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045B1 - 창문 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 - Google Patents

창문 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045B1
KR101237045B1 KR1020110077418A KR20110077418A KR101237045B1 KR 101237045 B1 KR101237045 B1 KR 101237045B1 KR 1020110077418 A KR1020110077418 A KR 1020110077418A KR 20110077418 A KR20110077418 A KR 20110077418A KR 101237045 B1 KR101237045 B1 KR 101237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opening
shaft
handl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431A (ko
Inventor
김광태
Original Assignee
(주) 금강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금강씨에스 filed Critical (주) 금강씨에스
Priority to KR1020110077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0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2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013Electronic control of motors during manual wing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 자동개폐장치에 형성된 체인로프의 연결단을 창문에 간편하게 고정시키는 창문 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으로부터 인가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스프라켓; 및 상기 스프라켓에 견착되어 연결단을 통해 창문에 고정되는 체인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체인로프의 진퇴작용에 의해 창문이 개폐되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창문 자동 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모듈은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며 창문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작동부의 연결단을 관통시켜 고정 브라켓에 작동부의 연결단을 힌지구조로 고정하는 힌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손잡이를 통해 수동 개폐에 따른 수 조작력을 창문에 제공하는 손잡이 기능과, 힌지핀을 통해 작동부의 연결단을 창문에 힌지구조로 고정하는 연결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창문 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Handle module for Windows automatic open and shut apparatus}
본 발명은 창문 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 자동개폐장치에 형성된 체인로프의 연결단을 창문에 간편하게 고정시키는 창문 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수조작을 통해 개폐가 구현되며, 최근 배연창 등지에는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직진 이송으로 변환하여 창틀에 설치된 창문을 밀거나 당겨 자동으로 폐쇄하는 자동 개폐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전동모터와, 체인로프를 진출입시키는 전동모터가 항시 연결된 상태를 형성하고 있는 관계로, 상기 자동 개폐장치를 설치한 창문은 정역모터의 제동 저항에 의해 수조작을 통한 창문의 개폐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갖는다.
즉, 정전이 발생되거나 정역모터의 이상이 발생되어 정역모터의 회전력의 생성이 불가능한 경우, 창문을 임의로 개폐할 수 없는 한계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당 분야에서는 전동에 의한 창문의 개폐와 수조작을 통한 창문의 개폐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의 개발 및 보급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자는 전동부의 동력축에 고정하여 설치되는 제 1 클러치 부재와, 작동부의 연결축에 진퇴구조로 설치되는 제 2 클러치 부재, 및 제 2 클러치 부재를 진퇴시켜 제 1 클러치 부재와 제 2 클러치 부재의 연결상태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클러치부를 전동부와 작동부 사이에 설치하여, 이들 클러치 부재의 연결, 또는 해체 통해 종래 구현이 어려웠던 창문의 수동 개폐기능을 갖도록 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클러치 구조는 솔레로이드의 구동에 의해 연결 및 해체가 제어되는 관계로, 솔레로이드, 및 이에 따른 연결구조들의 필수 설치가 요구되므로, 생산단가의 상승되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갖고, 또 상기 솔레로이드는 장시간 외부 환경에 노출될 경우, 작동 안정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관계로, 작동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이와 더불어, 종래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는 정역모터의 구동에 의한 창문의 폐쇄과정에, 창문과 창틀 사이에 사람의 팔 등이 끼이더라도 전동부가 정지하지 아니하고 연속적으로 구동하여 창문을 폐쇄하므로, 안전사고의 발생 소지를 갖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창문 개폐장치에 마련된 체인로프의 연결단을 창문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전용의 수단이 강구되지 아니하여, 연결단을 체결 등을 통해 창문에 직접 