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646B1 - 소형 광대역 나선 안테나 - Google Patents

소형 광대역 나선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646B1
KR101183646B1 KR1020077020240A KR20077020240A KR101183646B1 KR 101183646 B1 KR101183646 B1 KR 101183646B1 KR 1020077020240 A KR1020077020240 A KR 1020077020240A KR 20077020240 A KR20077020240 A KR 20077020240A KR 101183646 B1 KR101183646 B1 KR 101183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dielectric core
assembly
spiral antenna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2597A (ko
Inventor
마크 알렌 켄켈
스튜어트 피. 바우만
Original Assignee
슈레 애쿼지션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레 애쿼지션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슈레 애쿼지션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02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1/00Electrically-long antennas having dimensions more than twice the shortest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11/02Non-resonant antennas, e.g. travelling-wave antenna
    • H01Q11/08Helical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62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 broadside radiating helical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with folded element or elements,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operating wavelength
    • H01Q9/27Spiral antennas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테이프 스트립을 비금속 테이프에 사선형으로 배치시킴으로써 구성된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를 위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한다. 다음에 테이프 어셈블리는 유전체 코어 위에 롤링된다. 금속 테이프 스트립은 전기 커넥터 및 유전체 코어의 중앙을 통해 위치한 중앙 도전체에 결합된다. 테이프 어셈블리는 테이프 어셈블리가 유전체 코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전체 코어의 단부에서 구부려지는 하나 또는 두 개의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탭들은 중앙 도전체에 고정된 아이렛에 의해 피닝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의 도전 부분의 피치는 테이프 어셈블리가 유전체 코어 둘레에서 감길 때 원하는 전기적 특성을 제공하도록 결정된다. 테이프 어셈블리의 도전체 부분은 원하는 전기적 특성을 획득하도록 트리밍될 수 있다.

Description

소형 광대역 나선 안테나{SMALL BROADBAND HELICAL ANTENNAL}
본 국제 출원은 2005년 2월 4일자로 출원된 “소형 광대역 나선 안테나”란 제목의 미국분할출원 제60/650,249호와 2006년 2월 1일자로 출원된 대응하는 미국출원 - 출원번호가 아직 부여되지 않음 - 을 우선권으로 청구하며, 이들 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소형 광대역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마이크로폰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나선형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애플리케이션은 무선컴퓨터, 무선전화기, 및 기타 무선 장치들의 사용 증대와 더불어 점점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무선 애플리케이션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RF 신호가 무선 안테나를 통해 무선 장치들 사이에서 송수신되고 있다. 무선 안테나는 통상적으로 부피가 크고 많은 비용이 들어 무선장치의 가격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러버더키(rubber ducky)” 안테나는 무선 어플리케이션에 흔히 사용되는 무선 안테나의 대표적 예이다. 이 안테나는 통상적으로 코어 절연체를 둘러싼 와이어를 둘러싸서 구성하고 보호재로 덮힌다. 결과적으로, "러버더키" 안테나는 종종 부피가 크고, 거추장스럽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게다가, "러버더키" 안테나의 전기 특성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예 컨대, 작동 주파수 대역은 좁아지는 경향이 있으나, 대부분의 무선 어플리케이션은 광대역 작동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손의 근접으로 인한 신호 손실이 과도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종래 해결책은 무선 어플리케이션에는 자주 없는 구성 기여, 전기적 특성 및 관련 비용을 안테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따라서, 저비용이고, 소형이며 조립이 쉽고 손의 근접성에 대한 낮은 감도를 갖는 대역폭을 갖는 무선 안테나, 예컨대 나선형 안테나를 시장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은 상기 언급한 문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며, 이로써 테이프에 고정된 도전 재료를 갖는 무선 안테나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는 베이스 재료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는 비금속 테이프의 장방형 조각 위에 금속 테이프 스트립을 사선으로 배치시켜 구성된다. 