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233B1 -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233B1
KR101183233B1 KR1020100052451A KR20100052451A KR101183233B1 KR 101183233 B1 KR101183233 B1 KR 101183233B1 KR 1020100052451 A KR1020100052451 A KR 1020100052451A KR 20100052451 A KR20100052451 A KR 20100052451A KR 101183233 B1 KR101183233 B1 KR 101183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eok
rice
powder
snack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2870A (ko
Inventor
김영남
최병곤
김경희
김경민
박민희
Original Assignee
강원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도 filed Critical 강원도
Priority to KR102010005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23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2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2Aerated, foamed, cellular or porous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rain Derivatives (AREA)
  • Confectione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더덕쌀을 이용한 스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더덕분말; 곡류분말; 고구마분말, 감자분말, 옥수수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 및 밀가루를 혼합한 후 쌀 모양의 성형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의 쌀 모양의 성형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더덕쌀을 이용한 스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더덕쌀은 더덕분말; 곡류분말; 고구마분말, 감자분말, 옥수수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 및 밀가루를 혼합한 후 쌀 모양의 성형물로 성형한 다음 건조하여 더덕을 포함하고 쌀 모양의 형태로 가공된 성형물을 의미한다.

Description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Preparation method of deodeok-rice comprising deodeok and application thereof}
본 발명은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로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더덕쌀을 이용한 스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더덕분말; 곡류분말; 고구마분말, 감자분말, 옥수수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 및 밀가루를 혼합한 후 쌀 모양의 성형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의 쌀 모양의 성형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더덕쌀을 이용한 스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더덕쌀은 더덕분말; 곡류분말; 고구마분말, 감자분말, 옥수수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 및 밀가루를 혼합한 후 쌀 모양의 성형물로 성형한 다음 건조하여 더덕을 포함하고 쌀 모양의 형태로 가공된 성형물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과자류의 간식용 스넥(snack)은 곡류분말이나 밀가루를 혼합한 혼합물을 주원료로 사용하여 고온에서 굽거나 기름에 튀기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곡류를 활용하는 과자류에 있어서 전통한과의 경우 주원료로 찹쌀 또는 찹쌀과 멥쌀을 혼합하여 만든 반데기를 유탕으로 팽화하여 제조하며, 강정류의 경우 잡곡이나 들깨 등의 원료를 볶거나 증자 후 튀긴 것을 물엿, 조청 등과 같은 고당원료로 성형하여 제조한다. 그러나 고온에서 볶거나 구운 경우 또는 기름에 튀겨서 제조한 경우에는 제품조직의 단단한 물성과 유지의 산패로 인한 제품의 변질로 식미감이나 저장성 저하가 우려되고, 강정 굳힘(코팅)원료의 높은 당 함량은 건강을 중요시하는 현대소비자들의 우려로 인한 기호도와 소비저하 등의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 밖에 뻥튀기로 흔히 알려진 퍼핑스넥은 밀가루를 주원료로 반죽한 것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쌀 형태로 성형한 후 이를 고온고압으로 퍼핑하거나 사출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퍼핑용 성형쌀을 제조함에 있어서 곡류분말이나 옥수수, 감자전분 등을 밀가루와 혼합한 원료를 간혹 사용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밀가루만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하므로 영양성분이 결여되는 단점이 제기되고 있다. 성형쌀이 갖는 영양상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방안으로 영양성분이 풍부한 잡곡원료나 기능성 추출물 등을 혼합하여 기능성 성형쌀을 개발하였으나 거의 대부분의 경우 취반을 주 목적으로 하여 개발되었으며 퍼핑에 의한 팽창율이 낮아 스넥제조에는 부적합하다.
기능성 성형쌀과 관련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한국공개특허 제2002-0026765호에 곡류 및 두류 혼합분말과 카라키난, 한천, 젤라틴, 알긴산, DHA, EPA, 난백, 베타카로틴, 키토산 등의 식품소재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곡류 및 기능성 식품소재를 이용한 재성형 쌀의 제조방법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120335호에는 난소화성 전분과 쌀가루 혼합물을 압출 성형하여 제조하는 난소화성 전분이 함유된 가공쌀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내용이 있다. 한국특허 제10-0540784호에는 미강, 발아현미, 엿기름, 메밀, 찹쌀, 모로키야 및 서목태가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다기능성 성형 쌀 조성물 및 성형 쌀의 제조방법에 대한 내용이 있다. 