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688B1 -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688B1
KR101186688B1 KR1020110034833A KR20110034833A KR101186688B1 KR 101186688 B1 KR101186688 B1 KR 101186688B1 KR 1020110034833 A KR1020110034833 A KR 1020110034833A KR 20110034833 A KR20110034833 A KR 20110034833A KR 101186688 B1 KR101186688 B1 KR 101186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member
window
driving
shaft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태
Original Assignee
(주) 금강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금강씨에스 filed Critical (주) 금강씨에스
Priority to KR1020110034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2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1Detection by monitoring transmitted force or torque; Safety couplings with activation dependent upon torque or force, e.g. slip coup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4Disengaging means
    • E05Y2201/216Clu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32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013Electronic control of motors during manual wing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05Y2400/53Wing impact prevention or reduction
    • E05Y2400/54Obstruction or resistance detection
    • E05Y2400/55Obstruction or resistance detection by using load sensors
    • E05Y2400/554Obstruction or resistance detection by using load sensors sensing motor 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부로부터 인가되는 회전력에 의해 작동부가 진퇴하여, 창틀에 설치된 창문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구동부와 작동부 사이에는 이들의 연결상태를 제어하는 클러치부를 형성하여, 상기 클러치부에 의해 구동부의 비 구동상태에서는 구동부와 작동부 사이의 연결상태가 해체되어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창문의 개폐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window}
본 발명은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작동부가 진퇴하여, 창틀에 설치된 창문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수조작을 통해 개폐가 구현되며, 최근 배연창 등지에는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직진 이송으로 변환하여 창틀에 설치된 창문을 밀거나 당겨 자동으로 폐쇄하는 자동 개폐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전동모터와, 체인로프를 진출입시키는 전동모터가 항시 연결된 상태를 형성하고 있는 관계로, 상기 자동 개폐장치를 설치한 창문은 정역모터의 제동 저항에 의해 수조작을 통한 창문의 개폐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갖는다.
즉, 정전이 발생되거나 정역모터의 이상이 발생되어 정역모터의 회전력의 생성이 불가능한 경우, 창문을 임의로 개폐할 수 없는 한계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당 분야에서는 전동에 의한 창문의 개폐와 수조작을 통한 창문의 개폐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의 개발 및 보급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 창문 개폐장치는 정역모터의 구동에 의한 창문의 폐쇄과정에, 창문과 창틀 사이에 사람의 팔 등이 끼이더라도 전동모터가 정지하지 아니하고 연속적으로 구동하여 창문을 폐쇄하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소지를 갖고 있기도 하다.
상기한 요구에 의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부와 작동부 사이에 이들의 연결상태를 제어하는 클러치부를 형성하여, 상기 클러치부에 의해 구동부의 비 구동상태에서는 구동부와 작동부 사이의 연결상태가 해체되어서, 수작업을 통해 창문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정역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창틀의 개폐를 도모하는 작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이들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정역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구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에는 스프라켓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종동축이 각각 형성되며, 이를 축 사이에는 어느 하나의 축에 고정하여 설치되는 제 1 클러치 부재와, 나머지 축에 진퇴구조로 설치되는 제 2 클러치 부재, 및 제 2 클러치 부재를 진퇴시켜 제 1 클러치 부재와 제 2 클러치 부재의 연결상태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클러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클러치 부재와 제 2 클러치 부재의 대향면에는 일편에서 타편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점차 넓어지는 하나 이상의 회동형 견착홈과, 일편에서 타편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점차 넓어지는 하나 이상의 회동형 견착돌기가 대응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해 제 2 클러치 부재가 전진하여 회동형 견착홈에 회동형 견착돌기가 진입한 상태에서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회동형 견착돌기는 회동형 견착홈의 측벽에 견착하여 구속되어서, 제 1 클러치 부재와 제 2 클러치 부재의 규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솔레이로이드의 지속적인 구동이 불필요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정역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창틀의 개폐를 도모하는 작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이들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정역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구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에는 스프라켓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종동축이 각각 형성되며, 이를 축 사이에는 어느 하나의 축에 고정하여 설치되는 제 1 클러치 부재와, 나머지 축에 진퇴구조로 설치되는 제 2 클러치 부재, 및 제 2 클러치 부재를 진퇴시켜 제 1 클러치 부재와 제 2 