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501B1 - 레일용 차량의 중앙 완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레일용 차량의 중앙 완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501B1
KR101184501B1 KR1020067025417A KR20067025417A KR101184501B1 KR 101184501 B1 KR101184501 B1 KR 101184501B1 KR 1020067025417 A KR1020067025417 A KR 1020067025417A KR 20067025417 A KR20067025417 A KR 20067025417A KR 101184501 B1 KR101184501 B1 KR 101184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shaft
connector
housing
force
rubbe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9248A (ko
Inventor
크리스티안 라데바겐
Original Assignee
보이트 투르보 샤르펜베르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이트 투르보 샤르펜베르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이트 투르보 샤르펜베르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09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7/00Details or accessories
    • B61G7/14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7/00Details or accessories
    • B61G7/10Mounting of the couplings on the vehicle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용 차량의 중앙 완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결 축(1) 및 베어링 브라켓(4)을 포함하는 연결기(2)를 구비하며, 연결 축(1)의 후단(3)은 연결기(2)에 연결되며, 연결기(2)의 베어링 브라켓(4)을 통해 레일용 차량의 차량 몸체와 연결되어 수평하기 피봇 회전하고, 충격 흡수부(5, 8)가 연결기(2)에 제공되며, 상기 충격 흡수부(5, 8)는 한정된 임계 충격력 이상의 힘이 연결 축(1)을 통해 상기 연결기(2)로 전달되는 것에 의해 연결기(2) 및 연결 축(1) 간의 연결을 분리하고 연결 축(1)은 연결기(2)로 전달되는 힘의 흐름으로부터 최소한 부분적으로 제거된다.

Description

레일용 차량의 중앙 완충 연결장치 {Central Buffer Coupling for Rail Vehicle}
본 발명은 레일용 차량의 중앙 완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중앙 완충 연결장치는 연결 축 및 베어링 브라켓을 구비하는 연결기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축의 후단은 연결기와 연결되고 연결기의 베어링 브라켓을 경유하여 상기 레일용 차량의 차 몸체와 결속되어 수평하게 피봇 회전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커플링 배합은 레일관련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중 멤버의 열차 구조에서 인접한 2개의 차량 몸체 간에 힘이 가변하는 기계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열차 구조가 회전 구간을 통과하는 경우, 연결 축은 피봇 회전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기(drawgear)는 결속된 연결바(drawbar)가 축 방향 회전뿐만 아니라 수평 및 수직 스윙 운동도 달성하도록 할 수 있다. 견고하게 지지되는 연결 장치에서는, 차량 연결 과정 또는 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 및 진동에 의해 차량 또는 연결 구조의 손상을 초래할 수가 있다.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러한 충격, 진동 및 기타 과도한 변화량의 전달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이러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인장/충격 장치(tension/shock device) 등과 같은 탄성 완화 수단(elastic cushioning means)를 포함하는 커플링 배합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연결장치는 인장/충격 장치를 포함하는 베어링 브라켓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장/충격 장치는 베어링 브라켓을 통해 차량의 하부 프레임까지 한정된 양의 견인력 또는 압축력을 탄성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장치의 목적은 탄성 변형을 이용한 에너지 흡수이며 하부 프레임의 과다 부하를 피하는 것이다.
다단계(multistage) 에너지 흡수 장치의 사용은 이미 레일 차량 기술에서 알려져 있다. 가변적(reversible) 에너지 흡수 장치도 일반적으로 최초 단계에서 연결기의 인장/충격 장치 또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의 연결 축에서의 연결 스프링과 같이 구성되며, 운행(traveling)이나 전철(shunting), 결합(coupling)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그 다음, 과도한 충격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2차 에너지 흡수 장치는 각 차량의 마주하는 측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에너지 흡수 장치는 전철(shunting)시 발생하는 충격 에너지의 전환이 두 전이 과정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최초 단계는 상기 중앙 완충 연결장치에서 융화되며, 그 다음 단계는 하중이 가해지는 차량 몸체 구조로 전이된다.
마찰 부재와 같이, 연결장치에 제공된 에너지 흡수장치의 한도를 벗어난 후 커플링 배합(coupling arrangement)에서 소정의 파단 포인트에 의해서 잔여 에너지를 차량 몸체의 에너지 흡수 부재로 전환하는 접근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연결 헤드(coupler head)를 갖는 연결 축이 과도한 힘에 의해서 상기 커플링 배합을 통해 전달되는 힘의 흐름(power flow)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차 량 몸체의 충격 및 차량 몸체에서 에너지 흡수 부재의 사용을 인정하는 것을 가정한다. 연결 헤드를 갖는 연결 축은 소정의 파단 포인트에서 연결 장치가 파괴(shear off)되어 힘의 흐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커플링 배합이 일부러 차량의 하부 프레임에 제공되는 영역으로 후퇴할 수 있다. 연결 장치에서 파단 기능은 일반적으로 연결 축 자체가 연결기 또는 베어링 브라켓 및 차량 하부 프레임에서 외부 파단 부재를 경유하는 연결부(articulation)에 부착되도록 하여 제공될 수 있다. 베어링 브라켓에서 이런 설계는 외부 파단 부재를 갖는 차량 몸체의 하부 프레임에 부가되지만, 대응 구멍(opening)이 차량 몸체의 고정판(fixing plate)을 기준으로 후측에 있는 베어링 브라켓의 접촉면에 제공되며, 상기 대응 구멍은 외부의 파단 부재를 상기 후측에서 차량 몸체의 하부 프레임에 부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연결기 및 상기 연결기의 베어링 브라켓이 차량 몸체에서 각각 마주하는 면에 장착된다. 이는 외부의 파단 요소(external shearing element)의 장착이 매우 복잡하고 큰 비용의 과정으로 만들 수 있다. 더구나, 상당히 큰 구멍은 차량 몸체의 고정판에 필수로 제공되어야 한다. 동일한 어려움은 연결기 및 연결기의 베어링 브라켓이 차량 몸체의 고정판에 직접 장착되지 않더라도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레일용 차량을 위한 중앙 완충 연결장치에서 연결기(102)의 사시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연결기(102)를 측단면으로 도시한다. 상기 연결기(102)는 고무 탄성 부재를 구비한 인장/충격 흡수장치(110)가 연결기(102) 내에 장착된 중앙 완충 연결장치의 일부이다. 여기서 소정의 범위에서 견입력 또 는 압축력을 흡수하기 위한 고무 탄성 부재가 제공된다. 그 결과, 이송 도중 차량 간에 발생하는 견인력 또는 압축력은 흡수된다. 그러나, 차량이 장애물에 충돌하는 경우와 같이 가해지는 하중이 과도하면, 연결기(102)에 제공되는 인장/충격 흡수장치(110)에 의한 에너지 흡수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과도한 충격 에너지가 차량의 하부 프레임에 직접 전이되지 않을 것이며, 과도한 짐을 이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연결기(102)의 베어링 브라켓(104)은, 외부 파단 부재(108)에 의해서, 차량 몸체 또는 차량 몸체의 하부 프레임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차량 몸체의 하부 프레임 상에서 장착된 상태에 있는 도 1의 연결기(102)의 상면에 도 3에 표현된다. 외부의 파단 요소들(108)은 인장/충격 흡수장치(110)에 과한 충격에 대응하며, 상기 파단 요소들은 고정 부재로서의 제 기능을 잃을 수 있으며 전체 연결 조립체는 전이된 힘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된다.
