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264B1 -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264B1
KR100789264B1 KR1020060053103A KR20060053103A KR100789264B1 KR 100789264 B1 KR100789264 B1 KR 100789264B1 KR 1020060053103 A KR1020060053103 A KR 1020060053103A KR 20060053103 A KR20060053103 A KR 20060053103A KR 100789264 B1 KR100789264 B1 KR 100789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wood
support plate
frame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8864A (ko
Inventor
강석찬
Original Assignee
강석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찬 filed Critical 강석찬
Priority to KR1020060053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264B1/ko
Publication of KR20070118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1/00Dovetailed work; Tenons; Making tongues or grooves; Groove- and- tongue jointed work; Finger- joints
    • B27F1/02Making tongues or grooves, of indefinite length
    • B27F1/06Making tongues or grooves, of indefinite length simultaneously along opposite edges of a boar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ovetailed Work, And Nailing Machines And Stapling Machines For 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눕혀진 상태에서 교차 결합되는 목조 주택용 원목에 결합홈을 형성시키는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프레임(31)과; 프레임(31) 내 양측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 한 쌍의 받침대(32)와; 각 받침대(32)의 직상 또는 전방에 위치한 푸셔(33)와; 프레임(31)의 상·하·전·후에 각각 구비되며, 서로 근접하지 않도록 함께 상·하 왕복 이동 또는 전·후 왕복 이동 가능한 두 쌍의 커팅기(34)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원목 가공 장치는, 결합홈 가공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며, 다양한 각도의 결합홈을 자유롭게 가공할 수 있기 장점이 있다.
원목, 원목 가공, 회전 커터, 목조 주택

Description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The apparatus of fabricating a log for a wooden house}
도 1은 목조 주택용 원목을 보인 것으로,
(가)는 부분 사시도이고,
(나)는 부분 정면도이며,
(다)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2는 원목과 원목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회전 방법을 보인 평면 모식도.
도 7은 경사진 결합홈이 형성된 원목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장치의 커팅기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장치의 커팅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장치의 커팅기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장치의 커팅기를 또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원목 31. 프레임 32. 받침대
33. 푸셔 34. 커팅기 34A. 회전 커터
34B. 스크류 34C. 스크류 회전 모터 34D. 왕복대
34E. 지지판 34F. 커터 회전 모터 34G. 지지판 이동부재
35. 회전지지판
C. 이송대 D,D'. 방향 G,G'. 결합홈
R. 회전 롤러
본 발명은, 눕혀진 상태에서 서로 교차 결합되는 목조 주택용 원목의 일측부에 교차 결합용 결합홈을 가공시, 결합홈을 형성시키고자 하는 원목 부위의 전체 외면 즉, 상면과 저면 및 전면과 배면의 모든 외면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합홈 가공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원목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결합홈의 대향 내면에 수직한 방향 즉, 결합홈의 형성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주 5일 근무제가 확산되면서 더욱 늘어난 주말 여가 시간을 활용하기 위하여 휴양지 등을 비롯한 교외 곳곳에 각종 팬션, 전원 주택 등의 숙박 시설들이 많이 건축되고 있는 바, 숙박 시설용 건축물은, 크게, 조적조, 경량 스틸조, 목조, 철근 콘크리트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양식의 건축물 중에서, 휴양지나 전원 단지 등에는, 주 변 자연 경관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사람들에게 편안함과 친숙함을 느끼게 하여 주는 목조 주택이 널리 건축되고 있다.