다음에 테이프 어셈블리는 유전체 코어 상에 감긴다. 다음에 금속 테이프 스트립은 전기 커넥터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중앙 도전체는 유전체 코어의 중앙을 통해 삽입된다. 중앙 도전체는 전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테이프 어셈블리는 테이프 어셈블리가 유전체 코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전체 코어의 단부 위에 구부려진 하나 또는 두 개의 탭을 포함한다. 탭은 작은 구멍에 의해 더 피닝(pin)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테이프 어셈블리의 도전부분의 피치는 테이프 어셈블리가 유전체 코어 둘레에 감길 때 원하는 전기적 특성을 제공하도록 결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테이프 어셈블리의 도전 부분은 중앙 작동 주파수를 포함한, 원하는 전기적 특성을 획득하도록 길이로 트리밍된다. 주위 부품들의 기생 효과는 안테나 어셈블리를 조정할 때 보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나선형 안테나는 나선형 안테나의 원하는 특성을 획득하기 위해 도전 부분의 길이를 결정하고, 도전 부분이 베이스 부분 상에 사선으로 위치되는 테이플 어셈블리를 형성하도록 베이스 부분으로 도전 부분을 적층시키며, 유전체 코어 주위에 테이프 어셈블리를 감으며, 도전 부분에 전기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는 유전체 코어, 테이프 어셈블리가 도전 부분 및 베이스 부분을 더 포함하는 유전체 코어 둘레에 감기는 테이프 어셈블리, 및 테이프 어셈블리의 도전 부분에 결합된 전기 커넥터를 포함한다. 도전 부분은 결정된 피치로 베이스 부분에 사선으로 위치되고 원하는 전기적 특성을 획득하기 위한 길이와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이중-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는 유전체 코어, 테이프 어셈블리가 베이스 부분과 도전 부분을 더 포함하는 유전체 코어 둘레에 감긴 테이프 어셈블리, 및 도전 부분의 중앙 공급-포인트에 결합된 전기 커넥터를 포함한다. 도전 부분은 결정된 피치로 중앙 공급-포인트에서 결합하는 두 개의 사선 도전 섹션을 포함한다. 각각의 사선 도전 부분은 원하는 전기적 특성을 획득하기 위한 폭과 길이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나선형 안테나의 부품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유전체 재료 둘레에 테이프 어셈블리를 감기 위한 과정과 테이프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의 부품과 결과적으로 조립된 안테나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주파수 작동 범위에 대한 테이프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나선형 안테나의 부품을 도시한다. 테이프 어셈블리(101)는 베이스부(104) 및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리 테이프를 포함하는) 도전 부분(10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4)는 전기주석 도금에 의해 구리 테이프(103)로 적층된 비닐 코어 재료로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두께가 대략 2.0 mils 인 3MTM 번호 9471 접착제가 구리 테이프(103)를 베이스부(104)에 적층시키는데 사용된다. 구리 테이프(103)는 베이스(104) 상에 전기 도금되고 원하는 폭과 길이의 치수를 제공하도록 레이저 트리밍되거나 기계적으로 트리밍될 수 있다. 또한, 설명하는 것처럼, 구리 테이프(103)는 구리 테이프의 초과 길이가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를 조절하고 조정하기 위해 제거되도록 선(151)에서 절단될 수 있다. 주파수 특성은 구리 테이프(103)의 길이(L)(153), 폭(W)(155), 피치(θ)(156)를 포함하는 다수의 파라미터들에 의해 결정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테이프 어셈블리(101)는 폭(155)이 약 7 mm 인 도전 부분(103)을 갖는 길이가 대략 10cm이고 폭이 14 mm 이며, 578-650 MHz의 주파수 작동 범위에 해당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테이프 어셈블리(101)는 구리 탭(103)이 설명될 안테나 어셈블리의 다른 부품들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게 연장된 탭(111)을 포함한다. 구리 테이프(103)는 전기적 결합을 지원하도록 탭(111) 상에 홀(105)을 형성한다.
테이프 어셈블리(10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탭(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탭들(211a 및 211b)을 지원한다.
설명되는 것처럼, 테이프 어셈블리(101)는 (상면도(107a) 및 측면도(107b)에 대응하는) 유전체 코어(107) 둘레에 감긴다. (상면도(109a) 및 측면도(109b)에 대응하는) 중앙 도전체(109)는 유전체 코어(107)의 중앙에 위치하고, 유전체 코어(107)의 전체 길이를 통해 연장한다. 중앙 도전체(109)의 길이는 통상적으로 중앙 도전체(109)의 단부들이 기계적 및 전기적 결합으로 유전체 코어(107)를 넘어 연장하도록 유전체 코어(107)의 길이보다 길다. 설명하는 것처럼, 아이렛 플렌지와 SMA 커넥터는 중앙 도전체(109)의 단부들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전체 코어(107)의 길이는 (테이프 어셈블리(101)의 폭에 매칭하도록) 대략 14mm이고 유전체 코어(107)의 직경은 대략 0.680 내지 0.684 인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전체 코어(107)는 (Bayer MaterialScience 에서 제조한) Texin? 285 우레탄 열가소성 탄성체이다. Texin? 285 는 5.6 내지 6.5 사이의 유전 상수를 갖는 매우 일정하게 일치하는 유전체 특성과 약 445 Kv/in 의 우수한 전기적 세기를 갖는다.
