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850B1 -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 Google Patents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850B1
KR102477850B1 KR1020220073929A KR20220073929A KR102477850B1 KR 102477850 B1 KR102477850 B1 KR 102477850B1 KR 1020220073929 A KR1020220073929 A KR 1020220073929A KR 20220073929 A KR20220073929 A KR 20220073929A KR 102477850 B1 KR102477850 B1 KR 102477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re detector
outlet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호
Original Assignee
신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호 filed Critical 신현호
Priority to KR1020220073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by using a detection device for specific gases, e.g. combustion products, produced by the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진 제거 클리너용 무동력 밸브를 구비하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에 의하면, 평소에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화재 감지기로 흐르도록 하고,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부의 청소를 하는 경우에는 유입된 공기가 클리너로 향하도록 자동으로 전환하는 무동력 밸브 조립체가 구비되어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Description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Air Breathing Type Fire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진 제거 클리너용 무동력 밸브를 구비하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감지기는 화재 발생 초기에 이를 감지하고 방재계통에 알림으로써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여 귀중한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대형의 물류 보관창고, 가연성 및 인화성 물질의 보관창고,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대면적의 건물,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과 같은 소면적의 건물 등 화재발생시 많은 재산 및 인명피해가 우려되거나, 일일이 감시하거나 관리하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된다.
이러한 화재감지기는 용도나 작동 방식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감지기는 설치장소나 감시면적에 따라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대면적의 건물에서 중앙제어방식의 방재시스템 등과 연계되어 작동하는 연동식 구조의 화재감지기와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과 같이 주로 소면적의 건물에서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단독식 구조의 화재감지기로 구분된다. 또한, 화재감지기는 화재감지방식에 따라, 화재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열 감지방식, 연기를 이용하는 연기 감지방식, 불꽃을 이용하는 불꽃 감지방식이 있다.
여기서 열 감지방식이나 불꽃 감지방식은, 실내의 천장이나 벽면에 온도감지나 불꽃감지를 위한 감지센서를 개별로 설치하고, 화재시 발생하는 열이나 불꽃이 감지센서에 도달할 때 감지하는 수동적 감지방식이므로, 화재발생 초기로부터 화재감지까지의 시간이 길어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하기 어렵고, 감지센서가 설치된 위치와 화재발생 장소에 따라 균일한 감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연기 감지방식은 화재발생 초기에 가장 먼저 발생하여 주위로 확산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것이므로, 화재발생 초기로부터 감지까지의 시간이 짧아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고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최대한 균일한 감지가 가능하여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연기 감지방식 중에서도 공기흡입형 감지장치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로 구성되는 배관망을 통해 여러 장소의 공기를 능동적으로 흡입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방식이므로, 넓은 면적에 대한 화재발생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공기 샘플링 파이프 배관망의 추가 설치만으로 감지 면적을 확장할 수 있어 기존의 감지 면적을 더욱 확장하고자 하는 경우 매우 효율적이다.
도 1은 종래의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는, 실내의 벽면 등에 설치되어 흡입된 연기를 이용하여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10)와, 실내의 천장 또는 화재감지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배치되어 공기흡입통로를 구성하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20)로 이루어진다.
연기감지기(10)는, 복수개의 파이프연결홀(11)을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펌프와, 흡입된 공기로부터 연기 또는 가스를 분석하는 연기검출부와, 진공펌프 및 연기검출부를 컨트롤함과 동시에 연기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여 경보를 울리도록 제어하거나 방재시스템 등과 연계되어 화재신호를 송출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공기 샘플링 파이프(20)는, 연기감지기(10)에 구비된 복수개의 파이프연결홀(11)에 각각 끼워 연결되고, 화재를 감지하고자 하는 장소로 길게 배치되어 배관망을 형성하는 것으로, 공기 샘플링 파이프(20)에는 일정한 간격 또는 화재 감지를 위한 장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어 실내 여러 장소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연기감지기(10)의 진공펌프를 구동하게 되면, 실내 여러 장소의 공기가 공기 샘플링 파이프(20)의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되어 연기감지기(10)의 연기검출부로 공급되므로, 실내 여러 장소의 공기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되고, 흡입된 공기에 연기 또는 가스가 포함된 경우, 연기검출부가 이를 검출하고 제어부는 검출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이로써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방재계통을 가동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여 귀중한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20)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분석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므로, 공기 중에 먼지 또는 미세한 이물질 등의 분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연기검출부에서 정확한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화재발생시 초기에 신속한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염려가 있고, 또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아도, 화재로 오판하여 방재계통을 동작시킬 염려가 있어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부를 주기적으로 청소하여 분진을 제거해야 한다.
