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286B1 -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286B1
KR102580286B1 KR1020230027141A KR20230027141A KR102580286B1 KR 102580286 B1 KR102580286 B1 KR 102580286B1 KR 1020230027141 A KR1020230027141 A KR 1020230027141A KR 20230027141 A KR20230027141 A KR 20230027141A KR 102580286 B1 KR102580286 B1 KR 102580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air
cleaning device
valve assembly
powere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7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호
Original Assignee
신현호
주식회사 성화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호, 주식회사 성화플러스 filed Critical 신현호
Priority to KR1020230027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5Control mechanis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진 제거용 무동력 밸브를 구비하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청소 장치에 의하면, 평소에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화재 감지기로 흐르도록 하고,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부의 청소를 하는 경우에는 유입된 공기가 클리너로 향하도록 자동으로 전환하는 무동력 밸브 조립체가 구비되어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Description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Cleaning Device for Air Breathing Type Fire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진 제거용 무동력 밸브를 구비하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감지기는 화재 발생 초기에 이를 감지하고 방재계통에 알림으로써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여 귀중한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대형의 물류 보관창고, 가연성 및 인화성 물질의 보관창고,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대면적의 건물,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과 같은 소면적의 건물 등 화재발생시 많은 재산 및 인명피해가 우려되거나, 일일이 감시하거나 관리하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된다.
이러한 화재감지기는 용도나 작동 방식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감지기는 설치장소나 감시면적에 따라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대면적의 건물에서 중앙제어방식의 방재시스템 등과 연계되어 작동하는 연동식 구조의 화재감지기와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과 같이 주로 소면적의 건물에서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단독식 구조의 화재감지기로 구분된다. 또한, 화재감지기는 화재감지방식에 따라, 화재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열 감지방식, 연기를 이용하는 연기 감지방식, 불꽃을 이용하는 불꽃 감지방식이 있다.
여기서 열 감지방식이나 불꽃 감지방식은, 실내의 천장이나 벽면에 온도감지나 불꽃감지를 위한 감지센서를 개별로 설치하고, 화재시 발생하는 열이나 불꽃이 감지센서에 도달할 때 감지하는 수동적 감지방식이므로, 화재발생 초기로부터 화재감지까지의 시간이 길어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하기 어렵고, 감지센서가 설치된 위치와 화재발생 장소에 따라 균일한 감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연기 감지방식은 화재발생 초기에 가장 먼저 발생하여 주위로 확산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것이므로, 화재발생 초기로부터 감지까지의 시간이 짧아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고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최대한 균일한 감지가 가능하여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연기 감지방식 중에서도 공기흡입형 감지장치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로 구성되는 배관망을 통해 여러 장소의 공기를 능동적으로 흡입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방식이므로, 넓은 면적에 대한 화재발생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공기 샘플링 파이프 배관망의 추가 설치만으로 감지 면적을 확장할 수 있어 기존의 감지 면적을 더욱 확장하고자 하는 경우 매우 효율적이다.
도 1은 종래의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는, 실내의 벽면 등에 설치되어 흡입된 연기를 이용하여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10)와, 실내의 천장 또는 화재감지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배치되어 공기흡입통로를 구성하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20)로 이루어진다.
연기감지기(10)는, 복수개의 파이프연결홀(11)을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펌프와, 흡입된 공기로부터 연기 또는 가스를 분석하는 연기검출부와, 진공펌프 및 연기검출부를 컨트롤함과 동시에 연기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여 경보를 울리도록 제어하거나 방재시스템 등과 연계되어 화재신호를 송출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공기 샘플링 파이프(20)는, 연기감지기(10)에 구비된 복수개의 파이프연결홀(11)에 각각 끼워 연결되고, 화재를 감지하고자 하는 장소로 길게 배치되어 배관망을 형성하는 것으로, 공기 샘플링 파이프(20)에는 일정한 간격 또는 화재 감지를 위한 장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어 실내 여러 장소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연기감지기(10)의 진공펌프를 구동하게 되면, 실내 여러 장소의 공기가 공기 샘플링 파이프(20)의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되어 연기감지기(10)의 연기검출부로 공급되므로, 실내 여러 장소의 공기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되고, 흡입된 공기에 연기 또는 가스가 포함된 경우, 연기검출부가 이를 검출하고 제어부는 검출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이로써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방재계통을 가동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여 귀중한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20)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분석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므로, 공기 중에 먼지 또는 미세한 이물질 등의 분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연기검출부에서 정확한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화재발생시 초기에 신속한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염려가 있고, 또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아도, 화재로 오판하여 방재계통을 동작시킬 염려가 있어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부를 주기적으로 청소하여 분진을 제거해야 한다.
