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787B1 - 통나무 주택용 원목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통나무 주택용 원목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787B1
KR101186787B1 KR1020120043564A KR20120043564A KR101186787B1 KR 101186787 B1 KR101186787 B1 KR 101186787B1 KR 1020120043564 A KR1020120043564 A KR 1020120043564A KR 20120043564 A KR20120043564 A KR 20120043564A KR 101186787 B1 KR101186787 B1 KR 101186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frame
unit
guide
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규
Original Assignee
김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규 filed Critical 김대규
Priority to KR1020120043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9/00Multi-purpose machines; Universal machine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6Grooving involving removal of material from the surfac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1/00Machines for producing flat surfaces,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3/00Arrangements for removing bark-zones, chips, waste, or dust,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wood-working machine or in wood-working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lling, Drilling, And Turning Of 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목 나무를 이용한 조립식 건물 또는 제작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가공 공정을 거쳐 완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추가공정에 따른 이송 및 가공 공정을 한번에 처리하여 조립식 주택 부품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조립식 목재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하부 바닥에는 가이드레일(210)을 착설하고, 그 위에는 좌우 이송롤러(202)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202)의 상측에는 가공장치 설치용 메인 프레임(201)을 가이드 블럭으로 결합 설치한 것과; 상기 가공장치 설치용 메인 프레임(201)의 내부에는 상,하 일정간격 유동 되는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을 설치한 것과; 상기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의 내에는 상,하 유동 되는 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510)을 설치한 것과; 상기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의 좌측 끝에는 원목소재에 대한 수평절단이 가능한 수평절단유닛(600)을 설치한 것과; 상기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의 좌측에는 원목소재의 외면을 평삭, 또는 정삭하는 평면가공용 자동 대패유닛(700)을 설치한 것과; 상기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의 우측에는 원목소재에 일정한 형태의 요철이나 음각된 홈을 파내는 홈가공유닛(800)을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통나무 주택용 원목 가공장치{The raw timber processing equipment of log cabin}
본 발명은 통나무 주택(LOG HOUSE)에 사용되는 각종 원목자재를 보다 쉽고 간단하면서도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여 공사기간의 단축은 물론 인력과 비용 및 원목 건축물의 품질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조립식 원목자재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향상과 전원생활, 친환경성, 다양한 기능성, 자연주의를 선호하는 추세에 따라 통나무를 기반으로 하는 통나무 주택의 축조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통나무 주택(LOG HOUSE)은, 건물을 지탱해 주는 구조체가 통나무 또는 원목으로 된 주택을 말하는데,
여기서 구조체는 기둥.보.도리 등 기본 뼈대만을 지칭하기도 하지만, 그 뼈대와 뼈대 사이의 벽체나 칸막이, 지붕, 바닥 등도 원목을 사용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나무 주택의 장점은, 자연스러운 목재의 무늬가 시각적 안정감을 주고,
흡음성이 뛰어나 소음을 차단해주는 효과 및 단열성이 뛰어나 춥거나 더운 온도에 대한 변화도가 낮으며,
더군다나 자연 친화적이면서 부드럽고 온화한 촉감을 제공함은 물론,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성 또한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숲에서와 같은 원목의 향기 및 삼림욕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통나무 원목은 높은 온도에서만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와 달리 상온에서도 높은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스트레스나 각종 성인병을 비롯한 암 발병률까지 어느 정도 감소시키며,
특히 열 보존율 또한 높아서 적절한 실내온도유지 및 탁월한 보온성은 물론 찬 기운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가능 또한 상당하고,
게다가 대기 중 수분함량이 많으면 흡습하고 건조하면 방습함으로서 습도조절의 기능까지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통나무 주택에 사용되는 원목자재(기둥.보.도리 등을 비롯한 벽체, 칸막이, 지붕, 바닥 등)은,
원목의 질감을 최대한 살려서 최소한의 가공만 이루어지면 되는 것도 있지만, 많은 부분에 가공(절단, 평삭, 정삭, 대패질, 홈파기, 홀뚫기, 다듬기 등)을 실시해야하는 경우가 아주 많다.