도 2는 테이프 어셈블리(201)를 도시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유전체 재료(207) 둘레에 테이프 어셈블리(201)를 감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다. (상면도(201a) 및 측면도(201b)에 대응하는) 테이프 어셈블리(201)는 도전 부분(203)과 베이스부(204)를 포함한다.
테이프 어셈블리(201)는 홀(205a 및 205b)을 각각 형성하는 탭(211a 및 211b)를 포함한다. 홀(205a)은 도전 부분(203)을 통해 형성된다. 전기 커넥터는 홀(205a)을 통해 돌출하는 중앙 도전체(미도시)에 전기 커넥터(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SMA 커넥터(315))를 솔더링함으로써 홀(205a) 부근의 도전 부분(203)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아이렛 플랜지(미도시)는 홀(205b)을 통해 중앙 도전체의 다른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측면도(201b)에 도시된) 테이프 어셈블리(201)는 유전체 코어(207) 둘레에 감긴다. (접착제는 테이프 어셈블리(201)가 유전체 코어(207)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이프 어셈블리(201)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전체 코어(207)는 테이프 어셈블리(201) 상에 있을 수 있는 표시(미도시)를 도시하기 위해 우측에서 좌측으로 감긴다. 상기 표시는 안테나 어셈블리의 식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테이프 어셈블리(201)는 안테나 어셈블리의 전기적 특성을 현저히 바꾸지 않고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감길 수 있다.
테이프 어셈블리(201)가 유전체 코어(207) 둘레에 감긴 후에, 탭(211a 및 211b)은 유전체 코어(207)의 단부들과 플러싱(flush)되게 구부려진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노치들이 탭(211a 및 211b)의 구부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탭(211a 및 211b)과 테이프 어셈블리(201)의 주된 부분 사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전 부분(203)의 피치는 테이프 어셈블리(201)가 유전체 코어(207) 둘레에 감길 때 도전 부분(203)이 중첩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321a), 저면도(321b), 및 상면도(321c)에 대응하는)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321)를 도시한다. 측면도(321a)는 유전체 코어(라벨이 붙여지지 않음) 둘레에 감긴 도전 부분(303)을 도시한다. 중앙 도전체(309)는 유전체 코어의 중앙을 통해 진행한다. (측면도(315a) 및 저면도(315b)에 대응하는) SMA 커넥터(315)의 코어 핀은 (도전 부분(303)의 연장부인) 도전 연장부(311)와 중앙 도전체(309)에 솔더링된다.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321)의 접지는 마이크로폰 인클로져의 도전 특성에 의해 설정된다. (상면도(313b) 및 측면도(313a)에 대응하는) 플랜지(313)는 중앙 도전체(309)의 (SMA 커넥터(315)의 마주하는) 다른 단부에 고정된다. 플랜지(313)는 중앙 도전체(309)의 일부로서 머시닝되거나 중앙 도전체(309)의 아이렛을 고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아이렛은 SMA 도전체(315)를 조립하기 전에 도전체 연장부(311)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커넥터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안테나 어셈블리(321)는 (도전 연장부(311)에 대응하는) 하나의 탭을 이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탭(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탭(211a 및 211b)을 이용할 수 있다. 두 개의 탭을 이용하는 것은 매우 습윤하고 습기가 있는 환경에서 구리 테이프가 롤링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관련된 실시예에서, 탭은 유전체 코어의 상부 및 하부를 가로질러 구부려지고 RF 커넥터에 안테나를 접속하는데 사용된 아이렛과 함께 피닝된다. 탭은 테이프 어셈블리의 금속 단부가 감긴 후에 덮이도록 길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의 부품들과 결과적으로 조립된 안테나 어셈블리(421)를 도시한다. 안테나 어셈블리(421)는 테이프 어셈블리(401), 유전체 코어(407), 및 SMA 커넥터(415)를 포함한다. 도 4는 유전체 코어(407)와 관련한 아이렛(413)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2와 3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함께, 유전체 코어(407)는 중앙 도전체(보이지 않음)를 수용하도록 중앙을 통해 드릴링된 홀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527)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어셈블리(500)를 도시한다. (마이크로폰 어셈블리(500)는 도 5의 좌측에 위치한 음향 트랜스듀서(미도시)와 마이크로폰 커버(미도시)를 포함한다.)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527)는 음향신호를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527)를 통해 전송되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전자 회로에 접속된다.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527)는 하우징(531)에 의해 위치설정되고 안테나 커버(529)에 의해 덮힌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안테나 커버(529)는 Advanced Elastomer Systems가 제조한 Santoprene? 103-50 열가소성 고무를 포함한다. Santoprene? 103-50은 약 498 Kv/inch의 유전 세기를 가지며 약 2.3의 유전 상수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주파수 작동 범위에 대한 테이프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테이프 어셈블리(601a,601b,601c,601d,601e)는 518-578 MHz, 578-638 MHz, 638-689 MHz, 740-814 MHz, 798-862 MHz 의 주파수 범위에 각각 대응한다. 도전 부분(603a-603e)은 예견된 기생 효과에 노출될 때 원하는 전기적 특성을 획득하도록 트리밍된다. 안테나 어셈블리의 특성을 식별하기 위해, 표시가 테이프 어셈블리 상에 레이저 절삭, 스탬핑 또는 인쇄될 수 있다. 테이프 어셈블리가 유전체 코어 상에 롤링될 때, 표시는 안테나 어셈블리의 구성 동안 및 그 이후에 용이한 식별을 제공하도록 보일 수 있다.
