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094B1 - 분진제거가 용이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 - Google Patents

분진제거가 용이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094B1
KR101188094B1 KR1020120018195A KR20120018195A KR101188094B1 KR 101188094 B1 KR101188094 B1 KR 101188094B1 KR 1020120018195 A KR1020120018195 A KR 1020120018195A KR 20120018195 A KR20120018195 A KR 20120018195A KR 101188094 B1 KR101188094 B1 KR 101188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moke detector
sampling pipe
fir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양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양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양테크
Priority to KR1020120018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3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파이프연결구멍으로부터 빼내고 다시 연결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하지 않고도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부의 분진을 제거할 수 있고, 특히 분진제거작업을 진행하는 동안에도 연기감지기의 가동을 중단하는 일없이 화재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분진제거가 용이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연기감지기에 연결되어 실내공기를 연기감지기로 흡입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연기감지기와 연결되는 연결부분으로부터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공기흡입통로를 연기감지기쪽의 감지용 흡입통로와 분진배기쪽의 배기용 흡입통로로 분기시키는 분기관과, 상기 연기감지기와 분기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기관의 감지용 흡입통로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통과 또는 차단시키는 개폐밸브와, 상기 분기관의 배기용 흡입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마개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분진제거가 용이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Air sampling pipe of air breathing type air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공기의 흡입통로를 구성하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기감지기의 화재감지기능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공기흡입통로 내부에 쌓인 먼지 또는 작은 이물질 등의 분진을 제거하는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화재감지장치는, 화재 발생 초기에 이를 감지하고 방재계통에 알림으로써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여 귀중한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대형의 물류 보관창고, 가연성 및 인화성 물질의 보관창고,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대면적의 건물,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과 같은 소면적의 건물 등 화재발생시 많은 재산 및 인명피해가 우려되거나, 일일이 감시 및 관리하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된다.
이러한 화재감지장치는 설치장소나 감시면적에 따라 중앙제어방식의 방재시스템 등과 연계되어 작동하는 연동식 구조의 화재감지기와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과 같이 주로 소면적의 건물에서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단독식 구조의 화재감지장치로 구분되며, 화재감지방식에 따라, 화재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열 감지방식, 연기를 이용하는 연기 감지방식, 불꽃을 이용하는 불꽃 감지방식이 있다.
여기서 열 감지방식이나 불꽃 감지방식은, 실내의 천장이나 벽면에 온도감지나 불꽃감지를 위한 감지센서를 개별로 설치하고, 화재시 발생하는 열이나 불꽃이 감지센서에 도달할 때 감지하는 수동적 감지방식이므로, 화재발생 초기로부터 화재감지까지의 시간이 길어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하기 어렵고, 감지센서가 설치된 위치와 화재발생 장소에 따라 균일한 감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연기 감지방식은 화재발생 초기에 가장 먼저 발생하여 주위로 확산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것이므로, 화재발생 초기로부터 감지까지의 시간이 짧아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고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최대한 균일한 감지가 가능하여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연기 감지방식 중에서도 공기흡입형 감지장치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로 구성되는 배관망을 통해 여러 장소의 공기를 능동적으로 흡입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방식이므로, 넓은 면적에 대한 화재발생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공기 샘플링 파이프 배관망의 추가 설치만으로 감지 면적을 확장할 수 있어 기존의 감지 면적을 더욱 확장하고자 하는 경우 매우 효율적이다.
도 1은 종래의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의 분진제거과정을 나타낸 주요부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는, 실내의 벽면 등에 설치되어 흡입된 연기를 이용하여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1)와, 실내의 천장 또는 화재감지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배치되어 공기흡입통로를 구성하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2)로 이루어진다.