종래에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20)를 통해 공기를 지속적으로 흡입하는 과정에서 공기 샘플링 파이프(20) 내의 공기 흡입통로에 쌓인 분진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도시된 바와 같이, 연기감지기(10)와 분기 관(30) 사이에 설치된 개폐밸브(40)를 조작하여 연기감지기(10)와 분기관(30)을 연결하는 공기의 흐름 통로를 폐쇄하고, 분기관(30)의 제3 연결구(33)에 끼워져 배기용 흡입통로(35)를 폐쇄하고 있던 마개(50)를 빼내어 배기용 흡입통로(35)를 개방한 상태에서, 진공흡입수단 예를 들면 클리너의 흡입호스(61)를 제3 연결구(33)에 연결하여 클리너의 강한 진공흡입력을 작용시키게 되면, 공기 샘플링 파이프(20) 내의 공기흐름통로에 쌓인 분진을 배기용 흡입통로(35)를 통해 클리너로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연기감지기(10)에 여러 개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20)가 연결된 경우, 일일이 배기용 흡입통로(35)를 폐쇄하고 있던 마개(50)를 빼내어 배기용 흡입통로(35)를 개방한 상태에서, 진공흡입수단 예를 들면 클리너의 흡입호스(61)를 제3 연결구(33)에 연결하여 클리너를 이용하여 분진을 제거한 후 다시 연결하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므로 분진 제거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려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으며, 배기용 흡입통로(35)를 폐쇄하고 있던 마개(50)를 빼내고 다시 끼워 연결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연결부위가 손상되거나 헐거워져 흡입공기가 누출될 염려가 있다.
또한, 개폐밸브(40)를 일일이 수동으로 작동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부정확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개폐밸브를 수동밸브 대신 전동밸브를 사용하는 제품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동밸브는 가격이 비싸고 무게가 나가며 설계 용량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작동 실패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전동밸브를 가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다.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8094호 '분진제거가 용이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77850호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부의 청소를 위해 공기 흐름 방향을 조절하는 밸브에 있어서, 화재 감시 기능과 청소 기능 변환시에 자동으로 전환되는 밸브를 적용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청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3웨이 밸브 기능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청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부의 청소를 위해 공기 흐름 방향을 조절하는 밸브에 있어서, 별도의 전원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무동력 밸브를 적용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청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 구성이 복잡하지 않고 간명하여 고장 가능성이 적고 제작 비용이 감소되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청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청소 장치는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에 연결되는 제1 유로; 일단은 상기 제1 유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로 흡입된 공기의 성분을 분석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감지기에 연결되는 제2 유로; 일단은 상기 제1 유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분진을 제거하는 클리너에 연결되는 제3 유로; 상기 제2 유로 상에 설치되어, 평소에는 개방되고 상기 클리너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폐쇄되는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 및 상기 제3 유로 상에 설치되고, 평소에는 폐쇄되고 상기 클리너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개방되는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로, 제2 유로, 제3 유로를 연결하는 유로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유로연결부는 상방, 하방 및 측방의 3개 방향으로 분기된다.
또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유로연결부의 측방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유로연결부의 하방에 결합되고, 상기 제3 유로는 상기 유로연결부의 상방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와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는 각각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는 개폐용 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관 형태로 형성되되 단차 형성되어 확장부와 수축부를 갖고, 상기 확장부와 수축부 사이에는 경사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확장부에는 상기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부가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확장부에는 내주면 또는 상기 체결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경사면이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상기 체결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개폐용 볼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상기 경사면에서, 대단부 사이의 직경은 상기 개폐용 볼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소단부 사이의 직경은 상기 개폐용 볼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축부의 내경은 상기 개폐용 볼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는 플랜지부와 관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에는 일방향으로 개방되는 수용부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관부의 내경은 개폐용 볼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또한, 상기 플랜지부와 관부가 이어지는 단턱부에는 밀착 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의 제1 개폐용 볼의 무게는 상기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의 제2 개폐용 볼의 무게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의 제2 밀착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의 제1 밀착 부재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의 하부에는 배수 부재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청소 장치에 의하면, 평소에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화재 감지기로 흐르도록 하고,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부의 청소를 하는 경우에는 유입된 공기가 클리너로 향하도록 자동으로 전환하는 무동력 밸브 조립체가 구비되어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이와 같이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의 분진 제거를 위해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에 있어서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무동력 밸브를 적용하므로 별도의 전원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동력 밸브는 수동으로 작동시킬 필요가 없고 공기의 흐름 방향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이 용이하고 인력의 낭비가 없다.