특히, 통나무 또는 원목 주택을 보다 신속 편리하고 깔끔하게 축조하기 위해 벽체 등을 다단 조립식 또는 다단 이중 조립식 등으로 변화되는 원목건물의 축조 추세를 감안하면 원목자재에 대한 가공의 비중과 중요성이 한층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통나무 또는 원목자재를 가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기계장치들은,
절단, 평삭, 정삭, 대패질, 홈파기, 홀뚫기, 다듬기 등의 가공 중 하나 또는 몇 가지에 한정된 가공을 각 개별 기기를 통해 일일이 실시해야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원목자재의 가공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이 상당한 실정이다.
물론, 최근에는 고가로 들여오는 수입장비 중에서는 다양한 가공 및 공정을 하나의 기기에서 일괄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원목 or 통나무 가공기가 전혀 없지는 않다.
하지만, 지금까지 수입 후 시판되는 종래의 다목적 가공기의 경우는 중량과 체적이 상당하여 운반 및 설치에 따른 공간 및 비용의 손실이 너무 크고,
특히 불필요하게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어 조작이 어렵고 고장이 잦을 뿐 아니라 각 가공 공정간 상호 연동체계가 불합리하게 구성되어 생산성이나 품질 또한 만족스럽지 못하여 개선의 요구가 끊이질 않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다양한 공정을 거쳐 완성되는 원목을 공정마다 이동작업 없이 한번에 신속하고 원하는 작업공정을 일괄 연동체계로 구축하고, 구조 및 조작성 또한 최대한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정립하여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더욱 신속/정밀한 다목적 고성능 원목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 바닥에는 가이드레일(210)을 착설하고, 그 위에는 좌우 이송롤러(202)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202)의 상측에는 가공장치 설치용 메인 프레임(201)을 가이드 블럭으로 결합 설치한 것과; 상기 가공장치 설치용 메인 프레임(201)의 내부에는 상,하 일정간격 유동 되는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을 설치한 것과; 상기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의 내에는 상,하 유동되는 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510)을 설치한 것과; 상기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의 좌측 끝에는 원목소재에 대한 수평절단이 가능한 수평절단유닛(600)을 설치한 것과; 상기 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510)의 좌측에는 원목소재의 외면을 평삭, 또는 정삭하는 평면가공용 자동 대패유닛(700)을 설치한 것과; 상기 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510)의 우측에는 원목소재에 일정한 형태의 요철이나 음각 된 홈을 파내는 홈가공유닛(800)을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통나무 주택용 원목 가공장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공정을 거쳐 완성되는 원목소재를 각 공정마다 복잡한 이동 및 대응작업 없이 하나의 기기에서의 일괄적이고 신속 정밀한 가공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시간의 대폭적인 단축효과는 물론 작업의 편의성과 품질증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 공정 및 가공수단 간 사이의 합리적인 상호 연동체계와 함께 아주 간단한 구조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또한 크게 증대되고, 자동화 체계구축도 가능하며, 더 나아가 설치 및 제작가 쉽고, 고장율이 거의 없는 등 기대되는 바가 실로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1차, 2차 승, 하강 프레임의 작동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평절단유닛의 측면 작동 실시 상태를 나타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평절단유닛의 정면 작동 실시 상태를 나타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평절단유닛의 부분 확대 작동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평절단유닛의 수평유지안내장치에 관한 실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평면가공용 자동 대패유닛의 작동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평면가공용 자동 대패유닛의 작동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평면가공용 자동 대패유닛의 측 단면 부분 확대 단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통나무 주택용 원목 가공장치의 전체 작동공정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대형 조립식 목재 절단장치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본 발명은 전후 일정간격 유지된 하부 바닥에는 일정한 길이의 가이드레일(210) 두개 라인을 길게 착설하고, 그 위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10)를 따라 좌우 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좌우 이송롤러(202)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202)의 상측에는 상기 이송롤러(202)와 함께 동시 유동 되면서 다수의 가로바와 세로바에 의해 "ㅁ" 형 골격을 이루는 가공장치 설치용 메인 프레임(201)을 가이드 블럭으로 결합 설치한 것과;
상기 가공장치 설치용 메인 프레임(201)의 좌, 우측 내부에는 각각 수직으로 구비된 좌우 가이드바를 설치한 다음 그 좌우 가이드바 사이에는 가공장치 설치용 메인 프레임(201)의 틀 내에서 일정간격 상하 승하강 동작이 가능하고, 이 또한 "ㅁ" 형으로 골격을 이루는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을 가이드 블럭으로 결합 설치한 것과;
상기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의 내부 좌, 우측에는 수직으로 각각 구비된 또 다른 좌우 가이드바를 각각 설치하고, 그 좌우 가이드바 사이에는 상기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의 틀 내에서 2차적으로 상,하 유동 되는 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510)을 설치한 것과;
상기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의 좌측 끝에는 일정한 굵기의 원목 통나무 소재를 원하는 크기에 따라 수평으로 절단할 수 있는 수평절단유닛(600)을 설치한 것과;
한편, 상기 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510)의 좌측에는 상기 수평절단유닛(600)에 의해 수평절단된 원목소재의 외면을 평삭(어느 정도 거칠은 상태의 자동 대패질) 또는 정삭(아주 매끈하게 정밀한 자동 대패질)을 실시할 수 있는 평면가공용 자동 대패유닛(700)을 설치한 것과;
상기 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510)의 우측에는 상기 평면가공용 자동 대패유닛(700)에 의해 평면이 가공된 원목소재에 일정한 형태의 요철이나 음각 된 홈을 파내는 홈가공유닛(800)을 설치한 것; 을 그 특징적 요지로 하였다.