종래에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20)를 통해 공기를 지속적으로 흡입하는 과정에서 공기 샘플링 파이프(20) 내의 공기 흡입통로에 쌓인 분진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도시된 바와 같이, 연기감지기(10)와 분기 관(30) 사이에 설치된 개폐밸브(40)를 조작하여 연기감지기(10)와 분기관(30)을 연결하는 공기의 흐름 통로를 폐쇄하고, 분기관(30)의 제3 연결구(33)에 끼워져 배기용 흡입통로(35)를 폐쇄하고 있던 마개(50)를 빼내어 배기용 흡입통로(35)를 개방한 상태에서, 진공흡입수단 예를 들면 클리너의 흡입호스(61)를 제3 연결구(33)에 연결하여 클리너의 강한 진공흡입력을 작용시키게 되면, 공기 샘플링 파이프(20) 내의 공기흐름통로에 쌓인 분진을 배기용 흡입통로(35)를 통해 클리너로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연기감지기(10)에 여러 개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20)가 연결된 경우, 일일이 배기용 흡입통로(35)를 폐쇄하고 있던 마개(50)를 빼내어 배기용 흡입통로(35)를 개방한 상태에서, 진공흡입수단 예를 들면 클리너의 흡입호스(61)를 제3 연결구(33)에 연결하여 클리너를 이용하여 분진을 제거한 후 다시 연결하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므로 분진 제거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려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으며, 배기용 흡입통로(35)를 폐쇄하고 있던 마개(50)를 빼내고 다시 끼워 연결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연결부위가 손상되거나 헐거워져 흡입공기가 누출될 염려가 있다.
또한, 개폐밸브(40)를 일일이 수동으로 작동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부정확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개폐밸브를 수동밸브 대신 전동밸브를 사용하는 제품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동밸브는 가격이 비싸고 무게가 나가며 설계 용량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작동 실패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전동밸브를 가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다.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8094호 '분진제거가 용이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부의 청소를 위해 공기 흐름 방향을 조절하는 밸브에 있어서, 화재 감시 기능과 청소 기능 변환시에 자동으로 전환되는 밸브를 적용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부의 청소를 위해 공기 흐름 방향을 조절하는 밸브에 있어서, 별도의 전원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무동력 밸브를 적용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홀이 형성되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로 흡입된 공기의 성분을 분석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감지기;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로 흡입된 공기를 클리너로 보내는 공기 청소용 모터; 및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와 화재 감지기 및 공기 청소용 모터에 연결되는 무동력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무동력 밸브 조립체는,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에 연결되는 흡입구, 상기 화재 감지기로 연결되는 제1 방향 출구, 상기 공기 청소용 모터로 연결되는 제2 방향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와 제1 방향 출구 사이에는 입구를 갖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용 볼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와 제1 방향 출구 사이에는 상기 개폐용 볼이 운동하는 볼 작용실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입구의 직경은 상기 개폐용 볼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볼 작용실의 일측에 상기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볼 작용실의 타측에는 차단판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차단판에는 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출구는 원형, 각형 또는 파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출구가 파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개폐용 볼의 직경은 상기 출구에서 가장 크게 형성되는 제1 내경보다 작고 가장 작게 형성되는 제2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방향 출구와 상기 공기 청소용 모터 사이에는 연결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에는 상기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하도록 힌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무동력 밸브 조립체에는 상기 제1 방향 출구와 볼 작용실 사이에 상기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배수 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방향 출구와 화재 감지기 사이에는 싸이클론 집진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에 의하면, 평소에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화재 감지기로 흐르도록 하고,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부의 청소를 하는 경우에는 유입된 공기가 클리너로 향하도록 자동으로 전환하는 무동력 밸브 조립체가 구비되어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이와 같이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의 분진 제거를 위해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에 있어서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무동력 밸브를 적용하므로 별도의 전원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동력 밸브는 수동으로 작동시킬 필요가 없고 공기의 흐름 방향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이 용이하고 인력의 낭비가 없다.