또한, 화재 감지기 방향에 설치된 제1 무동력 밸브와 클리너 방향에 설치된 제2 무동력 밸브는 연동하여 작용하므로 개별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동력 밸브는 내부 구성이 복잡하지 않고 간명하여 고장 가능성이 적고 제작 비용이 감소되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청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청소 장치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유로연결부와 무동력 밸브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1 무동력 밸브의 사시도, 분리 사시도 및 분리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2 무동력 밸브의 사시도, 분리 사시도 및 분리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청소 장치의 작용도이다. 클리너용 모터가 작동하는 상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배수 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된 "부재" 또는 "부"라는 용어는 어떤 한정적 목적을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며,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청소 장치의 내부 구조도, 도 3은 도 2에서 유로연결부와 무동력 밸브 부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청소 장치(100)는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 연결되는 제1 유로(910); 일단은 상기 제1 유로(9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 흡입된 공기의 성분을 분석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감지기(600)에 연결되는 제2 유로(920); 일단은 상기 제1 유로(9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분진을 제거하는 클리너(500)에 연결되는 제3 유로(930); 상기 제2 유로(920) 상에 설치되어, 평소에는 개방되고 상기 클리너(500)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폐쇄되는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 및 상기 제3 유로(930) 상에 설치되고, 평소에는 폐쇄되고 상기 클리너(500)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개방되는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를 포함한다.
외함(101)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함(101)이 마련된다. 외함(101)은 철재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외함(101)에는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300), 클리너(500), 집진부(400) 등의 장치나 부품이 내장되거나 설치된다.
또한, 외함(101)에는 제1 유로(910), 제2 유로(920), 제3 유로(930)의 일단부가 각각 설치된다. 한편, 이러한 제1 유로(910), 제2 유로(920), 제3 유로(930)를 연결하는 유로연결부(190)가 마련된다.
외함(101)에는 화재 감지기(600)가 내장되거나 외부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600)가 연결될 수 있다. 외함(101)은 설치되는 장치나 부품들을 지지하고 안정적으로 작동이 유지되도록 충분한 강도로 제작되어야 한다.
외함(101) 내부에는 중간부에 장착대(130)가 마련되어, 유로나 구성요소들을 설치할 수 있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가 마련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는 화재 감지 대상 공간이 되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화재 감지기(600)에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 4개가 1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 구성된 경우 각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채널로 구분하기도 한다. 즉, 4개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 구성된 경우 1채널로부터 4채널까지 구성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는 감지 대상 공간에 적절한 길이로 배치된다. 복수 개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가 건물 내부의 각 층이나 격실(방)로 나누어 배치되는 경우 감지(감시) 대상 공간은 상당한 부분에 이른다. 즉,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는 필요한 공간에 적절히 연장 배치하면 되므로 감시 대상 공간은 확장성이 용이하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는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CP/IP, USB 등의 네트워크 라인과 결합되거나 네트워크 라인의 기능을 보조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는 필터(filter)(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실내의 공기는 분진, 수분, 염분을 소량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이물질들이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 내에 축적되는 경우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의 말단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이나 흡입 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내의 공기는 팬 등에 의해 강제로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는 흡기홀(112)이 형성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는 흡기홀(112)이 복수 개 형성된다. 실내의 공기는 흡기홀(112)을 통해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 인입되어 화재 감지기(600)로 이동한다. 흡기홀(112)은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흡기홀(112)은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일렬 또는 다열로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의 흡기홀(112)에는 흡기 작용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흡입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흡입 밸브는 각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마다 구비될 수 있다.
제1 유로(910), 제2 유로(920), 제3 유로(930)가 마련된다. 각 유로는 파이프(관)로 구성될 수 있다. 3개의 유로가 모이는 부분에는 T자형의 유로연결부(190)가 마련된다. 유로연결부(190)는 T자형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910)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와 유로연결부(190)를 연결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유로연결부(190)를 거쳐 화재 감지기(600) 또는 클리너(500)로 보내진다.
제2 유로(920)는 화재 감지기(600)와 유로연결부(190)를 연결한다. 제2 유로(920)에는 유로연결부(190)에 인접하여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가 설치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통해 인입된 공기는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를 거쳐 화재 감지기(600)에 유입된다.
제3 유로(930)는 클리너(500)와 유로연결부(190)를 연결한다. 제3 유로(930)에는 유로연결부(190)에 인접하여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가 설치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통해 인입된 공기는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를 거쳐 클리너(300)에 유입된다.
유로연결부(190)는 3개의 방향으로 분기되고, 3개의 방향은 상방, 하방 및 측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 연결되는 제1 유로(910)는 유로연결부(190)의 측방에 결합되고, 화재 감지기(600)로 연결되는 유로연결부(190)의 제2 유로(920)는 하방에 결합되고, 클리너(500)로 연결되는 제3 유로(930)는 유로연결부(190)의 상방에 결합된다.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3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300)가 마련된다.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300)는 상황에 따라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300)는 화재 감지기(600)에 연결되는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와 클리너(청소기)(500)에 연결되는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로 구성된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을 주로 참조하여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제1 커버(230)가 제1 하우징(210)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제1 커버(230)가 제1 하우징(21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의 분리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는 제1 하우징(210)과 제1 커버(230) 및 제1 개폐용 볼(250)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210)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10)은 원관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하우징(210)은 단차 형성되어 제1 확장부(211)와 제1 수축부(220)를 갖는다. 여기서, 제1 확장부(211)의 직경(외경)이 제1 수축부(220)의 직경(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 확장부(211)와 제1 수축부(220) 사이에는 제1 경사부(225)가 마련된다.
