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457B1 -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457B1
KR101186457B1 KR1020110015381A KR20110015381A KR101186457B1 KR 101186457 B1 KR101186457 B1 KR 101186457B1 KR 1020110015381 A KR1020110015381 A KR 1020110015381A KR 20110015381 A KR20110015381 A KR 20110015381A KR 101186457 B1 KR101186457 B1 KR 101186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steel pipe
joint
thin stainless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6155A (ko
Inventor
고지 오하라
히로시 아시다
Original Assignee
오엔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엔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엔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10015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457B1/ko
Publication of KR2012009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서로 관경이 상이한 박육 스테인리스강관을, 범용적인 이음매를 사용해서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는, 경사면(21a, 21b)을 갖는 팽출부(膨出部)(21)가 형성된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과, 팽출부(21)의 경사면(21b)을 단부측으로 압압(押壓) 가능한 경사 압압면(31)을 형성하는 동시에 돌출부(33)를 가지며, 또한, 플랜지부(35)를 갖는 협지부(挾持部)(3)와,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의 단부 외주에 감합(嵌合)하는 감합 내주면(41)을 형성한 감합부(42)를 갖는 동시에, 경사면(21a)에 면하는 측에 제1 패킹(7)과 돌출부(33)를 팽출부(21)와의 사이에 끼워 넣는 제1 보유?유지부(保持部)(43)를 형성하고, 그 외주측에는 패킹 받이부(受部)(44)를 형성한 이음매용 스페이서(4)와, 감합부(42)의 외주에 감합하고 또한 감합부(42)의 단부(42a)와 계합(係合)하는 감합 내주면(51)을 갖는 동시에, 패킹 받이부(44)에 면하는 내주측에 제2 패킹(8)을 끼워 압압하는 제2 보유?유지부(52)를 가지며, 또한, 그 외주측에 플랜지부(55)를 구비하는 이음매(5)와, 플랜지부(35)와 플랜지부(55)를 체부(締付) 연결하는 볼트(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Connecting mechanism for thin stainless steel pipe and joint}
본 발명은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음매와, 그 이음매의 관경과 지름이 상이한 적합하지 않은 관경인 박육 스테인리스강관을 기밀성을 유지하여 접속할 수 있는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박육 스테인리스강관은 내구성 등이 우수한 것으로부터, 급수?급탕?냉온수 배관용을 비롯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 박육 스테인리스강관은, 용도 등에 맞추어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관경을 갖는 것이 준비되어 있으나, 그때, 상기 이음매를 사용하여 관경이 상이한 박육 스테인리스강관을 접속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해서인지, 특허문헌 1에는, 서로 관경이 상이한 2개의 박육 스테인리스강관 등의 관체를 접속하기 위한 이음매가 개시되어 있다. 이 이음매는, 직선 이음매로, 일단이 한쪽 관체의 관경에 적합하도록 구성되고, 타단이 다른 쪽 관체의 관경에 적합하도록 제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상기 이음매는, 서로 관경이 상이한 2개의 관체를 접속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33669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이음매는, 관체의 관경에 적합하도록, 그 단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박육 스테인리스강관에는, 다양한 관경을 갖는 것이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이음매를 사용하여,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많은 종류의 이음매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제조비용, 보관장소 등의 관점에서 상기 이음매를 공급하는 제조자, 및 그것을 사용하는 수요자 모두에게 큰 부담이 되어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음매와, 