연기감지기(1)는, 복수개의 파이프연결구멍(1a)을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펌프와, 흡입된 공기로부터 연기 또는 가스를 분석하는 연기검출부와, 진공펌프 및 연기검출부를 컨트롤함과 동시에 연기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여 경보를 울리도록 제어하거나 방재시스템 등과 연계되어 화재신호를 송출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공기 샘플링 파이프(2)는, 연기감지기(1)에 구비된 복수개의 파이프연결구멍(1a)에 각각 끼워 연결되고, 화재를 감지하고자 하는 장소로 길게 배치되어 배관망을 형성하는 것으로, 공기 샘플링 파이프(2)에는 일정한 간격 또는 화재 감지를 위한 장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공기흡입구멍(2a)이 형성되어 실내 여러 장소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연기감지기(1)의 진공펌프를 구동하게 되면, 실내 여러 장소의 공기가 공기 샘플링 파이프(2)의 공기흡입구멍(2a)을 통해 흡입되어 연기감지기(2)의 연기검출부로 공급되므로, 실내 여러 장소의 공기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되고, 흡입된 공기에 연기 또는 가스가 포함된 경우, 연기검출부가 이를 검출하고 제어부는 검출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이로써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방재계통을 가동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여 귀중한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2)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분석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므로, 공기 중에 먼지 또는 미세한 이물질 등의 분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연기검출부에서 정확한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화재발생시 초기에 신속한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염려가 있고, 또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아도, 화재로 오판하여 방재계통을 동작시킬 염려가 있어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부를 주기적으로 청소하여 분진을 제거해야 한다.
종래에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2)의 내부에 쌓인 분진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기감지기(1)의 파이프연결구멍(1a)에 끼워져 연결된 공기 샘플링 파이프(2)의 연결 끝단을 빼낸 후, 공기 샘플링 파이프(2)의 연결 끝단과 진공펌핑수단, 예를 들면 진공청소기의 흡입호스(3)를 연결하고, 공기 샘플링 파이프(2)의 내부에 진공청소기의 강한 진공압을 작용시켜 흡입함으로써 분진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연기감지기(1)에 여러 개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2)가 연결된 경우, 일일이 공기 샘플링 파이프(2)를 파이프연결구멍(1a)으로부터 빼내어 내부의 분진을 제거한 후 다시 연결하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므로 분진제거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려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으며, 연기감지기(1)의 파이프연결구멍(1a)으로부터 공기 샘플링 파이프(2)를 빼내고 다시 끼워 연결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연결부위가 손상되거나 헐거워져 흡입공기가 누출될 염려가 있다.
특히, 공기 샘플링 파이프(2) 내부의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공기 샘플링 파이프(2)를 파이프연결구멍(1a)으로부터 빼낸 상태에서는 너무 많은 공기가 연기검출부로 흡입되어 연기감지기(1)의 연기검출부가 화재를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연기감지기(1)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분진제거 작업을 행하였던 것으로, 이로 인해 분진제거 작업시간 동안에는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없게 되고, 화재는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모르는 만일의 사태를 대비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화재감지장치의 가동 중지는 매우 중대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파이프연결구멍으로부터 빼내고 다시 연결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하지 않고도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부의 분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진제거작업을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어 효율적이며, 특히 분진제거작업을 진행하는 동안에도 연기감지기의 가동을 중단하는 일없이 화재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분진제거가 용이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기감지기에 연결되어 실내공기를 연기감지기로 흡입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연기감지기와 연결되는 연결부분으로부터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공기흡입통로를 연기감지기쪽의 감지용 흡입통로와 분진배기쪽의 배기용 흡입통로로 분기시키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의 감지용 흡입통로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연기감지기쪽으로 통과 또는 차단시키는 개폐밸브와, 상기 분기관의 배기용 흡입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마개를 구비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연기감지기와 분기관 사이에 설치된 볼밸브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부의 분진을 제거할 때,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연기감지기의 파이프연결구멍으로부터 빼낼 필요 없이 공기 샘플링 파이프에 구비된 개폐밸브를 조작하여 연기감지기쪽으로 통하는 감지용 흡입통로를 폐쇄하고 배기용 흡입통로를 개방한 후, 배기용 흡입통로에 진공흡입수단을 연결하여 강한 진공압으로 흡입함으로써 간단하게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에 쌓인 분진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의 분진제거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작업 효율이 대폭 향상되는 것은 물론, 종래에 연기감지기의 파이프연결구멍으로부터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빼내고 다시 끼워 연결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였던 연결부위의 손상이나 연결부의 마모로 인한 흡입공기의 누출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 라인에 대하여 분진제거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다른 공기 샘플링 파이프 라인에 대하여는 화재감지기능을 지속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분진제거작업중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화재를 감지하여 초기 진압이 가능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샘플링 파이프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샘플링 파이프 내부 분진제거과정을 나타낸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의 분진제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의 분진제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의 설치상태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20)는, 화재 감지를 위한 연기감지기(10)에 구비된 복수개의 파이프 연결구멍(11)에 각각 끼워져 연결되는 것으로, 화재를 감지하고자 하는 장소로 길게 배치되어 공기흡입 배관망(도 1 참조)을 형성함으로써 연기감지기(10)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20)는 연기감지기(10)와 연결되는 연결부분으로부터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의 공기흡입통로에 쌓인 먼지나 미세한 이물질 등의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분기관(30) 및 개폐밸브(40)가 구비되어 있다.