이 밖에 다시마 추출액, 인삼추출물, 미역추출물 등을 수세한 쌀에 일정량 도포 후 건조시켜 제조하는 코팅 쌀과 같은 형태의 기능쌀 가공방법에 관한 것들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 의한 성형 쌀이나 기능성 쌀은 주로 취반용으로 개발되어 본 발명의 내용과는 상이할 뿐만 아니라 퍼핑에 의한 부피 팽창율이 현저히 떨어져 과자류의 스넥을 제조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더덕을 사용한 퍼핑용 기능성 성형쌀을 제조하고 이를 활용하여 간식용으로 소비할 수 있는 영양이 풍부한 웰빙건강스넥을 제조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더덕은 예로부터 사삼, 백삼이라 하여 여러 가지 조리법으로 민간에서 즐겨 식용한 약용식물로서 한방에서는 강장, 해열, 진해, 거담, 해독, 천식, 배농, 항궤양 등의 효능을 갖는다 하여 인삼 대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더덕에는 단백질, 섬유소, 지방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트리터페노이드(triterpenoid)계 사포닌과 배당체성분 및 칼슘, 철분, 인과 같은 무기질과 비타민 B1, 비타민 B2가 풍부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더덕을 활용한 가공식품은 인삼이나 도라지 가공제품과 마찬가지로 관행적으로 소비되는 반찬류나 후식류, 증숙 등을 통한 단순 1차 가공품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당침을 통한 스넥류, 분말이나 추출물을 활용한 음료류나 캔디류, 기타 주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방법에 의한 더덕 가공제품은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 제조 및 이를 활용한 스넥의 제조와는 상이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더덕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언급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 또는 상기에서 언급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이용한 스넥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더덕쌀을 이용한 스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더덕분말; 곡류분말; 고구마분말, 감자분말, 옥수수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 및 밀가루를 혼합한 후 쌀 모양의 성형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의 쌀 모양의 성형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더덕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 또는 상기에서 언급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팽화시켜 팽화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팽화물에 스넥용 코팅원료를 도포하여 스넥을 얻고 굳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덕쌀을 이용한 스넥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더덕쌀을 이용한 스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더덕쌀을 이용한 스넥의 제조방법에서의 주재료인 더덕은 예로부터 민간에서 또는 한방에서 다양한 약리학적 효능이 높은 건강식품재료로 활용되어 왔으며, 단백질, 섬유소, 지방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트리터페노이드(triterpenoid)계 사포닌과 배당체성분 및 칼슘, 철분, 인과 같은 무기질과 비타민 B1, 비타민 B2 등의 영양성분과 기능성 성분이 풍부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더덕을 원료로 한 성형쌀을 제조하고 이를 활용하여 대중적 소비가 가능한 간식용 스넥제품을 개발하는 것은 소비자의 웰빙수요를 충족함으로서 소비확대를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은 시리얼과 같은 식사대용 편이식의 개발에 충분히 활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더덕쌀의 원료로 사용되는 더덕은 생 더덕이나 단순가공 처리를 거쳐 판매되는 박피더덕 등과 같이 외관상 상품가치가 높은 더덕을 사용하지 않아도 제조가 가능하므로 더덕의 활용가치를 높일 수 있으므로 더덕 재배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 할 뿐만 아니라 농산폐기물 감소를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b는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c는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a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더덕쌀을 고압 팽화시켜 얻은 더덕쌀 팽화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b는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더덕쌀을 고압 팽화시켜 얻은 더덕쌀 팽화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c는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더덕쌀을 고압 팽화시켜 얻은 더덕쌀 팽화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a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더덕쌀을 고압 압출 팽화시켜 얻은 더덕쌀 팽화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b는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더덕쌀을 고압 압출 팽화시켜 얻은 더덕쌀 팽화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더덕분말; 곡류분말; 고구마분말, 감자분말, 옥수수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 및 밀가루를 혼합한 후 쌀 모양의 성형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의 쌀 모양의 성형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더덕분말 10~30중량%; 곡류분말 10~30중량%; 고구마분말, 감자분말, 옥수수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 10~20중량% 및 잔부의 밀가루를 혼합한 후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쌀 모양의 성형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의 쌀 모양의 성형물을 수분함량 15~17중량%가 되도록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더덕분말은 더덕을 수세하고 더덕의 물기를 제거하는 탈수 후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더덕분말을 얻을 수 있다. 이때 더덕의 탈수 후 건조는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건조기는 열풍건조기, 냉풍건조기 및/또는 원적외선건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곡류분말은 현미분말, 보리분말, 조분말, 수수분말, 메밀분말, 율무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곡류분말은 현미분말 30~50중량%, 보리분말 30~50중량%, 조분말 5~15중량%, 수수분말 5~15중량%, 메밀분말 5~15중량%, 율무분말 5~15중량%으로 혼합된 곡류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곡류분말은 현미분말 40중량%, 보리분말 40중량%, 조분말 5중량%, 수수분말 5중량%, 메밀분말 5중량%, 율무분말 5중량%으로 혼합된 곡류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곡류분말은 현미분말 30중량%, 보리분말 30중량%, 조분말 10중량%, 수수분말 10중량%, 메밀분말 10중량%, 율무분말 10중량%으로 혼합된 곡류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곡류분말은 곡류인 현미, 보리, 조, 수수, 메밀, 율무는 각각의 곡류를 곡류 중량 10~20배량의 정제수에 12~36시간 동안 수침하여 수세하고 열풍건조기, 냉풍건조기 및/또는 원적외선건조기의 건조기로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분쇄하여 얻은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구마분말, 감자분말, 옥수수분말은 고구마, 감자, 옥수수의 각각의 재료를 재료 중량 10~20배량의 정제수에 12~36시간 