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714B1 -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청소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3714B1 KR102583714B1 KR1020230086517A KR20230086517A KR102583714B1 KR 102583714 B1 KR102583714 B1 KR 102583714B1 KR 1020230086517 A KR1020230086517 A KR 1020230086517A KR 20230086517 A KR20230086517 A KR 20230086517A KR 102583714 B1 KR102583714 B1 KR 1025837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cleaning device
- fire detector
- flow path
- ice remov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3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06010044565 Tremor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60904 Freezing phenomen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5—Control mechanism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에 연결되고 흡기홀이 형성되는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에 의하면, 클리너 작동시 결빙 제거 소켓에 구비된 탄성 부재가 떨리거나 휘어지는 작용이 발생해 흡기홀 주변에 형성된 성에나 얼음막 등의 결빙을 떨어트리게 된다. 따라서, 결빙에 의한 흡기홀 폐쇄로 인한 청소 장치의 작동 불량이 방지된다. 따라서, 냉동 창고에 설치되는 등 기온이 매우 낮은 환경에서 화재 감지기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청소 장치 기능이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에 의하면, 클리너 작동시 결빙 제거 소켓에 구비된 탄성 부재가 떨리거나 휘어지는 작용이 발생해 흡기홀 주변에 형성된 성에나 얼음막 등의 결빙을 떨어트리게 된다. 따라서, 결빙에 의한 흡기홀 폐쇄로 인한 청소 장치의 작동 불량이 방지된다. 따라서, 냉동 창고에 설치되는 등 기온이 매우 낮은 환경에서 화재 감지기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청소 장치 기능이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에 연결되고 흡기홀이 형성되는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감지기는 화재 발생 초기에 이를 감지하고 방재계통에 알림으로써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여 귀중한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대형의 물류 보관창고, 가연성 및 인화성 물질의 보관창고,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대면적의 건물,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과 같은 소면적의 건물 등 화재발생시 많은 재산 및 인명피해가 우려되거나, 일일이 감시하거나 관리하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된다.
이러한 화재 감지기는 용도나 작동 방식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감지기는 설치장소나 감시면적에 따라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대면적의 건물에서 중앙제어방식의 방재시스템 등과 연계되어 작동하는 연동식 구조의 화재 감지기와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과 같이 주로 소면적의 건물에서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단독식 구조의 화재 감지기로 구분된다. 또한, 화재 감지기는 화재감지방식에 따라, 화재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열 감지방식, 연기를 이용하는 연기 감지방식, 불꽃을 이용하는 불꽃 감지방식이 있다.
여기서 열 감지방식이나 불꽃 감지방식은, 실내의 천장이나 벽면에 온도감지나 불꽃감지를 위한 감지센서를 개별로 설치하고, 화재시 발생하는 열이나 불꽃이 감지센서에 도달할 때 감지하는 수동적 감지방식이므로, 화재발생 초기로부터 화재감지까지의 시간이 길어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하기 어렵고, 감지센서가 설치된 위치와 화재발생 장소에 따라 균일한 감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연기 감지방식은 화재발생 초기에 가장 먼저 발생하여 주위로 확산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것이므로, 화재발생 초기로부터 감지까지의 시간이 짧아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고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최대한 균일한 감지가 가능하여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연기 감지방식 중에서도 공기 흡입형 감지장치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로 구성되는 배관망을 통해 여러 장소의 공기를 능동적으로 흡입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방식이므로, 넓은 면적에 대한 화재 발생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공기 샘플링 파이프 배관망의 추가 설치만으로 감지 면적을 확장할 수 있어 기존의 감지 면적을 더욱 확장하고자 하는 경우 매우 효율적이다.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는, 실내의 벽면 등에 설치되어 흡입된 연기를 이용하여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기와, 실내의 천장 또는 화재감지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배치되어 공기흡입통로를 구성하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연기 감지기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펌프와, 흡입된 공기로부터 연기 또는 가스를 분석하는 연기 검출부와, 진공펌프 및 연기검출부를 컨트롤함과 동시에 연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여 경보를 울리도록 제어하거나 방재시스템 등과 연계되어 화재신호를 송출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공기 샘플링 파이프는, 연기 감지기에 연결되고, 화재를 감지하고자 하는 장소로 길게 배치되어 배관망을 형성하는 것으로, 공기 샘플링 파이프에는 일정한 간격 또는 화재 감지를 위한 장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어 실내 여러 장소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연기 감지기의 진공펌프를 구동하게 되면, 실내 여러 장소의 공기가 공기 샘플링 파이프의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되어 연기 감지기의 연기검출부로 공급되므로, 실내 여러 장소의 공기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되고, 흡입된 공기에 연기 또는 가스가 포함된 경우, 연기 검출부가 이를 검출하고 제어부는 검출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이로써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방재계통을 가동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여 귀중한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8094호 '분진제거가 용이한 공기 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77850호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를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분석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므로, 공기 중에 먼지 또는 미세한 이물질 등의 분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연기검출부에서 정확한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화재발생시 초기에 신속한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염려가 있고, 또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아도, 화재로 오판하여 방재계통을 동작시킬 염려가 있어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부를 주기적으로 청소하여 분진을 제거해야 한다.