또한, 무동력 밸브는 종래 적용되던 전동밸브에 비하여 가볍고 가격이 절감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사시도이다. 도 2에는 화재 감지기 감지시 공기 흐름의 방향이 표시되어 있고, 도 3에는 클리너 작동시 공기 흐름의 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에서 무동력 밸브 조립체 및 주변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무동력 밸브 조립체 및 주변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에는 화재 감지기 감지시 공기 흐름의 방향이 표시되어 있고, 도 7에는 클리너 작동시 공기 흐름의 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무동력 밸브 조립체 내의 차단판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무동력 밸브 조립체에 적용되는 개폐부재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에 적용되는 싸이클론 집진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에 적용되는 배수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밸브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된 "부재" 또는 "부"라는 용어는 어떤 한정적 목적을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며,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사시도이다. 도 2에는 감지기 감지시 공기 흐름의 방향이 표시되어 있고, 도 3에는 클리너 작동시 공기 흐름의 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0)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홀(112)이 형성되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 흡입된 공기의 성분을 분석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감지기(190);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 흡입된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클리너(160)로 보내는 공기 청소용 모터(150); 및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와 화재 감지기(190) 및 공기 청소용 모터(150)에 연결되는 무동력 밸브 조립체(120)를 포함하고, 상기 무동력 밸브 조립체(120)는,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 연결되는 흡입구(122); 상기 화재 감지기(190)로 연결되는 제1 방향 출구(124); 상기 공기 청소용 모터(150)로 연결되는 제2 방향 출구(126);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22)와 제1 방향 출구(124) 사이에는 입구(133)를 갖는 격벽(132)이 형성되고, 상기 입구(133)를 개폐하는 개폐용 볼(13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함(101)이 마련된다. 외함(101)은 철재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외함(101)에는 화재 감지기(190), 무동력 밸브 조립체(120), 공기 청소용 모터(150), 싸이클론 집진부(180) 등의 장치나 부품이 내장되거나 설치된다. 외함(101)은 설치되는 장치나 부품들을 지지하고 안정적으로 작동이 유지되도록 충분한 강도로 제작되어야 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가 마련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는 대상 공간이 되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화재 감지기(190)에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 4개가 1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 구성된 경우 각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채널로 구분하기도 한다. 즉, 4개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 구성된 경우 1채널로부터 4채널까지 구성된다. 도 2와 도 3에는 복수 개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서는 전체 시스템 구성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가 1개만 도시되어 있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는 감지 대상 공간에 적절한 길이로 배치된다. 복수 개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가 건물 내부의 각 층이나 격실(방)로 나누어 배치되는 경우 감지(감시) 대상 공간은 상당한 부분에 이른다. 즉,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는 필요한 공간에 적절히 연장 배치하면 되므로 감시 대상 공간은 확장성이 용이하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는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CP/IP, USB 등의 네트워크 라인과 결합되거나 네트워크 라인의 기능을 보조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는 필터(filter)(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실내의 공기는 분진, 수분, 염분을 소량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이물질들이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 내에 축적되는 경우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의 말단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이나 흡입 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내의 공기는 팬 등에 의해 강제로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는 흡기홀(112)이 형성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는 흡기홀(112)이 복수 개 형성된다. 실내의 공기는 흡기홀(112)을 통해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 인입되어 화재 감지기(190)로 이동한다. 흡기홀(112)은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흡기홀(112)은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일렬 또는 다열로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의 흡기홀(112)에는 흡기 작용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흡입 밸브(114)가 구비될 수 있다. 흡입 밸브(114)는 각 흡기홀(112)마다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에서 밸브 주변 부분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 및 도 7에는 무동력 밸브 주변 부분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감지기 감지시 공기 흐름의 방향이 표시되어 있고, 도 7에는 클리너 작동시 공기 흐름의 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무동력 밸브 조립체(120)가 마련된다. 무동력 밸브 조립체(120)는 상황에 따라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무동력 밸브 조립체(120)의 주몸체는 관 형태로 마련된다. 무동력 밸브 조립체(120)는 금속이나 합금 재료 또는 합성수지물로 형성될 수 있다. 무동력 밸브 조립체(120)의 주몸체는 단면이 원형 또는 각형의 외형을 형성한다.