제1 확장부(211)에는 상단부에 내주면을 따라 제1 결합홈(212)이 형성된다. 제1 결합홈(212)에는 제1 커버(230)가 결합된다.
제1 확장부(211)에는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체결부(213)가 마련된다. 제1 체결부(213)는 제1 확장부(211)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213)는 제1 확장부(211)의 내주면에 복수 개 구비된다.
제1 체결부(213)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체결홀(214)이 형성된다. 제1 체결홀(214)은 제1 커버(230)를 제1 하우징(210)에 고정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제1 확장부(211)에는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제1 경사면(215)이 복수 개 형성된다. 제1 경사면(215)은 제1 체결부(213)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면(215)은 제1 확장부(211)의 중간부로부터 제1 경사부(225) 또는 제1 수축부(220)에 이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확장부(211) 내에서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제1 체결부(213) 사이의 직경(d)은 제1 개폐용 볼(250)의 직경(c)보다 크게 형성된다.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제1 경사면(215) 사이의 직경 중에서, 제1 경사면(215)의 상단부의 대단부(large end) 사이의 직경(s1)은 제1 개폐용 볼(25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1 경사면(215)의 하단부의 소단부(small end) 사이의 직경(s2)은 제1 개폐용 볼(25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개폐용 볼(250)이 제1 하우징(210)의 내부로 들어가면 제1 경사면(215) 상에 접촉하게 된다.
제1 수축부(220)의 내경(e)은 제1 개폐용 볼(250)의 직경(c)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1 수축부(220)는 제2 유로(920)에 연결된다.
제1 커버(230)는 제1 플랜지부(231)와 제1 관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231)의 둘레면에는 제1 하우징(210)의 제1 결합홈(212)에 끼워지도록 제1 둘레턱(232)이 형성된다. 제1 둘레턱(232)은 외주부가 홈으로 형성되고, 제1 결합홈(212)은 내주부가 홈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231)에는 제1 하우징(210)의 제1 체결홀(214)에 연통되는 제1 커버체결홀(234)이 관통 형성된다. 제1 플랜지부(231)의 제1 커버체결홀(234)과 제1 하우징(210)의 제1 체결홀(214)을 연결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제1 하우징(210)과 제1 커버(230)가 고정된다.
제1 플랜지부(231)에는 하방으로 개방되는 제1 수용부(235)가 형성된다. 제1 수용부(235)에는 제1 개폐용 볼(250)이 일부 삽입될 수 있다.
제1 관부(240)는 유로연결부(190)에 결합된다. 제1 관부(240)는 유로연결부(190)를 통해 제1 유로(910), 제3 유로(930)와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에 연결된다.
제1 관부(240)에는 제1 중앙홀(242)이 관통 형성된다. 제1 관부(240)의 내경(f), 즉 제1 중앙홀(242)의 직경은 제1 수축부(220)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중앙홀(242)의 직경은 제1 개폐용 볼(25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1 관부(240)와 제1 플랜지부(231) 사이에는 제1 단턱부(236)가 마련된다. 제1 단턱부(236)는 제1 수용부(235)에서 제1 중앙홀(242)로 이어지는 부분이다.
제1 단턱부(236)에는 제1 밀착 부재(245)가 구비된다. 제1 밀착 부재(245)는 L자형 링 형태로 중앙부에는 제1 관통홀(246)이 형성된다. 제1 관통홀(246)의 직경은 제1 개폐용 볼(250)의 직경(c)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1 밀착 부재(245)는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밀착 부재(245)에는 제1 개폐용 볼(250)이 접촉할 수 있다. 제1 개폐용 볼(250)이 제1 밀착 부재(245)에 접촉하는 경우 제1 중앙홀(242)을 통한 경로는 폐쇄되어 공기가 이동하지 못한다.
제1 개폐용 볼(250)이 마련된다. 제1 개폐용 볼(250)은 제1 하우징(210)에 삽입된다. 제1 개폐용 볼(250)은 제1 하우징(210)에 삽입되어 제1 경사면(215)에 얹힌다. 외력이 없거나 화재 감지기(600)의 흡입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제1 개폐용 볼(250)은 이 상태를 유지한다.
제1 개폐용 볼(250)이 제1 경사면(215)에 얹힌 상태에서도 유로연결부(190)로부터 제2 유로(920)로 향하는 통로는 개방되어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 제1 경사면(215)과 인접한 제1 경사면(215) 사이에 형성되는 통기공간(A)을 통해 공기는 이동한다.