목조 주택은, 건물 자체가 원목을 가공한 목재로 이루어지는 만큼, 친환경적이며, 환경에 따라 습기를 흡수하거나 품고 있던 습기를 내뿜어 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나무 특유의 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양식의 주택에 비하여 실내 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유지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에너지 효율이 매우 뛰어나며, 단열 효과도 좋은 바, 실제로 같은 평수의 목조 주택과 일반 주택을 비교할 때 냉·난방비를 30%정도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 활용도가 높고 증개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조 주택, 특히, 통나무집으로도 불리우는 목조 주택은, 다수의 원목을 눕힌 상태로 적층 결합하는 방식으로 벽체를 형성시킨 구조로서, 초기에는 일정한 형태로 가공된 원목을 수입에 의존하였는 바, 목조 주택의 형태가 사전에 이미 결정되어 있다는 문제가 있다. 즉, 개인의 취향에 맞도록 목조 주택을 설계하여 지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디자인된 모델들 중에서 선택하여야만 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목조 주택용 원목을 필요에 따라 가공할 수 있는 장치가 있어야만 하나, 목조 주택 자체가 외국의 건축 양식으로서, 국내에 도입된 기간이 길지 않기 때문에 목조 주택용 원목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가 없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목조 주택의 공급량이 증가하면서 가공된 원목의 수입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도 다양한 원목 가공 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바, 종래의 원목 가공 장치는, 가공 대상물인 원목을 이동시키면서 그 외면만을 가공하는 장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을 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목(11)과 원목(11)을 교차 결합시킬 수 있도록 원목(11)의 일측부 전체 외면에, 결합홈(G)만을 전문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홈 전문 가공 장치는 개발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원목에 결합홈을 가공하는 시간이 오래 걸림으로써 원목의 가공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원목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가공 장치가, 국내 공개특허 제2005-98465호의 "목조 건축물 조립 원목의 홈 가공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의 가공장치는, 원목을 눕혀 고정시킨 상태에서 결합홈을 형성시켜야 하는 원목 부위에 대하여, 원목의 전면과 배면을 함께 가공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상·하 왕복 가능한 제1커터와, 원목의 상면과 저면을 함께 가공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전·후 왕복 가능한 제2커터가 구비된 구조로서, 원목을 운직이지 않고 고정시킨 상태에서 결합홈을 정확히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제1커터와 제2커터가 동시에 함께 작동될 수는 없고, 제1커터가 상·하 왕복하면서 원목의 전면과 배면에 결합홈의 일부를 가공한 후에 제2커터가 전·후 왕복하면서 원목의 상면과 저면에 결함홈의 잔여 부분을 가공하게 되는 2단계의 가공 과정에 의해 완전한 결합홈이 형성되는 바, 결합홈의 형성 시간 단축에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목(11)의 길이 방향(D)과 결합홈(G)의 대향 내면에 수직한 방향(D')이 서로 일치하도록 결합홈(G)이 형성되는 바, 원목(11)과 원목(11)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각으로 교차 결합시키는 경우에만 적합하게 된다.
즉, 벽체와 벽체는 서로 직각을 이루는 것이 일반적이나, 그렇지 못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어, 서로 접한 두 벽체의 사이각이 120°인 경우, 눕혀진 상태로 두 벽체를 형성하는 원목과 원목 역시 120°로 교차 결합되어야 하나, 상기의 장치에 의해 결합홈이 형성된 원목의 경우에는 120°가 아닌 90°로 교차 결합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의 장치를 이용하여 두 방향(D)(D')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원목의 고정 상태를 인위적으로 바꾸어 주어야 하는 바, 정확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그 각도를 정확히 조절하기 위하여 원목의 클램핑 시간이 증가됨으로써, 원목의 가공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 원목 가공장치 중 결합홈을 가공하는 종래의 장치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원목의 상면과 저면 및 전면과 배면에 대한 홈 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결합홈의 대향 내면에 수직한 방향과 원목의 길이 방향 사이의 각도를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의 결함홈을 간단히 가공할 수 있는 동시에 결합홈 가공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목 가공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동일 수직면 상에서 원목을 중심으로 그 상·하·전·후에 각각 구비된 두 쌍 회전 커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눕혀진 원목의 길이 방향 일측부에, 상면과 저면 및 전면과 배면을 포함한 전체 외면에 걸쳐 형성되는 결합홈을, 한번의 가공에 의해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함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원목에 결합홈을 한번의 가공에 의해 형성시키게 되는 본 고안의 원목 가공 장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원목 받침대와; 각 받침대의 직상 또는 전방 중의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하도록 프레임 양측에 각각 구비된 한 쌍 이상의 푸셔와; 프레임 내부 상·하·전·후에 각각 구비된 커팅기 등으로 구성되는 바, 각각을 실펴 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이라 함은 본 고안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가 설치된 바닥면을 기준으로 연직 상(上)방향을 의미하며, 반대로 '하'라 함은 본 고안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가 설치된 바닥면을 향하는 연직 하(下)방향을 의미하고, '전'이라 함은 원목의 길이방향에 직각되는 양방향 중의 어느 일방향을 의미하며, '후'이라 함은 원목의 길이방향에 직각되는 양방향 중의 타 일방향을 의미한다.
프레임은, 받침대, 푸셔, 커팅기 등의 결합 매개체로서, 이들이 함께 결합되어 유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뼈대의 역할을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의 형태를 위할 수도 있다.
