직접 계량하여 넣지 않고는 제품 내부적으로 세제 투입량의 최적 제어가 되지 않음으로써 필요이상으로 세제를 소비하게 되고, 세제의 과다 사용으로 수질 오염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한 지금까지의 식기세척기를 살펴보면 모두가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살수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지금까지의 접시의 세척을 인력에 의존하여 많은 인건비를 발생시키는 문제점과 접시를 세척함에 있어서 고가의 식기세척기를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존의 원통형 세탁방식을 도입한 접시세탁기를 개발하여 다량의 접시를 쉽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에는 구동모터가 장착되는 기계실을 구성하고 기계실 상측으로 외부수도배관이 연결되는 입수부와, 사용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가 구성되는 원통형 저수조를 구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수조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실리콘코팅된 내주면에 실리콘브러시가 부착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부중앙에 바닥면이 드럼 바닥면의 3분의2 이상 차지하며 중앙이 상향 돌출되어 안내봉을 구성하고 실리콘 코팅처리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안내봉에 거치대결합부가 결합되고 속이 깊은 식기(컵)를 거치하도록 내부에 배기공이 형성된 다수의 실리곤거치봉을 구성한 거치대와; 상기 드럼과 회전판의 회전을 조작하는 조작반;으로 구성한 침수식 식기세척기를 이용하여 실리콘 코팅처리된 철망을 접시가 세워져서 투입되도록 W형으로 구성하고, 그 상단의 전방과 후방에는 요동중심걸이를 형성한 식기세척 광주리에 식기를 담아서 흐르는 물에 식기에 붙은 찌꺼기를 1차로 제거하는 찌꺼기제거공정인 제1공정과;
원통형 저수조의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실리콘코팅된 내주면에 실리콘브러시가 부착된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부중앙에 바닥면이 드럼 바닥면의 3분의2 이상 차지하며 중앙이 상향 돌출된 안내봉을 구성하여 실리콘 코팅처리한 회전판을 구성한 침수식 식기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에 세척할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세제를 혼합한 세척수를 저수하는 세척수저수공정인 제2공정과;
상기 찌꺼기제거공정인 제1공정에서 입자가 굵은 찌꺼기가 제거된 식기를 세척수저수공정인 제2공정에서 물과 세제가 혼합되어 세척할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에 넣어서 담가두는 불림공정인 제3공정과;
상기 불림공정인 제3공정에서 물과 세제가 혼합되어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내에서 불려지는 식기를 간헐적으로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물살의 힘과 원통형 저수조 내부의 드럼표면에 일체로 형성된 실리콘브러시와의 마찰로 표면의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잔류하는 음식물을 충분히 불려주는 불림세척공정인 제4공정과;
상기 불림세척공정인 제4공정에서 일부 닦여진 식기를 세제가 혼합되어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내에서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순차로 강하게 회전시켜서 식기들의 마찰과 세제가 혼합된 물과의 마찰과 실리콘브러시와의 마찰로 식기를 세척하는 메인세척공정인 제5공정과;
상기 메인세척공정인 제5공정에서 세제가 혼합되어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내에서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순차로 강하게 회전시켜서 실리콘으로 된 가이드익편에 안내된 식기들의 마찰과 세제가 혼합된 물과의 마찰과 실리콘브러시와의 마찰로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를 배수하고 수납된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깨끗한 헹굼수를 채우는 세척수교체공정인 제6공정과;
상기 1차 물 교체 공정인 제6공정에서 세척한 세척수를 배수하고 깨끗한 헹굼수를 수납된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채운 상태에서 회전판을 회전하여 식기에 잔존하는 세척수를 씻어내는 1차헹굼공정인 제7공정과;
상기 1차헹굼공정인 제7공정에서 식기를 헹군 다음, 1차 헹군 물을 배수하고 새로운 헹굼수를 수납된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채우는 헹굼수교체공정인 제8공정과;
상기 헹굼수교체공정인 제8공정에서 새로운 헹굼수가 채워지면 회전판이 회전하여 식기를 유동시킴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새로운 헹굼수가 보충되면서 헹굼을 끝낸 물이 배수되는 헹굼마무리공정인 제9공정과;
상기 헹굼마무리공정인 제9공정에서 헹굼이 완료되면 헹굼수의 공급을 끝냄과 동시에 헹굼수를 배수하는 헹굼수배수공정인 제10공정과;
상기 헹굼수배수공정인 제10공정에서 헹굼수가 배수되면 회전판과 원통을 동시에 고속 회전하여 식기에 남은 물을 탈수하는 탈수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은 다량의 접시를 동시에 세척하는 원통형 접시세척기를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하여 다량의 접시를 동시에 사용하는 업소에서 작은 인력으로 많은 량의 접시를 쉽게 세척하도록 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하고 접시를 세척하는데 편리하도록 하는 등 그 이용 효과는 대단하다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상태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리콘브러시 구성상태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식기(컵)거치대 구성상태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되는 광주리구성상태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를 나타낸 공정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를 예시한 공정도.