클러치 부재의 연결상태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클러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클러치 부재와 제 2 클러치 부재의 대향면에는, 규합홈과 규합돌기가 등각 방사구조로 교번하여 형성된 세레이션형 규합부가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는, 구동부와 작동부 사이에 클러치부를 형성하여, 구동부의 비 구동상태에서는 이들의 연결상태가 해체되도록 구성되어, 정전 시 등 정역모터의 구동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수동으로도 창문을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 클러치 부재 사이에 회동형 견착홈과 규합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이들 클러치 부재들은 회전에 의해 자체적으로 견착된 상태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제 1 클러치 부재와 제 2 클러치 부재의 지속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솔레노이드의 지속적인 구동이 불필요하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의 구동시간의 단축에 의해 솔레노이드의 손상이 방지되고, 전류 소모량이 감소하는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규합홈과 규합돌기가 등각 방사구조로 교번하여 형성된 세레이션형 규합부를 통해 제 1 클러치 부재와 제 2 클러치 부재의 연결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세레이션형 규합부는 적은 가압력에 의해서도 안정된 밀착상태를 형성할 수 있어서, 솔레노이드의 구동량을 대폭 축소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에 구동부의 부하를 계측하는 부하 계측부를 형성하여, 창문의 폐쇄과정에 구동부에 과도한 부하가 계측되면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창문의 폐쇄과정에 창문과 창틀 사이에 사람의 팔 등이 끼이게 되면 창문의 폐쇄가 정지하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이 예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 1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 1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에 있어, 클러치부를 통한 구동축과 종동축의 연결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 2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또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에 있어, 클러치부를 통한 구동축과 종동축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 1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 1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에 있어, 클러치부를 통한 구동축과 종동축의 연결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 2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또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에 있어, 클러치부를 통한 구동축과 종동축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동부(30)에 형성된 체인로프(32)의 진퇴작용을 통해 창틀(100)에 설치된 창문(110)을 밀거나 당겨 창문(110)의 개폐를 도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1)는, 창틀에 창문이 회동구조로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창문의 개폐가 구현되는 미닫이 창이나,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틀(100)에 창문(110)이 슬라이딩 이송구조로 설치되어 직진 이송을 통해 창문의 개폐가 구현되는 여닫이 창 모두에 설치되어, 창문의 개폐작용을 구현한다.
상기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1, 1')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회전력을 생성하는 정역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스프라켓(31)과, 상기 스프라켓(31)에 견착되는 작용단이 진퇴하는 체인로프(32)를 포함하여 구성된 작동부(30)와; 상기 구동부(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 및 이들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로프(32)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핀(32b)을 통해 연결된 각 체인부재(32a)의 외측면에 지지편(32a-a)이 형성되어, 내측으로는 자유로운 절곡이 가능하고 외측으로는 지지편(32a-a)들의 지지에 의해 절곡이 제한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지지편(32a-a)들의 지지에 의해 체인부재(32a)들은 일자형으로 전개된 상태를 이루어 창문(110)을 밀거나 당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20)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은 작동부(30)의 스프라켓(31)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이 스프라켓(31)에 견착된 체인로프(32)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일자형으로 전개된 체인로프(32)의 작용단(미도시)이 창문(110)을 밀거나 당겨서 창문을 회전 또는 직진 이송시켜 창문을 개폐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20)에는 정역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21)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30)에는 스프라켓(31)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종동축(33)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들 구동축(21)과 종동축(33) 사이에 이들의 연결상태를 설정하는 클러치부(40, 40')를 형성하여, 상기 구동부(20)의 구동상태에서는 클러치부(40, 40')를 통한 구동축(21)과 종동축(33)이 안정되게 연결되어 구동부(20)의 구동을 통한 창문(110)의 개폐가 구현되고, 또 구동부(20)의 비 구동상태에서는 클러치부(40, 40')를 통한 구동축(21)과 종동축(33)의 연결이 해체되어, 창문(110)의 수동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러치부(40)는, 기본적으로 구동축(21)과 종동축(33) 중 어느 하나의 축에 고정하여 설치되는 제 1 클러치 부재(41A, 42A)와, 나머지 축에 진퇴구조로 설치되는 제 2 클러치 부재(41B, 42B), 및 제 2 클러치 부재(41B, 42B)를 진퇴시켜 제 1 클러치 부재(41A, 42A)와 제 2 클러치 부재(41B, 42B)의 연결상태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솔레노이드(43)의 진퇴로드(43a)와 제 2 클러치 부재(41B, 42B)는, 상기 솔레노이드(43)의 진퇴로드(43a)에 가압되는 힘점(44a)과, 제 2 클러치 부재(41B, 42B)에 견착되는 작용점(44c), 및 상기 힘점(44a)과 작용점(44c) 사이를 회동구조로 지지하는 지지점(44b)을 포함하여 구성된 지렛대(44)를 통해 연결되어, 솔레노이드(43)는 적은 작용력을 통해서도 제 2 클러치 부재(41B, 42B)의 전진을 도모한다.
