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714B1 -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714B1
KR101184714B1 KR1020050125404A KR20050125404A KR101184714B1 KR 101184714 B1 KR101184714 B1 KR 101184714B1 KR 1020050125404 A KR1020050125404 A KR 1020050125404A KR 20050125404 A KR20050125404 A KR 20050125404A KR 101184714 B1 KR101184714 B1 KR 101184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film
forming
contact hole
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4855A (ko
Inventor
송병수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5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714B1/ko
Publication of KR20070064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3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9Copper [C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드가 형성될 패드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균일한 두께의 패시베이션막을 잔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드영역에 잔류하는 폴리머로 인해 패키지 공정시 본딩 특성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국부적으로 금속배선이 개재된 하부층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배선을 포함한 상기 하부층 상에 패시베이션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시베이션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패드가 형성될 패드영역에 상기 금속배선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컨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컨택홀을 포함한 상기 패시베이션막 상부의 단차를 따라 상기 패드를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컨택홀을 매립시키는 감광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광막을 이용한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패드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상기 패드를 식각하는 단계와, 상기 감광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패드, 금속배선, 포토 마스크공정, 전면식각, 알루미늄.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METHOD FOR FORMING PAD IN SEMICONDUCTOR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패드 형성공정이 완료된 반도체 소자를 도시한 SEM 사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을 도시한 공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층
11 : 금속배선
12 : 하부 질화막
13 : 산화막
14 : 상부 질화막
15 : 패시베이션막
16 : 감광막 패턴
17 : 식각공정
18 : 컨택홀
19 : 베리어막
20 : 패드
21 : 감광막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리배선을 갖는 0.13㎛급 반도체 소자의 알루미늄(Al) 패드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높은 집적도와 고속의 동작속도를 요구하는 로직(Logic) 소자의 경우, 동작속도 개선을 위해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 감소와 게이트의 크기 감소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 감소 및 게이트 크기를 감소하여 로직 소자의 동작속도를 개선하는 정도보다는, 로직 소자에 들어가는 배선의 저항을 줄이거나 층간절연막의 기생 캐패시턴스(Parasitic Capacitanc)를 감소시킴으로써 로직 소자의 동작속도를 개선하는 정도가 더욱 크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 다마신(Damascene) 기법을 이용한 구리(Copper) 배선의 적용이다. 특히, 0.13㎛급 반도체 소자에서는 주로 다마신 기법을 이용한 구리 배선을 배선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구리 배선은 배선을 형성한 후 진행되는 패키지(Package) 공정시 패키지가 되지 않아 패드로 이용되는 영 역의 배선은 알루미늄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패드 형성공정이 진행된 후의 반도체 소자를 도시한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패드 형성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로 한다.
기존에는 패드를 형성하기 위하여 두번에 걸친 포토 마스크공정을 진행해야 한다. 예컨대, 구리 배선(M8)과 알루미늄 패드(AL Pad)를 연결하기 위해 진행되는 제1 포토 마스크공정과 패드가 형성될 패드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알루미늄 배선을 식각하기 위해 진행되는 제2 포토 마스크공정을 각각 별도로 진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패드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패시베이션막 두께가 균일하지 않아('B' 부위 참조) 패키지 공정 진행 후 캐패시턴스가 불균일한 특성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동작 칩(Chip)이 불안정한 특성을 보이게 된다. 또한, 알루미늄 패드(AL Pad) 상부('A' 부위 참조)에 폴리머(Polymer)가 잔류하여 패키지 공정 진행시 본딩(Bonding) 특성을 열화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패드가 형성될 패드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균일한 두께의 패시베이션막을 잔류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드영역에 잔류하는 폴리머로 인해 패키지 공정시 본딩 특성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국부적으로 금속배선이 개재된 하부층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배선을 포함한 상기 하부층 상에 패시베이션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시베이션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패드가 형성될 패드영역에 상기 금속배선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컨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컨택홀을 