각각의 테이프 어셈블리(601a-601e)는 동일한 피치를 사용한다. 그러나, 도전 부분의 길이는 원하는 전기적 특성을 제공하도록 조절된다. 대략적인 길이는 안테나 커버와 마이크로폰 케이스의 기생 효과없이 결정된다. 예컨대, 안테나 커버와 마이크로폰 케이스의 모양과 재료는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준다. 그러나, 기생 효과는 통상적으로 크지 않으며 테이프 어셈블리의 도전 부분(예컨대 적층된 구 리 테이프)을 트리밍함으로써 보상될 수 있다.
도 1-6은 (휴대용 송신기로서 기능적으로 동작하는) 무선 마이크로폰을 지원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주파수 신호가 생성되는 다른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실험 데이터는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저비용이고, 소형이며 조립이 용이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안테나 어셈블리(예컨대, 안테나 어셈블리(527))는 500 MHz 보다 큰 중앙 주파수를 갖는 10%보다 큰 대역폭을 갖는 광대역 주파수 특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들은 손에 의한 배치 또는 손과의 인접성에 대한 낮은 감도를 나타낸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동작의 중앙 주파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구리 테이프를 포함하는) 도전 부분(103)의 길이는 도 1에 도시된 선(151)을 따라 도전 부분(103)을 절삭하여 짧아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안테나 어셈블리는 도전 부분(103)을 조정함으로써 기생 효과(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안테나 케이스(529)의 효과)를 보상하도록 조정된다. 특히,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반복가능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마이크로폰이 직립하여 위치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홀딩되는지 동작 주파수 범위 내에서 1.2:1의 VSWR 값을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실시예들은 전체 주파수 범위에 대해 3:1보다 작은 VSWR 값을 나타낸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전 부분(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도전 부분(603a-603d))의 피치는 필수적으로 동일하다. 원하는 주파수 범위를 획득하기 위하여, 도전 부분은 필요한 길이로 트리밍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다른 파라미터, 예컨대 유전체 코어의 유전 상수 또는 도전 부분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주파수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도전 부분이 넓을수록, 안테나 어셈블리의 Q는 낮아지고, 따라서 동작 주파수 대역폭은 넓어진다. (그러나, 도전 부분의 폭의 증가는 도전 부분의 중첩을 피하기 위해 유전체 코어의 주어진 직경에 대해 도전 부분의 최대 길이를 감소시킨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무선 마이크로폰의 실시예들을 도시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RF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송하기 위한 무선 장치를 필요로하는 다른 무선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나선형 안테나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타입의 안테나를 지원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나선(램의 호른) 안테나를 도시한다. 테이프 어셈블리(701)는 중앙 공급-포인트(751a)를 갖는 "V" 모양을 형성하는 구리 테이프(703)를 포함한다. 테이프 어셈블리(701)는 안테나 어셈블리(721)를 형성하기위해 유전체 코어 둘레에 감긴다. RF 에너지는 중앙 공급-포인트(751b)에 솔더링되는, SMA 커넥터(715)를 통해 안테나 어셈블리(721)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실행하는 바람직한 모드를 포함한 특정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이하 청구항에 개시되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 속하는 상기 시스템과 기술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Claims (17)

  1.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나선형 안테나의 요구되는 전기적 특성들을 획득하기 위해 도전 부분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
    (B) 테이프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도전 부분을 베이스부에 적층시키는 단계 - 상기 도전 부분은 상기 베이스부에 사선형으로(diagonally) 위치함 - ;
    (C) 유전체 코어 둘레에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를 감는(wrap) 단계; 및
    (D) 전기 커넥터를 상기 도전 부분에 전기적으로 커플링시키는 단계
    (E) 상기 유전체 코어의 중앙을 통해 중앙 도전체를 삽입하는 단계; 및
    (F) 상기 유전체 코어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 상에서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의 적어도 하나의 탭을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부분의 도전 연장부는 상기 탭 상에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탭은 상기 탭을 통해 형성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탭을 구부린 이후에 상기 중앙 도전체의 제 1 단부가 상기 홀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중앙 도전체가 상기 도전 부분에 커플링되도록 상기 도전 연장부는 상기 탭 상에 연장되는,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G) 아이렛(eyelet)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탭을 피닝(pin)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G) 주위 부품들의 기생 효과들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의 도전 부분을 트리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4.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로서,