연결기(102)의 베어링 브라켓(104)을 차량의 하부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큰 구멍(107)이 차량 몸체의 고정판(117)에 형성되어야 하는 단점 외에도, 도 3에 도시된 구조는 고정판(117)의 후면으로부터 외부의 파단 요소(108)를 갖는 차량 몸체에 베어링 브라켓(104)이 부가되는 단점을 더 포함한다. 보기 대차(bogie)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이유와 같이, 후면에서 연결기를 볼트 고정하는 것이 불가능한 연결 조립체는 연결장치의 파단 구조를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타입의 중앙 완충 연결장치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충돌과 같이 과도한 충격 에너지가 발생하는 경우 연결된 연결장치가 파손(truncated)되며, 힘의 흐름을 연결장치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연결장치의 후방에 장착된 외부의 파단 부재 없이도 각 차량 몸체의 에너지 흡수 부재는 인접한 차량 몸체 간에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연결기 자체가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여, 소정의 최대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이 연결 축을 통해 연결기로 전달될 때, 그 충격 흡수부에서 연결기 및 연결 축 간의 연결이 분리되고, 연결 축이 연결기로 전달되는 힘의 흐름에서 부분적으로 제거되도록 할 수 있는 상술한 타입의 레일용 차량의 중앙 완충 연결장치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종래 및 상술한 레일용 차량의 기술 분야의 중앙 완충 연결장치 이상의 실질적인 장점들을 갖고 있다. 연결기 내부에 충격 흡수부를 제공함으로써, 연결 축에서 연결기로 과도한 특정 힘이 전달되는 것에 대응할 수 있으며, 연결기 및 연결 축 간의 연결이 분리되어 연결 축이 연결기로 전달되는 힘의 흐름으로부터 제거되도록 할 수가 있으며, 각 차량 몸체에 제공되는 에너지 흡수 부재들은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이는 한계에 대응하는 에너지를 예측할 수 있으며, 특히 예측할 수 있는 에너지 흡수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연결기 자체에 충격 흡수부를 장착하는 것은 외부의 파단 부재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베어링 브라켓을 차량 몸체의 연결기에 부가할 수 있으며, 충격 흡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플링 배합으로, 베어링 브라켓이 고정판의 후측에서 파단 부재를 갖는 차량 몸체로 장착되도록, 차량 몸체의 고정판에 베어링 브라켓이 통과할 수 있는 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대신 연결기의 베어링 브라켓이 고정판의 전측(front side)에서 차량 몸체에 직접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일 예로 중앙 완충 연결장치에서 차량 몸체의 베어링 브라켓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갖는 충격 흡수부가 제공되며, 연결 축의 적어도 일부가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 의해서 눌려지고 힘의 흐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브라켓에 형성된 개구부는 연결 축이 연결기로부터 분리되어 충격 흡수부를 따라 이동하여 연결면의 외부로 제공되는 영역으로 후퇴하도록 하며, 힘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구조는 충격 흡수 또는 파단 기능을 제공하는 연결기가 차량 몸체의 고정판에 제공되는 개구부 없이도 고정판의 전측에 장착될 수 있는 사실로부터 장점을 갖는다. 또한,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 의해서 연결 축이 부분적으로 밀려서 연결 축이 베어링 브라켓의 개구부를 통과한 후 힘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베어링 브라켓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고정판에도 형성할 수가 있다. 차량 몸체의 고정판에 바로 형성되는 개구부 대신, 고정판의 재질 또는 고정판 자체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 축이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 의해서 근소한 정도로 관통하도록 하거나 연결기의 충격 흡수부의 반응에 대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판의 재질을 통과하거나 고정판에서 가압되어 개구부를 통과하는 정도의 최소 저항은 필요로 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유익한 다른 개발은 차량 몸체의 고정판에 직접 장착되지 않고 오히려 추가 지지판 또는 어댑터판 각각에 의해서 고정되는 연결기의 베어링 브라켓을 제공하며, 상기 지지판은 베어링 브라켓에 형성된 개구부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라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가 모듈화 될 수 있으며, 어려운 개선책 없이도 고정판에 다르게 특정될 수 있는 장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지지판에 어떤 개구부를 제공하지 않고 대응하는 개구부를 연결 축이 통과하는 베어링 브라켓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완충 연결장치는 연결기가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 의해서 힘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된 연결 축의 이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는 연결축이 힘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되어 제어 가능한 방식으로 제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차량 몸체가 충돌하고 차량 몸체의 에너지 흡수 부재가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완충 연결장치는 가이드가 개구부를 향하는 경사 접촉면을 포함하며, 경사 접촉면에 의해서 연결 축은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 의해 베어링 브라켓 내에서 개구부를 향해 가압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설계는 실현이 특히 용이하며, 유지가 저렴하고 상당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가이드의 다른 실시예들 역시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충격 흡수부는 적어도 하나의 파단 부재를 포함하며, 파단 부재에 의해서 연결 축이 연결기에 연결되고, 파단 부재는 연결 축에서 연결기로 전달되는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 의해 손상되고 연결 축 및 연결기 간의 연결은 분리된다. "파단 부재(shearing element)"라는 용어는 연결 축의 종축 또는 횡단 방향의 특정 힘에 의해서 손상 또는 파괴되고 연결 부재로서의 본래 기능을 상실하는 연결 부재로 이해될 수 있다. 특정 축, 예를 들어 연결 축의 종축, 에 대한 힘의 모멘트가 충격 흡수부의 대응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에 파단 부재가 특정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물론, 파단 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 역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단 부재는 연결 축의 종축 및 횡축 모든 방향의 과도한 힘에 대해 반응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연결 부재로서의 본래 기능을 상실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파단 부재가 충격력에만 대응하고 견인력에 대해서는 반응하지 않도록 고려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충격 흡수부는 파단 부재가 한정된 임계 충격력 이상에서 손상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단 포인트를 가지며, 파단 부재가 연결 부재로서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고 연결 축 및 연결기 간의 연결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소정의 파단 포인트에 대한 이점은 파단 포인트가 실현이 특히 간단하여 파단 부재의 대응이 상당히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이는 충격 흡수부의 파단 부재가 작용하고 연결 부재로서의 본래 기능을 상실하는 임계 충격력이 거의 정확히 예측 또는 정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완충 연결장치는 연결기가 아이볼트 연결기이며, 파단 부재는 아이볼트 연결기의 핀이고, 아이볼트 연결기의 눈을 갖는 연결 축은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 의해서 연결기로 전달되는 힘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되는 연결 메커니즘에서 사용될 수 있다. 