그 이음매에 적합하지 않은 관경인 박육 스테인리스강관을 기밀성을 유지하여 접속할 수 있음으로써, 서로 관경이 상이한 박육 스테인리스강관을, 범용적인 이음매를 사용하여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는, 단부 외주에 2개의 경사면을 갖는 팽출부(膨出部)가 형성된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그 박육 스테인리스강관의 팽출부의 한쪽 경사면을 단부측으로 압압(押壓) 가능한 경사 압압면을 내주측에 형성하는 동시에, 내측 단면의 내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며, 또한, 외주측에 플랜지부를 갖는 상기 박육 스테인리스강관에 외감(外嵌)한 협지부(挾持部)와, 상기 박육 스테인리스강관의 상기 단부 외주에 감합(嵌合)하는 감합 내주면을 형성한 소정의 두께를 갖는 감합부를 갖는 동시에, 상기 팽출부의 다른 쪽 경사면에 면하는 내주측에 제1 패킹과 상기 돌출부를 상기 팽출부와의 사이에 끼워 넣는 제1 보유?유지부(保持部)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보유?유지부를 설치한 외주측에는 패킹 받이부(受部)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협지부의 내측 단면에 맞닿는 맞닿음면을 구비한 이음매용 스페이서와, 그 이음매용 스페이서의 감합부의 외주에 감합하고 또한 당해 감합부의 단부와 계합(係合)하는 감합 내주면을 갖는 동시에, 상기 패킹 받이부에 면하는 내주측에 제2 패킹을 끼워 압압하는 제2 보유?유지부를 가지며, 또한, 상기 협지부측의 선단에 당해 협지부의 내측 단면에 맞닿는 맞닿음면과 상기 이음매용 스페이서의 선단 외주면과 맞닿는 선단 내주면을 가지며, 또한, 그 외주측에 상기 협지부의 플랜지부와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이음매와, 상기 협지부의 플랜지부와 이음매의 플랜지부를 체부(締付) 연결하는 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의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는, 상기 이음매의 플랜지부가, 상기 협지부측에서 중앙에 볼트 삽통공(揷通孔)을 갖는 전방 플랜지부와, 상방으로부터 중앙으로 이어지는 개구된 장공(長孔)인 볼트 삽통공을 갖는 후방 플랜지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의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는, 상기 후방 플랜지부의 상기 협지부와 반대측 단면에 상기 볼트의 볼트 머리의 회전 방지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의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는, 상기 제1 패킹에, 상기 협지부에 대향하는 면에 1 이상의 돌기물 또는 패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의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는, 상기 제2 패킹에, 상기 협지부에 대향하는 측에 1 이상의 돌기물 또는 패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는, 이음매와, 그 이음매의 관경과 지름이 상이한 관경인 박육 스테인리스강관을, 기밀성을 가지고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접속구조는, 서로 관경이 상이한 박육 스테인리스강관을, 범용적인 이음매를 사용하여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이음매용 스페이서를 사용하고, 그 이음매용 스페이서는, 박육 스테인리스강관의 관경에 따라, 많은 종류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 이음매용 스페이서는, 이음매에 비해, 제조를 저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소형인 것으로부터 보관장소가 작아도 되며, 수송에도 편리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제조자, 및 수요자의 부담은, 이음매를 많은 종류 준비하는 경우에 비해 저감된다. 또한, 본 접속구조는, 협지부의 내측 단면의 내주측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이음매에 감합되는 이음매용 스페이서에 형성된 제1 보유?유지부에 끼워 넣어지기 때문에, 협지부와 이음매의 위치결정이 용이하다. 이것은,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를 접속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킨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협지부의 내측 단면이, 이음매용 스페이서, 및 이음매의 맞닿음면에 맞닿기 때문에, 볼트를 지나치게 조이는 것에 의한 제1 패킹, 및 제2 패킹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는, 이음매의 플랜지부가, 협지부측에서 볼트 삽통공을 갖는 전방 플랜지부와, 상방으로부터 중앙으로 이어지는 개구된 장공인 볼트 삽통공을 갖는 후방 플랜지부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본 접속구조는, 후방 플랜지부의 볼트 삽통공의 상방으로부터 중앙으로 볼트의 축부를 삽입한 후, 밀어 넣음으로써, 전방 플랜지부의 볼트 삽통공에 볼트의 축부를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후방 플랜지부의 길이 상당분량 만큼 작은 공간에서, 볼트의 장착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는, 후방 플랜지부의 협지부와 반대측 단면에, 볼트 머리의 회전 방지구가 구비된다. 