그리고 상기 이송롤러(202)는 지지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가공장치 설치용 메인 프레임(201)에 결합되도록 한 것이고,
상기 이송롤러(202)의 회전 구동력은, 상기 가공장치 설치용 메인 프레임(201)의 일측에 장치된 유압모터(207)의 구동력 및 그 유압모터(207)와 이송롤러(202) 사이에 구비되는 동력연결수단(A)에 의해 전달되며,
상기 동력연결수단(A)은 다양한 구조들이 제시될 수 있으나, 상기 유압모터(207)의 회전축에는 원동스프라켓(207-1)을 축설하고, 상기 원동스프라켓(207-1)과 일정간격 떨어진 하측에는 상기 가공장치 설치용 메인 프레임(201) 전후방향의 폭과 대응하는 일정길이의 샤프트(209)를 설치한 다음,
그 샤프트(209)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원동스프라켓(207-1)과 체인 연결된 입력 스프라켓(206)을 축설하는 동시에 상기 한편,
상기 샤프트(209)의 양끝에는 출력스프라켓(208)을 각각 축설하고, 상기 전후 양측의 출력스프라켓(208)과 일정간격 유지된 상기 전후 양측의 이송롤러(202) 각각의 일측에는 상기 출력스프라켓(208)과 체인 연결된 구동 스프라켓(208-1)을 설치한 구조를 갖는다.
이하, 상기 제시된 수평절단유닛(600), 평면가공용 자동 대패유닛(700), 홈가공유닛(8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 수평절단유닛(600)>
상기 수평절단유닛(600)은, 상기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의 전후 방향 양측에 베어링에 의해 각각 축지지 된 고속회전풀리(610, 620)를 고정브라켓(603)으로 각각 고정하여 설치한 다음,
그 일측의 고속회전풀리(610)와 일정간격 유지된 타측의 고속회전풀리(620) 사이에는 무한궤도 벨트형 절단톱(650)을 감아서 고속으로 선회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양측의 고속회전풀리(61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는 동력전달용 피동풀리(604)를 축삽하며,
상기 동력전달용 피동풀리(604)와 일정간격 유지된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에는 상기 동력전달용 피동풀리(604)와 벨트연결된 원동풀리를 갖는 모터(601)를 설치함으로서 회전구동력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의 고속회전풀리(61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고속회전풀리(610)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가변 조절하여 거기에 감겨진 무한궤도 벨트형 절단톱(650)의 장력 및 그 팽팽한 정도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고속회전풀리 간격조절장치(620)를 더 설치할 수 있고,
그 고속회전풀리 간격조절장치(620)는, 상기 고속회전풀리(610) 축이 지지/고정되어 있는 상기 고정브라켓(603)을 가이드레일(621)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622)에 착설하고, 상기 이동블럭(622)은 간격조절용 유압실린더(625)의 푸시로드(626)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625) 및 푸시로드(626)를 동작하면 일정간격 유지된 상기 양측 고속회전풀리(610) 사이의 간격을 적절이 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속회전풀리(610)에 감겨진 무한궤도 벨트형 절단톱(650)이 지나가는 위치에는, 상기 무한궤도 벨트형 절단톱(650)의 처짐 방지, 최대한 수평이 되도록 안내하는 수평유지안내장치(660)를 하나 이상 더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수평유지안내장치(660)는, 상기 무한궤도 벨트형 절단톱(650)의 상,하측에 한쌍의 상?하 평면 유지롤러(628, 628-1)를 설치하고, 상?