파단 부재로 작용하는 핀이 손상되고 과도한 힘에 의해 연결 부재로서의 본래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며, 후단에 제공되는 눈을 갖는 연결 축은 차량 몸체의 베어링 브라켓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하는 임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레일용 차량의 기술 분야에서 어느 정도 알려진 바와 같이, 다른 구조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가 연결 축에서 연결기로 전달되는 견인력(tractive force) 또는 압축력(compressive force)을 완충하기 위한 고무 탄성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고무 탄성 구조는 커플러 헤드를 향해 개방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연결 축의 후단은 하우징의 내부면(inner circumferential surface)에서 원심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주변에 돌출되고, 연결 축의 후단은 하우징을 통해 연결기와 연결된다. 고무 탄성 구조가 일체화된 고무 스프링을 포함하는 경우, 탄성 재질로 만들어진 압축 스프링 와셔가 하우징의 내부면 사이에서 중앙면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연결 축의 종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차례로 배열된다. 복수개의 개별 와셔가 차례로 배치되는 것 대신, 외주변이 환상의 고무 돌기인 하나의 원통형 고무 부재(elastomeric cylinder)가 사용될 수 있다. 고무 탄성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축의 후단 및 하우징의 내부는 모두 환상 돌기(annular bead)가 차례로 제공되며, 각각의 스프링 와셔는 탄성 재질로 제조되며, 환상 돌기를 갖는 상기 고무 실린더 는 인접한 환상 돌기 사이에서 연결 축의 후단 및 하우징에 대향하여 고정되고, 각각의 스프링 와셔는 연결 축의 외부면 및 하우징의 내부면에 직접 접하고, 견인력 또는 압축력에 대해 고무 탄성 부재가 비하중 상태(unloaded state)에 있을 때 연결 축의 환상 돌기는 하우징의 환상 돌기와 대응하도록 돌출 배열된다. 본 발명은 고무 탄성 구조의 하우징을 연결부와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단 부재를 제공하며, 소정의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서 고무 탄성 구조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함께 연결 축은 연결기로 전달되는 힘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의 방식에 의하면, 연결기에 배치된 충격 흡수부가 고무 완화 커플링(elastomeric cushioning coupling; ECC)를 사용하는 연결기에서도 사용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예는 고무 탄성 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체화된 인장/충격 장치를 구비하는 다른 연결기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장/충격 장치는 중공의 고무 스프링, 마찰 스프링, 유체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특정될 수 있다. 재생되는 충격 부재에 부가하여 파괴되는 충격 부재가 더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장점은 과도한 충격력이 전달된 후, 연결 축 뿐만 아니라 베어링 브라켓의 하우징이 연결기 및 연결 축 간의 연결이 분리됨에 따라 힘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하우징은 차량 몸체에서 최초 위치에 남아 있는다. 특히, 베어링 브라켓의 하우징은, 종래의 중앙 완충 연결장치와 같이, 연결기와 함께 차량 몸체의 하부 프레임에 제공된 영역에 진입하지 않는다. 대신에, 하우징은 차량 몸체에 있으며 연결기로부터 분리된 연결 축에 대해 "안내 돌기" 또는 "픽업 부재"의 기능을 가정할 수 있으며, 하우징의 내부 또는 외부의 연결 축이 지지되고, 연결 축이 트랙 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앙 완충 연결장치에 따르면, 고무 완화 연결을 가지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에서, 연결 축에서 연결기로 전달되는 견인력 및 압축력은 와셔 및 연결기에 제공되는 인장/충격 장치의 재생 변형에 의해서 소정의 범위 내로 완화될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범위는 파단 부재의 해제력(release force)보다 작은 값은 범위에서 정의된다. 이는 소정의 범위까지 인장 및 압축을 적용하고 흡수하는 인장/충격 장치에 기인한 것이며, 운전 및 제동시 발생하는 충격 및 진동과 같은 작은 충격을 제거할 수 있다. 차량이 장애물에 충돌하는 경우와 같이, 과도한 힘이 충격 흡수부를 연결기와 일체로 형성하고, 특히 파단 부재가 작동하여 연결기 및 연결 축 간의 연결이 분리되고 연결 축의 적어도 일측이 연결기로 전달되는 힘의 흐름으로부터 제거되고, 연결기에 제공된 에너지 흡수 장치가 한계에 다다른 후에, 잔여 에너지가 차량 몸체에 배치된 에너지 흡수 부재, 일 예로 마찰 부재로 전달된다. 이러한 이점은 사고시 예상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에 의해서 계산할 수 있는 최대 에너지 흡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중앙 완충 연결장치가 정의된 수준 이상의 힘에 의해서 힘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가능하며, 차량 몸체가 충돌하여 차량 몸체의 에너지 흡수 부재가 적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고무 탄성 구조를 갖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는 유리하게도 연결기가 적어도 수평하게 연장된 피봇 핀을 포함하며, 상기 피봇 핀은 적어도 하나의 파단 부재에 의해 하우징에 연결되며 차량 몸체의 베어링 브라켓에 수평하게 피봇 회전하도록 배열된다. 여기서 파단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피봇 핀 및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피봇 핀은 바로 하우징에 연결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은 소정의 파단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잇다. 연결기를 베어링 브라켓의 하우징에 가장 안전하게 수평으로 피봇 연결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수직으로 연장된 피봇 핀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파단 부재는 각 피봇 핀에 제공될 수 있다.
실현 및 특히 장착이 가장 간단한 고무 탄성 구조를 얻기 위해서, 고무 탄성 구조의 하우징이 차량 몸체의 베어링 브라켓에 수평하게 피봇 회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파단 부재에 의해서 결속되고, 상기 하우징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된 두개의 반 껍질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나사 볼트와 같은 연결이 고려될 수 있다. 2개 아닌 복수개의 하우징 부재를 사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는 와셔의 장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어떤 큰 크기의 와셔가 나사 볼트 또는 나사에 장착될 수 있으며 연결 축을 종축 방향으로 예비적으로 가압하여, 연결 축과 하우징 간의 와셔로 강한 결속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중앙 완충 연결장치는 고무 탄성 구조를 포함하며, 연결 축은 하우징의 개구부를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를 제공하며, 플랜지는 일측으로 압축 와셔와 접하고 타측으로 하우징의 개구부에 가까운 와셔와 접하고, 상기 압축은 고무 탄성 구조의 비하중 상태에서 스프링 와셔를 연결 축의 종축 방향으로 예비적으로 하중을 가하며, 고무 탄성 구조가 크기 또는 방향에 대해 선택적으로 복원 가능한 압축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탄성 구조의 압축에 대한 재생 및 적응은 더욱 단순화될 수 있다.