그 회전 방지구에 의해 볼트는, 이음매의 플랜지부와, 협지부의 플랜지부의 너트에 의한 체부 연결시에 회전이 규제되기 때문에, 상기 체부 연결에 관한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는, 제1 패킹의 협지부에 대향하는 측에, 1 이상의 돌기물 또는 패임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물 또는 패임은, 제1 패킹을 제1 보유?유지부에 배치할 때, 그 제1 패킹의 표리를 시각이나 촉각에 의해 확인하는 표시가 되기 때문에, 그 제1 패킹의 표리를 잘못해서 제1 보유?유지부에 배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는, 제2 패킹의 협지부에 대향하는 측에, 1 이상의 돌기물 또는 패임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물 또는 패임은, 제2 패킹을 제2 보유?유지부에 배치할 때, 그 제2 패킹의 표리를 시각이나 촉각에 의해 확인하는 표시가 되기 때문에, 그 제2 패킹의 표리를 잘못해서 제2 보유?유지부에 배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접속구조를 적용한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티(T) 이음매의 접속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접속구조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3은 제1 패킹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B1-B2면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볼트의 장착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어서 A방향에서 본 접속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 C방향에서 본 접속구조의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이하, 간단히 「접속구조」라 한다.)(1)는,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 협지부(3), 이음매용 스페이서(4), 이음매(5), 볼트(6)를 주된 구성으로 한다. 접속구조(1)는, 이음매(5)와, 그 이음매(5)에 적합하지 않은 관경인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을 기밀성을 유지하여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은, 스테인리스강으로 되는 관 두께가 0.7 ㎜~3 ㎜인 강관으로서, 그 단부 외주에는, 2개의 경사면(21a, 21b)으로 되는 외부방향으로 원환상(圓環狀)으로 팽출된 팽출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협지부(3)는, 상기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의 단부에 외감되어 있다. 그리고, 이 협지부(3)에는,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의 팽출부(21)의 한쪽 경사면인 경사면(21b)을, 그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의 단부측으로 압압 가능한 경사 압압면(31)이 원환상으로 그 내주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협지부(3)에는, 그 내측 단면(32)의 내주측에, 이음매(5)측으로 돌출된 원환상의 돌출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협지부(3)의 외주측에는, 관통공인 볼트 삽통공(34)을 형성한 플랜지부(3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음매용 스페이서(4)는, 원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의 팽출부(21)보다 선단측의 외주에 감합하는 감합 내주면(41)을 형성한 감합부(42)를 갖는다. 또한, 이음매용 스페이서(4)에는,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의 팽출부(21)의 다른 쪽 경사면(21a)에 면하는 내주측에, 제1 패킹(7)과, 상기 협지부(3)의 돌출부(33)를 팽출부(21)와의 사이에 끼워 넣는 원환상의 제1 보유?유지부(43)가 형성된다. 이 제1 보유?유지부(43)는, 감합 내주면(41)과 접하고 협지부(3)에 대향하는 대향면(43a)과, 이음매용 스페이서(4)의 단부에 걸쳐 구경(口徑)이 작아지도록 경도(傾倒)된 내주면(43b)을 가지고 있으며, 대향면(43a)과 내주면(43b)에 의해, 상기 제1 패킹(7)을 팽출부(21)의 다른 쪽 경사면(21a)에 압압할 수 있다. 또한, 이음매용 스페이서(4)의 상기 제1 보유?