즉,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에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 내부의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 장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의 선행기술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10-2023-0027141호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에 위 선행기술에 따른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의 내부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와 이에 연결되는 화재 감지기(60)가 구비되고, 공기 샘플링 파이프(11)에는 청소 장치(10)가 구비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에는 공기 흡입홀(12)이 복수 개 형성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는 청소 장치(10) 내부의 분기관(19)을 통해 화재 감지기(60)와 클리너(50)로 분기된다. 화재 감지기(60)에서는 흡입된 공기에서 연기나 가스를 검출하고, 클리너(50)에서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나 공기 흡입홀(12) 주변의 분진을 빨아들인다.
그런데,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가 냉동창고에 설치되는 등 기온이 낮은 가혹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 공기 샘플링 파이프(11)의 공기 흡입홀(12)에 성에가 끼거나 얼음막이 형성되는 등 결빙 현상이 발생하면 공기 흡입홀(12)이 막히거나 좁아져 청소 장치가 제대로 작동 안되거나 작동이 되어도 흡기 성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는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고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기 샘플링 파이프의 흡기홀이 결빙 현상에 의해 폐쇄 또는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기홀이 없는 일반 파이프에 적용 가능한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 감소에 따른 비용 절감이 일어나는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는, 제1 유로, 제2 유로 및 제3 유로가 연결되는 분기관; 상기 제1 유로에 연결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 상기 제2 유로에 연결되어 흡입된 공기의 성분을 분석하는 화재 감지기; 및 상기 제3 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된 공기에서 분진을 제거하는 클리너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에는 흡기홀이 형성된 탄성 부재가 구비되는 결빙 제거 소켓이 결합되고, 상기 클리너 작동시 흡인력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에 떨림이나 휘어지는 동작이 발생하여 상기 탄성 부재에 부착된 결빙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빙 제거 소켓은, 관으로 형성되는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결합되는 상기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다.
또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관연결부와 중앙에 배치되는 중간부를 갖는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다.
또한, 상기 관연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연결홀의 직경은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의 외경에 해당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보다 방사 방향으로 더 두텁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부의 일면에는 상기 탄성 부재가 안착되도록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장착부를 갖는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다.
또한, 상기 장착부에는 링 형태로 돌출되는 림부와, 상기 림부의 주변에 형성되는 끼움홀 또는 끼움돌기를 갖는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다.
또한, 상기 림부의 내부에는 공기가 유출입되는 림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에는 상기 끼움홀 또는 끼움돌기에 대응하는 끼움돌기 또는 끼움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부의 측면에는 파지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연질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에는 상기 림부를 감싸는 덮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흡기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에 의하면, 클리너 작동시 결빙 제거 소켓에 구비된 탄성 부재가 떨리거나 휘어지는 작용이 발생해 흡기홀 주변에 형성된 성에나 얼음막 등의 결빙을 떨어트리게 된다. 따라서, 결빙에 의한 흡기홀 폐쇄로 인한 청소 장치의 작동 불량이 방지된다. 따라서, 냉동 창고에 설치되는 등 기온이 매우 낮은 환경에서 화재 감지기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청소 장치 기능이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또한, 결빙 제거 소켓에 구비된 탄성 부재에는 흡기홀이 형성되므로, 공기 샘플링 파이프로서 흡기홀이 없는 일반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파이프를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장치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의 일반 작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의 측단면도이다. 도 5에서, A-A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이 적용된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의 흡기홀 부분 작용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의 일반 작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의 측단면도이다. 