고무 탄성 구조의 압축을 좀더 정확하고 정교하게 조정하는 것은, 연결 축의 종축 방향으로의 압축력 재생 및 적응을 위해 하우징에 나사와 함께 부가 및 장착되는 압력 부재에 의해서 더욱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중앙 완충 연결장치의 연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연결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완충 연결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연결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연결기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도 4의 중앙 완충 연결장치의 연결기의 여러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사시도를 통해서 종래의 중앙 완충 연결장치에 사용되는 연결기(102)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연결기(102)의 측 단면도를 도시한다. 설명한 바와 같이, 고무 탄성 부재(110)는 인장/충격 장치로서 연결기(102)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 탄성 부재(110)는 인장 및 압축이 정해진 양에 대해 흡수되며 그 이상의 과도한 힘은 베어링 브라켓(104)을 통해 차량의 하부 프레임으로 교대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신된 연결기(102)는 연결장치의 후부를 감싸고 있으며, 연결 축(101)을 베어링 브라켓(104)을 통해 차량 몸체의 고정판(미도시)으로 결합시킬 수가 있으며, 수평하게 피봇 회전을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종래 기술의 연결기(102)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연결기(102)의 베어링 브라켓(104)은 차량 몸체의 고정 판(117)에 부착된다. 대응하는 개구부(107)는 베어링 브라켓(104)이 돌출된 부분을 통과하도록 고정판(117)에 형성된다. 베어링 브라켓(104) 자체는 외부의 파단 부재(108)에 의해서 차량 몸체의 하부 프레임에 장착된다. 외부의 파단 부재(108)에 의해 베어링 브라켓(104)이 고정되는 것은 고정판(117)의 후측에서만 발생하는 것을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다. 외부의 파단 부재(108)는 충돌(crash)과 같이 과도한 충격 에너지에 대응하며, 베어링 브라켓(104)을 고정하는 기능을 잃는다. 이러한 경우, 베어링 브라켓(104)은 연결기(102) 및 연결 축(101)과 함께 차량 몸체의 하부 프레임에 제공된 영역으로 가압되며, 커플링 배합에 의해서 전달되는 힘의 흐름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제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의 파단 부재(108)가 제공되는 종래의 기술은 여러 단점들을 자고 있으며, 일 예로 연결기(102)의 베어링 브라켓(104)을 차량 몸체게 고정하는 것에 대해서, 다른 예로 후술하는 충격 흡수 기능에 대한 것이다. 살기 일 예에 대한 단점은 연결기(102)의 베어링 브라켓(104)를 차량 몸체의 고정판(117)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당히 큰 개구부(107)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베어링 브라켓(104)(각각의 외부 파단 부재(108))는 오직 고정판(117)의 후측으로부터 차량 몸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에 의해서 연결기(102)를 차량 몸체에 장착하는 것을 매우 시간이 많이 걸리고 복잡하기 때문에, 이러한 단점은 충격 흡수 기능을 포함하는 연결기에 관해서 경제적 관점에서 특별히 고려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완충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결기(2) 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연결기(2)의 부분 단면도이며, 반면 도 6은 전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2)는 고무 탄성 구조(10)를 포함하며, 연결 축(1)에서 연결기(2)로 전달되는 견인력 및 충격을 흡수한다. 고무 탄성 구조(10)는 커플러 헤드를 향해 열린 하우징(11)(명확히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며, 연결 축(1)의 후단(3)은 하우징(11)의 내부면으로부터 원심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된다. 연결 축(1)의 후단(3)은 하우징(11)을 통해 연결기(2)와 연결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연결은 수직하게 연장된 피봇 핀(16)에 의해서 더욱 명확해지며, 하우징(11)은 파단 부재(8)를 통해 피봇 핀(16)과 연결되며, 차량 몸체의 베어링 브라켓(4)과 결속되어 수평하게 피봇 회전을 할 수 있다.
탄성 재질로 만들어진 압축 스프링 와셔(13)가 하우징(11)의 내부면 사이에 제공되며, 스프링 와셔(13)의 중앙면은 수직하게 배열되고, 상호 간격을 유지하며 연결 축(1)의 종축 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되고, 연결 축(1)의 후단(3) 및 하우징(11)의 내부는 모두 환상 돌기(14, 15)가 차례로 제공되며, 각각의 스프링 와셔(13)는 인접한 환상 돌기(14, 15) 사이에서 연결 축(1)의 후단(3) 및 하우징(11)에 대향하여 고정된다. 각각의 와셔(13)는 연결 축(1)의 외부면 및 하우징(11)의 내부면에 직접 접하기 때문에, 견인력 또는 압축력에 대해 고무 탄성 부재(10)가 비하중 상태(unloaded state)에 있을 때 연결 축(1)의 환상 돌기(14)는 하우징(11)의 환상 돌기(15)와 대응하도록 돌출되도록 배열되고, 이는 연결 축(1)의 카다닉 운동(cardanic motion)을 가능하게 하며, 소정의 범위 내에서 견인력 및 압축력을 적응 및 흡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무 탄성 구조(10)를 위한 하우징(11)은 적어도 하나의 파단 부재(8)에 의해서 상기 연결기(2)와 연결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기(2)는 수직하게 연장된 상부 및 하부 피봇 핀(16)을 포함하며, 각각의 경우 하우징(11)은 파단 부재(8)에 의해서 연결되고, 수평한 피봇 회전이 가능하게 차량 몸체의 베어링 브라켓(4)에 결속된다. 스프링 와셔(13)의 재생 가능한 변형에 의해서 전달되는 고무 탄성 구조(10)의 힘의 범위보다 큰 영역에서 파단 부재(8)의 해제력이 제공될 수 있다.
고무 탄성 구조(10)를 위한 하우징(11)은 분할 상태로 제공되며, 스프링 구조의 간단한 맞춤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연결 축(1)의 종축 방향으로의 고무 탄성 구조(10)의 압축은 특별히 예비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연결 축(1)의 후단(3)이 플랜지(명확히 도시되지 않음)를 제공할 수 있으며, 플랜지는 압축된 와셔에 의해 후단이 접하고, 한편 하우징(11)의 개구부 쪽으로 인접한 스프링 와셔(13)와 전면이 접하도록 할 수 있으며, 스프링 와셔(13)의 압축은 고무 탄성 구조(10)의 비하중 상태에서 스프링 와셔(13)를 연결 축(1)의 종축 방향으로 예비적으로 하중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따르면, 연결기(2)의 충격 흡수부(5, 8)는 베어링 브라켓(4)에 형성된 개구부(5) 및 상술한 파단 부재(8)를 포함하며, 소정의 임계 충격력 이상의 힘이 연결 축(1)을 통해 연결기(2)로 전달될 때 연결기(2) 및 연결 축(1) 간의 연결이 분리되고, 연결 축(1)은 연결기(2)로 전달되는 힘의 흐름으로부 터 적어도 일부 분리된다. 이는 하우징(11)이 적어도 하나의 파단 부재(8)에 의해 연결기(2)에 연결되어 있으며, 한편 중앙 완충 연결장치로 향하는 개구부(5)가 연결 축(1)을 부분적으로 가압되어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 및 파단 부재(8)의 다음 반응에 의해서 힘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충격 흡수부(5, 8)가 연결기(2)에 내장된 본 구조는 베어링 브라켓(4)과 함께 연결기(2)가 차량 몸체의 고정판(6)에 직접 장착되며, 베어링 브라켓(4)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차량 몸체의 고정판(6)의 후면에서부터 베어링 브라켓(4)을 장착할 필요도 없다. 도 4 및 도 6에 설명된 바와 같이, 베어링 브라켓(4)에 개구부(5)가 추가적으로 제공되고 고정판(6)에도 다른 개구부(7)가 있지만, 양 개구부(5, 7)는 상호 유익하게 대응된다. 충돌의 경우, 파단 부재(8)가 대응하여 연결 기능을 상실하면, 연결 축(1)을 베어링 브라켓(4)의 개구부(5)로 가압하고, 고정판(6)의 다른 개구부(7)를 통과하며, 힘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된다. 고정판(6)의 개구부(7) 대신, 파단 부재(8)가 작동한 후 연결 축(1)이 상당한 저항력 없이 고정판(6)을 관통하도록 고정판(6)의 재질을 달리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하지만, 베어링 브라켓(4)이 애초부터 개구부(5) 없이 형성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며, 개구부(5)에 해당하는 위치에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 의해서 차량 연결바(drawbar)가 쉽게 관통하도록 베어링 브라켓(4)의 재질을 달리 할 수도 있다.