원목 받침대는, 가공 대상 원목을 올려 놓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 내 양측에 대향되게 각각 결합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바, 두 받침대 사이에 위치하는 원목 부위가 결합홈 가공 부위가 된다.
푸셔는, 결합홈을 가공하기 위한 부위가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도록 원목을 상기 원목 받침대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결합홈 가공시 원목이 움직이지 않도록 원목의 상면을 누름으로써, 받침대 상면에 원목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바, 푸셔로는, 예를 들어, 유·공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커팅기는, 원목에 결합홈을 가공하기 위한 본 고안 장치의 핵심 구성 요소로서, 원목의 진행 방향 즉, 원목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프레임 내부의 수직면에서 원목을 중심으로 그 상·하·전·후에 모두 두 쌍이 구비되는바,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커팅기를 한 쌍으로 칭하고,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커팅기를 또 다른 한 쌍으로 칭한다.
그리고, 상기 각 커팅기는, 프레임에 고정 결합된 스크류와;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류 회전 모터와; 일측이 스크류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된 왕복대와; 왕복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판과; 지지판의 일측단부에 결합된 회전 커터와; 지지판에 결합되어 회전 커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커터 회전 모터와; 왕복대와 지지판에 양측이 각각 결합되어 왕복대에 대하여 지지판을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지지판 이동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에 결합된 왕복대로부터 지지판을 움직이기 위한 수단인 지지판 이동부재로는, 유·공압 실린더나 스크류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스크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모터가 프레임에 장착되어야 하는 바, 구조상으로는 유·공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 커팅기는, 스크류와 스크류 회전 모터에 의해, 원목의 어느 한 외면과 평행하면서 원목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 능하게 되며, 지지판 이동부재에 의해, 지지판이 왕복대와 원목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지지판에 결합된 회전 커터와 커터 회전 모터가 원목측으로 이동하여 회전 커터가 원목과 접촉함으로써 결합홈을 가공할 수 있는 상태가 되거나, 지지판에 결합된 회전 커터와 커터 회전 모터가 원목에서 떨어짐으로써, 결합홈을 가공할 수 없는 대기 상태가 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하·전·후 각 커팅기는, 각각의 회전 커터가 커터 회전 팅용 모터와 함께 원목측을 향하여 전진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후진 가능하며, 상·하부 커팅기는, 전·후방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고, 전·후방 커팅기는, 상·하로 왕복 이동 가능한 구조로서, 상기와 같이 각 커팅기가 상·하왕복 혹은 전·후왕복함에 따라서 각 회전 커터는 원목에 결합홈을 각각 가공하게 된다.
이때, 두 쌍의 커팅기는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왕복 이동하게 되는 바, 예를 들어, 상부 커팅기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한 후 후방으로 복귀하게 되면, 전방 커팅기는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한 후 상부로 복귀하고, 하부 커팅기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한 후 전방으로 복귀하며, 후방 커팅기는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한 후 하부로 복귀함으로써, 두 쌍의 커팅기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함에 본 발명 장치의 구조적 특징이 있다.
두 쌍의 커팅기는 원목의 네면을 동시에 가공하게 되는 바, 그 궤적이 사작형을 이루나, 이를 원형 궤적이라 하면, 두 쌍의 커팅기는,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서로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형태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함께 움직이는 두 쌍의 커팅기에 의해 원목의 상면과 저면 및 전면과 배면이 동시에 홈 가공됨으로써, 하나의 결합홈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를 좀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프레임의 양측에 다수의 회전 롤러가 구비되며, 상면 높이가 원목 받침대의 상면 높이와 같은 컨베이어형 이송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송대를 통하여 원목을 본 발명 장치에 쉽게 장입 및 인출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에 이송대가 구비된 본 발명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의 정면도를, 도 4에 본 발명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는,
외곽 형상이 다면체 형상을 하는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31) 내부 양측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원목 받침대(32)와;
상기 각 받침대(32)의 직상 또는 전방 중의 적어도 한 곳에 위치하도록 프레임(31) 내부에 결합된 푸셔(33)와;
상기 프레임(31)의 상·하·전·후에 구비되며, 각각 상·하 왕복 이동 또는 전·후 왕복 이동 가능하여, 받침대(32)에 고정된 원목(11)에 결합홈을 가공하는 회전 커터(34A)가 구비된 두 쌍의 커팅기(34)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32)는, 받침대(32)의 직상 또는 전방 중의 적어도 한 곳에 위치하는 푸셔(3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측면도 상에서, "ㄴ"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를 좀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프레임(31)의 양측에 다수의 회전 롤러(R)가 구비되며, 상면 높이가 원목 받침대(32)의 상면 높이와 같은 이송대(C)를 각각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 이송대(C)를 통하여 원목(11)을 본 발명 장치에 쉽게 장입 및 인출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에서 각 커팅기(34)는, 원목에 결합홈을 형성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프레임(31) 상·하·전·후 중의 어느 한 곳에 회전 가능토록 고정 결합된 봉형 스크류(34B)와;
