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9195B1 - 배관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9195B1
KR101189195B1 KR1020110095711A KR20110095711A KR101189195B1 KR 101189195 B1 KR101189195 B1 KR 101189195B1 KR 1020110095711 A KR1020110095711 A KR 1020110095711A KR 20110095711 A KR20110095711 A KR 20110095711A KR 101189195 B1 KR101189195 B1 KR 101189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otective tube
shaft
hook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배
Original Assignee
충청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청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충청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5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9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16L57/02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against cracking or buck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배관에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두 개로 분리되고 분리된 일 측단이 서로 힌지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부재와 제2부재를 포함하여 배관의 외측을 감싸는 보호관과, 상기 보호관의 제1부재와 제2부재에 설치되어 배관을 감싼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배관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관 보호 장치{DEVICE FOR PROTECTING PIPE}
본 발명은 매설된 배관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시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배관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나 상하수 등을 이송하기 위한 배관은 지중에 매설하여 시공하게 된다.
지중 매설되는 배관은 법적으로 기준 매설 심도와 이격거리 등을 확보하여 시공하게 되어 있다. 법적인 기준 매설 심도 및 이격거리가 미확보되는 경우에는 배관의 재질과 동등 이상의 기계적 강도를 갖는 금속재의 보호관 또는 보호판을 설치하여 배관을 보호하여야 한다.
보호판은 시공 용이성 측면에서 우수하나 배관의 보호 측면은 약하다. 보호관은 배관의 건전성 확보나 배관 파손의 위해 요인으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배관을 보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우수하다.
그러나, 종래의 보호관 시공 구조는 배관 연결 작업 전에 심도 미달이나 이격 거리 미확보된 구간의 배관에 미리 보호관을 끼워 설치한 후 배관 연결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배관 연결 작업에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배관 연결 작업 후에 심도 미달이나 이격 거리 미확보로 인해 보호관 시공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보호관을 반으로 절단하여 배관에 설치하고 보호관을 다시 용접하여 부착해야 한다. 이에 작업이 불편하고 용이하지 않으며, 보호관을 용접 시공하는 과정에서 피복 손상 등 배관의 안전관리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보호관의 경우 수직으로 배치된 배관에는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보호관 시공시 배관과 보호관 사이에는 충격완화와 기밀 유지를 위한 탄성부재(smoother)가 설치되는 데, 탄성부재가 보호관과 별도로 설치됨에 따라 설치 과정이 복잡해지고 보호관과 탄성부재 사이의 유격이 발생되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배관에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된 배관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연결작업이 완료된 배관에 대해서도 용이하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된 배관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시공시 배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배관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배관과 보호관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배관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두 개로 분리되고 분리된 일 측단이 서로 힌지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부재와 제2부재를 포함하여 배관의 외측을 감싸는 보호관과, 상기 보호관의 제1부재와 제2부재에 설치되어 배관을 감싼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상기 보호관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배관과 보호관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보호관의 양 선단쪽에 설치되고, 배관과 접하는 면에는 배관과 대응되는 형태의 홈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제1부재에 설치되는 후크부재와, 상기 후크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부재에 설치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에 일단이 축결합되어 회동되는 작동바, 상기 축부재에 이격되어 상기 작동바에 설치되는 작동축, 상기 작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재 쪽으로 연장되어 후크부재에 걸리도록 된 걸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작동축에 대해 걸쇠부재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걸쇠부재 선단이 상기 작동축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걸쇠부재 선단에 수나사가 가공되어 조절용 너트가 체결된 구조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배관의 시공상태나 구조 또는 연결작업 완료 여부에 관계없이 배관의 필요 구간에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보호관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호관 고정이 간단하여 용접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배관 파손 등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호관 