동안 수침하여 수세하고 열풍건조기, 냉풍건조기 및/또는 원적외선건조기의 건조기로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분쇄하여 얻은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더덕분말, 곡류분말, 고구마분말, 감자분말, 옥수수분말은 밀가루의 입자크기 대비 90~110%가 되도록 분말화한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더덕분말, 곡류분말, 고구마분말, 감자분말, 옥수수분말 및 밀가루는 100~200메쉬(mesh)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더덕분말, 곡류분말, 고구마분말, 감자분말, 옥수수분말 및 밀가루는 150~200메쉬(mesh)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덕쌀을 제조함에 있어서, 더덕분말, 곡류분말, 고구마분말, 감자분말, 옥수수분말 및 밀가루를 혼합한 후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쌀 모양의 성형물로 성형시 압출성형기의 조건은 다양한 조건에 의해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압출성형기의 운전조건은 원료 사입부 회전속도 280~320rpm, 원료 투입속도 100~120g/min, 스크류(screw) 회전속도 230~250rpm, 제1바렐에서의 예열온도 50~60℃, 제2바렐 및 제3바렐에서의 압출온도 115~125℃, 물 투입속도 25~35ml/min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덕쌀을 제조함에 있어서, 더덕분말, 곡류분말, 고구마분말, 감자분말, 옥수수분말 및 밀가루를 혼합한 후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쌀 모양의 성형물로 성형시 압출성형기의 조건은 다양한 조건에 의해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압출성형기의 운전조건은 원료 사입부 회전속도 300rpm, 원료 투입속도 110g/min, 스크류(screw) 회전속도 240rpm, 제1바렐에서의 예열온도 55℃, 제2바렐 및 제3바렐에서의 압출온도 120℃, 물 투입속도 30ml/min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덕쌀 제조시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얻은 쌀 모양의 성형물을 수분함량 15~17중량%가 되도록 건조하는데 최종 수분함량이 15~17중량%일 때 더덕쌀의 입자형성 및 추후 이러한 더덕쌀을 팽화처리하여 스넥 제조시 팽화율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시 더덕쌀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호로파씨분말, 마치현잎분말, 마가목잎분말, 천마분말, 포도씨분말, 대추씨분말, 알로에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성분 분말 1~10중량%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능성성분 분말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만큼 밀가루의 함량을 감소시켜 고구마분말, 감자분말, 옥수수분말, 기능성성분 분말 및 밀가루 등이 혼합된 혼합물을 얻은 다음 상기 혼합물을 압출성형기에 첨가하고 쌀 모양의 성형물로 성형하고 건조하여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 또는 상기에서 언급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이용한 스넥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 또는 상기에서 언급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팽화시켜 팽화물 형태의 더덕쌀을 이용한 스넥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 또는 상기에서 언급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팽화시켜 팽화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팽화물에 스넥용 코팅원료를 도포하여 스넥을 얻고 굳히는 단계를 포함하여 더덕쌀을 이용한 스넥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 또는 상기에서 언급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고압 팽화, 고압압출식 팽화 또는 고압압착식 팽화의 팽화기에서 팽화시켜 팽화물 형태의 더덕쌀을 이용한 스넥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 또는 상기에서 언급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을 고압 팽화, 고압압출식 팽화 또는 고압압착식 팽화의 팽화기에서 팽화시켜 팽화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팽화물에 스넥용 코팅원료를 팽화물 중량 대비 1~2배의 함량으로 도포하여 스넥을 얻고 굳히는 단계를 포함하여 더덕쌀을 이용한 스넥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스넥용 코팅원료는 마아가린, 이소말토올리고당, 정백당, 꿀, D-솔비톨액, 글리세린, 수용성 식이섬유인 폴리덱스트로스, 정제수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스넥용 코팅원료는 스넥용 코팅원료 150kg 중에서 마아가린 17kg, 이소말토올리고당 42kg, 정백당 5kg, 꿀 5kg, D-솔비톨액 25kg, 글리세린 1kg, 폴리엑스트로서 25kg, 정제수 30kg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스넥용 코팅원료는 스넥용 코팅원료 150kg을 기준으로 이소말토올리고당 42kg, 정백당 5kg, 꿀 5kg, D-솔비톨액 25kg, 글리세린 1kg, 폴리엑스트로서 25kg, 정제수 30kg을 동솥에 투입하고 혼합한 후 100~115℃에서 80Brix에 도달할 때까지 1차로 가열한 다음 마아가린 17kg을 넣은 후 115~120℃에서 85Brix에 도달할 때까지 2차로 가열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더덕쌀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을 이용한 스넥의 제조방법에 대해 다양한 조건으로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더덕쌀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을 이용한 스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더덕쌀 성형을 위한 압출성형조건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제조하는데 사용한 압출성형기(Extruder)는 동방향 쌍발 스크류형으로 3개의 바렐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였다.
더덕쌀을 제조함에 있어서 다수의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더덕분말, 곡류분말, 고구마분말, 감자분말, 옥수수분말 및 밀가루를 혼합한 후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쌀 모양의 성형물로 성형시 압출성형기의 운전조건은 다양한 조건에 의해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압출성형기의 운전조건은 원료 사입부 회전속도 280~320rpm, 원료 투입속도 100~120g/min, 스크류(screw) 회전속도 230~250rpm, 제1바렐에서의 예열온도 50~60℃, 제2바렐 및 제3바렐에서의 압출온도 115~125℃, 물 투입속도 25~35ml/min으로 할 수 있다(표 1 참조).
일예로 더덕쌀을 제조시 압출성형기 온도가 90℃ 이하일 경우에는 정상적인 쌀 입자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90℃~110℃ 또는 130℃ 이상에서는 쌀 입자형성이 불량하여 스넥용 더덕쌀 제조에 필요한 최적압출성형기 온도는 120℃ 전후인 115~125℃로 분석되었다.