포함한 상기 패시베이션막 상부의 단차를 따라 상기 패드를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컨택홀을 매립시키는 감광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광막을 이용한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패드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상기 패드를 식각하는 단계와, 상기 감광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택홀을 매립시키는 감광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택홀이 매립되도록 상기 패드 상에 상기 감광막을 도포하는 단계와, 전면식각공정을 통해 상기 패드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감광막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드를 증착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컨택홀을 포함한 상기 패시베이션막 상부의 단차를 따라 베리어막을 증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드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상기 패드를 식각하는 단계는 상기 베리어막과 상기 패드 간의 식각선택비 차 이를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막은 Ta막 또는 Ti막으로 형성하고, 상기 패드는 알루미늄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감광막을 제거하는 단계는 O2 플라즈마를 이용한 세정공정을 실시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막은 질화막 및 산화막을 조합하여 형성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질화막/산화막/질화막의 적층구조로 형성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전면식각공정을 통해 패드영역의 컨택홀만을 매립시키는 감광막을 형성한 후 이 감광막을 이용하여 패드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패드를 식각하여 패드를 형성함으로써, 패드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패드를 식각하기 위해 진행되는 포토 마스크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은, 포토 마스크 공정이 아닌 전면식각공정을 통해 패드영역에 형성된 감광막을 마스크로 이용하는 동시에 베리어막과 패드 간의 식각선택비 차이를 이용하는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패드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패드를 제거함으로써, 패드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균일한 두께로 패시베이션막을 잔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캐패시턴스 값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패드영역에 폴리머가 잔류하지 못하도록 하여 패키지 공정 진행시 본딩 특성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실시예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을 도시한 공정단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부적으로 금속배선(11)이 개재된 하부층(10) 상에 패시베이션막(15)을 형성한다. 이때, 하부층(10)은 소정의 반도체 소자의 제조공정을 통해 형성된 소정의 반도체 구조물층로서, 절연막, 도전층, 반도체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패시베이션막(15)은 산화막과 질화막을 조합하여 형성하는데, 질화막(12; 이하, 하부 질화막이라 함)/산화막(13)/질화막(14; 이하, 상부 질화막이라 함)이 적층된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하부 질화막(12)은 1000Å의 두께로 증착하고 산화막(13) 및 상부 질화막(14)은 각각 4000Å의 두께로 증착한다. 이때, 하부 질화막(12)은 금속배선(11)의 물질이, 예컨대 구리가 패시베이션막(15) 내부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확산방지막으로 사용된다. 또한, 산 화막(13) 및 상부 질화막(14)은 칩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배선(11)과 후속공정을 통해 형성될 패드(20, 도 4 참조)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 먼저 포토 마스크 공정을 통해 패드가 형성될 패드영역의 패시베이션막(15)을 오픈시키는 구조의 감광막 패턴(16)을 형성한다. 예컨대, 패시베이션막(15) 상에 감광막(미도시)을 도포한 후, 포토 마스크(미도시)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공정을 실시하여 감광막 패턴(16)을 형성한다.
이어서, 감광막 패턴(16)을 식각 마스크(mask)로 이용한 식각공정(17)을 실시하여 패드영역의 패시베이션막(15)을 식각함으로써, 패드영역에 금속배선(11)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컨택홀(18)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Strip) 공정을 실시하여 감광막 패턴(16, 도 3 참조)을 제거한다.
이어서, 컨택홀(18, 도 3 참조)을 포함한 패시베이션막(15) 상부의 단차를 따라 베리어막(19) 및 패드(20)를 순차적으로 증착한다. 예컨대, 베리어막(19)은 Ta막 또는 Ti막을 증착하고, 패드(20)는 알루미늄(Al)을 증착한다. 바람직하게는, 베리어막(19)은 Ta막을 300Å의 두께로 증착하고, 패드(20)는 알루미늄을 8000Å의 두께로 증착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홀(18, 도 3 참조)이 매립되도록 패드(20) 상에 감광막(21)을 도포한다. 이때, 감광막(21)은 1.5㎛정도의 I-Line 감광막을 도포한다.
이어서, 별도의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바로 전면식각공정(Etch-back) 을 실시하여 패드(20) 상부가 노출될때까지 감광막(21)을 식각한다. 이로써, 패드영역의 컨택홀(18, 도 3 참조)만을 매립시키는 감광막(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패드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패드(20)를 식각하기 위해 진행되는 포토 마스크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영역을 덮는 구조의 감광막(21)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한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패드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패드(20) 및 베리어막(19)을 식각한다. 이때, 식각공정은 패시베이션막(15)의 상부 질화막(14)이 500Å의 두께만큼 식각되도록 실시한다.