도 5에서, A-A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이 적용된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의 흡기홀 부분 작용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된 "부재" 또는 "부"라는 용어는 어떤 한정적 목적을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며,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의 내부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가 적용되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작용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100)는, 제1 유로(910), 제2 유로(920) 및 제3 유로(930)가 연결되는 분기관(190); 상기 제1 유로(910)에 연결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 상기 제2 유로(920)에 연결되어 흡입된 공기의 성분을 분석하는 화재 감지기(600); 및 상기 제3 유로(930)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된 공기에서 분진을 제거하는 클리너(50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는 흡기홀(172)이 형성되는 갖는 탄성 부재(170)가 구비되는 결빙 제거 소켓(160,170)이 결합되고, 상기 클리너(500) 작동시 상기 탄성 부재(170)에 떨림이나 휘어지는 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의 기본 구성 및 작용의 개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100)는,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 연결되는 제1 유로(910)와 화재 감지기(600)에 연결되는 제2 유로(920) 및 클리너(500)에 연결되는 제3 유로(930)가 연결되는 유로연결부(분기관)(190), 상기 분기관(190)에 구비되어 화재 감지기(600) 또는 클리너(50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밸브 조립체(200,300), 클리너(500)와 분기관(190)의 제3 유로(930) 사이에 구비되는 집진부(400) 및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 연결되는 결빙 제거 소켓(160,1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100)의 일반적인 작용은, 평소에는 제2 유로(920)에 연결된 제1 밸브 조립체(200)가 개방되어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화재 감지기로 흐르도록 하고(도 3 참조), 클리너(500) 작동시에는 제3 유로(930)에 연결된 제2 밸브 조립체(300)가 개방되어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 내부의 청소를 하는 경우에는 유입된 공기가 클리너(500)로 향하도록 전환된다(도 4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외함(101)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함(101)이 마련된다. 외함(101)은 철재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외함(101)에는 밸브 조립체(200,300), 집진부(400), 클리너(500) 등의 장치나 부품이 내장되거나 설치된다.
또한, 외함(101)에는 제1 유로(910), 제2 유로(920), 제3 유로(930)의 일단부가 각각 설치된다. 한편, 이러한 제1 유로(910), 제2 유로(920), 제3 유로(930)를 연결하는 유로연결부(분기관)(190)가 마련된다.
외함(101)에는 화재 감지기(600)가 내장되거나 외부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600)가 연결될 수 있다. 외함(101)은 설치되는 장치나 부품들을 지지하고 안정적인 작동이 유지되도록 충분한 강도로 제작되어야 한다.
외함(101) 내부에는 중간부에 장착대(130)가 마련되어, 각 유로나 구성요소들을 설치할 수 있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가 마련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는 화재 감지 대상 공간이 되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화재 감지기(600)에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 4개가 1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 구성된 경우 각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채널(channel) 또는 웨이(way)로 구분하기로 한다. 즉, 4개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 구성된 경우 1채널로부터 4채널까지 구성된다. 이러한 채널을 구분하기 위하여 알파벨 소문자 a,b,c,d로 된 첨자를 사용하기로 한다. 즉, 1채널 공기 샘플링 파이프의 부호는 110a로 표기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는 감지 대상 공간에 적절한 길이로 배치된다. 복수 개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가 건물 내부의 각 층이나 격실(방)로 나누어 배치되는 경우 감지(감시) 대상 공간은 상당한 부분에 이른다. 즉,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는 필요한 공간에 적절히 연장 배치하면 되므로 감시 대상 공간은 확장성이 용이하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는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CP/IP, USB 등의 네트워크 라인과 결합되거나 네트워크 라인의 기능을 보조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는 필터(filter)(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실내의 공기는 분진, 수분, 염분을 소량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이물질들이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 내에 축적되는 경우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의 말단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이나 흡입 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내의 공기는 팬 등에 의해 강제로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는 흡기홀(112)이 형성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는 흡기홀(112)이 복수 개 형성된다. 실내의 공기는 흡기홀(112)을 통해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 인입되어 화재 감지기(600)로 이동한다. 흡기홀(112)은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흡기홀(112)은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일렬 또는 다열로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의 흡기홀(112)에는 흡기 작용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흡입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흡입 밸브는 각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마다 구비될 수 있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와 화재 감지기(600) 및 클리너(500)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1 유로(910), 제2 유로(920), 제3 유로(930)가 마련된다. 각 유로는 파이프(관)로 구성될 수 있다. 3개의 유로가 모이는 부분에는 T자형의 유로연결부(190)가 마련된다. 유로연결부(190)는 T자형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연결부(190)는 분기관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제1 유로(910)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와 유로연결부(190)를 연결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유로연결부(190)를 거쳐 화재 감지기(600) 또는 클리너(500)로 보내진다.
제2 유로(920)는 화재 감지기(600)와 유로연결부(190)를 연결한다. 제2 유로(920)에는 유로연결부(190)에 인접하여 제1 밸브 조립체(200)가 설치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통해 인입된 공기는 제1 밸브 조립체(200)를 거쳐 화재 감지기(600)에 유입된다.