충격 흡수가 외부의 파단 부재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연결기 전체가 베어링 브라켓과 함께 손상되는 종래의 연결기와는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오직 연결 축(1)이 손상되며 충돌 시 연결기(2) 및 베어링 브라켓(4)과는 별도로 힘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9)가 더 제공되며, 가이드(9)는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 의해 연결기(2)로 전달되는 힘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되는 연결 축(1)의 이동을 하우징(11) 및 고무 탄성 부재(10)와 함께 안내하며, 연결 축(1)이 베어링 브라켓(4)의 개구부(5)를 통과하고, 최후에는 지지 판(6)의 개구부(7)를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9)는 아주 정밀한 사건 과정의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도 7A 내지 도 7F는 도 4 내지 도 6에 따른 연결기가 여러 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 7A는 비하중 상태의 연결기를 도시한다. 이때 연결 축의 환상 돌기(annular bead)는 하우징에서 대응하는 환상 돌기에 맞게 돌출되어 있다. 도 7B는 견인력 또는 압축력에 대응하여 하중에 상태에서 고무 탄성 구조를 도시한다. 설명에 따르면, 고무 탄성 구조를 포함하는 연결 축은 도 7A와 비교하여 차량 몸체 쪽으로 약간 이동하여 있다. 그러나, 연결 축으로 가해지는 충격력은 파단 부재가 작동하는 임계 충격력 이하로 유지된다. 도 7C는 파단 부재가 이미 작동하고 고정 수단으로서의 제 기능을 상실한 상태로 충격 흡수부가 작동하는 연결기의 하중 상태를 도시하며, 고무 탄성 구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갖는 (도면에서 후방부가 도시되어 있지만) 연결 축이 힘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가압된다. 도 7D 내지 도 7F는 충격 흡수부가 작동한 후 연결 축의 후단의 이후 운동을 보여주며, 연결 축은 차량 몸체의 고정판 후부로 제공되는 영역까지 결합면을 완전히 통과하여 연 속적으로 가압되며 도 7F에 도시된 상태까지 도달한다.
도 4 내지 도 7는 고무 탄성 구조를 갖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에서 사용되는 커플링 배합을 설명한다. 그러나 발명에 내포된 기술적 사상, 즉 연결기 내에 충격 흡수부를 일체로 한 것은 다른 커플링 배합에서도 가능하며, 아이볼트 연결기에서도 가능하다.
1 연결 축
2. 연결기(drawgear)
3 연결 축의 후단
4 베어링 브라켓
5 베어링 브라켓의 개구부
6 고정판
7 지지판의 개구부
8 파단 부재
9 가이드
10 고무 탄성 구조
11 하우징
11A 하우징의 반껍질
13 스프링 와셔
14, 15 환상 돌기
16 피봇 핀
101 연결 축 (종래 기술)
102. 연결기(drawgear) (종래 기술)
104 베어링 브라켓 (종래 기술)
107 고정판판의 개구부 (종래 기술)
108 파단 부재 (종래 기술)
110 고무 탄성 구조 (종래 기술)
117 고정판 (종래 기술)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종래 및 상술한 레일용 차량의 기술 분야의 중앙 완충 연결장치 이상의 실질적인 장점들을 갖고 있다. 연결기 내부에 충격 흡수부를 제공함으로써, 연결 축에서 연결기로 과도한 특정 힘이 전달되는 것에 대응할 수 있으며, 연결기 및 연결 축 간의 연결이 분리되어 연결 축이 연결기로 전달되는 힘의 흐름으로부터 제거되도록 할 수가 있으며, 각 차량 몸체에 제공되는 에너지 흡수 부재들은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이는 한계에 대응하는 에너지를 예측할 수 있으며, 특히 예측할 수 있는 에너지 흡수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연결기 자체에 충격 흡수부를 장착하는 것은 외부의 파단 부재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베어링 브라켓을 차량 몸체의 연 결기에 부가할 수 있으며, 충격 흡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플링 배합으로, 베어링 브라켓이 고정판의 후측에서 파단 부재를 갖는 차량 몸체로 장착되도록, 차량 몸체의 고정판에 베어링 브라켓이 통과할 수 있는 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대신 연결기의 베어링 브라켓이 고정판의 전측(front side)에서 차량 몸체에 직접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1)

  1. 레일용 차량의 중앙 완충 연결장치에 있어서,
    연결 축(1) 및 베어링 브라켓(4)을 포함하는 연결기(2)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 축(1)의 후단(3)은 상기 연결기(2)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기(2)의 상기 베어링 브라켓(4)을 통해 상기 레일용 차량의 차량 몸체와 연결되어 수평하게 피봇 회전하고,
    충격 흡수부(5, 8)가 상기 연결기(2)에 제공되며, 상기 충격 흡수부(5, 8)는 한정된 임계 충격력 이상의 힘이 연결 축(1)을 통해 상기 연결기(2)로 전달되는 것에 의해 상기 연결기(2) 및 상기 연결 축(1) 간의 연결을 분리하고 상기 연결 축(1)은 상기 연결기(2)로 전달되는 힘의 흐름으로부터 최소한 부분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5, 8)는 상기 중앙 완충 연결장치를 향해 상기 베어링 브라켓(4)에 형성된 개구부(5)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연결 축(1)의 적어도 일측이 상기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힘의 흐름으로부터 제거되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2)는 상기 베어링 브라켓(4)에 의해서 상기 차량 몸체의 고정판(6)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판(6)은 상기 베어링 브라켓(4)에 형성된 개구부(5)에 대응하는 다른 개구부(7)를 제공하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2)는 상기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 의해 상기 연결기(2)로 전달되는 힘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연결 축(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9)를 더 포함하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2)는 상기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 의해 상기 연결기(2)로 전달되는 힘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연결 축(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9)를 더 포함하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2)는 상기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 의해 상기 연결기(2)로 전달되는 힘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연결 축(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9)를 더 포함하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9)는 상기 개구부(5)를 향하는 경사 접촉면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 접촉면에 의해서 상기 연결 축(1)은 상기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 의해 상기 베어링 브라켓(4) 내에서 상기 개구부(5)를 향해 가압되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9)는 상기 개구부(5)를 향하는 경사 접촉면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 접촉면에 의해서 상기 연결 축(1)은 상기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 의해 상기 베어링 브라켓(4) 내에서 상기 개구부(5)를 향해 가압되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5, 8)는 적어도 하나의 파단 부재(8)를 포함하며, 상기 파단 부재(8)에 의해서 상기 연결 축(1)이 상기 연결기(2)에 연결되고, 상기 파단 부재(8)는 상기 연결 축(1)에서 상기 연결기(2)로 전달되는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 의해 손상되고 상기 연결 축(1) 및 상기 연결기(2) 간의 연결은 분리되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5, 8)는 적어도 하나의 파단 부재(8)를 포함하며, 상기 파단 부재(8)에 의해서 상기 연결 축(1)이 상기 연결기(2)에 연결되고, 상기 파단 부재(8)는 상기 연결 축(1)에서 상기 연결기(2)로 