본 발명의 구성과 이를 실시하는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도1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는 구동모터(110)가 장착되는 기계실(101)을 구성하고, 기계실(101) 상측으로 외부수도배관이 연결되는 입수부(11)와 사용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12)가 구성되는 원통형 저수조(10)를 구성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저수조(10)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실리콘코팅(21)된 내주면에 실리콘브러시(22)가 부착되어 구동모터(110)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드럼(20)과; 상기 드럼(20)의 내부중앙에 바닥면이 드럼(20) 바닥면의 3분의2 이상 차지하며 중앙이 상향 돌출되어 안내봉(31)을 구성하고 실리콘 코팅처리되어 구동모터(110)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30)과; 상기 회전판(30)의 안내봉(31)에 거치대결합부(41)에 결합되고 속이 깊은 식기(컵)를 거치하도록 내부에 배기공(45)이 형성된 다수의 실리곤거치봉(43)을 구성한 거치대(40)와; 상기 드럼(20)과 회전판(30)의 회전을 조작하는 조작반(도시하지않음)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의 저수조(10)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실리콘코팅(21)된 내주면에 실리콘브러시(22)가 부착되어 구동모터(110)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드럼(20)은, 실리콘브러시(22)가 중앙은 길고 외측은 짧은 평면상 V형을 이루도록 내주면에 적어도 3곳 이상 상하 어긋나게 간격을 두고 내향 돌설되며, 상기 실리콘브러시(22)가 없는 부분은 물과 찌꺼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배수장공(23)을 타공하여 구성하며, 상기 드럼(20)의 내부중앙에 바닥면이 드럼(20) 바닥면의 3분의2 이상 차지하며 중앙이 상향 돌출되어 안내봉(31)를 구성하고 실리콘 코팅처리되어 구동모터(110)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30)은, 표면에 실리콘으로된 가이드익편(32)이 적어도 3개이상 세로로 길게 형성하며, 상기 안내봉(31)에 거치대결합부(41)가 결합되고 속이 깊은 식기(컵)를 거치하도록 내부에 배기공(45)이 형성된 다수의 실리곤거치봉(43)을 구성한 거치대(40)는, 중앙에 배기공(45)이 형성된 실리콘거치봉(43)을 인접하는 식기(컵)가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배열하여 구성하고, 상기 실리콘거치봉(43)에 형성된 배기공(45)은 암(42)을 통하여 거치대(40)의 내부로 연통되어 식기(컵)속의 공기가 빠지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인 침수식 식기세척기를 실시하는 과정을 공정에 따라 살펴보면,
실시예1
제1공정: 찌꺼기제거공정.
실리콘 코팅처리된 철망을 접시가 세워져서 투입되도록 W형으로 구성하고, 그 상단의 전방과 후방에는 요동중심걸이(51)를 형성한 식기세척 광주리(50)에 식기를 담아서 흐르는 물에 식기에 붙은 찌꺼기를 1차로 제거한다.
이때 상기 광주리(50)는 싱크대에 걸치고 할 수도 있으며, 고압의 물을 살수하는 구성을 별도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제2공정: 세척수저수공정.