    유전체 코어;
    상기 유전체 코어 주위를 감싸는 테이프 어셈블리 ―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는 베이스부; 요구되는 전기적 특성들을 획득하기 위한 길이 및 폭을 가지고 미리 결정된 피치로 상기 베이스부에 사선으로 위치되는 도전 부분; 및 상기 유전체 코어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 상에서 구부려지는 적어도 하나의 탭을 포함함 ―;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의 도전 부분에 커플링되는 전기 커넥터;
    상기 유전체 코어의 중앙을 통해 위치되고,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의 도전 부분 및 상기 전기적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는 중앙 도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부분의 도전 연장부는 상기 탭 상에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탭은 상기 탭을 통해 형성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탭을 구부린 이후에 상기 중앙 도전체의 제 1 단부가 상기 홀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중앙 도전체가 상기 도전 부분에 커플링되도록 상기 도전 연장부는 상기 탭 상에 연장되는,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로서,
    상기 베이스부는 홀을 갖는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체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홀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 2 탭은 상기 유전체 코어의 단부 상에서 구부려지는,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의 폭은 상기 유전체 코어의 길이와 동일한,
    나선형 안테나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어셈블리의 폭은 상기 유전체 코어의 길이와 동일한,
    ,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
  10. 삭제
  11. 삭제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분은 상기 베이스부에 위치되고, 결정된 피치로 중앙 공급-포인트에서 결합하고 그리고 결정된 피치로 상기 베이스부에 사선으로 위치되는 두 개의 사선형 도전 섹션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사선형 도전 섹션은 원하는 전기적 특성들을 획득하기 위한 길이와 폭을 가지는,
    이중-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홀을 갖는 제 2 탭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탭을 구부린 이후에 중앙 도전체의 제 2 단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유전체 코어의 상기 제 2 단부 상에서 상기 탭을 구부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코어의 전기적으로 커플링된 단부에서 상기 중앙 도전체에 부착되는 아이렛을 더 포함하는,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중앙 도전체 및 상기 도전 연장부에 상기 전기 커넥터를 솔더링함으로써 상기 도전 부분의 상기 도전 연장부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는,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코어의 각각의 단부에서 상기 중앙 도전체에 부착되는 두 개의 아일렛들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아일렛은 상기 두 개의 탭들을 피닝(pin)하는,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중앙 도전체의 상기 제 2 단부에 플랜지를 고정(fasten)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나선형 안테나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KR1020077020240A 2005-02-04 2006-02-03 소형 광대역 나선 안테나 KR101183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5024905P 2005-02-04 2005-02-04
US60/650,249 2005-02-04
US11/345,168 2006-02-01
US11/345,168 US7301506B2 (en) 2005-02-04 2006-02-01 Small broadband helical antenna
PCT/US2006/003799 WO2006084103A2 (en) 2005-02-04 2006-02-03 Small broadband helical antenn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597A KR20070102597A (ko) 2007-10-18
KR101183646B1 true KR101183646B1 (ko) 2012-09-17

Family

ID=36777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240A KR101183646B1 (ko) 2005-02-04 2006-02-03 소형 광대역 나선 안테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01506B2 (ko)
EP (2) EP3001501A1 (ko)
JP (1) JP4834003B2 (ko)
KR (1) KR101183646B1 (ko)
CN (1) CN101142710B (ko)
HK (1) HK1110703A1 (ko)