무동력 밸브 조립체(120)의 주몸체는 일자형 또는 'L'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L'자형으로 형성된 예이다. 이때, 무동력 밸브 조립체(120)의 주몸체를 수평부(120a)와 수직부(120b)로 구분하기로 한다.
무동력 밸브 조립체(120)에는 브래킷(128)이 구비될 수 있다. 무동력 밸브 조립체(120)는 브래킷(128)에 의해 외함(101)의 내부에 고정된다.
무동력 밸브 조립체(120)는 3개의 분기구(분기관, 출입구)를 갖는다. 3개의 분기구는 흡입구(122), 제1 방향 출구(124), 제2 방향 출구(126)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흡입구(122)와 제2 방향 출구(126)는 수직부(120b)에 형성되고, 제1 방향 출구(124)는 수평부(120a)에 형성된다.
흡입구(122)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 연결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서 유입된 공기는 흡입구(122)를 통해 무동력 밸브 조립체(120)로 인입된다.
여기서, 흡입구(122)는 벤딩부(123)를 가질 수 있다. 또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가 벤딩부(123)를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 출구(124)는 수평부(120a)의 말단부에 형성된다. 제1 방향 출구(124)는 화재 감지기(190) 측에 연결된다.
제2 방향 출구(126)는 수직부(120b)의 말단부에 형성된다. 제2 방향 출구(126)는 공기 청소용 모터(150) 측에 연결된다.
흡입구(122)와 제1 방향 출구(124) 사이에는 볼 작용실(130)이 마련된다. 볼 작용실(130)은 개폐용 볼(131)이 작동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볼 작용실(130)은 주몸체의 수평부(120a)에 마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볼 작용실(130)이 수직부(120b)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볼 작용실(130)은 입구(133)와 출구(138)를 갖는다. 여기서, 출구는 제1 방향 출구(124)에 배치될 수 있다. 정상적인 화재 감시 상태에서, 흡입구(122)를 통해 무동력 밸브 조립체(120)로 유입된 공기는 볼 작용실(130)의 입구(133)와 출구(138)를 거쳐 제1 방향 출구(124)로 흘러들어간다.
볼 작용실(130)에는 일측에 격벽(132)이 형성된다. 격벽(132)은 흡입구(122)측에 구비된다.
격벽(132)에는 볼 작용실(130)의 입구(133)가 형성된다. 입구(133)의 직경은 개폐용 볼(131)의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개폐용 볼(131)은 입구(133)를 통해 흡입구(122) 측으로 넘어가지 않는다. 한편, 개폐용 볼(131)이 입구(133)를 폐쇄하는 경우 격벽(132)을 통한 공기의 흐름은 차단된다.
격벽(132)은 개폐용 볼(131)이 좌측 이동을 제한하는 방지턱으로 작용한다. 개폐용 볼(131)은 수평부(120a)의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격벽(132)에 걸린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한, 개폐용 볼(131)은 입구(133)로부터 떨어진 상태에 놓인다. 개폐용 볼(131)이 입구(133)를 개방하는 경우, 공기는 입구(133)를 통해 흐를 수 있다. 그러나, 개폐용 볼(131)이 입구(133)를 폐쇄하는 경우, 공기의 흐름은 차단된다.
흡입구(122)에서 제1 방향 출구(124)로 공기가 흐르는 경우, 개폐용 볼(131)은 입구(133)에서 떨어져 있으므로 입구(133)를 폐쇄하지 않는다. 따라서, 흡입구(122)에서 제1 방향 출구(124)로의 공기의 흐름은 방해받지 않는다.