상기 스크류(34B)의 일측단부에 결합된 스크류 회전 모터(34C)와;
상기 스크류(34B)의 외주면에 일측이 나사 결합되어 스크류(34B)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34B)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왕복대(34D)와;
상기 왕복대(34D)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판(34E)과;
상기 지지판(34E)의 일측단부에 결합된 회전 커터(34A)와;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회전 커터(34A)를 회전시키기 위한 커터 회전 모터(34F)와;
상기 왕복대(34D)와 지지판(34E)에 양측이 각각 결합되어 왕복대(34D)에 대 하여 지지판(34E)을 스크류(34B)에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지지판 이동부재(34G)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에는 푸셔(33), 커팅기(34), 지지판 이동부재(34G) 등을 작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이 구비되나, 이는, 당연한 필수 구성 요소로서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원목에 결합홈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목(11)에 결합홈을 가공하기 위한 부위가 두 받침대(32) 사이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원목(11)을 받침대(32)에 올려 놓은 후 푸셔(33)로서 원목(11)을 눌러 고정시킨다.
그리고, 각 지지판 이동부재(34G)를 작동시키되, 가이드수단(34G')에 가이드되도록 하여, 각 회전 커터(34A)의 날과 원목(11) 각 가공면이 중첩될 수 있도록 각 회전 커터(34A)를 원목(11)측으로 이동시킨 후 커터 회전 모터(34F)를 구동시켜 회전 커터(34A)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스크류 회전 모터(34C)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각 회전 커터(34A)가 원목(11)의 각 해당 가공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 커터(34A)와 원목(11)이 중첩된 만큼의 깊이를 갖는 결합홈을 각 가공면에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홈을 가공하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목(11)의 길이 방향(D)과 결합홈(G)의 대향 내면에 수직한 방향(D')이 서로 일치하게 되는 바, 두 방향(D)(D')이 일치하지 않는 결합홈을 간편히 가공할 수 있도록,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이 바닥에 밀착되는 회전지지판(35)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지지판(35)의 상면 중앙부에 프레임(31)의 저면 중앙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받침대(32)와 푸셔(33)는, 프레임(31)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즉, 원목(11)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바닥에 고정된 회전지지판(35)에 대하여 프레임(31)을 회전시키면, 커팅기(34)도 프레임(31)과 함께 회전된 상태가 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목(1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이 아닌 경사진 결합홈(G')을 가공할 수 있게 되는 바, 상기 받침대(32)와 푸셔(33)는 프레임(31)과 함께 회전되어서는 안된다.
즉, 상기 받침대(32)와 푸셔(33)는 프레임(31)에 고정 결합이 아닌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져야만 한다.
미설명부호 34G'는 가이드수단이다.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원목 가공 장치는, 원목의 모든 외면의 결합홈이 동시에 가공되기 때문에 결합홈 가공 시간이 단축되어 가공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원목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결합홈은 물론 경사진 결합홈도 자유롭게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직각으로 만다는 벽체만으로 이루어진 목조 주택 뿐 아니라, 그외의 다른 형상을 갖는 모든 목조 주택용 원목의 결함홈 가공에 모두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다면체의 외곽 형상을 하는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31) 내 양측에 대향되게 각각 결합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 원목 받침대(32)와;
    상기 받침대(32)의 직상 또는 전방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한 푸셔(33)와;
    상기 프레임(31)의 상·하·전·후에 구비되며, 상·하부 커팅기는 전·후방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고, 전·후방 커팅기는 상·하로 왕복 이동 가능하여, 원목(11)에 결합홈을 가공하는 회전 커터(34A)가 구비된 두 쌍의 커팅기(3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가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기(34)는,
    프레임(31)의 상·하·전·후 중의 어느 한 곳에 회전 가능토록 고정 결합된 봉형 스크류(34B)와;
    상기 스크류(34B)의 일측단부에 결합된 스크류 회전 모터(34C)와;
    상기 스크류(34B)의 외주면에 일측이 나사 결합된 왕복대(34D)와;
    상기 왕복대(34D)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판(34E)과;
    상기 지지판(34E)의 일측단부에 결합된 회전 커터(34A)와;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회전 커터(34A)를 회전시키기 위한 커터 회전 모터(34F)와;
    상기 왕복대(34D)와 지지판(34E)에 양측이 각각 결합된 지지판 이동부재(34G)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가공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이동부재(34G)는 유·공압 실린더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가공 장치.