WO (1) WO200608410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5046B2 (en) * 2006-09-27 2010-03-09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Terminal structure of an ion implanter
DE102008033881A1 (de) * 2007-07-21 2009-05-28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Stabantenne mit abschnittsweise unterschiedlichen Antennenleiterstrukturen
US8576131B2 (en) * 2010-12-22 2013-11-05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Helical antenna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helical antenna
WO2013059512A2 (en) * 2011-10-18 2013-04-25 Reconrobotics, Inc. Antenna block assembly with hollow connector
US10230159B2 (en) 2015-11-20 2019-03-12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Helical antenna for wireless microphone and method for the same
US10230153B2 (en) 2016-06-20 2019-03-12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Secondary antenna for wireless microphone
CN110854519B (zh) * 2019-11-23 2022-08-12 武汉市联华飞创科技有限公司 一种共形体天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9006A (en) * 1980-12-12 1982-06-19 Nec Corp Helical antenna
US4442438A (en) * 1982-03-29 1984-04-10 Motorola, Inc. Helical antenna structure capable of resonating at two different frequencies
JPH0623055Y2 (ja) * 1988-02-29 1994-06-15 日本無線株式会社 ヘリカルアンテナ
JPH0374906A (ja) * 1989-08-16 1991-03-29 Toyo Commun Equip Co Ltd 4線分数巻ヘリカルアンテナの製造方法
FR2711277B1 (fr) * 1993-10-14 1995-11-10 Alcatel Mobile Comm France Antenne du type pour dispositif radio portable,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telle antenne et dispositif radio portable comportant une telle antenne.
JP2701747B2 (ja) * 1994-09-06 1998-01-21 日本電気株式会社 ヘリカルアンテナ
JP3314654B2 (ja) * 1997-03-14 2002-08-12 日本電気株式会社 ヘリカルアンテナ
JPH10290115A (ja) * 1997-04-11 1998-10-27 Naohisa Goto 共用アンテナ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無線機
US5977931A (en) * 1997-07-15 1999-11-02 Antenex, Inc. Low visibility radio antenna with dual polarization
KR100406352B1 (ko) * 2001-03-29 2003-11-28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KR100608521B1 (ko) * 2002-02-22 2006-08-0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헬리컬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무선통신장치
US7245268B2 (en) * 2004-07-28 2007-07-17 Skycross, Inc. Quadrifilar helical anten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01506B2 (en) 2007-11-27
EP1851820A2 (en) 2007-11-07
HK1110703A1 (en) 2008-07-18
CN101142710A (zh) 2008-03-12
KR20070102597A (ko) 2007-10-18
WO2006084103A2 (en) 2006-08-10
EP1851820B1 (en) 2016-06-15
JP2008530860A (ja) 2008-08-07
EP3001501A1 (en) 2016-03-30
US20060176237A1 (en) 2006-08-10
JP4834003B2 (ja) 2011-12-07
CN101142710B (zh) 2011-07-27
WO2006084103A3 (en) 2007-11-15
EP1851820A4 (en)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7663B1 (en) Built-in dual frequency antenna
US6456246B2 (en) Antenna device
KR101183646B1 (ko) 소형 광대역 나선 안테나
CN101068056B (zh) 反向f天线及使用该天线的移动通信终端
US7173576B2 (en) Handset quadrifilar helical antenna mechanical structures
JP2005286895A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携帯無線装置
JP2011142431A (ja) アンテナ及びアンテナ装置、並びにこれらを搭載した通信機器
TWI569514B (zh) 螺旋天線裝置及形成螺旋天線之方法
US8125404B2 (en) Monopole antenna with high gain and wide bandwidth
US20130234906A1 (en) Sleeve Dipole Antenna Microphone Boom
US7126555B2 (en) Dipole antenna
GB2328082A (en) Antenna matching circuit for cordless telephone
JP5122621B2 (ja) 多周波アンテナ
US8054230B2 (en) Multi-band antenna
US20050206578A1 (en) Dual band antenna
JP2003087031A (ja) アンテナ
JPH0117846Y2 (ko)
JP2005167829A (ja) アンテナ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外付けアンテナ装置
JPH059011U (ja) 携帯無線機用空中線
KR20030060839A (ko) 기생 소자를 이용한 출몰식 안테나 장치
JP3852013B2 (ja) 携帯通信端末用のアンテナエレメント
JP2006325268A (ja)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