또한 압출성형기 내에서 더덕쌀 원료와 혼합되는 물의 투입속도는 20ml/min 이하인 경우에 토출구가 막히거나 압출기내에서 충분히 증숙되지 않아 쌀 성형이 매우 불량하였고 물 투입속도가 40~80ml/min인 경우에는 과도한 증숙이 일어나 성형쌀의 경도가 저하되거나 토출구로 배출되는 즉시 과도하게 팽창하여 정상적인 쌀 성형이 이루어지지 않았서 더덕쌀의 제조에 필요한 압출성형기의 최적 물 투입속도는 30ml/min 전후 속도, 25~35ml/min로 분석되었다.
상기의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성형은 60℃ 항온기에서 수분함량이 15중량% 내외가 되도록 건조하여 스넥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건조 후 성형쌀의 최종 수분함유량은 15중량%~17중량%가 가정 적당하며, 압출성형 후 수분 15중량%까지 건조한 경우에 입자형성 및 팽화율이 가장 우수하다.
압출성형기 최적조건
항목 최적 조건
Feeder(원료사입부) 280~320rpm
원료투입속도 100~120g/min
Screw 230~250rpm
Preheating(예열, 제 1 바렐) 50~60℃
Extrusion(제 2, 3 바렐) 115~125℃
물 투입속도 25~35ml/min
Cutter(절단기) 임의 조절
<실시예 1> 더덕쌀 제조
더덕을 수세후 물기를 제거한 다음 박피하여 2±0.5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열풍건조기로 건조한 다음 분쇄기에 넣고 150메쉬의 더덕분말을 얻었다.
곡류로서 현미, 보리, 조, 수수, 메밀, 율무를 각각 10배수의 물에 24시간 수침하여 수세하고 열풍건조기로 건조한 다음 분쇄기에서 넣고 입자크기가 150메쉬가 되도록 각각의 곡류분말을 얻었다. 이때 얻은 현미분말 40중량%, 보리분말 30중량%, 조분말 5중량%, 수수분말 5중량%, 메밀분말 5중량%, 율무분말 5%중량의 함량비로 혼합하여 곡류분말을 준비하였다.
전분원료로서 사용되는 고구마분말, 옥수수분말은 고구마, 옥수수를 각각 수세후 열풍건조기로 건조한 다음 각각 분쇄기에 넣고 입자크기가 150메쉬인 고구마분말, 옥수수분말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더덕분말, 혼합 곡류분말, 고구마분말, 옥수수분말 및 밀가루를 하기의 표 2에 기재한 성분배합비율에 의거하여 혼합하여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원료로 활용하였다.
표 2에 기재한 상기 배합한 원료는 압출성형기에 넣어 쌀 모양의 입자를 성형한 후 60℃ 항온기에서 수분함량이 15중량%가 되도록 건조하여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도 1a에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제조시 사용한 압출성형기(Extruder)는 동방향 쌍발 스크류형으로 3개의 바렐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압출성형기의 운전조건은 원료 사입부 회전속도 300rpm, 원료 투입속도 110g/min, 스크류(screw) 회전속도 240rpm, 제1바렐에서의 예열온도 55℃, 제2바렐 및 제3바렐에서의 압출온도 120℃, 물 투입속도 30ml/min으로 하였다.
<실시예 2>
하기 표 2에 기재한 원료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제조하고 이를 도 1b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하기 표 2에 기재한 원료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제조하고 이를 도 1c에 나타내었다.
더덕쌀의 원료 성분 배합비(단위:중량%)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더덕분말 10 20 30
곡류분말* 30 20 10
고구마분말 10 10 10
옥수수분말 10 10 10
밀가루 40 40 40
합계 100 100 100
*상기 표 2에서 곡류분말은 현미분말 40중량%, 보리분말 30중량%, 조분말 5중량%, 수수분말 5중량%, 메밀분말 5중량%, 율무분말 5%중량의 함량비로 혼합한 것이다.
<시험예 1> 더덕쌀의 물리적 특성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각각의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팽화율, 밀도, 전단력, 색도 등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서처럼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제조시 더덕분말 첨가량을 10중량%(실시예 1), 20중량%(실시예 2), 30중량%(실시예 3)로 증가시켰을 때 더덕쌀의 밀도는 311g/L, 332g/L, 348g/L로 증가하였으며, 전단력은 25.21kg/g, 29.94kg/g, 33.43kg/g으로 증가하였다. 더덕분말 첨가량이 10중량%, 20중량%, 30중량%로 증가함에 따라 더덕쌀의 색도 중 명도지표 L값(value)은 76.81, 75.87, 75.61로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각각의 더덕쌀의 물리적 특성을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더덕분말 10중량%, 곡류분말 30중량%를 첨가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더덕쌀이 최적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덕쌀의 물리적 특성
항목 팽화율
(%)
밀도
(g/L)
전단력
(kg/g)
색도(Hunter value)
L a b
실시예 1 84 311 25.21 76.81 2.37 12.65
실시예 2 68 332 29.94 75.87 3.01 16.51
실시예 3 62 348 33.43 75.61 3.18 18.93
<실험예 2> 더덕쌀의 팽화처리 방법
가) 고압팽화 또는 고압압출방법에 따른 더덕성형쌀의 팽화
다수의 예비실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더덕쌀을 유탕처리할 경우 팽화되지 않거나 팽화율이 현저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탄 맛이 증가하여 스넥용 제조에는 적절치 않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더덕쌀을 고압 팽화 또는 고압압출식 팽화방법을 이용한 예비실험결과 고압압출식 팽화방법이 더 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압압출식 팽화방법을 이용한 경우 팽화율은 더덕분말 10중량% 첨가시 84%, 더덕분말 20중량% 첨가시 68%, 더덕분말 30중량% 첨가시 62% 이었으며, 더덕분말 함량이 증가할수록 팽화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표 4 참조).