  4. 저면이 바닥에 밀착되는 회전지지판(35)과;
    상기 회전지지판(35)의 상면 중앙부에 저면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면체의 외곽 형상을 하는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31) 내 양측에 대향되게 각각 결합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 원목 받침대(32)와;
    상기 받침대(32)의 직상 또는 전방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한 푸셔(33)와;
    상기 프레임(31)의 상·하·전·후에 구비되며, 상·하부 커팅기는 전·후방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고, 전·후방 커팅기는 상·하로 왕복 이동 가능하여, 원목(11)에 결합홈을 가공하는 회전 커터(34A)가 구비된 두 쌍의 커팅기(3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가공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기(34)는,
    프레임(31)의 상·하·전·후 중의 어느 한 곳에 회전 가능토록 고정 결합된 봉형 스크류(34B)와;
    상기 스크류(34B)의 일측단부에 결합된 스크류 회전 모터(34C)와;
    상기 스크류(34B)의 외주면에 일측이 나사 결합된 왕복대(34D)와;
    상기 왕복대(34D)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판(34E)과;
    상기 지지판(34E)의 일측단부에 결합된 회전 커터(34A)와;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회전 커터(34A)를 회전시키기 위한 커터 회전 모터(34F)와;
    상기 왕복대(34D)와 지지판(34E)에 양측이 각각 결합된 지지판 이동부재(34G)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가공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이동부재(34G)는 유·공압 실린더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가공 장치.
KR1020060053103A 2006-06-13 2006-06-13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 KR100789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103A KR100789264B1 (ko) 2006-06-13 2006-06-13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103A KR100789264B1 (ko) 2006-06-13 2006-06-13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894U Division KR200424585Y1 (ko) 2006-06-13 2006-06-13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864A KR20070118864A (ko) 2007-12-18
KR100789264B1 true KR100789264B1 (ko) 2008-01-02

Family

ID=3913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103A KR100789264B1 (ko) 2006-06-13 2006-06-13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765B1 (ko) * 2009-07-14 2012-01-18 명 옥 이 원목성형장치
CN111958705B (zh) * 2020-07-29 2022-07-08 浙江振阳绝热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木块用切片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467A (ko) * 2004-04-07 2005-10-12 강석찬 목조 건축물 조립 원목의 홈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467A (ko) * 2004-04-07 2005-10-12 강석찬 목조 건축물 조립 원목의 홈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864A (ko) 200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3237A (en) Method for fabricating molding or slotting boards such as shutter slats, molding for carpentry or for construction and apparatus for practicing this process
KR100789264B1 (ko)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
KR200424585Y1 (ko) 목조 주택용 원목 가공 장치
CN109591115A (zh) 一种板材高速边缘加工机
US4168675A (en) Machine to prepare logs for log houses
CN110843054B (zh) 一种生态板加工用精准压合机构
KR101132161B1 (ko) 건축용 원목 가공장치
CN207643350U (zh) 一种实木门拼板夹紧装置
KR101186787B1 (ko) 통나무 주택용 원목 가공장치
KR101463483B1 (ko) 원형 톱이 장착된 커팅 어셈블리의 중량 부여 타입 절삭 장치
CN213533274U (zh) 一种墙板自动开槽设备
US3853162A (en) Method of prefabricating a truss
US3010495A (en) Log notching machine
CN210464055U (zh) 一种用于烧制泡沫陶瓷的窑车窑具
KR100627132B1 (ko) 목조 건축물 조립 원목의 홈 가공장치
RU2071413C1 (ru) Станок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азов в деревянных деталях сруба
RU2600004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ревен
NO170463B (no) Trebearbeidelsesmaskin
KR100560195B1 (ko) 목조 건축물 조립 원목의 홈 가공장치
US2049704A (en) Brick splitting mechanism
RU2472614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ревянного сруб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ехан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бревен
CN205818189U (zh) 外墙装饰石材v形槽开槽装置
CN220008137U (zh) 一种板式家具生产用表面开槽设备
CN108326972A (zh) 一种建筑装饰用木地板切断装置
CN108381673A (zh) 一种建筑装饰用木地板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