유지부(43)의 외주측에는, 패킹 받이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음매용 스페이서(4)에는, 협지부(3)의 내측 단면(32)에 맞닿는 맞닿음면(4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음매(5)는, 상기 이음매용 스페이서(4)의 감합부(42)의 외주에 감합하고, 그 감합부(42)의 단부(42a)와 계합하는 감합 내주면(51)을 갖는다. 또한, 이음매(5)에는, 이음매용 스페이서(4)의 패킹 받이부(44)에 면하는 측에, 제2 패킹(8)을 끼워 압압하는 원환상의 제2 보유?유지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보유?유지부(52)는, 감합 내주면(51)과 접하고 협지부(3)에 대향하는 대향면(52a)과, 이음매(5)의 단부에 걸쳐 구경이 작아지도록 경도된 내주면(52b)을 가지고 있어, 대향면(52a)과 내주면(52b)에 의해, 상기 제2 패킹(8)을 패킹 받이부(44)에 압압할 수 있다. 또한, 이음매(5)에는, 상기 협지부(3)측의 선단에, 협지부(3)의 내측 단면(32)에 맞닿는 맞닿음면(53)과, 상기 이음매용 스페이서(4)의 선단 외주면(46)에 맞닿는 선단 내주면(5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음매(5)에는, 상기 선단 내주면(54)의 외주측에, 협지부(3)의 플랜지부(35)와 서로 대향하고, 전방 플랜지부(55a), 후방 플랜지부(55b)로 되는 플랜지부(5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방 플랜지부(55a)는, 협지부(3)측에 설치되고, 그 중앙에 볼트 삽통공(56)이 관통하고 있다. 상기 후방 플랜지부(55b)는, 협지부(3)와 반대측에 설치되어, 그 상방으로부터 중앙으로 이어지는 개구된 장공인 볼트 삽통공(5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협지부(3)의 상기 플랜지부(35)와, 상기 이음매(5)의 상기 플랜지부(55)는, 볼트 삽통공(34, 56, 57)에 삽통하는 볼트(6)와 너트(9)에 의해 체부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협지부(3)의 경사 압압면(31)은, 상기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의 팽출부(21)의 경사면(21b)을, 그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의 단부측으로 압압한다. 한편, 상기 제1 패킹(7)은, 경사면(21b)이 압압됨으로써,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의 팽출부(21)의 다른 쪽 경사면(21a)에 눌려, 이음매용 스페이서(4)의 제1 보유?유지부(43)의 내면과의 사이에 밀착해서 협지된다.
또한, 상기 설명한, 상기 협지부(3)의 플랜지부(35)와, 상기 이음매(5)의 플랜지부(55)가, 상기 볼트(6)와 상기 너트(9)에 의해 체부 연결됨으로써, 상기 이음매용 스페이서(4)의 감합부(42)의 단부(42a)는, 이음매(5)의 감합 내주면(51)과 계합한다. 상기 제2 패킹(8)은, 감합부(42)의 단부(42a)가 감합 내주면(51)에 계합함으로써, 상기 이음매용 스페이서(4)가 상기 이음매(5) 내로 밀어 넣어짐으로써, 그 이음매용 스페이서(4)의 패킹 받이부(44)에 눌려, 이음매(5)의 제2 보유?유지부(52)의 내면과의 사이에 밀착해서 협지된다. 상기 제1 패킹(7), 및 상기 제2 패킹(8)이 모두, 상기와 같이 밀착해서 협지됨으로써,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과 이음매용 스페이서(4)는, 기밀성을 가진 상태로 접속된다.
여기에서, 제1 패킹(7)은, 고무 등의 탄성체에 의해 구성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환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7면체형상을 가지고 있다. 접속구조(1)를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 이 대략 7면체형상의 일각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1면(71)은, 도 2에 나타내는 상기 협지부(3)의 돌출부(33)에 대향하는 면이다. 마찬가지로, 제2면(72)은, 상기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의 팽출부(21)의 경사면(21a)에 맞닿는 면이고, 제3면(73), 제4면(74)은, 상기 이음매용 스페이서(4)의 제1 보유?유지부(43)를 구성하는 내면에 맞닿는 면이다. 또한, 제2면(72)은, 제4면(74)측으로 돌출된 돌출부(75)를 가지고 있다. 이 돌출부(75)는, 제1 패킹(7)을 구성하는 탄성체의 탄성에 기인하는 부세력(付勢力)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상기 경사면(21a)과 밀착하는 부분으로, 제2면(72)과 그 경사면(21a)의 밀착을 보다 확실히 하기 위해 설치된다. 제2면(72)과 제4면(74) 사이의 제5면(705), 제3면(73)과 제4면(74) 사이의 제6면(706), 제1면(71)과 제3면(73) 사이의 제7면(707)은, 제1 패킹(7)이 압축되었을 때 수축하여 공극(空隙)부분에 위치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면에 밀착된다.