그리고, 상기 상호 대향하는 제 1 클러치 부재(41A, 42A)와 제 2 클러치 부재(41B, 42B) 사이에는 이들 사이를 탄지하여 이격시키는 스프링(45)이 배치되어, 제 2 클러치 부재(41B, 42B)는 스프링(45)의 탄발력에 의해 평상시에는 제 1 클러치 부재(41A, 42A)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솔레노이드(43)로부터 전진력이 제공되면 제 2 클러치 부재(41B, 42B)는 제 1 클러치 부재(41A, 42A)와 밀착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에는 부하 계측부(51)가 형성되어, 제어부(50)는 창문(110)의 폐쇄과정 중에 기준치 이상의 부하가 계측되면 구동부(20)의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구동부(20)를 역 구동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부하 계측부(51)는 구동부(20)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통해 계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동을 통한 창문의 폐쇄과정에 창틀과 창문 사이에 사람의 팔 등의 장애물이 끼인 상태에서 창문의 폐쇄작용이 지속됨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 또는 구동부의 과부하에 따른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를 구현함에 있어, 솔레노이드의 구동을 최소할 수 있는 클러치부의 클러치 부재를 각각 제안하고 있으며, 하기에서는 이를 상술하기로 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43)의 비구동 상태에서도 제 1 클러치 부재(41A)와 제 2 클러치 부재(41B)가 상호 규합하여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솔레노이드(43)의 구동시간 및 구동거리의 단축을 통한 내구성의 향상과, 전류 소모량이 절감이 도모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클러치 부재(41A)와 제 2 클러치 부재(41B)의 대향면에 일편에서 타편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점차 넓어지는 하나 이상의 회동형 견착돌기(41A-a)와, 일편에서 타편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점차 넓어지는 하나 이상의 회동형 견착홈(41B-a)를 대응되게 형성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클러치 부재(41A)에 역 사다리꼴 형상의 회동형 견착돌기(41A-a)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와 대향하는 제 2 클러치 부재(41B)의 대향면에는 상기 회동형 견착돌기(41A-a) 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회동형 견착홈(41B-a)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예로, 상기 회동형 견착돌기(41A-a)와 회동형 견착홈(41B-a)을, 일편에서 타편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증가하는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 회동형 견착돌기(41A-a)와 회동형 견착홈(41B-a)은 형상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 측벽이 견착하여 연결되고, 또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호 간의 견착상태가 해제되는 형태를 총칭한다.
따라서, 도 3a의 상태에서 도 3b와 같이 솔레노이드(43)에 의해 제 2 클러치 부재(41B)가 전진하여 제 1 클러치 부재(41A)의 회동형 견착돌기(41A-a)에 회동형 견착홈(41B-a)이 진입하는 과정에 도 3c와 같이 구동축(21)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경사진 회동형 견착돌기(41A-a)의 일측 내벽과 회동형 견착홈(41B-a)의 일측 외벽은 견착하여 구속된다.