상기에서 고압팽화는 1.5기압으로 30분 동안 실시하였고, 고압압출식 팽화는 동방향 쌍발 스크류형으로 3개의 바렐구조로 되어 있는 압출성형기(Extruder)를 사용하되, 이때 압출성형기의 운전조건은 원료 사입부 회전속도 300rpm, 원료 투입속도 110g/min, 스크류(screw) 회전속도 240rpm, 제1바렐에서의 예열온도 55℃, 제2바렐 및 제3바렐에서의 압출온도 120℃, 물 투입속도 30ml/min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더덕성형쌀의 팽화율(%)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팽화율(%) 84 68 62
나) 퍼핑기를 활용한 더덕성형쌀의 팽화
퍼핑용 스넥을 제조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더덕쌀을압착식 퍼핑기 또는 압축식 퍼핑기를 사용할 수 있다.
압착식 퍼핑기는 신장기술산업(주)의 퍼핑 머신(Poping Machine)을 이용하였으며, 상판 200℃, 밑판 330℃, 회전속도 1200rpm으로 퍼핑하여 스넥을 제조할 수 있다. 이 기기는 퍼핑스넥의 크기가 4.5cm 이하로 작지만 회전식으로 스넥의 제조속도가 다소 빠른 장점이 있다. 이 기기를 이용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더덕쌀로부터 스넥을 제조한바, 스넥의 경도는 더덕분말 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퍼핑온도에 따른 더덕쌀 퍼핑스넥의 색도는 100℃에서 L값이 92.83으로 가장 높았으며 색깔이 밝았다. 퍼핑한 더덕쌀의 부피는 더덕분말의 함량이 많을수록 낮았으며, 스넥의 관능검사결과 맛과 기호도에서 더덕함량의 차이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압축식 퍼핑기는 국산 DELICE(주) DMP-1를 이용하여 팽화시키고 10±1cm의 크기로 스넥을 제조한바, 스넥 제조에 필요한 퍼핑기의 최적 조건은 다수의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설정하였으며, 온도 210℃, 원료투입량 9g/20mL, 원료의 수분함량 15중량%, 유지(대두유)함량 0.5%로 적정 조건을 설정하여 스넥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4> 더덕쌀을 고압 팽화한 스넥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1.5기압으로 30분 동안 고압 팽화시켜 팽화물을 얻었다.
상기의 팽화물을 혼합용기(mixing bowl)에 넣고 굳힘(코팅) 원료를 팽화물 중량 대비 1.5배 첨가하고 골고루 혼합하여 평평한 판 위에 펴서(sheeting) 4℃ 온도에서 식히고 굳어지면 꺼내어 1cm×10cm(가로×세로)의 크기로 잘라(cutting) 더덕쌀을 재료로 하는 스넥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실시예 1의 더덕쌀을 주재료로 하여 제조한 스넥 사진을 도 2a에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스넥용 굳힘(코팅) 원료는 이소말토올리고당 42kg, 정백당 5kg, 꿀 5kg, D-솔비톨액 25kg, 글리세린 1kg, 폴리엑스트로서 25kg, 정제수 30kg을 동솥에 투입하고 혼합한 후 100℃에서 80Brix에 도달할 때까지 1차로 가열한 다음 마아가린 17kg을 넣은 후 120℃에서 85Brix에 도달할 때까지 2차로 가열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 더덕쌀을 고압 팽화한 스넥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더덕쌀을 재료로 하는 스넥을 제조하고 이의 사진을 도 2b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더덕쌀을 고압 팽화한 스넥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더덕쌀을 재료로 하는 스넥을 제조하고 이의 사진을 도 2c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 스넥 제품의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더덕쌀을 주재료로 하는 스넥에 대하여 색, 풍미, 씹힘성, 조밀도, 기호도 등의 관능검사를 관능검사경력 3년 이상의 관능검사요원 20명(남여 각각 10명)으로 5점 척도법에 의해 실시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5에 나타내었다.
더덕쌀을 제조할 때 더덕분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스넥의 색에 대한 기호도는 3.6에서 2.1로 다소 감소하였으며, 풍미는 4.2에서 2.5로, 씹힘성은 4.8에서 2.5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더덕분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시제품의 조밀도에 대한 기호도는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적인 기호도가 4.6에서 3.1로 감소하였다.
본 발명의 더덕쌀을 주재료를 하는 스넥은 모두 기호도 면에서 3점 이상을 나타내고 있어 제품의 품질면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더덕쌀을 주재료로 하는 스넥 관능검사
항목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3.6 3.2 2.1
풍미 4.2 3.6 2.5
씹힘성 4.8 3.8 2.5
조밀도 3.8 4.1 4.4
기호도 4.6 4.2 3.1
*상기 표 5에서 색, 풍미, 씹힘성, 조밀도, 기호도 등의 관능검사 수치는 각각의 관능검사시 관능검사요원들의 점수의 총합을 관능검사요원들의 숫자로 나눈 후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관능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실시예 7> 더덕쌀을 고압 압출 팽화한 스넥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고압 압출 팽화방법을 이용하여 팽화물을 얻었다.