원통형 저수조(10)의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실리콘코팅(21)된 내주면에 실리콘브러시(22)가 부착된 드럼(20)과, 상기 드럼(20)의 내부중앙에 바닥면이 드럼(20) 바닥면의 3분의2 이상 차지하며 중앙이 상향 돌출되어 안내봉(31)을 구성하여 실리콘 코팅처리된 회전판(30)을 구성한 침수식 식기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10)에 세척할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세제를 혼합한 세척수를 저수한다.
제3공정: 불림공정.
상기 찌꺼기제거공정인 제1공정에서 입자가 굵은 찌꺼기가 제거된 식기를 세척수저수공정인 제2공정에서 물과 세제가 혼합되어 세척할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10)내부의 드럼(20)에 넣어서 담가둔다.
제4공정: 불림세척공정.
상기 불림공정인 제3공정에서 물과 세제가 혼합되어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10)내부의 드럼(20)에서 불려지는 식기를 드럼(20)과 회전판(30)을 간헐적으로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물살의 힘과 원통형 저수조(10) 내부의 드럼(20)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실리콘브러시(22)와의 마찰로 식기표면의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잔류하는 음식물을 충분히 불린다.
이때 구동모터(110)에 연결되는 전동벨트(111)를 걸어주는 방법에 따라 드럼(20)과 회전판(30)의 회전속도를 서로 다르게 하거나 회전방향을 서로 다르게 하여 마찰력을 증가할 수도 있으며, 드럼(20)은 정지한 상태에서 회전판(30)만 회전시킬 수도 있다.
제5공정: 메인세척공정.
상기 불림세척공정인 제4공정에서 일부 닦여진 식기를 세제가 혼합되어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10)내에서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드럼(20)과 회전판(30)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순차로 강하게 회전시켜서 회전판(30)의 가이드익편(32)에 안내된 식기가 세제가 혼합된 물과, 실리콘브러시(22)와의 마찰로 세척된다.
이때 역시 구동모터(110)에 연결되는 전동벨트(111)를 걸어주는 방법에 따라 드럼(20)과 회전판(30)의 회전속도를 서로 다르게 하거나 회전방향을 서로 다르게 하여 마찰력을 증가할 수도 있으며, 드럼(20)은 정지한 상태에서 회전판(30)만 회전시킬 수도 있다.
제6공정: 세척수교체공정.
상기 메인세척공정인 제5공정에서 세제가 혼합되어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10) 내에서 드럼(20)과 회전판(30)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순차로 강하게 회전시켜서 실리콘으로 된 가이드익편(32)에 안내된 식기들의 마찰과 세제가 혼합된 물과의 마찰과 실리콘브러시(22)와의 마찰로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를 배수하고 수납된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깨끗한 헹굼수를 채운다.
제7공정: 1차헹굼공정.
상기 1차 물 교체 공정인 제6공정에서 세척한 세척수를 배수하고 깨끗한 헹굼수를 수납된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저수조(10)에 채운 상태에서 드럼(20)과 회전판(30)을 회전하여 식기에 잔존하는 세척수를 씻어낸다.
제8공정: 헹굼수교체공정.
상기 1차헹굼공정인 제7공정에서 식기를 헹군 다음, 1차 헹군 물을 배수하고 새로운 헹굼수를 수납된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저수조(10)에 채운다.
제9공정: 헹굼마무리공정.
상기 헹굼수교체공정인 제8공정에서 새로운 헹굼수가 저수조(10)에 채워지면 회전판(30)이 회전하여 식기를 유동시킴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새로운 헹굼수가 보충되면서 헹굼을 끝낸 물을 배수한다.
제10공정: 헹굼수배수공정.
상기 헹굼마무리공정인 제9공정에서 헹굼이 완료되면 헹굼수의 공급을 끝냄과 동시에 헹굼수를 배수한다.
제11공정: 탈수공정.
상기 헹굼수배수공정인 제10공정에서 헹굼수가 배수되면 회전판(30)과 드럼(20)을 일체로 같은 방향으로 좌우 번갈아 고속회전하여 식기에 남은 물을 탈수한다.
실시예2.
제1공정: 세척수저수공정.
