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452B1 -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 및 이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 및 이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452B1
KR102525452B1 KR1020220099778A KR20220099778A KR102525452B1 KR 102525452 B1 KR102525452 B1 KR 102525452B1 KR 1020220099778 A KR1020220099778 A KR 1020220099778A KR 20220099778 A KR20220099778 A KR 20220099778A KR 102525452 B1 KR102525452 B1 KR 102525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tube
detachable
inlet portion
inle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7184A (ko
Inventor
성정수
정현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99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452B1/ko
Publication of KR20220117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전력구내 인출입구 관통부에 용이하게 사용가능하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이 개시된다.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은, 중공이 형성되며 탈부착 가능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말단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와 함께 탈부착이 가능한 입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 및 이의 조립 방법{Detachable guide pip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지중 케이블 포설용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 및 이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구 내 인출입구 관통부 및 케이블 처리실에서 지중 케이블을 포설시 전력구 내 인출입구 관통부의 콘크리트 외벽, 케이블 처리실 내의 각종 금구류 등 장애물이 있다. 따라서, 지중 케이블 포설 및 철거시 외피 손상을 보호하기 위해 파형관을 필요한 만큼 잘라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파형관 끝부분의 매끄럽지 못한 부분으로 외피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력구 내 인출입구 관통부에 사용하는 별도의 보호관이 없어 라바콘을 잘라서 사용하는 등 작업효율이 상당히 저하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지중선로 입선용 원형 롤러가 제안되었다. 그런데, 이 지중선로 입선용 원형 롤로의 경우, 케이블 포설시는 보호관을 사용가능 하나 포설완료 후에는 분리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호관을 제거하려면 케이블이 절단된 위치까지 보호관을 이동시켜야 제거가 가능하여 작업시간이 과다 소요되는 등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1.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8-0024123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력구내 인출입구 관통부에 용이하게 사용가능하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 및 이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도록 분리 가능하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 및 이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전력구내 인출입구 관통부에 용이하게 사용가능하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을 제공한다.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은,
중공이 형성되며 탈부착 가능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말단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와 함께 탈부착이 가능한 입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돌기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 패턴은 단면이 반원형 형상, 육각형 형상, 및 팔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구부는 몸체의 말단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지름이 증가하는 나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구부의 재질은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말단면과 상기 입구부의 말단면은 접착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원통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의 접합면에는 돌기 또는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는 고정 밴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구부는 상부 입구부와 하부 입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입구부 및 상기 하부 입구부의 접합면에는 돌기 또는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a) 중공이 형성되며 탈부착 가능한 몸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몸체와 함께 탈부착이 가능한 입구부를 상기 몸체의 말단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의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구내 인출입구 관통부 및 케이블 처리실에서 케이블을 포설 및 철거시 인출입구 관통부의 콘크리트 외벽, 케이블 처리실 내의 각종 장애물로 인한 케이블 포설 및 철거시 외피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파형관에 연결되는 보호관을 제작/활용함으로써 케이블의 외피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불가하였던 보호관의 분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크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호관을 주름관에 삽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호관을 정면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호관이 분리된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보호관이 전력구내 인출입구 관통부에 삽입되기전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보호관이 전력구내 인출입구 관통부에 삽입된 후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보호관 외부에 사용되는 고정 밴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고정 밴드의 측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 및 이의 조립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10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중공이 형성된 몸체(110), 이 몸체(100)의 말단에 결합되는 입구부(12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110)는 원통관이며, 재질은 비철금속,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0)의 외주면에는 돌기 패턴(111)이 형성된다. 돌기 패턴(111)은 나선형으로 단면이 반원형 형상이 될 수 있다. 물론, 육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도 가능하다.
입구부(120)는 나팔 형상으로 몸체(110)의 말단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지름이 증가하는 형상이다. 입구부(120)의 재질은 고무가 사용될 수 있다.