제3 유로(930)는 클리너(500)와 유로연결부(190)를 연결한다. 제3 유로(930)에는 유로연결부(190)에 인접하여 제2 밸브 조립체(300)가 설치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통해 인입된 공기는 제2 밸브 조립체(300)를 거쳐 클리너(300)에 유입된다.
유로연결부(190)는 3개의 방향으로 분기된다. 여기서, 3개의 방향은 상방, 하방 및 측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 연결되는 제1 유로(910)는 유로연결부(190)의 측방에 결합되고, 화재 감지기(600)로 연결되는 유로연결부(190)의 제2 유로(920)는 하방에 결합되고, 클리너(500)로 연결되는 제3 유로(930)는 유로연결부(190)의 상방에 결합된다.
밸브 조립체(200,3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밸브 조립체(200,300)가 마련된다. 밸브 조립체(200,300)는 상황에 따라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전환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밸브 조립체(200,300)는 화재 감지기(600)에 연결되는 제1 밸브 조립체(200)와 클리너(청소기)(500)에 연결되는 제2 밸브 조립체(300)로 구성된다.
먼저 도 3 및 도 4의 작용도를 주로 참조하여 제1 밸브 조립체(20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제1 밸브 조립체(200)가 개방되고 제2 밸브 조립체(300)는 폐쇄되어 흡입된 공기가 화재 감지기(600)로 흘러가는 상태이고, 도 4는 제1 밸브 조립체(200)가 폐쇄되고 제2 밸브 조립체(300)는 개방되어 흡입된 공기가 클리너(500)로 흘러가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1 밸브 조립체(200)는 제1 하우징(210)과 제1 커버(230) 및 제1 개폐용 밸브(250)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210)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10)은 원관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하우징(210)은 단차 형성되어 제1 확장부(211)와 제1 수축부(220)를 갖는다. 제1 확장부(211)와 제1 수축부(220) 사이에는 제1 경사면(215)이 복수 개 형성된다.
제1 수축부(220)는 제2 유로(920)에 연결된다.
제1 커버(230)는 제1 플랜지부(231)와 제1 관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관부(240)는 유로연결부(190)에 결합된다. 제1 관부(240)는 유로연결부(190)를 통해 제1 유로(910), 제3 유로(930)와 제2 밸브 조립체(300)에 연결된다.
제1 개폐용 밸브(250)가 마련된다. 제1 개폐용 밸브(250)는 제1 하우징(210)에 삽입된다. 제1 개폐용 밸브(250)는 제1 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개방된 상태에 놓인다. 외력이 없거나 화재 감지기(600)의 흡입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제1 개폐용 밸브(250)는 이 상태를 유지한다.
제1 개폐용 밸브(250)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유로연결부(190)로부터 제2 유로(920)로 향하는 통로는 개방되어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 제1 하우징(210) 내부의 공간을 통해 공기는 이동한다.
클리너(500)가 작동하여 제1 관부(240) 측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면 제1 개폐용 밸브(250)는 상방으로 회전하여 제1 커버(230)에 접촉하여 제1 관부(240)를 막게 된다.
제1 밸브 조립체(200)의 상부, 즉 제1 커버(230)의 제1 관부(240)는 유로연결부(190)에 연결되어 제1 유로(910)와 제2 밸브 조립체(300)에 이어지고, 제1 밸브 조립체(200)의 하부, 즉 제1 하우징(210)의 제1 수축부(220)는 제2 유로(92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유로(910)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 연결되고, 제2 유로(920)는 화재 감지기(600)에 연결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1 밸브 조립체(200)에서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제1 개폐용 밸브(250)가 중력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 있다. 화재 감지기(600)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제1 개폐용 밸브(250)는 이 상태를 유지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제1 하우징(210) 내의 공간을 통해 제2 유로(920)로 흘러 화재 감지기(600)로 들어간다.
제1 밸브 조립체(200)에 제3 유로(930) 측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1 개폐용 밸브(250)는 상승하여 제1 플랜지부(231)에 접하게 되고, 제1 밸브 조립체(200)는 폐쇄되어 제2 유로(920)를 통한 공기 이동은 봉쇄된다.
다음으로 제2 밸브 조립체(30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밸브 조립체(300)는 제1 밸브 조립체(200)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제2 밸브 조립체(300)는 제1 밸브 조립체(200)와 설치 방향이 반대로 이루어진다. 즉, 제2 하우징(310)이 상부에 배치되고, 이에 결합되는 제2 커버(330)가 하부에 배치된다.
제2 밸브 조립체(300)는 제2 하우징(310)과 제2 커버(330) 및 제2 개폐용 밸브(350)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310)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제조될 수 있다. 제2 하우징(310)은 원관 형태로 형성된다.