상기의 팽화물을 혼합용기(mixing bowl)에 넣고 굳힘(코팅) 원료를 팽화물 중량 대비 1.5배 첨가하고 골고루 혼합하여 평평한 판 위에 펴서(sheeting) 4℃ 온도에서 식히고 굳어지면 꺼내어 1cm×10cm(가로×세로)의 크기로 잘라(cutting) 더덕쌀을 재료로 하는 스넥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실시예 1의 더덕쌀을 주재료로 하여 제조한 스넥 사진을 도 3a에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스넥용 굳힘(코팅) 원료는 이소말토올리고당 42kg, 정백당 5kg, 꿀 5kg, D-솔비톨액 25kg, 글리세린 1kg, 폴리엑스트로서 25kg, 정제수 30kg을 동솥에 투입하고 혼합한 후 100℃에서 80Brix에 도달할 때까지 1차로 가열한 다음 마아가린 17kg을 넣은 후 120℃에서 85Brix에 도달할 때까지 2차로 가열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고압 압출 팽화방법에서 압출은 동방향 쌍발 스크류형으로 3개의 바렐구조로 되어 있는 압출성형기(Extruder)를 사용하였으며, 이때 압출성형기의 운전조건은 원료 사입부 회전속도 300rpm, 원료 투입속도 110g/min, 스크류(screw) 회전속도 240rpm, 제1바렐에서의 예열온도 55℃, 제2바렐 및 제3바렐에서의 압출온도 120℃, 물 투입속도 30ml/min으로 하였다.
<실시예 8> 더덕쌀을 고압 팽화한 스넥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더덕쌀을 재료로 하는 스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더덕쌀을 고압 팽화한 스넥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더덕쌀을 재료로 하는 스넥을 제조하고 이의 사진을 도 3b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압착식 퍼핑에 의한 더덕성형쌀 스넥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압착식 퍼핑기로 퍼핑하여 더덕쌀을 재료로 하는 스넥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압착식 퍼핑기는 신장기술산업(주)의 퍼핑 머신(Poping Machine)을 이용하였으며, 상판 200℃, 밑판 330℃, 회전속도 1200rpm으로 퍼핑하였다.
<실시예 11> 압착식 퍼핑에 의한 더덕성형쌀 스넥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압착식 퍼핑기로 퍼핑하여 팽화물을 얻었다.
상기의 팽화물을 혼합용기(mixing bowl)에 넣고 굳힘(코팅) 원료를 팽화물 중량 대비 1.5배 첨가하고 골고루 혼합하여 평평한 판 위에 펴서(sheeting) 4℃ 온도에서 식히고 굳어지면 꺼내어 1cm×10cm(가로×세로)의 크기로 잘라(cutting) 더덕쌀을 재료로 하는 스넥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압착식 퍼핑기는 신장기술산업(주)의 퍼핑 머신(Poping Machine)을 이용하였으며, 상판 200℃, 밑판 330℃, 회전속도 1200rpm으로 퍼핑하였다.
상기에서 스넥용 굳힘(코팅) 원료는 이소말토올리고당 42kg, 정백당 5kg, 꿀 5kg, D-솔비톨액 25kg, 글리세린 1kg, 폴리엑스트로서 25kg, 정제수 30kg을 동솥에 투입하고 혼합한 후 100℃에서 80Brix에 도달할 때까지 1차로 가열한 다음 마아가린 17kg을 넣은 후 120℃에서 85Brix에 도달할 때까지 2차로 가열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2> 압축식 퍼핑에 의한 더덕성형쌀 스넥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압축식 퍼핑기로 퍼핑하여 더덕쌀을 재료로 하는 스넥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압축식 퍼핑기는 국산 DELICE(주) DMP-1를 이용하여 팽화시키고 10±1cm의 크기로 스넥을 제조하였으며, 이때 압축식 퍼핑기는 온도 210℃, 원료투입량 9g/20mL, 원료의 수분함량 15중량%, 유지(대두유)함량 0.5%로 조건을 설정하여 스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압축식 퍼핑에 의한 더덕성형쌀 스넥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압축식 퍼핑기로 퍼핑하여 팽화물을 얻었다.
상기의 팽화물을 혼합용기(mixing bowl)에 넣고 굳힘(코팅) 원료를 팽화물 중량 대비 1.5배 첨가하고 골고루 혼합하여 평평한 판 위에 펴서(sheeting) 4℃ 온도에서 식히고 굳어지면 꺼내어 1cm×10cm(가로×세로)의 크기로 잘라(cutting) 더덕쌀을 재료로 하는 스넥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압축식 퍼핑기는 국산 DELICE(주) DMP-1를 이용하여 팽화시켰으며, 이때 압축식 퍼핑기는 온도 210℃, 원료투입량 9g/20mL, 원료의 수분함량 15중량%, 유지(대두유)함량 0.5%로 조건으로 퍼핑하였다.