원통형 저수조(10)의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실리콘코팅(21)된 내주면에 실리콘브러시(22)가 부착된 드럼(20)과, 상기 드럼(20)의 내부중앙에 드럼(20) 바닥면의 3분의2이상 차지하는 중앙에 안내봉(31)를 구성한 실리콘 코팅처리된 회전판(30)을 구성한 침수식 식기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10)에 세척할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세제를 혼합한 세척수를 저수한다.
제2공정: 식기거치공정.
중앙에 배기공(45)이 형성된 다수의 실리콘거치봉(43)이 구비된 거치대(40)에 내부가 깊은 컵 등의 식기를 각각의 실리콘거치봉(43)에 끼워서 거치한다.
제3공정: 식기침수공정.
상기 식기거치공정인 제2공정에서 식기(컵)를 거치한 거치대(40)를 세척수저수공정인 제1공정에서 세척수가 저장된 침수식 식기세척기의 드럼(20)에 세척수에 잠기도록 담구어 회전판(30)의 안내봉(31)에 거치대(40)의 거치대결합부(41)를 안착하여 결합한다.
이때 식기(컵)속에 있는 공기는 실리콘거치봉(43)의 중앙에 뚫린 배기공(45)을 통하여 암(4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제4공정: 불림공정.
상기 식기침수공정인 제3공정에서 물과 세제가 혼합되어 세척할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10)에 거치대(40)에 걸은 상태로 담가둔다.
제5공정: 불림세척공정.
상기 불림공정인 제4공정에서 물과 세제가 혼합되어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10) 내에서 불려지는 식기를 간헐적으로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물살의 힘과 원통형 저수조(10) 내부의 드럼(20) 내면에 일체로 형성된 실리콘브러시(22)와의 마찰된 식기(컵)가 자전하면서 실리콘거치봉(43)과의 마찰로 닦임과 동시에 잔류하는 음식물을 충분히 불려준다.
제6공정: 메인세척공정.
상기 불림세척공정인 제5공정에서 일부 닦여진 식기를 세제가 혼합되어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10) 내에서 회전판(30)을 돌려서 거치대(40)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순차로 강하게 회전시켜서 식기들이 세제가 혼합된 물과 실리콘브러시(22), 실리콘거치봉(43)과의 마찰로 식기를 세척한다.
제7공정: 세척수교체공정.
상기 메인세척공정인 제6공정에서 세제가 혼합되어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10) 내에서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순차로 강하게 회전시켜서 세제가 혼합된 물과 실리콘브러시(22)와 실리콘거치봉(43)과의 마찰로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를 배수하고 수납된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깨끗한 헹굼수를 저수조(10)에 채운다.
제8공정: 헹굼공정.
상기 1차 물 교체 공정인 제7공정에서 세척한 세척수를 배수하고 깨끗한 헹굼수를 수납된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저수조(10)에 채운 상태에서 회전판(30)을 회전함과 동시에 새로운 헹굼수를 지속적으로 보충하면서 이미 헹군물을 배출하여 식기에 잔존하는 세척수를 씻어낸다.
제9공정: 헹굼수배수공정.
상기 헹굼공정인 제8공정에서 헹굼이 완료되면 헹굼수의 공급을 끝냄과 동시에 헹굼수를 배수한다.
제10공정: 탈수공정.
상기 헹굼수배수공정인 제9공정에서 헹굼수가 배수되면 회전판(30)과 드럼(20)을 동시에 고속 회전하여 식기에 남은 물을 탈수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요식업소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산업상 이용 가치가 대단하다 할 것이다.