하 평면 유지롤러(628, 628-1)의 일측끝에는 지지유지바(627)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유지바(627)와 상기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 사이에는 푸시로드를 갖는 유압실린더(625-1)를 구비시킨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상기 무한궤도 벨트형 절단톱(650)에 대한 처짐 방지 및 수평유지가 가능하고, 동시에 그 안내지점도 용이하게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편의성도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속회전풀리(610) 중 어느 하나에는 무한궤도 벨트형 절단톱(650)의 동작에 따라 수평절단시 발생하는 톱밥을 포함하는 목재칩을 포집할 수 있는 칩포집통(805)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칩포집통(805)의 하부에는 목재칩 유도부(806)와 닥터관 결합부(807) 및 상기 닥터관 연결부(808)에는 일정한 길이의 닥터 주름관(809)이 결합될 수 있다.
<평면가공용 자동 대패유닛(700)>
상기 평면가공용 자동 대패유닛(700)은, 상기 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510)의 하측에 다수의 대패날(701)이 일정한 등각도로 형성된 휠형 대패툴(702)을 양측 지지블럭에 의해 축 설치되고,
상기 휠형 대패툴(702)은 좌우측에는 상기 휠형 대패툴(702)에 형성된 대패날(701)이 목재와의 접촉에 따른 절삭깊이 또는 외부 노출 정도를 어느 한계를 갖도록 하는 대패날 절삭깊이 제한판(711)이 구비되며,
상기 대패날 절삭깊이 제한판(711)의 위 측에는 절삭된 목재칩을 수집한 후 외부를 자동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목재칩 이탈방지통(705)이 구성되고,
상기 목재칩 이탈방지통(705)의 상측에는 목재칩 유도부(707)와 닥터관 결합부(706)가 구성되고, 상기 닥터관 연결부(706)에는 일정한 길이의 닥터 주름관(708)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휠형 대패툴(702) 전후 양측의 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는 피동풀리(709)가 구비되고, 상기 피동풀리(709)와 일정간격 유지된 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510)상에는 원동풀리를 갖는 구동모터(703)가 설치된 것에 의해 그 회전력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홈가공유닛 (800)-
상기 홈가공유닛(800)은, 상기 평면가공용 자동 대패유닛(700)이 설치된 후측의 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510)에 장치되어 상기 평면가공용 자동 대패유닛(700)에 의해 평면 가공된 원목 소재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홈들을 적당히 파내어 가공하는 장치로서,
그 지점의 상기 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510) 하측에 승하강용 가이드레일(811)이 수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하강용 가이드레일(811)에는 가이드 블럭으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일정간격 유동이 가능한 유동 브라켓(810)이 구성되며,
상기 유동브라켓(810)의 하부 끝에는, 일정길이의 회전 샤프트(802-1) 양측 지지편(815) 사이에 구성한 다음, 그 회전 샤프트(802-1)에 홈파기날(801) 다수개를 일정 등 각도로 형성시켜서 된 홈파기 회전툴(802)이 축삽 구성되고,
상기 홈파기 회전툴(802)은 하나만 단독으로 구성시킬 수도 있지만 그 일측에 하나 이상을 더 구성시키면 한번의 공정으로 다수의 홈에 대한 동시 작업이 가능하여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또, 상기 회전 샤프트(802-1)의 일측에는 피동풀리(803)를 축삽하고, 상기 유동 브라켓(810)의 상부 일측에는 원동풀리(805)를 갖는 모터(804)를 설치한 다음, 상기 피동풀리(803)와 원동풀리(805)간 벨트(808)를 연결하여 동력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홈파기 회전툴(802)이 위치한 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510)에는 상기 홈파기 회전툴(802)의 동작시 발생하는 목재칩을 포집할 수 있는 칩포집통(806-1)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칩포집통(806-1)의 상측에는 목재칩 유도부(806)와 닥터관 결합부(807) 및 상기 닥터관 결합부(807)에는 일정한 길이의 닥터 주름관(809)이 결합될 수 있다.