고정하고 있으나, 이는 창문의 개폐과정에 체인로프의 굽힘을 발생시켜 체인로프의 손상, 및 창문 개폐에 따른 안정성을 해치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부의 전동축과 작동부의 작동축 사이에 탄성 결합력을 이용한 클러치 구조를 제안, 및 채택하여, 솔레로이드의 설치 및 구동없이도 전동과 수동을 통한 창문의 개폐가 가능하고, 또 창문이 송풍압 등에 의해 무단으로 개폐되는 현상이 예방되도록 한 창문 자동개폐장치의 체인로프의 연결단을 창문에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손잡이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삭제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자동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은,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으로부터 인가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스프라켓; 및 상기 스프라켓에 견착되어 연결단을 통해 창문에 고정되는 체인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체인로프의 진퇴작용에 의해 창문이 개폐되는 작동부와, 전동축을 통해 회전력을 출력하는 전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창문 자동 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모듈은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며 창문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작동부의 연결단을 관통시켜 고정 브라켓에 작동부의 연결단을 힌지구조로 고정하는 힌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손잡이를 통해 수동 개폐에 따른 수 조작력을 창문에 제공하는 손잡이 기능과, 힌지핀을 통해 작동부의 연결단을 창문에 힌지구조로 고정하는 연결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디스크 패드와 클러치 패드가 탄성 결합력에 의해 상호 간의 연결상태가 제어되는 클러치 구조를 제안, 및 이 클러치 구조를 전동부의 전동축과, 작동부의 작동축 사이에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클러치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은, 창문의 수동 개폐와, 전동 개폐가 각각 구현이 가능하므로, 종래 클러치 구조의 연결, 또는 해체상태를 설정하기 위해 설치된 솔레로이드의 삭제가 가능하므로, 구조의 간소화와 생산에 따른 부대비용의 절감, 및 솔레로이드의 노후화에 따른 작동 안정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특히, 창문과 연동된 작동부는 클러치 구조를 통해 전동부의 전동축과 탄성 결합된 관계로, 창문이 송풍압 등에 의해 무단으로 개폐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별도 창문의 임의 개폐를 방지하는 스토퍼의 삭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자동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은 수동 개폐에 따른 수 조작력을 창문에 제공하는 손잡이 기능과, 작동부의 연결단을 창문에 고정하는 고정기능을 동시 수행하므로, 창문의 손상 없이 작동부의 연결단을 창문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클러치 구조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 및 창문 자동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의 전체 구성 및,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 1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 자동개폐장치용 클러치 구조와, 이를 통한 창문 자동개폐장치의 전동, 및 수동 개폐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 2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 자동개폐장치용 클러치 구조와, 이를 통한 창문 자동개폐장치의 전동, 및 수동 개폐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클러치 구조를 갖는 창문 자동개폐장치와, 창문 자동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클러치 구조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 및 창문 자동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의 전체 구성 및,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 1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 자동개폐장치용 클러치 구조와, 이를 통한 창문 자동개폐장치의 전동, 및 수동 개폐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 2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 자동개폐장치용 클러치 구조와, 이를 통한 창문 자동개폐장치의 전동, 및 수동 개폐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동축(11)을 통해 회전력을 출력하는 전동부(10)와; 상기 전동축(11)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력을 작동축(21)을 통해 제공받아, 이 회전력으로 창문(W)의 개폐를 도모하는 작동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동부(10)와 작동부(20)를 본체(30)에 각각 이격되게 배치하고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작동부(20)는 작동축(21)과; 상기 작동축(21)으로부터 인가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스프라켓(22); 및 상기 스프라켓(22)에 견착되어 연결단(23a)을 통해 창문(100)에 고정된 체인로프(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작동부(20)는, 