내에 완충부재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서, 완충부재의 시공이 용이하며, 완충부재가 보호관으로부터 이격되어 보호관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에에 따른 배관 보호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호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호장치의 결합구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는 배관(100)을 감싸는 보호관(10)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관(10)은 배관(100)의 단면형태와 같이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로 분리되어 반원형 단면구조를 갖는 제1부재(11)와 제2부재(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부재(11)와 제2부재(12)는 분리된 일 측단이 힌지축(13)으로 연결되어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상기 보호관(10)은 힌지결합된 제1부재(11)와 제2부재(12)를 회동시켜 벌려주거나 오므려 원통형태를 이룸으로써 배관(100) 외측을 감쌀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호장치는 상기 보호관(10)의 내주면에 부착 설치되어 배관(100)과 보호관(10)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재(20)는 보호관(10)과 배관(100) 사이의 틈새를 막아줌과 더불어 배관(100)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완충부재(2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재질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완충부재(20)는 보호관(10)을 이루는 제1부재(11)의 내주면과 제2부재(12)의 내주면에 각각 설치되며, 배관(100)과 접하는 면에는 배관(100)과 대응되는 형태의 홈(22)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상기 제1부재(11)에 설치된 완충부재(20)와 제2부재(12)에 설치된 완충부재(20)는 서로 합쳐져 도넛 형태를 이루어 배관(100)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20)는 제1부재(11)와 제2부재(12)의 내주면 전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와 같이 제1부재(11)와 제2부재(12)의 선단쪽 즉, 보호관(10)의 선단쪽에만 소정 폭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관(10) 내면에 완충부재(20)가 부착설치되어 있어, 보호관(10)의 시공만으로 완충부재(20)를 같이 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관(10)에는 제1부재(11)와 제2부재(12)에 설치되어 배관(100)을 감싼 제1부재(11)와 제2부재(12)를 결합하여 배관(100)을 감싼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3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제1부재(11)에 설치되는 후크부재(31)와, 상기 후크부재(31)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부재(12)에 설치되는 축부재(32)와, 상기 축부재(32)에 일단이 축결합되어 회동되는 작동바(33), 상기 축부재(32)에 이격되어 상기 작동바(33)에 설치되는 작동축(34), 상기 작동축(34)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재(31) 쪽으로 연장되어 후크부재(31)에 걸리도록 된 걸쇠부재(35)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부재(31)와 걸쇠부재(35)가 설치되는 축부재(32)는 각각 제1부재(11)와 제2부재(12)의 자유단인 힌지축(13) 반대쪽 측단쪽에 설치된다. 이에 제1부재(11)와 제2부재(12)는 분리된 일측단이 힌지축(13)으로 결합되고, 타측단은 후크부재(31)와 걸쇠부재(35)에 의해 고정되어 원통형태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30)는 두 개가 간격을 두고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으나, 중앙에 하나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보호관(10)의 길이나 요구되는 결합력에 따라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상기 작동축(34)은 작동바(33)의 양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작동바(33)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걸쇠부재(35)는 U자 형태로 굽어진 구조이며, 양 선단이 각각 작동바(33)의 양 측면으로 돌출된 작동축(34)에 결합된다.
이에 상기 걸쇠부재(35)의 선단을 후크부재(31)에 걸고 축부재(32)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작동바(33)를 회동시키게 되면 작동바(33)에 설치된 작동축(34)이 이동되면서 작동축(34)에 결합된 걸쇠부재(35)가 당겨져 후크부재(31)와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작동축(34)에 대해 걸쇠부재(35)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걸쇠부재(35) 선단이 상기 작동축(34)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걸쇠부재(35) 선단에 수나사가 가공되며, 상기 걸쇠부재(35) 선단에 조절용 너트(36)가 체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상기 걸쇠부재(35)에 설치된 너트(36)를 조이거나 풀어주게 되면 작동축(34)에서부터 걸쇠부재(35) 선단까지의 길이가 가변된다. 상기 걸쇠부재(35)는 후크부재(31)에 걸려 고정되는 것으로, 걸쇠부재(35)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후크부재(31)에 대한 걸쇠부재(35)의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보호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호가 필요한 배관(100)의 일측 구간에 보호관(10)을 설치하기 위해, 먼저 보호관(10)을 구성하는 제1부재(11)와 제2부재(12)를 회동시켜 외측으로 벌려준다.
제1부재(11)와 제2부재(12)가 벌려지면 보호관(10)은 내부가 개방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로 작업자는 배관(100)을 보호관(10)의 내부에 위치시킨다.
이에 배관(100)은 제1부재(11) 또는 제2부재(12)에 설치된 완충부재(20)의 홈(22)에 밀착되면서 보호관(10) 내에 놓여진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제1부재(11)와 제2부재(12)를 모아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배관(100)의 외측을 보호관(10)으로 감싸게 된다. 즉, 제1부재(11)와 제2부재(12)가 회동되어 오므려짐에 따라 보호관(10)은 원통형태를 이루어 배관(100)을 감싸게 되는 것이다.