이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43)가 구동하여 진퇴로드(43a)를 전진시키기 아니하더라도, 구동축(21)에 설치된 제 1 클러치 부재(41A)와 종동축(33)에 설치된 제 2 클러치 부재(41B)는, 회동형 견착돌기(41A-a)와 회동형 견착홈(41B-a)에 의한 견착에 의해 상호 규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클러치부(40)를 채택하면, 구동부(20)의 구동을 통한 창문(110)의 개폐과정에, 솔레노이드(43)가 지속적으로 구동하여 제 2 클러치 부재(41B)를 제 1 클러치 부재(41A)에 밀착시키는 과정이 불필요하므로, 결과적으로 솔레노이드(43)의 구동거리 및 구동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20)의 구동에 의해 창문(110)의 개방, 또는 폐쇄가 완료되면, 제어부(50)는 도 3d와 같이 구동부(20)를 역 구동시켜 회동형 견착돌기(41A-a)와 회동형 견착홈(41B-a) 사이의 견착상태를 해체하고, 이에 따라 제 1 클러치 부재(41A)와 규합된 제 2 클러치 부재(41B)는 스프링(45)의 탄발력에 의해 후퇴하여 제 1 클러치 부재(41A)와 해체되며, 이 상태에서는 구동부(20)에 의한 제동 저항이 발생되지 아니하는 관계로, 사용자는 창문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클러치 부재(42A)와 제 2 클러치 부재(42B)의 대향면에 긴밀한 규합상태를 형성하는 규합부를 각각 형성하여, 솔레노이드(43)로부터 전진력을 제공받아 전진하여 제 2 클러치 부재(42B)가 적은 전진거리를 통해서도 제 1 클러치 부재(42A)에 긴밀하고 안정되게 밀착되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클러치 부재(42A)와 제 2 클러치 부재(42B)의 대향면에는, 규합홈과 규합돌기가 등각 방사구조로 교번하여 형성된 세레이션형의 규합부(42A-a, 42B-a)를 대응되게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클러치 부재(42B)는 도 5a의 상태에서 솔레노이드(43)로부터 전진력을 인가받아 도 5b와 같이 전진하면, 제 2 클러치 부재(42B)에 형성된 세레이션형 규합부(42B-a)의 각 규합홈들과 규합돌기들은 제 1 클러치 부재(42A)에 형성된 각 규합홈들과 규합돌기를 갖는 세레이션 규합부(42A-a)와 상호 맞물리게 되므로, 이들을 고정한 구동부(20)의 구동축(21)과 작동부(30)의 종동축(33)의 안정된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20)의 구동에 의해 창문(110)의 개방, 또는 폐쇄가 완료되어 제어부(50)가 구동부(20)의 구동 및 솔레노이드(43)의 구동을 정지시키면, 제 2 클러치 부재(42B)는 도 5a와 같이 스프링(45)의 탄발력에 의해 후퇴하여 제 1 클러치 부재(42A)와의 연결상태가 해체되며, 이 상태에서는 구동부에 의한 제동 저항이 발생 되지 아니하는 관계로, 사용자는 창문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축에 제 2 연결부재를 진퇴구조로 설치하여, 제 2 클러치 부재의 진퇴에 따라 제 1 클러치 부재와의 연결 상태가 설정되도록 하고 있으나, 제 2 클러치 부재를 설치한 축을 본체에 진퇴구조로 설치하여도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이 발휘되며, 이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을 단순히 설계 변형한 것이므로 본원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1'.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10. 본체
20. 구동부 21. 구동축
30. 작동부 31. 스프라켓
32. 체인로프
32a. 체인부재 32a-a. 지지편
32b. 연결핀 33. 종동축
40, 40'. 클러치부
41A, 제 1 클러치 부재 41A-a. 회동형 견착돌기
41B. 제 2 클러치 부재 41B-a. 회동형 견착홈
42A.제 1 클러치 부재 42A-a. 세레이션형 규합부
42B.제 2 클러치 부재 42B-a. 세레이션형 규합부
43. 솔레노이드 43a. 진퇴로드
44. 지렛대 44a. 힘점
44b. 지지점 44c. 작용점
45. 스프링
50. 제어부 51. 부하 계측부

Claims (7)

  1. 회전력을 생성하는 정역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창틀의 개폐를 도모하는 작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이들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정역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구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에는 스프라켓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종동축이 각각 형성되며, 이를 축 사이에는 어느 하나의 축에 고정하여 설치되는 제 1 클러치 부재와, 나머지 축에 진퇴구조로 설치되는 제 2 클러치 부재, 및 제 2 클러치 부재를 진퇴시켜 제 1 클러치 부재와 제 2 클러치 부재의 연결상태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클러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클러치 부재와 제 2 클러치 부재의 대향면에는 일편에서 타편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점차 넓어지는 하나 이상의 회동형 견착홈과, 일편에서 타편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점차 넓어지는 하나 이상의 회동형 견착돌기가 대응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해 제 2 클러치 부재가 전진하여 회동형 견착홈에 회동형 견착돌기가 진입한 상태에서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회동형 견착돌기는 회동형 견착홈의 측벽에 견착하여 구속되어서, 제 1 클러치 부재와 제 2 클러치 부재의 규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솔레이로이드의 지속적인 구동이 불필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형 견착돌기와 회동형 견착홈은, 일편에서 타편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증가하는 역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회동형 견착돌기와 회동형 견착홈을 통해 견착 구속된 제 1 클러치 부재와 제 2 클러치 부재를 통해 종동축과 연결된 구동부의 구동축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창문의 개폐를 도모한 다음,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회동형 견착돌기와 회동형 견착홈을 통해 견착 구속된 제 1 클러치 부재와 제 2 클러치 부재의 견착 구속 상태를 해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4. 