회전하는 전동부(10)의 전동축(11)과 연결된 작동축(21)이 회전하면, 작동축(21)에 고정된 스프라켓(22)에 견착된 체인로프(23)는 진퇴하여 창문의 개폐가 도모되고, 또 역으로 사용자가 창문(W)에 수조작력을 제공하여 개폐하면 작동축(21)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창문(W)과, 본 장치의 연결단(23a) 사이를 간편하게 연결하는 손잡이 모듈(000)을 제안하여, 창문(W)의 수동 개폐에 따른 수 조작력을 제공하는 손잡이 기능과, 작동부(20)의 연결단(23a)을 창문(W)에 고정기능을 각각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 모듈(10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111)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 브라켓(110)과, 상기 작동부(20)의 연결단(23a)을 관통시켜 고정 브라켓(110)에 힌지구조로 고정하는 힌지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을 보면 상기 고정 브라켓(110)에는 힌지핀(120)을 선회, 또는 승강을 포함하는 이송구조로 고정하는 장공형의 레일(112)이 형성되어, 고정 브라켓(110)에 연결단을 고정시킨 힌지핀(120)이, 창문의 개폐과정에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손잡이 모듈(100)의 힌지핀(120)을 통해 창문(W)에 고정된 체인로프(23)의 연결단(23a)은, 체인로프(22)의 진퇴를 통한 창문(W)의 개폐과정 중에 힌지핀(120)을 통한 회동과, 레일(112)를 통한 힌지핀(120)의 선회, 내지 승강을 포함하는 이송을 통해서 체인로프(23)의 과도 굽힘 발생을 억제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동부(10)의 전동축(11)과, 작동부(20)의 작동축(21) 사이에 개량된 클러치 구조(40, 50)를 마련하여, 평상시에는 전동부(10)의 전동축(11)과 작동부(20)의 작동축(21)이 상호 연결되어 전동부(10)의 구동을 통해 창문(W)의 전동개폐가 가능하고, 사용자가 손잡이 모듈(100)을 통해 개폐를 위한 수 조작력을 창문(W)에 제공하면, 작동축(21)의 독립적인 회전을 통한 창문(W)의 수동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클러치 구조(40, 50)에 의해 전동부(10)의 전동축(11)과 작동부(20)의 작동축(21)이 탄성 결합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전동축(11)과 작동축(21)의 탄성 결합에 의한 전동 개폐와, 전동축(11)과 작동축(21)의 탄성 결합의 일시 해체를 통한 창문(W)의 수동 개폐를 도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자동개폐장치(1)는, 클러치 구조(40, 50)의 연결, 또는 해체를 위한 별도의 솔레로이드의 설치 및 구동 없이도, 전동부(10)의 구동을 통한 창문의 전동 개폐와, 창문에 설치된 손잡이 모듈(100)을 통해 제공되는 수 조작력을 통한 창문의 수동 개폐가 가능하고, 또 평상시에는 제동기능을 갖는 구동부(10)의 전동축(11)에 창문(W)과 연결된 작동축(21)이 탄성 결합되어서, 창문이 풍압 등에 의해 임의 개폐되는 현상을 예방한다.
하기에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 자동개폐장치의 클러치 구조(40, 50)와, 이를 채택한 창문 자동개폐장치(1, 1')의 작용을 상술하기로 한다.
[제 1 실시형태]
먼저, 본 발명에서 제 1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창문 자동개폐장치용 클러치 구조(40)는, 도 3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호 대향하는 전동부(10)의 전동축(11)과 작동부(20)의 작동축(21) 중, 어느 하나의 축(11)에 디스크 패드(41)를 고정되게 설치하고, 나머지 축(21)에 클러치 패드(42)를 진퇴구조로 설치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진퇴구조로 설치된 클러치 패드(42)를 스프링(43)을 통해 탄지시켜 클러치 패드(42)가 스프링(43)의 탄성 가압에 의한 탄성 결합력에 의해 디스크 패드(41)와 탄성 결합하도록 한다.
도 2와 도 3을 보면, 전동부(10)의 전동축(11)에 디스크 패드(41)를 고정하고, 작동부(20)의 작동축(21)에 클러치 패드(42)를 진퇴구조로 설치하고 있다.
이때, 상기 작동축(21)의 단부는 각축형으로 구성되며, 클러치 패드(42)는 각축공(42a)을 통해 각축형으로 이루어진 작동축(21)의 단부를 관통하여, 클래치 패드(42)는 작동축(21)을 따라 진퇴하면서도 작동축(21)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호 대향하는 디스크 패드(41)와 클러치 패드(42)에는 복수의 견착부(41a, 42b)가 방사구조로 형성되어, 견착부(41a, 42b)를 통한 견착을 통해 디스크 패드(41)와 클러치 패드(42)는 보다 안정된 탄성 결합상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클러치 구조(40)를 마련한 창문 자동개폐장치(1)는, 평상시에는 도 2a와 같이 클러치 구조(40)에 의해 전동부(10)의 전동축(11)과 작동부(20)의 작동축(21)은 탄성 결합하여 상호 연동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전동부(10)의 자체 제동작용에 의해 창문(W)이 송풍압 등으로 임의 개폐되는 현상이 예방된다.
또한, 도 2b와 같이 전동부(10)의 구동에 의해 전동축(11)이 회전하면, 클러치 구조(40)를 통해 이와 연결된 작동부(20)의 작동축(21)은 구동축(11)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므로, 창문(W)의 전동 개폐가 도모된다.
그리고, 창문(W)에 설치된 손잡이 모듈(100)을 통해 사용자가 전동축(11)과 작동축(21)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 결합력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 조작력을 제공하면, 도 2c와 같이 스프링(43)에 탄지된 클러치 패드(42)는 반복적으로 진퇴하면서 전동축(11)에 고정된 디스크 패드(41)와의 탄성 결합상태가 반복하여 해체되고, 이에 따라 작동축(21)은 전동축(11)과 독립적으로 회전하여 수 조작력을 통한 창문(W)의 수동 개폐가 도모된다.