전달되는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 의해 손상되고 상기 연결 축(1) 및 상기 연결기(2) 간의 연결은 분리되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5, 8)는 적어도 하나의 파단 부재(8)를 포함하며, 상기 파단 부재(8)에 의해서 상기 연결 축(1)이 상기 연결기(2)에 연결되고, 상기 파단 부재(8)는 상기 연결 축(1)에서 상기 연결기(2)로 전달되는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 의해 손상되고 상기 연결 축(1) 및 상기 연결기(2) 간의 연결은 분리되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단 부재(8)는 한정된 임계 충격력 이상에서 손상되는 소정의 파단 포인트를 가지며, 상기 연결 축(1) 및 상기 연결기(2)가 분리되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2)는 아이볼트 연결기이며, 상기 파단 부재(8)는 상기 아이볼트 연결기의 핀이고, 상기 아이볼트 연결기의 눈을 갖는 상기 연결 축(1)은 상기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 의해서 상기 연결기로 전달되는 상기 힘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되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축(1)에서 상기 연결기(2)로 전달되는 견인력 또는 압축력을 완충하기 위한 고무 탄성 구조(10)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 탄성 구조(10)는 커플러 헤드를 향해 개방된 하우징(11)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축(1)의 후단(3)은 하우징(11)의 내부면에서 원심으로 이격되도록 주변에 돌출되고, 상기 연결 축(1)의 후단(3)은 상기 하우징(11)을 통해 상기 연결기(2)와 연결되며, 탄성 재질로 만들어진 압축된 스프링 와셔(13)가 상기 하우징(11)의 내부면 사이에서 중앙면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연결 축(1)의 종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차례로 배열되고, 상기 연결 축(1)의 후단(3) 및 상기 하우징(11)의 내부는 모두 환상 돌기(14, 15)가 차례로 제공되며, 각각의 상기 압축된 스프링 와셔(13)는 인접한 환상 돌기(14, 15) 사이에서 상기 연결 축(1)의 후단(3) 및 상기 하우징(11)에 대향하여 고정되고, 상기 각각의 압축된 스프링 와셔(13)는 상기 연결 축(1)의 외부면 및 상기 하우징(11)의 내부면에 직접 접하고, 견인력 또는 압축력에 대해 상기 고무 탄성 부재가 비하중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연결 축(1)의 환상 돌기(14)는 상기 하우징(11)의 환상 돌기(15)와 대응하도록 돌출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단 부재(8)에 의해서 상기 연결기(2)와 연결되어, 소정의 상기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서 상기 하우징(11) 및 상기 고무 탄성 구조(10)와 함께 상기 연결 축(1)은 상기 연결기(2)로 전달되는 힘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되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축(1)에서 상기 연결기(2)로 전달되는 견인력 또는 압축력을 완충하기 위한 고무 탄성 구조(10)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 탄성 구조(10)는 커플러 헤드를 향해 개방된 하우징(11)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축(1)의 후단(3)은 하우징(11)의 내부면에서 원심으로 이격되도록 주변에 돌출되고, 상기 연결 축(1)의 후단(3)은 상기 하우징(11)을 통해 상기 연결기(2)와 연결되며, 탄성 재질로 만들어진 압축된 스프링 와셔(13)가 상기 하우징(11)의 내부면 사이에서 중앙면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연결 축(1)의 종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차례로 배열되고, 상기 연결 축(1)의 후단(3) 및 상기 하우징(11)의 내부는 모두 환상 돌기(14, 15)가 차례로 제공되며, 각각의 상기 압축된 스프링 와셔(13)는 인접한 환상 돌기(14, 15) 사이에서 상기 연결 축(1)의 후단(3) 및 상기 하우징(11)에 대향하여 고정되고, 상기 각각의 압축된 스프링 와셔(13)는 상기 연결 축(1)의 외부면 및 상기 하우징(11)의 내부면에 직접 접하고, 견인력 또는 압축력에 대해 상기 고무 탄성 부재가 비하중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연결 축(1)의 환상 돌기(14)는 상기 하우징(11)의 환상 돌기(15)와 대응하도록 돌출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단 부재(8)에 의해서 상기 연결기(2)와 연결되어, 소정의 상기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서 상기 하우징(11) 및 상기 고무 탄성 구조(10)와 함께 상기 연결 축(1)은 상기 연결기(2)로 전달되는 힘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되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축(1)에서 상기 연결기(2)로 전달되는 견인력 또는 압축력을 완충하기 위한 고무 탄성 구조(10)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 탄성 구조(10)는 커플러 헤드를 향해 개방된 하우징(11)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축(1)의 후단(3)은 하우징(11)의 내부면에서 원심으로 이격되도록 주변에 돌출되고, 상기 연결 축(1)의 후단(3)은 상기 하우징(11)을 통해 상기 연결기(2)와 연결되며, 탄성 재질로 만들어진 압축된 스프링 와셔(13)가 상기 하우징(11)의 내부면 사이에서 중앙면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연결 축(1)의 종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차례로 배열되고, 상기 연결 축(1)의 후단(3) 및 상기 하우징(11)의 내부는 모두 환상 돌기(14, 15)가 차례로 제공되며, 각각의 상기 압축된 스프링 와셔(13)는 인접한 환상 돌기(14, 15) 사이에서 상기 연결 축(1)의 후단(3) 및 상기 하우징(11)에 대향하여 고정되고, 상기 각각의 압축된 스프링 와셔(13)는 상기 연결 축(1)의 외부면 및 상기 하우징(11)의 내부면에 직접 접하고, 견인력 또는 압축력에 대해 상기 고무 탄성 부재가 비하중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연결 축(1)의 환상 돌기(14)는 상기 하우징(11)의 환상 돌기(15)와 대응하도록 돌출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단 부재(8)에 의해서 상기 연결기(2)와 연결되어, 소정의 상기 임계 충격력 이상의 과도한 힘에서 상기 하우징(11) 및 상기 고무 탄성 구조(10)와 함께 상기 연결 축(1)은 상기 연결기(2)로 전달되는 힘의 흐름으로부터 분리되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탄성 구조(10)는 상기 연결 축(1)을 통해 상기 연결기(2)로 전달되는 견인력 및 압축력을 상기 압축된 스프링 와셔(13)의 재생 변형으로 소정의 범위로 완화하며,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단 부재(8)의 해제력보다 낮은 값으로 정해지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단 부재(8) 및 상기 차량 몸체의 상기 베어링 브라켓(4)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11)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으로 연장된 피봇 핀(16)을 포함하여 수평하게 피봇 회전하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은 분할된 상태로 제공되며,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반 껍질로 구성되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축(1)은 그 후단(3)에 형성된 플랜지를 제공하며, 상기 플랜지는 일측으로 압축하는 와셔와 접하고, 타측으로 상기 하우징(11)의 개구부에 가까운 상기 압축된 스프링 와셔(13)와 접하고, 상기 압축하는 와셔는 상기 고무 탄성 구조(10)의 비하중 상태에서 상기 압축된 스프링 와셔(13)를 상기 연결 축(1)의 종축 방향으로 사전 하중을 가하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은 분할된 상태로 제공되며,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반 껍질로 구성되고, 상기 고무 탄성 구조(10)의 압축은 상기 분할된 하우징(11)의 반 껍질(11a)의 연결을 통해 상기 연결 축(1)의 종축 방향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완충 연결장치.