또, 상호 일정간격이 유지된 상기 유동 브라켓(810)의 어느 일단과 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510)의 어느 일단 사이에는 푸시로드(814)를 포함하는 유압실린더(813)를 구성시켜 상,하 높이의 자동화 조절이 가능토록 하면 보다 편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평절단유닛(600), 평면가공용 자동 대패유닛(700), 홈가공유닛(800)에 구비될 수 있는 각각의 닥터주름관들은 하나의 진공흡입장치(일명:후앙)에 일괄 결합시키면,
상기 하나의 진공흡입장치만으로 3갈래의 닥터주름관들을 통해 상기 수평절단유닛(600), 평면가공용 자동 대패유닛(700), 홈가공유닛(800)에서 각각 배출되는 목재칩을 한꺼번에 일괄적으로 신속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201: 가공장치 설치용 메인 프레임 202: 이송롤러
210: 가이드레일 301: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
510: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 600: 수평절단유닛
601: 모터 603: 고정브라켓
604: 피동풀리 610,620: 고속회전풀리
620: 간격조절장치 621: 가이드레일
622: 이동블럭 625: 유압실린더
625-1: 유압실린더 626: 푸시로드
627: 지지유지바 628,628-1: 유지롤러
650: 절단톱 660: 수평유지안내장치
700: 자동 대패유닛 701: 대패날
702: 대패툴 703: 구동모터
705: 이탈방지통 706: 닥터관 결합부
708: 닥터 주름관 709: 피동풀리
711: 제한판 800: 홈가공유닛
801: 홈파기날 802: 회전툴
802-1: 회전 샤프트 804: 모터
805: 원동풀리 806: 목재칩 유도부
806-1: 칩포집통 807: 닥터관 결합부
809: 닥터 주름관 810: 유동 브라켓
811: 가이드레일 813: 유압실린더
814: 푸시로드 815: 지지편

Claims (7)

  1. 전후 일정간격 유지된 하부 바닥에는 일정한 길이의 가이드레일(210) 두개 라인을 길게 착설하고, 그 위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10)를 따라 좌우 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좌우 이송롤러(202)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202)의 상측에는 상기 이송롤러(202)와 함께 동시 유동 되면서 다수의 가로바와 세로바에 의해 "ㅁ" 형 골격을 이루는 가공장치 설치용 메인 프레임(201)을 가이드 블럭으로 결합 설치한 것과;
    상기 가공장치 설치용 메인 프레임(201)의 좌, 우측 내부에는 각각 수직으로 구비된 좌우 가이드바를 설치한 다음 그 좌우 가이드바 사이에는 가공장치 설치용 메인 프레임(201)의 틀 내에서 일정간격 상하 승하강 동작이 가능하고, 이 또한 "ㅁ" 형으로 골격을 이루는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을 가이드 블럭으로 결합 설치한 것과;
    상기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의 내부 좌, 우측에는 수직으로 각각 구비된 또 다른 좌우 가이드 바를 각각 설치하고, 그 좌우 가이드바 사이에는 상기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의 틀내에서 2차적으로 상,하 유동 되는 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510)을 설치한 것과;
    상기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의 좌측 끝에는 일정한 굵기의 원목 통나무 소재를 원하는 크기에 따라 수평으로 절단할 수 있는 수평절단유닛(600)을 설치한 것과;
    한편, 상기 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510)의 좌측에는 상기 수평절단유닛(600)에 의해 수평절단된 원목소재의 외면을 평삭(어느 정도 거칠은 상태의 자동 대패질) 또는 정삭(아주 매끈하게 정밀한 자동 대패질)을 실시할 수 있는 평면가공용 자동 대패유닛(700)을 설치한 것과;
    상기 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510)의 우측에는 상기 평면가공용 자동 대패유닛(700)에 의해 평면이 가공된 원목소재에 일정한 형태의 요철이나 음각된 홈을 파내는 홈가공유닛(800)을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주택용 원목 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절단유닛(600)은,
    상기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의 전후 방향 양측에 베어링에 의해 각각 축지지 된 고속회전풀리(610, 620)를 고정브라켓(603)으로 각각 고정하여 설치한 다음,
    그 일측의 고속회전풀리(610)와 일정간격 유지된 타측의 고속회전풀리(620) 사이에는 무한궤도 벨트형 절단톱(650)을 감아서 고속으로 선회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양측의 고속회전풀리(61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는 동력전달용 피동풀리(604)를 축삽하며,
    상기 동력전달용 피동풀리(604)와 일정간격 유지된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에는 상기 동력전달용 피동풀리(604)와 벨트연결된 원동풀리를 갖는 모터(601)를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주택용 원목 가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고속회전풀리(61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고속회전풀리(610)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가변 조절하여 거기에 감겨진 무한궤도 벨트형 절단톱(650)의 장력 및 그 팽팽한 정도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고속회전풀리 간격조절장치(620)를 더 설치할 수 있고,