제2 하우징(310)은 단차 형성되어 제2 확장부(311)와 제2 수축부(320)를 갖는다. 여기서, 제2 확장부(311)의 직경(외경)이 제2 수축부(320)의 직경(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2 확장부(311)와 제2 수축부(320) 사이에는 제2 경사면(315)이 마련된다.
제2 수축부(320)는 제3 유로(930)에 연결된다.
제2 커버(330)는 제2 플랜지부(331)와 제2 관부(340)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관부(340)는 유로연결부(190)에 결합된다. 제2 관부(340)는 유로연결부(190)를 통해 제1 유로(910), 제2 유로(920)와 제1 밸브 조립체(200)에 연결된다.
제2 개폐용 밸브(350)가 마련된다. 제2 개폐용 밸브(350)는 제2 하우징(310)에 삽입된다. 제2 개폐용 밸브(350)는 제2 플랜지부(331)에 얹힌다. 외력이 없는 상태또는 화재 감지기(600) 측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제2 개폐용 밸브(350)는 이와 같이 제2 플랜지부(331)에 얹힌 자세를 유지한다.
클리너(500)가 작동하여 제2 관부(340) 측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면 제2 개폐용 밸브(350)는 상방으로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공기는 제2 하우징(331) 내의 공간을 통해 이동한다.
제2 밸브 조립체(300)의 상부, 즉 제2 하우징(310)의 제2 수축부(320)는 제3 유로(930)에 연결되고, 제2 밸브 조립체(300)의 하부, 즉 제2 커버(330)의 제2 관부(340)는 유로연결부(190)에 결합되어 제1 유로(910)와 제1 밸브 조립체(2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유로(910)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 연결되고, 제3 유로(930)는 클리너(500)에 연결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2 밸브 조립체(300)에서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제2 개폐용 밸브(350)가 중력에 의해 제2 플랜지부(331)에 얹힌 상태에 있다. 화재 감지기(600)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제2 개폐용 밸브(350)는 이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3 유로(930)는 폐쇄된다.
제2 밸브 조립체(300)에 제3 유로(930) 방향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2 개폐용 밸브(350)는 상승하여 제2 밸브 조립체(300)는 개방되고 공기는 제3 유로(930)로 이동한다.
화재 감지기(600)가 마련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에서 유로연결부(190)와 제1 밸브 조립체(200)를 통과한 공기는 제2 유로(920)를 거쳐 화재 감지기(600)에 인입된다.
화재 감지기(600)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성분을 분석하여 화재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알리게 된다.
클리너(500)가 마련된다.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에서 유로연결부(190)와 제2 밸브 조립체(300)를 통과한 공기는 제3 유로(930)를 거쳐 클리너(500)에 인입된다.
클리너(500) 내의 모터(510)가 동작하면 클리너(500)로 향해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력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제2 밸브 조립체(300)에 연결된 제3 유로(930) 내의 압력이 감소하여 제2 개폐용 밸브(250)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밸브 조립체(300)가 개방되어 제3 유로(930)를 통한 공기 이동이 허용된다.
이때, 흡입력이 강하면 제1 개폐용 밸브(250)도 상승하여 제1 밸브 조립체(200)는 폐쇄되고 제2 유로(920)를 통한 공기의 이동은 차단된다. (도 4 참조)
클리너(500)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 내의 분진을 제거하여 화재 감지기(600)로 흐르는 공기가 실내 공기 그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클리너(500)의 흡입력에 의해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 내부 또는 흡기홀(112) 주변부에 점착하거나 적층된 분진을 빨아들이도록 한다.
클리너(500)는 제어패널(150)에 의해 작동한다. 제어패널(150)에서는 클리너(500)의 작동을 조절한다. 예를 들면, 제어패널(150)에서는 클리너(500)의 작동 시간, 작동 주기, 작동 강도, 작동 채널 등의 작동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클리너(500)는 보통 모터(510)에 의해 동작하므로 제어패널(150)은 모터(51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클리너(500)에서 흡인하는 공기 중에서 분진이나 수분이 포집되도록 집진부(400)가 구비된다. 집진부(400)는 제2 유로(920)와 클리너(5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집진부(400)는 클리너(500)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다.
결빙 제거 소켓(160,170)이 마련된다. 도 5, 6 및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의 사시도, 분해 사시도 및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결빙 제거 소켓(160,170)은 커넥터 본체(160)와 탄성 부재(170)로 구성된다.
커넥터 본체(160)는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관연결부(161)와 중앙에 배치되는 중간부(164)로 구성된다.