상기에서 스넥용 굳힘(코팅) 원료는 이소말토올리고당 42kg, 정백당 5kg, 꿀 5kg, D-솔비톨액 25kg, 글리세린 1kg, 폴리엑스트로서 25kg, 정제수 30kg을 동솥에 투입하고 혼합한 후 100℃에서 80Brix에 도달할 때까지 1차로 가열한 다음 마아가린 17kg을 넣은 후 120℃에서 85Brix에 도달할 때까지 2차로 가열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4> 기능성 성분이 함유된 더덕쌀 제조
더덕을 수세후 물기를 제거한 다음 박피하여 2±0.5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열풍건조기로 건조한 다음 분쇄기에 넣고 150메쉬의 더덕분말을 얻었다.
곡류로서 현미, 보리, 조, 수수, 메밀, 율무를 각각 10배수의 물에 24시간 수침하여 수세하고 열풍건조기로 건조한 다음 분쇄기에서 넣고 입자크기가 150메쉬가 되도록 각각의 곡류분말을 얻었다. 이때 얻은 현미분말 40중량%, 보리분말 30중량%, 조분말 5중량%, 수수분말 5중량%, 메밀분말 5중량%, 율무분말 5%중량의 함량비로 혼합하여 곡류분말을 준비하였다.
전분원료로서 사용되는 고구마분말, 옥수수분말은 고구마, 옥수수를 각각 수세후 열풍건조기로 건조한 다음 각각 분쇄기에 넣고 입자크기가 150메쉬인 고구마분말, 옥수수분말를 얻었다.
기능성성분으로 호로파씨를 수세한 후 열풍건조기로 건조한 다음 분쇄기에 넣고 입자크기가 150메쉬인 호로파씨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더덕분말, 혼합 곡류분말, 고구마분말, 옥수수분말, 호로파씨분말 및 밀가루를 하기의 표 6에 기재한 성분배합비율에 의거하여 혼합하여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원료로 활용하였다.
표 6에 기재한 상기 배합한 원료는 압출성형기에 넣어 쌀 모양의 입자를 성형한 후 60℃ 항온기에서 수분함량이 15중량%가 되도록 건조하여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제조시 사용한 압출성형기(Extruder)는 동방향 쌍발 스크류형으로 3개의 바렐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압출성형기의 운전조건은 원료 사입부 회전속도 300rpm, 원료 투입속도 110g/min, 스크류(screw) 회전속도 240rpm, 제1바렐에서의 예열온도 55℃, 제2바렐 및 제3바렐에서의 압출온도 120℃, 물 투입속도 30ml/min으로 하였다.
<실시예 15>
기능성성분으로 호로파씨분말 대신 마치현잎분말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기능성성분으로 호로파씨분말 대신 마가목잎분말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기능성성분으로 호로파씨분말 대신 천마분말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기능성성분으로 호로파씨분말 대신 포도씨분말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제조하였다.
더덕쌀의 원료 성분 배합비(단위:중량%)
항목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더덕분말 10 20 30 10 10
곡류분말* 30 20 10 30 30
고구마분말 10 10 10 10 10
옥수수분말 10 10 10 10 10
기능성성분분말 3 3 3 3 3
밀가루 37 37 37 37 37
합계 100 100 100 100 100
*상기 표 6에서 곡류분말은 현미분말 40중량%, 보리분말 30중량%, 조분말 5중량%, 수수분말 5중량%, 메밀분말 5중량%, 율무분말 5%중량의 함량비로 혼합한 것이다.
<실시예 19> 더덕쌀을 고압 압출 팽화한 스넥의 제조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을 고압 압출 팽화방법을 이용하여 팽화물을 얻었다.
상기의 팽화물을 혼합용기(mixing bowl)에 넣고 굳힘(코팅) 원료를 팽화물 중량 대비 1.5배 첨가하고 골고루 혼합하여 평평한 판 위에 펴서(sheeting) 4℃ 온도에서 식히고 굳어지면 꺼내어 1cm×10cm(가로×세로)의 크기로 잘라(cutting) 더덕쌀을 재료로 하는 스넥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스넥용 굳힘(코팅) 원료는 이소말토올리고당 42kg, 정백당 5kg, 꿀 5kg, D-솔비톨액 25kg, 글리세린 1kg, 폴리엑스트로서 25kg, 정제수 30kg을 동솥에 투입하고 혼합한 후 100℃에서 80Brix에 도달할 때까지 1차로 가열한 다음 마아가린 17kg을 넣은 후 120℃에서 85Brix에 도달할 때까지 2차로 가열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고압 압출 팽화방법에서 압출은 동방향 쌍발 스크류형으로 3개의 바렐구조로 되어 있는 압출성형기(Extruder)를 사용하였으며, 이때 압출성형기의 운전조건은 원료 사입부 회전속도 300rpm, 원료 투입속도 110g/min, 스크류(screw) 회전속도 240rpm, 제1바렐에서의 예열온도 55℃, 제2바렐 및 제3바렐에서의 압출온도 120℃, 물 투입속도 30ml/min으로 하였다.