분기관(30)은 공기 샘플링 파이프(20)를 양쪽에서 연결하여 통하게 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31,32)와, 제1 및 제2 연결부(31,32)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제3 연결부(33)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공기흡입통로를 연기감지기쪽의 감지용 흡입통로(34)와 분진배기쪽의 배기용 흡입통로(35)로 분기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기감지기(10)와 분기관(30) 사이에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20)의 공기흐름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밸브(40)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밸브(40)는 분기관(30)의 감지용 흡입통로(34)를 통해 연기감지기(10) 쪽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통과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것으로, 관의 통로를 개폐할 때 사용하는 통상의 볼 밸브로 구성할 수 있다.
분기관(30)의 제3 연결부(33)에는 마개(50)가 구비된다. 마개(50)는 분기관(30)의 배기용 흡입통로(35)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3 연결부(33)의 출구에 마개(50)를 끼워맞춤식으로 개폐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나사맞춤식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연기감지기(10)와 분기관(30) 사이에 설치된 개폐밸브(40)를 조작하여 연기감지기(10)와 분기관(30)의 감지용 흡입통로(34)를 연결하는 공기흐름통로를 개방하고, 분기관(30)의 제3 연결부(33)에 마개(50)를 끼워 배기용 흡입통로(35)를 폐쇄한 상태에서 연기감지기(10) 내부에 구비된 진공펌프(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하게 되면, 공기 샘플링 파이프(20)를 통해 여러 장소에서 흡입된 공기는 분기관(30)의 감지용 흡입통로(34)를 통해 연기감지기(10) 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실내 여러 장소의 공기 상태를 항상 감지할 수 있게 되고, 흡입된 공기에 연기 또는 가스가 포함된 경우, 연기검출부가 이를 검출하고 제어부는 검출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게 되므로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방재계통을 가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기 샘플링 파이프(20)를 통해 공기를 지속적으로 흡입하는 과정에서 공기 샘플링 파이프(20) 내의 공기흡입통로에 쌓인 분진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기감지기(10)와 분기관(30) 사이에 설치된 개폐밸브(40)를 조작하여 연기감지기(10)와 분기관(30)의 감지용 흡입통로(34)를 연결하는 공기흐름통로를 폐쇄하고, 분기관(30)의 제3 연결부(33)에 끼워져 배기용 흡입통로(35)를 폐쇄하고 있던 마개(50)를 빼내어 배기용 흡입통로(35)를 개방한 상태에서, 진공흡입수단 예를 들면 진공청소기의 흡입호스(61)를 제3 연결구에 연결하여 진공청소기의 강한 진공흡입력을 작용시키게 되면, 공기 샘플링 파이프(20) 내의 공기흐름통로에 쌓인 분진을 배기용 흡입통로(35)를 통해 진공청소기로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개폐밸브(40)를 조작하여 연기감지기(10)로 통하는 공기흐름통로를 차단한 후, 분기관(30)의 제3 연결부(33)에 진공청소기의 흡입호스(61)를 연결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분진제거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분진제거작업을 실시하는 하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20)만 공기유입을 차단시키는 것이므로, 분진제거작업중에도 다른 공기 샘플링 파이프(20)를 통해 공기를 지속적으로 흡입하여 화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연기감지기 20 : 공기 샘플링 파이프
30 : 분기관 34 : 감지용 흡입통로
35 : 배기용 흡입통로 40 : 개폐밸브
50 : 마개

Claims (2)

  1. 연기감지기에 연결되어 실내공기를 연기감지기로 흡입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연기감지기와 연결되는 연결부분 위치에 설치되어 공기흡입통로를 연기감지기쪽의 감지용 흡입통로와 분진배기쪽의 배기용 흡입통로로 분기시키는 분기관과,
    상기 연기감지기와 분기관 사이에 설치되어 분기관의 감지용 흡입통로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연기감지기쪽으로 통과 또는 차단시키는 개폐밸브와,
    상기 분기관의 배기용 흡입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마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연기감지기와 분기관 사이에 설치된 볼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
KR1020120018195A 2012-02-22 2012-02-22 분진제거가 용이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 KR101188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195A KR101188094B1 (ko) 2012-02-22 2012-02-22 분진제거가 용이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195A KR101188094B1 (ko) 2012-02-22 2012-02-22 분진제거가 용이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8094B1 true KR101188094B1 (ko) 2012-10-08

Family