[제 2 실시형태]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창문 자동개폐장치용 클러치 구조(5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동부(10)의 전동축(11)에 디스크 패드(51)를 고정하고, 이와 마주하는 작동부(20)의 작동축(21)에 클러치 패드(52)를 고정하는 한편, 상호 마주하는 디스크 패드(51)와 클러치 패드(52)는 대향면에 하나 이상의 고정홈(51a)들과, 스프링(52b)에 탄지된 하나 이상의 탄지돌기(51a)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고정홈(51a)과 탄지돌기(52a)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 가압력에 의해 구동축(11)과 작동축(21)이 탄성 결합되도록 한 형태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클러치 구조(50)는, 도 3a와 도 3b와 같이 평상시에는 디스크 패드(51)에 형성된 고정홈(51a)과, 클러치 패드(52)에 형성된 탄지돌기(52a)에 의한 탄성 결합력에 의해 전동축(11)과 작동축(21)이 상호 탄성 결합된 상태를 형성하다가, 도 3c와 같이 탄성 결합력 보다 상대적으로 큰 수 조작력이 제공되면 클러치 패드(52)에 형성된 탄지돌기(52a)가 진퇴하여, 전동부(10)의 전동축(11)과 탄성 결합된 작동부(20)의 작동축(21)이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한 형태이다.
도면을 보면 상기 디스크 패드(51)와 클러치 패드(52)에는 3개씩의 고정홈(51a)과 탄지돌기(52a)가 방사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지돌기(52a)는 클러치 패드(52)에 형성된 진퇴공(52b)에 스프링(52c)에 의해 탄지하여 배치되는데, 클러치 패드(52)에 형성된 각 진퇴공(52b)에는 스프링(52c)의 후미를 탄지하는 조절볼트(52d)가 체결되어, 조절볼트(52d)의 체결량에 따라 스프링(52c)에 의한 탄지돌기(52a)의 탄성 가압력이 조절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클러치 구조(50)를 마련한 창문 자동개폐장치(1')는, 평상시에는 도 3a와 같이 디스크 패드(51)와 클러치 패드(52)에 형성된 각 탄지돌기(52a)가 각 고정홈(51a)에 진입되어, 전동부(10)의 전동축(11)과 작동부(20)의 작동축(21)은 탄성 결합되어 상호 연동상태를 형성하므로, 전동부(10)의 자체 제동작용에 의해 창문(W)이 송풍압 등으로 임의 개폐되는 현상이 예방된다.
또한, 도 3b와 같이 전동부(10)의 구동에 의해 전동축(11)이 회전하면, 클러치 구조(50)를 통해 이와 연결된 작동부(20)의 작동축(21)은 구동축(11)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므로, 창문(W)의 전동 개폐가 도모된다.
그리고, 창문(W)에 설치된 손잡이 모듈(100)을 통해 사용자가 전동축(11)과 작동축(21)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 결합력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 조작력을 제공하면, 도 3c와 같이 클러치 패드(52)에 형성된 탄지돌기(52a)는 디스크 패드(51)에 형성된 고정홈(51a)에서 반복적으로 이탈 및 진입하여 전동축(11)에 고정된 디스크 패드(41)와의 탄성 결합상태가 반복하여 해체된다. 이에 따라, 작동축(21)은 전동축(11)과 독립적으로 회전하여 수 조작력을 통한 창문(W)의 수동 개폐를 도모한다.