10: 저수조 11: 입수부 12: 배수부
20: 드럼 21: 실리콘코팅 22: 실리콘브러시
23: 배수장공 30: 회전판 31: 안내봉
32: 가이드익편 40: 거치대 41: 거치대결합부
42: 암 43: 실리콘거치봉 45: 배기공
50: 광주리 51: 요동중심걸이
100: 본체 101: 기계실 110: 구동모터
111: 전동벨트

Claims (6)

  1. 다량의 식기를 동시에 세척함에 있어서,
    실리콘 코팅처리된 철망을 접시가 세워져서 투입되도록 W형으로 구성하고, 그 상단의 전방과 후방에는 요동중심걸이(51)를 형성한 식기세척 광주리(50)에 식기를 담아서 흐르는 물에 식기에 붙은 찌꺼기를 1차로 제거하는 찌꺼기제거공정인 제1공정과;
    원통형 저수조(10)의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실리콘코팅된 내주면에 실리콘브러시(22)가 부착된 드럼(20)과 상기 드럼(20)의 내부중앙에 바닥면이 드럼(20) 바닥면의 3분의2 이상 차지하며 중앙이 상향 돌출된 안내봉(31)이 형성되어 실리콘 코팅처리된 회전판(30)을 구성한 침수식 식기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10)에 세척할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세제를 혼합한 세척수를 저수하는 세척수저수공정인 제2공정과;
    상기 찌꺼기제거공정인 제1공정에서 입자가 굵은 찌꺼기가 제거된 식기를 세척수저수공정인 제2공정에서 물과 세제가 혼합되어 세척할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10)의 드럼(20) 내부에 투입하여 담가두는 불림공정인 제3공정과;
    상기 불림공정인 제3공정에서 물과 세제가 혼합되어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10)의 드럼(20) 내에서 불려지는 식기를 간헐적으로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물살의 힘과 원통형 저수조(10) 내부의 드럼(20) 내면에 일체로 형성된 실리콘브러시(22)와의 마찰로 식기 표면의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잔류하는 음식물을 충분히 불려주는 불림세척공정인 제4공정과;
    상기 불림세척공정인 제4공정에서 일부 닦여진 식기를 세제가 혼합되어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10)내부의 드럼(20)과 회전판(30)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순차로 강하게 회전시켜서 회전판(30)의 가이드익편(32)에 안내된 식기들이 세제가 혼합된 물과 실리콘브러시(22)와의 마찰로 식기를 세척하는 메인세척공정인 제5공정과;
    상기 메인세척공정인 제5공정에서 세제가 혼합되어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10) 내부의 드럼(20)과 회전판(30)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순차로 강하게 회전시켜서 실리콘으로 된 가이드익편(32)에 안내된 식기들이 세제가 혼합된 물과 실리콘브러시(22)와의 마찰로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를 배수하고 수납된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깨끗한 헹굼수를 저수조(10)에 채우는 세척수교체공정인 제6공정과;
    상기 1차 물 교체 공정인 제6공정에서 세척한 세척수를 배수하고 깨끗한 헹굼수를 수납된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채운 상태에서 드럼(20)과 회전판(30)을 회전하여 식기에 잔존하는 세척수를 씻어내는 1차헹굼공정인 제7공정과;
    상기 1차헹굼공정인 제7공정에서 식기를 헹군 다음, 1차 헹군 물을 배수하고 새로운 헹굼수를 수납된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채우는 헹굼수교체공정인 제8공정과;
    상기 헹굼수교체공정인 제8공정에서 새로운 헹굼수가 채워지면 회전판(30)이 회전하여 식기를 유동시킴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새로운 헹굼수가 보충되면서 헹굼을 끝낸 물이 배수되는 헹굼마무리공정인 제9공정과;
    상기 헹굼마무리공정인 제9공정에서 헹굼이 완료되면 헹굼수의 공급을 끝냄과 동시에 헹굼수를 배수하는 헹굼수배수공정인 제10공정과;
    상기 헹굼수배수공정인 제10공정에서 헹굼수가 배수되면 드럼(20)과 회전판(30)을 동시에 고속 회전하여 식기에 남은 물을 탈수하는 탈수공정인 제11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식 식기세척방법.