클리너(500)가 작동하여 제1 관부(240) 측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면 제1 개폐용 볼(250)은 제1 커버(230) 측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제1 밀착 부재(245)에 접촉하여 제1 중앙홀(242)을 막게 된다. (도 10을 참조할 수 있다.)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의 상부, 즉 제1 커버(230)의 제1 관부(240)는 유로연결부(190)에 연결되어 제1 유로(910)와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에 이어지고,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의 하부, 즉 제1 하우징(210)의 제1 수축부(220)는 제2 유로(92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유로(910)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 연결되고, 제2 유로(920)는 화재 감지기(600)에 연결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에서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제1 개폐용 볼(250)이 중력에 의해 제1 경사면(215)에 얹힌 상태에 있다. 화재 감지기(600)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제1 개폐용 볼(250)은 이 상태를 유지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제1 경사면(215)과 인접한 제1 경사면(215) 사이의 통기공간(A)을 통해 제2 유로(920)로 흘러 화재 감지기(600)로 들어간다.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에 제3 유로(930) 측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1 개폐용 볼(250)은 상승하여 제1 밀착 부재(245)에 접하게 되고,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는 폐쇄되어 제2 유로(920)를 통한 공기 이동은 봉쇄된다.
다음으로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7에는 제2 커버(340)가 제2 하우징(310)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제2 커버(340)가 제2 하우징(31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의 분리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는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는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와 설치 방향이 반대로 이루어진다. 즉, 제2 하우징(310)이 상부에 배치되고, 이에 결합되는 제2 커버(330)가 하부에 배치된다. (도 3 참조)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는 제2 하우징(310)과 제2 커버(330) 및 제2 개폐용 볼(350)을 포함한다.
제2 하우징(310)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제조될 수 있다. 제2 하우징(310)은 원관 형태로 형성된다.
제2 하우징(310)은 단차 형성되어 제2 확장부(311)와 제2 수축부(320)를 갖는다. 여기서, 제2 확장부(311)의 직경(외경)이 제2 수축부(320)의 직경(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2 확장부(311)와 제2 수축부(320) 사이에는 제2 경사부(325)가 마련된다.
제2 확장부(311)에는 상단부에 내주면을 따라 제2 결합홈(312)이 형성된다. 제2 결합홈(312)에는 제2 커버(330)가 결합된다.
제2 확장부(311)에는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체결부(313)가 마련된다. 제2 체결부(313)는 제2 확장부(311)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부(313)는 제2 확장부(311)의 내주면에 복수 개 구비된다.
제2 체결부(313)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체결홀(314)이 형성된다. 제2 체결홀(314)은 제2 커버(330)를 제2 하우징(310)에 고정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제2 확장부(311)에는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제2 경사면(315)이 복수 개 형성된다. 제2 경사면(315)은 제2 체결부(313)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면(315)은 제2 확장부(311)의 중간부로부터 제2 경사부(325) 또는 제2 수축부(320)에 이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확장부(311) 내에서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제2 체결부(313) 사이의 직경(d)은 제2 개폐용 볼(350)의 직경(c)보다 크게 형성된다.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제2 경사면(315) 사이의 직경 중에서, 제2 경사면(315)의 하단부의 대단부(large end) 사이의 직경(s1)은 제2 개폐용 볼(35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 경사면(315)의 상단부의 소단부(small end) 사이의 직경(s2)은 제2 개폐용 볼(35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개폐용 볼(350)이 제2 하우징(310)의 내부로 들어가 상승하면 제2 경사면(315) 상에 접촉하게 된다.
제2 수축부(320)의 내경(e)은 제2 개폐용 볼(350)의 직경(c)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 수축부(320)는 제3 유로(930)에 연결된다.
제2 커버(330)는 제2 플랜지부(331)와 제2 관부(340)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플랜지부(331)의 둘레면에는 제2 하우징(310)의 제2 결합홈(312)에 끼워지도록 제2 둘레턱(332)이 형성된다. 제2 둘레턱(332)은 외주부가 홈으로 형성되고, 제2 결합홈(312)은 내주부가 홈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플랜지부(331)에는 제2 하우징(310)의 제2 체결홀(314)에 연통되는 제2 커버체결홀(334)이 관통 형성된다. 제2 하우징(310)의 제2 체결홀(314)과 제2 플랜지부(331)의 제2 커버체결홀(334)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제2 하우징(310)과 제2 커버(330)가 고정된다.
제2 플랜지부(331)에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제2 수용부(335)가 형성된다. 제2 수용부(335)에는 제2 개폐용 볼(350)이 일부 삽입될 수 있다.
제2 관부(340)는 유로연결부(190)에 결합된다. 제2 관부(340)는 유로연결부(190)를 통해 제1 유로(910), 제2 유로(920)와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에 연결된다.