관연결부(161)는 원형 또는 각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관연결부(161)의 재질은 합성수지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연결부(161)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관연결부(161)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관연결부(161)가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 결합되어, 결빙 제거 소켓(160,170)은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 이어진다. 따라서, 결빙 제거 소켓(160,170)의 내부와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의 내부는 연결된다.
관연결부(1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연결홀(162)이 형성된다. 관연결홀(162)의 직경은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의 외경에 해당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관연결부(161)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결빙 제거 소켓(160,170)을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 결합시키기 용이하도록 한다.
관연결부(161)의 양단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부분은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연결부(161) 중에서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 연결되는 일단은 개방되고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 연결되지 않는 타단은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기홀(172)을 통한 공기 유입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중간부(164)는 양단의 관연결부(161)의 사이에 마련된다. 중간부(164)는 관연결부(16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부(164)는 관연결부(16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부(164)는 관연결부(161)보다 두텁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중간부(164)는 관연결부(161)보다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중간부(164)에는 일면에 장착부(165)가 형성된다. 장착부(165)가 형성되는 부분은 대지 형태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165)에는 타원형의 링 형태로 돌출되는 림(rim)부(166)와 림부(166) 의 주변부에 각각 형성되는 끼움홀(168)가 마련된다. 여기서, 끼움홀(168)은 림부(166)의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거나 전,후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림부(166)는 장착부(165)에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림부(166)는 탄성부재(170)의 일부를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170)를 신장시켜 팽팽하게 하고 클리너(500)가 작동시 탄성부재가 휘어지는 부분에 주변부에 버팀목 역할을 하여 지지한다.
림부(166)의 내부에는 림홀(167)이 형성된다. 림홀(167)을 통해 공기가 유출입된다.
중간부(164)의 측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파지홈(169)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70)가 마련된다. 탄성 부재(170)는 결빙 제거 소켓(160,170)의 장착부(165)에 배치되고 결합된다. 탄성 부재(170)의 전체적인 크기는 장착부(165)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탄성 부재(170)는 실리콘 등 연질 재료로 형성된다. 탄성 부재(170)는 연질 재료로 형성되어 클리너(500)의 모터가 작동시 흡인력에 의해 부재면이 휘어지거나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탄성 부재(170)에는 림부(166)를 감싸는 덮개부(171)가 형성된다. 덮개부(171)는 림부(166)와 림홀(167)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덮개부(171)의 높이는 림부(166)의 높이로 형성된다.
덮개부(171)에는 흡기홀(172)이 형성된다. 흡기홀(172)을 통해 공기가 유출입된다. 흡기홀(172)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171)는 흡기홀(172)을 제외한 부분에서 림홀(167)을 가린다.
덮개부(171)는 클리너(500)가 작동시 흡입력에 의해 림부(166) 내부로 휘어지는 부분이다.
클리너(500)의 모터(510)가 작동하면, 실내의 공기는 흡기홀(172)을 통해 결빙 제거 소켓(160,170)의 내부로 흡인되고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통해 청소 장치 내부로 이동한다.
탄성 부재(170)의 하면에는 덮개부(171)의 주변부에 끼움돌기(175)가 마련된다. 끼움돌기(175)는 중간부(164)의 끼움홀(168)에 끼움 결합된다. 끼움돌기(175)는 끼움홀(168)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즉, 끼움돌기(175)는 덮개부(171)의 좌,우측에 대칭되도록 구비되거나 전,후측에 대칭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160,17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결빙 제거 소켓(160,170)은 이전 실시예와 커넥터 본체(160)와 탄성 부재(170)의 결합부 부분이 다르고 다른 부분은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160)의 장착부(165)에 끼움돌기(163)가 형성되고, 탄성 부재(170)에 상기 끼움돌기(163)에 대응하는 끼움홀(176)이 형성된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커넥터 본체(160)와 탄성 부재(17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결합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주로, 도 3,4 및 도 8을 참조하기로 한다.
유로연결부(190)는 3개의 방향으로 분기된다. 일례로,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 연결되는 제1 유로(910)는 유로연결부(190)의 측방에 결합되고, 화재 감지기(600)로 연결되는 유로연결부(190)의 제2 유로(920)는 하방에 결합되고, 클리너(500)로 연결되는 제3 유로(930)는 유로연결부(190)의 상방에 결합된다.
제1 유로(910)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와 유로연결부(190)를 연결하여,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유로연결부(190)를 거쳐 화재 감지기(600) 또는 클리너(500)로 보내진다.