  2. 다량의 식기(컵)를 동시에 세척함에 있어서,
    원통형 저수조(10)의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실리콘코팅(21)된 내주면에 실리콘브러시(22)가 부착된 드럼(20)과, 상기 드럼(20)의 내부중앙에 드럼(20) 바닥면의 3분의2이상 차지하는 중앙에 안내봉(31)을 구성하여 실리콘 코팅처리된 회전판(30)을 구성한 침수식 식기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10)에 세척할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세제를 혼합한 세척수를 저수하는 세척수저수공정인 제1공정과;
    중앙에 배기공(45)이 형성된 다수의 실리콘거치봉(43)이 구비된 거치대(40)에 내부가 깊은 컵 등의 식기를 각각의 실리콘거치봉(43)에 거치하는 식기거치공정인 제2공정과;
    상기 식기거치공정인 제2공정에서 식기를 거치한 거치대(40)를 세척수저수공정인 제1공정에서 세척수가 저장된 침수식 식기세척기의 드럼(20)에 세척수에 잠기도록 담구어 회전판(30)의 안내봉(31)에 거치대(40)의 거치대결합부(41)를 결합하는 식기침수공정인 제3공정과;
    상기 식기침수공정인 제3공정에서 물과 세제가 혼합되어 세척할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10)의 드럼(20) 내부의 회전판(30)에 거치대(40)를 결합하여 실리콘거치봉(43)에 식기(컵)를 걸어서 담가두는 불림공정인 제4공정과;
    상기 불림공정인 제4공정에서 물과 세제가 혼합되어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10) 내부의 드럼(20) 내에서 불려지는 식기를 간헐적으로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물살의 힘과 원통형 저수조 내부의 드럼(20)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실리콘브러시(22)와 실리콘거치봉(43)과의 마찰로 닦아줌과 동시에 잔류하는 음식물을 충분히 불려주는 불림세척공정인 제5공정과;
    상기 불림세척공정인 제5공정에서 일부 닦여진 식기를 세제가 혼합되어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10) 내에서 드럼(20)과 회전판(20)을 회전하여 상기 회전판(30)에 일체로 결합된 거치대(40)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순차로 강하게 회전시켜서 식기들이 세제가 혼합된 물과 실리콘브러시(22), 실리콘거치봉(43)과의 마찰로 식기를 세척하는 메인세척공정인 제6공정과;
    상기 메인세척공정인 제6공정에서 세제가 혼합되어 저수된 세척기의 원통형 저수조(10) 내에서 거치대(40)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순차로 강하게 회전시켜서 세제가 혼합된 물과의 실리콘브러시(22)와, 실리콘거치봉(43)과의 마찰로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를 배수하고 수납된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깨끗한 헹굼수를 채우는 세척수교체공정인 제7공정과;
    상기 1차 물 교체 공정인 제7공정에서 세척한 세척수를 배수하고 깨끗한 헹굼수를 수납된 식기의 량에 따라 상, 중, 하로 선택하여 채운 상태에서 회전판(30)을 회전하여 거치대(40)를 회전함과 동시에 새로운 헹굼수를 지속적으로 보충하면서 이미 헹군물을 배출하여 식기에 잔존하는 세척수를 씻어내는 헹굼공정인 제8공정과;
    상기 헹굼공정인 제8공정에서 헹굼이 완료되면 헹굼수의 공급을 끝냄과 동시에 헹굼수를 배수하는 헹굼수배수공정인 제9공정과;
    상기 헹굼수배수공정인 제9공정에서 헹굼수가 배수되면 드럼(20)과 회전판(30)을 동시에 고속 회전하여 거치대(40)를 고속회전 함으로써 식기에 남은 물을 탈수하는 탈수공정인 제10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식 식기세척방법.