제2 관부(340)에는 제2 중앙홀(342)이 관통 형성된다. 제2 관부(340)의 내경(f), 즉 제2 중앙홀(342)의 직경은 제2 수축부(320)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중앙홀(342)의 직경은 제2 개폐용 볼(35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 관부(340)와 제2 플랜지부(331) 사이에는 제2 단턱부(336)가 마련된다. 제2 단턱부(336)는 제2 수용부(335)로부터 제2 중앙홀(342)로 이어지는 부분이다.
제2 단턱부(336)에는 제2 밀착 부재(345)가 구비된다. 제2 밀착 부재(345)는 제2 관통홀(346)이 형성된다. 제2 관통홀(346)의 직경은 제2 개폐용 볼(350)의 직경(c)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 밀착 부재(345)는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밀착 부재(345)에는 제2 개폐용 볼(350)이 접촉할 수 있다. 제2 개폐용 볼(350)이 제2 밀착 부재(345)에 접촉하는 경우 제2 중앙홀(342)을 통한 경로는 폐쇄된다. 따라서, 제3 유로(920)를 통한 공기의 이동은 봉쇄된다.
제2 개폐용 볼(350)이 마련된다. 제2 개폐용 볼(350)은 제2 하우징(310)에 삽입된다. 제2 개폐용 볼(350)은 제2 밀착 부재(345)에 얹힌다. 외력이 없는 상태또는 화재 감지기(600) 측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제2 개폐용 볼(350)은 이와 같이 제2 밀착 부재(345)에 얹힌 자세를 유지한다.
클리너(500)가 작동하여 제2 관부(340) 측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면 제2 개폐용 볼(350)은 제2 수축부(320) 측으로 이동하여 제2 경사면(315)에 접한다. 이 상태에서 공기는 제2 경사면(315)과 인접한 제2 경사면(315) 사이의 통기공간(B)을 통해 이동한다.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의 상부, 즉 제2 하우징(310)의 제2 수축부(320)는 제3 유로(930)에 연결되고,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의 하부, 즉 제2 커버(330)의 제2 관부(340)는 유로연결부(190)에 결합되어 제1 유로(910)와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유로(910)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 연결되고, 제3 유로(930)는 클리너(500)에 연결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에서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제2 개폐용 볼(350)이 중력에 의해 제2 단턱부(336)에 얹힌 상태에 있다. 제2 밀착 부재(245)가 있는 경우에는 제2 개폐용 볼(250)은 제2 밀착 부재(245) 상에 얹힌다. 화재 감지기(600)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제2 개폐용 볼(350)은 이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3 유로(930)는 폐쇄된다.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에 제3 유로(930) 방향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2 개폐용 볼(350)은 상승하여 제2 경사면(315)에 접하게 되고,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는 개방되어 공기는 제3 유로(930)로 이동한다.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300)에 있어서,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의 제1 개폐용 볼(250)의 무게는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의 제2 개폐용 볼(350)의 무게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평소 상태(화재 감지기가 작동하고 클리너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화재 감지기(600)로 향하는 흡입력만 작용하고 클리너(500)로 향하는 흡입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제2 단턱부(336)에 얹힌 제2 개폐용 볼(250)이 들뜨지 않아 제3 유로(930)에 대한 폐쇄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의 제2 밀착 부재(345)의 두께는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의 제1 밀착 부재(245)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평소 상태에서 제2 밀착 부재(345)에 얹혀있는 제2 개폐용 볼(350)이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폐쇄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화재 감지기(600)가 마련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에서 유로연결부(190)와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를 통과한 공기는 제2 유로(920)를 거쳐 화재 감지기(600)에 인입된다.
화재 감지기(600)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성분을 분석하여 화재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알리게 된다.
클리너(500)가 마련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에서 유로연결부(190)와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를 통과한 공기는 제3 유로(930)를 거쳐 클리너(500)에 인입된다.
클리너(500) 내의 모터(510)가 동작하면 클리너(500)로 향해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력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에 연결된 제3 유로(930) 내의 압력이 감소하여 제2 개폐용 볼(250)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가 개방되어 제3 유로(930)를 통한 공기 이동이 허용된다.
이때, 흡입력이 강하면 제1 개폐용 볼(250)도 상승하여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는 폐쇄되고 제2 유로(920)를 통한 공기의 이동은 차단된다.
클리너(500)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 내의 분진을 제거하여 화재 감지기(600)로 흐르는 공기가 실내 공기 그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클리너(500)의 흡입력에 의해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 내부 또는 흡기홀(112) 주변부에 점착하거나 적층된 분진을 빨아들이도록 한다.
클리너(500)는 제어패널(150)에 의해 작동한다.