만일, 외력에 의해 제1 방향 출구(124)로부터 흡입구(122) 또는 제2 방향 출구(126)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는 경우 개폐용 볼(131)은 공기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공기의 압력이 충분한 경우 개폐용 볼(131)은 입구(133)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흡입구(122)와 제1 방향 출구(124) 사이의 공기의 흐름은 차단된다.
도 8 및 도 9에는 무동력 밸브 조립체 내의 차단판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볼 작용실(130)의 출구 측에는 차단판(135)이 마련된다. 차단판(135)은 수평부(120a)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차단판(135)은 개폐용 볼(131)의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 한계를 설정한다. 만일, 흡입구(122) 측에서 유입되어 제1 방향 출구(124)로 흐르는 공기의 압력이 높아 개폐용 볼(131)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차단판(135)에 걸려 더 이상의 진행이 되지 않도록 한다. 즉, 차단판(135)은 개폐용 볼(131)이 제1 방향 출구(124)까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정리하면, 격벽(132)에서 차단판(135)에 이르는 공간으로 구성되는 볼 작용실(130)은 개폐용 볼(131)이 작용하는 공간이 된다.
차단판(135)은 출구(138)를 갖는다. 즉, 차단판(135)에는 중심부에 통기홀이 형성된다.
출구(138)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구(138)는 파동 무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소정 직경의 원주면 상에 형성되는 파동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차단판(135)의 출구(138)의 가장 깊은(큰) 내경에 해당하는 제1 내경(D)과 차단판(135)의 출구(138)의 가장 얕은(작은) 내경에 해당하는 제2 내경(d)의 사이에 개폐용 볼(131)의 직경이 설정된다. 즉, 개폐용 볼(131)의 직경은 제2 내경(d)보다는 크고 제1 내경(D)보다는 작다. 따라서, 만일, 개폐용 볼(131)이 차단판(135)의 출구(138)에 접하더라도 개폐용 볼(131)과 제1 내경(D)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할 수 있다.
이때, 차단판(135)의 출구(138) 형상은 파동 무늬에 한하지 않고, 톱니 모양이나 다각형 또는 다수의 통기홀을 갖는 원형 등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차단판(135)이 다수의 통공(136)을 갖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는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외에도 차단판(135)은 필터 형태의 막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방향 출구(124)는 화재 감지기(190) 측에 마련된다. 흡입구(12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볼 작용실(130)과 제1 방향 출구(124)를 거쳐 화재 감지기(190)로 흘러들어간다.
제2 방향 출구(126)는 흡입구(122)를 기준으로 제1 방향 출구(124)의 반대 방향에 마련된다. 제2 방향 출구(126)는 제1 방향 출구(124)에 평행한 방향 또는 직각인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방향 출구(126)는 상방으로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방향 출구(124)는 밸브 조립체(110)의 수평부(120a)에 형성되고, 제2 방향 출구(126)는 밸브 조립체(110)의 수직부(120b)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향 출구(126)에는 공기 청소용 모터(150)에 연결되는 연결구(145)가 결합된다.
연결구(145)와 제2 방향 출구(126) 사이에는 개폐부재(142)가 구비된다. 개폐부재(142)는 평소에는 닫힌 상태에 있다. 개폐부재(142)는 제2 방향 출구(126)를 통한 공기의 흐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6 등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2 방향 출구(126)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개폐부재(142)는 수평 상태에 놓인다. 이때, 연결구(145)의 걸림부(146)에 의해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개폐부재(142)는 일측의 힌지(143)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여 개폐된다. 개폐부재(142)가 닫힌 경우 제2 방향 출구(126)로의 공기의 흐름은 차단된다.
도 10에는 개폐부재(142)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개폐부재(142)는 지름 부분에 형성되는 제1 힌지(143a)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개폐부재(142a)와 제1 힌지(143a)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힌지(143b)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개폐부재(142b)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구(145)의 타측에는 공기 청소용 모터(150)가 구비된다. 공기 청소용 모터(150)는 제어패널(155)에 의해 작동한다.