특히, 식각공정은 패드(20)와 베리어막(19)을 이루는 물질 간의 식각선택비 차이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패드(20) 물질인 Al과 베리어막(19) 물질인 Ta의 식각선택비 차이를 이용하여 먼저 베리어막(19) 상부가 노출되도록 패드(20)를 식각한 후, 다시 Al과 Ta의 식각선택비 차이를 이용하여 베리어막(19)을 식각한다. 따라서, 균일한 두께로 패시베이션막(15)을 잔류시켜 캐패시턴스 값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패시베이션막(15)의 두께가 균일함에 따라 패드(20) 상부에 폴리머가 잔류하지 못하므로 패키지 공정 진행시 본딩 특성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O2 플라즈마(Plasma) 방식을 이용한 세정공정(Cleaning)을 실시하여 감광막(21, 도 6 참조)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 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식각공정을 통해 패드영역의 컨택홀만을 매립시키는 감광막을 형성한 후 이 감광막을 이용하여 패드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패드를 식각하여 패드를 형성함으로써, 패드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패드를 식각하기 위해 진행되는 포토 마스크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공정을 단순화하여 원가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은, 포토 마스크 공정이 아닌 전면식각공정을 통해 패드영역에 형성된 감광막을 마스크로 이용하는 동시에 베리어막과 패드 간의 식각선택비 차이를 이용하는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패드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패드를 제거함으로써, 패드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균일한 두께로 패시베이션막을 잔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패키지와 금속배선 사이의 캐패시턴스 값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패드영역에 폴리머가 잔류하지 못하도록 하여 패키지 공정 진행시 본딩 특성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도체 칩의 안정적인 특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국부적으로 금속배선이 개재된 하부층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금속배선을 포함한 상기 하부층 상에 패시베이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시베이션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패드가 형성될 패드영역에 상기 금속배선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컨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컨택홀을 포함한 상기 패시베이션막 상부의 단차를 따라 상기 패드를 증착하는 단계;
    상기 컨택홀을 매립시키는 감광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감광막을 이용한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패드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상기 패드를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감광막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홀을 매립시키는 감광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택홀이 매립되도록 상기 패드 상에 상기 감광막을 도포하는 단계; 및
    전면식각공정을 통해 상기 패드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감광막을 식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드를 증착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컨택홀을 포함한 상기 패시베이션막 상부의 단차를 따라 베리어막을 증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상기 패드를 식각하는 단계는 상기 베리어막과 상기 패드 간의 식각선택비 차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막은 Ta막 또는 Ti막으로 형성하고, 상기 패드는 알루미늄으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막을 제거하는 단계는 O2 플라즈마를 이용한 세정공정을 실시하는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막은 질화막 및 산화막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막은 질화막/산화막/질화막의 적층구조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
KR1020050125404A 2005-12-19 2005-12-19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 KR101184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404A KR101184714B1 (ko) 2005-12-19 2005-12-19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404A KR101184714B1 (ko) 2005-12-19 2005-12-19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855A KR20070064855A (ko) 2007-06-22
KR101184714B1 true KR101184714B1 (ko) 2012-09-20

Family

ID=38364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404A KR101184714B1 (ko) 2005-12-19 2005-12-19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7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113B1 (ko) * 2014-03-28 2021-01-2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관통 전극을 갖는 반도체 소자,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1954A (ja) 1982-12-28 1984-07-14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030092254A1 (en) 2001-02-09 2003-05-15 Walker George F. Common ball-limiting metallurgy for I/O sit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1954A (ja) 1982-12-28 1984-07-14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030092254A1 (en) 2001-02-09 2003-05-15 Walker George F. Common ball-limiting metallurgy for I/O si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855A (ko) 200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3193B2 (en) Non-hierarchical metal layers for integrated circuits
JP4347637B2 (ja) トレンチ側壁のバッファー層を使用して半導体装置用金属配線を形成する方法及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装置
US6989577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multiple insulation layers
KR100571417B1 (ko) 반도체 소자의 듀얼 다마신 배선 및 그 제조 방법
JP2004214594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231753A (ja) 半導体素子のボンディング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10175117A1 (en) Metal lea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91051B1 (ko) 반도체 디바이스 및 본드 패드 형성 프로세스
KR100853098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및 이의 제조 방법
US7553759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101184714B1 (ko)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방법
JPH1018959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473631B2 (en) Method of forming contact holes in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first and second metal layers
US7241684B2 (en) Method of forming metal wiring of semiconductor device
KR100548527B1 (ko)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668221B1 (ko) Mim 캐패시터 형성 방법
KR100866687B1 (ko) 퓨즈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JP2007027234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70390B1 (ko) 에스램소자 제조시 다마신을 이용한 국부배선 스페이스최소화방법
KR100390458B1 (ko) 반도체소자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KR100284302B1 (ko) 반도체소자의금속배선형성방법
US20050142860A1 (en) Method for fabricating metal wirings of semiconductor device
KR100835428B1 (ko) 퓨즈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193889B1 (ko) 반도체 소자의 비아홀 형성방법
KR100887019B1 (ko) 다중 오버레이 마크를 갖는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