KR1020067025417A 2005-05-03 2006-03-30 레일용 차량의 중앙 완충 연결장치 KR1011845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009705A EP1719684B1 (de) 2005-05-03 2005-05-03 Mittelpufferkupplung für Schienenfahrzeuge
EP05009705.4 2005-05-03
PCT/EP2006/002903 WO2006117045A1 (de) 2005-05-03 2006-03-30 Mittelpufferkupplung für schienenfahrzeu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248A KR20080009248A (ko) 2008-01-28
KR101184501B1 true KR101184501B1 (ko) 2012-09-19

Family

ID=34981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417A KR101184501B1 (ko) 2005-05-03 2006-03-30 레일용 차량의 중앙 완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552830B2 (ko)
EP (1) EP1719684B1 (ko)
KR (1) KR101184501B1 (ko)
CN (1) CN100503331C (ko)
AT (1) ATE370044T1 (ko)
AU (1) AU2006243520B2 (ko)
CA (1) CA2568871C (ko)
DE (1) DE502005001252D1 (ko)
DK (1) DK1719684T3 (ko)
ES (1) ES2289616T3 (ko)
NO (1) NO334458B1 (ko)
PL (1) PL1719684T3 (ko)
WO (1) WO20061170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632414T3 (da) * 2004-09-06 2008-11-17 Voith Turbo Scharfenberg Gmbh Koblingshoved med aftagelig frontplade til skinneköretöjer, samt dertil hörende fremgangsmåde til montering deraf
DE502005001252D1 (de) * 2005-05-03 2007-09-27 Voith Turbo Scharfenberg Gmbh Mittelpufferkupplung für Schienenfahrzeuge
KR101193658B1 (ko) * 2007-09-05 2012-10-23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레일본 운송수단의 전면 또는 후면영역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흡수 장치를 구비한 충격흡수장치
ES2369332T3 (es) * 2009-04-23 2011-11-29 Voith Patent Gmbh Articulación para la unión articulada de una barra de enganche con una caja de vagón.
ES2746026T3 (es) * 2011-05-12 2020-03-04 Voith Patent Gmbh Soporte de cojinete para unir una barra de acoplamiento a un cuerpo de un vehículo unido a un carril
EP2524850B1 (de) * 2011-05-20 2014-03-05 Voith Patent GmbH Vorrichtung zum bedarfsweisen Abdichten einer im Stirnbereich eines spurgeführten Fahrzeuges vorgesehenen Öffnung, Bugnasenmodul mit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und spurgeführtes Fahrzeug mit einem derartigen Bugnasenmodul
US9554559B2 (en) * 2011-07-29 2017-01-31 JOHN NOLAN McCARTHY Towed roping dummy shock absorption apparatus
PL2617622T3 (pl) * 2012-01-17 2017-08-31 Voith Patent Gmbh Urządzenie do pionowego podpierania drążka sprzęgu
CN102632906B (zh) 2012-04-17 2014-09-10 青岛思锐科技有限公司 带过载保护的紧凑式缓冲器
DE202013005377U1 (de) 2013-06-13 2013-06-28 Voith Patent Gmbh Mittelpufferkupplung
GB2517986B (en) * 2013-09-09 2015-07-22 T A Savery & Co Ltd A coupler
DE102013110888A1 (de) 2013-10-01 2015-04-02 Voith Patent Gmbh Lagerbock zum Anlenken einer Kupplungsstange an einen Wagenkasten eines spurgeführten Fahrzeuges
CN103569152B (zh) * 2013-11-22 2015-11-11 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内剪切缓冲装置
EP2886413A1 (en) 2013-12-23 2015-06-24 Ego International B.V. Bearing bracket, assembly containing such a bearing bracket and system containing such an assembly
CN106170423B (zh) * 2014-03-10 2018-10-19 德尔纳库普勒斯股份公司 轴承架和联接杆或连接杆的系统、多车厢车辆以及用于控制联接杆或连接杆的运动的方法
CN104149811B (zh) * 2014-06-30 2016-05-18 常州南车铁马科技实业有限公司 轨道车辆用带脱卸装置的缓冲器
CN104071175B (zh) * 2014-06-30 2016-12-07 常州南车铁马科技实业有限公司 轨道车辆用车钩缓冲器
US9701323B2 (en) 2015-04-06 2017-07-11 Bedloe Industries Llc Railcar coupler
DE102015108228A1 (de) * 2015-05-26 2016-12-01 Voith Patent Gmbh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Kupplungsschafts mit einem Wagenkasten eines spurgeführten Fahrzeuges
CN105083318B (zh) 2015-09-28 2016-09-14 青岛思锐科技有限公司 车钩弹簧垂向支撑装置
DE102015221824A1 (de) * 2015-11-06 2017-05-11 Voith Patent Gmbh Verdrehgesicherte Anlenk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r Kupplungsstange mit einem Wagenkasten
EP3205551B2 (de) 2016-02-12 2023-06-07 Faiveley Transport Schwab AG Kupplungseinrichtung für ein schienenfahrzeug
DE102016206989A1 (de) 2016-04-25 2017-10-26 Voith Patent Gmbh Lagerbockanordnung
DE102016125087A1 (de) * 2016-12-21 2018-06-21 Voith Patent Gmbh Kupplungs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 Schienenfahrzeug
CH713677B1 (de) * 2017-04-06 2021-04-30 Faiveley Transp Schwab Ag Anlenkungseinrichtung für eine Kupplung eines Schienenfahrzeugs.