제어패널(155)에서는 공기 청소용 모터(150)의 작동을 조절한다. 예를 들면, 제어패널(155)에서는 공기 청소용 모터(150)의 작동 시간, 작동 주기, 작동 강도, 작동 채널 등의 작동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공기 청소용 모터(150)가 작동하여 볼 작용실(130)로부터 연결구(145)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면 개폐부재(142)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개방된다.
공기 청소용 모터(150)가 작동하여 강제로 공기가 제2 방향 출구(126) 방향으로 흐르게 되면, 개폐부재(142)가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열리게 된다. 이에 따라, 볼 작용실(130) 내부의 공기가 빨려나오면서 개폐용 볼(131)이 볼 작용실(130)의 입구(133)를 차단하게 된다. 이 경우, 화재 감지기(190)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은 차단된다.
공기 청소용 모터(150)가 작동을 멈추면 제2 방향 출구(126)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끊어져 개폐용 볼(131)은 원위치로 복귀하고 입구(133)는 개방된다.
공기 청소용 모터(150)의 타측에는 클리너(160)가 구비된다. 클리너(160)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의 흡기홀(112) 주변에 낀 먼지 등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공기 청소용 모터(150)가 가동되면 흡기홀(112) 주변의 오염 물질이 제2 방향 출구(126)를 거쳐 클리너(160)로 포집된다. 클리너(160)에는 함진 공기(dirty air)의 집적을 위한 집진기 등이 구비된다.
무동력 밸브 조립체(120)에는 볼 작용실(130)과 제1 방향 출구(124) 사이에 배수 부재(170)가 구비된다. 배수 부재(170)는 밸브 조립체(110)의 수직부(120b)에 마련된다. 도 12에 배수 부재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공기를 흡입하여 화재를 감시하는 감지기의 특성상 공기에 포함된 포화수증기의 온도 하강에 따른 응축수가 생성되어 화재 감지기(190) 내에 축적되면 장치는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성능을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수분을 함유한 공기에서 배수 부재(170)를 이용하여 수분필터(171)로 수분과 기류를 분리한다.
배수 부재(170)에서 분리된 수분은 수분포집관(172) 내에 포집되어 주기적으로 배출밸브(174)를 통해 수분을 배출시키게 된다.
제1 방향 출구(124)의 외측에는 싸이클론 집진부(180)가 구비된다. 도 11에 싸이클론 집진부(18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싸이클론 집진부(180)의 내부로 유입된 함진 공기는 기계적 또는 물리적인 작용으로 원심력을 발생시켜 함진 공기 내 포함된 분진 및 불순물을 분리, 배출하여 화재 감지기(190)에 유입되는 분진 및 불순물을 최소화하는 장치이다.
싸이클론 집진부(180)에 원뿔 형태로 형성되는 원심분리관(182)에서 원심력이 작용하여 불순물은 포집함(184)으로 분리되고, 깨끗해진 공기는 배출관(186)에 연결된 연결관(188)을 통해 화재 감지기(190)에 보내진다.
싸이클론 집진부(180)의 외측에는 화재 감지기(190)가 구비된다. 싸이클론 집진부(180)를 거친 공기는 화재 감지기(190)에 들어가 성분이 분석되어 화재 여부를 가리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정상 상태에서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통해 무동력 밸브 조립체(120) 내로 유입된 공기가 도 2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감지기(190) 측으로 흐른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서 유입된 공기는 흡입구(122)를 통해 무동력 밸브 조립체(120)로 인입된다. 볼 작용실(130) 내의 개폐용 볼(131)은 입구(133)에서 떨어져 있으므로 입구(133)를 폐쇄하지 않는다. 따라서, 흡입구(12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볼 작용실(130)과 제1 방향 출구(124)를 거쳐 화재 감지기(190)로 흘러들어간다.