<실시예 20>
상기 실시예 15에서 제조한 더덕쌀을 주재료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9와 동일한 방법으로 더덕쌀을 주재료로 하는 스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상기 실시예 16에서 제조한 더덕쌀을 주재료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9와 동일한 방법으로 더덕쌀을 주재료로 하는 스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상기 실시예 17에서 제조한 더덕쌀을 주재료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9와 동일한 방법으로 더덕쌀을 주재료로 하는 스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상기 실시예 18에서 제조한 더덕쌀을 주재료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9와 동일한 방법으로 더덕쌀을 주재료로 하는 스넥을 제조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웰빙식품을 선호하는 현대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분히 충족할 수 있는 대중적 소비가 가능한 건강식품개발과 상업화에 필요한 가공기술로서 더덕을 활용한 다양한 기호성 편이식품 개발과 소비촉진을 기대할 수 있다. 더덕을 활용한 성형쌀의 제조는 압출기(extruder)를 이용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비교적 간단한 제조공정을 제공함으로써 소규모 식품제조업체에서 산업적으로 실용화할 전망이 매우 높은 기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더덕 성형쌀은 시리얼과 같은 식사대용 편이식의 개발에 충분히 활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성형쌀 원료로 사용되는 더덕은 생 더덕이나 단순가공 처리를 거쳐 판매되는 박피더덕 등과 같이 외관상 상품가치가 높은 등급의 더덕을 제외한 원료를 활용하여 제조가 가능하므로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더덕의 활용가치를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재배농가의 부가수입향상 및 농가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순가공 중에 얻어지는 더덕부산물을 활용하여 성형 쌀을 제조함으로서 농산폐기물 감소를 유도하고 부가가치를 부여한 농가의 새로운 소득자원으로 활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7)

  1. 더덕분말 10~30중량%; 현미분말, 보리분말, 조분말, 수수분말, 메밀분말, 율무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곡류분말 10~30중량%; 고구마분말, 감자분말, 옥수수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 10~20중량% 및 잔부의 밀가루를 혼합한 후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쌀 모양의 성형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의 쌀 모양의 성형물을 수분함량 15~17중량%가 되도록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더덕쌀.
  5. 청구항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더덕쌀을 팽화시켜 팽화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팽화물에 스넥용 코팅원료를 도포하여 스넥을 얻고 굳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덕쌀을 이용한 스넥의 제조방법.
  6. 청구항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한 더덕쌀을 고압 팽화, 고압압출식 팽화 또는 고압압착식 팽화의 팽화기에서 팽화시켜 팽화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팽화물에 스넥용 코팅원료를 팽화물 중량 대비 1~2배의 함량으로 도포하여 스넥을 얻고 굳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덕쌀을 이용한 스넥의 제조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스넥용 코팅원료는 스넥용 코팅원료 150kg 중에서 마아가린 17kg, 이소말토올리고당 42kg, 정백당 5kg, 꿀 5kg, D-솔비톨액 25kg, 글리세린 1kg, 폴리덱스트로스 25kg, 정제수 30kg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더덕쌀을 이용한 스넥의 제조방법.
KR1020100052451A 2010-06-03 2010-06-03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183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451A KR101183233B1 (ko) 2010-06-03 2010-06-03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451A KR101183233B1 (ko) 2010-06-03 2010-06-03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870A KR20110132870A (ko) 2011-12-09
KR101183233B1 true KR101183233B1 (ko) 2012-09-14

Family

ID=45500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451A KR101183233B1 (ko) 2010-06-03 2010-06-03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2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838A1 (ko) * 2017-06-15 2018-12-20 주식회사 주손네이처 저온팽화 기술로 인슐린 분비증진 효과를 극대화한 쌀눈 오죽잎 복합물을 함유하는 팽화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870A (ko) 201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339B1 (ko) 소화가 용이한 팽화 쌀과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소화가 용이한 팽화 쌀과자
KR101145618B1 (ko) 중공면의 제조방법
CN108967895A (zh) 一种营养重组米及制备方法
JP7545015B2 (ja) 食物繊維が豊富な低フィチン酸ジャガイモ燕麦菓子の作り方
KR101402110B1 (ko) 누룽지용 재성형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1908530B1 (ko) 팽화 견과류 그래뉼 스낵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팽화 견과류 그래뉼 스낵
CN100496288C (zh) 玉米高筋米的制备方法
KR101183233B1 (ko) 더덕을 포함하는 더덕쌀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N102805315A (zh) 一种利用大米制备膨化休闲食品的方法
KR102495746B1 (ko) 굳지 않는 떡의 제조방법.
KR100892984B1 (ko) 감자를 이용한 퍼핑스넥 제조방법
KR101210467B1 (ko) 산수유 함유 씨리얼 푸레이크의 제조방법
KR20110115038A (ko) 멥쌀가루 및 첨가물을 재료로 하여 스팀 및 압축공정을 통해 제조된 뻥튀기용 펠릿을 사용하여 뻥튀기를 제조하는 방법
CN115226840A (zh) 一种燕麦片用浆料、药食同源燕麦片及其制作方法
KR0137595B1 (ko) 혼합곡립의 제조방법
KR20110048294A (ko)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쌀국수의 제조방법
KR102137480B1 (ko) 현미 쌀국수의 제조 방법
CN112641044A (zh) 一种冷冻芋头粉面条及其制备方法
CN112021510A (zh) 一种含高抗性淀粉的低gi方便米粉及其制备方法
CN110876448A (zh) 一种竹笋营养面条及其制作方法
KR20020094263A (ko) 기능성 영양미 및 그 제조방법
EA002009B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акаронных изделий
KR102662209B1 (ko) 찹쌀떡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찹쌀떡
KR102702975B1 (ko) 찰보리떡의 제조방법
CN106879946A (zh) 一种具有高弹性和高粘性的膨化杂粮面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8