이상과 같이, 제1 패킹(7)은, 제2면(72), 제3면(73), 제4면(74)이 접속구조(1)를 구성할 때, 맞닿는 상대측이 정해져 있어, 이것에 의해,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과 이음매용 스페이서(4)를 접속했을 때의 기밀성의 확보를 확실히 하고 있다. 따라서, 표리를 잘못하여 제1 보유?유지부(43)에 배치한 경우는,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과 이음매(5)의 기밀성을 손상시켜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공사현장의 암소(暗所) 등에 있어서도 표리의 판별이 가능하도록, 제1 패킹(7)에는, 제1면(71)에 돌기물(76)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제1 패킹(7)의 표리는, 작업자의 시각 및 촉각에 의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1면(71)에는, 돌기물(76) 대신에, 도면 이외의 패임을 형성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1면(71)에 형성하는 돌기물(76) 또는 패임의 개수는, 작업자가 표리를 용이하게 식별 가능한 1 이상의 개수이면 된다.
또한, 제1면(71)은,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과 이음매(5)의 기밀성 확보에는 기여하지 않는 면이다. 그 때문에, 제1면(71)에 돌기물(76) 또는 패임을 형성하는 것은,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과 이음매(5)의 기밀성을 확보하는 것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제2 패킹(8)도, 제1 패킹(7)과 지름이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구성된다. 제2 패킹(8)의 제1면은, 도 2에 나타내는 상기 협지부(3)에 대향하는 면으로, 그 표리를 판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돌기물 또는 패임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과 상기 이음매(5)의 기밀성 확보에는 기여하지 않는 면이다. 제2 패킹(8)의 제2면은, 이음매용 스페이서(4)의 패킹 받이부(44)에 맞닿는 면이고, 그 제3면, 제4면은, 이음매(5)의 제2 보유?유지부(52)를 구성하는 내면에 맞닿는 면이다. 또한, 제2 패킹(8)의 제2면이 갖는 제4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는, 제2 패킹(8)을 구성하는 탄성체의 탄성에 기인하는 부세력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상기 패킹 받이부(44)와 밀착하는 부분으로, 상기 제2면과 그 패킹 받이부(44)의 밀착을 보다 확실하게 하는 것이다. 제2면과 제4면 사이의 제5면, 제3면과 제4면 사이의 제6면, 제1면과 제3면 사이의 제7면은, 제2 패킹(8)이 압축되었을 때 수축하여 공극부분에 위치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면에 밀착된다.
여기에서, 현장에서의 작업에 있어서는, 상기 협지부(3)에 상기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을 삽입함으로써, 그 협지부(3)를 그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의 단부에 외감시킨다. 또한, 상기 이음매(5)의 제2 보유?유지부(52)에 상기 제2 패킹(8)을 끼워 넣고나서, 상기 이음매용 스페이서(4)의 감합부(42)가, 이음매(5)의 감합 내주면(51)에 감합하도록, 그 이음매용 스페이서(4)를 그 이음매(5)에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제2 패킹(8)은, 이음매(5)의 제2 보유?유지부(52)와 이음매용 스페이서(4)의 패킹 받이부(44) 사이에 수납된 상태가 된다. 그 후, 이음매용 스페이서(4)의 제1 보유?유지부(43)에, 상기 제1 패킹(7)을 끼워 넣고나서,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의 단부를, 이음매용 스페이서(4)의 감합 내주면(41)에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협지부(3)의 플랜지부(35)와 이음매(5)의 플랜지부(55)가 서로 대향하고, 또한, 이음매용 스페이서(4)의 제1 보유?유지부(43)와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의 팽출부(21) 사이에, 제1 패킹(7)과 협지부(3)의 돌출부(33)가 수납된 경우가 된다. 또한, 이음매용 스페이서(4)의 맞닿음면(45), 및 이음매(5)의 맞닿음면(53)이, 협지부(3)의 내측 단면(32)에 대향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6)와 볼트 머리(61)가, 이음매(5)의 플랜지부(55)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6)가, 축부(62)를 아래쪽 방향으로 경도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 플랜지부(55b)의 볼트 삽통공(57)의 상방으로부터 중앙으로 삽입된다(화살표 가). 