1, 1'. 창문 자동 개폐장치
10. 전동부 11. 전동축
20. 작동부 21. 작동축
30. 본체
40. 클러치 구조 41. 디스크 패드
41a. 견착부 42. 클러치 패드
42a. 각축공 42b. 견착부
43. 스프링
50. 클러치 구조 51. 디스크 패드
51a. 고정홈 52. 클러치 패드
52a. 탄지돌기 52b. 진퇴공
52c. 스프링 52d. 조절볼트
100. 손잡이 모듈 110. 고정 브라켓
111. 손잡이 112. 레일
120. 힌지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으로부터 인가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스프라켓; 및 상기 스프라켓에 견착되어 연결단을 통해 창문에 고정되는 체인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체인로프의 진퇴작용에 의해 창문이 개폐되는 작동부와, 전동축을 통해 회전력을 출력하는 전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창문 자동 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모듈은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며 창문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작동부의 연결단을 관통시켜 고정 브라켓에 작동부의 연결단을 힌지구조로 고정하는 힌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손잡이를 통해 수동 개폐에 따른 수 조작력을 창문에 제공하는 손잡이 기능과, 힌지핀을 통해 작동부의 연결단을 창문에 힌지구조로 고정하는 연결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자동 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
KR1020110077418A 2011-08-03 2011-08-03 창문 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 KR101237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418A KR101237045B1 (ko) 2011-08-03 2011-08-03 창문 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418A KR101237045B1 (ko) 2011-08-03 2011-08-03 창문 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676A Division KR101293121B1 (ko) 2013-01-21 2013-01-21 개량된 클러치 구조를 갖는 창문 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431A KR20130015431A (ko) 2013-02-14
KR101237045B1 true KR101237045B1 (ko) 2013-02-25

Family

ID=4789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418A KR101237045B1 (ko) 2011-08-03 2011-08-03 창문 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0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570B1 (ko) * 2013-06-27 2015-06-04 최창원 창문용 개폐장치의 수동개폐구조
KR102089175B1 (ko) * 2018-10-22 2020-03-13 박기환 창문용 개폐장치의 수동개폐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215B1 (ko) * 2013-08-13 2014-10-13 (주) 금강씨에스 수동 개폐기능을 갖는 창문 자동 개폐장치
KR101629176B1 (ko) * 2014-09-23 2016-06-21 (주) 금강씨에스 창문 개폐장치용 클러치 조립체
CN107448093A (zh) * 2017-08-04 2017-12-08 安徽信息工程学院 遥控开门器
CN108278061A (zh) * 2018-02-09 2018-07-13 王力安防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手动控制的电动开窗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471A (ja) * 1994-05-20 1995-12-05 Shinsei Seiki Kk 電動シャッターの制御方法及び電動シャッターの手動 切換装置
KR200216904Y1 (ko) 2000-10-12 2001-03-15 하정선 창문 개폐장치
JP2002138779A (ja) 2000-11-06 2002-05-17 Yuhshin Co Ltd 電動シャッタの巻取り装置
JP2004027841A (ja) * 1995-07-17 2004-01-29 Bunka Shutter Co Ltd シャッタ等の巻取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471A (ja) * 1994-05-20 1995-12-05 Shinsei Seiki Kk 電動シャッターの制御方法及び電動シャッターの手動 切換装置
JP2004027841A (ja) * 1995-07-17 2004-01-29 Bunka Shutter Co Ltd シャッタ等の巻取り装置
KR200216904Y1 (ko) 2000-10-12 2001-03-15 하정선 창문 개폐장치
JP2002138779A (ja) 2000-11-06 2002-05-17 Yuhshin Co Ltd 電動シャッタの巻取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570B1 (ko) * 2013-06-27 2015-06-04 최창원 창문용 개폐장치의 수동개폐구조
KR102089175B1 (ko) * 2018-10-22 2020-03-13 박기환 창문용 개폐장치의 수동개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431A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045B1 (ko) 창문 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
ES2968288T3 (es) Sistema operador de puerta seccional
RU2623964C2 (ru) Моторизованное у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мещением створки для открытия и закрытия проема в стене
JP2016534913A (ja) 自動ロック装置を備えた開閉機構
CN104695358B (zh) 一种闸机的门轴驱动装置
KR101125848B1 (ko)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KR101332233B1 (ko) 개량된 클러치 구조를 갖는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1293121B1 (ko) 개량된 클러치 구조를 갖는 창문 자동개폐장치
CN201174475Y (zh) 电源线收线装置
KR101186688B1 (ko)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CN102642758A (zh) 简易型电梯轿门锁
KR20120029775A (ko) 회동제어장치를 가지는 경첩
CN204238965U (zh) 重锤式风门闭锁装置
KR101163754B1 (ko) 배전반용 도어 스토퍼
KR20100123171A (ko) 간소화된 엑츄에이터 구조를 갖는 도어 스토퍼장치
CN201010411Y (zh) 电梯偏开门机同步门刀
CN204827000U (zh) 一种改进型分段式开窗系统
CN202509908U (zh) 一种门用风钩及挖掘机
CN107620561A (zh) 一种检票闸机旋转式扇门机构
AU2013100884A4 (en) Shutter assembly braking system
KR101237044B1 (ko) 향상된 작동 안정성을 갖는 창문용 자동 개폐장치
CN209367626U (zh) 一种电梯开锁机械装置
CN211736833U (zh) 一种电动窗
KR200484451Y1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CN106014056A (zh) 一种平开窗开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