입구부(120)의 말단면과 몸체(110)의 말단면은 접착제로 접착된다. 접착제로는 에폭시, 폴리우레탄, CR(Polychloroprene)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호관(110)을 전주 파형관(212)에 삽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주 파형관(212)은 나선형으로 요철구조가 반복되는 형상이다. 따라서, 보호관(110)의 몸체(110)의 말단을 전주 파형관(212)에 회전하여 삽입하면, 몸체(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기 패턴(111)이 전주 파형관(212)의 내측에 형성된 요철 구조에 삽입되면서 정합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호관(100)을 정면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호관(100)의 앞단에 입구부(120)가 형성되고, 후단에 몸체(110)가 형성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호관이 분리된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호관(100)은 분리되는 구조, 상부 보호관(410)과 이 상부 보호관(410)에 결합되는 하부 보호관(420)으로 구성된다. 상부 보호관(410)과 하부 보호관(420)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위해서는 몸체(110), 입구부(120)의 가로 단면에 요철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몸체(110) 및 보호관(100)은 2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몸체(110)는 상부 몸체(411)와 이 상부 몸체(411)에 요철 구조로 결합되는 하부 몸체(41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요철 구조는 몸체(110) 및/또는 입구부(12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몸체(411)의 접합면에는 돌기(401)가 형성되고, 하부 몸체(412)의 접합면에는 요홈(402)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돌기(401) 및 요홈(402)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즉, 상부 몸체(411)의 접합면에는 요홈이 하부 몸체(412)의 접합면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401) 및 요홈(402)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단면으로 형성된다.
이와 유사하게, 입구부(120)는 상부 입구부(421)와 하부 입구부(4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입구부(421) 및 상기 하부 입구부(422)의 접합면에는 돌기(401) 또는 요홈(4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 및 요홈 구조로 인해 상부 몸체(411) 및 하부 몸체(412), 상부 입구부(421)와 하부 입구부(422)간 결합 밀착력을 높인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보호관(100)이 전력구내 인출입구 관통부(510)에 삽입되기전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력구내 인출입구 관통부(510)에 형성된 관통홀(511)에 지중 케이블(520)을 포설하고, 상부 보호관(410)과 하부 보호관(420)이 지중 케이블(520)을 감싼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보호관(100)이 전력구내 인출입구 관통부(510)에 삽입된 후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력구내 인출입구 관통부(510)의 관통홀(511)에 보호관(100)이 완전하게 삽입 조립된 상태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보호관(100) 외부에 사용되는 고정 밴드(700)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510)의 관통홀(511)에 보호관(100)이 완전하게 삽입 조립된 상태에 고정 밴드(700)로 보호관(100)의 외부를 완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고정 밴드(700)는 돌기(730), 밴드 버클(720), 걸림턱(740)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걸림턱(740)에는 굽힘 점선(710)이 구성된다.
걸림틱(740)이 위치하는 부위의 길이는 약 25mm이고, 굽힘 점선(710)으로부터 돌기(730)의 끝단까지 길이는 약 445mm이고, 고정 밴드(700)의 전체 길이는 약 470mm이가 된다. 또한, 고정 밴드(700)의 폭은 약 15mm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고정 밴드(700)의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돌기(730)의 직경은 5mm가 될 수 있다.
물론, 고정 밴드(700)이외에도 벨크로 등도 사용될 수 있다.