DE102020105294A1 (de) 2020-02-28 2021-09-02 Voith Patent Gmbh Kupplungsstangenanbindung zum beweglichen Anschluss einer Kupplungsstange an ein spurgebundenes Fahrzeug
CN111452822B (zh) * 2020-04-16 2021-08-24 中车长江车辆有限公司 一种缓冲装置、车钩以及铁路货车
CN113200070B (zh) * 2021-06-18 2022-10-14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车钩钩尾座安装结构
EP4299406A1 (en) * 2022-06-30 2024-01-03 Dellner Couplers AB Endpiece for a coupling rod, draft gear for a coupling rod, coupler for a multi-car vehicle and method for building a draft gear or coupl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0163A (en) * 1959-05-26 1962-11-14 Avon India Rubber Company Ltd Improvements in central buffing and draft gear
DE3513294A1 (de) * 1985-04-13 1986-10-16 Scharfenbergkupplung Gmbh, 3320 Salzgitter Abstuetzung einer zug- und stossvorrichtung
EP0947410A1 (de) * 1998-03-30 1999-10-06 SCHARFENBERGKUPPLUNG GmbH & Co. KG Vorrichtung zum elastischen Abstützen des Kupplungsschafts einer Mittelpufferkupplung an einem Schienenfahrzeug
JP2001260881A (ja) * 2000-03-21 2001-09-26 Railway Technical Res Inst 連結緩衝装置の取付構造
GB0910163D0 (en) 2009-06-12 2009-07-29 Provenance Information Assurance Electronic document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163A (en) * 1906-12-10 1909-01-19 William G Benninghoff Valve.
US2959251A (en) * 1957-06-12 1960-11-08 Landman Max Auxiliary bumper-type impact absorber
DE1189579B (de) * 1959-05-29 1965-03-25 Gomma Antivibranti Applic Puffer fuer Schienenfahrzeuge
US3159284A (en) * 1962-01-22 1964-12-01 Miner Inc W H Convertible buffer and draft gear
DE3228941A1 (de) * 1982-08-03 1984-02-09 Scharfenbergkupplung Gmbh, 3320 Salzgitter Einer mittelpufferkupplung nachgeschaltete vorrichtung zur aufnahme uebergrosser stoesse
US6047839A (en) * 1998-02-03 2000-04-11 Huggins; Russell J. Rail car buffer
DE10126483A1 (de) * 2001-05-31 2002-12-05 Scharfenbergkupplung Gmbh & Co Energieverzehreinrichtung für die Stirnseite von Schienenfahrzeugen
DE10162731A1 (de) * 2001-12-20 2003-07-03 Voith Turbo Scharfenberg Gmbh Vorrichtung zur horizontalen Mittenrückstellung für eine mittels eines Kupplungsschafts schwenkbar an einem Schienenfahrzeug angebrachte Mittelpufferkupplung
DE10355640B3 (de) * 2003-11-28 2004-11-04 Voith Turbo Scharfenberg Gmbh & Co. Kg Mittelpufferkupplung für Schienenfahrzeuge
DE502005001252D1 (de) * 2005-05-03 2007-09-27 Voith Turbo Scharfenberg Gmbh Mittelpufferkupplung für Schienenfahrzeu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0163A (en) * 1959-05-26 1962-11-14 Avon India Rubber Company Ltd Improvements in central buffing and draft gear
DE3513294A1 (de) * 1985-04-13 1986-10-16 Scharfenbergkupplung Gmbh, 3320 Salzgitter Abstuetzung einer zug- und stossvorrichtung
EP0947410A1 (de) * 1998-03-30 1999-10-06 SCHARFENBERGKUPPLUNG GmbH & Co. KG Vorrichtung zum elastischen Abstützen des Kupplungsschafts einer Mittelpufferkupplung an einem Schienenfahrzeug
JP2001260881A (ja) * 2000-03-21 2001-09-26 Railway Technical Res Inst 連結緩衝装置の取付構造
GB0910163D0 (en) 2009-06-12 2009-07-29 Provenance Information Assurance Electronic document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03331C (zh) 2009-06-24
DE502005001252D1 (de) 2007-09-27
CA2568871A1 (en) 2006-11-09
PL1719684T3 (pl) 2008-01-31
ES2289616T3 (es) 2008-02-01
EP1719684A1 (de) 2006-11-08
US7552830B2 (en) 2009-06-30
KR20080009248A (ko) 2008-01-28
DK1719684T3 (da) 2007-11-12
ATE370044T1 (de) 2007-09-15
AU2006243520A1 (en) 2006-11-09
US20070107623A1 (en) 2007-05-17
AU2006243520B2 (en) 2011-06-23
NO334458B1 (no) 2014-03-10
WO2006117045A1 (de) 2006-11-09
NO20065289L (no) 2006-11-17
CN1976840A (zh) 2007-06-06
CA2568871C (en) 2012-10-16
EP1719684B1 (de) 200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501B1 (ko) 레일용 차량의 중앙 완충 연결장치
KR101193658B1 (ko) 레일본 운송수단의 전면 또는 후면영역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흡수 장치를 구비한 충격흡수장치
CN101801757B (zh) 碰撞保护装置
RU2384442C2 (ru) Ударно-тяг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цепок с центральным буфером для рельсов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RU2582435C1 (ru) Компактный буфер с защитой от перегрузки
RU2559870C2 (ru) Сцепной узел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вагонов
US8051995B2 (en) Energy dissipation device for a car body of a multi-member rail vehicle
CN101519076B (zh) 垂直地支撑联接杆的支撑装置以及支撑装置在有轨车辆中的使用
JP4673333B2 (ja) 鉄道車両用連結装置
RU2350500C2 (ru) Корпус для узла поглощающего аппарата фрикционного типа (варианты)
US20150114921A1 (en) Front installed suspension system having overload protection field of the invention
CN101835669A (zh) 尤其与缓冲器结合使用的可更换的能量吸收结构
JP2015051760A (ja) 連結機
CN101298254A (zh) 一种汽车吸能转向管柱
KR20140055232A (ko) 철도차량용 배장기
CN102774396A (zh) 用于将车钩柄铰接到轨道导向车辆的车身的轴承座
CN108297892B (zh) 一种用于轨道列车的碰撞吸能系统及轨道列车
CN109178010A (zh) 一种跨座式单轨列车及其牵引悬挂系统
KR102034395B1 (ko)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설치구조
Oyan Dynamic simulation of Taipei EMU train
KR101246702B1 (ko) 탈착 가능한 말단벽을 갖는 마찰식 드래프트 기어 하우징
CN112203919B (zh) 用于轨道车的转向架的旋转接头
CN112550338B (zh) 动车转向架及胶轮列车
JP3581797B2 (ja) 鉄道車両の連結装置
KR101830689B1 (ko) 철도차량 연결기의 충격 흡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