제어패널(150)에서는 클리너(500)의 작동을 조절한다. 예를 들면, 제어패널(150)에서는 클리너(500)의 작동 시간, 작동 주기, 작동 강도, 작동 채널 등의 작동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클리너(500)는 보통 모터(510)에 의해 동작하므로 제어패널(150)은 모터(51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클리너(500)에서 흡인하는 분진들이 포집되도록 집진기(400)가 구비된다. 집진기(400)는 제2 유로(920)와 클리너(5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집진기(400)는 클리너(500)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다.
집진부(400)가 구비된다. 집진부(400)의 내부로 유입된 함진 공기는 기계적 또는 물리적인 작용으로 원심력을 발생시켜 함진 공기 내 포함된 분진 및 불순물을 분리, 배출하여 화재 감지기(600)에 유입되는 분진 및 불순물을 최소화하는 장치이다.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의 하부 또는 제2 유로(920)의 일부에는 배수 부재(7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 배수 부재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공기를 흡입하여 화재를 감시하는 감지기의 특성상 공기에 포함된 포화수증기의 온도 하강에 따른 응축수가 생성되어 화재 감지기(600) 내에 축적되면 장치는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성능을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수분을 함유한 공기에서 배수 부재(700)를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배수 부재(700)는 하우징(701), 수분포집관(702), 배출캡(710), 스톱링(720), 작용구(730), 수압 조절 스프링(7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작용구(730)가 하부에서 작용하는 수압 조절 스프링(740)의 힘을 받아 하우징(701)의 스톱링(720)에 접한 상태에 있다. 하우징(701) 내에 수분이 누적되면 수압 조절 스프링(740)의 힘을 이기고 작용구(730)를 밀어내려 수분이 수분포집관(702)에 모이게 된다.
배수 부재(700)에서 분리된 수분은 수분포집관(702)에 포집되어 주기적으로 배출캡(710)를 통해 수분을 배출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유로연결부(190)는 3개의 방향으로 분기되고, 3개의 방향은 상방, 하방 및 측방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 연결되는 제1 유로(910)는 유로연결부(190)의 측방에 결합되고, 화재 감지기(600)로 연결되는 유로연결부(190)의 제2 유로(920)는 하방에 결합되고, 클리너(500)로 연결되는 제3 유로(930)는 유로연결부(190)의 상방에 결합된다.
제1 유로(910)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와 유로연결부(190)를 연결하여,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유로연결부(190)를 거쳐 화재 감지기(600) 또는 클리너(500)로 보내진다.
제2 유로(920)는 화재 감지기(600)와 유로연결부(190)를 연결하고, 제2 유로(920)에는 유로연결부(190)에 인접하여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가 설치되어,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통해 인입된 공기는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를 거쳐 화재 감지기(600)에 유입된다.
제3 유로(930)는 클리너(500)와 유로연결부(190)를 연결하고, 제3 유로(930)에는 유로연결부(190)에 인접하여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가 설치되어,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통해 인입된 공기는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를 거쳐 클리너(300)에 유입된다.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에서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제1 개폐용 볼(250)이 중력에 의해 제1 경사면(215)에 얹힌 상태에 있다. 화재 감지기(600)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제1 개폐용 볼(250)은 이 상태를 유지한다. 클리너(500)가 작동하지 않고, 화재 감지기(600)만 작동하는 평소 상태에서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제1 경사면(215)과 인접한 제1 경사면(215) 사이의 통기공간(A)을 통해 제2 유로(920)로 흘러 화재 감지기(600)로 들어간다.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에서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제2 개폐용 볼(350)이 중력에 의해 제2 단턱부(336)에 얹힌 상태에 있다. 제2 밀착 부재(245)가 있는 경우에는 제2 개폐용 볼(250)은 제2 밀착 부재(245) 상에 얹힌다. 화재 감지기(600)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제2 개폐용 볼(350)은 이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3 유로(930)는 폐쇄된다.
클리너(500)가 작동하여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200)에 제3 유로(930) 측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1 개폐용 볼(250)은 상승하여 제1 밀착 부재(245)에 접하게 되고,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는 폐쇄되어 제2 유로(920)를 통한 공기 이동은 봉쇄된다.
클리너(500)가 작동하여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에 제3 유로(930) 방향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2 개폐용 볼(350)은 상승하여 제2 경사면(315)에 접하게 되고,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300)는 개방되어 공기는 제3 유로(930)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청소 장치에 의하면, 평소에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화재 감지기로 흐르도록 하고,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부의 청소를 하는 경우에는 유입된 공기가 클리너로 향하도록 자동으로 전환하는 무동력 밸브 조립체가 구비되어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이와 같이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의 분진 제거를 위해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에 있어서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무동력 밸브를 적용하므로 별도의 전원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동력 밸브는 수동으로 작동시킬 필요가 없고 공기의 흐름 방향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이 용이하고 인력의 낭비가 없다.