다음으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6)의 축부(62)의 선단이, 상기 전방 플랜지부(55a)의 볼트 삽통공(56)에 마주보도록 방향을 바꿀 수 있다(화살표 나). 이 상태에서,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 머리(61)가, 상기 후방 플랜지부(55b)의 상기 협지부(3)의 플랜지부(35)와 반대측 면에 맞닿을 때까지 이동될 수 있다(화살표 다). 이것에 의해, 볼트(6)의 축부(62)는, 볼트 삽통공(56, 57) 및, 상기 협지부(3)의 플랜지부(35)에 설치되는 볼트 삽통공(34)에 삽입되고, 그 선단이 상기 볼트 삽통공(34)보다 돌출되기 때문에, 너트(9)에 의해 체부 고정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플랜지부(55a), 상기 후방 플랜지부(55b) 사이에는, 가이드부(58a, 58b)가 설치된다. 이들 가이드부(58a, 58b)는, 상기 볼트(6)의 축부(62)를 볼트 삽통공(56) 등에 삽입하기 위해 볼트(6)를 이동할 때의 가이드로서 사용되어, 그 삽입에 관한 작업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접속구조(1)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볼트(6)를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접속구조에 있어서의 볼트(6)의 삽입은,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6)의 축부(62)를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플랜지부(55)로 밀어 넣고 행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분지부분의 좁은 장소에 있어서도 커다란 공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접속구조(1)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공간절약 분량만큼, 종래의 일반적인 접속구조에 비해, 볼트(6)의 삽입작업에 필요한 공간을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접속구조(1)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음매(5)를 티(T) 이음매로 한 경우의 그 분지부분의 내주측 등에 있어서도, 볼트(6)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후방 플랜지부(55b)의 협지부(3)와 반대측 면에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평행한 돌기로 되는 회전 방지구(59a, 59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은, 볼트(6)를 배치할 때에 있어서, 볼트(6)의 육각의 볼트 머리(61) 외주의 대향하는 2면이 맞닿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볼트(6)는, 상기 상태에 있어서 회전하려고 해도, 당해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본 접속구조(1)에 있어서는, 너트(9)를 장착할 때, 좁은 내주측에 있어서 공구 등에 의해 볼트(6)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 불필요해져, 작업성은 추가적으로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접속구조(1)는, 이음매용 스페이서(4) 등을 사용함으로써, 박육 스테인리스강관(102)과 적합한 이음매(5)와, 박육 스테인리스강관(102)보다 관경이 좁아, 그 이음매(5)에 적합하지 않은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을, 기밀성을 가지고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이음매용 스페이서(4)의 감합부(42)가 이음매(5)의 감합 내주면(51)에,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의 단부 외주가 이음매용 스페이서(4)의 감합 내주면(41)에, 각각 감합하기 때문에,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과 이음매용 스페이서(4)를 강고하게 접속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접속구조(1)를 적용함으로써, 범용적인 이음매(5)를 사용해서, 서로 관경이 상이한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과 박육 스테인리스강관(102)을 기밀성을 가지고 접속할 수 있다. 즉, 본 접속구조(1)를 적용한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박육 스테인리스강관의 관경에 적합하도록 복수 종의 단부가 설치된 특별 이음매를 준비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이음매를 공급하는 제조자, 및 그것을 사용하는 수요자의 부담은, 상기 특별 이음매를 준비할 필요가 있었던 종래기술을 적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대폭 저감된다.