회전력을 생성하는 정역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창틀의 개폐를 도모하는 작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이들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정역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구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에는 스프라켓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종동축이 각각 형성되며, 이를 축 사이에는 어느 하나의 축에 고정하여 설치되는 제 1 클러치 부재와, 나머지 축에 진퇴구조로 설치되는 제 2 클러치 부재, 및 제 2 클러치 부재를 진퇴시켜 제 1 클러치 부재와 제 2 클러치 부재의 연결상태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클러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클러치 부재와 제 2 클러치 부재의 대향면에는, 규합홈과 규합돌기가 등각 방사구조로 교번하여 형성된 세레이션형 규합부가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제 1 클러치 부재와 제 2 클러치 부재 사이에는 이들 사이를 탄지하는 스프링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부하 계측부가 형성되어, 창문의 폐쇄과정 중에 기준치 이상의 부하가 계측되면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구동부를 역 구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의 진퇴로드와 제 2 클러치 부재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진퇴로드에 연결되는 힘점과, 제 2 클러치 부재에 견착되는 작용점, 및 상기 힘점과 작용점 사이를 회동구조로 지지하는 지지점을 포함하여 구성된 지렛대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KR1020110034833A 2011-04-14 2011-04-14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KR101186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833A KR101186688B1 (ko) 2011-04-14 2011-04-14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833A KR101186688B1 (ko) 2011-04-14 2011-04-14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6688B1 true KR101186688B1 (ko) 2012-09-27

Family

ID=47114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833A KR101186688B1 (ko) 2011-04-14 2011-04-14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6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0346A (ko) 2014-08-29 2016-03-17 (주)한국울트라산업 조립식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KR20160035214A (ko) * 2014-09-23 2016-03-31 (주) 금강씨에스 창문 개폐장치용 클러치 조립체
KR20160083684A (ko) 2015-01-02 2016-07-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창호 개폐장치
KR101777570B1 (ko) * 2016-06-02 2017-09-13 정영호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
KR102140981B1 (ko) * 2020-03-03 2020-08-04 김민서 여닫이문 자동 개폐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904Y1 (ko) 2000-10-12 2001-03-15 하정선 창문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904Y1 (ko) 2000-10-12 2001-03-15 하정선 창문 개폐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0346A (ko) 2014-08-29 2016-03-17 (주)한국울트라산업 조립식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KR20160035214A (ko) * 2014-09-23 2016-03-31 (주) 금강씨에스 창문 개폐장치용 클러치 조립체
KR101629176B1 (ko) 2014-09-23 2016-06-21 (주) 금강씨에스 창문 개폐장치용 클러치 조립체
KR20160083684A (ko) 2015-01-02 2016-07-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창호 개폐장치
KR101777570B1 (ko) * 2016-06-02 2017-09-13 정영호 3중 연동 자동문시스템의 연동장치
KR102140981B1 (ko) * 2020-03-03 2020-08-04 김민서 여닫이문 자동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688B1 (ko)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AU2019246829B2 (en) Control of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s
EP2946057B1 (en) Hinge
KR102658794B1 (ko) 듀얼 모드 건축 구조물 덮개
US7703838B2 (en) Clutch mechanism for power device
EP3172994B1 (en) Motorized drive unit assembly for a shade system
CN108068059A (zh) 气弹簧紧固件驱动器的卡塞释放和升降器机构
EP3235991A1 (en) Window actuator with obstacle detection
CN105905739B (zh) 防意外移动和防超速两用双向安全钳
IT201900002526U1 (it) Cerniera motorizzata
TW200519283A (en) Window shades control mechanism and control method thereof
ITMI20140149U1 (it) Sistema di azionamento in rotazione di un tamburo di avvolgimento, schermo di chiusura avvolgibile e metodo di pilotaggio.
KR20110069624A (ko)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JP2004124701A (ja) 作動装置
US20220049538A1 (en) Sectional door operator system
CN109083522A (zh) 一种隐藏式汽车门把手
CN201174475Y (zh) 电源线收线装置
KR101237045B1 (ko) 창문 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
ITBO20070522A1 (it) Dispositivo di manovra per infissi.
KR101237044B1 (ko) 향상된 작동 안정성을 갖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CN204827003U (zh) 一种分段式开窗系统
JP5165424B2 (ja) 補助モータ付きチェーンブロック
KR101239813B1 (ko) 향상된 작동 안정성을 갖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KR101332233B1 (ko) 개량된 클러치 구조를 갖는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1293121B1 (ko) 개량된 클러치 구조를 갖는 창문 자동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