또한, 화재 감지기 방향에 설치된 제1 무동력 밸브와 클리너 방향에 설치된 제2 무동력 밸브는 연동하여 작용하므로 개별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동력 밸브는 내부 구성이 복잡하지 않고 간명하여 고장 가능성이 적고 제작 비용이 감소되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청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실시 상태를 예시하고 있는 것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들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외함
110 공기 샘플링 파이프
112 흡기홀
150 제어패널
190 유로연결부
200,300 무동력 밸브 조립체
210,310 하우징
211,311 확장부
212,312 결합홈
213,313 체결부
215,315 경사면
220,320 수축부
225,325 경사부
230,330 커버
231,331 플랜지부
232,332 둘레턱
240,340 관부
245,345 밀착 부재
250,350 개폐용 볼
400 집진부
500 클리너
600 화재 감지기
700 배수 부재
910 제1 유로
920 제2 유로
930 제3 유로

Claims (18)

  1.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에 연결되는 제1 유로;
    일단은 상기 제1 유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로 흡입된 공기의 성분을 분석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감지기에 연결되는 제2 유로;
    일단은 상기 제1 유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분진을 제거하는 클리너에 연결되는 제3 유로;
    상기 제2 유로 상에 설치되어, 평소에는 개방되고 상기 클리너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폐쇄되는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 및
    상기 제3 유로 상에 설치되고, 평소에는 폐쇄되고 상기 클리너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개방되는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와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는 각각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는 개폐용 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의 제1 개폐용 볼의 무게는 상기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의 제2 개폐용 볼의 무게보다 작게 형성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 제2 유로, 제3 유로를 연결하는 유로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유로연결부는 상방, 하방 및 측방의 3개 방향으로 분기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유로연결부의 측방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유로연결부의 하방에 결합되고, 상기 제3 유로는 상기 유로연결부의 상방에 결합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관 형태로 형성되되 단차 형성되어 확장부와 수축부를 갖고, 상기 확장부와 수축부 사이에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에는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부가 복수 개 형성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에는 내주면 또는 상기 체결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경사면이 복수 개 형성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상기 체결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개폐용 볼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상기 경사면에서, 대단부 사이의 직경은 상기 개폐용 볼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소단부 사이의 직경은 상기 개폐용 볼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부의 내경은 상기 개폐용 볼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플랜지부와 관부로 구성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는 일방향으로 개방되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의 내경은 개폐용 볼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관부가 이어지는 단턱부에는 밀착 부재가 구비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의 제2 밀착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의 제1 밀착 부재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의 하부에는 배수 부재가 구비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동력 밸브 조립체와 제2 무동력 밸브 조립체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KR1020230027141A 2023-02-28 2023-02-28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KR102580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7141A KR102580286B1 (ko) 2023-02-28 2023-02-28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7141A KR102580286B1 (ko) 2023-02-28 2023-02-28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286B1 true KR102580286B1 (ko) 2023-09-20

Family

ID=88191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7141A KR102580286B1 (ko) 2023-02-28 2023-02-28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2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3313A (ko) * 2009-03-31 2012-02-14 아사히 유키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볼 체크 밸브
KR102477850B1 (ko) * 2022-06-17 2022-12-15 신현호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3313A (ko) * 2009-03-31 2012-02-14 아사히 유키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볼 체크 밸브
KR102477850B1 (ko) * 2022-06-17 2022-12-15 신현호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7850B1 (ko)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KR101845264B1 (ko) 자동 분진 청소기가 설치된 흡입형 화재 감지장치
WO2016116024A1 (zh) 带或不带采气管的点型主动感烟探测器及空气采样系统
KR101845263B1 (ko)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
CN202715163U (zh) 一种自动消防系统
KR101188094B1 (ko) 분진제거가 용이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
CA2821183C (en) Vacuum trap
CN112802296B (zh) 一种室内火灾报警传感装置
KR200474888Y1 (ko) 다기능 환기 시스템
KR102580286B1 (ko)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KR20130118056A (ko)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공기필터링 장치
US20220049863A1 (en) Gas accumulation and combustion control device
KR20220014219A (ko) 듀사이클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감지기 시스템
KR200497846Y1 (ko)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용 드레인 밸브
KR102572741B1 (ko)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
KR102583714B1 (ko)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청소 장치
KR102488342B1 (ko) 공기 흡입형 화재감지기
KR101854810B1 (ko)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청소 커넥터 장치
CN109301786B (zh) 一种能自动除湿的电缆沟盖板
KR101854560B1 (ko)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
KR102050539B1 (ko) 화재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102636209B1 (ko)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결로수 제거기
KR200393246Y1 (ko) 제연장치
KR102646034B1 (ko)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오토클리닝 및 워터트랩 시스템
KR20230133001A (ko)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 클리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