  3. 다량의 식기를 동시에 세척하는 식기세척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부에는 구동모터(110)가 장착되는 기계실(101)을 구성하고 기계실(101) 상측으로 외부수도배관이 연결되는 입수부(11)와, 사용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12)가 구성되는 원통형 저수조(10)를 구성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저수조(10)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실리콘코팅(21)된 내주면에 실리콘브러시(22)가 부착되어 구동모터(110)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드럼(20)과;
    상기 드럼(20)의 내부중앙에 바닥면이 드럼(20) 바닥면의 3분의2 이상 차지하며 중앙이 상향 돌출되어 안내봉(31)을 구성하고 실리콘 코팅처리되어 구동모터(110)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30)과;
    상기 안내봉(31)에 거치대결합부(41)가 결합되고 속이 깊은 식기(컵)를 거치하도록 내부에 배기공(45)이 형성된 다수의 실리곤거치봉(43)을 구성한 거치대(40)와; 상기 드럼(20)과 회전판(30)의 회전을 조작하는 조작반(도시하지않음)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식 식기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저수조(10)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실리콘코팅(21)된 내주면에 실리콘브러시(22)가 부착되어 구동모터(110)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드럼(20)은, 전체가 실리콘으로 코팅되고 내주면에 구성한 실리콘브러시(22)가 중앙은 길고 외측은 짧은 평면상 V형을 이루도록 적어도 3곳 이상 상하 어긋나게 간격을 두고 내향돌설되며 상기 실리콘브러시(22)가 없는 부분은 물과 찌꺼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타공하여 배수장공(23)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식 식기세척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20)의 내부중앙에 바닥면이 드럼(20) 바닥면의 3분의2 이상 차지하며 중앙이 상향 돌출되어 안내봉(31)을 구성하여 실리콘 코팅처리되어 구동모터(110)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30)은, 표면에 실리콘으로된 가이드익편(32)이 적어도 3개 이상 세로로 길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식 식기세척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30)의 안내봉(31)에 거치대결합부(41)가 결합되어 속이 깊은 식기를 거치하도록 내부에 배기공(45)이 형성된 다수의 실리곤거치봉(43)을 구성한 거치대(40)는, 중앙에 배기공(45)이 형성된 실리콘거치봉(43)을 인접하는 식기(컵)가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배열하여 구성하고, 상기 실리콘거치봉(43)에 형성된 배기공(45)은 암(42)을 통하여 거치대(40)의 내부로 연통되어 식기(컵)속의 공기가 빠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식 식기세척기.
KR1020100103385A 2010-10-22 2010-10-22 침수식 식기세척기 KR101189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385A KR101189742B1 (ko) 2010-10-22 2010-10-22 침수식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385A KR101189742B1 (ko) 2010-10-22 2010-10-22 침수식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955A KR20120041955A (ko) 2012-05-03
KR101189742B1 true KR101189742B1 (ko) 2012-10-15

Family

ID=4626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385A KR101189742B1 (ko) 2010-10-22 2010-10-22 침수식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9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1880A (zh) * 2014-04-30 2015-11-04 周伟强 滚桶(框)洗碗机
TWI764217B (zh) * 2020-07-31 2022-05-11 伍杉達 餐具洗滌裝置及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090Y1 (ko) 2001-12-17 2002-03-18 이영남 자동세탁기용 브러시 세척봉
JP2004024799A (ja) 2002-06-24 2004-01-29 Shoji Sawada ブラシによる自動食器洗い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090Y1 (ko) 2001-12-17 2002-03-18 이영남 자동세탁기용 브러시 세척봉
JP2004024799A (ja) 2002-06-24 2004-01-29 Shoji Sawada ブラシによる自動食器洗い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955A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124B1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CN102373602B (zh) 滚筒式洗衣机
EP2664703A1 (en) Drum laundry machine
RU2537129C2 (ru)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е ополаскивание посуды
US20080115294A1 (en) Method for Cleaning and Waterproofing Textiles
CN104963173A (zh) 一种洗衣机的洁桶方法以及洗衣机
KR20050014761A (ko) 식기 세척기
TWI243866B (en) Method for cleaning a washing machine
KR101189742B1 (ko) 침수식 식기세척기
CN112220411A (zh) 一种电动拖把清洁系统
CN114224247A (zh) 一种具有清洗座的表面清洁机的自清洗方法
CA2496601A1 (en) Self-cleaning spinner top
CN107177953B (zh) 一种絮凝洗衣机及控制方法
CN105088623B (zh) 一种滚筒洗衣机控制方法及滚筒洗衣机
EP1973459B1 (en) Dish washer
JP2010263941A (ja) 食器洗浄機
EP292670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hwasher
EP2143838A1 (en) Washing cycle profile included laundry repartition and laundry release
JP3524820B2 (ja) 食器洗浄機
KR20210065497A (ko) 콤보형 식기세척기
WO2014102319A1 (en) A dishwasher comprising a storage tank
CN214128453U (zh) 一种自动清洗甩干的电动拖把系统
CN108888218A (zh) 一种家用洗碗机
CN109199281B (zh) 具备水力空化机构的清洗器具
CN212438495U (zh) 一种电动拖把清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