만일, 흡입구(122) 측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높아 개폐용 볼(131)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더라고 차단판(135)에 걸려 더 이상의 진행이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평상시에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통해 무동력 밸브 조립체(120) 내로 유입된 공기가 제1 방향 출구(124)와 싸이클론 집진부(180) 등을 거쳐 화재 감지기(190) 내로 흐르므로 감지 공간 내부의 공기를 분석하여 화재 여부를 판별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 내부의 먼지 등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 청소용 모터(150)가 가동되는 경우에는 흡입구(122) 내로 유입된 공기가 제2 방향 출구(126)로 흘러 클리너(160)로 들어간다.
제어패널(155)에 의해 조작되는 공기 청소용 모터(150)가 가동되면, 개폐부재(142)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고 흡입구(122) 내로 유입된 공기가 제2 방향 출구(126)로 흐른다. 또한, 제1 방향 출구(124)로부터 제2 방향 출구(126)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도 발생한다. 이에 따라, 개폐용 볼(131)은 공기의 압력에 의해 볼 작용실(130) 내에서 입구(133)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공기의 압력이 충분한 경우 개폐용 볼(131)은 입구(133)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방향 출구(124)로부터 제2 방향 출구(126)로 흐르는 공기의 이동은 차단된다.
요약하면, 공기 청소용 모터(150)가 작동하여 강제로 공기가 제2 방향 출구(126) 방향으로 흐르게 되면, 개폐부재(142)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개방된다. 이에 따라, 흡입구(122)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제2 방향 출구(126)로 흐르게 되어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 내부의 오염 물질이 클리너(160)로 들어가고, 볼 작용실(130) 내부의 공기가 빨려나오면서 개폐용 볼(131)이 볼 작용실(130)의 입구(133)를 차단하게 되므로, 화재 감지기(190)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은 차단된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밸브 조립체(12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입구(133) 주변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진입로(134)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볼 작용실(130) 내에서 입구로 이동하는 개폐용 볼(131)의 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에 의하면, 평소에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화재 감지기로 흐르도록 하고,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부의 청소를 하는 경우에는 유입된 공기가 클리너로 향하도록 조절하는 무동력 밸브 조립체가 구비되어 청소가 용이하다.
이와 같이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의 분진 제거를 위해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에 있어서 무동력 밸브를 적용하므로 별도의 전원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무동력 밸브는 수동으로 작동시킬 필요가 없고 공기의 흐름 방향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 작용이 전환되므로 사용이 용이하고 인력의 낭비가 없다.
또한, 무동력 밸브는 종래 적용하는 전동밸브에 비하여 가볍고 가격이 절감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실시 상태를 예시하고 있는 것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들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외함
110 공기 샘플링 파이프
112 흡기홀
114 흡입 밸브
120 무동력 밸브 조립체
122 흡입구
124 제1 방향 출구
126 제2 방향 출구
130 볼 작용실
131 개폐용 볼
132 격벽
133 입구
135 차단판
138 출구
142 개폐부재
145 연결구
150 공기 청소용 모터
160 클리너
170 배수 부재
180 싸이클론 집진부
190 화재 감지기

Claims (12)

  1.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홀이 형성되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로 흡입된 공기의 성분을 분석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감지기;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로 흡입된 공기를 클리너로 보내는 공기 청소용 모터; 및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와 화재 감지기 및 공기 청소용 모터에 연결되는 무동력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무동력 밸브 조립체는,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에 연결되는 흡입구, 상기 화재 감지기로 연결되는 제1 방향 출구, 상기 공기 청소용 모터로 연결되는 제2 방향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와 제1 방향 출구 사이에는 입구를 갖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용 볼이 구비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용 볼이 상기 격벽을 개방하여,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제1 방향 출구로 진출하고,
    상기 공기 청소용 모터가 작동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용 볼이 상기 격벽을 폐쇄하여,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제2 방향 출구로 진출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와 제1 방향 출구 사이에는 상기 개폐용 볼이 운동하는 볼 작용실이 구비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의 직경은 상기 개폐용 볼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 작용실의 일측에 상기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볼 작용실의 타측에는 차단판이 구비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에는 출구가 형성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는 원형, 각형 또는 파형으로 형성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가 파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개폐용 볼의 직경은 상기 출구에서 가장 크게 형성되는 제1 내경보다 작고 가장 작게 형성되는 제2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 출구와 상기 공기 청소용 모터 사이에는 연결구가 구비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에는 상기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하도록 