제2 유로(920)는 화재 감지기(600)와 유로연결부(190)를 연결하고, 제2 유로(920)에는 유로연결부(190)에 인접하여 제1 밸브 조립체(200)가 설치되어,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통해 인입된 공기는 제1 밸브 조립체(200)를 거쳐 화재 감지기(600)에 유입된다.
제3 유로(930)는 클리너(500)와 유로연결부(190)를 연결하고, 제3 유로(930)에는 유로연결부(190)에 인접하여 제2 밸브 조립체(300)가 설치되어,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를 통해 인입된 공기는 제2 밸브 조립체(300)를 거쳐 클리너(300)에 유입된다.
제1 밸브 조립체(200)에서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제1 개폐용 밸브(250)가 중력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 있다. 화재 감지기(600)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제1 개폐용 밸브(250)는 이 상태를 유지한다. 클리너(500)가 작동하지 않고, 화재 감지기(600)만 작동하는 평소 상태에서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제1 밸브 조립체(200) 내부의 공간을 통해 제2 유로(920)로 흘러 화재 감지기(600)로 들어간다.
제2 밸브 조립체(300)에서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제2 개폐용 밸브(350)가 중력에 의해 제2 플랜지(331) 상에 얹힌다. 화재 감지기(600)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제2 개폐용 밸브(350)는 이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3 유로(930)는 폐쇄된다.
클리너(500)가 작동하여 제1 밸브 조립체(200)에 제3 유로(930) 측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1 개폐용 밸브(250)는 상방으로 회전하여 제1 플랜지부(231)에 접하게 되고, 제1 밸브 조립체(200)는 폐쇄되어 제2 유로(920)를 통한 공기 이동은 차단된다.
클리너(500)가 작동하여 제2 밸브 조립체(300)에 제3 유로(930) 방향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2 개폐용 밸브(350)는 상방으로 회전하여 제2 밸브 조립체(300)는 개방되어 공기는 제3 유로(930)로 이동한다.
클리너(500)의 모터(510)가 작동하면, 제1 유로(910)에 연결된 공기 샘플링 파이프(110) 및 이에 연결된 결빙 제거 소켓(160,170)에는 강한 흡인력이 작용하고, 이 흡인력은 탄성 부재(170)에 작용하여 덮개부(171) 면을 림홀(167)의 내부로 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덮개부(171)의 면에 형성된 성에나 얼음 등 결빙이 부서지거나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클리너(500)의 동작에 관한 제어는 제어패널(150)에서 가능하다. 제어패널(150)에서는 클리너(500)의 온-오프 주기, 동작 시간, 동작 세기 등을 조절하여 각 채널에 연결되는 시간이나 주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클리너(500)의 온-오프 주기를 짧게 하면, 덮개부(171)에는 진동에 가까운 떨림이 발생하여 덮개부(171)의 상면에 형성된 얼음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에 의하면, 결빙 제거 소켓에 구비된 탄성 부재는 클리너 작동시 떨리거나 휘어지는 작용이 발생해 흡기홀 주변에 형성된 성에나 얼음막 등의 결빙을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동결에 의한 흡기홀 폐쇄에 따른 청소 장치의 작동 불량이 방지된다. 따라서, 냉동 창고 등 기온이 매우 낮은 환경에서 화재 감지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결빙 제거 소켓에 구비된 탄성 부재에는 흡기홀이 형성되므로, 공기 샘플링 파이프로서 흡기홀이 없는 일반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파이프를 공기 샘플링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실시 상태를 예시하고 있는 것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들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외함
110 공기 샘플링 파이프
112 흡기홀
150 제어패널
160 커넥터 본체
161 관연결부
164 중간부
165 장착부
166 림부
167 림홀
170 탄성 부재
171 덮개부
172 흡기홀
190 유로연결부
200,300 밸브 조립체
210,310 하우징
211,311 확장부
215,315 경사면
220,320 수축부
230,330 커버
231,331 플랜지부
240,340 관부
250,350 개폐용 밸브
400 집진부
500 클리너
600 화재 감지기
910 제1 유로
920 제2 유로
930 제3 유로
110 공기 샘플링 파이프
112 흡기홀
150 제어패널
160 커넥터 본체
161 관연결부
164 중간부
165 장착부
166 림부
167 림홀
170 탄성 부재
171 덮개부
172 흡기홀
190 유로연결부
200,300 밸브 조립체
210,310 하우징
211,311 확장부
215,315 경사면
220,320 수축부
230,330 커버
231,331 플랜지부
240,340 관부
250,350 개폐용 밸브
400 집진부
500 클리너
600 화재 감지기
910 제1 유로
920 제2 유로
930 제3 유로
Claims (13)
- 제1 유로, 제2 유로 및 제3 유로가 연결되는 분기관;
상기 제1 유로에 연결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샘플링 파이프;
상기 제2 유로에 연결되어 흡입된 공기의 성분을 분석하는 화재 감지기; 및
상기 제3 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된 공기에서 분진을 제거하는 클리너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에는 흡기홀이 형성된 탄성 부재가 구비되는 결빙 제거 소켓이 결합되고,
상기 클리너가 작동 시 흡인력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에 떨림이나 휘어지는 동작이 발생하여 상기 탄성 부재에 부착된 결빙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 제거 소켓은,