    상기 고속회전풀리 간격조절장치(620)는, 상기 고속회전풀리(610) 축이 지지/고정되어 있는 상기 고정브라켓(603)을 가이드레일(621)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622)에 착설하고, 상기 이동블럭(622)은 간격조절용 유압실린더(625)의 푸시로드(626)와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주택용 원목 가공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회전풀리(610)에 감겨진 무한궤도 벨트형 절단톱(650)이 지나가는 위치에는 상기 무한궤도 벨트형 절단톱(650)의 처짐방지, 최대한 수평이 되도록 안내하는 수평유지안내장치(660)를 하나 이상 더 설치할 수 있는 데,
    그 수평유지안내장치(660)는,
    상기 무한궤도 벨트형 절단톱(650)의 상,하측에 한쌍의 상?하 평면 유지롤러(628, 628-1)를 설치하고,
    상?하 평면 유지롤러(628, 628-1)의 일측끝에는 지지유지바(627)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유지바(627)와 상기 1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301) 사이에는 푸시로드를 갖는 유압실린더(625-1)를 구비시킨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주택용 원목 가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가공용 자동 대패유닛(700)은,
    상기 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510)의 하측에 다수의 대패날(701)이 일정한 등 각도로 형성된 휠형 대패툴(702)을 양측 지지블럭에 의해 축 설치되고,
    상기 휠형 대패툴(702)은 좌우측에는 상기 휠형 대패툴(702)에 형성된 대패날(701)이 목재와의 접촉에 따른 절삭깊이 또는 외부 노출 정도를 어느 한계를 갖도록하는 대패날 절삭깊이 제한판(711)이 구비되며,
    상기 대패날 절삭깊이 제한판(711)의 위측에는 절삭된 목재칩을 수집한 후 외부를 자동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목재칩 이탈방지통(705)이 구성되고,
    상기 목재칩 이탈방지통(705)의 상측에는 목재칩 유도부(705)와 닥터관 결합부(706) 및 상기 닥터관 연결부(706)에는 일정한 길이의 닥터 주름관(708)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휠형 대패툴(702) 전후 양측의 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는 피동풀리(709)가 구비되고,
    상기 피동풀리(709)와 일정간격 유지된 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510)상에는 원동풀리를 갖는 구동모터(70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주택용 원목 가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가공유닛(800)은,
    상기 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510) 하측에 승하강용 가이드레일(811)이 수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하강용 가이드레일(811)에는 가이드 블럭으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일정간격 유동이 가능한 유동 브라켓(810)이 구성되며,
    상기 유동브라켓(810)의 하부 끝에는, 일정길이의 회전 샤프트(802-1)를 양측 지지편(815) 사이에 구성한 다음, 그 회전 샤프트(802-1)에 홈파기날(801) 다수개를 일정 등각도로 형성시켜서 된 홈파기 회전툴(802)이 축삽 구성되고,
    상기 홈파기 회전툴(802)은 하나만 단독으로 구성시킬 수도 있지만 그 일측에 하나 이상을 더 구성시킬 수 있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802-1)의 일측에는 피동풀리(802)를 축삽하고, 상기 유동 브라켓(810)의 상부 일측에는 원동풀리(805)를 갖는 모터(804)를 설치한 다음, 상기 피동풀리(802)와 원동풀리(805)간 벨트(805)를 연결하여 동력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파기 회전툴(802)이 위치한 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510)에는 상기 홈파기 회전툴(802)의 동작시 발생하는 목재칩을 포집할 수 있는 칩포집통(806-1)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칩포집통(806-1)의 상측에는 목재칩 유도부(806)와 닥터관 결합부(807) 및 상기 닥터관 연결부(807)에는 일정한 길이의 닥터 주름관(809)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호 일정간격이 유지된 상기 유동 브라켓(810)의 어느 일단과 2차 상,하 구동용 프레임(510)의 어느 일단 사이에는 푸시로드(814)를 포함하는 유압실린더(813)를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주택용 원목 가공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절단유닛(600), 평면가공용 자동 대패유닛(700), 홈가공유닛(800)에 구비될 수 있는 각각의 닥터주름관들은,
    하나의 진공흡입장치(일명:후앙)에 일괄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나무 주택용 원목 가공장치.