100: 보호관
110: 몸체
111: 돌기 패턴
120: 입구부
410: 상부 보호관
411: 상부 몸체 412: 하부 몸체
420: 하부 보호관
421: 상부 보호관 422: 하부 보호관
700: 고정 밴드

Claims (1)

  1. 중공이 형성되며 탈부착 가능한 몸체(110); 및
    상기 몸체(110)의 말단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110)와 함께 탈부착이 가능한 입구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으로 요철구조가 반복되는 형상를 갖는 전주 파형관(212)에 회전하여 삽입되는 나선형의 돌기 패턴(111)이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120)는 몸체(110)의 말단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지름이 증가하는 나팔 형상이고,
    상기 몸체(110)는 원통관 형상이고,
    상기 몸체(110)는 상부 몸체(411)와 하부 몸체(4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몸체(411) 및 상기 하부 몸체(412)의 접합면에는 돌기(401) 또는 요홈(402)이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120)는 상부 입구부(421)와 하부 입구부(4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
KR1020220099778A 2020-05-20 2022-08-10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2525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778A KR102525452B1 (ko) 2020-05-20 2022-08-10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 및 이의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408A KR102433165B1 (ko) 2020-05-20 2020-05-20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20220099778A KR102525452B1 (ko) 2020-05-20 2022-08-10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 및 이의 조립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408A Division KR102433165B1 (ko) 2020-05-20 2020-05-20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 및 이의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184A KR20220117184A (ko) 2022-08-23
KR102525452B1 true KR102525452B1 (ko) 2023-04-26

Family

ID=7869799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408A KR102433165B1 (ko) 2020-05-20 2020-05-20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20220099779A KR102525453B1 (ko) 2020-05-20 2022-08-10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20220099778A KR102525452B1 (ko) 2020-05-20 2022-08-10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 및 이의 조립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408A KR102433165B1 (ko) 2020-05-20 2020-05-20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20220099779A KR102525453B1 (ko) 2020-05-20 2022-08-10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 및 이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331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004B1 (ko) 2010-03-29 2010-08-25 (주)클립이엔지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관
KR200475423Y1 (ko) 2014-07-11 2014-12-02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케이블 보호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573Y1 (ko) * 1994-05-09 1996-12-20 이차주 도관전선반경관과 연결결합장치
KR20130007312U (ko) * 2013-12-09 2013-12-23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동일한 구조의 서브 케이블 보호관들로 이루어진 케이블 보호관
KR20180024123A (ko) 2016-08-28 2018-03-08 양희성 지중선로 입선용 원형롤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004B1 (ko) 2010-03-29 2010-08-25 (주)클립이엔지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관
KR200475423Y1 (ko) 2014-07-11 2014-12-02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케이블 보호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121A (ko) 2022-08-22
KR102433165B1 (ko) 2022-08-18
KR102525453B1 (ko) 2023-04-26
KR20210143527A (ko) 2021-11-29
KR20220117184A (ko)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5675A (en) Bendable protective tube for buried cables
US20200018916A1 (en) Fiber optic pulling grip assembly
JP5662783B2 (ja) 管の接続構造
KR102525453B1 (ko)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관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1491010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연결 컨넥터
KR100962905B1 (ko) 광섬유 케이블 보호용 모듈러 구조체 및 모듈러 구조체를 이용한 광섬유 케이블 보호 방법
KR20020042997A (ko) 통신구용 내관
KR101491008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KR101666912B1 (ko) 통신선용 보호관
KR102447223B1 (ko) 광케이블 통신관용 외관 탈피기구
DE50008745D1 (de) Anschlussmuffe für einen mit einer Schutzhülle für zugentlastete elektrische Leiter versehenen Saugschlauch
JP4540459B2 (ja) 分岐用管継手の保護構造及びその敷設方法
KR101189195B1 (ko) 배관 보호 장치
JP4254376B2 (ja) 接続用継手
KR102116101B1 (ko) 파형관 이음부재
KR102562453B1 (ko) 삽입식 이음관 고무링 설치장치
KR200340291Y1 (ko) 일체형 전선 방호관
JPS6014568B2 (ja) 電線管路構成用硬質樹脂製可撓管のマンホ−ル側壁への埋入固定方法
JP3830482B2 (ja) Frpm管の曲管接合構造
US20030103731A1 (en) Fiber optic cable conduit coupler and protective shield
JP2002051446A (ja) ケーブル保護管とその継手構造
KR101117489B1 (ko)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
KR200202007Y1 (ko) 양단에 돌출부를 갖는 소켓을 이용한 플라스틱관 연결구조
KR200161499Y1 (ko) 전선 안내구 및 전선관
JP2003083488A (ja) 波付管及び同波付管の連結具並びに波付管と連結具とを備えた被挿通体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