ID=4728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195A KR101188094B1 (ko) 2012-02-22 2012-02-22 분진제거가 용이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09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030B1 (ko) * 2014-06-16 2014-11-04 도원기술 주식회사 Co가스 이송장치
KR101854810B1 (ko) * 2017-02-27 2018-05-04 심연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청소 커넥터 장치
KR101854560B1 (ko) 2017-06-05 2018-05-04 에스엠이서브텍주식회사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
KR20180084413A (ko) * 2017-01-17 2018-07-25 김석주 분진 제거장치의 연결구를 가지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
KR20200142872A (ko) 2019-06-13 2020-12-23 김대규 화재감지기용 필터장치
KR20230133001A (ko) 2022-03-10 2023-09-19 에스엠이서브텍주식회사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 클리닝 시스템
KR102646034B1 (ko) 2023-07-20 2024-03-11 에스엠이서브텍주식회사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오토클리닝 및 워터트랩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1043A (ja) 2003-05-30 2004-12-16 Toto Ltd 住宅用消火設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1043A (ja) 2003-05-30 2004-12-16 Toto Ltd 住宅用消火設備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030B1 (ko) * 2014-06-16 2014-11-04 도원기술 주식회사 Co가스 이송장치
KR20180084413A (ko) * 2017-01-17 2018-07-25 김석주 분진 제거장치의 연결구를 가지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
KR101962196B1 (ko) * 2017-01-17 2019-07-17 김석주 분진 제거장치의 연결구를 가지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
KR101854810B1 (ko) * 2017-02-27 2018-05-04 심연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청소 커넥터 장치
KR101854560B1 (ko) 2017-06-05 2018-05-04 에스엠이서브텍주식회사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
KR20200142872A (ko) 2019-06-13 2020-12-23 김대규 화재감지기용 필터장치
KR20230133001A (ko) 2022-03-10 2023-09-19 에스엠이서브텍주식회사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 클리닝 시스템
KR102646034B1 (ko) 2023-07-20 2024-03-11 에스엠이서브텍주식회사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오토클리닝 및 워터트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094B1 (ko) 분진제거가 용이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
WO2016116024A1 (zh) 带或不带采气管的点型主动感烟探测器及空气采样系统
KR102477850B1 (ko)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EP2881922B1 (en) Redundant input pipe networks in aspirated smoke detectors
KR102077519B1 (ko)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
CN202715163U (zh) 一种自动消防系统
KR101333939B1 (ko)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공기필터링 장치
CN105705888A (zh) 室内机
CN112802296B (zh) 一种室内火灾报警传感装置
CN206550087U (zh) 一种管道清洁系统及早期烟雾预警系统
US20210197000A1 (en) System integrating aspiration smoke detector with deluge fire suppression system
KR20100013083A (ko) 화재 감지기의 분진 제거장치
RU2741477C2 (ru) Воздухопроводящий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KR102322584B1 (ko) 냉동창고용 공기 흡입형 연기감지장치
CN107667262A (zh) 通风系统
KR20140028861A (ko) 선박의 화재감지장치
KR101854810B1 (ko)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청소 커넥터 장치
CN108119753A (zh) 一种基于网络远程监控的燃气安监系统
KR101854560B1 (ko)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
JP6691516B2 (ja) 病院の消火システム
KR20230133001A (ko)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 클리닝 시스템
KR20220014219A (ko) 듀사이클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감지기 시스템
KR102580286B1 (ko)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KR102646034B1 (ko)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오토클리닝 및 워터트랩 시스템
KR102583714B1 (ko)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청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