KR1020120043564A 2012-04-26 2012-04-26 통나무 주택용 원목 가공장치 KR101186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564A KR101186787B1 (ko) 2012-04-26 2012-04-26 통나무 주택용 원목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564A KR101186787B1 (ko) 2012-04-26 2012-04-26 통나무 주택용 원목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6787B1 true KR101186787B1 (ko) 2012-09-27

Family

ID=47114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564A KR101186787B1 (ko) 2012-04-26 2012-04-26 통나무 주택용 원목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7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093A (ko) 2014-11-21 2016-05-31 김명 통나무 가공장치
CN112497366A (zh) * 2020-11-26 2021-03-16 黄水林 一种防躁自动送料环保建材切割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4371A1 (en) 2001-07-31 2003-02-06 Herman Gibson Portable bandsaw mill
US20030145906A1 (en) 2002-02-01 2003-08-07 Tekulve Daniel R. Saw mill with apparatus for guiding a board and method for use thereof
KR101129066B1 (ko) 2011-11-18 2012-03-23 손교은 다기능 통나무 가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4371A1 (en) 2001-07-31 2003-02-06 Herman Gibson Portable bandsaw mill
US20030145906A1 (en) 2002-02-01 2003-08-07 Tekulve Daniel R. Saw mill with apparatus for guiding a board and method for use thereof
KR101129066B1 (ko) 2011-11-18 2012-03-23 손교은 다기능 통나무 가공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093A (ko) 2014-11-21 2016-05-31 김명 통나무 가공장치
CN112497366A (zh) * 2020-11-26 2021-03-16 黄水林 一种防躁自动送料环保建材切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19140U (zh) 贴面泡沫保温板v形槽开槽机
US77124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filing a log for use in building timber or log homes
KR100713715B1 (ko) 샌드위치 패널 절단기
KR20150039498A (ko) 브릿지형 석재 절단 장치
KR101186787B1 (ko) 통나무 주택용 원목 가공장치
CN203622574U (zh) 自动断木机
CN206048520U (zh) 中空复合板开孔机
CN216138975U (zh) 一种建筑材料加工用切割设备
RU2516781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зделий из древесины поперек волокон в двух и более плоскостях различных форм поперечных сечений
KR101604955B1 (ko) 생산성을 향상시킨 서까래 가공장치
KR20140013281A (ko) 목조 건물용 목재 멀티 가공장치
KR101629351B1 (ko) 통나무 가공장치
CN212288205U (zh) 蒸压加气混凝土砌块墙体施工砌块开槽机
KR101217960B1 (ko) 원목 외경 절삭 가공장치
KR100560195B1 (ko) 목조 건축물 조립 원목의 홈 가공장치
KR100627132B1 (ko) 목조 건축물 조립 원목의 홈 가공장치
CN207616767U (zh) 一种具有降噪功能的建筑木材切割机
KR100789264B1 (ko)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
CN206455757U (zh) 智能定位分板锯
CN204997827U (zh) 一种用于竖丝岩棉防火隔离带生产线的齐头机
KR200354746Y1 (ko) 목조 건축물 조립 원목의 홈 가공장치
RU70183U1 (ru) Круглопильный станок для продольной распиловки древесины
CN213531078U (zh) 一种彩钢板的切割装置
CN211590454U (zh) 一种用于保温装饰板加工的轻便开槽机
CN214871249U (zh) 一种便于操作的家具框架板材斜面切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