관으로 형성되는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결합되는 상기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관연결부와 중앙에 배치되는 중간부를 갖는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연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연결홀의 직경은 상기 공기 샘플링 파이프의 외경에 해당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보다 방사 방향으로 더 두텁게 형성되는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의 일면에는 상기 탄성 부재가 안착되도록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장착부를 갖는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링 형태로 돌출되는 림부와, 상기 림부의 주변에 형성되는 끼움홀 또는 끼움돌기를 갖는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림부의 내부에는 공기가 유출입되는 림홀이 형성되는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에는 상기 끼움홀 또는 끼움돌기에 대응하는 끼움돌기 또는 끼움홀이 형성되는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의 측면에는 파지홈이 형성되는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연질 재료로 형성되는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에는 상기 림부를 감싸는 덮개부가 형성되는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흡기홀이 형성되는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6517A KR102583714B1 (ko) | 2023-07-04 | 2023-07-04 |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청소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6517A KR102583714B1 (ko) | 2023-07-04 | 2023-07-04 |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청소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83714B1 true KR102583714B1 (ko) | 2023-10-05 |
Family
ID=8829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86517A KR102583714B1 (ko) | 2023-07-04 | 2023-07-04 |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청소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3714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87802A (ko) * | 2009-01-29 | 2010-08-06 | 주식회사 카이노스 | 파이로트식 솔레노이드 밸브의 숨구멍 막힘 방지장치 |
KR20220087774A (ko) * | 2020-12-18 | 2022-06-27 | 김효준 | 미스트노즐 막힘 방지장치 |
KR102477850B1 (ko) * | 2022-06-17 | 2022-12-15 | 신현호 |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
-
2023
- 2023-07-04 KR KR1020230086517A patent/KR1025837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87802A (ko) * | 2009-01-29 | 2010-08-06 | 주식회사 카이노스 | 파이로트식 솔레노이드 밸브의 숨구멍 막힘 방지장치 |
KR20220087774A (ko) * | 2020-12-18 | 2022-06-27 | 김효준 | 미스트노즐 막힘 방지장치 |
KR102477850B1 (ko) * | 2022-06-17 | 2022-12-15 | 신현호 |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77850B1 (ko) |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 | |
KR101845264B1 (ko) | 자동 분진 청소기가 설치된 흡입형 화재 감지장치 | |
WO2016116024A1 (zh) | 带或不带采气管的点型主动感烟探测器及空气采样系统 | |
US6328647B1 (en) | Pressure differential detec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 |
KR101188094B1 (ko) | 분진제거가 용이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 | |
US9655357B2 (en) | Vacuum trap | |
KR101845263B1 (ko) |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 | |
KR20130118056A (ko) |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공기필터링 장치 | |
EP0699877A2 (en) | Automatic draining apparatus and automatic draining system using the same | |
KR102583714B1 (ko) | 결빙 제거 소켓을 갖는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청소 장치 | |
US20040035091A1 (en) | Dust-removing device for the filtering tube of a dust-collecting apparatus | |
KR100988386B1 (ko) | 화재 감지기의 분진 제거장치 | |
KR200430166Y1 (ko) | 관로 막힘 위치 탐지와 막힘 쓰레기의 제거가 가능한쓰레기 자동 집하 장치 | |
KR102322584B1 (ko) | 냉동창고용 공기 흡입형 연기감지장치 | |
KR102359472B1 (ko) |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제연장치 | |
US5551916A (en) | Tornado protection system | |
KR20190001975A (ko) |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 | |
KR101854810B1 (ko) |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청소 커넥터 장치 | |
KR200497846Y1 (ko) |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용 드레인 밸브 | |
KR20220014219A (ko) | 듀사이클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감지기 시스템 | |
KR102580286B1 (ko) |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의 청소 장치 | |
KR102572741B1 (ko) | 공기 흡입형 화재 감지기용 청소 장치 | |
KR102488342B1 (ko) | 공기 흡입형 화재감지기 | |
KR102646034B1 (ko) |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용 오토클리닝 및 워터트랩 시스템 | |
KR102636209B1 (ko) |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결로수 제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