또한, 접속구조(1)에 있어서는, 협지부(3)의 돌출부(33)가, 이음매(5) 내에 배치되는 이음매용 스페이서(4)의 제1 보유?유지부(43)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협지부(3)와 이음매(5)는, 그 협지부(3)의 플랜지부(35)와 그 이음매(5)의 플랜지부(55)를, 볼트(6), 너트(9)에 의해 체부 연결하기 전에 위치 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체부 연결작업은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접속구조(1)는, 제1 보유?유지부(43)가, 협지부(3)에 대향하는 대향면(43a)과, 이음매용 스페이서(4)의 단부에 걸쳐 구경이 작아지도록 경도된 내주면(43b)에 의해, 제2 보유?유지부(52)가, 협지부(3)에 대향하는 대향면(52a)과, 이음매(5)의 단부에 걸쳐 구경이 작아지도록 경도된 내주면(52b)에 의해, 각각 구성된다. 제1 패킹(7), 제2 패킹(8)은, 각각 제1 보유?유지부(43), 제2 보유?유지부(52) 내에 배치한 후, 그 외주방향으로 확장하고자 하는 탄력성에 의해, 각각 상기 내주면(43b, 52b)에 밀착되기 때문에, 각각 작업중의 제1 보유?유지부(43), 제2 보유?유지부(52)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접속구조(1)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패킹(7) 및 제2 패킹(8)의 제1면에 돌기물 등을 형성함으로써, 제1 패킹(7) 및 제2 패킹(8)의 표리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다. 또한, 이음매(5)의 플랜지부(55)를, 전방 플랜지부(55a), 후방 플랜지부(55b)에 의해 구성하고, 후방 플랜지부(55b)에 상방으로부터 중앙으로 개구되어 있는 볼트 삽통공(57)을 설치함으로써, 볼트(6)를 종래기술에 비해 작은 공간에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접속구조(1)의 특징은, 현장에 있어서의 박육 스테인리스강관(2)과 이음매(5)의 접속에 관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기여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접속구조(1)는, 본 발명의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의 일태양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있어서, 이음매(5)는 티(T) 이음매로서 나타내고 있으나, 이음매(5)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직선 이음매, 엘보우 이음매, 크로스 이음매 등, 기타 형상의 이음매(5)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접속구조(1)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는,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를 접속하는 접속구조에 적용할 수 있다.
1 접속구조
2 박육 스테인리스강관
3 협지부(挾持部)
4 이음매용 스페이서
5 이음매
6 볼트
7 제1 패킹
8 제2 패킹
21 팽출부(膨出部)
21a 경사면
21b 경사면
31 경사 압압면(押壓面)
32 내측단면
33 돌출부
34, 56, 57 볼트 삽통공(揷通孔)
35, 55 플랜지부
42 감합부(嵌合部)
42a 단부
43 제1 보유?유지부(保持部)
43b, 52b 내주면
44 패킹 받이부(受部)
51 감합 내주면
52 제2 보유?유지부
55a 전방 플랜지부
55b 후방 플랜지부
71 제1면
76 돌기물

Claims (5)

  1. 단부 외주에 2개의 경사면을 갖는 팽출부(膨出部)가 형성된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그 박육 스테인리스강관의 팽출부의 한쪽 경사면을 단부측으로 압압(押壓) 가능한 경사 압압면을 내주측에 형성하는 동시에, 내측 단면의 내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며, 또한, 외주측에 플랜지부를 갖는 상기 박육 스테인리스강관에 외감(外嵌)한 협지부(挾持部)와,
    상기 박육 스테인리스강관의 상기 단부 외주에 감합(嵌合)하는 감합 내주면을 형성한 소정의 두께를 갖는 감합부를 갖는 동시에, 상기 팽출부의 다른 쪽 경사면에 면하는 내주측에 제1 패킹과 상기 돌출부를 상기 팽출부와의 사이에 끼워 넣는 제1 보유?유지부(保持部)를 형성하고, 그 제1 보유?유지부를 설치한 외주측에는 패킹 받이부(受部)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협지부의 내측 단면에 맞닿는 맞닿음면을 구비한 이음매용 스페이서와,
    그 이음매용 스페이서의 감합부의 외주에 감합하고 또한 당해 감합부의 단부와 계합(係合)하는 감합 내주면을 갖는 동시에, 상기 패킹 받이부에 면하는 내주측에 제2 패킹을 끼워 압압하는 제2 보유?유지부를 갖고, 또한, 상기 협지부측의 선단에 당해 협지부의 내측 단면에 맞닿는 맞닿음면과 상기 이음매용 스페이서의 선단 외주면과 맞닿는 선단 내주면을 가지며, 또한, 그 외주측에 상기 협지부의 플랜지부와 서로 대향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이음매와,