제1부재(11)와 제2부재(12)의 자유단이 모아져 접하게 되면 걸쇠부재(35)를 후크부재(31)에 걸고 작동바(33)를 반대쪽으로 회동하여 걸쇠부재(35)를 후크부재(31)에 고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쇠부재(35)가 후크부재(31)에 걸린 상태에서 작동바(33)가 회동되면 작동바(33)가 결합된 축부재(32)에서 이격되어 있는 작동축(34)이 작동바(33)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작동축(34)에는 걸쇠부재(35)가 결합되어 있어서 작동축(34)이 이동함에 따라 걸쇠부재(35)가 작동축(34)을 따라 당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걸쇠부재(35)가 당겨짐에 따라 걸쇠부재(35) 선단은 후크부재(31)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걸쇠부재(35)가 설치된 제2부재(12)와 후크부재(31)가 설치된 제1부재(11)가 서로 맞물려 고정되고, 제1부재(11)와 제2부재(12)가 원통형태의 보호관(10)을 이루어 배관(100) 외측에 간단히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보호관 11 : 제1부재
12 : 제2부재 13 : 힌지축
20 : 완충부재 30 : 결합부
31 : 후크부재 32 : 축부재
33 : 작동바 34 : 작동축
35 : 걸쇠부재 36 : 너트

Claims (6)

  1. 지중에 매설된 배관을 보호하기 위한 배관 보호장치에 있어서,
    두 개로 분리되고 분리된 일 측단이 서로 힌지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부재와 제2부재를 포함하여 배관의 외측을 감싸는 보호관과, 상기 보호관의 제1부재와 제2부재에 설치되어 배관을 감싼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 상기 보호관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배관과 보호관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보호관의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양 선단쪽에 각각 부착 설치되고, 배관과 접하는 면에는 배관과 대응되는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서로 합쳐져 도넛 형태를 이루는 구조의 배관 보호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제1부재에 설치되는 후크부재와, 상기 후크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부재에 설치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에 일단이 축결합되어 회동되는 작동바, 상기 축부재에 이격되어 상기 작동바에 설치되는 작동축, 상기 작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재 쪽으로 연장되어 후크부재에 걸리도록 된 걸쇠부재를 포함하는 배관 보호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작동축에 대해 걸쇠부재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보호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걸쇠부재 선단이 상기 작동축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걸쇠부재 선단에 수나사가 가공되어 조절용 너트가 체결된 구조의 배관 보호장치.
KR1020110095711A 2011-09-22 2011-09-22 배관 보호 장치 KR101189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711A KR101189195B1 (ko) 2011-09-22 2011-09-22 배관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711A KR101189195B1 (ko) 2011-09-22 2011-09-22 배관 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9195B1 true KR101189195B1 (ko) 2012-10-09

Family

ID=47287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711A KR101189195B1 (ko) 2011-09-22 2011-09-22 배관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91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785A (ko) * 2020-02-03 2021-08-11 이성재 벨로우즈용 커버
RU211380U1 (ru) * 2021-10-08 2022-06-0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пром трансгаз Ухта"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кашива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и элементов озеленения
US11946571B1 (en) * 2020-01-16 2024-04-02 Allan John Edwards, IV Temporary pipeline protection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464Y1 (ko) * 2005-01-18 2005-05-27 윤석은 파형 강관 연결장치
JP2008095922A (ja) * 2006-10-16 2008-04-24 Maruichi Fujii:Kk 配管などの接続部の保護カバー
KR100853674B1 (ko) * 2008-02-15 2008-08-25 주식회사 아람엔지니어링 지중 케이블 보호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464Y1 (ko) * 2005-01-18 2005-05-27 윤석은 파형 강관 연결장치
JP2008095922A (ja) * 2006-10-16 2008-04-24 Maruichi Fujii:Kk 配管などの接続部の保護カバー
KR100853674B1 (ko) * 2008-02-15 2008-08-25 주식회사 아람엔지니어링 지중 케이블 보호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6571B1 (en) * 2020-01-16 2024-04-02 Allan John Edwards, IV Temporary pipeline protection apparatus
KR20210098785A (ko) * 2020-02-03 2021-08-11 이성재 벨로우즈용 커버
KR102370224B1 (ko) * 2020-02-03 2022-03-03 이성재 벨로우즈용 커버
RU211380U1 (ru) * 2021-10-08 2022-06-0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пром трансгаз Ухта"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кашива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и элементов озеленени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0326B2 (ja) 地中埋設ケーブル等に対する地盤変動時の保護方法及びその保護装置
US20170018871A1 (en) Protective sleeve for weatherproofing boot for interface of cable to remote radio head
KR101448173B1 (ko)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KR101189195B1 (ko) 배관 보호 장치
JP2013043717A (ja) 電気車両用充電装置
KR102236448B1 (ko) 전주용 접지몰딩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주
KR101569868B1 (ko) 토압으로부터 지중 배전선로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장치
US10415608B2 (en) Hydraulic cylinder cover
JP6506727B2 (ja) ケーブル保護管防護金具およびケーブル保護管防護金具の設置方法
KR102110872B1 (ko) 간접활선용 건축용 방호관
JP5485670B2 (ja) 絶縁用防護管
KR101405767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와이어링 하네스 체인-도어 연결장치
JP4832233B2 (ja) 電線管
JP2018046645A (ja) ケーブル保護管防護金具
KR101047143B1 (ko) 지중송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1217847B1 (ko) 지중 송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0771424B1 (ko) 건축단지내 지중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JP2019187013A (ja) 電線防護カバー
JP2008245417A (ja) ケーブル保護管及び分岐管継手
KR200398712Y1 (ko) 파형관 연결구조
KR20140070760A (ko) 케이블 보호구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보호파이프
KR102602442B1 (ko) 배관 개구부 안전망 장치
KR102525453B1 (ko)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1358032B1 (ko) 고주파 케이블 보호용 금속관의 연결장치
JP5952222B2 (ja) 保護管及びロック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