힌지가 구비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동력 밸브 조립체에는 상기 제1 방향 출구와 볼 작용실 사이에 상기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배수 부재가 구비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출구와 화재 감지기 사이에는 싸이클론 집진부가 구비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KR1020220073929A 2022-06-17 2022-06-17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KR102477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929A KR102477850B1 (ko) 2022-06-17 2022-06-17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929A KR102477850B1 (ko) 2022-06-17 2022-06-17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850B1 true KR102477850B1 (ko) 2022-12-15

Family

ID=8443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929A KR102477850B1 (ko) 2022-06-17 2022-06-17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8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741B1 (ko) * 2023-06-14 2023-08-31 신현호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
KR102580286B1 (ko) * 2023-02-28 2023-09-20 신현호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KR102583714B1 (ko) * 2023-07-04 2023-10-05 신현호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청소 장치
KR102646034B1 (ko) * 2023-07-20 2024-03-11 에스엠이서브텍주식회사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오토클리닝 및 워터트랩 시스템
KR200497846Y1 (ko) * 2023-08-11 2024-03-15 신현호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용 드레인 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3313A (ko) * 2009-03-31 2012-02-14 아사히 유키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볼 체크 밸브
KR20170124786A (ko) * 2016-05-03 2017-11-13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알람밸브
KR101845264B1 (ko) * 2017-07-07 2018-05-18 심연순 자동 분진 청소기가 설치된 흡입형 화재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3313A (ko) * 2009-03-31 2012-02-14 아사히 유키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볼 체크 밸브
KR20170124786A (ko) * 2016-05-03 2017-11-13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알람밸브
KR101845264B1 (ko) * 2017-07-07 2018-05-18 심연순 자동 분진 청소기가 설치된 흡입형 화재 감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286B1 (ko) * 2023-02-28 2023-09-20 신현호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KR102572741B1 (ko) * 2023-06-14 2023-08-31 신현호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
KR102583714B1 (ko) * 2023-07-04 2023-10-05 신현호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청소 장치
KR102646034B1 (ko) * 2023-07-20 2024-03-11 에스엠이서브텍주식회사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오토클리닝 및 워터트랩 시스템
KR200497846Y1 (ko) * 2023-08-11 2024-03-15 신현호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용 드레인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7850B1 (ko)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KR101845264B1 (ko) 자동 분진 청소기가 설치된 흡입형 화재 감지장치
EP2149762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20220379254A1 (en) Building's airflow and a clothes dryer's exhaust filtering and recycling system comprising an emergency shutdown element, condensate separation, and multiple airflow configurations within a housing
US20170239606A1 (en) Demister Apparatus and Method
KR101845263B1 (ko)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
KR101188094B1 (ko) 분진제거가 용이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
KR200474888Y1 (ko) 다기능 환기 시스템
KR101333939B1 (ko)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공기필터링 장치
KR102322584B1 (ko) 냉동창고용 공기 흡입형 연기감지장치
KR101624547B1 (ko) 공동주택의 제연시스템
KR101854810B1 (ko)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청소 커넥터 장치
KR20220014219A (ko) 듀사이클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감지기 시스템
KR102580286B1 (ko)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KR102275290B1 (ko) 흡연부스
KR102646034B1 (ko)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오토클리닝 및 워터트랩 시스템
KR102583714B1 (ko)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청소 장치
KR102572741B1 (ko)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
KR200497846Y1 (ko)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용 드레인 밸브
KR101691998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유독가스 제거장치
KR20050083412A (ko) 천장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필터 착탈 구조
JP5522930B2 (ja) メンテナンス性を高めた換気装置及び同換気装置に使用するフィルターユニット
KR102636209B1 (ko)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결로수 제거기
KR20230133001A (ko)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 클리닝 시스템
KR102150612B1 (ko) 사이클론 공기정화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