    상기 협지부의 플랜지부와 이음매의 플랜지부를 체부(締付) 연결하는 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의 플랜지부가, 상기 협지부측에서 중앙에 볼트 삽통공을 갖는 전방 플랜지부와, 상방으로부터 중앙으로 이어지는 개구된 장공(長孔)인 볼트 삽통공을 갖는 후방 플랜지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플랜지부의 상기 협지부와 반대측 단면에 상기 볼트의 볼트 머리의 회전 방지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킹에, 상기 협지부에 대향하는 면에 1 이상의 돌기물 또는 패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킹에, 상기 협지부에 대향하는 측에 1 이상의 돌기물 또는 패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
KR1020110015381A 2011-02-22 2011-02-22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 KR101186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381A KR101186457B1 (ko) 2011-02-22 2011-02-22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381A KR101186457B1 (ko) 2011-02-22 2011-02-22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155A KR20120096155A (ko) 2012-08-30
KR101186457B1 true KR101186457B1 (ko) 2012-09-27

Family

ID=46886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381A KR101186457B1 (ko) 2011-02-22 2011-02-22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4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0681A (ja) 1999-02-10 2000-08-22 On Kogyo Kk 薄肉ステンレス鋼管と継手の接続構造
KR100899598B1 (ko) 2008-10-17 2009-05-26 주식회사 퍼팩트 플랜지 소켓 일체형 맨홀 관접속장치
KR101011018B1 (ko) 2010-10-06 2011-01-26 (주)홍일산업 밀림방지와 삽입 후 분리 방지 패킹용 상하수도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0681A (ja) 1999-02-10 2000-08-22 On Kogyo Kk 薄肉ステンレス鋼管と継手の接続構造
KR100899598B1 (ko) 2008-10-17 2009-05-26 주식회사 퍼팩트 플랜지 소켓 일체형 맨홀 관접속장치
KR101011018B1 (ko) 2010-10-06 2011-01-26 (주)홍일산업 밀림방지와 삽입 후 분리 방지 패킹용 상하수도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155A (ko)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2118B2 (ja) 食い込み式管継手、冷凍装置及び温水装置
JP4939826B2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CA2825807A1 (en) Pipe joint
JP4537224B2 (ja) 振動吸収可撓継手
CA2916044A1 (en) Joint for high-pressure pipes and joint structure
JP6026122B2 (ja) シールワッシャ及び流体管フランジ部の締結方法
JP2010019298A (ja) 継手
JP2009168075A (ja) 管継手構造及び管接続方法
JP4947706B2 (ja) 管継手
KR101186457B1 (ko) 박육 스테인리스강관과 이음매의 접속구조
JP2012072910A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JP2008190648A (ja) 管継手
JPWO2018062431A1 (ja) 管継手及び継手連結装置
JP4564427B2 (ja) 金属管と管継手との接続構造
JP2014111973A (ja) 継手用治具
JP6867642B2 (ja) 継手及び該継手へのパイプの接続方法
JP2007170658A (ja) 管継手
JP5181301B2 (ja) 薄肉ステンレス鋼管と継手との接続構造
JP5836340B2 (ja) 流体管フランジ部の締結方法及び配管補強具
JP4740219B2 (ja) パイプの連結構造
JP6157577B2 (ja) シール部材及び水道管フランジ部の締結方法
TWI398589B (zh) Construction of Thin - walled Stainless Steel Pipe and Joint
JP2021014913A (ja) プレス式管継手
JP2011202790A (ja) 樹脂配管の樹脂配管用継手への接続方法及び樹脂配管用継手
US8191934B1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in wall stainless steel pipe and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